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022A -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022A
KR20160004022A KR1020140082288A KR20140082288A KR20160004022A KR 20160004022 A KR20160004022 A KR 20160004022A KR 1020140082288 A KR1020140082288 A KR 1020140082288A KR 20140082288 A KR20140082288 A KR 20140082288A KR 20160004022 A KR20160004022 A KR 20160004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emperature value
unit
fire extinguish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231B1 (ko
Inventor
김영
Original Assignee
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 filed Critical 김영
Priority to KR1020140082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2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가 사용되는 실내 일측에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일정 시간대별로 주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검출되는 일정 시간대별 온도값이 저장되는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온도값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한계온도값을 설정하는 온도설정 제어부와, 상기 후드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검출된 온도값이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에서 설정된 한계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에 의해 가동되는 소화 구동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대별로 주방 후드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소화액이 분사되는 최적의 한계온도값을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며, 임의 온도값에 의해 소화액이 불필요하게 분사되지 않도록 하여 이용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간대별 주변 온도 이력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에서 별도로 관리함에 의해, 화재 발생시 화재원인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해 줄 수 있어 이용범위가 넓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COMMERCIAL KITCHEN}
본 발명은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대별로 주방 후드의 주변온도를 감지하여 소화액이 분사되는 최적의 한계온도값을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화재감지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시간대별 주변 온도 이력 데이터를 별도로 관리자 단말기에서 관리하도록 하여, 화재 발생 예측 및 예방, 화재발생시 화재원인에 대한 분석 및 확인이 가능한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주방 또는 상업용 주방의 조리대에서는 음식을 조리함에 따라 열 뿐만 아니라,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오염물질은 열에 의하여 부유하여 주방 또는 실내 전체에 확산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조리대의 상측에는 배기후드가 설치되고 그 외측으로 덕트가 연결되어 팬을 운전함으로써, 조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주방은 상시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상업용 주방에서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 상부에 배치되는 배기후드는 장시간에 걸친 음식 조리로 인해 후드 내측면에 기름때가 부착되는데, 평상시 이러한 기름때를 제거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하여 가열도구 자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후드 내측면의 기름때에 의해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후드 내측에서 발생된 화재는 기름때에 의해 급속하게 화재가 커지며, 특히 배기덕트를 통해 다른 건물로 화재가 옮겨가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방설비에 화재진압 설비를 부설하여 화재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a)는 주방설비에 화재진압용 배관설비를 추가하여 화재발생시 배관을 통해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화재감지 퓨즈를 사용하여 퓨즈가 일정온도 이상에서 녹게 되면, 단락에 의해 소화액이 자동적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그러나 화재발생 온도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으며, 퓨즈 주변의 온도상승만으로 소화액이 분사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b)에 도시된 도면은 모니터 화면을 통해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온도를 설정할 수 있지만, 관리자의 임의적인 판단에 의해 한계온도값이 설정되는 것으로 부정확하여 종래와 동일한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주변 온도를 별도로 센싱하는 것이 아니어서 화재발생시 화재발생 시점과 화재발생 원인 등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시간대별로 주변온도를 감지하여, 이러한 온도값에 기초하여 소화액이 분사되는 최적의 온도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시간대별 주변 온도 이력 데이터를 별도로 관리자 단말기에서 관리하도록 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원인에 대한 분석 및 확인이 가능한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4636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대별로 주방 후드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소화액이 분사되는 최적의 한계온도값을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간대별 주변 온도 이력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에서 별도로 관리하도록 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원인에 대한 분석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업용 주방화재 발생을 화재발생 가능 단계와 실제 화재발생 단계로 인식하여 각 단계별로 소화시스템을 다르게 구동시키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가 사용되는 실내 일측에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일정 시간대별로 주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검출되는 일정 시간대별 온도값이 저장되는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온도값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한계온도값을 설정하는 온도설정 제어부와, 상기 후드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검출된 온도값이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에서 설정된 한계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에 의해 가동되는 소화 구동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 상부에 배치되는 후드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온도센서와, 상기 후드 상부와 연통되는 배기덕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온도센서와, 상기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가 사용되는 실내 일측벽에 설치되는 제 3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소화 구동부는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열도구로 공급되는 가스공급관과 연결되는 가스밸브를 개폐하는 가스 차단부와,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후드 일측에 장착되는 소화노즐을 개폐하는 노즐 개폐부와,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 내부 댐퍼를 개폐하는 댐퍼 개폐부와,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열도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가스 차단부 또는 노즐 개폐부는 상기 제 1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댐퍼 개폐부는 상기 제 2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가스 차단부는 상기 제 3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노즐 개폐부는 상기 제 1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댐퍼 개폐부는 상기 제 2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의해 제어된다.
