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265B1 -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265B1
KR101983265B1 KR1020180120666A KR20180120666A KR101983265B1 KR 101983265 B1 KR101983265 B1 KR 101983265B1 KR 1020180120666 A KR1020180120666 A KR 1020180120666A KR 20180120666 A KR20180120666 A KR 20180120666A KR 101983265 B1 KR101983265 B1 KR 101983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work site
state
diagnosi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식
Original Assignee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filed Critical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20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5Toxicology, e.g. by detection of alcohol, drug or toxic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업 현장에 구비되는 장비의 상태, 업무 내용, 및 업체의 안전 관리 계획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하는 안전 관리 플랜 생성부, 작업 현장 실무자의 보호 장구 착용 여부, 작업 현장의 안전 시설물 또는 작업용 도구의 동작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안전 관리 플랜 생성부에서 생성된 안전 관리 플랜에 포함되는 안전 점검 항목별 안전 진단 지수를 산출하는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 상기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에서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별로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진단하는 안전 상태 진단부 및 상기 안전 상태 진단부에서의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위험 요소 제거 지시 또는 이상이 감지된 안전 점검 항목에 대한 보완 지시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요청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보완하는 안전 상태 보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에 의해 안전 보건 관리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전 문화 수준을 향상시켜, 작업 실무자들인 협력사들의 안전 보건 관리 준법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System for Safety Monitoring of Work field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의 특수성을 반영한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하여, 작업 중 현장밀착관리 및 교육하기 위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전지원단은 안전관리에 관한 것으로 안전을 시스템화하여 관리하고, 관리대상 업체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공사 전 현장의 특수성을 파악하여, 공사 중 현장 밀착 관리 및 교육 등을 지원하고 프로젝트(Project)완료시 보고서를 통해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고 향후 관리 방안 제시 및 개선안을 도출해내는 등의 지원을 하는 것이다.
이때 안전 감시단이 안전기준 적합 여부를 직접 점검한다. 안전 감시단은 안전 작업에 대한 감시 수준에 그쳐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다. 한편, 안전 감시단의 안전 점검에 의해서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에 대한 해결이 일시적으로는 이루어질 수는 있다.
하지만 작업 현장의 전반적인 안전 관리가 시스템화되고, 보다 안전한 작업 현장을 유도하기 위해 작업자들이 능동적으로 안전 보건 관리 수준에 따라 업무를 수행토록하여 안전 문화를 형성하고, 안전한 업무 수행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4681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45170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3692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제 1 목적은 PDCA(plan-do-check-act) Cycle을 적용한 시스템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 활동을 제안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지도/점검/개선 제안을 통해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제 2 목적은 현장의 특수성을 반영한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하여, 생성된 안전 관리 플랜에 따라 안전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작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고, 작업 현장 관리 감독자의 안전 업무를 지원하여 잠재 위험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발생한 위험이 사고로 전이되지 않도록 보고하여 조치방안을 수행 가능토록 하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제 3 목적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법적 이행사항, 교육, 점검과 같은 필요 항목들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안전 관리 플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전 점검 항목이 누락되거나 새로 변경되는 사항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할 수 있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나아가 제 4 목적은 협력사에 작업 현장별 안전 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 관리 수준 평가를 통한 수준별 업체 선정 및 관리 자료로 안전 상태 항목을 활용가능케 하여 능동적으로 법적 요구상에 충족한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뿐만 아니라 제 5 목적은 안전 작업 방법 및 점검 사항의 분석을 수행하여 그 분석 결과를 공사 안전 작업 기준 수립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지속적인 