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215B1 -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215B1
KR101369215B1 KR1020120094956A KR20120094956A KR101369215B1 KR 101369215 B1 KR101369215 B1 KR 101369215B1 KR 1020120094956 A KR1020120094956 A KR 1020120094956A KR 20120094956 A KR20120094956 A KR 20120094956A KR 101369215 B1 KR101369215 B1 KR 101369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sensor monitoring
wirel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일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to KR1020120094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와; 상기 센서 노드와 무선으로 연동되며,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된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 및 처리하는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와;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와 무선으로 연동되며,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집 및 처리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휴대성이 용이하고 센서 노드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설치된 센서 노드로부터 가스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장 내 구조 변화에 따른 유동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감지 시스템에 대한 설치 공간 및 작업장 내 근로자의 활동 공간을 제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WIRELESS SENSOR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활동이 활발해 지면서 다양한 종류와 많은 물질이 사용되고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 공정 내 유독가스 사용의 빈도수가 높아지고 있어 작업자들이 쉽게 유독가스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화재의 우려도 커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환경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각종 공정 내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정 장소에 고정하여 상시 모니터링은 가능하나 설치 장소의 구조 변화에 따른 유동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 및 서버가 유선으로 설치되어 통신 유선 케이블로 인한 설비 시스템에 대한 설치 공간 사용자의 활동 공간을 제약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추가로 가스 경보기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새로운 케이블 구성과 시스템 확장이라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고가의 새로운 설비비용이 소요되므로 신규 장소에 대한 감지기 설치가 기술적으로 큰 제약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면, 맨홀 내 작업의 경우 실제 작업을 위해 작업자 중 누군가가 위험을 무릅쓰고 내부에 들어가 실제 가스 농도를 측정해 보아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쉽게 확장할 수 있고, 이동성이 용이한 무선 기반의 센서 모니터 기술은 기존의 공간적/비용적으로 설치 확장에 대한 기술적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로 중요성이 매우 높은 기술 분야이며 그 개발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이 용이하고 센서 노드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설치된 센서 노드로부터 가스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업장 내 구조 변화에 따른 유동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감지 시스템에 대한 설치 공간 및 작업장 내 근로자의 활동 공간을 제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와; 상기 센서 노드와 무선으로 연동되며,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된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 및 처리하는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와;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와 무선으로 연동되며,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집 및 처리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 노드에는 기체에 포함된 산소 또는 일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는,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유무선 혼합으로 연동된 복수의 센서 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1 통신부로 전송된 센서 노드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정보 처리에 의한 결과를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집 및 처리된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 2 통신부와; 상기 제 1 통신부와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제 2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한 각 구성이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 1 통신부와 연동되는 제 1 안테나와; 상기 제 2 통신부와 연동되는 제 2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된 기체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에 대한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센서라이브러리부와; 상기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을 검색하는 스캐닝부와; 상기 스캐닝부의 검색 결과를 토대로 상기 센서라이브러리부를 참조하여 검색된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을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에 연동시키는 매칭부와; 상기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에서 전송된 정보를 기준화시켜 처리하는 기준부와; 상기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의 선택, 센싱 주기,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으로부터 전송된 정보 및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으로부터 감지된 값이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알람부와;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GPS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2.4GHz 안테나로 마련되며, 상기 제 2 안테나는 CDMA 또는 WLAN 안테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전원공급포트, TCP/IP포트, USB포트, 시리얼포트, 보조저장 장치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전원제어기능을 구비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원제어기능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전원제어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부의 구동 활성화율을 감소시키는 언더클럭킹부와;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를 최대절전모드로 진입시키는 하이버네이트부와;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의 기계적 고장 또는 프로세스의 오류를 감시하는 와치독(Watchdog) 타이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휴대성이 용이하고 센서 노드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설치된 센서 노드로부터 가스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장 내 구조 변화에 따른 유동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감지 시스템에 대한 설치 공간 및 작업장 내 근로자의 활동 공간을 제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이상 상황 발생에 따른 구성 간 데이터 송수신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의 사시도이며,
