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827B1 -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827B1
KR101512827B1 KR1020140098594A KR20140098594A KR101512827B1 KR 101512827 B1 KR101512827 B1 KR 101512827B1 KR 1020140098594 A KR1020140098594 A KR 1020140098594A KR 20140098594 A KR20140098594 A KR 20140098594A KR 101512827 B1 KR101512827 B1 KR 101512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breaker
information
target
electric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수
장재권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제스엔지니어링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한국동서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제스엔지니어링,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한국동서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8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실 내부에 설치되어 조작태그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바코드에 대응되는 차단기 번호를 검출하는 바코드 리더기; 상기 바코드 리더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차단기 번호에 매칭되는 목표 차단기 정보를 검출하는 메인 서버; 전기실 내부에 배열된 각 차단기 판넬의 판넬정보를 출력하는 판넬정보 출력부; 전기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검출된 상기 목표 차단기 정보 중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차단기가 설치된 상기 차단기 판넬의 판넬정보를 상기 판넬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컨트롤러; 전기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검출된 상기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전기실 내부의 차단기 배치도 상에 표출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차단기의 RF 태그를 인식하여 RF(Radio Frequency) 태그를 통해 인식된 차단기가 상기 목표 차단기인지 여부를 식별하여 식별결과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CIRCUIT BREAKER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실 내부의 다수 개의 차단기 각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석탄 화력발전소에는 2개 호기의 차단기반이 동일 전기실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되고 있다. 저압 차단기반의 경우 약 800여개(2개 호기)의 MCC(Motor Control Center) 차단기와 ACB(Air Circuit Breaker) 차단기가 동일 전기실 내에 설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기실 내부에는 차단기를 운영 및 관리하기에 적합한 구조 및 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 전기실 내부에 많은 개수의 차단기가 설치됨에 따라, 운전원은 차단기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었고 그 결과 고장 발생에 따른 차단기 조작 및 조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었다.
또한, 운전원은 준공도면 또는 데스크탑 PC(Personal Computer)의 도면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단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으나, 도면을 통해 차단기의 위치를 파악할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 결과 파급 고장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9208호(2008.12.17)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실 내부에 마련된 각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여 각 차단기에 대한 조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재기동 시간을 단축시켜 파급 고장을 예방하는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운전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하여 차단기 오조작으로 인한 인적 실수를 예방하는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는 전기실 내부에 설치되어 조작태그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바코드에 대응되는 차단기 번호를 검출하는 바코드 리더기; 상기 바코드 리더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차단기 번호에 매칭되는 목표 차단기 정보를 검출하는 메인 서버; 전기실 내부에 배열된 각 차단기 판넬의 판넬정보를 출력하는 판넬정보 출력부; 전기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검출된 상기 목표 차단기 정보 중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차단기가 설치된 상기 차단기 판넬의 판넬정보를 상기 판넬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컨트롤러; 전기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검출된 상기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전기실 내부의 차단기 배치도 상에 표출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차단기의 RF 태그를 인식하여 RF(Radio Frequency) 태그를 통해 인식된 차단기가 상기 목표 차단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결과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실 내부의 통로 상에 배치되어 운전원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운전원에게 비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임을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운전원을 감지하여 운전원이 상기 목표 차단기까지 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이면 상기 경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부는 전기실 내부의 상기 차단기 판넬 사이의 통로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판넬정보 출력부는 상기 차단기 판넬 각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차단기 배치도 상에 하이라이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표 차단기까지의 경로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실 내부에 마련된 각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여 각 차단기에 대한 조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재기동 시간을 단축시켜 파급 고장을 예방한다.
본 발명은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운전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하여 차단기 오조작으로 인한 인적 실수를 예방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목표 차단기를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통해 표출되는 차단기 정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통해 목표 차단기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정보 출력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와 수광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목표 차단기를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통해 표출되는 차단기 정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통해 목표 차단기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정보 출력부의 설치 예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와 수광부의 설치 예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는 메인 서버(20), 바코드 리더기(31), 휴대 단말(32), 터치스크린부(33), 컨트롤러(34), 판넬정보 출력부(35), 센서부(36) 및 경고부(37)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코드 리더기(31), 휴대 단말(32), 터치스크린부(33), 컨트롤러(34), 판넬정보 출력부(35), 센서부(36) 및 경고부(37)는 전기실(10) 내부에 설치된다.
