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957B1 -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957B1
KR102531957B1 KR1020220145804A KR20220145804A KR102531957B1 KR 102531957 B1 KR102531957 B1 KR 102531957B1 KR 1020220145804 A KR1020220145804 A KR 1020220145804A KR 20220145804 A KR20220145804 A KR 20220145804A KR 102531957 B1 KR102531957 B1 KR 10253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alarm
voltage
signal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애
Original Assignee
홍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애 filed Critical 홍정애
Priority to KR1020220145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r analysing measured signals, e.g. for indicating peak values ; Details concerning sampling, digitizing or waveform capt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18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using optical methods; using charged particle, e.g. electron, beams or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6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배전반 내부의 코로나 방전, 연면 방전, 스파크성 방전, 혼촉 방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파장 대역의 자외선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한 방전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방전 감지부; 기 설정된 전압 이하의 저전압을 측정하여 저전압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저압 입력부; 상기 배전반 내에 배치된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하는 LPS(Line Potential Signaler)를 이용하여 고전압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고압 입력부; 상기 방전 발생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 상태에 대한 제1 알람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저전압 측정 결과 또는 고전압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통전 전압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통전 전압에 따른 통전/단전에 대한 제2 알람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알람 신호 및 제2 알람 신호를 통합 분석하여 전기 사고 발생에 대한 경고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1 알람 신호에 따라 방전 횟수와 방전 경보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2 알람 신호에 따라 통전 전압, 통전/단전에 대한 전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의 경고 신호에 따라 음성 경보 또는 경고 표시를 수행하는 경고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SYSTEM FOR ELECTRICAL SAFETY ALARM THROUGH DISCHARGE DETECTION}
본 발명은 배전반의 내부 방전을 감지하여 전기안전에 대한 경보를 수행하기 위한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수배전반은 전력 설비중 하나로서 계전기, 계측기, 제어기와 같은 감시 제어용 기기와 차단기, 단로기와 같은 주회로기기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단위 기기는 지지 구조물에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수배전반 내에는 고압의 전압이 형성되고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절연이나 회로상의 내구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수배전반의 특성상 열화와 화재 등을 미리 감지하고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고 있다. 그중 아크(arc)나 코로나(corona) 방전이 주요 사고 원인이 되어 화재나 폭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크 화재의 경우, 지락이나 용량 초과, 타 물건과의 접촉 등에 의해 비정상적인 전류가 흐르게 되어 고압, 저압 배전반 내부의 부스바, 케이블, 전선간의 접촉부, 단자 접촉부 등이 과열된다. 이로 인하여 다른 물체에 접촉함으로써 고장 부위에서 선이 절단되어 차단되거나 부분적인 접촉으로 계속적인 반복적인 아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아크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아크의 발생시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여 화재를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변압기나 개폐기, 차단기와 같은 장치의 절연물 내부에서 국부적인 절연 파괴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러한 내부의 국부 절연파괴는 내부 방전 현상을 발생시킨다. 내부 부분 방전은 장치의 열화를 초래하게 되며 심각하게는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지만, 이를 감지하는 것은 쉽지 않은 편이다.
