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183B1 -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183B1
KR101488183B1 KR20130134367A KR20130134367A KR101488183B1 KR 101488183 B1 KR101488183 B1 KR 101488183B1 KR 20130134367 A KR20130134367 A KR 20130134367A KR 20130134367 A KR20130134367 A KR 20130134367A KR 101488183 B1 KR101488183 B1 KR 101488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voltage
lps
switch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붕
하충목
송근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to KR2013013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r analysing measured signals, e.g. for indicating peak values ; Details concerning sampling, digitizing or waveform capt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또는 개폐기에 부설하여 ABC 케이블의 활선 상태 또는 전압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교체 및 신설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활선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고장 여부 및 고장점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지중용 변압기(1)와 개폐기(2)에서 유기되는 기자력에 의한 기전압을 측정하는 클램프 PT(1c)(1d)(2c)(2d) 및 클램프 PT(1c)(1d)(2c)(2d)에 의해 측정되는 기전압과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의 용량에 따른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지중용 변압기(1) 및 개폐기(2)의 입력측 케이블(1a)(2a) 및 출력측 케이블(1b)(2b)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하는 LPS(1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live wire state and voltage monitoring system of underground for transformer and switch using LPS}
본 발명은 LPS(Line Potential Signaler)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또는 개폐기에 부설하여 ABC 케이블의 활선 상태 또는 전압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교체 및 신설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활선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고장 여부 및 고장점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 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빌딩, 학교, 병원 등과 같이 전력설비를 사용하는 수용가 시스템은 전력설비를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데, 지금까지는 전력설비마다 한 대 이상의 PC 및 단말기를 부착하여 현장에서 다수의 운용자가 교대하면서 직접 점검 관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운용자가 현장에서 직접 관리하는 경우, 운용자가 현장에 상주해야함으로 불편하고, 관리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인건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시를 위해서는 고가의 감시설비가 필요하므로 감시설비를 설치하기 위해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중용 변압기나 개폐기에 연결되는 케이블 교체시 작업자는 지중용 변압기나 개폐기의 활선 상태 및 전압을 직접 확인해야 할 뿐더러 케이블의 고장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 10-1275193 호(2013. 07. 03. 등록공고) 국내 공개특허 제 10-2008-0043958 호(2008. 05. 20. 공개)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3-0078487 호(2013. 07. 10. 공개) 국내 등록특허 제 10-1154228 호(2012. 06. 08. 등록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중용 변압기 또는 개폐기의 교체 및 신설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활선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고장 여부 및 고장점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에서 유기되는 기자력에 의한 기전압을 측정하는 클램프 PT(Clamp on Potential Transformer); 및 상기 클램프 PT에 의해 측정되는 기전압과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의 용량에 따른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지중용 변압기 및 상기 개폐기의 입력측 케이블 및 출력측 케이블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하는 LPS(Line Potential Signal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클램프 PT(Clamp on Potential Transformer)는, 상기 지중용 변압기와 상기 개폐기의 입력측 케이블 및 출력측 케이블의 각 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LPMS는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의 용량에 따른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에서 유기되는 기자력에 의한 기전압을 측정하는 클램프 PT(Clamp on Potential Transformer); 상기 클램프 PT에 의해 측정되는 기전압과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의 용량에 따른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지중용 변압기 및 상기 개폐기의 입력측 케이블 및 출력측 케이블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 및 전송하고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제어명령을 전송받아 개폐기를 작동시켜 부하를 제어하는 LPS(Line Potential Siganler); 상기 LPS로부터 마스터 모뎀(master modem)을 통해 상기 지중용 변압기 및 상기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사용자에게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서버(server); 및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에 구축된 지중용 변압기 및 상기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클램프 PT(Clamp on Potential Transformer)는, 상기 지중용 변압기와 상기 개폐기의 입력측 케이블 및 출력측 케이블의 각 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LPS는,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의 용량에 따른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LPS는, 상기 클램프 PT에 접속되어 상기 지중용 변압기와 상기 개폐기의 입력측 케이블 및 출력측 케이블에서 유기되는 기자력에 의한 기전압을 계측하는 계측부;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기전압을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지중용 변압기와 상기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 처리부; 상기 계측부 및 상기 연산 