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971B1 -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971B1
KR102449971B1 KR1020200177481A KR20200177481A KR102449971B1 KR 102449971 B1 KR102449971 B1 KR 102449971B1 KR 1020200177481 A KR1020200177481 A KR 1020200177481A KR 20200177481 A KR20200177481 A KR 20200177481A KR 102449971 B1 KR102449971 B1 KR 102449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saster
image
unit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105A (ko
Inventor
김동주
서기수
Original Assignee
김동주
서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서기수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102020017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9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to plural spots in a confined site, e.g. MATV [Master Antenna Televi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는, 공동 주택에 설치된 공시청 설비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상기 방송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공동 주택 내 각 세대의 TV로의 전달을 위해 출력부로 출력시키는 신호처리부; 재난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재난 발생 감지부; 및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난 발생 감지부를 통해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각 세대의 TV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신호가 재난 방송신호로 대체하여 송출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MASTER ANTENNA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STER BROADCASTING}
본원은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가적/지역적 재난에 대해서는 지상파 방송 등을 통하여 재난 방송이 송출 되지만, 국소 지역(local region, 국지 지역) 재난에 대해서는 경보기와 구내 방송 이외에는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그런데, TV나 오디오 등을 시청하는 경우,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환경에 있는 경우, 혹은 방음구역에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재난 경보나 구내 방송이 잘 들리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람들이 재난을 인지하지 못함에 따라 큰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소 지역에서 재난(일예로, 화재, 침수, 홍수, 산사태 등)이 발생하였을 때 내부 방송망(TV망)을 통하여 모든 TV 시청 세대에 동시에 재난 상황, 대피 방법 등을 알릴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143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국소 지역에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내부 방송망(TV망)을 통하여 모든 TV 시청 세대에 동시에 재난 상황, 대피 방법 등을 신속히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는, 공동 주택에 설치된 공시청 설비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상기 방송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공동 주택 내 각 세대의 TV로의 전달을 위해 출력부로 출력시키는 신호처리부; 재난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재난 발생 감지부; 및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난 발생 감지부를 통해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각 세대의 TV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신호가 재난 방송신호로 대체하여 송출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국소 지역에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내부 방송망(TV망)을 통하여 모든 TV 시청 세대에 동시에 재난 상황, 대피 방법 등을 신속히 알릴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가 방송신호로서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경우의 블록도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가 방송신호로서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를 입력으로 할 때 고려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가 방송신호로서 제2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경우의 블록도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가 방송신호로서 제2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를 입력으로 할 때 고려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가 방송신호로서 제3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경우의 블록도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가 방송신호로서 제3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를 입력으로 할 때 고려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시스템에 포함된 화재 경보기 내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시스템에 포함된 화재 경보기를 통해 수행되는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와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 간의 유사도 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에서 재난 발생 감지부가 제1 영상의 확장 영상의 제공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가 제2 카메라의 각도 제어에 의해 각도 변경 영상을 재난 감지 경보기로부터 획득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0과 대비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에서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한 선택적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의 각도 제어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시스템(100)을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100)이라 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은 안테나(1),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 재난 감지 경보기(20) 및 사용자 단말(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로서,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를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라 하기로 한다.
본 장치(10)는 공시청 중계기, 공시청 중계 장치, 재난 방송 장치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안테나(1)는 공동 주택에 설치되는 공시청 설비(Master Antenna Television, MATV)의 안테나(공시청 설비에 포함된 안테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공청용 안테나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공시청 설비는 공동수신설비, 공시청 안테나 설비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공동 주택은 예시적으로 아파트, 연립주택, 빌딩(일예로, 대형 사무소용 빌딩), 기숙사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동 주택은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각 세대마다 독립된 주거생활이 가능한 구조로 된 모든 형태의 주택이 적용될 수 있다.
안테나(1)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1)는, 수신된 전파를 가공하고 증폭하여 공동 주택 내 각 세대(각 가구) 등에 TV 전파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수신된 전파를 본 장치(10)로 제공(전달)할 수 있다. 안테나(1)가 수신하는 전파는 방송신호 관련 전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입력부(11), 신호처리부(12), 출력부(13), 재난 발생 감지부(14), 제어부(15), 채널 기록부(16), 판단부(17), 선택 메뉴 제공부(18) 및 화면 표시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안테나(1)가 수신한 전파(방송신호 관련 전파)를 안테나(1)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입력부(11)는 공동 주택에 설치된 공시청 설비의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즉, 수신된 전파, 혹은 수신된 전파에 대응하는 방송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서 안테나(1)로는 예시적으로, 470 MHz 이상 771 MHz 이하의 HD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470 MHz 이상 771 MHz 이하의 UHD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470 MHz 이상 1002 MHz 이하의 HD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케이블(지역 케이블)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공청용 안테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입력부(11)가 안테나(1)로부터 수신하여 입력받은 방송신호는, 일예로 470 MHz 이상 771 MHz 이하의 HD 방송신호, 470 MHz 이상 771 MHz 이하의 UHD 방송신호, 470 MHz 이상 1002 MHz 이하의 HD 방송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표현해, 안테나(1)가 수신하는 방송신호의 수신 대역은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이라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은 3가지 유형의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으로서, 일예로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 제2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 및 제3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은, 470 MHz 이상 771 MHz 이하의 범위를 갖는 관악산 송신소의 HD 방송 공시청 관련 방송신호 수신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은, 470 MHz 이상 771 MHz 이하의 범위를 갖는 관악산 송신소의 UHD 방송 공시청 관련 방송신호 수신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은, 470 MHz 이상 1002 MHz 이하의 범위를 갖는 지역 케이블의 케이블HD 방송 공시청 관련 방송신호 수신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는 입력부(11)에서 입력된 방송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공동 주택 내 각 세대의 TV로의 전달을 위해 출력부(13)로 출력시킬 수 있다. 신호처리부(12)는 신호처리된 방송신호를 출력신호로 하여 출력부(13)로 출력시킬 수 있다.
즉, 신호처리부(12)는 입력부(11)에서 입력된 방송신호에 대하여 입력된 방송신호를 가공하고 증폭시키는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공동 주택 내 각 세대(각 가구)의 TV로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신호처리된 방송신호를 출력부(13)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출력부(13)는 신호처리부(12)에 의해 신호처리된 방송신호를 각 세대의 TV를 향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는 후술하는 재난 발생 감지부(14)에 의해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각 세대의 TV를 향해 출력되던 신호처리된 방송신호를 비상 송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재난 방송신호로 대체(혹은 오버랩)하여 각 세대의 TV를 향해 출력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재난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국소 지역(local region, 국지 지역)에서의 재난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일예로 화재, 침수, 홍수, 산사태 등 다양한 유형의 재난이 발생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재난은 화재, 침수, 홍수, 산사태, 지진, 해일, 공습경보, 폭우 등 각종 재난, 재해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국지적 재난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본원에서 국소 지역이라 함은 일예로 터널이나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은 지역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본 장치(10)와 네트워크(60)를 통해 연결된 후술하는 재난 감지 경보기(20)로부터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일예로 본 장치(10)의 일영역에 마련된 비상용 접점 신호 인식부(미도시)를 통한 비상용 접점 신호의 인식(즉,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의 수신 인식)을 통해, 비상용 접점 신호의 인식이 이루어지면 재난이 발생한 것(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본 장치(10)와 연결된 자동 센서 또는 개별 입력(사용자에 의한 직접적인 입력)에 기반하여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본 장치(10)와 연결된 화재 경보기의 스위치 혹은 재난 감지 경보기(20)내 화재 경보기의 스위치를 사용자가 누른 경우, 해당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입력에 응답하여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예시적으로 방송지역으로 재난 내용을 통보하는 등의 행위가 이루어진 경우,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재난 발생 감지부(14)에 의해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공시청으로 출력되는 각 세대의 TV의 화면을 재난 방송신호로 대체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는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채널 기록부(16)에 기록된 모든 송출 채널 각각에 대하여 재난 방송신호를 강제 송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세대의 TV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신호(평상시 출력되는 방송신호) 대신 재난 방송신호가 오버랩되어 송출(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15)는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11-1, 9-1, 6-1 등 시청하는 모든 채널(채널 기록부에 기록된 모든 송출 채널)에 대하여 비상 송출 채널인 1-1에서 수신되는 재난 방송신호가 오버랩하여 강제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비상 송출 채널은 재난 채널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본 장치(1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재난 발생 감지부(14)를 통해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각 세대의 TV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신호가 재난 방송신호로 대체(혹은 오버랩)하여 송출되도록 신호처리부(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에 의해 각 세대의 TV로 대체하여 전달(송출)되는 재난 방송신호는,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수신 대역인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즉,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 내지 제3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 이외에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 설정된 비상 송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재난 관련 방송신호(재난 방송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재난 방송신호는 재난이 발생했음에 대한 상황을 알리는 정보, 대피 방법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비상 송출 채널은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서 일예로 177MHz에 대응되는 채널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상 송출 채널은 재난 방송신호의 송출(혹은 비상상황의 발생 알림)이 이루어지는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비상 송출 채널의 주파수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일예로, 470 이상 1002 MHz 이하의 대역) 이외의 177MHz 로 설정됨으로써, 본 장치(10)는 기존 방송신호에 혼선이나 방해를 주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비상 송출 채널을 177MHz 로 설정함으로써, 기존 방송신호에 혼선이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며 재난 방송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비상 송출 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재난 방송신호는 비상용 방송 RF 신호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장치(10)에서는 재난 방송신호의 제공시 기존 방송신호에 혼선을 주거나 방해되지 않도록, 재난 방송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지는 채널(즉, 비상 송출 채널)의 주파수 대역을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 이외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서, 일예로 177MHz 로 설정할 수 있다.
채널 기록부(16)는 공동 주택 내 각 세대의 TV로부터,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송출이 이루어지는 송출 채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기록할 수 있다.
