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775B1 -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775B1
KR101717775B1 KR1020160134431A KR20160134431A KR101717775B1 KR 101717775 B1 KR101717775 B1 KR 101717775B1 KR 1020160134431 A KR1020160134431 A KR 1020160134431A KR 20160134431 A KR20160134431 A KR 20160134431A KR 101717775 B1 KR101717775 B1 KR 101717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sensor
fire
analysis
over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이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원 filed Critical 이성원
Priority to KR1020160134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31/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02H3/16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for ac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화재의 원인인 아크와 전기위험요소인 누설전류, 과전류 및 합선 등을 사전에 감지하여 전기적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전력 공급을 즉각 차단함과 동시에 전기적 이상에 대한 진단 및 복구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빌딩, 상가, 학교, 공공건물 및 숙박시설을 포함하는 건축물, 사찰, 시장, 문화재 및 한옥을 포함하는 화재취약지구 및 공장을 포함하는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기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화재 위험 감지 시 차단기를 작동시키며, 이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 및 차단기 작동 상태를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전기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도록 하는 지능형 분전반 및 상기 지능형 분전반을 통한 모니터링에서 이상 징후 발견 시 관리자 단말기로 알림 전송을 하여 방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System for Analysising and Predicting Electric Fire using Intelligent Pre-signal Analysis}
본 발명은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화재의 원인인 아크와 전기위험요소인 누설전류, 과전류 및 합선 등을 사전에 감지하여 전기적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전력 공급을 즉각 차단함과 동시에 전기적 이상에 대한 진단 및 복구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국내의 화재 발생 현황을 보면 매년 3만 건 이상의 화재가 발생하고 그 중 약 30% 이상이 전기에 의한 화재로 알려져 있을 만큼 전기 화재가 빈번한 실정이며, 특히 공장이나 대형 쇼핑몰과 같이 전력 사용량이 많은 곳에서 전기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엄청난 재산 피해와 인명 피해가 초래하기 때문에 항상 화재 예방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한편, 최근까지도 국내에서는 전기 화재의 주요 원인이 되는 합선이나 누전에 의한 화재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극적인 화재 예방 조치였으나, 전기 선로의 경우에는 주로 건축물의 벽체 내부에 은폐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기 선로의 합선이나 누전을 완벽하기 예방하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합선이 원인이 전기 선로 상에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것임이 알려지면서 아크의 발생 원인이 되는 전기 배선 상의 절연 파괴, 연결결합, 노화현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아크의 정확한 검출 및 차단에 대한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화재 예방 안전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차단기로는 전기화재 원인인 단락이나 접촉 불량 등으로 발생한 아크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12648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화재의 원인인 아크와 전기위험요소인 누설전류, 과전류 및 합선 등을 사전에 감지하여 전기적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전력 공급을 즉각 차단함과 동시에 전기적 이상에 대한 진단 및 복구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중앙관리서버 및 각 지역 본부와 지사의 원격통합서버를 전국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화재 예방을 위해 아크 검출기를 설치한 장소의 아크 발생 여부 및 누전이나 과부하를 24시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아크 발생 즉시, 해당 아크 검출기가 설치된 지역의 전력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안전 요원을 긴급 출동시켜 전기 이상 원인을 진단, 복구함으로써, 전기 화재를 미리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은, 빌딩, 상가, 학교, 공공건물 및 숙박시설을 포함하는 건축물, 사찰, 시장, 문화재 및 한옥을 포함하는 화재취약지구 및 공장을 포함하는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기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화재 위험 감지 시 차단기를 작동시키며, 이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 및 차단기 작동 상태를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전기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도록 하는 지능형 분전반 및 상기 지능형 분전반을 통한 모니터링에서 이상 징후 발견 시 관리자 단말기로 알림 전송을 하여 방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능형 분전반은, 누전검출 및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회로와, 차단기 상태 감시회로와, 아크검출 센서와, 과전류검출 센서와, 누설전류검출 센서를 구비한 센서차단기; 및 아크, 누전, 과전류에 의한 전기화재 예방과 실시간 전기 사용량 감시를 통한 트랜드 분석이 이루어지며, 수집된 전류 신호를 분석하여 고주파, 고조파, 실효값, 영점지연 및 지속시간에 대한 복합 감시를 통하여 아크 