이러한 내부 부분 방전은 주로 수배전반의 하우징(housing)인 금속 클래드(clad)의 틈새나 조인트(joint) 등을 통해 방전되는데, 금속 클래드에 걸리는 과도 대지 전압(transient earth voltage, TEV)이 금속 클래드와 접지 간에 발생하면 접지 전압은 즉시 그리고 일시적으로 변화하게 되고, 그 발생하는 시간이 매우 순간적이므로, 심각한 인체 감전 사고를 야기시킬 우려가 있다.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에서 인체 감전사고는 고전압 통전(통전)시, 대부분 배전반 내부의 절연성능 저하의 지속적인 발생으로 인하여 지락사고 및 누전사고가 발생되어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에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전 및 단전을 경보하여 배전반의 유지보수 시에 설비 관리자의 안전에 대한 주의를 상기시키고, 경각심을 높일 수 있도록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설비 관리자는 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통전 중인 경우에도 배전반의 전면 또는 후면의 도어를 개방하여 점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배전반의 도어에는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커버가 장착되어 있지만, 설비관리자의 실수로 인해 절연 이격 거리를 소홀히 하는 등의 부주의로 인체 감전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배전반에는 전기 안전 및 인체 감전 사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연면방전, 스파크방전, 혼촉방전 등의 방전 상태를 정확히 측정하여, 전기안전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경고를 제공하여 인체 감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 설비가 갖추어져야 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9577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안전 및 인체 감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배전반 내부의 방전을 감지하여 음성경보를 제공하여 인체 감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은, 배전반 내부의 코로나 방전, 연면 방전, 스파크성 방전, 혼촉 방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파장 대역의 자외선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한 방전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방전 감지부; 기 설정된 전압 이하의 저전압을 측정하여 저전압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저압 입력부; 상기 배전반 내에 배치된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하는 LPS(Line Potential Signaler)를 이용하여 고전압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고압 입력부; 상기 방전 발생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 상태에 대한 제1 알람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저전압 측정 결과 또는 고전압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통전 전압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통전 전압에 따른 통전/단전에 대한 제2 알람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알람 신호 및 제2 알람 신호를 통합 분석하여 전기 사고 발생에 대한 경고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1 알람 신호에 따라 방전 횟수와 방전 경보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2 알람 신호에 따라 통전 전압, 통전/단전에 대한 전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의 경고 신호에 따라 음성 경보 또는 경고 표시를 수행하는 경고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배전반의 도어 개방/폐쇄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열림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도어 개방/폐쇄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도어 상태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전 감지부의 방전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방전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전 카운터 모듈; 상기 저전압 측정 결과와 고전압 측정 결과를 수신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한 후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ation)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통전 전압을 측정하는 신호 처리 모듈; 및 상기 카운터 모듈에서 카운팅한 방전 횟수에 기초하여 제1 알람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신호 처리 모듈에서 측정한 통전 전압에 기초하여 제2 알람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알람 신호 및 제2 알람 신호를 통합 분석하여 경고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연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경고 알람부는, 방전 발생/해제, 전압 통전중, 전압 단전중, 도어 열림/닫힘, 통전중에 방전 발생으로 구분되는 경보 조건에 따라 설정된 음성 경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경고 알람부는, 상기 경보 조건 중 방전 발생, 전압 통전중, 도어 열림, 통전중에 방전 발생시, 감전사고 위험에 대한 음성 경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방전 감지부는, 185nm 내지 265nm의 파장 대역 범위의 자외선을 감지하는 광학 센서인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통전중 배전반 내부의 연면방전, 스파크방전, 혼촉방전 등의 방전 현상을 직접 감지하여 전기안전 경보를 수행하여 인체감전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모듈의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FT 알고리즘의 샘플링을 위한 여현파 데이터 윈도우 1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FT 알고리즘의 샘플링을 위한 정현파 데이터 윈도우 2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방전 현상에 의한 자외선 파장 대역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카운터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단말 또는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의 유선 통신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전력회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안전하게 부하에 전기를 배분 공급하기 위하여 고압 및 저압용 전기설비를 내장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배전반의 외함(enclosure)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장비의 특정 보호 등급을 제공하고, 충전부에 접근하거나 접촉하는 것과 이동하는 부품과의 접촉에 대한 특정 보호 등급을 제공하는 금속 폐쇄형 개폐장치 및 제어장치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
배전반은 감전 사고 예방을 위해 배전반 내 속문 및 보호커버를 설치하여 감전 우려가 없도록 하고, 간섭으로 인하여 외함의 도어를 여닫는데 지장이 없어야 할 뿐만 아니라,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기초하여 안전경보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활선은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의 전력 공급선이고, 특히 고압 활선은 감전뿐만 아니라 방사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유도전압에 의해서도 인체에 피해를 끼칠 수 있다.
전기설비 유지 및 보수시 활선의 취급이나 접근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작업자에게 경보를 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모듈의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은 방전 감지부(110), 저압 입력부(120), 고압 입력부(130), 도어 감지부(140), 제어부(150), 표시부(160) 및 경고 알람부(17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방전 감지부(110)는 배전반 내부의 코로나 방전, 연면 방전, 스파크성 방전, 혼촉 방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파장 대역(예를 들어, UV-C)의 자외선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한 방전 발생 신호를 출력한다.
저압 입력부(120)는 기 설정된 전압 이하의 저전압(예를 들어, 약 AC 500V 이하)을 측정하여 저전압 측정 결과를 제공한다,
고압 입력부(130)는 배전반 내에 배치된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하는 LPS(Line Potential Signaler)를 이용하여 고전압 측정 결과를 제공한다.