더욱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를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에서 설정되는 한계온도값 정보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온도값 정보에 임의의 보정 온도값이 보상된 1차 한계온도값 영역정보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온도값 정보중 최대 온도값 정보에 임의의 보정 온도값이 보상된 2차 한계온도값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재 온도값과 상기 1차 한계온도값 영역정보 또는 상기 2차 한계온도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소화 구동부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1차 한계온도값 영역정보 온도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에서 상기 가스 차단부 또는 상기 전원 차단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2차 한계온도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에서 상기 노즐 개폐부 또는 상기 댐퍼 개폐부를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대별로 주방 후드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소화액이 분사되는 최적의 한계온도값을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며, 임의 온도값에 의해 소화액이 불필요하게 분사되지 않도록 하고, 화재발생을 각 단계별로 가스 차단과 소화액 분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소화액 분사를 막아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간대별 주변 온도 이력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에서 별도로 관리함에 의해, 화재 발생시 화재원인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해 줄 수 있어 시스템 이용범위가 넓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의 주요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단말장치의 초기 메인출력화면이 표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댁내 단말장치의 온도값 설정모드 상태에서의 출력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온도값 정보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시간에 따른 실내 온도변화값과 그에 따른 한계온도값이 설정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1차, 2차 한계온도값 설정에 따른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의 주요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은 일반 가정의 주방이나, 식당 등의 영업시설내의 대형주방에서 사용되는 음식물 가열도구의 열 또는가스 누설에 의해 발생되는 화재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가 사용되는 실내 일측에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일정 시간대별로 주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부(10)와, 온도감지부(10)에서 검출되는 일정 시간대별 온도값이 저장되는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20)와,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한계온도값을 설정하는 온도설정 제어부(30) 및 온도감지부(10)에서 검출된 온도값이 온도설정 제어부(30)에서 설정된 한계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온도설정 제어부(30)에 의해 가동되는 소화 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도감지부(10)는 온도센서가 후드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후드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도구에 의해 발생되는 주변 열기를 검출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지부(10)는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 상부에 배치되는 후드 하단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온도센서(11)와, 후드 상부에 후드와 연통되는 배기덕트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온도센서(12)와,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가 사용되는 실내 일측벽에 설치되는 제 3 온도센서(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 1,2,3 온도센서(11,12,13)는 각각 주변 온도를 센싱하여 개별적으로 소화 구동부(40)를 제어하도록 한다.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20)는 온도감지부(10)의 이력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제 1,2,3 온도센서(11,12,13) 각각 별도 데이터로 저장된다.
온도설정 제어부(30)는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20)의 데이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온도값 정보중 일정 시간대별 최저값, 최대값을 검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계온도값을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한계온도값은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온도대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온도값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주방 내부의 상황에 따라 상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한계온도값 설정방법은 후술될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의 이용단계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소화 구동부(40)는 온도감지부(10)에서 검출되는 온도값과 온도설정 제어부(30)에서 설정된 한계온도값을 비교하여, 온도감지부(10)에서 검출된 온도값이 한계온도값보다 더 높을 경우 온도설정 제어부(30)의 제어명령에 의해 가동된다.
본 발명에서의 소화 구동부(40)는 주방 가열도구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가스 차단부(41)와, 후드 일측에 설치되는 노즐 개폐부(42) 및 덕트 내부를 막는 댐퍼 개폐부(43)와 주방 가열도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스 차단부(41)는 온도설정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가스렌지와 같은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로 가스를 공급 또는 공급해제할 수 있는 가스밸브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노즐 개폐부(42)는 온도설정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후드 일측, 도면에서와 같이 후드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소화 노즐의 개폐를 담당하게 된다.