안전 관리 활동을 통한 안전 문화 정착에 기여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은 작업 현장에 구비되는 장비의 상태, 업무 내용, 및 업체의 안전 관리 계획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하는 안전 관리 플랜 생성부, 작업 현장 실무자의 보호 장구 착용 여부, 작업 현장의 안전 시설물 또는 작업용 도구의 동작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안전 관리 플랜 생성부에서 생성된 안전 관리 플랜에 포함되는 안전 점검 항목별 안전 진단 지수를 산출하는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 상기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에서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별로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진단하는 안전 상태 진단부 및 상기 안전 상태 진단부에서의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위험 요소 제거 지시 또는 이상이 감지된 안전 점검 항목에 대한 보완 지시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요청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보완하는 안전 상태 보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에서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안전 관리 기준에 따른 작업 현장별 안전 관리 정보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안전 관리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 상태 보완부는, 상기 안전 상태 진단부에서의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작업 현장 실무자 단말로 안전 상태 개선을 위해 필요한 교육 내용을 전송하거나, 안전 상태 개선 교육의 실시 일정을 더 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은 작업 실무자의 체온 정보, 감전 정보, 맥박 정보, 혈압 정보, 움직임 정보, 산소 농도 정보, 알코올 농도 정보, 유해가스 정보,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상태 진단부는 상기 작업 실무자의 생체 정보 측정값이 정상 범주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작업 실무자의 생체 정보 측정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의 이상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작업 현장에 구비되는 장비의 상태, 업무 내용, 및 업체의 안전 관리 계획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하는 단계, 작업 현장 실무자의 보호 장구 착용 여부, 작업 현장의 안전 시설물 또는 작업용 도구의 동작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생성된 안전 관리 플랜에 포함되는 안전 점검 항목별 안전 진단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별로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위험 요소 제거 지시 또는 이상이 감지된 안전 점검 항목에 대한 보완 지시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요청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보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보건 관리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전 문화 수준을 향상시켜, 작업 실무자들인 협력사들의 안전 보건 관리 준법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 1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현장의 특수성을 반영한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하여, 생성된 안전 관리 플랜에 따라 안전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작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고, 작업 현장 관리 감독자의 안전 업무를 지원하여 잠재 위험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발생한 위험이 사고로 전이되지 않도록 보고하여 조치방안을 수행가능토록 하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제 2 효과가 있다.
또한 산업 안전 보건법에 의한 법적 이행사항, 교육, 점검과 같은 필요 항목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안전 관리 플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전 점검 항목이 누락되거나 새로 변경되는 사항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할 수 있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제 3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안전 지도/점검/ 개선 제안을 통해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지속적인 안전 관리 활동을 통한 안전 문화 정착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제 4 효과가 도출된다.
나아가 협력사에 작업 현장 별 안전 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 관리 수준 평가를 통한 수준별 업체 선정 및 관리 자료로 안전 상태 항목을 활용가능케 하여 능동적으로 법적 요구상에 충족한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5 효과가 도출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10)은 작업 현장 모니터링 장치(20)로부터 작업 현장의 다양한 정보들을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 현장 모니터링 장치(20)는 CCTV 카메라, 현장의 장비에 탑재되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작업 현장의 다양한 정보들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구체적으로 현장 모니터링 장치(20)는 작업 허가서 작성 상태 점검, 불안전한 상태 점검후 보고-협력 업체 시정조치 안내, 안전 시설물/안전통로 설치 상태의 점검, 밀폐구역(위험구역)의 산소 농도 측정 상태확인, 전기 공도구, 발전기 등 점검, 차량계 건설기계, 하역 운반기계 점검, 정리정돈 상태 및 화기 작업 점검, 협력 업체 컨테이너 설치 상태 점검, 즉시 조치가 가능한 불안전한 상태 및 행동에 대한 지원활동 정보 수집을 통해 작업 현장의 안전 시설물 또는 작업용 도구의 동작 이상 유무를 점검가능케 하는 기술적 구성이다.