즉, 채널 기록부(16)는 공동 주택 내 각 세대의 TV에 어떤 채널이 입력되고 송출되는지에 대한 각종 채널 관련 정보를 기록(기억,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채널 기록부(16)에는 공동 주택 내 각 세대의 TV에 의해 입력되고 송출되는 모든 채널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재난 발생 감지부(14)에 의해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채널 기록부(16)에 기록된 모든 송출 채널에 대하여 재난 방송신호가 송출되도록 신호처리부(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5)는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신호처리부(12) 내 AD 컨버터를 이용해 비상 송출 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재난 방송신호(즉, 비상용 방송 RF 신호인 재난 방송신호)를 복사하여, 채널 기록부(16)에 기록된 모든 송출 채널 각각에 전송(송출)되도록 신호처리부(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부(13)는 신호처리부(12)의 동작 제어에 따라, 복사된 재난 방송신호(즉, 비상 송출 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재난 방송신호를 복사한 신호)를 채널 기록부(16)에 기록된 모든 송출 채널 각각에 대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 모듈레이터를 이용한 변조 방식이 아닌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복사(즉, 비상 송출 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비상용 방송 RF 신호인 재난 방송신호를 복사)함으로써, 모든 송출 채널 각각에 대해 재난 방송신호를 전송(송출)할 수 있다. 본원에서 AD 컨버터는 Analog - Digital Converter(ADC)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가 방송신호로서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경우의 블록도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가 방송신호로서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를 입력으로 할 때 고려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11)는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대역은 일예로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470 MHz 이상 771 MHz 이하의 범위를 갖는 관악산 송신소의 HD 방송 공시청 관련 방송신호 수신 대역)일 수 있다.
즉, 안테나(1)가 수신한 방송신호는 일예로 관악산 송신소 HD 방송 RF 신호일 수 있으며, 이러한 관악산 송신소 HD 방송 RF 신호는 일예로 도 3에서 1번에 도시된 파형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가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방송신호인 경우, 본 장치(10)에서는 모듈레이션(Modulation)의 유형으로서 8VSB인 디지털 HD 모드가 고려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는 입력된 방송신호(즉,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방송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공동 주택 내 각 세대의 TV로 전달하기 위해 출력부(13)를 향해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출력부(13)가 각 세대의 TV로 출력하는 출력신호는 입력된 방송신호(즉,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방송신호)가 신호처리된 신호로서, 이는 도 3에서 3번에 도시된 파형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출력부(13)는 평상시에(평소에) 각 세대의 TV로 신호처리된 방송신호(신호처리된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에 대응하는 방송신호)를 출력신호로 하여 각 세대의 TV로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3)가 평소에 출력하는 출력신호는 도 3에서 3번에 도시된 파형과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평소 HD 방송 RF 신호라 지칭될 수 있다.
이때, 재난 발생 감지부(14)에 의해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5)는 신호처리부(12) 내 AD 컨버터(12a)를 이용해 비상 송출 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재난 방송신호를 복사하고, 복사된 재난 방송신호를 채널 기록부(16)에 기록된 모든 송출 채널 각각에 송출되도록 신호처리부(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신호처리부(12) 내 AD 컨버터(12a)를 이용해 복사되는 재난 방송신호는 비상용 HD 방송 RF 신호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일예로 도 3에서 2번에 도시된 파형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신호처리부(12)는 재난 발생시, 채널 기록부(16)에 기록된 모든 송출 채널 각각에 복사된 재난 방송신호가 송출되도록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든 송출 채널에 재난 방송신호가 대체된(오버랩된) 출력신호를 출력부(13)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후, 출력부(13)는 신호처리부(12)로부터 전달받은 출력신호를 각 세대의 TV로 전달(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신호처리부(12)가 출력부(13)로 출력시키는 출력신호(즉, 모든 송출 채널에 재난 방송신호가 대체됨에 따라 생성된 출력신호)는 비상시 HD 방송 RF 신호라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일예로 도 3에서 4번에 도시된 파형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신호처리부(12) 내지 출력부(13)는 평소에는 도 3에서 3번에 도시된 파형과 같은 형태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다가, 재난 발생 감지부(14)에 의해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도 3에서 4번에 도시된 파형과 같은 형태의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가 방송신호로서 제2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경우의 블록도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가 방송신호로서 제2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를 입력으로 할 때 고려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내용은, 상술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대비하여 입력부(11)가 입력받는 방송신호로서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가 아닌 제2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가 고려되고, 이에 따라 모듈레이션의 유형으로서 8VSB인 디지털 HD 모드가 아닌 ATSC3.0인 UHD 모드가 고려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각 부에서의 신호처리 방식 내지 과정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4와 도 5를 참조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가 방송신호로서 제3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경우의 블록도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가 방송신호로서 제3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를 입력으로 할 때 고려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6과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내용은, 상술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대비하여 입력부(11)가 입력받는 방송신호로서 제1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가 아닌 제3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의 방송신호가 고려되고, 이에 따라 모듈레이션의 유형으로서 8VSB인 디지털 HD 모드가 아닌 ATSC/QAM 모드가 고려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각 부에서의 신호처리 방식 내지 과정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와 도 7을 참조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공시청 안테나가 설치된 공동 주택(예를 들어, 아파트, 연립, 대형사무용 빌딩 등)을 대상으로, 재난 발생시 재난 방송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가적, 지역적 재난에 대해서는 지상파 방송 등을 통하여 재난 방송이 송출 되지만, 국소 지역은 경보기와 구내 방송 이외에는 별도의 재난 방송 안내 관련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특히나, TV나 오디오 등을 시청하는 경우나,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환경이나, 방음구역에서는 재난 경보나 구내 방송이 잘 안들릴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재난 발생시 피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장치(10)는 국소 지역에서 재난(일예로 화재, 침수, 홍수, 산사태 등)이 발생하였을 때, 내부 방송망(TV망)을 통하여 TV를 시청하는 모든 세대에게(즉, 모든 TV 시청 세대에게) 동시에 재난 방송신호(즉,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복사된 비상용 방송 RF 신호인 재난 방송신호)를 알릴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제안한다. 즉, 본 장치(10)는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 TV 망을 통해 TV를 시청하는 모든 각 세대에 동시에 일괄적으로 재난 방송신호(재난 상황, 대피 방법 등을 포함한 재난 방송신호)를 제공(송출)하여 알릴 수 있다.
본원의 일예에서는, 제어부(15)가 재난 발생 감지시, 채널 기록부(16)에 기록된 모든 채널(모든 송출 채널)에 재난 방송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제어부(15)는 필요에 따라(설정에 따라), 채널 기록부(16)에 기록된 모든 채널(모든 송출 채널)에 대하여 재난 방송신호 대신 자막(재난 발생 안내 관련 자막)이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제어부(15)는 필요에 따라(설정에 따라) 채널 기록부(16)에 기록된 모든 채널(모든 송출 채널) 중 일부 채널에 대해서만 재난 방송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일예로 구내 방송을 비상 송출 채널(즉, 재난 채널)로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에 의한 재난 방송신호의 제공에 의하면, 공시청 중계기에서 재난 방송신호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본 장치(10)는 위성방송, 지상파, 케이블 등 송출 매체의 특성에 영향받지 않고 재난 방송신호를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가정에서 케이블 TV의 셋탑(셋탑박스)을 사용하더라도, 재난 발생의 감지시 이미 입력되는 9-1 채널(일반적으로 KBS1) 등 설정된 모든 채널에 재난 방송 출력 1-1이 대체 출력되도록 하므로, 매체(송출 매체)가 무엇이든 그에 관계없이 재난 방송신호를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장치(10)는 가정에서 케이블 TV의 셋탑을 사용하더라도, 재난 발생의 감지시 이미 입력되는 9-1번 채널(일반적으로 KBS1) 등과 같이 기 설정된 모든 채널(모든 송신 채널)에 대하여(각각에), 1-1번 채널(비상 송출 채널, 재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재난 방송신호를 AD 컨버터로 복사해 이를(복사된 재난 방송신호를) 오버랩해 강제 송출하므로, 모든 채널에서 일반 방송신호가 아닌 재난 방송신호가 대체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는바, 매체(송출 매체)의 특성에 영향받는 것 없이 재난 방송신호를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에서 입력부(11)는 RF 튜너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입력 신호(즉, 입력부에 입력되는 신호로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의미할 수 있음)를 RF 튜너 모듈(미도시)에서(RF 튜너 모듈을 이용해) 읽을 수 있다.
RF 튜너 모듈(미도시)은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에 대한 신호 파워를 신호 상태로서 판단할 수 있다. 즉, RF 튜너 모듈(미도시)은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신호 파워의 값을 읽을 수(획득할 수) 있다.
RF 튜너 모듈(미도시)은 단순히 튜너로 지칭될 수 있다. RF 튜너 모듈은 예시적으로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안테나(1)로부터 지상파, 위성, 케이블의 TV 신호를 디지털 지상파 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즉,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 장치(10)에 적용되는 RF 튜너 모듈(미도시)은 예시적으로 Mxl603일 수 있다. RF 튜너 모듈(미도시)의 입력 범위는 44 MHZ 내지 1002 MHz 사이의 범위이고, RF 튜너 모듈(미도시)의 출력은 일예로 44 MHz Positive/Negative일 수 있다. 즉, RF 튜너 모듈(미도시)의 출력은 44 MHz의 양(Positive)의 주파수와 44 MHz의 음(Negative)의 주파수일 수 있다.