도 3에서는 각 후드마다 개별적으로 소화 노즐이 장착되어 있으며, 노즐의 개폐방식은 직렬 병렬 방식으로 다양하게 개폐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될 시스템 사용방법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댐퍼 개폐부(43)는 온도설정 제어부(30)의 제어명령에 의해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댐퍼의 개폐를 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댐퍼 개폐부(43)는 화재발생으로 인해 후드 내측으로 인입되는 뜨거운 열기가 덕트와 연결된 다른 공간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댐퍼 개폐부(43)는 배기덕트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온도센서(12)에 감지된 온도값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도록 하며, 가스 차단부(41) 또는 노즐 개폐부(42)는 제 1 온도센서(11)에 의해 감지된 온도값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차단부(44)는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의 연료공급이 가스가 아닌 전기로 공급될 경우, 온도설정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가열도구로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온도설정 제어부(30)는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50)와 연결되어 상시 온도설정 제어부(30)로 전송되는 온도이력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온도설정 제어부(30)의 한계온도값 설정 또는 소화 구동부(40)의 제어를 원격으로 관리자 단말기(50)에서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기(50)로 전송되는 온도이력 정보 데이터는 추후 화재발생시 화재발생 시점에 대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은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내에 설치되어, 온도설정 제어부(30)의 데이터가 입력 또는 출력되는 댁내 단말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의 이용관계를 댁내 단말장치(100)의 출력화면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단말장치의 초기 메인출력화면이 표시된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출력화면 상단부에는 날짜와 현재 온도정보가 표시되는 표시창(4-1)이 나타나며, 중앙부에는 온도감지부(10)에서 검출된 온도값을 저장, 한계온도값 입력 및 노즐 개폐부(42)의 동작 등을 별도로 제어하는 온도값 설정모드 아이콘(4-2)과, 댐퍼 차단부의 작동을 개별로 제어하는 댐퍼작동 설정모드 아이콘(4-3)과, 가스 차단부(41)의 작동을 개별로 제어할 수 있는 가스차단 설정모드 아이콘(4-4) 등의 설정관련 아이콘이 위치한다.
그리고 하단부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후드의 각 섹션마다 현재온도를 별도로 표시하는 표시창(4-5)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후드 일측에서 제 1 온도센서(11)에 의해 측정되는 6개의 온도값이 섹션마다 표시되며, 제 2 온도센서(12)에 의해 측정되는 덕트부분의 온도값 정보가 화면상의 맨 오른쪽에 출력된다.
아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온도값 설정모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댁내 단말장치의 온도값 설정모드 상태에서의 출력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화면에서와 같이 제 1 온도센서(11)에 해당하는 1 ~ 6 섹션의 온도센서 활성화상태창(5-1)이 나타나며, 하단에는 제 2 온도센서(12)에 해당하는 덕트 섹션의 활성화상태창(5-2)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온도센서 활성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온도센서를 비활성화시킬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온도센서를 비활성화시키면, 온도감지부(10)에서 온도이력 데이터가 더 이상 전송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하단부의 온도값 표시창(5-3)은 온도설정 제어부(30)의 한계온도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온도이력정보에 따라 한계온도값이 온도설정 제어부(30)를 통해 자동적으로 계산되어 표출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다.
특히, 도면에서는 한계온도값이 2개로 구분되어 표시되는데, 이는 온도설정 제어부(30)에서 한계온도값을 제 1 한계온도값(5-3-1)과 제 1 한계온도값(5-3-1)보다 일정값 이상 높은 제 2 한계온도값(5-3-2) 두 가지로 설정되도록 한다.
온도감지부(10)에서 감지된 주변 온도값이 제 1 한계온도값(5-3-1) 이상으로 판단되면, 온도설정 제어부(30)에서 가스 차단부(41)를 작동시켜 더 이상 조리용 가열도구에 가스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며, 주변 온도값이 제 2 한계온도값(5-3-2) 이상으로 판단되면 온도설정 제어부(30)에서 노즐 개폐부(42)를 작동시켜 소화노즐을 통해 소화약재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화재감지 인식을 2단계로 하여 제 1 단계에서는 예비화재로 인식하여 불필요하게 소화약재가 분사되지 않도록 하며, 가스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주변 온도가 더 상승하게 되면 제 2단계에서 화재발생으로 인식하여 소화노즐을 개폐하여 약재가 분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하단부에 한계온도값 입력창이 좌우측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좌측에는 후드 주변의 제 1 온도센서(11)에서 측정되는 온도값과 비교될 한계온도값이며, 우측에는 덕트 내부의 제 2 온도센서(12)에서 측정되는 온도값과 비교될 한계온도값 정보이다.
아래에서는 상기의 한계온도값 설정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온도값 정보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에 도시된 정보는 음식점의 주방에서 5초 단위로 온도감지부(10)에서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20)에 온도값을 전송한 이력 테이블 정보이다.