검출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차단기에 내장된 차단기를 제어하는 분석예측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차단기는, 누전검출 및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회로를 구비한 별도의 차단기와 아크검출 센서와, 과전류검출 센서와, 누설전류검출 센서를 구비한 별도의 센서박스가 각각 구비되어 서로 전선으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석예측보드는, 아크검출 센서와, 과전류검출 센서와, 누설전류검출 센서의 센싱 값을 입력받는 센서입력부; 상기 센서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포함하여,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경보 요소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센서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경보 요소가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음성출력부; 상기 센서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포함하여,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데이터를 중앙관리서버로 전송시키는 통신모듈부; 및 상기 센서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포함하여,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경보 요소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음성출력부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포함하여,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데이터가 통신모듈부를 통하여 중앙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분석예측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에 따르면, 전기화재의 원인인 아크와 전기위험요소인 누설전류, 과전류 및 합선 등을 사전에 감지하여 전기적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전력 공급을 즉각 차단함과 동시에 전기적 이상에 대한 진단 및 복구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중앙관리서버 및 각 지역 본부와 지사의 원격통합서버를 전국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화재 예방을 위해 아크 검출기를 설치한 장소의 아크 발생 여부 및 누전이나 과부하를 24시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아크 발생 즉시, 해당 아크 검출기가 설치된 지역의 전력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안전 요원을 긴급 출동시켜 전기 이상 원인을 진단, 복구함으로써, 전기 화재를 미리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을 구성하는 지능형 분전반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분전반을 구성하는 분석예측 보드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아크 발생 시 전압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은 아크 발생 시 전류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능형 분전반(100), 중앙관리 서버(300), 관리자 단말기(500) 및 원격통합서버(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은 빌딩, 상가, 학교, 공공건물 및 숙박시설을 포함하는 건축물, 사찰, 시장, 문화재 및 한옥을 포함하는 화재취약지구 및 공장을 포함하는 산업현장에 설치될 수 있다.
빌딩, 아파트, 학교 등 건축물의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의 구성은 층별 지능형 분전반을 설치하여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고, 플랜트 시설 등 공장에서의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의 구성은 건물별 지능형 분전반을 설치하여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전통시장에서의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의 구성은 점포별로 소규모의 지능형 분전반을 설치하여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고, 야영장, 캠핑장, 휴양림, 관광농원 등에서의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의 구성은 개별 지능형 분전반을 설치한 후 통합 운영센터를 통해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건축물, 화재취약지구 및 산업현장에 설치되었던 기존의 분전반을 본원 발명에 따른 지능형 분전반(100)으로 교체하여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분전반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분전반(100)을 신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분전반(100)을 통하여 아크 검출, 과부하 방지, 과전류 차단, 전기 사용량 및 트랜드 모니터링, 전기사용 상태 경보 등을 제공하고, 중앙관리서버(300)에서 지능형 분전반(100)의 모니터링에 따른 이상 징후 발견 시 관리자 단말기(500)로 출동 지시를 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지능형 분전반(100)이 설치된 현장을 방문하여, 점검 등 현장에서의 이상 조치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분전반(100)은 R.S.T 상의 원선에서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기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화재 위험 감지 시 차단기를 작동시키며, 이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 및 차단기 작동 상태를 중앙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전기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능형 분전반(1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체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센서차단기(110)와 분석예측보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차단기(110)는 입력 R.S.T 상에 연결되어 각종 전기설비의 전기화재징후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하여, 아크, 과전압, 과전류, 누전, 전선의 온도변화추이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확인하는 것으로, 누전 검출 및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회로와, 차단기 상태 감시회로와, 아크검출 센서와, 과전류검출 센서와, 누설전류검출 센서 등을 구비한다.