RF 튜너 모듈(미도시)은 일예로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입력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Frequency)로 출력하여 일예로 I/Q 복조기(미도시)의 입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RF 튜너 모듈(미도시)은 입력된 신호(수신된 방송신호)를 44 MHz의 중간 주파수의 Positive/Negative를 출력하여 I/Q 복조기(미도시)의 입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I/Q 복조기(미도시)의 출력은 제로 중간주파수를 출력, 즉 Zero IF 출력(IQ)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I/Q 복조기(미도시)는 RF 튜너 모듈(미도시)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Zero IF 출력으로서 QN,QP,IP,IN로 출력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I/Q 변조기(I/Q Modulator)의 입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원에서는 일예로 본 장치(10)에서 고려되는 RF 튜너 모듈과 복조기가 각각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에서 고려되는 RF 튜너 모듈과 복조기가 하나로 통합된 형태인 통합형 튜너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합형 튜너는 예시적으로 MAX3580일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5)와 RF 튜너 모듈(미도시) 간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장치(10)에서 채널 기록부(16)는 공동 주택 내 각 세대에서 어떤 채널이 입력되고 송출되는지에 대한 각종 채널 관련 정보를 기록(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는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모듈레이터를 이용한 변조 방식이 아닌, 신호처리부(12)에 포함된 AD 컨버터(12a)를 이용하여 비상 송출 채널(재난 채널)에서 수신되는 재난 방송신호(재난 관련 RF 신호, 즉 비상용 방송 RF 신호)를 복사하고, 복사된 재난 방송신호를 채널 기록부(16)에 기록된 모든 채널(모든 송출 채널) 각각에 전송(전달, 송출)하도록 신호처리부(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에 대한 동작 제어에 응답하여, 출력부(13)는 채널 기록부(16)에 기록된 모든 채널(모든 송출 채널) 각각에 복사된 재난 방송신호를 송출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장치(10)는 모든 채널(모든 송출 채널)을 통하여 재난 방송신호를 제공(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하나의 장비로 최대 32개까지의 채널에 동시 방송(동시에 재난 방송신호의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하나의 장비로 최대 32개의 채널에 재난 방송신호를 동시에 일괄적으로 송출(방송, 출력,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재난방송을 송출하는 종래기술로는 일예로 한국등록특허 10-2040523가 존재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은 들어오는 모든 채널의 수만큼 엔코더와 모듈레이터를 준비하여 두고, 이후 재난이 발생하면 내보내는 모들 채널을 점유하여 재난방송을 송출한다. 즉, 상술한 종래기술은 재난방송을 제공함에 있어서 채널 수 만큼의 엔코더와 모듈레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현시대에 채널의 수가 200개 가까이 되는 현실에서, 상술한 종래기술과 같이 각각의 채널에 대해 1:1로 장비(엔코더와 모듈레이터)를 붙이게 되는 경우(즉, 각 채널에 1:1로 장비를 마련하게 되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장비 수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들고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장치(10)는 하나의 장비를 이용해 최대 32개의 채널에 재난 방송신호를 동시에 송출할 수 있으므로(측 최대 32개의 채널 당 본 장치 하나가 매칭되도록 마련해 둘 수 있으므로), 각각의 채널에 1:1로 장비를 마련하는 상술한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재난 방송신호를 송출(제공)함에 있어서 획기적으로 채널을 통합하여 장비의 수를 줄이고, 이에 따라 비용과 유지보수의 노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장치(10,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는, 국지 지역에 설치된 재난 감지 경보기(20)와 네트워크(2)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가 포함될 수 있다.
재난 감지 경보기(20)는 국지 지역에 설치되어 재난의 발생을 감지하는 기기일 수 있다. 즉, 재난 감지 경보기(20)는 자체적으로 재난(일예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재난 감지 경보기(20)는 화재 경보기(30) 및 복수의 카메라(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40)(41, 42, 43, …)는 제1 카메라(41), 제2 카메라(42), 제3 카메라(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복수의 카메라(40)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 적용(설정)될 수 있다.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재난 감지 경보기(20)가 재난 발생의 감지시 전송한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즉, 재난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재난 발생 관련 이벤트 정보를 재난 감지 경보기(20)로부터 수신한 경우,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재난 감지 경보기(20)는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본 장치(10)를 향하여 네트워크(2)를 통해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네트워크(2)를 통해 재난 감지 경보기(20)로부터 전송된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가 재난 감지 경보기(20)로부터 수신된 경우,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재난 감지 경보기(20) 내 화재 경보기(30)는, 공동 주택에 구비된 분전함의 내부에 배치된 전선에 마련되어, 전선에 대하여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아크 감지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분전함은 분전반이 구비된 함(케이스, 하우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화재 경보기(30)의 아크 감지 센서는 구체적으로 분전함 내 분전반에 인입된 전선에 마련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감지 센서를 이용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특징 분석을 통해 분전함 내에 아크가 발생했는지 여부(즉, 아크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화재 경보기(30)는 검출 결과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되면, 분전함에 의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화재 발생과 관련된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를 재난 발생 감지부(14)로 전송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중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아크가 발생했는지 여부(즉, 아크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중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이 존재하면, 기설정된 특징을 충족하는 파형에 대응하는 신호를 아크 의심 신호로서 1차적으로 임시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의심 신호가 판단된 이후에,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와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 간의 유사도 비교를 기반으로, 1차 판단된 아크 의심 신호가 실제 아크 신호인지 2차적으로 판단(식별)할 수 있으며, 2차 판단된 결과를 토대로 아크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1차 판단된 아크 의심 신호가 실제 아크 신호인 것으로 2차적으로 판단되면(최종 판단되면), 재난 발생 감지부(14)로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예에서는, 화재 경보기(30)가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재난(일예로 화재)이 발생했는지를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를 재난 발생 감지부(14)로 전송함으로써, 본 장치(10)의 재난 발생 감지부(14)가 재난 감지 경보기(20)(특히, 재난 감지 경보기 내 화재 경보기)로부터 전송받은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로 하여금 재난이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의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싱 신호(즉,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를 재난 감지 경보기(20)(특히, 재난 감지 경보기 내 화재 경보기)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센싱 신호에 대한 파형 특징 분석 및 유사도 비교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재난(화재)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설명에서, 화재 경보기(3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즉, 화재 경보기가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에 대한 파형 특징 분석과 유사도 비교 분석을 통해 화재 발생을 인식하는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재난 발생 감지부(14)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화재 경보기(30) 내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를 화재 경보기(3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전기신호에 대한 파형 특징 분석과 유사도 비교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재난(일예로 화재)이 발생했는지 감지(인식)할 수 있다.
아크 감지 센서는 예시적으로, 가파른 에지(steep-edged)의 전류 변화들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압 변화 등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즉, 아크 감지 센서는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센서(전류 센서 및/또는 전압 센서)일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서 고려되는 화재 경보기(30) 내 아크 감지 센서는 전선에 대하여 전기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아크 감지 센서는 분전함 내 분전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의 전류 및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를 전기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아크 감지 센서는 분전함 내 분전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에 가압된 전압 및 부하에 걸리는 전압을 전기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특징 분석을 통해 분전함 내 아크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아크(아크 신호)로서 직렬 아크(DC ARC)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중 임계 범위에 속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생되는 파형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아크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즉,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내에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이 존재하면,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중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에 대응하는 신호를 아크 의심 신호로 1차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화재 경보기(30)는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중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이 존재하면, 해당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에 대응하는 신호를 아크 의심 신호로 1차적으로 임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본원에서 언급하는 임계 범위라 함은 일예로 전기신호의 파형의 진폭에 대하여 설정된 범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화재 경보기(30) 내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에는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파형(S1)으로서 아크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신호의 파형(S1)과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S2)으로서 아크 발생에 의해 나타나는 아크 신호로 의심되는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S2)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중 기설정된 특징 조건으로서 임계 범위(r)에 속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t) 동안 발생하는 특징(파형 특징)을 충족하는 파형(S2)이 존재(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S2)이 존재하면, 화재 경보기(30)는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S2)에 대응하는 신호(전기신호)를 분전함 내 분전반에서 아크가 발생함에 따라 나타나는 아크 신호일 가능성이 있는 아크 의심 신호로 1차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화재 경보기(30)는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중 임계 범위(r)에 속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t) 동안 발생되는 파형(S2)이 존재하면, 해당 파형에 대응하는 신호, 즉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S2)에 대응하는 신호를 아크 신호일 가능성이 있는 아크 의심 신호로 1차 판단할 수 있다. 도 8의 도면 상에서 A 구간에 해당하는 파형(S2)에 대응하는 신호를 아크 의심 신호로서 1차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범위(r)는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값에 대하여 기설정된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전기신호가 전류 신호인 경우, 임계 범위(r)는 예시적으로 제1 전류 값 이상 제2 전류 값 이하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신호가 전압 신호인 경우, 임계 범위(r)는 예시적으로 제1 전압 값 이상 제2 전압 값 이하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에는 예시적으로 전기신호가 전압 신호인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임계 범위(r)는 제1 전압 값(예를 들어, 35V) 이상 제2 전압 값(예를 들어, 50V) 이하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된 전기신호 중 제1 전압 값 이상 제2 전압 값 이하인 전기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t) 동안 발생되면, 해당 전기 신호를 아크 의심 신호로 1차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된 전기신호 중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S2)의 신호가 발생한 경우, 해당 파형(S2)에 대응하는 신호를 아크 신호인 것(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즉시 판단하지 않고, 아크 신호일 가능성이 있는 아크 의심 신호로 1차적으로(임시로) 판단할 수 있다.
아크 의심 신호의 판단 이후, 화재 경보기(30)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즉, 복수의 아크 신호)와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즉, 아크 의심 신호) 간의 유사도 비교를 기반으로 2차적으로 아크 의심 신호가 아크 신호인지 식별함으로써, 아크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는 복수의 아크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 각각과 앞서 1차적으로 판단된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 간의 유사도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도 비교를 통해, 화재 경보기(30)는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 중에서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와의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를 초과하는 유사도를 갖는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 중 임계 유사도를 초과하는 유사도를 갖는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면,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의심 신호가 최종적으로 아크 신호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 신호의 식별을 통해, 화재 경보기(30)는 분전함 내 분전반에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신호로서 직렬 아크(DC ARC)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유사도 비교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임계 유사도를 초과하는 유사도를 갖는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면, 1차적으로 임시 판단된 아크 의심 신호가 아크 신호인 것으로 2차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유사도 산출(계산) 과정에 대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9는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화재 경보기(30)를 통해 수행되는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와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 간의 유사도 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 일예로 S2는 앞서 1차적으로 판단된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즉, 화재 경보기(30) 내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전기신호 중에서 식별된 아크 의심 신호)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D1은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즉, 어느 하나의 아크 신호)로서, 일예로 제1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즉, 제1 아크 신호)의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S2를 아크 의심 신호라 하고, D1을 제1 아크 신호라 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아크 신호(D1)에 대응하는 전기신호의 값(즉, 아크 신호의 값)은 기준값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제1 아크 신호(D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아크 신호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D1a는 기준값에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값(예를 들어, e %)을 더한 값인 상한 값을 나타내고, D1b는 기준값에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값(e%)을 차감한 값인 하한 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하한 값(D1b) 이상 상한 값(D1a) 이하의 범위(R)는 허용 범위(오차 허용 범위)라 지칭될 수 있다. 달리 말해, 허용 범위(R, 오차 허용 범위)는 전기신호의 값(일예로, 전압 값)이 하한 값(D1b) 이상 상한 값(D1a) 이하에 속하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화재 경보기(30)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저장된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제1 아크 신호(D1)와 아크 의심 신호(S2) 간의 유사도를 비교(즉, 계산)할 수 있다.
