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544B1 -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544B1
KR101486544B1 KR20120116049A KR20120116049A KR101486544B1 KR 101486544 B1 KR101486544 B1 KR 101486544B1 KR 20120116049 A KR20120116049 A KR 20120116049A KR 20120116049 A KR20120116049 A KR 20120116049A KR 101486544 B1 KR101486544 B1 KR 101486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key
user terminal
login
transmitting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9799A (ko
Inventor
양병석
최원준
김세린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1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544B1/ko
Publication of KR2014004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1Key generation or deri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TV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TV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과 연동하여 TV의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 요청에 따라 로그인 실행창이 생성되며, 상기 로그인 실행창을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로그인을 위한 인증을 요구하는 스마트 TV;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전화 번호 및 TV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TV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수신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1차 인증키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1차 인증키와 단말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연산함으로써 2차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2차 인증키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TV에서 입력되어 전송된 일회용 비밀 번호와 상기 발급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비교함으로써 로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LOGGING IN TO THE APPLICATION OF A TELEVISION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본 발명은 TV에서의 로그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TV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TV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과 연동하여 TV의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반영되어 여러 가지 크기와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함께 다양한 핸드헬드 타입의 개인 단말(hand-held personal device)들이 등장하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패드 형태의 단말, 7인치 태블릿(tablet) PC, 10인치 태블릿 PC 등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TV에 있어서도 단순히 수신된 공중파 또는 케이블 방송 신호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사용자와의 상호 통신(interactive) 기능 및 인터넷을 이용한 각종 부가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인터넷 연결을 통해 PC 또는 서버 등과 상호 연동되는 IPTV를 비롯하여, 최근에는 스마트폰과의 연동까지 지원하는 스마트 TV가 등장하였다. 상기 스마트 TV의 예로는 애플 TV, 구글 TV 등이 있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TV에 사용자와의 쌍방향 통신 기능 및 인터넷을 이용한 각종 부가 기능들이 추가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해서는 단순히 TV 뿐만 아니라 셋톱박스(Set top box; STB)라는 장치가 추가로 필요하다. 셋톱박스라 함은, TV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받아 적절히 변환하여 TV로 그 내용을 표시해 주는 장치를 말한다. 셋톱박스는 일반적으로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 홈 쇼핑, 네트워크 게임 등 차세대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이른바 대화형 TV)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가정용 통신 단말기로서 TV 세트 위에 놓고 이용하는 상자라는 뜻으로,‘가입자 신호 변환 장치’라고도 한다. 쌍방향 TV나 전화, 회사의 영상 전송 서비스(예:미국 지역 전화 회사가 제공하는 비디오 다이얼 톤) 등의 망과 접속되며, 가정에서는 TV 등에 연결하여 이용한다.
셋톱박스는 전화 회사나 종합 유선 방송(CATV)국에 설치되어 있는 비디오 서버 등과 통신하는 외에, 기본 기능으로 영상 신호의 수신 및 변환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전화와 PC 통신 등 데이터 통신 서비스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전화 인터페이스나 개인용 컴퓨터(PC)와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 등 다양한 규격이 검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화형 TV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통신, 컴퓨터, 가전제품 제조업체들이 셋톱박스의 제품화 및 판매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편, 셋톱박스는 반드시 동조기(튜너)를 내장하고 있지 않아도 되며, 외부 신호를 주는 장치로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위성파 수신 또는 지상파 수신 안테나, 동축 케이블, 전화선, 아날로그 VHF(Very High Frequency) 혹은 UHF(Ultra High Frequency) 안테나 등이 있다. 이를 통해 받을 수 있는 내용물로는 영상, 음성, 인터넷 웹 페이지, 게임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과 연동되는 셋톱박스를 통해 TV에서는 방송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와의 쌍방향 통신을 통해 서비스의 선택 및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리모콘(remote controller)의 기능이 다양하게 확장될 필요성이 있으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추어야 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셋톱박스의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TV는 지상파 방송시청은 물론 인터넷에 연결되어 VoD(Video- On-Demand), 게임, 영상통화, 앱 활용 등 컴퓨터 기능이 가능하다. 한편, 일반 TV로도 상술한 셋톱박스 연결을 통해 스마트 TV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TV 교체 주기가 긴 점 등을 고려할 때 스마트 TV와 셋톱박스 시장은 공존하여 발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TV를 사용자의 휴대 단말(예컨대, 스마트폰) 등과 연동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마트 TV에 휴대 단말을 등록 또는 인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스마트 TV에 휴대 단말을 등록 또는 인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휴대 단말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TV에 입력하고 별도의 인증 과정을 거쳐아 하는 등 사용자 측면에서 여러 가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을 인증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5807호 "인증방법 및 인증서버(박상구)"(문헌 1)에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서도 별도의 인증용 단말기를 통해 QR 코드 등과 같은 이미지 형태의 인증키를 스캔함으로써 인증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 자체에 대한 인증 방법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를 클라이언트 단말(예컨대, 스마트 TV)에 등록 및 인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제시되고 있지 않다.