분석예측보드(150)는 아크, 누전, 과전류에 의한 전기화재 예방과 실시간 전기 사용량 감시를 통한 트랜드 분석이 이루어지며, 수집된 전류 신호를 분석하여 고주파, 고조파, 실효값, 영점지연 및 지속시간에 대한 복합 감시를 통하여 아크 검출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차단기(110)에 내장된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참고로, 과전압 검출은 R.S.T 상에 각각 연결된 변압기(TransFormer)들의 입력전압 및 출력전압 간 차이와 설정된 전압 값을 비교하여, 과전압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고, 아크 검출은 R.S.T상에 연결된 CT(Current Transformer) 전류감지센서에 흐르는 전류 값과 설정된 아크 전류 값을 비교하여 아크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과전류 검출은 R.S.T상에 연결된 전류감지센서에 흐르는 전류 값과 설정된 과전류 검출 값을 비교하여, 과전류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누전 검출은 전기분전반의 R.S.T상 및 분기회로에 연결된 ZCT(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 센서에 흐르는 전류 값과 설정된 누전 검출 값을 비교하여, 누전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온도변화 검출은 서미스터 소자 또는 온도 센서 IC를 이용하여 R.S.T 상의 마그네틱, 누전 차단기(ELB) 또는 부스바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와 서미스터 소자 또는 온도센서 IC의 온도 테이블과 비교분석하여, 온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센서차단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전검출 및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회로를 구비한 별도의 차단기(113)와 아크검출 센서와, 과전류검출 센서와, 누설전류검출 센서를 구비한 별도의 센서박스(115)가 각각 구비되어 서로 전선으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건축물, 화재취약지구 및 산업현장에 설치되었던 차단기만 구비된 기존의 분전반을 본원 발명에 따른 지능형 분전반(100)으로 교체할 필요 없이, 센서박스(115)만 별도로 추가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분전반(100)을 기능을 동일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석예측보드(15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입력부(151), 분석예측 제어부(153), 디스플레이(155), 음성출력부(157) 및 통신모듈부(1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입력부(151)는 센서차단기(110)에 구비된 아크검출 센서와, 과전류검출 센서와, 누설전류검출 센서의 센싱 값을 입력받는다.
디스플레이(155)는 LCD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센서입력부(151)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포함하여,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경보 요소가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음성출력부(157)는 스피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센서입력부(151)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경보 요소가 청각적으로 표시된다.
통신모듈부(159)는 Zigbee, Lan, Wlan, 3G, 4G, RS485 등의 유/무선 통신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센서입력부(151)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포함하여,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데이터를 중앙관리서버(300)로 전송시킨다.
분석예측 제어부(153)는 상기 센서입력부(151)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포함하여,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경보 요소가 디스플레이(155)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음성출력부(157)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입력부(151)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포함하여,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데이터가 통신모듈부(159)를 통하여 중앙관리서버(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중앙관리 서버(300)는 상기 지능형 분전반(100)을 통한 모니터링에서 이상 발생 여부 정보 또는 전기화재징후 발생 여부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미도시)하며, 이상 징후 발견 시 이를 모니터링하는 관제 요원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감시 대상물에서의 이상 발생정보 또는 전기화재징후 발생정보를 현장 인근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기(500)로 즉시 알림 전송을 하여 현장 방문 조치에 따른 이상 발생 징후 또는 전기화재징후를 처리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중앙관리서버(300)에서는 해당 지역을 총괄하는 지역본부나 또는 전 지역을 총괄하는 본사의 원격통합서버(700)에 이상 발생 여부 정보 또는 전기화재징후 발생 여부 정보를 보고하게 된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수집된 전류 신호를 분석하여 고주파, 고조파, 실효값, 영점지연 및 지속시간에 대한 복합 감시를 통하여 아크 검출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차단기(110)에 내장된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고역통과필터 사용 시 특정 대역의 고주파 발생 비율을 검출하고, 부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상태와 동일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아크 상태에서의 고조파 발생을 검출하고, 전류 실효값의 변화량을 감시하고, 아크 사고 발생 시 영점 교차부분에서 지연되는 현상을 검출하고, 아크 또는 스파크의 지속시간을 측정한다.
아울러, 아크 검출을 판단하기 위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회로의 출력 전류의 전류 파형을 취득하여, 아크 검출에 따른 이상 발생 특유의 파형적 특징을 추출 분석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검출 소자들에 의해 전기적 이상 신호가 검출되면 분석예측보드(150)는 센서차단기(110)에서 보내온 신호를 처리하여 사전에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상 값과 비교, 분석 후 아크 검출에 의한 화재 가능성의 판정을 내리게 된다.
