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735B1 - 소형 자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자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735B1
KR102614735B1 KR1020220003199A KR20220003199A KR102614735B1 KR 102614735 B1 KR102614735 B1 KR 102614735B1 KR 1020220003199 A KR1020220003199 A KR 1020220003199A KR 20220003199 A KR20220003199 A KR 20220003199A KR 102614735 B1 KR102614735 B1 KR 102614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guid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7963A (ko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이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호 filed Critical 이강호
Priority to KR102022000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735B1/ko
Publication of KR2023010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를 분출시키도록 된 자동소화장치로서,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되는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에 체결되어 소화 약제를 안내하는 중공의 안내헤드와, 상기 안내헤드에 체결되고 상기 안내헤드에서 소화 약제를 전달받아 외부로 분출시키는 헤드연결유닛과, 상기 안내헤드의 상부에 마련되어, 소화 약제가 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과, 상기 헤드연결유닛에 체결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차단막을 절단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소화 약제를 상기 분출관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져,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에 의해 소화 약제가 분출되도록 구성하여 자동소화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되며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를 분출시키는 과정에서 부품간 충돌이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형 자동소화장치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valve control structure}
본 발명은 소형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소화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되며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를 분출시키는 과정에서 부품간 충돌이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소형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이고 허용 가능한 정도를 초과하여 주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 열적 트리거 부재들(trigger element)에 의해 트리거링되어 화재의 소화 또는 소방(fire-protection)을 위해 소화제를 방출하는 소화 장치들 또는 소방장비들을 제공하는 점은 이미 오래전부터 공지된 바 있다. 상기 장치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대면적의 구역의 보호를 위해 특히 건물들의 내부 공간들, 예컨대 사무실 공간들, 생활공간들, 지붕으로 덮인 차고들 등에서 스프링클러 시스템들의 형태로 공지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오래전부터, 상대적으로 더 작게 치수 설계된 공간들 및 용적들의 보호를 위해 그에 상응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를 사용하고자 하는 고려 및 접근법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DE 10 2009 023 422 A1은 하우징 내에 끼워진 전기 구조 컴포넌트를 기재하고 있으며, 상기 전기 구조 컴포넌트는 한 실시예에서 차량 내에 배치되는 전기 독서등(electric reading light)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독서등의 경우, 상기 전기 컴포넌트의 특별한 화재 위험 때문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소화제의 방출을 통해 소화하거나 방지하기에 적합한 소형화된 소화 장치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소화장치의 트리거링을 위해, 예컨대 바이메탈 또는 메모리 메탈일 수 있는 열 센서가 제안되었다. 상기 센서 컴포넌트들의 장점으로서 여기서는 주변 온도를 수동적으로(passively), 특히 무전류 상태에서 모니터링하는 것을가능하게 하는 가능성이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DE 10 2009 023 422 A1에 기재된 소형 소화 장치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그 유형 및 방식의 더 정확한 기재내용은 위 독일 공보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조밀하게 범위 한정된 공간들 중 화재 위험이 있는 영역들에서 국소적으로 집중된 소화 능력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추가 예시는 DE 10 2011 087 608 B3에 기재되어 있다. 이 독일 공보에는, 수동형 소화 시스템(passive extinguishing system)을 구비한 세탁물 건조기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독일 공보에서 제안되는 수동형 소화 시스템의 경우, 소화약제 저장탱크가 중앙에 배치되는 용기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 용기로부터 소화약제 라인들이, 민감하고 화재 위험이 있는 여러 지점으로 연결된다. 상기 소화약제 라인들은 열적 트리거 밸브들로 폐쇄되며, 그럼으로써 민감한 지점들 중 어느 한 지점에서 화재가 있는 경우에, 그 해당 지점의 밸브가 개방되고, 소화제는 중앙에 배치된 용기로부터 할당된 소화약제 라인을 경유하여 가능한 화재원으로 공급되어 이 화재원으로 방출될 수 있다. 열적 트리거 밸브들의 열적 트리거 부재들에 대해 상기 독일 공보에서는 이른바 열 전구(thermo-bulb)가 예시되어 있고, 이런 열 전구는 열적 트리거 액으로 충전되어 양측에서 폐쇄된 관형 유리 용기이며, 열적 트리거 액은, 사전 설정된 트리거링 온도에 도달하거나 트리거링 온도를 초과할 때, 형성된 압력을 통해 유리 용기의 벽부가 파열되게 하는 방식으로 팽창되며, 그에 따라 열적 트리거 부재를 파괴하고 밸브의 개방을 유발한다.