나아가 현장 모니터링 장치(20)는 전기 업무의 경우 작업선, 용접기, 발전기, 그라인더 등에 대한 접지 및 충전부 관리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슬링벨트, 체인블록, 와이어 등에 대한 외관 점검과, 와이어, 후크해지 장치, 권과방지장치 등에 대한 이상유무를 모니터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장 모니터링 장치(20)는 추락, 낙하, 화재, 질식, 감전 등에 대비한 안전시설물 설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작업 허가서의 비치 상태 여부, 밀폐공간의 출입절차 준수 상태를 더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장 모니터링 장치(20)는 추락 관련 점검을 위해 달비계 설치상태 점검, 안전벨트 걸이시설, 작업발판 설치 확인, 안전블록, 코브라 설치 확인, 고소 작업 구간 작업자 관리, 안전벨트 걸고리 사용 확인, 보호구 착용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화재 관련 점검을 위해 화재폭발 위험설비 점검 및 사용 지도 여부, 압력용기 누설 확인, 소화기 비치 및 역화방지기 등 안전조치 확인, 화기 작업 안전조치 확인, 그라인더 등의 불티 확산 방지조치 지도 여부, LPG 가스호스, 용접기호스 등에 대한 위험 관리 관련 점검, 누설 및 피복 손상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낙하관련 점검을 위해 줄걸이 설치 위치 지도 점검 여부, 중량물 인양시 파단 위험 방지 관련 점검, 슬링벨트 확인 점검, 낙하물 인양시 위험 관리 확인 점검, 줄걸이 방법 확인 지도 여부, 인양시 유도로프 및 신호수 배치 확인, 줄걸이 설치 위치 지도 점검, 중량물 인양시 파단 위험 방지, 슬링 벨트 확인 점검, 체인블록 등 공도구 사용 상태 확인 점검, 후크 해지 장치 확인, 줄걸이 작업 방식 확인, 고소 작업 구간 낙하물에 대한 안전조치 지도 여부, 하부 감시인 배치 상태, 안전구획 설정 여부 확인 사항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감전 관련 점검을 위해 장비 접지 상태 확인 점검, 장비 접지 설치 확인 및 지도, 접지 설치 적정 위치 확인, 협력업체 공도구 점검 및 지도, 콘센트, 플러그, 투광등 접지 확인, 그라인더, 슬링벨트 등 이상유무 점검 확인, 용접기, 발전기 외함 접지 점검, 용접기홀더 상태 확인 점검, 발전기 외함접지 상태 확인 점검 사항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현장 모니터링 장치(20)는 작업 현장의 모니터링 결과를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10)으로 제공한다.
또한, 생체 신호 감지 장치(30)로 현장의 작업 실무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생체 신호 감지 장치(30)는 작업 실무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계, 작업 실무자를 통과하는 전류/전압을 측정하여 감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감전 측정 센서, 작업 실무자의 날숨에 포함되는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음주 여부를 판별하는 음주 측정기, 작업 실무자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맥박계, 작업실무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계, 작업 실무자의 움직임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 산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산소농도 측정센서, 유해 가스를 측정하기 위한 유해가스 측정센서, 작업 실무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즉 생체 신호 감지 장치(30)는 작업 실무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들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 구성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이때 생체 신호 감지 장치(30)은 현장 작업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 실무자가 휴대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손목, 발목)에 착용하기 편리한 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작업 실무자의 작업 특성에 따라 작업자의 위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몇 개의 생체정보 획득센서만을 특화시켜 생체 신호 감지 장치(30)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전기를 담당하는 작업 실무자에게는 필수적으로 감전측정센서를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맨홀 작업자나 가스안전 점검자의 경우에는 산소 농도와 유해가스 측정센서를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찰의 경우 마이크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 신호 감지 장치(30)는 감지되는 작업 실무자의 생체 정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실무자 단말 d, e, f...(40)은 작업 현장에서 실제 작업에 임하는 작업 실무자들이 소지하는 단말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실무자 단말d, e, f ...(40)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및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용도에 따라 특이하게 제작된 산업용 및 개인용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도록 해석된다.
또한 실무자 단말d, e, f ...(40)은 다른 작업 실무자의 휴대폰과 통신을 하여 작업자 정보를 다른 작업자의 실무자 단말로 송신하거나, 다른 작업자의 실무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다른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를 수신하여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g, h, i...(50)로 중계해주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생체 신호 감지 장치(30)가 실무자 단말 d, e, f...(40)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g, h, i...(50)는 직업 현장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장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g, h, i ...(5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및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용도에 따라 특이하게 제작 된 산업용 및 개인용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도록 해석된다.
이때 실무자 단말 d, e, f...(40)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g, h, i...(50)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단말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하나의 단말 내에 실무자용 앱(프로그램)과 관리자용 앱(프로그램)이 별개로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수 관리자 단말(60)은 작업 현장 사내의 보수를 위한 팀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이나, 외부의 보수 업체 담당자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수 관리자 단말(60)은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위험 요소 제거 지시 또는 이상이 감지된 안전 점검 항목에 대한 보완을 수행하도록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수 관리자 단말(60)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g, h, i...(50)은 각각의 기능이 상이하여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에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10)이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위험 요소 제거 지시 또는 이상이 감지된 안전 점검 항목에 대한 보완을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g, h, i...(50)로 요청하고,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g, h, i...(50)이 보수 관리자 단말(60)로 순차적으로 요청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협력사 서버a, b, c...(70)는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10)으로부터 안전 상태 점검 결과에 따라 작업 현장 업체인 고객사의 안전보건관리 수준을 수집한다.