이때, 고주파, 고조파, 실효값, 영점지연 및 지속시간들 전부에서 전기적 이상 신호가 검출되어야만 아크 검출에 의한 화재 가능성의 판정을 내릴 수 있다.
그리하여 화재 가능성이 있는 아크 신호로 판정되면, 분석예측보드(150)는 경보 요소가 디스플레이(155)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음성출력부(157)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아크 검출 신호를 중앙관리서버(300)로 송신함과 동시에 자체 제어할 수 있는 차단기를 작동시켜 해당 전기 선로에 전기 공급을 즉각적으로 차단하여 적극적인 화재 예방 조치를 취하게 된다.
또한, 유/무선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아크 검출 신호를 중앙관리서버(300)로 송신함과 동시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던 경고문을 SMS를 통해 사전에 저장된 해당 전력 부하의 사용자에게 아크 검출에 따른 화재 위험 경보를 송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기 화재 가능성을 조기에 인지시켜, 실제 화재 발생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에 따른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분석예측보드(150)로부터 아크 검출 신호를 전달받은 중앙관리서버(300)에서는 즉시 관리자 단말기(500)를 소지한 관리자를 해당 지능형 분전반(100)으로 긴급 출동시켜 아크가 검출된 해당 선로의 진단 및 복구를 지시할 수 있다.
이어서, 중앙관리서버(300)로부터 출동 지시를 받은 관리자는 아크 신호가 검출된 전기 선로 및 해당 지능형 분전반에 대하여 이상 유무를 면밀히 진단한 후 아크 발생 위치를 진단, 복구하고 그 결과를 중앙관리센터(300)에 유/무선 통신수단으로 보고함으로써, 아크 발생에 따른 화재 위험을 방지하게 되며, 중앙관리센터(300)에서는 관리자의 처리 결과를 그 상위 기관인 지역본부나 본사의 원격통합서버(700)에 다시 보고함으로써, 아크 발생에 따른 화재 위험 지역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화재 예방에 필요한 조치를 적극적으로 취하기 때문에 아크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원 발명에서는 과전류 경보를 단계 별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 용량의 80% 이상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지속하거나 또는 10mA 이상에서 1분 지속을 하면 1차 경보를, 차단기 용량의 100% 이상에서 15분 내지 30분 지속하거나 또는 15mA 이상에서 1분 지속을 하면 2차 경보를, 차단기 용량의 120% 이상에서 10분 내지 20분 지속하거나 또는 20mA 이상에서 1분 지속을 하면 3차 경보를 하여, 즉시 전기를 차단시키는 것이 아닌, 앞으로 차단될 것이라는 예측이 되도록 함으로써, 중요성이 떨어지는 부하부터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화재의 원인인 아크와 전기위험요소인 누설전류, 과전류 및 합선 등을 사전에 감지하여 전기적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전력 공급을 즉각 차단함과 동시에 전기적 이상에 대한 진단 및 복구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중앙관리서버 및 각 지역 본부와 지사의 원격통합서버를 전국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화재 예방을 위해 아크 검출기를 설치한 장소의 아크 발생 여부 및 누전이나 과부하를 24시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아크 발생 즉시, 해당 아크 검출기가 설치된 지역의 전력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안전 요원을 긴급 출동시켜 전기 이상 원인을 진단, 복구함으로써, 전기 화재를 미리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지능형 분전반 110: 센서차단기
150: 분석예측보드 153: 분석예측 제어부
300: 중앙관리서버 500: 관리자 단말기
700: 원격통합서버

Claims (4)

  1. 빌딩, 상가, 학교, 공공건물 및 숙박시설을 포함하는 건축물, 사찰, 시장, 문화재 및 한옥을 포함하는 화재취약지구 및 공장을 포함하는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기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화재 위험 감지 시 차단기를 작동시키며, 이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 및 차단기 작동 상태를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전기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도록 하는 지능형 분전반; 및 상기 지능형 분전반을 통한 모니터링에서 이상 징후 발견 시 관리자 단말기로 알림 전송을 하여 방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능형 분전반은, 누전검출 및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회로와, 차단기 상태 감시회로와, 아크검출 센서와, 과전류검출 센서와, 누설전류검출 센서를 구비한 센서차단기; 및 아크, 누전, 과전류에 의한 전기화재 예방과 실시간 전기 사용량 감시를 통한 트랜드 분석이 이루어지며, 수집된 전류 신호를 분석하여 고주파, 고조파, 실효값, 영점지연 및 지속시간에 대한 복합 감시를 통하여 아크 검출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차단기에 내장된 차단기를 제어하는 분석예측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석예측보드는, 아크검출 센서와, 과전류검출 센서와, 누설전류검출 센서의 센싱 값을 입력받는 센서입력부; 상기 센서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포함하여,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경보 