처리부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부하의 상태 등을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지중용 변압기와 상기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LPS는, 상기 지중용 변압기와 상기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일별, 월별, 연별로 그래프 형태나 표 형태로 보여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원격지에서 일별, 요일별, 주별, 특정 일자별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TOU(Time Of Used)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Wi-Fi 또는 3G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폰(smart-phone)으로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다운받아 상태를 확인하거나 이벤트 정보를 확인하고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유무선 인터넷 기반의 PC 또는 노트북으로서 언제 어디서든지 부하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LPS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감쇄량을 보상해 주는 데이터 중계기(repeat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수배전반의 전면 패널에 설치되어 수배전반 측에서 변성(변압, 변류)된 전압과 전류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수배전반 측과 부하 측의 전압, 전류, 위상, 역률,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최대수요전력 등을 계측 및 연산하여 표시해 주는 디지털집중 제어장치 Smart-eye가 더 구비되어, 상기 디지털집중 제어장치 Smarteye는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른 수배전반 설비들의 제어 및 각종 경보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집중 제어장치 Smart-eye는, 수배전반 측과 부하 측의 전압, 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 상기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전압, 전류를 근거로 수배전반 측과 부하 측의 위상, 역률,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최대수요전력 등을 연산하는 연산 처리부; 상기 계측부 및 상기 연산 처리부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수배전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수배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수배전반 측과 부하 측의 전압, 전류, 위상, 역률,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최대수요전력, 각종 경보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LPS(Line Potential Signaler)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또는 개폐기에 부설하여 ABC 케이블의 활선상태 또는 전압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표시함으로써, 지중용 변압기 또는 개폐기의 교체 및 신설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활선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고장 여부 및 고장점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 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중용 변압기(1)와 개폐기(2)에 설치되는 클램프 PT(1c)(1d)(2c)(2d), LPMS(10), 디지털집중 제어장치 Smart-eye(20), 데이터 관리서버(30), 마스터 모뎀(40), 사용자 단말기(50) 및 데이터 중계기(60) 등으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클램프 PT(Clamp on Potential Transformer)(1c)(1d)(2c)(2d)는, 지중용 변압기(1)와 개폐기(2)에서 유기되는 기자력에 의한 기전압을 측정하여 LPS(10)에 전송한다.
여기서,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활용하여 기전압을 측정하는 클램프 PT(Clamp on Potential Transformer)(1c)(1d)(2c)(2d)는, 지중용 변압기(1)와 개폐기(2)의 입력측 케이블(1a)(2a) 및 출력측 케이블(1b)(2b)의 각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PS(Line Potential Signaler)(10)는, 클램프 PT(1c)(1d)(2c)(2d)에 의해 측정되는 기전압과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의 용량에 따른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지중용 변압기(1) 및 개폐기(2)의 입력측 케이블(1a)(2a) 및 출력측 케이블(1b)(2b)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 및 전송한다.
여기서, LPS(10)는, 클램프 PT(1c)(1d)(2c)(2d)에 의해 측정되는 기전압과의 비교 분석을 위해,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의 용량에 따른 기준값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LPS(10)는, 클램프 PT(1c)(1d)(2c)(2d)에 접속되어 지중용 변압기(1)와 개폐기(2)의 입력측 케이블(1a)(2a) 및 출력측 케이블(1b)(2b)에서 유기되는 기자력에 의한 기전압을 계측하는 계측부(15)와, 계측부(15)에 의해 계측되는 기전압을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여 지중용 변압기(1)와 개폐기(2)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 처리부(14)와, 계측부(15) 및 연산 처리부(14)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서버(30)로 전송하며 데이터 관리서버(30)로부터 부하의 상태 등을 전송하는 통신부(11)와 그리고 지중용 변압기(1)와 개폐기(2)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하는 표시부(12)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LPS(10)가 지중용 변압기(1)와 개폐기(2)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일별, 월별, 연별로 그래프 형태나 표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부(12)나 사용자 단말기(50)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지 지중용 변압기(1)나 개폐기의 활선상태나 전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LPS(10)와 마스터 모뎀(40), 즉 데이터 관리서버(30) 사이에 데이터 중계기(repeater)(60)가 설치됨으로써 LPS(10)로부터 데이터 관리서버(3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감쇄량을 보상해 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 서버(30)는 LPS(1)로부터 마스터 모뎀(master modem)(40)을 통해 지중용 변압기(1) 및 개폐기(2)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사용자에게 해당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50)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서, 데이터 관리서버(30)에 구축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데이터를 관리한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50)는 원격지에서 일별, 요일별, 주별, 특정 일자별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TOU(Time Of