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005B1 -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005B1
KR101708005B1 KR1020150008910A KR20150008910A KR101708005B1 KR 101708005 B1 KR101708005 B1 KR 101708005B1 KR 1020150008910 A KR1020150008910 A KR 1020150008910A KR 20150008910 A KR20150008910 A KR 20150008910A KR 101708005 B1 KR101708005 B1 KR 101708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overload
ground
uni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9225A (ko
Inventor
소병수
소영주
Original Assignee
소병수
소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병수, 소영주 filed Critical 소병수
Priority to KR102015000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0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for dc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전원선로에서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접속불량) 또는 병렬아크(합선) 또는 접지아크(누전) 또는 단선여부를 감지하여 이상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출되는 신호 즉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 또는 병렬아크 또는 접지아크가 또는 단선이 발생할 경우 신호의 물리량 변화 즉 전압, 전류, 임펄스의 크기, 발생빈도, 지속시간, 숄더,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정상파형과 이상파형을 구분하고, 이상파형으로 판단될 경우 기 설정된 설정 값 보다 클 경우, 직류 선로계통의 결함으로 판단하여 차단 동작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분석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매체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통신으로 연계되는 외부 매체에서 직류 전원계통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태감시를 포함한 안전지수 계수화 및 화재예측 지수화 등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직류전원의 건전성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DC OVERLOAD AND COMBINED ARC INTERRUPTION DEVICE}
본 발명은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류전원 선로 또는 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차단하는 안전장치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직류전원선로에서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접속불량) 또는 병렬아크(합선) 또는 접지아크(누전) 또는 단선여부를 감지하여 결함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류전원 선로의 안전장치로 과부하차단기, 누전차단기, 아크차단기 등이 있으며, 선로 또는 기기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신속히 전원을 차단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어 의무적으로 안전장치인 차단기를 교류전원 선로에 설치하고 있다.
직류전원은 일반적으로 비상전원 또는 기기 동작 전원 또는 제어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교류전원이 상실될 경우 비상용으로 공급되는 전원이므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최근에는 그린에너지로 태양광, 풍력, 조력, 바이오 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그린에너지는 직류 전기를 생산하여 교류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대체에너지인 그린에너지를 생산하는 설비가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비상전원(직류전원)은 평상시 사용하지 않아 건전성 확보가 곤란하고 고장발생시 신속한 복구가 어려운 반면 일반적으로 비접지 방식이며, 이상발생시 급속하게 고장확대로 진행되므로 항상 비상전원의 건전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관련 법규를 보면, 직류전원 선로에는 안전장치를 법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며 직류전용의 과부하차단기, 누전차단기, 아크차단기 등의 보호장치가 없어 직류전원 선로에 교류용 차단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직류전원 선로에 교류용 차단기를 사용함으로써 직류전원 선로 또는 기기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교류와 직류의 전기적 특성이 다르므로 자동으로 차단하는 안전장치로서의 구실을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직류전원 선로에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접속불량) 또는 병렬아크(합선) 또는 접지아크(누전) 또는 단선 등 결함이 발생할 경우, 보호가 되지 않아 기기손상, 고장확대, 화재발생 등으로 이어지고 있어 직류선로에서 직류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차단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2014-0095184호 (2014.08.01. 공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직류전원계통의 선로에서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접속불량) 또는 병렬아크(합선) 또는 접지아크(누전) 또는 단선이 발생할 경우 신호의 물리량 변화 즉, 전압, 전류, 임펄스의 크기, 발생빈도, 지속시간, 숄더,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정상파형과 이상파형을 구분하고, 이상파형으로 판단될 경우 기설정된 설정 값보다 클 때 직류 선로계통의 결함으로 판단하여 차단 동작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모든 분야 즉, 소방, 국방, 문화재, 국가중요시설, 발전소, 변전소, 가스, 화학, 통신, 지하철, 병원, 빌딩, 다중이용시설의 직류전원과 관련한 화재예방 또는 재난예방을 위한 산업안전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차단장치의 통신부는 분석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매체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으로 연계되는 외부 매체에서 직류 전원계통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태감시를 포함한 안전지수 계수와 및 화재예측 지수화 등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는 결함발생시 0.05초 또는 0.03초 이내에 신속히 선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는 직류전원계통의 선로에서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 또는 병렬아크 또는 접지아크 또는 단선이 발생할 경우 선로의 물리량 변화 즉, 전압, 전류, 임펄스의 크기, 발생빈도, 지속시간, 숄더,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정상파형과 이상파형을 구분하고, 이상파형으로 판단될 경우, 기설정된 설정 값보다 클 때 직류 선로계통의 결함으로 판단하여 차단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는 직류 선로에 과부하 또는 아크 결함이 발생하였는지를 복수의 검출센서를 통해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신호를 증폭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기준으로 기준파형 대비 변화되는 