각 전기실(10)에는 복수 개의 차단기 판넬(11)이 설치되며, 차단기 판넬(11) 각각에는 복수 개의 차단기가 설치된다. 각 차단기에는 각 차단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고유한 차단기 번호가 부여된다.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기실(10) 내부에는 복수 개의 차단기 판넬(11)이 설치되고, 각 차단기 판넬(11)에는 복수 개의 차단기가 설치되는 바, 각 전기실(10)에는 통상 많은 개수의 차단기가 설치된다. 참고로, 하나의 전기실(10)에는 약 800여개(2개 호기)의 MCC(Motor Control Center) 차단기와 ACB(Air Circuit Breaker) 차단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는 전기실(10)에 설치된 각 차단기의 위치를 운전원이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운전원에게 해당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해당 차단기로의 경로를 안내한다.
먼저, 바코드 리더기(31)는 전기실(10) 내부에 설치되어 조작태그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바코드에 대응되는 차단기 번호를 검출한다. 조작태그는 운전원이 소지하는 작업 지령서로서, 이 조작태그에는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번호, 목표 차단기에 대한 작업 정보, 작업 지시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원은 상기한 조작태그를 소지하여 목표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실(10)로 이동하고, 해당 전기실(10)에 설치되어 있는 바코드 리더기(31)에 조작 태그를 근접시킴으로써, 바코드 리더기(31)가 해당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바코드 리더기(31)는 바코드를 통해 검출된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번호를 메인 서버(20)로 전달한다.
메인 서버(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메인 서버(20)는 각 차단기 별로 차단기 정보를 사전에 저장한다. 차단기 정보에는 각 차단기에 설정된 고유한 차단기 번호, 전기실(10) 내 각 차단기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위치 정보, 현재 수행되어야할 차단기의 작업 정보, 각 차단기 별로 이전에 수행된 작업에 대한 작업 이력 정보 등이 포함된다.
메인 서버(20)는 상기한 바코드 리더기(31)로부터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번호를 전달받으면, 이 차단기 번호에 매칭되는 목표 차단기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목표 차단기 정보를 휴대 단말(32)과, 터치스크린부(33), 컨트롤러(34)로 각각 전달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메인 서버(20)가 상기한 목표 차단기 정보를 운전자가 소지하는 태블릿 PC로 전달하는 것도 포함한다. 태블릿 PC는 차단기 각각에 대한 정비나 유지 보수 등에 사용되며, 차단기에 대한 정비나 유지 보수 후 생성된 각종 정보를 메인 서버(20)에 전달한다. 아울러, 메인 서버(20)는 상기한 태블릿 PC 이외에도 운전원이 차단기를 운영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장비라면 상기한 차단기 정보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33)는 메인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터치스크린부(33)는 메인 서버(20)로부터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정보를 전달받으면, 이 차단기 정보 중에서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터치스크린부(33)는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기실(10) 내부의 차단기 배치도 상에 표출함으로써 운전원이 해당 목표 차단기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에는 터치스크린부(33)를 통해 표출되는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가 도시되었다. 도 2 를 참조하면, 목표 차단기가 5MC08-24일 경우, 터치스크린부(33)는 목표 차단기가 설치된 차단기 판넬(11)의 판넬 정보를 표시함과 더불어 해당 차단기 판넬(11) 중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부(33)는 해당 차단기 판넬(11) 내 차단기의 행과 열로 목표 차단기의 위치를 나타내며, 목표 차단기의 색상을 하이라이트 처리하거나 주변 차단기와 다른 색상으로 표출하여 운전원이 목표 차단기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중에 해당 목표 차단기가 터치되면, 터치스크린부(33)는 현재 위치로부터 목표 차단기까지의 경로를 표시한다. 