도 4 (a) 내지 (d)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GUI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이상 상황 발생에 따른 구성 간 데이터 송수신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의 사시도이며, 도 4 (a) 내지 (d)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GUI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200)와; 상기 센서 노드(200)와 무선으로 연동되며, 상기 센서 노드(200)로부터 전송된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 및 처리하는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와;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와 무선으로 연동되며,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로부터 수집 및 처리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관제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는,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유무선 혼합으로 연동된 복수의 센서 노드(200)와 무선 통신하는 제 1 통신부(10)와; 상기 제 1 통신부(10)로 전송된 센서 노드(200)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정보 처리에 의한 결과를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수집 및 처리된 정보를 관제서버(300)로 전송하는 제 2 통신부(40)와; 상기 제 1 통신부(10)와 제어부(20)와 디스플레이부(30)와 제 2 통신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와; 상기 전원공급부(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60)와; 상기한 각 구성이 수용되는 케이스(70)와; 상기 제 1 통신부(10)와 연동되는 제 1 안테나(12)와; 상기 제 2 통신부(40)와 연동되는 제 2 안테나(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통신부(10)는 복수의 센서 노드(200)와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 간의 신호 송수신을 담당하는 구성요소로써, 2.4GHz 안테나로 마련되는 제 1 안테나(12)와 연동되어 복수의 센서 노드(200)와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 1 통신부(10)로 전송된 센서 노드(200)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써, 수집 및 처리된 센서 노드(200)의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관련 정보를 후술할 디스플레이부(30)에 출력시키거나, 관련 정보를 후술할 제 2 통신부(40)를 통해 관제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는, 도 2 에서와 같이, 센서라이브러리부(21)와 스캐닝부(22)와 매칭부(23)와 기준부(24)와 설정부(25)와 저장부(26)와 알람부(27) 및 GPS부(2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라이브러리부(21)는 상기 센서 노드(200)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200)의 집합에 대한 식별정보 및 종류 구성된 네트워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으로,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가 다양한 종류의 센서 노드(200)에 대응되어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관리자의 유, 무선을 통한 업데이트에 따라 범용성이 더욱 증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캐닝부(22)는 상기 센서 노드(200)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200)의 집합을 검색하는 구성으로,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가 위치한 영역에서 감지 영역 내에 존재하고 통신이 가능한 센서 노드(200) 또는 복수의 센서 노드(200)의 집합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매칭부(23)는 상기 스캐닝부(22)의 검색 결과를 토대로 상기 센서라이브러리부(21)를 참조하여 검색된 센서 노드(200)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200)의 집합을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에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제어부(20)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매칭시켜 센서 노드(200)와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에 대한 통신 채널을 형성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작업자의 수동 설정에 따라 선택된 센서 노드(200)와 게이트웨이(100)를 연동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매칭부(23)는 상기 스캐닝부(22)에서 검색된 센서 노드(200)가 센서라이브러리부(21)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해당 신호를 제어부(2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0)를 이에 대한 신호를 제 2 통신부(40)를 통해 관제서버(300)로 전송하여 보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제서버(300)에서 해당 센서 노드(200)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100)에 전송하고 이를 상기 센서라이브러리부(21)에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센서라이브러리부(21)에 센서 노드(200)에 대한 정보가 없다고 하더라도, 무선 통신을 통해 센서라이브러리부(21)의 실시간 업데이트 및 센서 노드(200)와 게이트웨이(100)의 매칭을 구현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기준부(24)는, 상기 센서 노드(200)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200)의 집합에서 전송된 정보를 기준화시켜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써, 실시간으로 수신된 센서 노드(200)의 데이터를 게이트웨이(100)에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시켜 출력시키도록 마련되어 센서 노드(200) 감지에 의한 정밀한 센싱 및 해당 구역에 대한 정확한 상태 정보의 파악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부(25)는 상기 센서 노드(200)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200)의 집합의 선택, 센싱 주기,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디스플레이부(30)의 메뉴 출력에 의해 센서 노드(200)와 게이트웨이(100) 또는 게이트웨이(100)와 관제서버(300) 및 게이트웨이(100) 자체의 다양한 기능들을 설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4 의 (a) 내지 (d) 참조)
또한, 상기 저장부(26)는 상기 센서 노드(200)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200)의 집합으로부터 전송된 정보 및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며, 상기 알람부(27)는 상기 센서 노드(200)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200)의 집합으로부터 감지된 값이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센서 노드(200)에는 기체에 포함된 산소 또는 일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센서 노드(200)로부터 전송된 기체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에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설정에 따라 해당 영역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여러 종류의 센서로서 센서 노드(200)가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되어 도 4 (a) 내지 도 4 (d)에서와 같이, 데이터의 출력 및 설정을 통한 입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 (a)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의 디스플레이부(30) 화면에서 출력되는 GUI의 일반 설정 화면이고, 도 4 (b)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 상에서 출력되는 GUI의 데이터 로그 설정 화면이고, 도 4 (c)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상에서 출력되는 GUI의 통신 방식을 설정하는 화면이고, 도 4 (d)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 상에서 출력되는 GUI의 센서 노드(200)로부터 전송된 정보 처리값을 출력시키는 화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100)는 자체에 디스플레이부(30)를 구비함으로써, 센서 노드(2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집 및 처리하여 관제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은 물론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센서 노드(2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관리의 용이성 및 이상 상황 발생 시, 더욱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통신부(40)는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와 관제서버(300) 간의 신호 송수신을 담당하는 구성요소로써, CDMA 또는 WLAN 안테나로 마련되는 제 2 안테나(42)와 연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는 이상 상황 발생 시(감지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램프, 스피커 등으로 마련되는 알람부(27)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이상 상황 발생을 인식시킴과 동시에 해당 상황을 관제서버(300)로 전송하여 상황 대응 및 지원을 요청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70)에는, 도 3 에서와 같이, 전원공급포트(71), TCP/IP포트(72), USB포트(73), 시리얼포트(74), 보조저장 장치가 삽입되는 슬롯(75)이 형성되어 각종의 외부 전자 기기와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 을 참조하면, 센서 노드(200)가 이상 상황 발생을 감지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인접한 센서 노드(200)를 통해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하고,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는 이에 대해 알람을 경광등 또는 부저를 통해 작업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해당 정보를 관제서버(300)로 송신하게 된다.
