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603A -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603A
KR20150115603A KR1020140125837A KR20140125837A KR20150115603A KR 20150115603 A KR20150115603 A KR 20150115603A KR 1020140125837 A KR1020140125837 A KR 1020140125837A KR 20140125837 A KR20140125837 A KR 20140125837A KR 20150115603 A KR20150115603 A KR 20150115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umidity
remote control
senso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수환
김원선
김주환
이성진
양승찬
Original Assignee
(주)대동엔지니어링
시스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엔지니어링, 시스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대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2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5603A/ko
Publication of KR2015011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은 소정의 공간 또는 장소에 온습도센서를 배치하고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에 통신컨버터를 장착하는 장착단계,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통신컨버터가 장착되면, 통신컨버터에 배치되는 센서통신 2포트단자에 신호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단계,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마다 통신어드레스를 설정하고 테스트하는 테스트단계, 온습도센서에서 제공되는 온습도를 모니터링하면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온습도제어프로그램을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에 설치하는 설치단계, 온습도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면서 생성되는 온습도제어아이콘을 실행시키는 실행단계, 온습도제어아이콘이 실행되면,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 별로 설정되는 설정단계 및 온습도센서를 모니터링하면서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설치단계 이전에 유에스비 키 락을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Temperature and humidity remot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습도 관리가 필요한 각 장소에 센서를 설치하고, 원거리에 위치하여 하나의 화면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온습도의 변환에 따른 빠른 파악과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습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각종 장비가 설치된 공간에 설치되어 소망하는 냉방, 난방, 가습, 제습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온습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반도체부품 생산라인, 연구실, 전산실, 통신실 및 병원 등에서 주변의 온도, 습도 및 청정도 등이 극히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 온습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이상 발생시에 경보를 생성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유선으로 접속된 관리장치에 경보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온습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이상을 통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경보를 인지한 관리자는 해당 온습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확인하고 온습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유지보수하게 된다.
그런데,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온습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온습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상태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관리장치가 설치된 곳에서만 가능하고, 그 이외의 장소에서는 온습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상태 확인 및 상태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0738644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온습도 관리가 필요한 각 장소에 센서를 설치하고, 설치되는 센서와 원거리에서 위치하면서 하나의 화면으로 모든 센서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온습도의 변환에 따른 빠른 파악과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거의 데이터 조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연간, 월간 평균값을 빠르고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어 미리 대처방안을 세울 수 있는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공간 또는 장소에 온습도센서를 배치하고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에 통신컨버터를 장착하는 장착단계,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통신컨버터가 장착되면, 통신컨버터에 배치되는 센서통신 2포트단자에 신호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단계,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마다 통신어드레스를 설정하고 테스트하는 테스트단계, 온습도센서에서 제공되는 온습도를 모니터링하면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온습도제어프로그램을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에 설치하는 설치단계, 온습도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면서 생성되는 온습도제어아이콘을 실행시키는 실행단계, 온습도제어아이콘이 실행되면,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 별로 설정되는 설정단계 및 온습도센서를 모니터링하면서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설치단계 이전에 유에스비 키 락을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온습도 관리가 필요한 각 장소에 센서를 설치하고, 설치되는 센서와 원거리에서 위치하면서 하나의 화면으로 모든 센서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온습도의 변환에 따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대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거의 데이터 조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연간, 월간 평균값을 빠르게 산출함으로써, 미리 대처방안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온습도를 용이하게 관리하면서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에서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온습도 관리가 필요한 각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으로 온습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온습도센서를 나타낸 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온습도 관리가 필요한 각 장소에 온습도센서(170)를 설치하고, 설치되는 온습도센서(170)와 원거리에서 위치하면서 하나의 화면을 다양하게 분할하여 모든 온습도센서(170)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어 온습도에 대한 변화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대응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150)는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와 연결되고,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는 온습도센서(170)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150)와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는 온습도센서(170)로부터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모니터링 장치(150)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를 통해 온습도센서(170)에 대한 기준설정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니터링 장치(150)와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에 있는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함으로써, 온습도센서(170)에 기초하여 온습도센서(170)가 배치되는 장소 또는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는 PC와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전자 장비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에는 원격지에 배치되는 온도센서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온습도 