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789B1 -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2789B1 KR100842789B1 KR1020060090910A KR20060090910A KR100842789B1 KR 100842789 B1 KR100842789 B1 KR 100842789B1 KR 1020060090910 A KR1020060090910 A KR 1020060090910A KR 20060090910 A KR20060090910 A KR 20060090910A KR 100842789 B1 KR100842789 B1 KR 100842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nction
- screen
- unit
- power
- digi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223 real-time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092 self-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54 BS 2869 Class F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7 qual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8)
- 수배전반 시스템의 실시간 감시와 전력운전상황의 실시간 분석을 위해 수배전반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를 시각화하고 디지털화하여 일반관리자가 이들 정보를 컴퓨터 상에서 스크린 터치방식과 실시간 정보처리방식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배전반 시스템에 있어서,전압, 전류, 전력을 포함한 요소 계측, 입력 및 출력접점을 이용한 제어기능, 경보기능, 전압, 전류 파형 측정기능, 고조파 산출기능, 사고파형 측정기능을 구비한 다수의 터치스크린 방식의 출력화면을 구비한 지능형 디지털 전력계측제어기;상기 다수의 디지털 전력계측제어기를 이용한 화면조작기능, 자료계측기능, 정보통합기능, 모니터링기능, 연산기능, 무인운전기능, 정보저장기능, 경보정보저장기능을 구비하는 디지털 그래픽 보드;웹기반의 전력감시 서비스를 위한 무선데이터전송장치;상기 디지털 그래픽 보드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의 운전상황을 음성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상기 디지털 그래픽 보드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의 운전상황을 영상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스크린 터치방식의 영상출력수단;수배전반 시스템 내부 및 외부 감시기능, 접근자 촬영기능, 통보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설비용량, 계약전력, 결선방식, 절연재종류 및 선로전압이 포함된 변압기의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공간;누전경보기(ELD)의 기준값을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 기준에서 규정한 공칭작동 전류치로 설정하고 필요시 제품의 최대 측정 범위 내에서 현장실정에 맞게 변경하여 설정한 뒤 그 값을 저장하는 제2 저장공간;설비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산출되는 지수값을 표준관리 기본값으로 저장하는 제3 저장공간;수배전반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동하여 수배전반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부; 및상기 소프트웨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출력화면상에서 구현되며 시각 및 청각 기능을 이용해 이용자의 시스템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 안내로봇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상기 시스템은, 원격감시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각종 계측장비와 PC 사이에는 485 통신을, 노트북 PC와 계측장비들 사이에는 컨버터를 사용한 282C 통신을 그리고 기타 통신을 위한 RS232 방식의 통신을 지원하며, 인터넷 통신을 위해 CDMA, TDMA, TRS 방식 가운데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mmi, dcs, hmi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ip 정보만을 가지고도 원격지 감시를 수행하고, 윈도우와 리눅스를 포함한 다수의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시스템관리자와 로컬 시스템관리자가 상호 온라인으로 통신하기 위한 도구로서 메신저 기능의 웹메터(webmet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시스템 관리자와 로컬 관리자의 창에 팝업창이 뜨도록 하여 상기 팝업창을 통해 시스템 관리자 또는 로컬 시스템 관리자가 애프터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단품 제어 시스템과 CD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웹 버전과 로컬 버전으로 구분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온도감시기능, 스위치류의 접속부 열화감시기능, 일반적 접속 또는 결선부의 감시기능, 설정내용의 조회와 저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한 열접촉경보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누전전류 