도어 감지부(140)는 배전반의 도어 개방/폐쇄 상태를 감지한다.
제어부(150)는 방전 발생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 상태에 대한 제1 알람 신호를 제공하고, 저전압 측정 결과 또는 고전압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통전 전압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통전 전압에 따른 통전/단전에 대한 제2 알람 신호를 제공하며, 제1 알람 신호 및 제2 알람 신호를 통합 분석하여 전기 사고 발생에 대한 경고신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어 감지부(14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도어 개방/폐쇄 상태를 표시부(160)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방전 카운터 모듈(151), 신호 처리 모듈(152), 도어 상태 감지 모듈(153) 및 연산 모듈(154)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운터 모듈(151)은 방전 감지부(110)의 방전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방전 횟수를 카운팅한다.
신호 처리 모듈(152)은 저전압 측정 결과와 고전압 측정 결과를 수신하여 A/D 변환기를 이용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한 후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ation)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통전 전압을 측정한다. 저전압 측정 결과와 고전압 측정 결과인 아날로그 신호는 필터를 거쳐 샘플링 홀더 회로 및 A/D 변환기를 거쳐 메모리에 2진 형태의 데이터로 저장되고, 제어부(150)는 DFT 알고리즘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모듈(152)은 필터, 샘플 홀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하게 된다.
먼저, 신호 처리 모듈(152)은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하는 과정에서 중첩(aliasing)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의 입력측에 아날로그 중첩 방지용 저역 통과 필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이러한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한다.
이후, 신호 처리 모듈(152)은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값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이 완료될 때까지 샘플된 값을 보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가 닫힌 상태에서는 C에 충전이 이루어지고, 스위치가 열리면 C의 전압이 그대로 유지된다.
신호 처리 모듈(152)은 샘플링 및 홀더 회로의 출력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입력으로 바꾸어주는 아날로그 MUX, 또는 A/D 변환이 이루어진 값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디지털 MUX를 사용한다. 샘플링 및 홀더 회로의 출력을 순차 선택하여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에 출력하는 스위치 회로이고, 각 스위칭은 1 샘플링 시간 내에 전 입력의 A/D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신호 처리 모듈(152)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전류 및 전압의 순시치 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연산 가능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A/D 변환기는 데이터의 분해능을 결정,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의 기본적인 정도를 결정한다.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에서는 12Bit 정도의 A/D 변환기가 많이 사용된다. 즉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연속된 이진수를 만들어 낸다.
전류 및 전압을 60Hz 성분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알고리즘으로는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DFT 알고리즘은 배수 고조파를 제거하며, 교류의 위상을 검출하여 기본파 전력에 의한 유효 전력 및 무효 전력을 구하고, 전력의 주파수를 구하는 등 다수의 작업을 수행한다. 현재의 전력 계통에서 DFT 알고리즘은 전력 계통의 상황에 따른 전류 및 전압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전류 및 전압을 한 주기인 16.7msec 동안 통상적으로 32 샘플링(Sampling)으로 인터럽트(0.5msec(=16.7/32))가 발생할 때마다 각각의 샘플을 DFT 알고리즘으로 연산하여 60Hz 성분으로 변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FT 알고리즘의 샘플링을 위한 여현파 데이터 윈도우 1을 설명하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FT 알고리즘의 샘플링을 위한 정현파 데이터 윈도우 2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실시간으로 전압값을 계산하기 위한 DFT 알고리즘은, 연속적인 입력신호
Figure 112022117260915-pat00001
의 1주기를 N회 샘플링하여 실수부와 허수부 요소로 분리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필터의 구성은 피드백이 없는 비궤환 필터 구조를 따르며,
Figure 112022117260915-pat00002
Figure 112022117260915-pat00003
Figure 112022117260915-pat00004
번째 샘플링 순간에서의 출력값이다.