관리가 필요한 각 장소에 온습도센서(170)를 설치하고, 설치되는 온습도센서(170)와 원거리에서 위치하면서도 하나의 화면으로 모든 온습센서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온습도에 대한 변화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대응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은 입력장치(110), 모니터링 장치(150) 및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장치(110)는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에 배치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입력장치(1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35)에 포함되는 USB 단자 또는 PS/2 단자를 통하여 연결되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50)는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에 배치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연결되어 입출력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거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장치(15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35)에 포함되는 비디오 단자를 통하여 연결되는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장치(15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35)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기기라면 LCD, LED, PDP, 등의 디스플레이기기 뿐만 아니라 아이패드, 스마트 패드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기기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는 온습도센서(170)를 네트워크 연결하고, 소정의 공간 또는 장소에 배치되어 온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170)로부터 온습도신호를 입력받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1)와 온습도신호를 제공받아 온습도센서(170)마다 온습도의 기준설정범위가 다르도록 설정하고, 복수 개의 온습도신호가 후술할 모니터링 장치(150)의 하나의 화면에 모니터링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온습도센서(170)은 소정의 공간 또는 장소에 배치되어 온습도를 측정하면서 디스플레이하고, 측정되는 온습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온습도센서(170)은 각종 장비의 내부 또는 장비의 외부면에 접하여 배치되거나, 각종 장비가 설치된 공간인 반도체부품 생산라인, 연구실, 전산실, 통신실 및 병원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온습도센서(170)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면 장소에 상관없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는 입력 장치로부터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마다 온습도의 기준설정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제어신호를 제공받은 제어부(133)는 온습도신호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온습도센서(170)마다 온습도의 기준설정범위가 다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온습도의 기준설정범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공간 또는 장소를 측정한 온도의 상한값, 온도의 하한값, 습도의 상한값 및 습도의 하한값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의 상한값, 온도의 하한값, 습도의 상한값 및 습도의 하한값을 입력하여 설정하는 제어부(133)는 온도의 상한값, 온도의 하한값, 습도의 상한값 및 습도의 하한값에 대한 오차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측정되는 온습도가 입력된 온도의 상한값, 온도의 하한값, 습도의 상한값 및 습도의 하한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 벗어나더라도 일시적으로 잠시 동안 벗어난 상황인지 지속적으로 계속해서 벗어난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온도의 상한값, 온도의 하한값, 습도의 상한값 및 습도의 하한값에 대한 오차범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에 배치되는 제어부(133)는 온습도신호가 온습도의 기준설정범위를 벗어나거나 설정되는 오차범위까지 벗어난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경고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15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3)는 경고신호를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기기(140)와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3)는 통신부(139)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기기(140)에 경고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39)는 등록된 사용자에게 경고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고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150)로 체크하거나 통신부(139)를 통해 휴대용 무선기기(140)로 체크함으로써, 온습도에 대한 변화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경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신호가 전달됨으로써, 더욱 세밀하게 온습도에 대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화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분할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15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3)는 하나의 화면에 8개의 온습도센서(170)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게다가 하나의 화면을 4등분으로 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총 32개의 온습도센서(170)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분할신호는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를 장소별로 분할하여 디스플레할 수 있다. 즉, 장소별로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를 분할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소별로 온습도에 대한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소에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가 배치될 경우에는 장소를 세분하여 온습도에 대한 변화를 세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3)는 이전에 측정되는 온습도신호를 변환한 온습도의 데이터값과 그래프를 시간별, 날짜별, 월별, 연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37)는 측정되는 온습도에 대한 데이터값과 그래프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되, 데이터베이스(DB) 파일로 지정된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DB) 파일로 저장하되, 시간별, 날짜별, 월별, 연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온습도에 대한 데이터값을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저장간격으로 저장할 수 있고, DB파일 저장 위치, DB파일의 저장시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37)는 소정의 시간 또는 소정의 날짜 등을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 또는 설정된 날짜마다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 파일을 백업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37)는 백업되는 백업파일을 따로 저장하거나 통신부(139)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다른 서버 등과 같은 저장할 수 있는 기기나 기록매체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백업하는 날짜와 시간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백업파일을 따로 저장함으로써, 갑자스런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의 고장 또는 정전 등에 인해 돌발 사고에도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는 이전에 측정되어 저장부(137)에 저장된 온습도신호를 변환한 온습도의 데이터값과 그래프를 용이하게 저장할 뿐만 아니라 시간별, 날짜별, 월별, 연별로 구분하여 조회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DB) 파일만 백업하면, 이전에 측정된 온습도신호를 변환한 온습도의 데이터값과 그래프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는 측정되는 온습도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온습도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 장치(15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습도의 상한 값과 하한 값에 대한 기준설정범위를 변경한 제어이력, 경고가 발생한 경고이력 등등을 조회하거나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기록은 