요소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센서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경보 요소가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음성출력부; 상기 센서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포함하여,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데이터를 중앙관리서버로 전송시키는 통신모듈부; 및 상기 센서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포함하여,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경보 요소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음성출력부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서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센싱 값에 따른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포함하여, 누설전류, 아크 및 과전류에 따른 데이터가 통신모듈부를 통하여 중앙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분석예측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역통과필터 사용 시 특정 대역의 고주파 발생 비율을 검출하고, 부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상태와 동일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아크 상태에서의 고조파 발생을 검출하고, 전류 실효값의 변화량을 감시하고, 아크 사고 발생 시 영점 교차부분에서 지연되는 현상을 검출하고, 아크 또는 스파크의 지속시간을 측정하며;
    아크 검출을 판단하기 위하여, 해당 회로의 출력 전류의 전류 파형을 취득하여, 아크 검출에 따른 이상 발생 특유의 파형적 특징을 추출 분석하고;
    검출 소자들에 의해 전기적 이상 신호가 검출되면 분석예측보드는 센서차단기에서 보내온 신호를 처리하여 사전에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상값과 비교, 분석 후 아크 검출에 의한 화재 가능성의 판정을 내리게 되며;
    고주파, 고조파, 실효값, 영점지연 및 지속시간들 전부에서 전기적 이상 신호가 검출되어야만 아크 검출에 의한 화재 가능성의 판정을 내리고;
    화재 가능성이 있는 아크 신호로 판정되면, 분석예측보드는 경보 요소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음성출력부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아크 검출 신호를 중앙관리서버로 송신함과 동시에 자체 제어할 수 있는 차단기를 작동시켜 해당 전기 선로에 전기 공급을 즉각적으로 차단하여 화재 예방 조치를 취하게 되며;
    과전류 경보는 차단기 용량의 80% 이상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지속하거나 또는 10mA 이상에서 1분 지속을 하면 1차 경보를, 차단기 용량의 100% 이상에서 15분 내지 30분 지속하거나 또는 15mA 이상에서 1분 지속을 하면 2차 경보를, 차단기 용량의 120% 이상에서 10분 내지 20분 지속하거나 또는 20mA 이상에서 1분 지속을 하면 3차 경보를 하여, 즉시 전기를 차단시키는 것이 아닌, 앞으로 차단될 것이라는 예측이 되도록 함으로써, 중요성이 떨어지는 부하부터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차단기는, 누전검출 및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회로를 구비한 별도의 차단기와 아크검출 센서와, 과전류검출 센서와, 누설전류검출 센서를 구비한 별도의 센서박스가 각각 구비되어 서로 전선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4. 삭제
KR1020160134431A 2016-10-17 2016-10-17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KR101717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431A KR101717775B1 (ko) 2016-10-17 2016-10-17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431A KR101717775B1 (ko) 2016-10-17 2016-10-17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775B1 true KR101717775B1 (ko) 2017-03-17

Family

ID=5850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431A KR101717775B1 (ko) 2016-10-17 2016-10-17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775B1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718B1 (ko) * 2017-06-28 2018-02-02 (주)대신피아이씨 지능형 통합 사전 전기재해 분석 및 안전 자가진단기능이 내장된 원격 자동제어감시반
KR101856479B1 (ko) 2017-09-15 2018-06-19 주식회사 에프에스 전통시장 화재 예방을 위한 화재 감지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9074B1 (ko) * 2017-11-22 2018-11-15 허윤경 스마트 전기 화재 예방 시스템
CN109299667A (zh) * 2018-08-30 2019-02-01 安徽北斗易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电气消防安检便携式检测装置
KR101946609B1 (ko) * 2018-05-10 2019-02-11 주식회사 알티자동화 맞춤형 화재인식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946616B1 (ko) * 2018-05-14 2019-02-11 주식회사 알티자동화 지능형 화재인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377704A (zh) * 2018-12-08 2019-02-22 湖南明盛高新科技有限公司 一种电气设备专用的节能型电气火灾探测器