측정 및 감시기능, 경보알람기능 및 채널설정기 능을 구비한 누전경보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누설전류, 저항성 누설전류(IGR), 절연저항 측정 및 감시기능, 경보알람기능, 채널설정기능을 구비한 활선절연저항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스위치 조작기능, 운전모드 변환기능을 구비한 스위치보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부하변동에 따른 역률변동감지기능, 보상콘덴서 제어기능, 자동역률제어기능을 구비한 자동역률제어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부는시스템 드라이버 및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한 프로그램 설치부;수배전 시스템 가동에 필요한 제반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부;터치를 이용한 손쉬운 조작자 위주의 화면 구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화면구성부;전력품질의 분석 및 감시기능, 스위치 조작에 따른 이력관리기능, 전압과 전 류의 사고파형을 분석하는 기능, 일일보고서, 월보고서 및 연보고서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력품질분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설정부는환경설정에 의해 등록된 장비의 기능, 설비정보, 제조사의 조회를 위한 조회버튼;수배전반의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버튼; 및화면구성부와 연동되는 기기를 설정하기 위한 설비포트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포트부는 연동기기 설정을 위해 장비설정화면에서 장비ID, 장비부하명을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필요로 하며, 필요에 따라 입력데이터 초기화 버튼을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보드는 수배전반 스위치 가운데 네트워크에서 관리 또는 제어가 필요한 스위치이며 이들 스위치들을 화면상에서 설정하고 제어하며, 스위치 설정 뒤엔 반드시 정상동작여부 시험을 거친 뒤에 사용하여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부는 자신과 연동되는 각종 계측기기의 계측값을 관리하고, 계측된 값의 범위를 지정하여, 감시 관리할 수 있도록 기본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계측값에 따라 주의, 점검 및 긴급단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값은 종합품질지수, 화재지수, 전력컨디션, 출력감쇄지수, 수배전반 선로품질지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부는 자가진단부를 포함하며, 자가진단부는 고객의 업체명과 현장명을 보여주고, 현재 전력 상태를 화면상에서 지수로 보여주며, 상기 지수 가운데에서 각 항목의 지수를 선택하면 전력컨디션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보드는 통신상태, 운전모드, 부하율, ATS, 터보팬 동작상태를 화면상에서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부는, 예측을 원하는 날자를 선택하고, 이 날자와 비슷한 업무량을 가졌던 일자 가운데 다수개를 기준일자로 선택하면 기준일자를 기반으로 하여 측정될 예측 데이터를 그래프상으로 제공하는 예측정보부를 하위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안내로봇은 시스템 주요상황을 감시하여 이벤트가 발생하면 저장하였다가 이용자가 마우스로 화면상의 안내로봇을 누르면 음성과 데이터로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안내로봇이 수신한 경보 데이터 건수에 따라 안내로봇의 색이 바뀌며, 상기 안내로봇은 화면상의 로봇으로서 상기 수배전반 시스템의 운전시 도우미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캐릭터 기능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로봇을 더블 클릭하면 현재 발생된 경보를 열람할 수 있고, 열람 후 경보데이터는 삭제되며 발생된 경보는 환경설정의 경보현황 및 전력품질분석 시스템의 경보현황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상기 로봇은 평상시, 경보시 서로 다른 표정을 지으며, 경보의 정도에 따라서도 서로 다른 표정을 지음으로써 시스템 관리자가 로봇의 표정만으로도 시스템의 안전운전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시스템 관리자와 로컬시스템 관리자가 정보를 공유하고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전, 유지, 보수에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설정부는, 배전반의 기본 정보를 등록, 변경할 경우에 사용되고, 화면은 고객명, 현장명, 계약전력[KW], 배전반형태, 설비용량[KVA], 결선방식, 절연재 종류, 선로전압[V], 주파수[Hz], 철손실[W], 동손실[W] 정보를 제공하고, 이들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버튼과 저장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장비설정부를 하위에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설정부는, 상기 장비설정부 화면에서 저장한 수배전반의 구성 및 내용을 등록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수배전반 내에 있는 장비를 클릭하면 기본정보가 나타나며, 