그래프에 이벤트 포인트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이벤트 포이트를 클릭하면 이벤트 기록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온습도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온습도 변화 추이가 나타나는 그래프에 설정된 이벤트 포인트를 클릭함으로써, 이벤트 기록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체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래프와 이벤트기록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래프와 이벤트기록을 통해 데이터 조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연간, 월간 평균값을 빠르게 산출함으로써, 미리 대처방안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기록과 예측한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1)와 온습도센서(170) 사이에 배치되는 통신컨버터(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컨버터(190)는 일단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1)에 체결되고, 타단이 온습도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케이블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센서통신 2포트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되는 통신컨버터(190)는 복수 개의 상기 온습도센서(170)마다 각각의 통신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각의 통신어드레스와의 통신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컨버터(190)는 RS422 또는 RS485로 변환할 수 있는 스위치단자(19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컨버터(190)는 소정의 공간 또는 장소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마다 통신어드레스를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습도센서(170)에 대한 통신어드레스가 설정되면, 각각의 통신어드레스를 통해 온습도센서(170) 간의 통신을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온습도센서(170)의 통신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센서통신 2포트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TRX-, TRX+의 위치를 바꿔서 통신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케이블은 쉴드케이블을 포함하며, 센서통신 2포트 단자에 체결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센서(170)은 바디부(171), 온습도측정부(173), 케이블체결부(175), 디스플레이부(177) 및 입력부(1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부(171)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부(171)는 상단면에 온습도측정부(173)가 형성되고, 하단면에 케이블체결부(175)가 형성되면서 디스플레이부(177)와 입력부(179)가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온습도측정부(173)는 바디부(171)의 상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 또는 장소에 대한 온습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온습도측정부(173)는 온도와 습도를 실시간으로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와 습도는 정해진 시간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시간을 5분으로 설정하면, 온습도측정부(173)는 5분마다 측정되는 온도와 습도를 출력할 수 있다.
케이블체결부(175)는 바디부(171)의 하측면에 신호케이블과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측정되는 온습도를 신호케이블에 전달한다. 이러한 케이블체결부(175)는 온습도측정부(173)에서 측정되는 온도와 습도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케이블에 전달하여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7)는 측정되는 온습도를 디스플레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77)는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온도화면과 습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습도화면으로 나누어져 형성되며, 온습도측정부(173)에서 제공되는 온도와 습도를 실시간으로 온도화면과 습도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온도화면과 습도화면이 나누어져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화면에 온도와 습도가 나누어져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온도와 습도가 순서대로 번갈아가면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입력부(179)는 온습도에 대한 기준설정범위를 설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버튼은 set버튼, 상승버튼, 하강버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set버튼, 상승버튼, 하강버튼으로 형성되는 입력부(179)는 소정의 공간과 장소에서 온도의 상한값, 온도의 하한값, 습도의 상한값, 습도의 하한값을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되는 값들은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과 연동되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변경되는 값들은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에 따로 저장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은 모니터링 장치(150)와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과 모니터링 장치(150)가 하나의 전자기기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 모니터링 장치(150) 및 입출력장치까지도 하나의 전자기기로 통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 도 8과 같다.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소정의 공간 또는 장소에 온습도센서(170)를 배치하고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에 통신컨버터(190)를 장착하는 장착단계(S111)이다. 즉,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1)에 통신컨버터(190)를 연결하여 장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1)에 통신컨버터(190)가 장착되면, 통신컨버터(190)에 배치되는 센서통신 2포트 단자에 신호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단계(S112)이다. 이와 같이, 연결되면, 통신컨버터(190)에 배치되는 RS422 또는 RS485로 변환할 수 있는 스위치단자를 RS485가 선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마다 통신어드레스를 설정하고 테스트하는 테스트단계(S113)이다. 여기서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들의 통신어드레스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되면, 온습도센서(170)와의 통신을 테스트하고, 통신이 원활하지 않거나 단절되는 경우에는 TRX-, TRX+를 바꿔서 테스트를 하는 등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컨버터(190)는 개당 대략 16 개의 온습도센서(170)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다.
이후,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에서 제공되는 온습도를 모니터링하면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온습도제어프로그램을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에 설치하는 설치단계(S114)이다. 여기서 온습도제어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USB Key Lock을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온습도제어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전에 USB Key Lock을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에 배치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35)에 장착함으로써, 바이러스가 발생하여 에러 또는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온습도제어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온습도제어프로그램이 설치하면서 생성되는 온습도제어아이콘을 실행시키는 실행단계(S115)이다.
온습도제어아이콘이 실행되면,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 별로 설정되는 설정단계(S116)이다. 여기서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설정하거나 그룹 별로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되면 다른 온습도센서(170)를 추가하여 계속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13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35)와 연결되는 모니터링 장치(150)에서 설정된 복수 개의 온습도센서(170)를 모니터링하면서 입력 장치를 통해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단계(S117)이다.