테이블을 살펴보면, 오전 8시부터 11시까지는 온도값이 변화없이 10℃를 유지하고 있다가, 11시 00분 05초를 기점으로하여 측정 온도값이 상승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1시 59분 20초를 기점으로 하여 온도값이 다시 떨어져 13시에서는 온도값이 15℃로 일정시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상기의 테이블을 통해 오전 8시에서 오전 11시까지는 식당내에 가열도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후드 주변 온도가 10℃를 유지하고 있다가, 11시 정각부터 음식조리를 시작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와같이 이러한 온도값 이력 테이블을 통해 주방 상황을 예측할 수 있어, 관련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50)로 전송하여 추후 화재사고 발생시 화재발생 원인을 찾기 위한 주요 증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테이블에서 오전 시간대에서의 최대온도값은 92℃로 나타나며, 오후 시간대에는 18시 59분 20초에 105℃로 나타난다.
이러한 일자별 데이터를 통해 한계온도값을 설정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전에 화재를 예비하도록 하는 1차 한계온도값 정보와, 본 화재발생에 따른 2차 한계온도값 정보 두가지의 경우로 한계치를 설정하여 화재방지 및 화재진압 프로세스를 구비하여 화재를 미연에 대비하도록 하며,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의 테이블을 통해 측정된 시간대별 온도값에 임의의 보정 온도값으로 보상된 1차 한계온도값 영역을 설정하고, 산출된 온도값중 최대치의 온도값을 보상한 2차 한계온도값을 설정하게 된다.
도 7은 시간에 따른 실내 온도변화값과 그에 따른 한계온도값이 설정된 그래프이다.
도면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도 6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일별 온도값 변화가 그래프로 도시되고, 이러한 시간대별 온도값 정보(a)에 임의의 보상온도값을 가감하여 1차 한계온도값 영역정보(b)를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임의의 보상온도값 정보는 일일 측정시간대별 최대 최소온도값을 다 포함하는 영역이거나, 사용자가 평균 온도값 정보에 일정 수치의 한계치를 더하여 한계온도값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8시 00분 정각의 온도값은 10℃이고, 동시간대 다른 날짜의 온도값 정보중 최저 온도값(9℃)과 최고 온도값(12℃)을 측정하여 이 두 영역 내부를 1차 한계온도값 영역으로 설정하게 된다.
즉, 8시에서의 1차 한계온도값 영역은 9℃ ~ 12℃에 해당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직접 보정치를 임의로 선택하여 한계온도값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별 온도값중 최대측정 온도값은 105℃로 나타나며 2차 한계온도값 정보(c)는 일별 또는 일정기간동안의 최대측정 온도값에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보정 온도값을 더하여 한계온도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되는 1차, 2차 한계온도값 정보(a,b)는 실내 측정온도를 각 한계온도값과 비교하여 이에 적절한 소화 구동부(40)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1차 한계온도값과 2차 한계온도값은 사용자가 매번 직접 지정하지 않더라도 온도 감지부(10)에서 측정되는 온도값에 의해 상시 변경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실내의 온도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도 8을 통해 상기의 1차, 2차 한계온도값 설정에 따른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1차, 2차 한계온도값 설정에 따른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평상시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가 사용되는 실내의 온도를 온도 감지부(10)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게 된다(S810).
그리고 온도 감지부(10)에서 센싱된 온도값과 기설정된 1차 한계온도값을 온도설정 제어부(30)에서 비교하여 센싱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1차 한계온도값보다 낮으면 온도 감지부(10)에서 계속 실내 온도를 센싱하며, 센싱된 온도값이 기설정된 1차 한계온도값보다 높게 판단되면 이를 예비화재 발생신호로 인식하고, 온도설정 제어부(30)에서 화재방지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화재방지 프로세스는 가스 차단부(41) 또는 전원 차단부(44)를 구동시켜 가열도구에 가스 또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S820).
그런 다음, 온도 감지부(10)에서 계속 온도를 센싱하여(S830), 센싱된 온도값이 떨어지지 않고 2차 한계온도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이를 본화재 발생신호로 인식하고, 온도설정 제어부(30)에서 화재진압 프로세서를 수행하도록 한다.