화면의 한쪽에는 선택한 설비의 배치도가 도시되고, 다른 한쪽에는 설비이름, 제조사, 모델명, 일련번호, 설비용량, 설비의 옥내외형 여부, 설치일자, 최종변경일, 최종점검일, 조회버튼 및 저장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설비정보부를 하위에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설정부는, 화면구성부 밑에 다수개 설치된 포트들과 각각 연동되는 기기를 설정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디지털 계측기기의 설정이 잘못되면 화면구성부와 통신이 되지 않아서, 정상적인 감시가 되지 않으므로 최초 설정시 또는 장비 변경시 구성을 확인하고, 하드웨어 구성과 설정이 일치하도록 하기 위한 장비포트부를 하위에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설정부는, 수배전반 스위치 가운데 네트워크에서 관리 또는 제어가 필요한 스위치를 설정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수배전반 형태 정보를 제공하고, 도식화된 AISS(Automatic Indoor Section Switch, 옥내용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ACB, ATS, 터보팬, 배기팬, 부저 및 ATS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스위치 설정부를 하위에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부는, 현장과 관련된 각 전력값과 현재 사용 가능한 전력을 나타내며, 전압, 전류, 역률, 전력, 그래프 버튼을 구비하고 있어서 각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데이터를 볼 수 있고, 터보팬의 동작상태와 변압기 온도, 배기팬의 동작 상태와 판넬온도를 표시하고, 수치로 표현된 데이터를 추이그래프 형태로 표시하는 일상운전부를 하위에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부는, 계측된 부하율을 표시하고, 각 항목 선택시 계측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보여주며, 도움말도 보여주고, 기본적으로 전압, 전류, 역률 및 전력을 표시하고, 수용률, 온도, 전력량, 종합고조파왜형률(THD)을 선택적으로 보여주는 전력감시부를 하위에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부는, 수배전반 스위치 가운데 네트워크에서 관리 또는 제어가 필요한 스위치들을 화면상에서 설정하고 제어하며, 스위치 설정 뒤엔 반드시 정상동작여부 시험을 거친 뒤에 사용하여야 하며, 스위치 조작기능과 운전모드 변환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통신상태, 운전모드, 부하율, ATS, 터보팬 동작상태와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스위치보드를 하위에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부는, 화면의 한쪽엔 종합품질, 화재지수, 전력컨디션, 출력감쇄, 수배전반 선로품질지수를 포함한 지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 설치되고, 상기 선택 버튼 가운데에서 선택한 버튼에 해당하는 항목의 종합상태를 도시하고, 다른 한쪽엔 위 다수의 지수를 보여주며, 각 지수 선택시 메뉴가 선택한 항목의 하위지수를 보여주며, 상기 버튼의 테두리가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항목을 선택시 해당 데이터를 상세히 볼 수 있는 전력컨디션부를 하위에 구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0910A KR100842789B1 (ko) | 2006-09-20 | 2006-09-20 |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0910A KR100842789B1 (ko) | 2006-09-20 | 2006-09-20 |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6231A KR20080026231A (ko) | 2008-03-25 |
KR100842789B1 true KR100842789B1 (ko) | 2008-07-01 |
Family
ID=3941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0910A Active KR100842789B1 (ko) | 2006-09-20 | 2006-09-20 |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2789B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6814B1 (ko) * | 2009-12-09 | 2011-11-25 | 부창진 |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
KR200457014Y1 (ko) * | 2009-12-30 | 2011-12-0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배전계통 개폐기용 내장 일체형 제어통신 장치 |
KR101094148B1 (ko) * | 2009-11-26 | 2011-12-16 | 부창진 | 지능형 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통합관리 방법 |
KR101095493B1 (ko) * | 2010-03-22 | 2011-12-16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지능형 에너지 공급/관리 시스템 |
KR101103749B1 (ko) * | 2009-11-28 | 2012-01-06 | 한국전기안전공사 | 데이터 스토리지 및 게이트웨이 기능 분전반 시스템 |
KR101104321B1 (ko) * | 2010-04-30 | 2012-01-13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수요관리연계 분전함 및 그를 위한 게이트웨이 |
