KR102531311B1 -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 - Google Patents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311B1
KR102531311B1 KR1020210109411A KR20210109411A KR102531311B1 KR 102531311 B1 KR102531311 B1 KR 102531311B1 KR 1020210109411 A KR1020210109411 A KR 1020210109411A KR 20210109411 A KR20210109411 A KR 20210109411A KR 102531311 B1 KR102531311 B1 KR 10253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saving
disaster
communication
box
contro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7524A (ko
Inventor
장연희
Original Assignee
장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연희 filed Critical 장연희
Priority to KR1020210109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3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05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discrete positions, e.g. in extreme extend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작스러운 사고나 자연재해으로부터 미처 대피하지 못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파제나 해수욕장 또는 해안가 등에 설치되어 필요시 신속하게 조난신호를 방재관제소로 전달하고 인명구조함에 미리 구비된 구조키트를 이용하여 조난자 스스로 자신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으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야간에 사용할 수가 있어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하고 구명조끼나 튜브와 같은 구조키트에 위치추적칩이 부착되어 분실의 우려가 없으며 무선통신모듈이 장착되어 원격관리가 가능하고 인명구조함의 다리가 신축되게 고정되어 설치가 편리하게 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Remotely manageable lifesaving box}
본 발명은 급작스러운 사고나 자연재해으로부터 미처 대피하지 못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파제나 해수욕장 또는 해안가 등에 설치되어 필요시 신속하게 조난신호를 방재관제소로 전달하고 인명구조함에 미리 구비된 구조키트를 이용하여 조난자 스스로 자신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으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받데리를 충전하고 야간에 사용할 수가 있어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하고 구명조끼나 튜브와 같은 구조키트에 위치추적칩이 부착되어 분실의 우려가 없으며 무선통신모듈이 장착되어 원격관리가 가능하고 인명구조함의 다리가 신축되게 고정되어 설치가 편리하게 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나 해안가 또는 해수욕장에는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게 되고 이러한 장소에는 예기치 못한 사고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갑자기 밀려온 너울이나 파도에 휩쓸려 바다로 빠져 버리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급작스러운 사고를 당할 경우 사고를 당한 조난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필요가 있는데 원격지의 방재관제소에서는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조난자는 속수무책 당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누군가가 119구조대에 신고를 하더라도 별도의 구조키트가 마련되지 못하여 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조난자가 생명을 유지하고 버티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안가의 곳곳에, 구명조끼, 로프 및 튜브와 같은 구조키트가 수납된 인명구조함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명구조함은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조명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조명은 노상에서 태양열로 인하여 설치된지 1년이내에 고장이나게 되어 이러한 인명구조함은 그대로 방치되면서 처리할 수가 없는 흉물로 변하게 되어 오히려 쓰레기로 전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인명구조함은 내부에 설치된 구조키트가 사용자들의 사용이나 장난으로 인하여 쉽게 분실되게 되며, 이와 같이 분실된 구조키트는 찾을 수가 없어 이러한 분실된 구조키트를 계속하여 보충하게 되면 관리비용이 높아지게 되어 관리조차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명구조함은 해안가에 설치할 경우에는 그 지지되는 장소가 모래인 곳이 대부분이므로 기초를 튼튼하게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나 경계석을 쌓는 등의 바닥공사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많은 설치비용이 소요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38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파제나 해수욕장 또는 해안가 등에 설치되어 필요시 신속하게 조난신호를 방재관제소로 전달하고 인명구조함에 미리 구비된 구조키트를 이용하여 조난자 스스로 자신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으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받데리를 충전하고 야간에 사용할 수가 있어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하고 구명조끼나 튜브와 같은 구조키트에 위치추적칩이 부착되어 분실의 우려가 없으며 무선통신모듈이 장착되어 원격관리가 가능하고 인명구조함의 다리가 신축되게 고정되어 설치가 편리하게 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해안가나 해수욕장의 바닥에 신축가능하게 길이를조정할 수 있는 하부 다리가 고정되는 인명구조함본체와, 상기 인명구조함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구명조끼, 로프, 튜브 