Used)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50)는 Wi-Fi 또는 3G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폰(smart-phone)(51)으로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다운받아 부하를 관리하거나 이벤트 정보를 확인하고 스케줄을 관리하거나, 유무선 인터넷 기반의 PC 또는 노트북(52)으로서 언제 어디서든지 부하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전면 패널에 설치되어 수배전반 측에서 변성(변압, 변류)된 전압과 전류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수배전반 측과 부하 측의 전압, 전류, 위상, 역률,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최대수요전력 등을 계측 및 연산하여 표시해 주는 디지털집중 제어장치 Smart-eye(2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 디지털집중 제어장치 Smarteye(20)는 데이터 관리서버(30)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른 수배전반 설비들의 제어 및 각종 경보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디지털집중 제어장치 Smart-eye(20)는, 수배전반 측과 부하 측의 전압, 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21)와, 계측부(21)에 의해 계측되는 전압, 전류를 근거로 수배전반 측과 부하 측의 위상, 역률,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최대수요전력 등을 연산하는 연산 처리부(22)와, 계측부(21) 및 연산 처리부(22)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서버(30)로 전송하며 데이터 관리서버(30)로부터 수배전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받는 통신부(24)와, 통신부(24)를 통해 데이터 관리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수배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3) 그리고 수배전반 측과 부하 측의 전압, 전류, 위상, 역률,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최대수요전력, 각종 경보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5) 등으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할 수 있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지중용 변압기 1a, 2a : 입력측 케이블
1b, 2b : 출력측 케이블 1c, 1d, 2c, 2d : 클램프 PT
2 : 개폐기 10 : LPS
11, 24, 31 : 통신부 12, 25 : 표시부
14, 22 : 연산 처리부 15, 21 : 계측부
20 : 디지털집중 제어장치 Smart-eye23 : 제어부
30 : 데이터 관리서버 32 : 데이터 처리부
33 : 데이터베이스 40 : 마스터 모뎀
50 : 사용자 단말기 51 : 스마트폰
52 : PC 또는 노트북 60 : 데이터 중계기

Claims (14)

  1. 지중용 변압기(1)와 개폐기(2)에서 유기되는 기자력에 의한 기전압을 측정하는 클램프 PT(Clamp on Potential Transformer)(1c)(1d)(2c)(2d); 및
    상기 클램프 PT(1c)(1d)(2c)(2d)에 의해 측정되는 기전압과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의 용량에 따른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지중용 변압기(1) 및 상기 개폐기(2)의 입력측 케이블(1a)(2a) 및 출력측 케이블(1b)(2b)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하는 LPS(Line Potential Signaler)(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PT(Clamp on Potential Transformer)(1c)(1d)(2c)(2d)는, 상기 지중용 변압기(1)와 상기 개폐기(2)의 입력측 케이블(1a)(2a) 및 출력측 케이블(1b)(2b)의 각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PS(10)는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의 용량에 따른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4. 지중용 변압기(1)와 개폐기(2)에서 유기되는 기자력에 의한 기전압을 측정하는 클램프 PT(Clamp on Potential Transformer)(1c)(1d)(2c)(2d);
    상기 클램프 PT(1c)(1d)(2c)(2d)에 의해 측정되는 기전압과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의 용량에 따른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지중용 변압기(1) 및 상기 개폐기(2)의 입력측 케이블(1a)(2a) 및 출력측 케이블(1b)(2b)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 및 전송하는 LPS(Line Potential Meter System)(10);
    상기 LPS(10)로부터 마스터 모뎀(master modem)(40)을 통해 상기 지중용 변압기(1) 및 상기 개폐기(2)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사용자에게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서버(server)(30); 및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30)에 구축된 지중용 변압기 및 상기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PT(Clamp on Potential Transformer)(1c)(1d)(2c)(2d)는, 상기 지중용 변압기(1)와 상기 개폐기(2)의 입력측 케이블(1a)(2a) 및 출력측 케이블(1b)(2b)의 각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LPS(10)는, 지중용 변압기와 개폐기의 용량에 따른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LPS(10)는,
    상기 클램프 PT(1c)(1d)(2c)(2d)에 접속되어 상기 지중용 변압기(1)와 상기 개폐기(2)의 입력측 케이블(1a)(2a) 및 출력측 케이블(1b)(2b)에서 유기되는 기자력에 의한 기전압을 계측하는 계측부(15);
    상기 계측부(15)에 의해 계측되는 기전압을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지중용 변압기(1)와 상기 개폐기(2)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 처리부(14);
    상기 계측부(15) 및 상기 연산 처리부(14)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통신부(11); 및
    상기 지중용 변압기(1)와 상기 개폐기(2)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표시하는 표시부(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LPS(10)는, 상기 지중용 변압기(1)와 상기 개폐기(2)의 활선상태 및 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일별, 월별 및 연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래프나 표 형태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50)는 원격지에서 일별, 월별 및 연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TOU(Time Of Used)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10. 제 4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50)는 Wi-Fi 또는 3G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폰(smart-phone)(51)으로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다운받아 부하를 관리하거나 이벤트 정보를 확인하고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11. 제 4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50)는 유무선 인터넷 기반의 PC 또는 노트북(52)으로서 언제 어디서든지 부하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LPS(10)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3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감쇄량을 보상해 주는 데이터 중계기(repeater)(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13. 제 4 항에 있어서,