KR101130242B1 (ko) * | 2009-09-15 | 2012-03-27 | 한국전기안전공사 | 디지털 분전반에 설비된 원격 전기안전관리 시스템 |
KR101151677B1 (ko) | 2010-12-30 | 2012-08-0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수배전반 시스템의 품질지수를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1200950B1 (ko) | 2012-08-17 | 2012-11-13 | (주) 동보파워텍 | 유무선 데이터 집중장치를 이용한 수배전시스템의 전력관리 시스템 |
KR20210146092A (ko) * | 2020-05-26 | 2021-12-03 | 주식회사 루텍 | 멀티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2497725B1 (ko) | 2022-06-21 | 2023-02-08 | 주식회사 서호산전 | 고신뢰성의 온도 측정 기능과 온도 표시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8341B1 (ko) * | 2008-04-24 | 2008-09-16 | (주)재원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배전형 전선라인 구조 |
KR100889045B1 (ko) * | 2008-11-13 | 2009-03-19 | 제천시 | 타이머 기능을 가진 디지틀 분전함 |
KR100899651B1 (ko) * | 2008-11-21 | 2009-05-27 | 한국이미지시스템(주) | 원격지의 현장제어반 관리를 위한 영상 감시 및 터치스크린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0918697B1 (ko) * | 2009-03-06 | 2009-09-22 | (주) 동보파워텍 | 전력품질장치가 내장된 저압 분전반 및 그 작동 방법 |
KR100915401B1 (ko) * | 2009-03-31 | 2009-09-03 | (주)시그너스시스템 | 자가 진단이 가능한 지능형 배전반 |
KR100932746B1 (ko) * | 2009-04-20 | 2009-12-21 | 영인기술(주) | 배전반 제어 이력 정보 기록장치 |
KR101040406B1 (ko) * | 2009-04-30 | 2011-06-09 | 이동호 | 원격 배전반 관리시스템 |
KR101064631B1 (ko) * | 2009-06-05 | 2011-09-16 | 김광춘 |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 |
KR101021628B1 (ko) * | 2009-06-24 | 2011-03-22 | 한국전기안전공사 | 지역별로 설비된 분전반과 수배전반의 상태를 관리하는 전기안전감시시스템 |
KR101047325B1 (ko) * | 2009-08-28 | 2011-07-07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
KR101145754B1 (ko) | 2011-06-13 | 2012-05-17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비상 시 전원 공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시스템 |
KR101224324B1 (ko) * | 2011-06-15 | 2013-01-21 | 정성학 |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US9229612B2 (en) | 2013-08-27 | 2016-01-05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method for screen,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of |
KR101512827B1 (ko) * | 2014-07-31 | 2015-04-20 |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
KR101708222B1 (ko) * | 2015-11-18 | 2017-02-20 |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 IoT 기반의 열화감지 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
KR101715126B1 (ko) * | 2016-01-29 | 2017-03-13 |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 전력설비 감시제어 시스템 |
CN112149952A (zh) * | 2020-08-14 | 2020-12-29 | 中国地质大学(武汉) | 一种母线槽和pdu集中管理系统 |
KR102521906B1 (ko) * | 2022-03-23 | 2023-04-14 | 오픈마루 주식회사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미들웨어의 성능 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유도하고 문제점에 대한 해결절차를 제공하는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45865A (ja) * | 1994-03-04 | 1995-09-19 | Hitachi Ltd | 配電盤とデジタル継電装置 |
KR20030036286A (ko) * | 2003-02-17 | 2003-05-09 |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 원격 전력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
KR100632813B1 (ko) | 2004-03-05 | 2006-10-11 |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 디지털 그래픽 수배전 시스템 |
-
2006
- 2006-09-20 KR KR1020060090910A patent/KR10084278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45865A (ja) * | 1994-03-04 | 1995-09-19 | Hitachi Ltd | 配電盤とデジタル継電装置 |