등의 구조키트와, 상기 구조키트의 사용상태를 점검하는 RFID 리더기와, 상기 인명구조함본체의 일 측면에 부착되며 유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인명구조함본체의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은, 해안가나 해수욕장의 바닥에 신축가능하게 길이를조정할 수 있는 하부 다리가 고정되는 인명구조함본체와, 상기 인명구조함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구명조끼, 로프, 튜브 등의 구조키트와, 상기 구조키트의 사용상태를 점검하는 RFID 리더기와, 상기 인명구조함본체의 일 측면에 부착되며 유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인명구조함본체의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방파제나 해수욕장 또는 해안가 등에 설치되어 필요시 신속하게 조난신호를 방재관제소로 전달하고 인명구조함에 미리 구비된 구조키트를 이용하여 조난자 스스로 자신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으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야간에 사용할 수가 있어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하고 구명조끼나 튜브와 같은 구조키트에 위치추적칩이 부착되어 분실의 우려가 없으며 무선통신모듈이 장착되어 외부와의 통신과 원격관리가 가능하고 인명구조함의 다리가 신축되게 고정되어 설치가 편리하게 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의 인명구조함 본체의 내부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의 조명부의 작동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의 통신부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의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의 전력 공급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의 하부 다리의 종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A)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명구조함 본체(100), 통신부(200), 태양광 발전부(300), 하부 다리(400) 로 구성된다.
상기 인명구조함 본체(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구조키트 보관부(110), 조명부(120), RFID 리더기(130), 구조키트(140)가 배치된다.
상기 구조키트 보관부(110)는 구조함 본체(100) 내부에 구명조끼, 로프, 튜브등 각종 인명구조용 물품들로 구성된 구조키트(140)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으로 인명구조함 이용자들의 편의성에 따라 복수의 공간으로 나누어 구조키트(140)를 보관할 수 있다. 보관되는 구조키트(140)는 그 내부에 위치추적칩(141)이 부착되어 인명구조함의 통신부(200)를 통해 담당자 애플리케이션, 재난지휘센터나 방재관제센터에서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명부(120)는 LED 조명을 작동하여 이용자들이 외부에서 인명구조함의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인식하고 인명구조함 내부에서 구조키트를 식별하는 것을 돕는 기능을 한다.
조명부(120)는 통신부의 문 개방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인명 구조함의 문이 개방된 상태인지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고, 후술할 태양광 발전부(300) 및 배터리(310)와 연결되어 태양광이 충분한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황에 맞게 조명을 작동한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조명부(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흐름으로 작동하는대, 먼저 태양광이 충분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인명구조함을 육안으로 인식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인명구조함 문의 개방상태를 판단한다. 인명구조함 문이 열려 있다면, 인명구조함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있으므로 인명구조함 본체(100) 내부를 이용하기 쉽도록 조명을 작동하고, 문이 개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조명을 작동하지 않는다. 태양광이 충분하지 않아 이용자들이 육안으로 인명구조함을 인식하기 어렵다고 판단되고, 인명구조함 문의 개방상태를 판단하여 문이 열려있는 경우, 이미 이용자들이 인명구조함을 발견하고 이용하고 있다고 인식하여 이용자를 위해 위해 조명을 작동한다. 태양광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명구조함 문이 닫혀있다면, 인명구조함 외부에서 인명구조함의 위치를 파악하기 쉽도록 조명을 작동한다. 이때의 조도나 광도는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작동하는 조도나 광도보다 약하게 하여 인명구조함의 이용자들이 어두운 환경에서 인명구조함을 인식 가능한 수준으로 조명을 작동한다.
상기 RFID 리더기(130)는 구조키트 보관부(110)와 가까이 위치하며 보관중인 구조키트(140)의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스캔하여 점검하여 보고하며, 이를 통해 인명구조함에 보관되는 구조키트(140)를 더 쉽고 효육적이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RFID 리더기(130)의 자동 인식 및 스캔 결과는 통신부(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해당 인명구조함 담당자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되며, 구조키트(140)가 반출되어 스캔 결과에 누락되는 경우, 통신부(200)를 통해 해당 인명구조함 담당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통신부(20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01), 디스플레이(210), 스피커(220), 마이크(230), 조작 버튼(240), 비상 버튼(250), 영상 통신 카메라(260), 무선송수신통신모듈(270), GPS 발신기(280), 문 개방 감지센서(29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210)는 통신부(200)의 정면에 위치하고, 제어가능한 기능을 표시하고, 인명구조함의 통신연결상태, 인명구조함의 전력상태, 인명구조함에 비치된 구조키트 현황, 인명구조함 담당자, 재난지휘센터나 방재관제소, 가까운 대피소 등을 화면으로 출력한다. 또한 재난지휘센터나 방재관제소와 영상 통신시 영상 화면을 출력한다.