협력사 평가를 통한 수준별 업체 선정 및 관리에 작업 현장 업체인 고객사의 안전보건 관리 수준을 활용함으로써 고객사의 지속적인 안전관리 활동을 통한 안전문화수준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고객사의 안전보건 관리 수준을 작업 현장 안전 관련 법적 요구사항 충족 및 운영 상태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사의 능동적인 안전 보건 관리 수준 향상 노력을 유도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은 관리 플랜 생성부(100),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110), 안전 상태 진단부(120), 안전 상태 보완부(130), 안전 관리 정보 제공부(140) 및 생체 정보 획득부(150)를 포함한다.
관리 플랜 생성부(100)는 작업 현장에 구비되는 장비의 상태, 업무 내용, 및 업체의 안전 관리 계획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안전 관리 플랜 생성부(100)는 안전 관리 플랜의 안전 점검 항목에 작업 허가서의 구비 여부, 작업 허가서의 작성 상태 여부, 밀폐공간 또는 위험 구역의 사전 점검 여부, 안전 시설물 점검 여부, 및 작업용 도구의 이상 유무 점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킨다.
안전 관리 플랜을 업체별로 상이하게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법적 이행사항, 교육, 점검 등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안전 관리 플랜은 안전작업방법 및 점검사항 분석을 통한 공사 안전작업기준 수립에 활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 관리 플랜 생성부(100)는 사전 위험성 평가 실시 및 안전대책 수립을 위해 업체 담당자들이 직접 입력하는 정보들에 기반하여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하는 것은 각 협력 업체가 공사 착공 전 안전관리 계획서를 수립하고, 이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안전관리 준비상태를 확인 및 보완함으로 사전에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플랜을 자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110)는 작업 현장 실무자의 보호 장구 착용 여부, 작업 현장의 안전 시설물 또는 작업용 도구의 동작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안전 관리 플랜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안전 관리 플랜에 포함되는 안전 점검 항목별 안전 진단 지수를 산출한다.
이때 안전 진단 지수는 산술적으로 산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무' 상태, '상/중/하' 정도와 같이 안전 진단 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 방식의 형태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안전 상태 진단부(120)는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110)에서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별로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진단한다.
구체적으로 안전 상태 진단부(120)는 작업 허가서 작성 상태 점검, 불안전한 상태 점검후 보고-협력 업체 시정조치 안내, 안전 시설물/안전통로 설치 상태의 점검, 밀폐구역(위험구역)의 산소 농도 측정 상태확인, 전기 공도구, 발전기 등 점검, 차량계 건설기계, 하역 운반기계 점검, 정리정돈 상태 및 화기 작업 점검, 협력 업체 컨테이너 설치 상태 점검, 즉시 조치가 가능한 불안전한 상태 및 행동에 대한 지원활동 정보 수집을 통해 작업 현장의 안전 시설물 또는 작업용 도구의 동작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이때 점검하는 것은 CCTV카메라 촬영 영상 또는, 해당 위치에서 작업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정보, 다양한 센서를 이용한 감지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안전 상태 진단부(120)는 전기 업무의 경우 작업선, 용접기, 발전기, 그라인더 등에 대한 접지 및 충전부 관리 상태를 점검한다. 그리고 슬링벨트, 체인블록, 와이어 등에 대한 외관 점검과, 와이어, 후크해지 장치, 권과방지장치 등에 대한 이상 유무 점검과 같은 장비 점검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 상태 진단부(120)는 추락, 낙하, 화재, 질식, 감전 등에 대비한 안전시설물 설치 상태를 점검한다. 또한 안전 작업 허가서의 비치 상태 여부, 밀폐공간의 출입절차 준수 상태를 더 점검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전 상태 진단부(120)는 추락 관련 점검을 위해 달비계 설치상태 점검, 안전벨트 걸이시설, 작업발판 설치 확인, 안전블록, 코브라 설치 확인, 고소 작업 구간 작업자 관리, 안전벨트 걸고리 사용 확인, 보호구 착용 여부를 점검한다.