KR20030036286A (ko) * | 2003-02-17 | 2003-05-09 |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 원격 전력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
KR100632813B1 (ko) | 2004-03-05 | 2006-10-11 |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 디지털 그래픽 수배전 시스템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0242B1 (ko) * | 2009-09-15 | 2012-03-27 | 한국전기안전공사 | 디지털 분전반에 설비된 원격 전기안전관리 시스템 |
KR101094148B1 (ko) * | 2009-11-26 | 2011-12-16 | 부창진 | 지능형 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통합관리 방법 |
KR101103749B1 (ko) * | 2009-11-28 | 2012-01-06 | 한국전기안전공사 | 데이터 스토리지 및 게이트웨이 기능 분전반 시스템 |
KR101086814B1 (ko) * | 2009-12-09 | 2011-11-25 | 부창진 | 통합 관리를 위한 배전반 그룹화 시스템 |
KR200457014Y1 (ko) * | 2009-12-30 | 2011-12-0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배전계통 개폐기용 내장 일체형 제어통신 장치 |
KR101095493B1 (ko) * | 2010-03-22 | 2011-12-16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지능형 에너지 공급/관리 시스템 |
KR101104321B1 (ko) * | 2010-04-30 | 2012-01-13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수요관리연계 분전함 및 그를 위한 게이트웨이 |
KR101151677B1 (ko) | 2010-12-30 | 2012-08-0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수배전반 시스템의 품질지수를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1200950B1 (ko) | 2012-08-17 | 2012-11-13 | (주) 동보파워텍 | 유무선 데이터 집중장치를 이용한 수배전시스템의 전력관리 시스템 |
KR20210146092A (ko) * | 2020-05-26 | 2021-12-03 | 주식회사 루텍 | 멀티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2361948B1 (ko) | 2020-05-26 | 2022-02-11 | 주식회사 루텍 | 멀티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2497725B1 (ko) | 2022-06-21 | 2023-02-08 | 주식회사 서호산전 | 고신뢰성의 온도 측정 기능과 온도 표시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6231A (ko) | 2008-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2789B1 (ko) |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 |
KR100821825B1 (ko) | 총체적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전력 감시 시스템 | |
KR101149367B1 (ko) | 모듈형 통합 전력 감시 장치 | |
US8972066B2 (en) | Decision support control centers | |
US20110112875A1 (en) | Site survey and installation for remote facility management system | |
CN108833141A (zh) | 数据中心运维管理装置与系统 | |
US20080255782A1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Energy Systems | |
US20110261057A1 (en) | Method and device to supervise a power network | |
KR20030036286A (ko) | 원격 전력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 |
KR20050089734A (ko) | 디지털 그래픽 수배전 시스템 | |
JP4229602B2 (ja) | 機器監視/運転支援方法 | |
JP4410859B2 (ja) | 水処理施設における運転監視制御の表示システム | |
CN109558047A (zh) | 基于bim轻量化模型的物业报修方法、装置及终端设备 | |
CN103809460A (zh) | 监控中心的仿真方法、装置及系统 | |
KR100491528B1 (ko) |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 |
CN106662849B (zh) | 控制装置的移动人机接口 | |
KR101488183B1 (ko) |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 |
KR102564056B1 (ko) | 산업체 에너지 데이터 분석 장치 | |
JP4731300B2 (ja) | 電気所における遠隔監視制御装置取替時の監視制御方法及びその監視制御システム | |
JP3492527B2 (ja) | ビル群の監視制御システム | |
JP2018041229A (ja) | 停電情報共有化システム | |
KR101524951B1 (ko) | 디지털 전원분배 모니터링 시스템 | |
CN100390779C (zh) | 数字图示开关设备系统 | |
KR100510345B1 (ko) | 인터넷을 통한 전력설비 제어시스템 | |
KR100836813B1 (ko) | 웹미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