유사도 비교를 위해,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의심 신호(S2)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예를 들어, 100)의 샘플링 포인트(11')에 대한 전기신호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의심 신호(S2) 상의 100개의 샘플링 포인트(11', 샘플링 지점)에 대하여, 100개의 샘플링 포인트 각각에 대응하는 전기신호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 의심 신호(S2) 상에서의 미리 설정된 수의 샘플링 포인트의 위치는 아크 의심 신호(S2)에 대응하는 시간(즉, 미리 설정된 시간, t) 길이에 대하여 샘플링 포인트들 간의 거리가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수의 샘플링 포인트는 서로 간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설정된 수의 샘플링 포인트(11')는 허용 범위(R) 이내에 위치하는 제1 샘플링 포인트(11a)와 허용 범위(R) 외에 위치하는 제2 샘플링 포인트(11b)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샘플링 포인트(11a)는 하한 값(D1b) 이상 상한 값(D1a) 이하의 범위에 위치하는 포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샘플링 포인트(11b)는 하한 값(D1b) 미만의 범위에 위치하거나 상한 값(D1a)을 초과하는 범위에 위치하는 포인트를 의미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미리 설정된 수의 샘플링 포인트(11') 중 허용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제1 샘플링 포인트(11a)의 개수와 허용 범위 외에 위치하는 제2 샘플링 포인트(11b)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제1 샘플링 포인트(11a)의 개수와 제2 샘플링 포인트(11b)의 개수 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제1 아크 신호(D1)와 아크 의심 신호(S2) 간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제1 아크 신호(D1)와 아크 의심 신호(S2) 간의 유사도(유사도 값)를 계산할 수 있다.
[식 1]
S(%)=N1/N × 100%
여기서, S(%)는 제1 아크 신호(D1)와 아크 의심 신호(S2) 간의 유사도(유사도 값)을 나타내고, N1은 허용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제1 샘플링 포인트(11a)의 개수를 나타내고, N은 허용 범위 외에 위치하는 제2 샘플링 포인트(11b)의 개수를 나타낸다.
일예로, 100개의 샘플링 포인트(11') 중 제1 샘플링 포인트(11a)가 90개이고, 제2 샘플링 포인트(11b)의 개수가 10개인 경우, 제1 아크 신호(D1)와 아크 의심 신호(S2) 간의 유사도(유사도 값)는 9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 경보기(30)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아크 신호(즉,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와 아크 의심 신호(S2,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 간의 유사도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화재 경보기(30)는 복수의 아크 신호 각각에 대하여, 아크 의심 신호(S2)와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유사도 비교(계산) 결과, 복수의 아크 신호 중 아크 의심 신호(S2)와의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를 초과하는 유사도를 갖는 아크 신호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면,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의심 신호(S2)가 아크 신호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아크 의심 신호(S2)가 아크 신호인 것으로 식별되면, 화재 경보기(30)는 전기신호의 측정이 이루어진 아크 감지 센서와 연동되는 분전함에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결정(즉,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유사도는 아크 의심 신호가 아크 신호인지를 식별하는데 기준이 되는 값으로서, 상기 식 1을 통해 산출되는 유사도에 대한 임계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임계 유사도는 98%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말해, 화재 경보기(30)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 중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와 매칭되는 파형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 간의 매칭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화재 경보기(30)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 기 저장된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 중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와 매칭되는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면, 2차적으로 아크 의심 신호가 아크 신호인 것으로 식별해, 최종적으로 분전함 내에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와 매칭되는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라 함은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과 100% 일치하는 아크 신호 파형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도 있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유사도 범위에 속한(즉, 임계 유사도를 초과하는 유사도를 갖는) 아크 신호 파형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는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라 함은 실제로 분전함 내 분전반에서 아크가 발생하였을 때 발생된 아크에 관한 파형 데이터(즉, 실제 아크 신호라고 판단된 신호의 파형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된 전기신호 파형 중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에 대응하는 신호가 아크 의심 신호인 것으로 1차 판단(식별)할 수 있다. 이후,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 간의 유사도 비교를 통해, 아크 의심 신호가 분전반 내에 아크가 실제로 발생하여 나타나는 아크 신호인지를 2차 판단(식별)할 수 있다. 즉,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의심 신호의 1차 판단 이후,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저장된 신호들 간의 비교(유사도 비교, 매칭 비교)를 통해 1차 판단된 아크 의심 신호가 실제 아크 신호인지를 2차 판단할 수 있다.
2차 판단 결과 아크 의심 신호가 아크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즉, 도 8의 도면 상에서 A 구간에 해당하는 파형(S2)이 아크 신호에 대응하는 파형인 것으로 판단되면, 화재 경보기(30)는 전기신호의 측정이 이루어진 아크 감지 센서와 연결되는 분전함(즉, 아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화재 경보기(30)와 연결되는 분전함)(특히 분전함 내 분전반)에서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처럼,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특징 분석 및 유사도 비교를 통해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되면, 화재 경보기(30)는 아크의 발생을 검출한 아크 감지 센서(혹은 아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화재 경보기(30))와 연결되는 분전함에 의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최종 인식(최종 결정)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혹은 화재 발생 위험이 있음을 알리는)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에서는 화재 경보기(30)가 아크 발생에 기반한 화재의 발생을 인지(판단)함에 있어서, 파형 특징 분석을 통한 1차 판단과 1차 판단이 이루어진 대상에 대한 유사도 비교 분석을 통한 2차 판단을 포함한 이중 판단(1차 판단과 2차 판단)을 적용함으로써, 예시적으로 단순히 전기신호의 기울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등의 종래 기술들과는 달리, 아크 발생 여부의 검출(판단, 식별)이 보다 높은 신뢰도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화재 경보기(30)는,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특징 분석을 통해 분전함 내 아크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분전반에 의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되,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중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의 존재 여부에 따라 아크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화재 경보기(30)는,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중 임계 범위에 속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발생하는 특징에 대한 조건인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이 존재하면, 기설정된 특징 조건을 충족하는 파형에 대응하는 신호를 즉시 아크 신호로 판단하지 않고, 아크 신호일 가능성이 있는 아크 의심 신호로서 1차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화재 경보기(30)는, 1차적으로 판단된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와의 유사도 비교를 수행하여, 복수의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 중 아크 의심 신호의 파형 데이터와의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를 초과하는 유사도를 갖는 아크 신호 파형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면, 1차 판단된 아크 의심 신호가 아크 신호인 것으로 2차 판단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30)는 2차 판단 결과 아크 의심 신호가 아크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분전함 내에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검출하고, 이에 따라 분전함에 의해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를 본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은, 본 장치(10)에서 고려되는 화재 경보기(30)가 재난(일예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기준이 되는 분전함에서의 아크 발생을 검출함에 있어서, 전기신호의 파형 특징 분석을 기반으로 한 1차 아크 의심 신호의 판단과 유사도 비교를 기반으로 한 2차 아크 신호의 판단을 조합한 이중 판단(1차 판단과 2차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아크 발생 여부(즉, 화재 발생 여부)의 판단을 보다 높은 신뢰도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원은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전기신호에 대하여 1차/2차 판단을 모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되는 전기신호 중 파형 특징 분석을 통해 1차로 식별된 아크 의심 신호에 대해서만 파형 간 유사도 비교를 수행하는 2차 판단을 적용함으로써, 재난(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데 기준이 되는 아크 발생 검출을 위한 연산량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빠르게 아크 발생을 검출(빠르게 재난 관련 화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은 결과적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재난 감지(화재 감지)가 가능하며, 재난 상황(비상 상황)에 대한 즉각 대처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판단부(17)는, 재난 감지 경보기(20)가 복수개 마련되는 경우, 국지 지역에 설치된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로부터 획득된 센싱 신호의 분석을 통해,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 중 이상 동작하는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감지 경보기(20)가 복수개 마련된다라 함은, 화재 경보기(30)가 복수개 마련되거나, 혹은 카메라가 복수개 마련되거나, 혹은 화재 경보기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상 동작하는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라 함은, 재난 감지 경보기로부터 획득된 센싱 신호의 신호 강도(신호 수신률)가 신호 강도 허용 범위를 벗어나 약하게 감지됨에 따라, 해당 센싱 신호가 불안전한 상태로 획득(수신)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판단부(17)는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 중 어느 하나인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일예로, 제1 화재 경보기)가 신호 강도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1 재난 감지 경보기를 이상이 있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즉, 이상 제1 화재 경보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판단부(17)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가 교체가 필요한 경보기인지(즉, 교체 필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 중 제1 재난 감지 경보기가 이상 동작하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에 대하여 기등록된 등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본 장치, 10)와 네트워크(2)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5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15)는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에 대하여 기등록된 등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단말(50)의 화면 및/또는 본 장치(10)의 일영역에 자체적으로 마련된 화면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50)은 일예로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사용자(관리자)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에 대하여 기등록된 등록 정보에는 일예로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의 제품명, 제조일, 제1 재난 감지 경보기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관리자)는 사용자 단말(50)의 화면 또는 본 장치(10)의 화면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된 정보(제1 재난 감지 경보기에 대하여 기등록된 등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표시된 정보에 해당하는 재난 감지 경보기(즉, 제1 재난 감지 경보기)가 이상 동작하는 것으로 인지(문제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일예로 사용자가 이상 동작하는 재난 감지 경보기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연락처로 직접 연락을 취하여 이상 동작하는 재난 감지 경보기에 대한 보수나 교체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판단부(17)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에 대한 교체가 필요한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판단 결과,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가 교체가 필요한 교체 필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교체 필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와 관련하여 대체 가능한 대체 재난 감지 경보기의 추천을 위한 추천 리스트(대체 재난 감지 경보기 추천 리스트)를 기등록된 등록 정보 내 연락처에 대응하는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여기서, 기등록된 등록 정보 내 연락처라 함은, 기등록된 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재난 감지 경보기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연락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17)는 일예로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제1 화재 경보기)에 의해 센싱되는 센싱 신호(일예로, 제1 센싱 신호)의 신호 강도가 기준 신호 강도와 대비하여 신호 강도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이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신호 강도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제1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재난 감지 경보기가 교체가 필요한 교체 필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일예로, 교체 필요 이상 제1 화재 경보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17)에서 고려되는 신호 강도 허용 범위 및 미리 설정된 횟수는, 재난 감지 경보기의 유형에 따라(유형별로)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에 포함된 재난 감지 경보기가 이상 동작하는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인지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신호 강도 허용 범위는 재난 감지 경보기의 유형에 따라(즉, 재난 감지 경보기가 화재 경보기인지 혹은 카메라인지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가 교체가 필요한 교체 필요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인지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미리 설정된 횟수는 재난 감지 경보기의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감지 경보기의 유형이라 함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재난 감지 경보기가 화재 경보기, 카메라 등과 같이 경보기의 종류를 구분하는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본원의 일예에서는 재난 감지 경보기(20) 내에 경보기의 유형이 화재 경보기 및 카메라만 포함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재난 감지 경보기(20)에는 예시적으로 수위 경보기, 수문열림 경보기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유형)의 경보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재난 감지 경보기가 제1 유형의 경보기로서 화재 경보기(30)인 경우에는 신호 강도 허용 범위가 제1 범위로 설정되고, 미리 설정된 횟수가 제1 횟수로 설정될 수 있다. 재난 감지 경보기가 제2 유형의 경보기로서 일예로 카메라(41, 42, 43, …)인 경우에는 신호 강도 허용 범위가 제2 범위로 설정되고, 미리 설정된 횟수가 제2 횟수로 설정될 수 있다.