이 후, 상황을 접수한 관제서버(300)는 해당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 및 인접한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에 대피유도 명령 및 상황 전파 명령을 내리게되고, 발생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기관에 알려 상황 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20)는 전원제어기능을 구비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원제어기능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전원제어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기능은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제어부(20)의 구동 활성화율을 감소시키는 언더클럭킹부(미도시)를 추가하여 상황에 따라 제어부(20)가 소모하는 전원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00)를 최대절전모드로 진입시키는 하이버네이트부(미도시)를 추가하여 전원소모를 최소화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웨이크업/슬립 기능을 부가하여 게이트웨이(100)가 사용되는 시간 동안만 전원 인가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윤년, 윤달 자동 처리를 위한 리얼 타임 클럭 및 와치독(Watchdog; 시스템이 기계적인 고장으로 중단 상태가 되거나 프로그램의 오류로 무제한의 반복 상태로 들어가는 것을 감시하는 장치) 타이머(미도시)를 구성하여 게이트웨이(100)의 이상에 대한 전원소모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휴대성이 용이하고 센서 노드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설치된 센서 노드로부터 가스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장 내 구조 변화에 따른 유동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감지 시스템에 대한 설치 공간 및 작업장 내 근로자의 활동 공간을 제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산업안전(가스)분야에서 필요한 가스센서(산소, 일산화탄소) 검지기에 Embedded S/W가 탑재된 무선 모듈을 탑재하여 센서에서 감지된 센서 데이터를 무선 모듈을 통하여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면 게이트웨이는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저장 및 광대역망(TCP/IP, WLAN, CDMA)으로 관제서버로 전송하며 설정에 따른 이상상황 발생시 시청각적 알람(부저, 경광등)으로 작업자의 생명과 기업의 재산을 보호하는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통신부 12 : 제 1 안테나
20 : 제어부 21 : 센서라이브러리부
22 : 스캐닝부 23 : 매칭부
24 : 기준부 25 : 설정부
26 : 저장부 27 : 알람부
28 : GPS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제 2 통신부 42 : 제 2 안테나
50 : 전원공급부 60 : 전원제어부
70 : 케이스 71 : 전원공급포트
72 : TCP/IP포트 73 : USB포트
74 : 시리얼포트 75 : 슬롯
100 :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 웨이
200 : 센서 노드 300 : 관제서버

Claims (10)

  1.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와;
    상기 센서 노드와 무선으로 연동되며,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된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 및 처리하는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와;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와 무선으로 연동되며,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집 및 처리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는,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유무선 혼합으로 연동된 복수의 센서 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1 통신부로 전송된 센서 노드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정보 처리에 의한 결과를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집 및 처리된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 2 통신부와;
    상기 제 1 통신부와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제 2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한 각 구성이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 1 통신부와 연동되는 제 1 안테나와;
    상기 제 2 통신부와 연동되는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에 대한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센서라이브러리부와;
    상기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을 검색하는 스캐닝부와;
    상기 스캐닝부의 검색 결과를 토대로 상기 센서라이브러리부를 참조하여 검색된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을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에 연동시키는 매칭부와;
    상기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에서 전송된 정보를 기준화시켜 처리하는 기준부와;
    상기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의 선택, 센싱 주기, 전송 방식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으로부터 전송된 정보 및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센서 노드 또는 네트워크상에 구축된 복수의 센서 노드의 집합으로부터 감지된 값이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알람부와;
    위성신호를 송수신하는 GPS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에는 기체에 포함된 산소 또는 일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된 기체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2.4GHz 안테나로 마련되며, 상기 제 2 안테나는 CDMA 또는 WLAN 안테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전원공급포트, TCP/IP포트, USB포트, 시리얼포트, 보조저장 장치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제어기능을 구비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원제어기능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전원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부의 구동 활성화율을 감소시키는 언더클럭킹부와;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를 최대절전모드로 진입시키는 하이버네이트부와;
    상기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의 기계적 고장 또는 프로세스의 오류를 감시하는 와치독(Watchdog) 타이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20094956A 2012-08-29 2012-08-29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69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956A KR101369215B1 (ko) 2012-08-29 2012-08-29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956A KR101369215B1 (ko) 2012-08-29 2012-08-29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215B1 true KR101369215B1 (ko) 2014-03-06