물리량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의 제어를 받아 조작기능이 있는 LED 또는 LCD 표시창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분석부의 제어를 받아 과부하 또는 직렬/병렬/접지아크 또는 단선이 발생할 때, 보이스 및 경광등 형태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 상기 분석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분석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과부하 또는 직/병렬아크 또는 양극(+)접지 또는 음극(-)접지 또는 양/음극(+, -) 동시접지 시에 차단여부를 판단하는 선택부; 상기 분석부의 제어를 받아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과부하, 직렬/병렬/접지 아크를 발생시켜 상기 차단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시험하는 시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검출부는 CT, ZCT, 홀센서 중 어느 하나와 접지검출기 및 단선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접지검출기는 R1, R2, R3로 구성하여 R1 = R2로 이루어져 전원에 병렬로 연결하고, R3는 R1과 R2의 중간에 연결하여 접지하며, 상기 단선검출기는 직류전원 선로의 말단에 저항 R4를 전원에 병렬로 연결하여 선로의 단선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분석부는 검출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 또는 병렬아크 또는 접지아크 또는 단선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할 때, 전압, 전류, 임펄스의 크기, 발생빈도, 지속시간, 숄더,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신호의 물리량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정상파형과 이상파형을 구분하며, 이상파형으로 판단될 시에 기설정한 설정 값보다 클 때에는 직류 선로계통의 결함으로 판단하여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분석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 데이터를 인가하며, 인가되는 데이터를 통해 외부 기기에서 직류 전원계통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태감시를 포함한 안전지수 계수화 및 화재예측 지수화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택부는 과부하 또는 양극(+) 접지 또는 음극(-) 접지 또는 양,음극(+, -) 동시접지 또는 아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경우가 발생하였을 시에 이의 차단 여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표시부는 직류 선로의 회로 상태와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 또는 병렬아크 또는 접지아크 또는 단선에 따른 결함발생 상태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조작 기능을 포함하는 LCD 또는 LED 형태로 구성되며,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직류전원 선로에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접속불량) 또는 병렬아크(합선) 또는 접지아크(누전) 또는 단선 등 결함이 발생할 경우 선로를 신속히 차단하여 선로 또는 기기를 보호하고 기기손상, 고장확대 화재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모든 분야 즉, 소방, 국방, 문화재, 국가중요시설, 발전소, 변전소, 가스, 조선, 제철, 화학, 통신, 지하철, 병원, 빌딩, 다중 이용시설의 직류전원과 관련한 화재예방 또는 재난예방을 위한 산업안전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차단장치의 통신부는 분석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매체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으로 연계되는 외부 매체에서 직류 전원계통의 건전성 상태감시를 포함한 안전지수 계수화 및 화재예측 지수화 등의 관리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지수화에 따른 고장상태, 진행 추이 또는 고장예측에 따른 고장원인을 신속히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고, 직류전원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직류전원의 안전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의 직, 병렬 및 접지 아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의 접지검출기 및 단선검출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의 직, 병렬 및 접지 아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의 접지검출기 및 단선검출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검출부(110), 변환부(120), 분석부(130), 표시부(140), 경보부(150), 통신부(160), 선택부(170), 차단부(180) 및 시험부(190)로 구성되어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접속아크) 또는 병렬아크(합선) 또는 접지아크(누전) 또는 단선 등의 결함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신호 검출하여 정상파형과 이상파형을 구분하고, 이상파형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설정 값보다 클 때 직류 전원 선로계통의 결함으로 판단하여 선로를 차단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100)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100)의 상기 검출부(110)는 변류기(CT), 영상변류기(ZCT), 홀센서, 접지검출기, 단선검출기 중에서 하나 이상 복수로 선택하여 검출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직류 선로에 설치해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각각 검출한다.
또한, 상기 검출부(110)는 Zero 값부터 물리량을 검출하여 신호변환 및 분석하며, 분석부(130)에서 분석한 결과 값이 결함으로 판단될 경우 기설정된 설정 값에서 경보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CT 및 ZCT는 직류 선로에 설치하여 직류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여 고유의 배율 특성에 맞게 검출하는 센서이다.
상기 홀센서는 직류 선로에 설치하는 트랜지스터의 일종으로 직류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서 유기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직류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상기 접지검출기는 R1, R2, R3로 구성하여 R1 = R2로써 R1, R2를 직렬연결하고 이를 전원에 병렬로 연결하며, R3는 R1과 R2의 중간에 연결 후 접지하여 접지여부의 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단선검출기 R4는 저항 또는 부하로써 선로 말단의 전원에 병렬로 연결하여 선로의 단선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변환부(120)는 상기 검출부(110)에서 검출한 신호를 증폭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분석부(130)는 검출부(110)에서 검출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직류선로의 결함 여부 즉,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 또는 병렬아크 또는 접지아크 또는 단선이 발생할 경우 신호의 물리량 변화에 따른 전압, 전류, 임펄스의 크기, 발생빈도, 지속시간, 숄더,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정상파형과 이상파형을 구분하고, 이상파형으로 판단될 경우 기설정된 설정값 보다 클 때 직류 선로 계통의 결함으로 판단하여 차단 동작 시킨다.