판단부(17)는 단순히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 중 이상 동작하는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를 판단(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상 동작하는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에 대하 교체가 필요한지 여부까지 더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어부(15)가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교체 필요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추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추천 리스트가 제공되는 단말은,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교체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추천 리스트에 포함된 대체 재난 감지 경보기로는, 교체 필요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일예로, 교체 필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와 동일한 동종의 재난 감지 경보기인 동종 대체 재난 감지 경보기 및 교체 필요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와 유사 성능을 가진 다른 이종의 이종 대체 재난 감지 경보기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교체 필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가 화재 경보기(30)인 경우, 제어부(15)는 화재 경보기(30)의 대체를 위한 추천 리스트를 화면 표시부(미도시)의 화면 또는 교체 필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인 화재 경보기(30)에 대하여 기등록된 연락처에 대응하는 단말(즉, 화재 경보기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의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추천 리스트에는 동일 대체 재난 감지 경보기로서, 화재 경보기(30)와 동일한 화재 경보기(같은 동일 제품)가 포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추천 리스트에는 유사 대체 재난 감지 경보기로서, 화재 경보기(30)와는 다른 화재 경보기(다른 제품)이되 화재 경보기(30)와 유사한 성능을 가지는 유사 화재 경보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추천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사 대체 재난 감지 경보기로는,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교체 필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 대비 일예로 후기(평가)가 더 좋거나, 가격이 더 낮거나, 품질이 더 좋은 재난 감지 경보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와 연동되는 재난 감지 경보기(20)에 대한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교체가 필요한 재난 감지 경보기와 동일한 재난 감지 경보기 뿐만 아니라 그와는 종류가 다르나 성능이 좋은 가성비 좋은 재난 감지 경보기를 함께 추천 리스트(대체 재난 감지 경보기 추천 리스트)에 포함시켜 제공(추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재난 감지 경보기에 대한 교체가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추천 리스트의 제공을 통해, 재난 감지 경보기를 관리하는 사용자가 교체 필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를 대체할 재난 감지 경보기를 결정(구매)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여러 경보기들을 추천 리스트를 토대로 용이하게 비교해 보고 보다 합리적인 제품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교체 필요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에 대한 교체/관리가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와 연동되는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의 운용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의 관리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운용 담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와 연동되는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의 이상을 판단함과 더불어,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 해당 경보기를 대체할 만한 경보기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재난(비상상황) 발생시 재난 감지 경보기가 고장나거나 이상 동작함으로 인해 비상상황을 신속히 감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와 연동되는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재난 감지 경보기(20)는 공동 주택에 배치되어 공동 주택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41, 42, 43, …)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복수의 카메라(40)로부터 획득된 영상에 대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재난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선택 메뉴 제공부(18)는 복수의 카메라 중에 제1 카메라(41)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중첩 영역으로 포함하는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카메라(42)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영상이 포함된 확장 영상을 제공받을지 여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메뉴를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본 장치, 10)와 네트워크(2)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5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선택 메뉴 제공부(18)는 제1 선택 메뉴가 사용자 단말(50)의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에서 재난 발생 감지부(14)가 제1 영상의 확장 영상의 제공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예로, 복수의 카메라(40)(41, 42, 43, …) 중 제1 카메라(41)에 의해 촬영되어 획득되는 제1 영상(I1)과 제2 카메라(42)에 의해 촬영되어 획득되는 제2 영상(I2) 간에 서로 중첩되는 영역(r)이 존재한다고 하자. 즉, 일예로 제1 영상(I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중첩 영역(r)으로 포함하는 영상(I2)을 획득하는 카메라가 제2 카메라(42)라고 하자. 달리 표현해, 제2 카메라(42)가 제2 영상(I2)을 획득함에 있어서, 일예로 제1 카메라(41)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영상(I1)의 적어도 일부 영역(r)이 중첩되도록 제2 영상(I2)을 획득한다고 가정하자.
선택 메뉴 제공부(18)는 일예로 복수의 카메라(40) 각각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의 분석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40)(41, 42, 43, …) 중에 제1 카메라(41)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영상(I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중첩 영역(r)으로 포함하는 제2 영상(I2)을 획득하는 제2 카메라(42)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도 10에 도시된 일예에서는, 제2 카메라(42)가 제1 영상(I1)의 적어도 일부 영역(r)에 대해 중첩되도록 영상(I2)을 획득하므로, 선택 메뉴 제공부(18)는 제1 영상(I1)이 포함된 확장 영상을 제공받을지 여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메뉴를 사용자 단말(5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제1 선택 메뉴의 제공에 응답하여 확장 영상을 제공받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즉, 제1 선택 메뉴의 제공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장 영상을 제공받고자 하는 선택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제1 카메라(41)와 제2 카메라(42)로부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영상의 확장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재난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상의 확장 영상은, 제2 영상(I2) 중에서 중첩 영역(r)이 제외된 나머지 영역(s)에 해당하는 영상 및 제1 영상(I1)을 포함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재난 발생 감지부(14)가 획득하는 제1 영상의 확장 영상은, 단순히 제1 영상(I1)에 제2 영상(I2) 전체를 추가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상이 아니라, 제1 영상(I1)에 제2 영상(I2) 중 특히 제1 영상(I1)과의 중첩된 중첩 영역(r)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s)에 해당하는 제2 영상(I2)만을 추가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재난 감지 경보기(20)는 복수의 카메라(40)를 포함하는 경우, 확장 영상의 생성을 위한 영상 편집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편집부(미도시)는 제1 선택 메뉴의 제공에 응답하여 확장 영상을 제공받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 제1 영상(I1)과 제2 영상(I2)을 포함하는 제1 영상의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편집부(미도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첩 영역에 대하여 복수개의 중첩 영역들 중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 중첩된 영역들은 제거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영상 편집부(미도시)는 중첩 영역이 제거(제외)된 나머지 영역(s)만을 포함하는 제2 영상(I2)과 제1 영상(I1)을 하나의 영상으로 연결시키는 영상 편집을 수행함으로써, 제1 영상의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편집부(미도시)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를 이용한 대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장치(10)는 재난 감지 경보기(20)로부터 획득된 제1 영상의 확장 영상을 기반으로 영상 분석을 수행하여 재난이 발생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분석으로는 종래에 공지되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장치(10)는 복수의 카메라(40) 중 일부 카메라가 다른 카메라와 중첩된 영역을 촬영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40)로부터 제1 영상의 확장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제1 영상의 확장 영상을 토대로 영상 분석을 수행해 재난이 발생했는지를 감지함으로써, 복수의 카메라(40) 각각으로부터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들을 토대로 영상 분석을 수행해 재난이 발생했는지를 감지하는 것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본 장치(10)와 재난 감지 경보기(20) 간의 데이터 송수신 양(내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을 줄일 수 있고, 영상 분석의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불필요한 영상의 획득(혹은 본 장치(10)에 대한 불필요한 영상의 저장)을 줄여 메모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라 함은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대응하는 메모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선택 메뉴 제공부(18)는 일예로 제1 카메라(41)로부터 제1 영상의 획득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제1 영상의 대체 영상을 제공받을지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메뉴를 사용자 단말(5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의 획득이 불가능한 상태라 함은, 예시적으로 제1 카메라(41)가 고장나거나 혹은 제1 카메라(41)와 본 장치(10) 간에 통신 이상이 발생한 경우 등의 이유로 제1 영상을 본 장치(10)가 획득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제2 선택 메뉴의 제공에 응답하여 대체 영상을 제공받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즉, 제2 선택 메뉴의 제공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영상의 대체 영상을 제공받고자 하는 선택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제1 영상과 중첩되는 영역(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42)가 제1 영상의 대체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기 위해 제2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제2 카메라(42)의 각도를 제어하기 이전의 제1 영상(I1)과 제2 영상(I2) 간에 중첩되는 중첩 영역(r)의 크기를 기준(즉, 카메라의 각도 제어 이전의 중첩 영역의 크기를 기준)으로, 제1 영상(I1)과 제2 영상(I2) 간에 중첩되는 중첩 영역(r)의 크기가 더 커지는 방향으로 제2 카메라(42)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예시적으로 제2 카메라(42)의 각도 제어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제2 카메라(42)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영상(I2) 내 중첩 영역(r)의 크기를 제1 크기라 하는 경우, 제2 카메라(42)의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이후에 제2 카메라(42)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영상 내 중첩 영역의 크기는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일 수 있다. 이때, 제2 카메라(42)의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이후에 제2 카메라(42)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영상은, 제2 카메라(42)의 각도 제어에 의해 각도 제어 이전과 대비하여 촬영 영상의 각도가 변경된 영상으로서, 각도 변경 영상(특히, 각도 변경 제2 영상)이라 지칭될 수 있다.