상기와 같이 특정하게 그에 상응하게 범위 한정되고 증가된 화재 위험에 노출되는 공간에 구비되어 이 공간이 보호될 수 있게 하는 소형화된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재를 진압하도록 된 소형화된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시 내부에 압축된 스프링이 작동하여 탱크의 차단막을 커팅함으로써, 탱크의 소화약제를 분출시키게 되는데, 소화약제를 분출시키기 위한 내부구조가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압축된 스프링에 의해 커팅이 이루어지므로 마찰이나 걸림에 따른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실용신안공보 제1997-06853호(1997.07.09. 공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018호(2005.11.04. 공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4977호(2016.12.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에 의해 소화 약제가 분출되도록 구성하여 자동소화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되며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를 분출시키는 과정에서 부품간 충돌이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소형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를 분출시키도록 된 자동소화장치로서,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되는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에 체결되어 소화 약제를 안내하는 중공의 안내헤드와, 상기 안내헤드에 체결되고 상기 안내헤드에서 소화 약제를 전달받아 외부로 분출시키는 헤드연결유닛과, 상기 안내헤드의 상부에 마련되어, 소화 약제가 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과, 상기 헤드연결유닛에 체결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차단막을 절단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소화 약제를 상기 분출관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연결유닛은 상기 안내헤드에서 소화 약제를 전달받도록 안내홀이 형성되고, 내면에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안내홀과 연통되도록 분출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연결유닛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헤드 링이 더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헤드 커팅기를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안내헤드에 끼움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차단막을 절단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소화 약제를 분출시키는 헤드커팅기와, 상기 헤드커팅기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커팅기에는 상기 차단막을 절단하도록 절단샤프트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샤프트의 단부에는 소화 약제를 상기 분출관으로 안내하도록 유도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열감지센서와 제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열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소화 약제가 분출관을 통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소형 자동소화장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에 의해 소화 약제가 분출되도록 구성하여 자동소화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인 소형 자동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가 분출되는 경로 상에 장애물이 최소화됨으로써, 소화 약제가 더욱 효율적으로 분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소형 자동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를 분출시키는 과정에서 부품간 충돌이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안내헤드와 헤드연결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안내헤드와 헤드연결유닛 및 헤드커팅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헤드연결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헤드연결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안내헤드와 헤드연결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안내헤드와 헤드연결유닛 및 헤드커팅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헤드연결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헤드연결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소형 자동소화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자동소화장치라 명명함)는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를 분출시키도록 된 자동소화장치(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자동소화장치(10)는 탱크본체(20)와 안내헤드(30)와 헤드연결유닛(40)과 차단막(50)과 하우징(60)과 구동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탱크본체(20)는 내부에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된다.
상기 탱크본체(20)에는 일단에 상기 소화 약제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관구조의 입구가 마련되며, 입구의 외주연에 나사부가 마련된다.
상기 탱크본체(20)에 저장되는 소화 약제는 펜타플루오르에탄(HFC-125), 핵사플루오르프로판(HFC-227ea), 노벡1230(NOVEC-123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다양한 소화 약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20)의 재질은 소화 약제가 가압 된 상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내강압연 강관 및 강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정압력을 견딜 수 있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안내헤드(30)는 상기 탱크본체(20)에 체결되어 소화 약제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안내헤드(30)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의 내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탱크의 입구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탈착가능하게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안내헤드(30)는 상기 탱크본체(20)와 상기 헤드연결유닛(40)을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헤드연결유닛(40)은 상기 안내헤드(30)의 상부를 감싸면서 하단이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기 안내헤드(30)에서 소화 약제를 전달받아 외부로 분출시키게 된다.
상기 헤드연결유닛(40)은 상기 안내헤드(30)에서 소화 약제를 전달받도록 안내홀(41)이 형성되고, 내면에 걸림턱(42)이 마련되며 외면에는 상기 안내홀(41)과 연통되도록 분출관(4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2)은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42)과 상기 분출관(43)은 상기 헤드연결유닛(40)에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분출관(43)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헤드연결유닛(40)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42)의 내면을 통해 상기 안내홀(41)과 연통되도록 된다.
이때, 상기 헤드연결유닛(40)에는 상기 걸림턱(42)에 걸림되도록 헤드 링(44)이 더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70)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헤드 커팅기(7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된다.