KR20190081712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스솔루션 재난 경보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6201B1 (ko) 2019-01-16 2019-08-01 (주)하이텍엔지니어링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KR102008472B1 (ko) * 2018-12-19 2019-08-07 (주)대신피아이씨 IoT 기반의 전기 수용가별 실시간 원격 관리 및 경보 출동 시스템
KR101983265B1 (ko) * 2018-10-10 2019-09-09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077651B1 (ko) * 2019-06-05 2020-02-14 김영수 Ict 분전반 위험 상황 예측 감시 시스템
KR20200082450A (ko) 2018-12-28 2020-07-08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장화재 감지 안내 시스템
KR102156751B1 (ko) * 2020-04-01 2020-09-16 주식회사 주왕산업 전기 화재 단계별 감시 시스템
JP2020193916A (ja) * 2019-05-29 2020-12-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プログラム、及び分電盤
CN112337029A (zh) * 2020-09-30 2021-02-09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大型倒t型坞门的消防监控系统
CN112513653A (zh) * 2018-03-20 2021-03-16 维斯科尔实验室股份有限公司 对电气布线中火灾之前的放电的检测
KR20210083418A (ko) 2019-12-26 2021-07-07 한국국토정보공사 건물의 화재 예측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327165B1 (ko) * 2020-07-21 2021-11-16 대한민국 누전차단기의 전류신호에 기초한 전기화재 분류 방법 및 시스템
CN114460867A (zh) * 2022-01-22 2022-05-10 浙江东昊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寺庙用智慧用电系统
KR20220087098A (ko) * 2020-12-17 2022-06-24 김동주 Fm 재변조기
KR20220087105A (ko) * 2020-12-17 2022-06-24 김동주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CN116943087A (zh) * 2023-09-20 2023-10-27 伊发控股集团有限公司 5g断路器的控制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488A (ko) 2008-06-04 2009-12-09 권영민 모니터링이 가능한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KR20150133880A (ko) * 2014-05-20 2015-12-01 한국 전기안전공사 태양광 발전설비용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587530B1 (ko) * 2015-06-03 2016-01-21 주식회사 효성전기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60056540A (ko) * 2014-11-12 2016-05-20 박양석 수배전반 유지보수를 위한 감시제어장치 및 방법
KR101645647B1 (ko) * 2014-01-07 2016-08-05 권기령 실시간 다중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488A (ko) 2008-06-04 2009-12-09 권영민 모니터링이 가능한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KR101645647B1 (ko) * 2014-01-07 2016-08-05 권기령 실시간 다중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기
KR20150133880A (ko) * 2014-05-20 2015-12-01 한국 전기안전공사 태양광 발전설비용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60056540A (ko) * 2014-11-12 2016-05-20 박양석 수배전반 유지보수를 위한 감시제어장치 및 방법
KR101587530B1 (ko) * 2015-06-03 2016-01-21 주식회사 효성전기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718B1 (ko) * 2017-06-28 2018-02-02 (주)대신피아이씨 지능형 통합 사전 전기재해 분석 및 안전 자가진단기능이 내장된 원격 자동제어감시반
KR101856479B1 (ko) 2017-09-15 2018-06-19 주식회사 에프에스 전통시장 화재 예방을 위한 화재 감지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9074B1 (ko) * 2017-11-22 2018-11-15 허윤경 스마트 전기 화재 예방 시스템
KR20190081712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스솔루션 재난 경보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2406B1 (ko) * 2017-12-29 2019-10-15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스솔루션 재난 경보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513653A (zh) * 2018-03-20 2021-03-16 维斯科尔实验室股份有限公司 对电气布线中火灾之前的放电的检测
KR101946609B1 (ko) * 2018-05-10 2019-02-11 주식회사 알티자동화 맞춤형 화재인식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946616B1 (ko) * 2018-05-14 2019-02-11 주식회사 알티자동화 지능형 화재인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299667A (zh) * 2018-08-30 2019-02-01 安徽北斗易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电气消防安检便携式检测装置