상기 과부하는 차단기 정격용량 대비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배율 이상일 경우 즉, 110%, 120%,... 200%의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직렬아크는 한 개의 선로 즉, 양극(+) 선로 또는 음극(-) 선로 각각에서 단자와 전선 간 접속불량, 단자이완, 선로의 열화에 의한 선로저항 변화, 단선 진행 등을 의미하며, 병렬아크는 두개의 선로 즉, 양극(+) 선로 또는 음극(-)선로 두개의 선로 상호간의 합선, 전선 피복의 열화, 노후, 볏겨짐, 손상 등으로 인한 두개의 선로 간에 단락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접지아크는 선로와 대지간의 지락 발생, 선로와 외함 간의 지락 발생 등으로 인한 양극선로 접지 또는 음극선로 접지 또는 양, 음극선로가 동시에 접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시부(140)는 분석부(130)의 제어를 받아 조작 기능이 있는 LED 또는 LED 표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130)의 제어를 받아 과부하 또는 직렬/병렬/접지아크 또는 단선이 발생할 시에 이를 보이스 및 경광등 형태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경보부(150)는 분석부(130)의 제어를 받아 아크 또는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이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소리 및 빛을 조사하는 경광등 형태의 경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신부(160)는 분석부(130)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하여, 원격지에서 통신으로 연계되는 외부 기기에서 직류 전원계통의 건전성 상태감시를 포함한 안전지수 계수화 및 화재 예측 지수화 등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장 상태, 진행 추이 또는 고장 예측이 가능하여 고장발생시 고장원인을 신속히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고, 직류전원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170)는 상기 분석부(13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과부하 또는 직렬/병렬 아크 또는 양극(+) 접지 또는 음극(-) 접지 또는 양, 음극(+, -) 동시접지의 경우 차단여부를 선택하는 스위치로써 직류 아크 차단장치 외부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차단부(180)는 분석부의 제어를 받아 직류 선로 결함이 발생되었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험부(190)는 정상 동작 여부를 시험하는 시험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로써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시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110: 검출부
120: 변환부 130: 분석부
135: 보호회로부 140: 표시부
150: 경보부 160: 통신부
170: 선택부 180: 차단부
190: 시험부 R1: 저항
R2: 저항 R3: 저항
R4: 저항

Claims (8)

  1.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에 있어서,
    직류전원 선로의 말단에 저항 R4를 전원에 병렬로 연결하여 선로의 단선 여부를 검출하는 단선검출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검출센서를 통해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110)와;
    상기 검출부(110)에서 검출한 신호를 증폭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120);
    상기 변환부(120)에서 변환된 신호를 기준으로 기준파형 대비 변화되는 물리량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130);
    상기 분석부(130)의 제어를 받아 조작기능이 있는 LED 또는 LCD 표시창을 포함하는 표시부(140);
    상기 분석부(130)의 제어를 받아 과부하 또는 직렬/병렬/접지아크 또는 단선이 발생할 때, 보이스 및 경광등 형태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150);
    상기 분석부(13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160);
    상기 분석부(13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과부하 또는 직/병렬아크 또는 양극(+)접지 또는 음극(-)접지 또는 양/음극(+, -) 동시접지 발생 시에 차단여부를 판단하는 선택부(170);
    상기 분석부(130)의 제어를 받아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180);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과부하, 직렬/병렬/접지 아크를 발생시켜 상기 차단부(18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시험하는 시험부(190);
    직류 선로에서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 또는 병렬아크 또는 접지아크 또는 단선이 발생할 시에 검출기 신호의 전류, 전압, 임펄스의 크기, 발생빈도, 지속시간, 숄더,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물리량 변화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직류 선로계통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여 결함발생시 차단 동작할 수 있도록 직류 선로에 아크 결함 및 과전류가 발생하였는지를 CT, ZCT, 홀센서 및 R1, R2, R3로 구성되어 R1 = R2를 병렬로 R3는 R1과 R2의 중간에 연결하여 접지하여 접지여부의 상태를 검출하는 접지검출기; 및
    직류전원 선로의 말단에 저항 R4를 전원에 병렬로 연결하여 선로의 단선 여부를 검출하는 단선검출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110)는
    CT, ZCT, 홀센서 중 어느 하나와 접지검출기 및 단선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130)는
    검출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 또는 병렬아크 또는 접지아크 또는 단선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할 때, 전압, 전류, 임펄스의 크기, 발생빈도, 지속시간, 숄더,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신호의 물리량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정상파형과 이상파형을 구분하며, 이상파형으로 판단될 시에 기설정한 설정 값보다 클 때에는 직류 선로계통의 결함으로 판단하여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60)는
    상기 분석부(13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 데이터를 인가하며, 인가되는 데이터를 통해 외부 기기에서 직류 전원계통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태감시를 포함한 안전지수 계수화 및 화재예측 지수화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170)는
    과부하 또는 양극(+) 접지 또는 음극(-) 접지 또는 양,음극(+, -) 동시접지 또는 아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경우가 발생하였을 시에 이의 차단 여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40)는