상기 헤드 링(44)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상기 헤드 커팅기(71)가 이동시 탄성에 의해 지지하게 되며,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헤드 링(44)은 상기 걸림턱(42)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턱(42)의 상면에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안내헤드(30)의 상부를 감싸면서 밀폐링을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헤드연결유닛(40)을 상기 안내헤드(30)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안내헤드(30)의 상부와 상기 헤드연결유닛(40)의 하부 사이에 밀폐링을 배치시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연결유닛(40)에 형성되는 상기 분출관(43)의 내경을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분출되는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막(50)은 상기 안내헤드(30)의 상부에 마련되어, 소화 약제가 분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차단막(50)은 박판의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차단막(50)은 상기 안내헤드(30)의 상부에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42)의 저면과 상기 안내헤드(30) 사이에서 압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50)과 상기 안내헤드(30)의 상부는 상기 헤드연결유닛(40)에 형성되는 걸림턱(42)의 저면에 걸림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60)은 상기 헤드연결유닛(40)의 상부에 나사체결 또는 부착되어 고정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60)의 작동공간에는 구동부(70)와 구동부(72)가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6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내부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불투명재질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하우징(60)에 마련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차단막(50)을 절단하여 상기 탱크본체(20)의 소화 약제를 상기 분출관(43)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하우징(6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안내헤드(30)에 끼움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차단막(50)을 절단하여 상기 탱크본체(20)의 소화 약제를 분출시키는 헤드커팅기(71)와, 상기 헤드커팅기(7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72)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커팅기(71)에는 상기 차단막(50)을 절단하도록 절단샤프트(711)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샤프트(711)의 단부에는 소화 약제를 상기 분출관(43)으로 안내하도록 유도경사면(71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절단샤프트(711)를 상기 헤드커팅기(71)의 하부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단샤프트(711)를 하단부는 상기 걸림턱(42)에 끼움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유도경사면(712)은 상기 안내홀(41)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상기 분출관(43)을 바라보도록 형성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구동부(72)가 상기 헤드커팅기(71) 및 상기 절단샤프트(711)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절단샤프트(711)의 하단부로 상기 차단막(50)의 일부를 절단시키면 내부 압력에 의해 소화 약제가 상기 차단막(50)을 관통한 후 상기 유도경사면(712)에 안내되면서 상기 분출관(43)을 통해 외부로 분출하게 된다.
상기 유도경사면(712)은 도면상 상향으로 갈수록 상기 분출관(43)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절단샤프트(711)를 하단부에 상기 유도경사면(712)에 의해 날이 형성되어, 효과적으로 상기 차단막(50)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단샤프트(711)의 하단부에는 상기 차단막(50)을 타공하거나 절단하도록 별도의 절단날을 일체로 더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헤드커팅기(71)의 하부는 도면에서와 같이 원뿔구조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헤드 링(44)에 끼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72)는 전자 밸브인 솔레노이드밸드(solenoid valve)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6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드의 이송축에 상기 헤드커팅기(71)가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에 의해 상기 헤드커팅기(71)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차단막(50)을 절단하거나 타공시키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 구동부(72)가 실린더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린더의 축에 상기 헤드커팅기(71)의 상단을 나사체결하여,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헤드커팅기(71)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72)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및 실린더 이외에 전기적 신호에 의해 축을 구동시키는 기기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0)에는 열감지센서(61)와 제어부(62)가 마련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열감지센서(61)가 열기를 감지한 후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62)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62)는 상기 구동부(72)에 구동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되도록 제어 함으로써, 상기 구동부(72)가 상기 헤드 커팅기(71)를 이동시켜 차단막(50)을 절단하여 상기 탱크본체(20)의 소화 약제가 분출관(43)을 통해 분출되도록 한다.