또한 화재 관련 점검을 위해 화재폭발 위험설비 점검 및 사용 지도 여부, 압력용기 누설 확인, 소화기 비치 및 역화 방지기 등 안전조치 확인, 화기 작업 안전조치 확인, 그라인더 등의 불티 확산 방지조치 지도 여부, LPG 가스호스, 용접기 호스 등에 대한 위험 관리 관련 점검, 누설 및 피복 손상 여부 확인 점검 사항을 점검한다.
또한 낙하관련 점검을 위해 줄걸이 설치 위치 지도 점검 여부, 중량물 인양시 파단 위험 방지 관련 점검, 슬링벨트 확인 점검, 낙하물 인양시 위험 관리 확인 점검, 줄걸이 방법 확인 지도 여부, 인양시 유도로프 및 신호수 배치 확인, 줄걸이 설치 위치 지도 점검, 중량물 인양시 파단 위험 방지, 슬링 벨트 확인 점검, 체인블록 등 공도구 사용 상태 확인 점검, 후크 해지 장치 확인, 줄걸이 작업 방식 확인, 고소 작업 구간 낙하물에 대한 안전조치 지도 여부, 하부 감시인 배치 상태, 안전구획 설정 여부 확인 사항을 점검한다.
뿐만 아니라 감전 관련 점검을 위해 장비 접지 상태 확인 점검, 장비 접지 설치 확인 및 지도, 접지 설치 적정 위치 확인, 협력업체 공도구 점검 및 지도, 콘센트, 플러그, 투광등 접지 확인, 그라인더, 슬링벨트 등 이상 유무 점검 확인 용접기, 발전기 외함 접지 점검, 용접기 홀더 상태 확인 점검, 발전기 외함접지 상태 확인 점검 사항을 점검할 수 있다.
안전 상태 보완부(130)는 안전 상태 진단부(120)에서의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위험 요소 제거 지시 또는 이상이 감지된 안전 점검 항목에 대한 보완 지시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요청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보완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안전 상태 보완부(130)는 안전 상태 진단부(120)에서의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작업 현장 실무자 단말로 안전 상태 개선을 위해 필요한 교육 내용을 전송하거나, 안전 상태 개선 교육의 실시 일정을 더 공지한다.
안전 상태 보완부(130)는 작업 현장 실무자 단말로 안전 보건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 내용을 제공하되 특히 퀴즈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흥미를 높임과 동시에 안전 보건 교육 내용의 파급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채용자에게 안전 상태 개선을 위해 필요한 현장 안전시설물 점검 및 안전조치 기술 지도와 같은 교육 내용을 전송함으로써 밀착관리를 통한 재해예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작업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조치 기술 지도를 위한 교육내용이나 작업자 위험 행동 제지 및 보호구 착용 지도 교육 내용, 작업중 불안전한 행동 및 적정 보호구 착용과 사용 확인을 위한 교육 내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상태 보완부(130)는 안전 상태 진단부(120)에서의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위험 요소 제거 지시 또는 이상이 감지된 안전 점검 항목에 대한 보완 지시를 보수 관리자 단말로 요청한다.
이에 따라 즉각적으로 위험 요소를 제거하여 안전 상태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상태 보완부(130)는 개인보호구 착용 지도 및 관리감독, 안전시설물 설치 체계화, 상시 안전통로 확보, 정리정돈 유지 및 관리감독을 보완 지시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정보 제공부(140)는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110)에서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안전 관리 기준에 따른 작업 현장별 안전 관리 정보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제공한다.
안전 관리 정보 제공부(140)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별 주요 위험 요소를 집계하고, 추가적으로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주요 점검 사항 및 이슈를 보고하며, 개선 사항 건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작업 현장 관리자들은 작업 현장 별 안전 관리 정보를 획득하여 위험성을 평가하고, 공정 별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주관적인 관점에서 도출하여 위험성 평가표를 작성하여, 이를 위험성 평가회의를 통해 검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검토 후 작업 실무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개시하여, 작업 시작 전에 전파 및 교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안전한 행동을 지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기반하여 일일 또는 주 단위 공정 회의를 통해 현장 점검 중 확인된 위험 요인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수도 있다.