기존에는 실시간 제어를 위하여 한 주기당 샘플링 횟수는 N=12가 가장 적합하다고 연구되었으며, 이때 샘플링 주기는 1.38ms가 된다. 정현파 입력신호로부터 실시간으로 실수부 및 허수부의 전류 또는 전압값을 얻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데이터 윈도우를 선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2117260915-pat00005
데이터 윈도우 1의 샘플 집합을 {
Figure 112022117260915-pat00006
= 0, 1, 2, ... ,N-1}이라 하면 샘플 집합으로부터 페이저 표현식을 얻을 수 있다. 샘플링 각
Figure 112022117260915-pat00007
/N(radian)에 일치하는 시간이 지난 후 새로운 샘플링 값이 얻어지는데, 이때부터 데이터 윈도우 2가 사용되며 새로운 샘플집합
Figure 112022117260915-pat00008
가 생성된다. 실수부
Figure 112022117260915-pat00009
를 얻기 위한 여현파의 윈도우는 도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N=12일 때의 실수부를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2117260915-pat00010
마찬가지로 허수부
Figure 112022117260915-pat00011
를 얻기 위한 정현파의 윈도우는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허수부를 수학식 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22117260915-pat00012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구한 실수부와 허수부의 성분에 대한 z 변환 전달함수를 구하면 수학식 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22117260915-pat00013
다시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도어 상태 감지 모듈(153)은 배전반의 도어의 열림/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연산 모듈(154)을 통해 도어 개방 상태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연산 모듈(154)은 방전 카운터 모듈(151)에서 카운팅한 방전 횟수에 기초하여 방전 횟수와 방전 경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알람 신호를 제공하고, 신호 처리 모듈(152)에서 측정한 통전 전압에 기초하여 측정된 통전 전압값과 통전/단전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알람 신호를 제공하며, 제1 알람 신호 및 제2 알람 신호를 통합 분석하여 음성 멘트나 경광등을 이용한 경고 알람을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 출력한다.
상술한 모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알고리즘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하고 있고, 메모리에는 전기안전 경보를 위한 모든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제어부(150)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는 휘발성 저장 매체(volatile storage media)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non-volatile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50)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내장한 아두이노 기반의 제어 보드로 구현되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미도시) 또는 배전반 원격 관리를 수행하는 서버(미도시)로 배전반의 고유 식별 정보와 함께 제1 알람 신호, 제2 알람 신호 또는 경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에서는 배전반별로 방전 발생 여부, 전기 안전에 대한 경보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곤, 설비 관리자에게 감전 사고 위험이 있는 배전반 정보를 미리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일반적인 의미의 서버용 컴퓨터 본체일 수 있고, 그 외에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통신 모듈(미도시), 메모리(미도시), 프로세서(미도시) 및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구현될 수 있는데, 스마트폰이나 TV, PDA, 태블릿 PC, PC, 노트북 PC 및 기타 사용자 단말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60)는 제1 알람 신호에 따라 방전 횟수를 표시하고, 제2 알람 신호에 따라 통전 전압, 통전/단전에 대한 전압 상태를 표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60)는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100)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램프와 디지털 숫자나 텍스트가 표시되는 표시판을 포함하고 있다.
일례로, 표시부(160)는 전체 동작 표시 램프(161), 통전중/단전중을 표시하는 적색/녹색 램프를 이용하여 통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판(162), 통전 전압의 전압값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판(163), 방전 횟수를 표시하고 방전 경보 램프를 통해 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판(164), 전기안전 음성 경보용 스피커(165), 음성 경보 소거시 적색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는 음성경보 소거 버튼(166), 전체 램프 테스트 및 방전 경보 램프의 소거를 위한 테스트 및 ACK 버튼(167), 방전 경보 횟수 설정을 위한 설정버튼(168), 도어 닫힘(적색 램프)/도어 열림(녹색 램프)이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판((169)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고 알람부(170)는 제어부(150)의 경고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음성 멘트를 이용하여 음성 경보를 하거나, 경광등이나 LED 등을 이용하여 경고 표시를 수행한다.
경고 알람부(170)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보 조건에 따라 기 설정된 음성 멘트를 송출할 수 있고, 이러한 음성 멘트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설비 관리자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잇다.
경보 조건 음성 경보
방전 발생시 방전이 발생하였습니다.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방전 해제시 방전이 해제되었습니다.
전압 통전중 통전중입니다.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전압 단전중 단전되었습니다.
도어 열림 도어가 열렸습니다. 통전중인지 확인하세요
도어 닫힘 도어가 닫혔습니다.
통전중 및 방전 발생 경보 방전이 발생하였습니다. 통전중이니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100)은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게 표시 기능, 음성 기능, 쇄정 기능을 통해 전기안전에 대한 경보를 수행할 수 있다.