즉, 터치스크린부(33)는 전기실(10) 내 각 차단기 판넬(11)과 통로 및 현재 위치가 표시되는 평면도를 표시하고, 이 평면도 상에 현재 위치로부터 목표 차단기까지의 경로를 화살표 등으로 표시하여 운전원이 현재 위치에서 목표 차단기까지의 경로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 단말(32)은 전기실(1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메인 서버(20)로부터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정보를 전달받고, 해당 차단기 정보를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휴대 단말(32)은 크레들(미도시)에 안착될 수 있으며 메인 서버(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휴대 단말(32)로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32)에는 RF 태그 리더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운전원이 휴대 단말(32)을 RF 태그에 근접시키면, RF 태그 리더기가 RF 태그로부터 차단기 번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휴대 단말(32)은 RF 태그 리더기에 의해 입력받은 차단기 번호가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번호와 일치하는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를 표출한다. 이때 운전원은 상기한 확인결과를 토대로 해당 차단기가 목표 차단기인지 여부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4 는 상기한 확인결과를 표시하는 방식의 일 예로서, 도 4 의 (a)는 차단기 번호와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번호가 일치하여 해당 차단기가 목표 차단기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차단기 번호와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번호가 상이하여 해당 차단기가 목표 차단기가 아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판넬정보 출력부(35)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실(10)의 각 차단기 판넬(11) 양측 또는 일측 각각 설치되어 해당 판넬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운전원은 전기실(10) 내부를 이동하면서 해당 차단기 판넬(11)을 손쉽게 인식할 수 있다.
센서부(36)는 전기실(10) 내부의 통로 상에 배치되어 운전원을 감지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센서부(36)는 발광부(361)와 수광부(362)를 포함한다. 발광부(361)는 전기실(10) 내부의 차단기 판넬(11) 사이, 즉 차단기 판넬(11) 사이의 통로로 광을 방출하고, 수광부(362)는 발광부(361)의 타측에 설치되어 발광부(361)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한다.
경고부(37)는 운전원이 비정상적인 경로를 이동 중임을 경고한다.
컨트롤러(34)는 전기실(10)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 서버(20)에 의해 검출된 목표 차단기 정보 중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목표 차단기가 설치된 차단기 판넬(11)의 판넬정보를 판넬정보 출력부(35)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컨트롤러(34)는 센서부(36)에 의해 운전원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토대로 현재 운전원이 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운전원이 비정상적인 경로로 이동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부(37)를 통해 운전원이 비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임을 경고한다.
이에 운전원이 전기실(10) 내부의 통로를 이동할 경우, 발광부(361)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362)에 수광되는지 여부에 따라 운전자의 경로가 정상적인 경로인지 비정상적인 경로인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원이 목표 차단기인 5M08-24로 이동하여야할 경우, 컨트롤러(34)는 목표 차단기까지의 경로를 근거로 해당 경로 상의 센서부(36)를 등록하고, 이때 정상적인 경로 상의 센서부(36)에 의해 운전원이 감지되면 운전원이 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임을 확인한다.
반면에, 컨트롤러(34)는 등록되지 않은 센서부(36)에 의해 운전원이 감지되면 운전원이 비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임을 확인한다.
이 경우, 운전원이 비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34)는 경고부(37)를 제어하여 운전원에게 비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임을 경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8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먼저 운전원이 조작태그를 소지하여 목표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실(10)로 이동하고, 해당 전기실(10)에 설치되어 있는 바코드 리더기(31)에 조작 태그를 근접시킨다.
이때, 바코드 리더기(31)는 조작태그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바코드에 대응되는 차단기 번호를 검출하고(S10), 검출된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번호를 메인 서버(20)로 전달한다(S20).
바코드 리더기(31)로부터 차단기 번호가 전달되면, 메인 서버(20)는 해당 차단기 번호에 매칭되는 목표 차단기 정보를 검출하고(S30), 검출된 목표 차단기 정보를 휴대 단말(32)과, 터치스크린부(33), 컨트롤러(34)로 각각 전달한다(S40).