나아가 안전 관리 정보 제공부(140)는 업체별 안전 관리 정보를 다른 협력사 서버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협력사 서버들은 안전 상태 점검 결과에 따라 작업 현장 업체인 고객사의 안전보건관리 수준을 수집할 수 있다. 협력사 평가를 통한 수준별 업체 선정 및 관리에 작업 현장 업체인 고객사의 안전보건 관리 수준을 활용함으로써 고객사의 지속적인 안전관리 활동을 통한 안전문화수준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고객사의 안전보건 관리 수준을 작업 현장 안전 관련 법적 요구사항 충족 및 운영 상태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사의 능동적인 안전 보건 관리 수준 향상 노력을 유도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생체 정보 획득부(150)는 작업 실무자의 체온 정보, 감전 정보, 맥박 정보, 혈압 정보, 움직임 정보, 산소 농도 정보, 알코올 농도 정보, 유해가스 정보,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획득한다.
생체 정보 획득부(15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생체 신호 감지 장치로부터 작업 현장의 작업 실무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안전 상태 진단부(120)는 작업 실무자의 생체 정보 측정값이 정상 범주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 실무자의 생체 정보 측정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의 이상으로 감지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작업 현장에 구비되는 장비의 상태, 업무 내용, 및 업체의 안전 관리 계획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한다(S300).
그리고 작업 현장 실무자의 보호 장구 착용 여부, 작업 현장의 안전 시설물 또는 작업용 도구의 동작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S310), 생성된 안전 관리 플랜에 포함되는 안전 점검 항목별 안전 진단 지수를 산출한다(S330).
이때,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작업 실무자의 체온 정보, 감전 정보, 맥박 정보, 혈압 정보, 움직임 정보, 산소 농도 정보, 알코올 농도 정보, 유해가스 정보,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획득하여(S320) 항목별 진단 지수를 산출하는 데 반영한다.
이후에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별로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진단한다(S340).
이때, 획득된 작업 실무자의 생체 정보 측정값이 정상 범주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 실무자의 생체 정보 측정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 이상으로 감지한다.
그리고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S350), 위험 요소 제거 지시 또는 이상이 감지된 안전 점검 항목에 대한 보완 지시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요청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보완한다(S360).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작업 현장 실무자 단말로 안전 상태 개선을 위해 필요한 교육 내용을 전송하거나, 안전 상태 개선 교육의 실시 일정을 더 공지한다(S370).
그리고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안전 관리 기준에 따른 작업 현장별 안전 관리 정보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제공한다(S380).
10 :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20 : 작업 현장 모니터링 장치
30 : 생체 신호 감지장치 40 : 실무자 단말 d,e,f..
50 :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g,h,i.. 60 : 보수 관리자 단말
70 : 협력사 서버a, b, c..
100 : 관리 플랜 생성부 110 :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
120 : 안전 상태 진단부 130 : 안전 상태 보완부
140 : 안전 관리 정보 제공부 150 : 생체 정보 획득부

Claims (10)

  1. 작업 현장에 구비되는 장비의 상태, 업무 내용, 및 업체의 안전 관리 계획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하는 안전 관리 플랜 생성부;
    작업 현장 실무자의 보호 장구 착용 여부, 작업 현장의 안전 시설물 또는 작업용 도구의 동작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안전 관리 플랜 생성부에서 생성된 안전 관리 플랜에 포함되는 안전 점검 항목별 안전 진단 지수를 산출하는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
    상기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에서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별로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진단하는 안전 상태 진단부; 및
    상기 안전 상태 진단부에서의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위험 요소 제거 지시 또는 이상이 감지된 안전 점검 항목에 대한 보완 지시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요청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보완하는 안전 상태 보완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관리 플랜의 안전 점검 항목은 작업 허가서의 구비 여부, 작업 허가서의 작성 상태 여부, 밀폐공간 또는 위험 구역의 사전 점검 여부, 안전 시설물 점검 여부, 및 작업용 도구의 이상 유무 점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관리 플랜은 업체별로 상이하게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에서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안전 관리 기준에 따른 작업 현장별 안전 관리 정보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안전 관리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관리 정보 제공부는 상기 안전 진단 지수 산출부에서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안전 관리 기준에 따른 작업 현장별 안전 관리 정보를 다른 협력사 서버로 더 제공하며,
    상기 안전 관리 정보 제공부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별 주요 위험 요소를 집계하고, 추가적으로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주요 점검 사항 및 이슈를 더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상태 보완부는,
    상기 안전 상태 진단부에서의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작업 현장 실무자 단말로 안전 상태 개선을 위해 필요한 교육 내용을 전송하거나, 안전 상태 개선 교육의 실시 일정을 더 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상태 보완부는 상기 안전 상태 진단부에서의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위험 요소 제거 지시 또는 이상이 감지된 안전 점검 항목에 대한 보완 지시를 보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작업 실무자의 체온 정보, 감전 정보, 맥박 정보, 혈압 정보, 움직임 정보, 산소 농도 정보, 알코올 농도 정보, 유해가스 정보,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상태 진단부는 상기 작업 실무자의 생체 정보 측정값이 정상 범주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작업 실무자의 생체 정보 측정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의 이상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7. 작업 현장에 구비되는 장비의 상태, 업무 내용, 및 업체의 안전 관리 계획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안전 관리 플랜을 생성하는 단계;