구분 내용
표시 기능 통전중, 단전중, 도어열림, 도어닫힘, 방전 발생을 표시하기 위한 LED 및 경광등
음성 기능 통전중. 단전중, 도어열림, 도어닫힘, 위험 알림을 위한 음성멘트 송출(음향 레벨은 음향장치(스피커 등)를 중심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90dB 이상이 됨)
쇄정 기능 가압중일 때 도어 쇄정기능
도어 열림과 연동하여 경광등을 이용한 경고 표시 및 위험 알림을 위한 음성 멘트 송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은, 다기능 디지털 지시계(Digital Integrated Monitoring & Control equipment, DIMC)와 기중 차단기(A.C.B)의 1차측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DIMC는 각종 지시제어 기능을 갖춘 디지털 지시계 또는 계측 제어장치이다.
도 6은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방전 현상에 의한 자외선 파장 대역을 설명하는 파형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카운터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연면방전, 스파크방전, 혼촉방전 등의 방전은 통전중인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고, 발생 위치는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력기기와 버스바(busbar) 또는 전력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부, 버스바 또는 전력케이블의 절연체에서 지속적인 트레킹으로 인한 절연성능 저하로 인하여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방전 현상이 발생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 내부에서 방전이 발생하면 방전 현상에서 UV(Ultra Violet)-C 영역의 파장 대역인 185nm~265nm의 파장이 발생하고, 방전 감지부(110)는 UV-C의 자외선을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방전을 감지하여 방전 발생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방전 감지부(110)의 센서는 부분 방전 발생시 수반되는 빛을 광학적 방식으로 검출하여, 안정적이면서 우수한 감지 성능을 갖고 있으며, 자외선 선택 투과 필터를 통하여 햇빛이나 형광등 등의 외부 빛에는 반응하지 않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카운터(ED Counter) 모듈(151)은 방전 감지부(110)와 유선 연결되어,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 결과에 기초한 방전 발생 신호를 카운팅한다.
이러한 방전 카운터 모듈(151)은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방전의 횟수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방전 감지부(110)의 센서 점점 출력을 이용하여 카운트한 횟수를 내부 릴레이(RELAY)로 접점을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110 : 방전 감지부
120 : 저압 입력부
130 : 고압 입력부
140 : 도어 감지부
150 : 제어부
160 : 표시부
170 : 경고 알람부

Claims (6)

  1. 배전반 내부의 코로나 방전, 연면 방전, 스파크성 방전, 혼촉 방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파장 대역의 자외선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한 방전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방전 감지부;
    기 설정된 전압 이하의 저전압을 측정하여 저전압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저압 입력부;
    상기 배전반 내에 배치된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하는 LPS(Line Potential Signaler)를 이용하여 고전압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고압 입력부;
    상기 방전 발생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 상태에 대한 제1 알람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저전압 측정 결과 또는 고전압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통전 전압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통전 전압에 따른 통전/단전에 대한 제2 알람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알람 신호 및 제2 알람 신호를 통합 분석하여 전기 사고 발생에 대한 경고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1 알람 신호에 따라 방전 횟수와 방전 경보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2 알람 신호에 따라 통전 전압, 통전/단전에 대한 전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배전반의 도어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의 경고 신호에 따라 음성 경보 또는 경고 표시를 수행하는 경고 알람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도어 개폐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한 도어 상태 감지 모듈과,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되는 방전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전 카운터 모듈, 상기 저전압 측정 결과와 고전압 측정 결과를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ation)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통전 전압을 측정하는 신호 처리 모듈과, 상기 카운터 모듈에서 카운팅한 방전 횟수에 기초하여 제1 알람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신호 처리 모듈에서 측정한 통전 전압에 기초하여 제2 알람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알람 신호 및 제2 알람 신호를 통합 분석하여 경고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연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DFT 알고리즘은, 상기 저전압 측정 결과와 고전압 측정 결과의 각 입력 전압에 대해 2π/N(N=샘플링 횟수)의 샘플링 간격으로 샘플된 값을 이용하여 2개의 샘플 집합을 각각 생성한 여현파 데이터 윈도우와 정현파 데이터 윈도우를 선정하고, 상기 여현파 데이터 윈도우와 정현파 데이터 윈도우로부터 얻어진 샘플 집합을 각각 사용하여 계산된 입력 전압에 대한 실수부와 허수부의 전압값으로 분리하여 실시간 산출하는 것인,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알람부는,