KR101983265B1 (ko) * 2018-10-10 2019-09-09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09377704A (zh) * 2018-12-08 2019-02-22 湖南明盛高新科技有限公司 一种电气设备专用的节能型电气火灾探测器
KR102008472B1 (ko) * 2018-12-19 2019-08-07 (주)대신피아이씨 IoT 기반의 전기 수용가별 실시간 원격 관리 및 경보 출동 시스템
KR20200082450A (ko) 2018-12-28 2020-07-08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장화재 감지 안내 시스템
KR102006201B1 (ko) 2019-01-16 2019-08-01 (주)하이텍엔지니어링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JP2020193916A (ja) * 2019-05-29 2020-12-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プログラム、及び分電盤
JP7403082B2 (ja) 2019-05-29 2023-12-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プログラム、及び分電盤
KR102077651B1 (ko) * 2019-06-05 2020-02-14 김영수 Ict 분전반 위험 상황 예측 감시 시스템
KR20210083418A (ko) 2019-12-26 2021-07-07 한국국토정보공사 건물의 화재 예측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156751B1 (ko) * 2020-04-01 2020-09-16 주식회사 주왕산업 전기 화재 단계별 감시 시스템
KR102327165B1 (ko) * 2020-07-21 2021-11-16 대한민국 누전차단기의 전류신호에 기초한 전기화재 분류 방법 및 시스템
CN112337029A (zh) * 2020-09-30 2021-02-09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大型倒t型坞门的消防监控系统
KR20220087098A (ko) * 2020-12-17 2022-06-24 김동주 Fm 재변조기
KR20220087105A (ko) * 2020-12-17 2022-06-24 김동주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434833B1 (ko) * 2020-12-17 2022-08-19 김동주 Fm 재변조기
KR102449971B1 (ko) * 2020-12-17 2022-09-30 김동주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CN114460867A (zh) * 2022-01-22 2022-05-10 浙江东昊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寺庙用智慧用电系统
CN116943087A (zh) * 2023-09-20 2023-10-27 伊发控股集团有限公司 5g断路器的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6943087B (zh) * 2023-09-20 2023-12-19 伊发控股集团有限公司 5g断路器的控制方法及相关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775B1 (ko)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KR101824718B1 (ko) 지능형 통합 사전 전기재해 분석 및 안전 자가진단기능이 내장된 원격 자동제어감시반
KR102008472B1 (ko) IoT 기반의 전기 수용가별 실시간 원격 관리 및 경보 출동 시스템
KR100543891B1 (ko) 유비쿼터스 기능을 갖는 전기안전 차단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423559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열화감시영상시스템
KR101708005B1 (ko)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KR101225125B1 (ko) 전기품질 감시분석을 통한 사고예측 진단기능이 있는 원격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049901A (zh) 电控和保护设备
US10761129B2 (en) Electrical power supply panel with increased safety through monitoring and control
KR100763881B1 (ko) 차단기 동작시간 측정용 디지털 진단방법
KR100714998B1 (ko) 아크 검출을 이용한 전기 화재 예방 시스템
KR20190081712A (ko) 재난 경보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0586B1 (ko) IoT 기반의 부하장치와 스마트분전반을 이용한 전로와 부하의 고장 상태 추정 방법 및 장치
KR101713076B1 (ko) 전력설비 보호계전기의 보호요소 계측값 및 동작상태 표시 시스템
KR20180070208A (ko) 전력선 및 배전 설비의 이상 검출 시스템
CN104777398A (zh) 包括警报诊断显示器的绝缘监测的方法及设备
KR102234242B1 (ko)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
KR101510676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방전감시 영상시스템
KR101205048B1 (ko) 전기 안전 모니터링 장치
KR102579941B1 (ko) 스마트 파력원격제어기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결상위치 검출 및 차단이 용이한 전력설비 보호용 수배전반
KR100815208B1 (ko) 무인화 변전소 경보시스템 및 무인화 변전소 경보제어방법
KR20210001515A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020038B1 (ko) 전기적 이상상태 감지기능을 구비한 모터 제어반
CN206789012U (zh) 剩余电流式电气火灾监测报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