상기 열감지센서(61)는 상기 하우징(60)의 외면에 고정시켜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헤드 링(44)이 유리벌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70)는 솔레노이드밸브(72) 대신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벌브 형태의 헤드 링(44)은 화재 발생 시 열에 의해 파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링(4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커팅기(71)의 절단샤프트(711)가 내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걸림턱(42)에 지지될 수 있는 너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헤드 링(44)은 헤드커팅기(71)의 절단샤트프(711)를 내입시키면서도 걸림턱(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만, 화재 발생 전 헤드커팅기(71)를 지지하면서 화재 발생 후 에는 헤드커팅기(71)를 하향 이동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유리벌브 형태의 헤드 링(44)이 파손되어 스프링에 의해 압력을 받던 헤드커팅기(71)가 하향 이동하여 차단막(50)을 절단함으로써 소화 약제가 분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소형 자동소화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과정에서 도입된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 분출 경로 상에 장애물이 최소화되어 소화 약제 분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자동소화장치
20 : 탱크본체
30 : 안내헤드
40 : 헤드연결유닛
41 : 안내홀
42 : 걸림턱
43 : 분출관
44 : 헤드 링
50 : 차단막
60 : 하우징
61 : 열감지센서
62 : 제어부
70 : 구동부
71 : 헤드커팅기
711 : 절단샤프트
712 : 유도경사면
72 : 솔레노이드밸브

Claims (6)

  1.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를 분출시키도록 된 자동소화장치로서,
    압축된 소화 약제가 저장되는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에 체결되어 소화 약제를 안내하는 중공의 안내헤드;
    상기 안내헤드에 체결되고 상기 안내헤드에서 소화 약제를 전달받아 외부로 분출시키는 헤드연결유닛;
    상기 안내헤드의 상부에 마련되어, 소화 약제가 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
    상기 헤드연결유닛에 체결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연결유닛은 상기 안내헤드에서 소화 약제를 전달받도록 안내홀이 형성되고, 내면에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안내홀과 연통되도록 분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차단막을 절단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소화 약제를 상기 분출관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연결유닛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헤드 링이 더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헤드 커팅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안내헤드에 끼움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차단막을 절단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소화 약제를 분출시키는 헤드커팅기와 상기 헤드커팅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커팅기에는 상기 차단막을 절단하도록 절단샤프트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샤프트의 단부에는 소화 약제를 상기 분출관으로 안내하도록 유도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 링이 유리벌브 형태로 구성되되, 화재 발생 시 열에 의해 파손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헤드 링은 상기 절단샤프트가 내입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지지될 수 있는 너비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절단샤프트를 내입시키면서도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며, 화재 발생 전에는 상기 헤드커팅기를 지지하면서 화재 발생 후에는 상기 헤드커팅기를 하향 이동 시키며,
    상기 유도경사면에 의해 상기 소화 약제가 상기 안내헤드로부터 상기 분출관으로 안내되며,
    상기 안내홀과 연통되는 상기 분출관이 상기 헤드커팅기를 하향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소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열감지센서와 제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열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소화 약제가 분출관을 통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소화장치.
KR1020220003199A 2022-01-10 2022-01-10 소형 자동소화장치 KR102614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199A KR102614735B1 (ko) 2022-01-10 2022-01-10 소형 자동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199A KR102614735B1 (ko) 2022-01-10 2022-01-10 소형 자동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963A KR20230107963A (ko) 2023-07-18
KR102614735B1 true KR102614735B1 (ko) 2023-12-14

Family

ID=8742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199A KR102614735B1 (ko) 2022-01-10 2022-01-10 소형 자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7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874B1 (ko) * 2017-08-30 2018-09-21 전길숙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853A (ko) 1995-07-22 1997-02-21 김태구 자동차의 흡 . 배기펌프장치
KR200400018Y1 (ko) 2005-08-04 2005-11-04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DE202014101880U1 (de) 2014-04-22 2014-05-13 Job Lizenz Gmbh & Co Kg Kompakte Miniatur-Feuerlösch- bzw. Brandschutzeinrichtung
KR102020504B1 (ko) * 2017-12-19 2019-09-10 주식회사 포스코 소화약제 방출제어장치 및 이를 갖춘 자동소화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874B1 (ko) * 2017-08-30 2018-09-21 전길숙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963A (ko)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561B2 (en) Vacuum dry sprinkler system containing a sprinkler head with expulsion assembly
KR102035895B1 (ko) 콤팩트한 소형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ES2442005T3 (es) Válvula de descarga de simple efecto
WO2009145661A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с управляемым пуском
JP5574342B2 (ja) 非電源無人消火装置
ES2676796T3 (es) Sistema de supresión y aislamiento
JP3792720B2 (ja) 消火液による消火装置
KR102614735B1 (ko) 소형 자동소화장치
US6976544B2 (en) Sprinkler
KR20040098747A (ko) 소화기의 자동 소화 시스템
AU2002345115A1 (en) Sprinkler
US6003609A (en) Fire safety device
JP3807706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CN113577621B (zh) 启动装置和灭火设备
CN213220677U (zh) 灭火系统
KR102670581B1 (ko)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CN214344087U (zh) 灭火装置
CN214318949U (zh) 灭火装置
KR102056472B1 (ko)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WO2004080541A1 (ja) 自動消火装置
JP2022190720A (ja) 狭隘領域に設置可能な自動消火装置
CN209725337U (zh) 一种容器阀
WO2003043700A1 (fr) Extincteur automatique
JP2009291282A (ja) 消火ガス噴射器
RU80345U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с управляемым пуск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