스피커(220)는 통신부(200)의 일 측면 혹은 이용자가 디스플레이(210)를 보며 음성을 듣기 좋은 위치에 형성되며 인명구조함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통신시 음성을 출력한다.
마이크(230)는 통신부(200)의 정면 하단부 혹은 이용자가 디스플레이(210)를 보며 음성을 입력하기 편한 위치에 배치되며, 인명구조함 담당자 혹은 재난지휘센터나 방재관제소와 통신할 경우, 이용자의 음성을 입력한다.
조작 버튼(240)은 통신부(200)의 디스플레이(210)로 출력되는 통신부의 기능, 메뉴 혹은 예/아니오 등을 선택하는 이동 버튼과 선택한 기능, 메뉴 혹은 예/아니오 등을 결정하는 확인 버튼 두 가지로 구성되며 필요에따라 스피커(220)의 음량 조절 버튼, 디스플레이(210)의 화면 밝기 조절 버튼 등 복수의 버튼이 추가될 수 있다.
비상 버튼(250)은 긴급한 상황에 처한 이용자에게 메뉴에서 재난지휘센터 혹은 방제관제소와 통화하기 등을 선택하지 않고 단순히 버튼을 누르는 즉시 바로 재난지휘센터나 방제관제소로 통신을 연결해준다.
영상 통신 카메라(260)는 통신부(200)의 정면 상단이나 영상 통신시 디스플레이를 보며 통화를 하는 이용자와 그 주변을 촬영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며, 인명구조함 이용자와 이용자 주변의 영상을 입력하여, 이용자의 상태와 인명구조함 주변의 상태를 재난지휘센터나 방재관제소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송수신통신모듈(270)은 IP 주소를 부여하여 인명구조함에서 담당자 애플리케이션, 재난지휘센터나 방재관제소와 IP 통신이 가능하게한다. 운용하는 인명구조함이 복수일 경우 각 인명구조함 마다 고유 IP 주소가 부여되는대 재난지휘센터나 방재관제소는 통신하고 있는 인명구조함의 고유 IP 주소를 통하여 해당 인명구조함과 관련된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고 통신중인 이용자를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GPS 발신기(280)는 인명구조함의 위치 정보를 담당자 애플리케이션, 재난지휘센터나 방재관제소로 전송한다. 인명구조함 이용자에게 구조인력이 필요하여 구급차가 파견될 경우, 재난지휘센터나 방재관제소는 해당 인명구조함의 GPS 발신기(280)에서 전송하는 위치정보를 응급구조인력을 파견하는 소방서 및 출동한 구급차와 공유하여 빠른 구조가 가능하게 한다.
문 개방 감지센서(290)는 인명구조함의 문에 위치하고 제어부(201)와 조명부(120)에 연결된다. 문 개방 감지센서(290)는 인명구조함 문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여 무선송수신모듈(270)을 통해 담당자 애플리케이션으로 보고하고, 조명부(120)의 적절한 조명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제어부(201)는 상술한 통신부(200)의 각 구성들을 정상 기능하도록 통제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300)는 태양광을 집열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을 배터리(310)에 전달한다. 배터리(310)는 인명구조함에 일체로 형성되어 포함되는대 태양광 발전부(300)의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전력을 받아 충전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200), RFID 리더기(130), 조명부(120)에 전력을 공급한다.