이 경우, 메인 서버(20)는 상기한 목표 차단기 정보를 운전자가 소지하는 태블릿 PC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운전원은 해당 태블릿 PC 등을 통해 차단기 각각에 대한 정비나 유지 보수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서버(20)로부터 휴대 단말(32)과, 터치스크린부(33) 및 컨트롤러(34)로 목표 차단기 정보가 전달되면, 휴대 단말(32)과, 터치스크린부(33) 및 컨트롤러(34)는 운전원이 목표 차단기로 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먼저, 휴대 단말(32)은 메인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휴대 단말(32)에는 RF 태그 리더기(미도시)가 구비되는바, 운전원이 휴대 단말(32)을 RF 태그에 근접시키면, RF 태그 리더기가 RF 태그로부터 차단기 번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휴대 단말(32)은 RF 태그 리더기에 의해 입력받은 차단기 번호가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번호와 일치하는 여부를 표출하여 운전원이 해당 차단기가 목표 차단기인지 여부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50).
한편, 터치스크린부(33)는 메인 서버(20)로부터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정보를 전달받으면, 이 차단기 정보 중에서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부(33)는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전기실(10) 내부의 차단기 배치도 상에 표출한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부(33)는 차단기 판넬(11)의 행과 열로 목표 차단기의 위치를 나타내며, 목표 차단기의 색상을 하이라이트 처리하거나 주변 차단기와 다른 색상으로 표출하여 운전원이 목표 차단기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목표 차단기가 터치되면, 터치스크린부(33)는 전기실(10) 내 각 차단기 판넬(11)과 통로 및 현재 위치가 표시되는 평면도를 표시하고, 이 평면도 상에 현재 위치로부터 목표 차단기까지의 경로를 화살표 등으로 표시한다(S60). 이를 통해 운전원은 현재 위치에서 목표 차단기까지의 경로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트롤러(34)는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목표 차단기가 설치된 차단기 판넬(11)의 판넬정보를 추출하고, 이 목표 차단기가 설치된 차단기 판넬(11)의 판넬정보를 판넬정보 출력부(35)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운전원이 상기한 터치스크린부(33)를 통해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 및 최적 경로를 확인한 후 목표 차단기로 이동할 경우, 컨트롤러(34)는 운전원을 목표 차단기까지 유도한다(S70).
즉, 컨트롤러(34)는 목표 차단기까지의 경로를 토대로 등록된 센서부(36)에 의해 운전원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통해 현재 운전원이 정상적인 경로를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운전원이 비정상적인 경로를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34)는 경고부(37)를 통해 운전원이 비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임을 경고한다.
한편, 운전원은 상기한 목표 차단기로 이동하게 된 상태에서, 운전원이 휴대 단말(32)을 RF 태그에 근접시키면, 휴대 단말(32)은 RF 태그 리더기에 의해 입력받은 차단기 번호가 목표 차단기의 차단기 번호와 일치하는 여부를 표출하여 운전원이 해당 차단기가 목표 차단기인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운전원은 태블릿 PC나 휴대 단말(32) 등을 통해 목표 차단기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결과는 메인 서버(20)로 다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메인 서버(20)는 해당 목표 차단기에 대한 작업 이력 정보로 저장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단말(32), 터치스크린부(33) 및 컨트롤러(34)는 운전원의 요청에 따라 각기 독립적으로 수행하며, 휴대 단말(32), 터치스크린부(33) 및 컨트롤러(34)가 시간적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전기실(10) 내부에 마련된 각 차단기의 위치를 운전원에게 안내하여 운전원이 해당 차단기의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해당 차단기에 대한 조속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단기 조작 지연에 따른 파급 고장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운전원이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2중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차단기 오조작으로 인한 인적 실수를 예방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전기실 11: 차단기 판넬
20: 메인 서버 31: 바코드 리더기
32: 휴대 단말 33: 터치스크린부
34: 컨트롤러 35: 판넬정보 출력부
36: 센서부 361: 발광부
362: 수광부) 37: 경고부

Claims (6)

  1. 전기실 내부에 설치되어 조작태그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바코드에 대응되는 차단기 번호를 검출하는 바코드 리더기;
    상기 바코드 리더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차단기 번호에 매칭되는 목표 차단기 정보를 검출하는 메인 서버;
    전기실 내부에 배열된 각 차단기 판넬의 판넬정보를 출력하는 판넬정보 출력부;
    전기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검출된 상기 목표 차단기 정보 중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차단기가 설치된 상기 차단기 판넬의 판넬정보를 상기 판넬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컨트롤러;