화재진압 프로세스는 노즐 개폐부(42) 또는 댐퍼 개폐부(43)를 구동시켜 가열도구에 소화액이 분사되거나 필요에 따라 배기덕트 내부 댐퍼를 막아 더이상 화염이 덕트를 통해 다른 장소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온도설정 제어부(30)에서 한계온도값을 두 가지로 설정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며, 한계온도값 이상으로 센싱될 경우 경고신호를 관리자 단말기(50)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원격지에서 실내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경고신호 이벤트는 시간정보와 함께 별도로 댁내 단말장치(100)에 저장되도록 하여 사건 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자면, 1차 한계온도값 이상 센싱되어 관련 구동신호를 소화 구동부(40)로 전송했음에도 불구하고 소화 구동부가 미작동되었다거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온도감지부 11 : 제 1 온도센서
12 : 제 2 온도센서 13 : 제 3 온도센서
20 :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 30 : 온도설정 제어부
40 : 소화 구동부 41 : 가스 차단부
42 : 노즐 개폐부 43 : 댐퍼 개폐부
44 : 전원 차단부 50 : 관리자 단말기
100 : 댁내 단말장치

Claims (8)

  1.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가 사용되는 실내 일측에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일정 시간대별로 주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검출되는 일정 시간대별 온도값이 저장되는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온도값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한계온도값을 설정하는 온도설정 제어부와;
    상기 후드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검출된 온도값이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에서 설정된 한계온도값보다 높을 경우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에 의해 가동되는 소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 상부에 배치되는 후드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온도센서와,
    상기 후드 상부와 연통되는 배기덕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온도센서와,
    상기 음식 조리용 가열도구가 사용되는 실내 일측벽에 설치되는 제 3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구동부는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열도구로 공급되는 가스공급관과 연결되는 가스밸브를 개폐하는 가스 차단부와,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후드 일측에 장착되는 소화노즐을 개폐하는 노즐 개폐부와,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 내부 댐퍼를 개폐하는 댐퍼 개폐부와,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열도구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4. 제 2항 내지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차단부 또는 노즐 개폐부는 상기 제 1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댐퍼 개폐부는 상기 제 2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5. 제 2항 내지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차단부는 상기 제 3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노즐 개폐부는 상기 제 1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댐퍼 개폐부는 상기 제 2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이력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를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에서 설정되는 한계온도값 정보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온도값 정보에 임의의 보정 온도값이 보상된 1차 한계온도값 영역정보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온도값 정보중 최대 온도값 정보에 임의의 보정 온도값이 보상된 2차 한계온도값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재 온도값과 상기 1차 한계온도값 영역정보 또는 상기 2차 한계온도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소화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1차 한계온도값 영역정보 온도값 이상이면,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는 화재방지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2차 한계온도값 이상이면, 상기 온도설정 제어부는 화재진압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KR1020140082288A 2014-07-02 2014-07-02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KR101679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288A KR101679231B1 (ko) 2014-07-02 2014-07-02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288A KR101679231B1 (ko) 2014-07-02 2014-07-02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22A true KR20160004022A (ko) 2016-01-12
KR101679231B1 KR101679231B1 (ko) 2016-12-06

Family

ID=5517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288A KR101679231B1 (ko) 2014-07-02 2014-07-02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23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7488A (zh) * 2016-01-29 2016-07-06 南京威翔科技有限公司 智能厨房温度预警装置
KR101714338B1 (ko) * 2016-06-20 2017-03-08 김종석 전기 또는 가스로 인한 주방 화재의 자동 소화 시스템
KR20200117434A (ko) * 2019-04-04 2020-10-14 주식회사 파라텍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KR102172697B1 (ko) * 2019-08-06 2020-11-02 주식회사 디오하베스트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WO2020234826A1 (en) * 2019-05-22 2020-11-26 Tyco Fire Products Lp Fire detection system with a learning mode
KR102189245B1 (ko) * 2020-05-11 2020-12-09 주식회사 태강 창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CN112569512A (zh) * 2021-01-08 2021-03-30 深圳市新厨帮科技有限公司 一种分区控制的厨房自动灭火装置