    방전 발생/해제, 전압 통전중, 전압 단전중, 도어 열림/닫힘, 통전중에 방전 발생으로 구분되는 경보 조건에 따라 설정된 음성 경보를 출력하는 것인,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알람부는,
    상기 경보 조건 중 방전 발생, 전압 통전중, 도어 열림, 통전중에 방전 발생시, 감전 사고 위험에 대한 음성 경보를 출력하는 것인,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감지부의 센서는, 185nm 내지 265nm의 파장 대역 범위의 자외선을 감지하는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KR1020220145804A 2022-11-04 2022-11-04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KR10253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804A KR102531957B1 (ko) 2022-11-04 2022-11-04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804A KR102531957B1 (ko) 2022-11-04 2022-11-04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957B1 true KR102531957B1 (ko) 2023-05-11

Family

ID=86379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804A KR102531957B1 (ko) 2022-11-04 2022-11-04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9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779B1 (ko) 2011-09-26 2013-08-1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온도와 불꽃 감지를 기초로 한 고장진단 및 통합감시 소화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배전반 시스템
KR101334312B1 (ko) * 2013-03-21 2013-11-29 주식회사 다인산전 아크플래시 사고에너지의 위험도 분석기능을 갖는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
KR101488183B1 (ko) * 2013-11-06 2015-01-29 주식회사 평일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KR101534774B1 (ko) * 2014-11-03 2015-07-09 지투파워 (주) Ir과 uv 그리고 tev 검출에 의한 열화감시 진단 기능을 갖는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200485163Y1 (ko) * 2017-04-25 2017-12-05 보령기전(주)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에 내장되는 전기안전 경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779B1 (ko) 2011-09-26 2013-08-1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온도와 불꽃 감지를 기초로 한 고장진단 및 통합감시 소화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배전반 시스템
KR101334312B1 (ko) * 2013-03-21 2013-11-29 주식회사 다인산전 아크플래시 사고에너지의 위험도 분석기능을 갖는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
KR101488183B1 (ko) * 2013-11-06 2015-01-29 주식회사 평일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KR101534774B1 (ko) * 2014-11-03 2015-07-09 지투파워 (주) Ir과 uv 그리고 tev 검출에 의한 열화감시 진단 기능을 갖는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200485163Y1 (ko) * 2017-04-25 2017-12-05 보령기전(주)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에 내장되는 전기안전 경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005B1 (ko) 직류 과부하 겸용 아크 차단장치
US9279858B2 (en) Cubicle type gas insulated switchgear monitoring and diagnosis system
KR20180070208A (ko) 전력선 및 배전 설비의 이상 검출 시스템
KR102104835B1 (ko) 원격감시용 ct 2차 개방 방지시스템을 구비한 29kv gis
KR101449706B1 (ko) 실시간 구간별 선로이상 및 고조파, 접지저항값을 측정 감지하여 이상 발생에 따른 차단, 복구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917664B1 (ko) 아크 종류 및 위치 검출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시스템
KR102472880B1 (ko) 전력설비의 전력손실 및 화재 진단 시스템
KR100763881B1 (ko) 차단기 동작시간 측정용 디지털 진단방법
KR101882715B1 (ko) 부분방전 및 가스밀도 진단장치가 구비된 29kv gis 원격진단 시스템
KR101332793B1 (ko) 배전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13647B1 (ko) 위상차 없는 센서유닛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전기안전 원격 점검 및 제어장치
KR102219806B1 (ko) 스마트 배전반의 상황 인식 방법 및 그 스마트 배전반
KR101412498B1 (ko) 과부하와 누설전류를 이용한 배전반 열화 진단장치
KR102189670B1 (ko) 스마트 배전반에서 센서데이터 스트림 처리 방법 및 그 스마트 배전반
US20240153372A1 (en) Electrical safety alarm apparatus
KR101510676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방전감시 영상시스템
US20180156857A1 (en) System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partial discharges and voltage
KR20210008758A (ko)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
KR102531957B1 (ko)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KR20140143872A (ko) 변전소 가스절연개폐기의 가스압력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916362B1 (ko) 절연 열화에 의한 삼상 누설전류 측정방법을 이용한 지능형 전력설비 고장 예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302068B1 (ko) 통합형 전철제어반 glds
CN209560000U (zh) 一种可在线监测的避雷器检测装置
KR102328806B1 (ko) 누설 전압 감시시스템
KR101377190B1 (ko) 수배전반의 누설전류와 아크가 발생한 전압의 상 판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