    작업 현장 실무자의 보호 장구 착용 여부, 작업 현장의 안전 시설물 또는 작업용 도구의 동작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생성된 안전 관리 플랜에 포함되는 안전 점검 항목별 안전 진단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현장 안전 점검 항목별로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위험 요소 제거 지시 또는 이상이 감지된 안전 점검 항목에 대한 보완 지시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요청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상태를 보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안전 관리 기준에 따른 작업 현장별 안전 관리 정보를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 관리 플랜의 안전 점검 항목은 작업 허가서의 구비 여부, 작업 허가서의 작성 상태 여부, 밀폐공간 또는 위험 구역의 사전 점검 여부, 안전 시설물 점검 여부, 및 작업용 도구의 이상 유무 점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관리 플랜은 업체별로 상이하게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산출되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안전 관리 기준에 따른 작업 현장별 안전 관리 정보를 다른 협력사 서버로 더 제공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안전 진단 지수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별 주요 위험 요소를 집계하고, 추가적으로 작업 현장 관리자 단말로 주요 점검 사항 및 이슈를 더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상태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작업 현장 실무자 단말로 안전 상태 개선을 위해 필요한 교육 내용을 전송하거나, 안전 상태 개선 교육의 실시 일정을 더 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작업 실무자의 체온 정보, 감전 정보, 맥박 정보, 혈압 정보, 움직임 정보, 산소 농도 정보, 유해가스 정보,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여부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작업 실무자의 생체 정보 측정값이 정상 범주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작업 실무자의 생체 정보 측정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상태 이상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80120666A 2018-10-10 2018-10-10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983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66A KR101983265B1 (ko) 2018-10-10 2018-10-10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66A KR101983265B1 (ko) 2018-10-10 2018-10-10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265B1 true KR101983265B1 (ko) 2019-09-09

Family

ID=6795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666A KR101983265B1 (ko) 2018-10-10 2018-10-10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265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027B1 (ko) * 2020-08-03 2021-02-24 이효배 사업장 안전관리수준 평가 시스템
CN112434943A (zh) * 2020-11-24 2021-03-02 中咨工程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安全质量咨询方法、系统、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226675B1 (ko) * 2020-08-20 2021-03-11 와이데이타서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7941B1 (ko) * 2020-06-09 2021-05-04 (주)클라우드랩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KR102354477B1 (ko) * 2021-03-04 2022-01-21 김동섭 장비인양작업시 장비선정 및 인양작업 안전성 검토 시스템
KR102363618B1 (ko) * 2021-06-17 2022-02-15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작업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421223B1 (ko) * 2022-05-24 2022-07-14 송예식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KR102438757B1 (ko) * 2021-04-27 2022-09-0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KR20220135741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위험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예방시스템
KR20220142136A (ko) * 2021-04-14 2022-10-21 도병국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20158968A (ko) 2021-05-25 2022-12-02 에스디랩코리아 주식회사 다중이용시설 안전 지수 스코어링 시스템 및 방법과 다중이용시설 안전 지수를 적용한 다중이용시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2265374A1 (ko) * 2021-06-17 2022-12-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481223B1 (ko) * 2022-05-12 2022-12-26 주식회사 위솔루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507442B1 (ko) * 2021-12-16 2023-03-09 박영란 환경 안전 보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215B1 (ko) 2012-08-29 2014-03-06 주식회사 맥스포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111124A (ko) * 2013-03-07 2014-09-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KR101451702B1 (ko) 2012-08-29 2014-10-21 주식회사 맥스포 휴대용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JP5621414B2 (ja) * 2010-08-26 2014-11-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設備管理方法
KR101485925B1 (ko) * 2012-12-03 2015-01-26 한국 전기안전공사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KR101717775B1 (ko) * 2016-10-17 2017-03-17 이성원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KR20180046813A (ko)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1414B2 (ja) * 2010-08-26 2014-11-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設備管理方法