이후,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2 카메라(42)로부터 획득되는 각도 변경 영상(특히, 각도 변경 제2 영상)을 제1 영상(I1)의 대체 영상으로서 획득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재난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가 제2 카메라의 각도 제어에 의해 각도 변경 영상을 재난 감지 경보기(20)로부터 획득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0과 대비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선택 메뉴 제공부(18)는 제1 카메라(41)로부터 제1 영상(I1)의 획득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제1 영상의 대체 영상을 제공받을지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메뉴를 사용자 단말(50)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선택 메뉴의 제공에 응답하여 대체 영상을 제공받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 제어부(15)는 제2 카메라(42)의 각도를 제어하기 이전의 제1 영상(I1)과 제2 영상(I2) 간에 중첩되는 중첩 영역(r)의 크기를 기준으로, 제1 영상(I1)과 제2 영상(I2) 간에 중첩되는 중첩 영역의 크기가 더 커지는 방향으로 제2 카메라(42)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카메라(42)의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이후에 제2 카메라(42)를 통해 획득되는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2 영상)(I2') 내 중첩 영역(r')의 크기, 즉 제1 영상(I1)과 중첩되는 중첩 영역(r')의 크기는, 제2 카메라(42)의 각도 제어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제2 영상(I2) 내 중첩 영역(r)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후, 재난 감지 경보기(20)는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2 카메라(42)로부터 획득되는 각도 변경 영상(특히, 각도 변경 제2 영상)(I2')을 제1 영상(I1)의 대체 영상으로서 재난 발생 감지부(14)로 전송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감지부(14)는 재난 감지 경보기(20)로부터 획득한 제1 영상의 대체 영상을 기반으로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재난이 발생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재난 감지 경보기(20) 내에서 복수의 카메라(40) 중 특정 카메라(일예로 제1 카메라)의 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해서도, 해당 영상(제1 영상)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일예로, 제2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각도 제어가 이루어지는 카메라(제2 카메라)로 하여금 제1 영상에 대한 대체 영상을 획득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제1 영상을 제공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다른 카메라의 각도 제어를 통해 해당 제1 영상과 유사한 영상(대체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토대로 재난(일예로 화재, 홍수 등)의 발생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사각지대에 대한 감시 누락 없이 재난의 발생을 신속히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복수의 카메라(40)(41, 42, 43, …) 내에 제1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중첩 영역으로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제1 영상의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해 복수개의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 중 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의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하여 복수개의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 중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카메라의 조합 수(조합 경우의 수)가 복수개인 경우, 제어되는 카메라의 수가 최소가 되는 조합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의 카메라를 선택하여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에서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한 선택적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의 각도 제어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40)(41, 42, 43, …) 중에, 제1 카메라(41)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영상(I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가 제2 카메라(42) 내지 제4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하여 총 3개 존재한다고 하자.
여기서, 제2 카메라(42)가 제1 영상(I1)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중첩 영역(r1)을 포함하도록 제2 영상(I2)을 획득하고, 제3 카메라(43)가 제1 영상(I1)의 다른 적어도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중첩 영역(r2)을 포함하도록 제3 영상(I3)을 획득하고, 제4 카메라가 제1 영상(I1)의 또 다른 적어도 일부 영역과 중첩되는 중첩 영역(r3)을 포함하도록 제4 영상(I4)을 획득한다고 하자.
이때, 본 장치(10)가 제1 카메라(41)의 제1 영상(I1)의 획득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선택 메뉴 제공부(18)는 제1 영상(I1)의 대체 영상을 제공받을지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메뉴를 사용자 단말(50)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선택 메뉴의 제공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50)이 제1 영상(I1)의 대체 영상을 제공받을 것을 선택하는 입력이 이루어졌다고 하자. 즉, 제어부(15)는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제1 영상(I1)의 대체 영상을 제공받는다는 응답이 수신된 경우, 복수의 카메라(40)(41, 42, 43, …) 내에 제1 영상(I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중첩 영역으로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카메라(40)(41, 42, 43, …) 내에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가 존재하되, 이러한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가 복수개 존재한다고 하자. 여기서, 도 12의 도시된 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는 제2 영상(I2)을 획득하는 제2 카메라(42), 제3 영상(I3)을 획득하는 제3 카메라(43) 및 제4 영상(I4)을 획득하는 제4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영상(I1)의 대체 영상을 제공함에 있어서, 일예로 복수의 카메라(40)(41, 42, 43, …) 내에 복수개의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제2 카메라, 제3 카메라, 및 제4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5)는 제1 영상(I1)의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해 복수개의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제2 카메라 내지 제4 카메라) 중 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의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일예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I1)의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해 제2 카메라(42)와 제3 카메라(43)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2 카메라(42)를 통해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2 영상, I2')과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3 카메라(43)를 통해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3 영상, I3')을 획득(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영상 편집부(미도시)는, 제1 영상(I1)을 기반으로, 획득된 제2 카메라(42)의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2 영상, I2')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획득된 제3 카메라(43)의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3 영상, I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1 영상(I)의 대체 영상의 획득(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편집부(미도시)는 제2 카메라(42)의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2 영상, I2') 내에서 제1 영상(I1)과 중첩되는 중첩 영역(r1'')에 해당하는 제1 부분 영상을 추출하고, 제3 카메라(43)의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3 영상, I3') 내에서 제1 영상(I1)과 중첩되는 중첩 영역(r2'')에 해당하는 제2 부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영상 편집부(미도시)는 추출된 제1 부분 영상과 제2 부분 영상을 연결(결합)시킴으로써 제1 영상(I)의 대체 영상의 획득(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다른 일예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I1)의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해 제2 카메라(42), 제3 카메라(43) 및 제4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2 카메라(42)는 각도 변경 영상으로서 각도 변경 제2 영상(I2'')을 획득하고,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3 카메라(43)는 각도 변경 영상으로서 각도 변경 제3 영상(I3'')을 획득하고,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제4 카메라는 각도 변경 영상으로서 각도 변경 제4 영상(I4'')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재난 감지 경보기(20) 내 영상 편집부(미도시)는, 제1 영상(I1)을 기반으로, 획득된 제2 카메라(42)의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2 영상, I2'')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획득된 제3 카메라(43)의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3 영상, I3'')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제4 카메라의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4 영상, I4'')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1 영상(I)의 대체 영상의 획득(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편집부(미도시)는 제2 카메라(42)의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2 영상, I2'') 내에서 제1 영상(I1)과 중첩되는 중첩 영역(r1''')에 해당하는 제1 부분 영상을 추출하고, 제3 카메라(43)의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3 영상, I3'') 내에서 제1 영상(I1)과 중첩되는 중첩 영역(r2''')에 해당하는 제2 부분 영상을 추출하고, 제4 카메라의 각도 변경 영상(각도 변경 제4 영상, I4'') 내에서 제1 영상(I1)과 중첩되는 중첩 영역(r3''')에 해당하는 제3 부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영상 편집부(미도시)는 추출된 제1 부분 영상, 제2 부분 영상 및 제3 부분 영상을 연결(결합)시킴으로써 제1 영상(I)의 대체 영상의 획득(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도 13의 일예에서와 같이 2개의 카메라(제2 카메라와 제3 카메라)의 각도 제어를 통한 대체 영상의 획득 예는 제1 경우의 예라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4의 일예에서와 같이 3개의 카메라(제2 카메라 내지 제4 카메라)의 각도 제어를 통한 대체 영상의 획득 예는 제2 경우의 예라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40) 내에 복수개의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제2 카메라 내지 제4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5)는 일예로 제1 경우의 예와 같이 복수개의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제2 카메라 내지 제4 카메라) 중 선택적으로 제2 카메라(42)와 제3 카메라(43)의 각도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대체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일예로 제2 경우의 예와 같이 복수개의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제2 카메라 내지 제4 카메라) 중 선택적으로 제2 카메라(42) 내지 제4 카메라의 각도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대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원의 일예에 따르면, 본 장치(10)에서는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하여 복수개의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 중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카메라의 조합 수(조합 경우의 수)가 2개(제1 경우의 예와 제2 경우의 예를 포함하는 2가지 경우)라 할 수 있다. 즉, 본원의 일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카메라의 조합 수는 제1 경우의 예와 제2 경우의 예를 포함하여 총 2개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하여 복수개의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 중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카메라의 조합 수(조합 경우의 수)가 복수개인 경우, 제어부(15)는 제어되는 카메라의 수가 최소가 되는 조합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의 카메라를 선택하여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경우의 예에서는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해 제어되는 카메라의 수가 2개인 반면, 제2 경우의 예에서는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해 제어되는 카메라의 수가 3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경우가 제2 경우보다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해 제어되는 카메라의 수가 더 적으므로, 제어부(15)는 2가지의 경우 중 제1 경우의 예와 같이, 일예로 제어되는 카메라의 수가 최소가 되는 조합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의 카메라로서 제2 카메라(42)와 제3 카메라(43)를 선택하고, 제2 카메라(42)와 제3 카메라(43)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제1 영상(I1)의 대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복수의 카메라(40)로부터 제1 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제1 영상의 대체 영상을 획득하고자 할 때, 대체 영상의 생성을 위해 제어되는 카메라(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의 수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제1 영상과 유사하거나 상응하는 영상(대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최소한의 수로 제어되는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각도 변경 영상을 토대로 대체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대체 영상에 대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해 재난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보다 빠른 대체 영상의 생성이 가능하고, 적은 영상의 수를 이용한 영상 간 결합을 통해 제1 영상을 대체하는 대체 영상으로서 보다 품질 좋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재난 발생 감지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즉, 보다 빠르게 재난 발생 감지를 수행할 수 있고), 불필요한 영상의 획득(혹은 본 장치(10)에 대한 불필요한 영상의 저장)을 줄여 메모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화면 표시부(19)는 본 장치(10)의 프론트 판넬의 일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화면 표시부(19)는 터치패널, LC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면 표시부(19)는 본 장치(10)에서 입/출력되는 방송신호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신호의 상태 정보라 함은, 입력신호 및/또는 출력신호의 상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입출력 신호의 레벨 세기, 품질 상태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20)와의 연동을 통해, 재난 발생 여부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재난 방송신호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는 식별부(미도시) 및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미도시)는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달리 표현해,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채널 유형) 및/또는 모듈레이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디지털 지상파 신호)는 일예로 국가별 및/또는 표준별 디지털 지상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장치(10)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로서, 국가(혹은 지역), 표준 등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디지털 지상파 신호를 안테나(1)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TV 방송에서 디지털 TV 방송이 시작됨에 따라, 각 국가에서는 해당 국가나 지역에서 채택(채용)하고 있는 방송 규격에 따른 디지털 TV 방송 규격을 갖춘 TV가 판매되고 있다. 