이러한 모니터링제어단계는 모니터링 장치(150)의 메인화면을 통해서 실시간 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온습도센서(170)를 각 그룹별로 설정하여 온습도 현황을 볼 수 있으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음 그룹의 온습도 현황을 모니터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자동 전환되는 시간은 화면 전환 주기를 설정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150)의 메인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온습도센서(170)를 입력 장치를 통해 클릭하면 온습도센서(170)의 상세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모니터링 장치(150)가 터치 스크린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온습도 센서를 클릭할 수 있다.
이러한 상세화면의 실시간 그래프는 실시간으로 수식되는 온습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프는 가장 최근 트렌드를 표시하는 그래프로 최대 1시간분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세화면을 통해 온습도의 상/하한 값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온습도의 상/하한 값은 온습도센서(170)에서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온습도센서(170)에서 입력된 온습도의 상/하한 값은 모니터링 장치(150)의 메인화면에서 실시간으로 연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단계는 모니터링 장치(150)의 메인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세화면을 통해 온습도트렌드, 기준설정범위 변경을 조회할 수 있는 제어이력, 경보 발생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경보이력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체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온습도트렌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온습도 변화 추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그룹 별로 설정된 온습도센서(170)를 각 그룹 별로 체크하되, 각 그룹당 최대 16개를 동시에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단계는 날짜와 시간을 지정하여 이벤트로 기록할 수 있다.
게다가, 모니터링 단계는 제어이력을 각 온습도센서(170)별 기준설정범위를 변경한 내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체크할 수 있고, 경보이력을 각 센서별 경보 발생/해제 내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체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입력 장치
130 :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
131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33 : 제어부
135 : 입출력 인터페이스
137 : 저장부
139 : 통신부
140 : 휴대용 무선기기
150 : 모니터링 장치
170 : 온도센서
171 : 바디부
173 : 온습도측정부
175 : 케이블체결부
177 : 디스플레이부
179 : 입력부
190 : 통신컨버터
191 : 스위치단자

Claims (1)

  1.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공간 또는 장소에 온습도센서를 배치하고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에 통신컨버터를 장착하는 장착단계;
    상기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통신컨버터가 장착되면, 통신컨버터에 배치되는 센서통신 2포트단자에 신호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단계;
    복수 개의 상기 온습도센서마다 통신어드레스를 설정하고 테스트하는 테스트단계;
    상기 온습도센서에서 제공되는 온습도를 모니터링하면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온습도제어프로그램을 상기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에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온습도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면서 생성되는 온습도제어아이콘을 실행시키는 실행단계;
    상기 온습도제어아이콘이 실행되면, 복수 개의 상기 온습도센서 별로 설정되는 설정단계; 및
    상기 온습도센서를 모니터링하면서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단계 이전에 유에스비 키 락을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
KR1020140125837A 2014-09-22 2014-09-22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 KR20150115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837A KR20150115603A (ko) 2014-09-22 2014-09-22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837A KR20150115603A (ko) 2014-09-22 2014-09-22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206A Division KR101473694B1 (ko) 2014-04-03 2014-04-03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와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603A true KR20150115603A (ko) 2015-10-14

Family

ID=5435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837A KR20150115603A (ko) 2014-09-22 2014-09-22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56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4574A (zh) * 2016-01-29 2018-08-31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机遥控器及空调控制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4574A (zh) * 2016-01-29 2018-08-31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机遥控器及空调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3355B2 (ja) 測定データを捕捉し、測定データに注釈をつけ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現方法、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
US20190332514A1 (en) Mobile application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mputing device monitoring a test device
CA296850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ressably programming a notification safety device
CA2987661C (en) Distribution system monitoring
US9262371B2 (en) System for monitoring multiple building automation systems
US20130219218A1 (en) Mobile Communication Platform for Test System Applications
KR101149367B1 (ko) 모듈형 통합 전력 감시 장치
KR101473694B1 (ko)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와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
KR20170065669A (ko) 통합된 캐비넷을 가진 물리적 기반시설 관리 시스템
US11372060B2 (en) Busway joint connec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JP2009163324A5 (ko)
KR101485517B1 (ko) 스마트 배전선로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US105144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breakers within enclosures
US10397815B2 (en) Cellular base station monitoring
US10001430B2 (en) Environmental conditioning unit testing
KR20160070724A (ko) 멀티 원격 제어장치와 그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
KR20150115603A (ko) 온습도 원격 제어 방법
KR101451702B1 (ko) 휴대용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US11094975B2 (en) Electrolyte level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monitoring
KR100491528B1 (ko)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937244B1 (ko) 포괄적 유지보수 전용 시스템
KR101701733B1 (ko) 감시진단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KR20200029782A (ko) 항공장비의 벤치테스트 시스템
JP2015018477A (ja) 電子計量システム及び電子計量器のプログラム改竄処理方法
KR20170120815A (ko) 무선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전산실 rack 장비 오류 검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