KR101369215B1 (ko) 2012-08-29 2014-03-06 주식회사 맥스포 무선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51702B1 (ko) 2012-08-29 2014-10-21 주식회사 맥스포 휴대용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KR101485925B1 (ko) * 2012-12-03 2015-01-26 한국 전기안전공사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KR20140111124A (ko) * 2013-03-07 2014-09-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플랜트 공사현장 이상상황 관리장치
KR101717775B1 (ko) * 2016-10-17 2017-03-17 이성원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KR20180046813A (ko)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941B1 (ko) * 2020-06-09 2021-05-04 (주)클라우드랩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KR102220027B1 (ko) * 2020-08-03 2021-02-24 이효배 사업장 안전관리수준 평가 시스템
KR102226675B1 (ko) * 2020-08-20 2021-03-11 와이데이타서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434943A (zh) * 2020-11-24 2021-03-02 中咨工程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安全质量咨询方法、系统、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354477B1 (ko) * 2021-03-04 2022-01-21 김동섭 장비인양작업시 장비선정 및 인양작업 안전성 검토 시스템
KR20220135741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위험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예방시스템
KR102564687B1 (ko) 2021-03-31 2023-08-07 주식회사 포스코디엑스 위험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예방시스템
KR20220142136A (ko) * 2021-04-14 2022-10-21 도병국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507467B1 (ko) * 2021-04-14 2023-03-07 도병국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38757B1 (ko) * 2021-04-27 2022-09-0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KR20220158968A (ko) 2021-05-25 2022-12-02 에스디랩코리아 주식회사 다중이용시설 안전 지수 스코어링 시스템 및 방법과 다중이용시설 안전 지수를 적용한 다중이용시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63618B1 (ko) * 2021-06-17 2022-02-15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작업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WO2022265373A1 (ko) * 2021-06-17 2022-12-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작업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WO2022265374A1 (ko) * 2021-06-17 2022-12-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507442B1 (ko) * 2021-12-16 2023-03-09 박영란 환경 안전 보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481223B1 (ko) * 2022-05-12 2022-12-26 주식회사 위솔루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21223B1 (ko) * 2022-05-24 2022-07-14 송예식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265B1 (ko)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Mohandes et al. Developing a Holistic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assessment model: An application to a case of sustainable construction project
Lind Types and sources of fatal and severe non-fatal accidents in industrial maintenance
CN110329862B (zh) 一种基于云平台的电梯智能综合管理系统
Park et al. An analysis on safety risk judgment patterns towards computer vision based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N109508844B (zh) 一种用于协同作业的安全风险分析方法及系统
Rostykus et al. Managing ergonomics: Applying ISO 45001 as a model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102316815B1 (ko) 발주기관용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20160049232A (ko) 원전 건설 안전보건환경관리 프로세스 모델링 구축 방법
Dewi Investigation of Lockout/Tagout procedure failure in machine maintenance process
Ferrett Introduction to Health and Safety at Work Revision Cards
Vishwas et al. Hazards Ident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in Metro Railway Line Construction Project at Hyderabad
CN115392506A (zh) 一种化工安全检修作业的管理系统、方法及存储介质
Sadiq OHSAS 18001 Step by Step: A Practical Guide
KR20200009739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JP2004355295A (ja) 業務リスク対策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Fesenko et al. Risk-oriented approach to labor protection at grain process enterprises
Khairi Najmi Safety evaluation and risk assessment on a selected pipe welding services workshop for oil and gas industry/Khairi Najmi Mahusain
Mahusain Safety Evaluation and Risk Assessment on a Selected Pipe Welding Services Workshop for Oil and Gas Industry
Machfudiyanto et al. Development of a Risk-Control Safety Program as an Architectural Contractor Guideline on Flats Project.
JP2007102418A (ja) 安全作業システム
Dadgar Risk Assessment and Analysis in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al (HSE) Hazards of Bitumenous Waterproofing Industry Using HAZID Technique
CN116862242B (zh) 一种以不安全作业行为评估区域风险等级的方法和系统
Sharma et al. Safety management and hazards control measures in 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