예시적으로, 디지털 TV 방송 규격(표준)으로서, 한국과 미국에서는 ATSC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일본에서는 ISDB-T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유럽에서는 DVB-T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중국에서는 DTMB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처럼, 각 국가별로 채용하고 있는 디지털 TV 방송 규격(표준)이 상이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일예로 ATSC 방송 방식을 지원하는 TV의 경우, DVB-T 방송 방식이나 ISDB-T 방송 방식을 지원하는 국가(혹은 지역)에서는 방송 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장치(10)는 식별부(미도시),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 및 제어부(15)를 통하여, 국가(혹은 지역), 표준 등에 구애받지 않고, 국가별 및/또는 표준별 다양한 디지털 지상파 신호를 수신하여 이들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글로벌 디지털 방송 규격(표준)을 지원하는 리모듈레이터의 기능을 갖는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일예로 각 국가별 TV 수신기의 특성에 맞추어 출력(output)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가 안테나(1)를 통해 수신하는 방송신호(달리 표현해, 디지털 지상파 신호)로는, 국가별(지역별) 및/또는 표준별 디지털 지상파 신호로서, 일예로 ATSC 방송 규격(표준)을 갖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 ISDB-T 방송 규격을 갖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 DVB-T 방송 규격을 갖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 및 DTMB 방송 규격을 갖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장치(10)가 안테나(1)를 통해 수신하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로는, NTSC, PAL, SECAM, QAM 등의 방송 규격을 갖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지상파 신호는 UHF 및 VHF대역의 RF 신호(RF 방송신호)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식별부(미도시)는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여 채널(Channel) 유형 및/또는 모듈레이션(Modulation)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유형은 공영방송채널(MATV)인 제1 채널 및 유료방송채널(CATV)인 제2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채널은 Air, 제2 채널은 Cable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즉, 제1 채널은 MATV에 대응하는 채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 채널에는 2 채널 내지 56 채널이 포함(달리 말해, 2~56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채널은 CATV에 대응하는 채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2 채널에는 2채널 내지 158 채널이 포함(달리 말해, 2~158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레이션(Modulation) 유형은 아날로그 모드, 복수의 디지털 HD 모드 및 ATSC3.0인 UHD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디지털 HD 모드는 8VSB인 제1 디지털 HD 모드, 64QAM인 제2 디지털 HD 모드 및 256QAM인 제3 디지털 HD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식별부(미도시)에서 식별된 채널(채널 유형) 및/또는 모듈레이션 유형에 따라,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상태를 판단(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상태에는 신호 파워(Signal Power, 신호 레벨),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 및 변조오류율(Modulation Error Rate, MER)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호 상태에는 비트오류율(bit error rate, BER)이 포함될 수 있다.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식별부(미도시)에서 식별된 모듈레이션 유형이 아날로그 모드인 경우,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상태로서 신호 파워(Signal Power)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식별부(미도시)에서 식별된 모듈레이션 유형이 복수의 디지털 HD 모드 또는 UHD 모드인 경우,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상태로서 신호 파워(신호 레벨), 신호대잡음비(SNR) 및 변조오류율(MER)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파워(신호 레벨)는 복조기의 고정(lock, 락) 여부와 관계없이 튜너를 통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신호대잡음비(SNR) 및 변조오류율(MER)은 복조기가 고정(lock)된 이후 복조기를 통하여 판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본 장치(10)에서는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모듈레이션 유형의 초기값을 일예로 UHD 모드로 설정, 즉 ATSC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식별부(미도시)에 의해 식별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모듈레이션 유형이 아날로그 모드인 경우(즉, 식별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아날로그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 가정하자. 이때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모듈레이션 유형을 ATSC3.0으로 설정(즉, UHD 모드로 설정)하고 락킹(Locking)을 수행함으로써, 본 장치(10)에 포함된 회로 구성 중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 PLL)가 고정(lock)되도록 하고, 복조기(demodulator, 이하 demod라 표현될 수 있음)가 고정(lock)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본 장치(10)에 포함된 회로 구성 중 튜너를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신호 파워를 신호 상태로서 판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튜너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신호 파워의 값을 읽어올 수(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SNR 값 및 MER의 값은 읽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식별부(미도시)에 의해 식별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1 디지털 HD 모드 또는 UHD 모드인 경우(즉, 식별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8VSB 신호 또는 UHD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 가정하자. 이때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모듈레이션 유형을 ATSC3.0으로 설정하고 락킹(Locking)을 수행함으로써, 복조기(demod)가 고정(lock)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본 장치(10)에 포함된 회로 구성 중 튜너를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신호 파워를 신호 상태로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본 장치(10)에 포함된 회로 구성 중 복조기를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SNR 및 MER을 신호 상태로서 획득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튜너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신호 파워의 값을 읽어올 수(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복조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SNR 값 및 MER 값을 읽어올 수(획득할 수) 있다.
즉,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상태 중 신호 파워의 경우, 복조기의 고정(lock, 락) 여부와 관계없이 튜너에서 레지스터 값을 읽어옴으로써 판단(획득)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상태 중 SNR 및 BER은 복조기가 고정된 이후 복조기에서 레지스터 값을 읽어옴으로써 판단(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미도시)에 의해 식별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유형이 제1 채널(공영방송채널, MATV, Air)인 경우,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모듈레이션 유형을 ATSC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식별부(미도시)에 의해 식별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유형이 제2 채널(유료방송채널, CATV, Cable)인 경우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모듈레이션 유형을 초기값으로서 ATSC3.0으로 설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모드 선택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제2 디지털 HD 모드(즉, 64QAM) 또는 제3 디지털 HD 모드(즉, 256QAM)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식별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유형이 제1 채널인 경우 ATSC3.0으로 설정할 수 있고, 식별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유형이 제2 채널인 경우 ATSC3.0와 QAM 모드(64QAM - 5057M, 256QAM - 5361M)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에서 판단된 신호 상태를 포함하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 관련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 관련 정보가 본 장치(10)의 화면 표시부(19)의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표시부(19)는 예시적으로 LCD(특히, TFT-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화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장치(10)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상태를 포함하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 관련 정보에는 일예로 식별부(미도시)에 의해 식별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유형과 모듈레이션 유형,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에 의해 판단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파워, SNR 및 MER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일예로, 제어부(15)는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와 관련하여, 본 장치(10)에 입력된 입력 신호 관련 정보 및 본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 관련 정보가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신호 관련 정보에는 본 장치(10)와 연결된 안테나(1)로부터 수신(입력)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입력 채널 유형 정보, 입력 채널 정보 및 입력 신호 파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출력 신호 관련 정보에는 본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출력 채널 유형 정보, 출력 채널 정보 및 출력 신호 파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신호 관련 정보는 본 장치(10)로부터 출력되어 본 장치(10)와 연결되는 TV(텔레비전)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상태를 판단함과 더불어, 판단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상태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인 디지털 지상파 신호는, 본 장치(10)에 입력된 입력 신호(입력되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고, 본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출력되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판단된 신호 상태의 값이 모듈레이션 유형별 및/또는 신호 상태의 유형별로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에는 모듈레이션 유형별 및/또는 신호 상태의 유형별(예를 들어, 신호 파워, SNR, MER)로, 신호 상태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신호 임계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상태의 유형 중 신호 파워와 관련하여 모듈레이션 유형별 기설정된 임계값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신호 파워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하한 임계값)은, 모듈레이션 유형이 아날로그 모드인 경우 55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1 디지털 HD 모드(8VSB)인 경우 37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2 디지털 HD 모드(64QAM)인 경우 35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3 디지털 HD 모드(256QAM)인 경우 42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UHD 모드(ATSC3.0)인 경우 39 dB㎶일 수 있다. 여기서, 신호 파워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은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파워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하한 임계값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신호 파워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상한 임계값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신호 파워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상한 임계값)은, 모듈레이션 유형이 아날로그 모드인 경우 85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1 디지털 HD 모드(8VSB)인 경우 67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2 디지털 HD 모드(64QAM)인 경우 65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3 디지털 HD 모드(256QAM)인 경우 72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UHD 모드(ATSC3.0)인 경우 69 dB㎶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신호 상태 유형 중 신호 상태와 관련하여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파워의 값이 모듈레이션 유형별로 기설정된 하한 임계값 이상 하한 임계값 이하의 범위를 갖는 임계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파워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상태의 유형 중 SNR과 관련하여 모듈레이션 유형별 기설정된 임계값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SNR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값(신호 임계값)은,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1 디지털 HD 모드(8VSB)인 경우 22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2 디지털 HD 모드(64QAM)인 경우 20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3 디지털 HD 모드(256QAM)인 경우 27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UHD 모드(ATSC3.0)인 경우 24 dB일 수 있다.
제어부(15)는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에 의해 판단된 신호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에 따라 본 장치(10)에 구비된 발광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신호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예로 발광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on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예시적으로 5초, 10초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제어부(15)는 신호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예로 발광부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점멸(ON/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은 예시적으로 0.5초 등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제어부(15)는 판단된 신호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야에 잘 보일 수 있도록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판단된 신호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 상태의 정상 여부 판단 결과가 화면 상에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신호 상태의 정상 여부 판단 결과를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본 장치(10)의 화면 표시부의 화면 상에 신호 상태의 정상 여부 판단 결과를 디스플레이(출력, 표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일예로 신호 상태의 정상 여부 판단 결과로서, 본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신호 파워 값(LEVEL 값), 비트오류율 값(BER 값) 및 복조오류율 값(MER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화면 상에 신호 파워 값은 72.2, 비트오류율 값은 0.0, 복조오류율 값은 28.5로 나타날 수 있다.