    직류 선로의 회로 상태와 과부하 또는 직렬아크 또는 병렬아크 또는 접지아크 또는 단선에 따른 결함발생 상태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조작 기능을 포함하는 LCD 또는 LED 형태로 구성되며,
    경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KR1020150008910A 2015-01-19 2015-01-19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KR101708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10A KR101708005B1 (ko) 2015-01-19 2015-01-19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10A KR101708005B1 (ko) 2015-01-19 2015-01-19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225A KR20160089225A (ko) 2016-07-27
KR101708005B1 true KR101708005B1 (ko) 2017-02-17

Family

ID=5661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910A KR101708005B1 (ko) 2015-01-19 2015-01-19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420B1 (ko) * 2017-06-21 2019-08-20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감시기능을 포함하는 직류 아크차단장치
KR102123182B1 (ko) * 2018-03-29 2020-06-1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직류 전원 복합 고장 실시간 종합 감시 방법 및 장치
WO2019190254A1 (ko) * 2018-03-29 2019-10-0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직류 전원 복합 고장 실시간 종합 감시 방법 및 장치
KR101973364B1 (ko) * 2018-10-17 2019-04-29 대한민국 교육용 배터리의 외부 단락 특성 시각화 장치 및 방법
KR102411523B1 (ko) * 2020-09-04 2022-06-21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 의 동작 방법
KR102243030B1 (ko) * 2020-10-07 2021-04-27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저압 전원의 이상(異常) 감지 및 차단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2295158B1 (ko) 2021-03-31 2021-08-31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차단 기기
KR102653673B1 (ko) * 2021-07-13 2024-04-03 (주)링크일렉트로닉스 전원공급장치로 정격전력정보를 제공하면서 플리커 현상이 없는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스마트 led광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5434B2 (ja) 1993-10-21 2001-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0409071Y1 (ko) 2005-11-14 2006-02-20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전원 감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5434A (ja) * 1989-12-05 1991-07-30 Nikon Corp フイルム駆動装置
DE102011008140A1 (de) * 2010-08-31 2012-03-01 Ellenberger & Poensg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alten einer Gleichspannungsanlage
KR101483084B1 (ko) 2013-01-24 2015-01-16 한국전기연구원 직류 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KR101497010B1 (ko) * 2013-07-04 2015-03-02 소병수 직류전원계통 운전상태 원격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5434B2 (ja) 1993-10-21 2001-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0409071Y1 (ko) 2005-11-14 2006-02-20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전원 감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225A (ko)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005B1 (ko)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KR101717775B1 (ko)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US5359293A (en) Electrical cable arcing fault detection by monitoring power spectrum in distribution line
JP2020174527A (ja) 変圧器中性点遮断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440492B1 (ko)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0906304B1 (ko) 서지전압 보호회로의 누설전류 차단제어장치
KR102012420B1 (ko) 감시기능을 포함하는 직류 아크차단장치
US10012684B2 (en) Ground fault detection circuit
KR101990930B1 (ko) 상태 감시 장치가 내장된 피뢰기
KR101868433B1 (ko) 태양광 모듈 스트링 사고예방을 위한 스트링 블록 디바이스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접속반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332793B1 (ko) 배전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101680A (ko) 전기화재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과부하겸용 아크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0208A (ko) 전력선 및 배전 설비의 이상 검출 시스템
KR101773705B1 (ko) 접지상태 감시장치
JP6509029B2 (ja) 分電盤
KR101412498B1 (ko) 과부하와 누설전류를 이용한 배전반 열화 진단장치
KR20090041828A (ko) 서지보호 장치 및 이를 위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US9851403B2 (en)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an electric installation
KR100941962B1 (ko) 접지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서지보호기
KR20200014118A (ko) 이상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205048B1 (ko) 전기 안전 모니터링 장치
KR102579941B1 (ko) 스마트 파력원격제어기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결상위치 검출 및 차단이 용이한 전력설비 보호용 수배전반
KR102328806B1 (ko) 누설 전압 감시시스템
KR102123182B1 (ko) 직류 전원 복합 고장 실시간 종합 감시 방법 및 장치
Por et al. A study of arc fault current in low voltage switch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