CN113424287A (zh) * 2018-12-17 2021-09-21 泰科消防产品有限合伙公司 具有高温连接器的火灾检测和抑制系统
GR1010120B (el) * 2021-02-02 2021-11-09 Θωμας Χρυσοστομου Μαλαμιδης Βαλβιδα-κλειστρο με χειρολαβη βανας με ειδικο ελατηριο ενεργοποιησης-λειτουργιας, για αυτοματη ή χειροκινητη ενεργοποιηση του συστηματος
KR20220119808A (ko) *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파라텍 주방자동소화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039B1 (ko) * 2021-02-08 2023-03-23 창신기술 주식회사 Iot 기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원격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679B1 (ko) 2002-10-29 2004-12-29 주식회사 엑타 배기후드의 열감응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423905Y1 (ko) * 2006-05-26 2006-08-11 이기원 후드팬 제어기능을 갖는 자동식 소화장치
JP2010530964A (ja) * 2007-06-13 2010-09-16 オーワイ ハルトン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ダクト油脂付着物検知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69215B1 (ko) * 2012-08-29 2014-03-06 주식회사 맥스포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89541B1 (ko) * 2013-01-10 2014-04-25 (주)한솔하이테크 주방용 화재 방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679B1 (ko) 2002-10-29 2004-12-29 주식회사 엑타 배기후드의 열감응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423905Y1 (ko) * 2006-05-26 2006-08-11 이기원 후드팬 제어기능을 갖는 자동식 소화장치
JP2010530964A (ja) * 2007-06-13 2010-09-16 オーワイ ハルトン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ダクト油脂付着物検知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69215B1 (ko) * 2012-08-29 2014-03-06 주식회사 맥스포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89541B1 (ko) * 2013-01-10 2014-04-25 (주)한솔하이테크 주방용 화재 방지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7488A (zh) * 2016-01-29 2016-07-06 南京威翔科技有限公司 智能厨房温度预警装置
KR101714338B1 (ko) * 2016-06-20 2017-03-08 김종석 전기 또는 가스로 인한 주방 화재의 자동 소화 시스템
CN113424287A (zh) * 2018-12-17 2021-09-21 泰科消防产品有限合伙公司 具有高温连接器的火灾检测和抑制系统
KR20200117434A (ko) * 2019-04-04 2020-10-14 주식회사 파라텍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WO2020234826A1 (en) * 2019-05-22 2020-11-26 Tyco Fire Products Lp Fire detection system with a learning mode
CN114207683A (zh) * 2019-05-22 2022-03-18 泰科消防产品有限合伙公司 具有学习模式的火灾检测系统
KR102172697B1 (ko) * 2019-08-06 2020-11-02 주식회사 디오하베스트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189245B1 (ko) * 2020-05-11 2020-12-09 주식회사 태강 창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CN112569512A (zh) * 2021-01-08 2021-03-30 深圳市新厨帮科技有限公司 一种分区控制的厨房自动灭火装置
GR1010120B (el) * 2021-02-02 2021-11-09 Θωμας Χρυσοστομου Μαλαμιδης Βαλβιδα-κλειστρο με χειρολαβη βανας με ειδικο ελατηριο ενεργοποιησης-λειτουργιας, για αυτοματη ή χειροκινητη ενεργοποιηση του συστηματος
KR20220119808A (ko) *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파라텍 주방자동소화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231B1 (ko)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231B1 (ko)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US10490055B2 (en) Supervision and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poor air quality and fire as well as issuing an alarm of a dangerous condition
KR101714338B1 (ko) 전기 또는 가스로 인한 주방 화재의 자동 소화 시스템
US10344984B2 (en) Safety burner system with automatic shut-off
US6552647B1 (en) Building environment monitor and control system
KR101738830B1 (ko) 가스 렌지의 가스 차단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583193B1 (ko) 가스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차단방법
KR102129479B1 (ko) 가스소화설비 모니터링 및 스마트제어 시스템
KR20130015056A (ko) 화재진압장치
EP2188574A2 (en) Air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911820B1 (ko)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 및 제어방법
CN107233686A (zh) 一种灭火系统防误喷控制方法
US9418528B2 (en) Oven appliance with cavity fire detection
JP2019101948A (ja) 伝導加熱の検知システム及び検知方法
JPH11287453A (ja) 加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170924A (ja) ガスメータ
KR20130098791A (ko)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000650A1 (en) Cooking appliance
US20180084946A1 (en) Outdoor cooker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reacting to over-temperature events
KR200429154Y1 (ko) 자동 소화 장치
KR101363837B1 (ko) 자동식 소화장치의 후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59248A (ko) 자동 소화 시스템
CN110822720B (zh) 一种壁挂炉安全故障的控制方法
KR101584793B1 (ko)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JP4453304B2 (ja) ガス遮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