종래에 리모듈레이터를 설치하는 설치업자들 대부분은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신호 상태의 측정 값이 어느 수준으로 측정되어야 정상 상태인지(좋은 상태인지, 양호한 상태인지)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장치(10)는 판단된 신호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에 따라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정상 여부 판단 결과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문 설치업자 뿐만 아니라 비전문 설치업자가 본 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상태(신호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전문 설치업자 뿐만 아니라 비전문 설치업자로 하여금,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신호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신호 상태가 좋은지 나쁜지 여부)를 보다 쉽게 판단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응답하여, 채널 스캔(scan)을 통한 채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채널 스캔을 통해 검색된 채널 정보를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미도시)는 일예로 고속 저장매체(예를 들어, SS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저장매체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미도시)는 데이터베이스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설치업자가 사용자 단말 등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설치 장소, 채널 정보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하나로 독립하여 작동하는 단말 장치인 스탠드얼론(stand alone)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에는 설치업자가 매번 채널 번호를 기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설치업자가 일반적으로 같은 장소(동일 장소)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장치(10)는 채널을 스캔하여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해둘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0)는 매번 작업시마다 채널 스캔을 수행할 필요없이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 스캔된 채널 정보를 통하여 채널 정보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예시적으로, 각 세대에 대하여 채널 스캔을 통해 검색된 채널 중 채널 중복 여부를 고려하여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는 채널 스캔을 통해 검색된 채널 내에 중복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중복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만 남기고 나머지 채널들은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5)는 채널 스캔을 통해 검색된 채널들 중 중복되는 채널을 제외하고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일예로 채널 스캔의 수행시, 채널 각각을 상대적으로 낮은 채널에서 높은 채널순으로 순차적으로 하나씩 튜너 락킹(locking)을 하면서 AGC(Automatic Gain Control) 값을 읽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AGC 값을 읽음과 동시에 AGC 값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및/또는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는 채널 유형이 제1 채널(Air)인 경우, 2채널부터 56채널에 대하여 2채널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튜너 락킹하면서 AGC 값을 읽어 화면에 표시하고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채널 유형이 제2 채널(Cable)인 경우, 2채널부터 158채널에 대하여 2채널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씩 튜너 락킹하면서 AGC 값을 읽어 화면에 표시하고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스캔 시간이 오래 걸리면 업자가 불평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5)는 AGC 값을 읽어 화면 상에 표시하는 한편, 일예로 채널 스캔의 수행이 완료된 후 채널이 선택되면, 복조기가 고정(Dmod lock)된 것을 확인하고 SNR 및 MER을 판단(확인)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에서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수신이 이루어진 채널과 모듈레이션의 유형이 무엇인지를 기준으로 상태 확인(신호 파워, 신호대잡음비, 변조오류율 등의 신호 상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신호 수신이 이루어진 모듈레이션의 유형에 따라 신호 상태의 확인 항목과 해당 항목의 확인 방식을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장치(10)의 식별부(미도시)는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즉,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및/또는 모듈레이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아날로그 모드, 복수의 디지털 HD 모드 및 ATSC3.0인 UHD 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모듈레이션 유형 중 일예로 식별된 모듈레이션 유형이 아날로그 모드인 경우,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상태로서 신호 파워를 복조기의 고정(lock) 여부와 관계없이 튜너를 통하여 판단하되, 신호대잡음비(SNR) 및 변조오류율(MER)은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식별된 모듈레이션 유형이 복수의 디지털 HD 모드 또는 UHD 모드인 경우, 수신된 디지털 지상파 신호의 신호 상태로서 신호 파워는 튜너를 통해 판단하되, 신호대잡음비 및 변조오류율은 복조기가 고정된 이후 복조기를 통하여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모듈레이션 유형에 따라 확인하고자 하는 신호 상태의 항목을 달리(즉, 모듈레이션 유형이 아날로그 모드이면 신호 파워만 확인하고, 모듈레이션 유형이 복수의 디지털 HD 모드 또는 UHD 모드이면 신호 파워, 신호대잡음비 및 변조오류율을 모두 확인)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확인하고자 하는 신호 상태의 항목이 무엇인지에 따라 그 확인 방식을 달리(즉, 신호 상태의 확인 항목이 신호 파워이면, 복조기의 고정 여부와 관계없이 튜너에서 레지스터 값을 읽어옴으로써 판단하고, 신호 상태의 확인 항목이 신호대잡음비 및 변조오류율이면 복조기가 고정된 이후 복조기에서 레지스터 값을 읽어옴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에서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는 판단된 신호 상태의 정상 여부를 모듈레이션 유형별 및/또는 신호 상태의 유형별로 각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는 신호 상태 판단부(미도시)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화면 표시 제어 이외에도 본 장치(10)의 일영역에 마련된 발광부(미도시)의 점멸 동작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전문 설치업자 뿐만 아니라 비전문 설치업자도 신호 상태의 정상 여부 판단을 보다 직관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장치(10)는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신호 수신이 이루어진 채널의 유형 및/또는 모듈레이션 유형에 따라 판단된 신호 상태(신호 파워, 신호대잡음비 및 변조오류율)의 값이 모듈레이션 유형별 및/또는 신호 상태의 유형별로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신호 상태의 유형 중 신호대잡음비(SNR)와 관련하여 모듈레이션 유형별 기설정된 임계값은,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1 디지털 HD 모드(8VSB)인 경우 22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2 디지털 HD 모드(64QAM)인 경우 20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제3 디지털 HD 모드(256QAM)인 경우 27 dB, 모듈레이션 유형이 UHD 모드(ATSC3.0)인 경우 24 dB일 수 있다. 본 장치(10)는 판단된 신호 상태(일예로 신호대잡음비)의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해당 신호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의 제어부(15)는, 판단된 신호 상태가 정상인 경우, 발광부(미도시)가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5초, 10초 등) 동안 on으로 동작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일예로, 0.5초 등)으로 점멸되도록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신호 상태의 정상 여부 판단 결과가 화면 표시부(19)의 화면 상에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판단된 신호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에 따라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정상 여부 판단 결과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문 설치업자 뿐만 아니라 비전문 설치업자로 하여금, 디지털 지상파 신호에 대한 신호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신호 상태가 좋은지 나쁜지 여부)를 보다 쉽게 판단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입력부는, 공동 주택에 설치된 공시청 설비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신호처리부는, 단계S11에서 입력된 방송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공동 주택 내 각 세대의 TV로의 전달을 위해 출력부로 출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재난 발생 감지부는, 재난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4에서 제어부는, 단계S13에서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각 세대의 TV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신호가 재난 방송신호로 대체하여 송출되도록 신호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4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시스템
10: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11: 입력부 12: 신호처리부
13: 출력부 14: 재난 발생 감지부
15: 제어부 16: 채널 기록부
17: 판단부 18: 선택 메뉴 제공부
19: 화면 표시부
20: 재난 감지 경보기
5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로서,
    공동 주택에 설치된 공시청 설비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상기 방송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공동 주택 내 각 세대의 TV로의 전달을 위해 출력부로 출력시키는 신호처리부;
    상기 각 세대의 TV로부터,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의 송출이 이루어지는 송출 채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기록하는 채널 기록부;
    재난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재난 발생 감지부; 및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난 발생 감지부를 통해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신호처리부 내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비상 송출 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재난 방송신호를 복사하고, 복사한 상기 재난 방송신호를 상기 채널 기록부에 기록된 모든 상기 송출 채널 각각에 송출하여, 상기 재난 방송신호가 상기 각 세대의 TV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대체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방송신호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수신 대역인 공시청 방송신호 수신 대역 이외에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 설정된 비상 송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재난 관련 방송신호인 것인,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는 국지 지역에 설치된 재난 감지 경보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재난 발생 감지부는,
    상기 재난 감지 경보기가 재난 발생의 감지시 전송한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를 상기 재난 감지 경보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것인,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감지 경보기는,
    상기 공동 주택에 구비된 분전함의 내부에 배치된 전선에 마련되어, 상기 전선에 대하여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아크 감지 센서를 갖는 화재 경보기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경보기는,
    상기 아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기신호의 파형 특징 분석을 통해 상기 분전함 내에 아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되면, 화재 발생과 관련된 상기 재난 발생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감지 경보기가 복수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로부터 획득된 센싱 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 중 이상 동작하는 이상 재난 감지 경보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재난 감지 경보기 중 제1 재난 감지 경보기가 이상 동작하는 이상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재난 감지 경보기에 대하여 기등록된 등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감지 경보기는,
    상기 공동 주택에 배치되어 상기 공동 주택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발생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에 대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재난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인,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에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중첩 영역으로 포함하는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이 포함된 확장 영상을 제공받을지 여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메뉴를 상기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선택 메뉴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난 발생 감지부는,
    상기 제1 선택 메뉴의 제공에 응답하여 확장 영상을 제공받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영상의 확장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하는 것인,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메뉴 제공부는,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제1 영상의 획득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대체 영상을 제공받을지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선택 메뉴의 제공에 응답하여 대체 영상을 제공받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영상과 중첩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상기 제2 카메라가 상기 제1 영상의 대체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하고,
    상기 재난 발생 감지부는,
    각도 제어가 이루어진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각도 변경 영상을 상기 제1 영상의 대체 영상으로서 획득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하는 것인,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내에 상기 제1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중첩 영역으로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대체 영상의 획득을 위해 상기 복수개의 중첩 영상 획득 카메라 중 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의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하는 것인,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KR1020200177481A 2020-12-17 2020-12-17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449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481A KR102449971B1 (ko) 2020-12-17 2020-12-17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481A KR102449971B1 (ko) 2020-12-17 2020-12-17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05A KR20220087105A (ko) 2022-06-24
KR102449971B1 true KR102449971B1 (ko) 2022-09-30

Family

ID=8221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481A KR102449971B1 (ko) 2020-12-17 2020-12-17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9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588B1 (ko) * 2012-04-17 2012-08-13 강원식 시각화 비상방송이 가능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1676B1 (ko) * 2014-08-22 2015-02-11 (주)성지이앤씨 전기화재를 감시하는 스마트형 분전반
KR101624983B1 (ko) * 2015-09-18 2016-05-27 김경숙 방범 및 화재 통합관제장치
KR101717775B1 (ko) * 2016-10-17 2017-03-17 이성원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588B1 (ko) * 2012-04-17 2012-08-13 강원식 시각화 비상방송이 가능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1676B1 (ko) * 2014-08-22 2015-02-11 (주)성지이앤씨 전기화재를 감시하는 스마트형 분전반
KR101624983B1 (ko) * 2015-09-18 2016-05-27 김경숙 방범 및 화재 통합관제장치
KR101717775B1 (ko) * 2016-10-17 2017-03-17 이성원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05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3989B2 (en) Output system and display system
US87630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US201102833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ding media content to a user device from a network of set-top cells
US201102815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a source handoff for media content presented on a user device from a network of set-top cells
CN102739330B (zh) 无线终端中的动态备选频率频道切换
US2011020295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US10182344B2 (en) Determining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figuration for wireless devices operating in the U-NII band
US7773159B2 (en) Switching system for signal monitoring and switch-back control
US2015009210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025322A (ja) 放送受信機
KR100804036B1 (ko) 디지털 방송채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49971B1 (ko)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US8732742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er premises weather reporting at a media device
US8203654B2 (en) Configuring television broadcast signals
KR101486544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827168B2 (en) Echolocate spectrum analyzer
KR101930932B1 (ko) 재난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5061139A (ja) 受信装置、チューナモジュール、および干渉源チャネルの特定方法
JP2009081646A (ja) ホテル向けペイパービュー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の故障診断情報取得システム
JP4662889B2 (ja) テレビ放送録画システム、録画システム用障害処理制御方法、及びその障害処理制御プログラム
KR102434833B1 (ko) Fm 재변조기
US9819894B2 (en) Digital televi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496303B1 (en) Error detection unit, satellite receiver and method
KR102141860B1 (ko)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0674211B2 (en) Detecting illicit viewing of premium content through location detection by a television receiv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