태양광 발전부(300)의 전력 생성을 통한 전력 공급은 인명구조함이 전력공급이 어려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전력 공급이 어려운 재난시에도 인명구조함의 정상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하며, 운용에 필요한 전력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태양광 발전부(300)는 인명구조함의 상부 뿐만 아니라 지형이나 주변 구조물 등 인명구조함이 위치되는 환경에 따라 일조에 유리한 위치에 인명구조함과 일체로 혹은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부(300)는 태양광의 정도를 감지하여 조명부(120)가 적절한 조명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다리(4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구조로 결합 높이를 조절한 후 볼트체결하여 형성되고, 인명구조함 본체(100)와도 볼트체결로 결합된다. 이는 하부 다리(400)가 신축되게 고정되어 인명구조함의 높이를 지형과 주변 구조물에 따라 조절하여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명구조함이 위치할 지형에 콘크리트, 경계석 등으로 사전 기반 공사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는 인명구조함의 설치 장소의 선택지를 늘려주며 설치를 더 쉽고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과 기능을 가진 본 발명의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은 RFID와 무선통신을 통해 비치되는 구조키트의 상태와 반출여부를 쉽게 파악하고, 구조키트의 위치추적칩으로 구조키트의 위치를 파악하는게 가능하며, 인명구조함 이용자에게 재난지휘센터나 방재관제소와 영상 통신을 제공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게 해주며, 응급구조인력이 쉽게 인명구조함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게 해주며,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생산으로 전력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사전 지반 공상 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위치나 지형에서 기존의 인명구조함보다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은 일반적인 인명구조 장비 제작 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A 인명구조함 100 인명구조함 본체
110 구조키트 보관부 120 조명부
130 RFID 리더기 140 구조키트
141. 위치인식칩 200 통신부
201 제어부 210 디스플레이
220 스피커 230 마이크
240 조작 버튼 250 비상 버튼
260 영상 통신 카메라 270 무선송수신통신모듈
280 GPS 발신기 290 문 개방 감지센서
300 태양광 발전부 310 배터리
400 하부 다리

Claims (5)

  1. 사고나 자연재해로부터 인명 구조를 위한 인명구조함에 있어서,
    인명구조함 본체(100) 내부 및 외부로 조명을 작동하는 조명부(120);
    인명구조함 본체(100) 내부에 비치된 구조키트(140)를 스캔하는 RFID 리더기(130);
    인명구조함 본체(100) 내부에 비치되고 , 내부에 위치인식칩(141)을 포함한 인명구조 물품들로 구성된 구조키트(140);
    인명구조함에서 외부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200);
    태양광을 집열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부(300);
    인명구조함 본체(100)를 지지하는 하부 다리(400);로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120)는 태양광 발전부(300)로부터 태양광 수치를 확인하고, 문 개방 감지센서(290)로부터 인명구조함 문의 개폐상태를 전달받아, 태양광 상태와 인명구조함 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인명구조함 문이 열려 있을 경우에만 조명하거나, 인명구조함 문이 닫혀 있어도 선택적으로 조명하고,
    상기 RFID 리더기(130)는 인명구조함 본체(100)에 비치되는 구조키트(140)를 스캔한 결과를 담당자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200)는 통신부(200)의 각 구성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제어부(201);
    인명구조함의 기능메뉴, 인명구조함의 통신연결상태, 인명구조함의 전력 상태, 인명구조함의 구조키트 현황, 대피관련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고, 재난지휘센터 및 방재관제소와 영상 통신을 할 경우, 영상 통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10);
    인명구조함 이용자에게 필요한 음성 정보를 출력하고, 재난지휘센터 및 방재관제소와 통신을 할 경우, 통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20);
    재난지휘센터 및 방재관제소와 통신을 할 경우, 인명구조함 이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230);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화면에서 각 기능메뉴들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조작 버튼(240);
    긴급한 상황에서 누르는 즉시 재난지휘센터 및 방재관제소로 영상 통신을 연결시키는 비상 버튼(250);
    인명구조함에서 재난지휘센터 및 방재관제소와 영상통화를 할 경우, 인명구조함의 이용자와 그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입력하는 영상 통신 카메라(260);
    고유 IP를 부여받고 담당자 애플리케이션, 재난지휘센터 및 방재관제소와 IP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무선송수신통신모듈(270);
    인명구조함의 위치정보를 재난지휘센터 및 방재관제소에게 발신하여 응급구조인력과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GPS 발신기(280);