Family

ID=5064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956A KR101369215B1 (ko) 2012-08-29 2012-08-29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21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22A (ko) * 2014-07-02 2016-01-12 김영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KR101754856B1 (ko) 2015-10-30 2017-07-06 방용기 IoT 기술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형 가스 센서 시스템
KR20180046813A (ko)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CN109491415A (zh) * 2018-12-26 2019-03-19 南京晋秦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可复用、可扩展监控系统及监控方法
KR20190045634A (ko)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아이씨티유바스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이용한 IoT 센서 감시 시스템
KR20190102731A (ko) * 2018-02-27 2019-09-04 (주)엘센 환경케어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과 공기질 개선 방법
KR101983265B1 (ko) 2018-10-10 2019-09-09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64267B1 (ko) * 2021-02-09 2021-06-16 대성에너지 주식회사 도시가스 공급시설의 관리를 위한 지능형 알티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362A (ko) * 2004-12-10 2006-06-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090072430A (ko) * 2007-12-28 2009-07-02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를 위한 휴대형센서
KR20100070467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010575A (ko) * 2010-07-19 2012-02-06 주식회사 파인시스 컬버트내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362A (ko) * 2004-12-10 2006-06-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090072430A (ko) * 2007-12-28 2009-07-02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를 위한 휴대형센서
KR20100070467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010575A (ko) * 2010-07-19 2012-02-06 주식회사 파인시스 컬버트내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22A (ko) * 2014-07-02 2016-01-12 김영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KR101679231B1 (ko) * 2014-07-02 2016-12-06 주식회사 지오시스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KR101754856B1 (ko) 2015-10-30 2017-07-06 방용기 IoT 기술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형 가스 센서 시스템
KR20180046813A (ko)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KR20190045634A (ko)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아이씨티유바스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이용한 IoT 센서 감시 시스템
KR20190102731A (ko) * 2018-02-27 2019-09-04 (주)엘센 환경케어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과 공기질 개선 방법
KR102107240B1 (ko) * 2018-02-27 2020-05-28 (주)엘센 환경케어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과 공기질 개선 방법
KR101983265B1 (ko) 2018-10-10 2019-09-09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09491415A (zh) * 2018-12-26 2019-03-19 南京晋秦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可复用、可扩展监控系统及监控方法
KR102264267B1 (ko) * 2021-02-09 2021-06-16 대성에너지 주식회사 도시가스 공급시설의 관리를 위한 지능형 알티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215B1 (ko)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US1135680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eacon broadcast in response to sensor data
US11586256B2 (en) Server rack for improved data center management
WO2017035928A1 (zh) 智能报警系统及方法
KR102290850B1 (ko) 다중 센서 데이터 수집 전파 장치 및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79996B1 (ko) 유해 가스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451702B1 (ko) 휴대용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KR102271613B1 (ko) Io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KR20190009481A (ko)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설비 상태 추적 기반의 공정 안전 관리 시스템
US20140288671A1 (en) Data collection system, data collection apparatus, data collection system program, and data collection program
KR101473694B1 (ko)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와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632445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 지점 및 대피 경로 모니터링시스템
CN210464555U (zh) 一种基站检测系统
CN102902256A (zh) 基于ZigBee的探伤车间人员安全防护系统
CN202904336U (zh) 基于ZigBee的探伤车间人员安全防护系统
KR20180138507A (ko) 소방안전 관리 시스템
KR20190041919A (ko) IoT 기반의 지능형 터미널 플랫폼 시스템
KR102082858B1 (ko) 밀폐공간 저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473331B1 (ko) 독립형 무선 화재 경보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HISHAM et al. Wireless Smoke Sensor with Fire Alarm Panel
JP2017134836A (ja) 検出装置及びプラント機器状態収集システム
KR20150115603A (ko)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
JP2023148283A (ja) 防災機器内蔵電池の管理システム
JP2014170282A (ja) 統合警報データ管理装置、統合警報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統合警報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6400421B2 (ja) 機器操作システム及び防災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