    전기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의해 검출된 상기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전기실 내부의 차단기 배치도 상에 표출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차단기의 RF 태그를 인식하여 RF(Radio Frequency) 태그를 통해 인식된 차단기가 상기 목표 차단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결과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고,
    전기실 내부의 통로 상에 배치되어 운전원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운전원에게 비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임을 경고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운전원을 감지하여 운전원이 상기 목표 차단기까지 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정상적인 경로로 이동 중이면 상기 경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전기실 내부의 상기 차단기 판넬 사이의 통로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정보 출력부는 상기 차단기 판넬 각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목표 차단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차단기 배치도 상에 하이라이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표 차단기까지의 경로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KR1020140098594A 2014-07-31 2014-07-31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KR101512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594A KR101512827B1 (ko) 2014-07-31 2014-07-31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594A KR101512827B1 (ko) 2014-07-31 2014-07-31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827B1 true KR101512827B1 (ko) 2015-04-20

Family

ID=5305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594A KR101512827B1 (ko) 2014-07-31 2014-07-31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8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231A (ko) * 2006-09-20 2008-03-2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JP2011108112A (ja) * 2009-11-19 2011-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保守支援システムおよび保守支援方法
KR20120058953A (ko) * 2010-11-30 2012-06-08 주식회사 케이엔티 수배전반의 안전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231A (ko) * 2006-09-20 2008-03-2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JP2011108112A (ja) * 2009-11-19 2011-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保守支援システムおよび保守支援方法
KR20120058953A (ko) * 2010-11-30 2012-06-08 주식회사 케이엔티 수배전반의 안전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643B1 (ko) 산업용 차량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처리 장치
US10518452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EP3032480A1 (en) Blink code product registration
JP5774450B2 (ja) 産業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408820B1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격감시장치 및 방법
WO2014057854A1 (ja) 可搬式操作指示入力装置および可搬式操作指示入力装置を備えた装置
US7069106B2 (en) Sequence circuit display method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2866667B (zh) 用于机器、设备和/或运输系统的开关装置
CN104656561A (zh) 嵌入式系统与防呆控制方法
US200600492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bar-code systems
KR101512827B1 (ko) It 기술 기반의 차단기 관리 장치
KR102463912B1 (ko) 모듈형 후크 미터 시스템
CN107783515B (zh) 一种现场设备检测及管理系统
CN110024241B (zh) 用于操作电气开关系统中的电气开关设备的方法
KR101310637B1 (ko) 원격 감시제어 및 데이터 수집장치의 경보/이벤트에 대한 자동 제어 방법 및 매크로처리 장치
EP2320284B1 (en) Reteachable non-contact switching circuit
EP3046061B1 (en) Method of obtaining at least one operating parameter of an electrical substation component
KR20190040524A (ko) 사용자 경험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오조작 방지시스템
JP2021026422A (ja) 操作装置とその制御方法
CN113924191B (zh) 自动保护通过移动操作装置控制的机器人系统运行的方法和系统
KR20150080052A (ko) 지그비 통신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선박의 장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2320566A1 (en) Reteachable switching circuit with ability for locking
US20220404954A1 (en)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and equipment management screen generating method
US9934919B2 (en) Locking switch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KR20140055637A (ko) 전기장비 작업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