    인명구조함의 문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조명부(120)가 작동하도록 하고, 인명구조함의 문이 개방되었을 경우, 담당자 애플리케이션으로 보고하는 문 개방 감지센서(290);로 구성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부(300)는 조명부(120), RFID 리더기(130) 및 통신부(20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31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다리(400)는 이중 구조로 결합 높이를 조절한 후 볼트체결하여 형성되고, 인명구조함 본체와 볼트체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09411A 2021-08-19 2021-08-19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 KR10253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411A KR102531311B1 (ko) 2021-08-19 2021-08-19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411A KR102531311B1 (ko) 2021-08-19 2021-08-19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524A KR20230027524A (ko) 2023-02-28
KR102531311B1 true KR102531311B1 (ko) 2023-05-11

Family

ID=8532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411A KR102531311B1 (ko) 2021-08-19 2021-08-19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268B1 (ko) * 2023-10-27 2024-05-30 주식회사 휴텍산업 자가발전 기능을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38090B (zh) * 2023-11-10 2024-01-23 成都侠易科技有限公司 救生设备移位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09Y1 (ko) * 2002-06-20 2002-10-04 박진홍 민물낚시용 떡밥 보관함
KR100905234B1 (ko) * 2009-03-25 2009-07-01 김용화 소방안전기구와 인명구조기구가 비치된 보관함
KR102116991B1 (ko) * 2019-12-31 2020-06-01 (주)오엔케이알트레이딩 구명 조끼를 이용한 안전 사고 관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173U (ko) * 2009-08-27 2011-03-07 이강현 비상탈출용구 보관함
KR20120023870A (ko) 2010-09-02 2012-03-14 김지신 수난방재설비시스템
KR101274355B1 (ko) * 2011-08-09 2013-06-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구조용 키트
KR102179382B1 (ko) * 2017-06-28 2020-11-16 주식회사 팜에어 Rfid 리더기와 상기 rfid 리더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물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09Y1 (ko) * 2002-06-20 2002-10-04 박진홍 민물낚시용 떡밥 보관함
KR100905234B1 (ko) * 2009-03-25 2009-07-01 김용화 소방안전기구와 인명구조기구가 비치된 보관함
KR102116991B1 (ko) * 2019-12-31 2020-06-01 (주)오엔케이알트레이딩 구명 조끼를 이용한 안전 사고 관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268B1 (ko) * 2023-10-27 2024-05-30 주식회사 휴텍산업 자가발전 기능을 포함하는 인명구조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524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992Y1 (ko) 위험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KR101895215B1 (ko) 태양광과 일반전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력형 무선비상호출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JP6229129B2 (ja) 災害時等の支援装置
KR20170088544A (ko) 무선 재난 화재 감지 및 방범 예방을 겸용하기 위한 휴대 조명등을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
KR101559682B1 (ko) 실내,외 감시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JP2006215906A (ja) 被災害時情報提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被災害時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531311B1 (ko)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
KR20160088990A (ko) 안전 부표
CN110081399A (zh) 一种智慧路灯系统及智慧路灯
CN102398806A (zh) 电梯的省电力系统
CN104994354A (zh) 海上风电场安全防护系统及防护方法
KR101687457B1 (ko) 라우터를 갖는 인명구조함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구조 시스템
US11051644B2 (en) Smart address identification and secure mailbox
CN209199300U (zh) 一种基于智能安全帽的综合监测系统
KR101618045B1 (ko) 하이브리드형 공원용 화장실 위급상황 알림시스템
KR20120023870A (ko) 수난방재설비시스템
JP2017059414A (ja) 街路灯
JP5111765B2 (ja) 建物内状況確認システム
CN205230258U (zh) 一种智能家居安防系统
KR102241652B1 (ko) 심장제세동기(aed)를 내장한 태양광스마트벤치 및 이를 활용한 응급구호 방법
GB2476292A (en) Intruder detection and disorientation apparatus
CN203465800U (zh) 多功能防盗监控装置
CN106408705A (zh) 一种公共资源存物箱控制系统
KR20110031056A (ko) 실시간 화상 송출기 일체형 보안 조명등
FI85920B (fi) Kombinerat alarm-, saekerhets- och raeddnings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