    수배전반의 전면 패널에 설치되어 수배전반 측에서 변성된 전압과 전류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수배전반 측과 부하 측의 전압, 전류, 위상, 역률,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및 최대수요전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계측 및 연산하여 표시해 주는 디지털집중 제어장치 Smart-eye(2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디지털집중 제어장치 Smarteye(20)는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30)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른 수배전반 설비들의 제어 및 각종 경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집중 제어장치 Smart-eye(20)는, 수배전반 측과 부하 측의 전압, 전류를 계측하는 계측부(21);
    상기 계측부(21)에 의해 계측되는 전압, 전류를 근거로 수배전반 측과 부하 측의 위상, 역률,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및 최대수요전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연산하는 연산 처리부(22);
    상기 계측부(21) 및 상기 연산 처리부(22)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30)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30)로부터 수배전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받는 통신부(24);
    상기 통신부(24)를 통해 상기 데이터 관리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수배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3); 및
    수배전반 측과 부하 측의 전압, 전류, 위상, 역률,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및 최대수요전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KR20130134367A 2013-11-06 2013-11-06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KR101488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4367A KR101488183B1 (ko) 2013-11-06 2013-11-06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4367A KR101488183B1 (ko) 2013-11-06 2013-11-06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183B1 true KR101488183B1 (ko) 2015-01-29

Family

ID=5259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4367A KR101488183B1 (ko) 2013-11-06 2013-11-06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1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070A (ko) * 2015-06-02 2016-12-26 주식회사 평일 실시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감시 프로그램에 의한 전력량 감시시스템
KR102145266B1 (ko) * 2019-02-26 2020-08-18 삼영제어(주) 전력계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1957B1 (ko) * 2022-11-04 2023-05-11 홍정애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622A (ko) * 2010-11-16 2012-05-24 주식회사 평일 Isg-lpms를 이용한 수배전반 및 분전반 부하전력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622A (ko) * 2010-11-16 2012-05-24 주식회사 평일 Isg-lpms를 이용한 수배전반 및 분전반 부하전력 관리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070A (ko) * 2015-06-02 2016-12-26 주식회사 평일 실시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감시 프로그램에 의한 전력량 감시시스템
KR101692371B1 (ko) 2015-06-02 2017-01-04 주식회사 평일 실시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감시 프로그램에 의한 전력량 감시시스템
KR102145266B1 (ko) * 2019-02-26 2020-08-18 삼영제어(주) 전력계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1957B1 (ko) * 2022-11-04 2023-05-11 홍정애 방전 검출을 통한 전기안전 활선경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789B1 (ko)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KR20100138248A (ko) 지역별로 설비된 분전반과 수배전반의 상태를 관리하는 전기안전감시시스템
KR20120138563A (ko)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227149A1 (en) Smart circuit breaker
KR101488183B1 (ko)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KR101485517B1 (ko) 스마트 배전선로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13076B1 (ko) 전력설비 보호계전기의 보호요소 계측값 및 동작상태 표시 시스템
KR20130061938A (ko) Plc 통신기반 단상전력 수용가의 누전 및 과부하 검출 시스템
JP6494448B2 (ja) 配電線異常監視システム
KR20090120653A (ko) 웹기반 수변전설비 원격감시시스템
US20200090881A1 (en) Smart circuit breaker box system
JP2017103866A (ja) キュービクル
KR20100119137A (ko) 원격 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1200950B1 (ko) 유무선 데이터 집중장치를 이용한 수배전시스템의 전력관리 시스템
KR101154228B1 (ko) Isg-lpms를 이용한 수배전반 및 분전반 부하전력 관리시스템
KR101097125B1 (ko)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US20140184195A1 (en) Power quality measuring device used in distribution line for integrated voltage and var control
KR20200089473A (ko) 사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세대분전반
US9312727B2 (en) Local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protective relay
KR101818124B1 (ko) 차단기별 부하 전력 상태 감시를 위한 차단기 일체형 전력계측방법
KR20160097680A (ko) 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KR20090105779A (ko) 고압수용가의 파급장애 검출과 원격검침을 위한 모니터링시스템, 상태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692371B1 (ko) 실시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감시 프로그램에 의한 전력량 감시시스템
KR101831970B1 (ko) 차단기 일체형 전력계측장치의 운용방법
KR101008352B1 (ko) 전기에너지 자동절감 모니터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