또한, 스마트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하고자 할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정된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일일이 입력하여야 하므로, 사용자 측면에서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통해 스마트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효과적으로 로그인할 수 있으며, 높은 보안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5807호 인증방법 및 인증서버(박상구) 2011.03.23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문 메시지를 감지 및 파싱하여 새로운 인증키를 생성함으로써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 요청에 따라 로그인 실행창이 생성되며, 상기 로그인 실행창을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로그인을 위한 인증을 요구하는 스마트 TV;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전화 번호 및 TV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TV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수신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1차 인증키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1차 인증키와 단말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연산함으로써 2차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2차 인증키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TV에서 입력되어 전송된 일회용 비밀 번호와 상기 발급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비교함으로써 로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로그인 인증을 수행한 후, 로그인 처리 결과를 상기 스마트 TV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백그라운드 앱으로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단문 메시지가 상기 1차 인증키를 포함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검출된 1차 인증키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정보를 더 고려하여 연산함으로써 2차 인증키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 요청에 따라 로그인 실행창이 생성되는 TV; 상기 로그인 실행창을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로그인을 위한 인증을 요구하는 셋톱박스;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전화 번호 및 셋톱박스 식별 정보(ID)를 수신하고, 상기 셋톱박스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수신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1차 인증키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1차 인증키와 단말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연산함으로써 2차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2차 인증키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TV에서 입력되어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전송된 일회용 비밀 번호와 상기 발급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비교함으로써 로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서버는, TV로부터 수신된 TV 식별 정보 또는 셋톱박스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하는 1차 인증키 생성부;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상기 TV로부터 수신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1차 인증키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1차 인증키 및 단말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연산하여 생성한 2차 인증키를 수신하는 2차 인증키 수신부;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전송부; 상기 TV에서 입력되어 전송된 일회용 비밀 번호와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에서 발급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일회용 비밀번호를 검증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확인부; 및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확인부의 확인 결과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을 처리하는 로그인 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로그인 인증을 수행한 후, 로그인 처리 결과를 상기 스마트 TV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로그인 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인증키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단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단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인증키는, 상기 1차 인증키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정보를 더 고려하여 연산함으로써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에서의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방법으로서, 서비스 서버에서의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가, 1차 인증키 생성부에서 TV로부터 수신된 TV 식별 정보 또는 셋톱박스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 1차 인증키 전송부에서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상기 TV로부터 수신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2차 인증키 수신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1차 인증키 및 단말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연산하여 생성한 2차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에서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는 단계; 일회용 비밀번호 전송부에서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일회용 비밀번호 확인부에서 상기 TV에서 입력되어 전송된 일회용 비밀 번호와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에서 발급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일회용 비밀번호를 검증하는 단계; 및 로그인 처리부에서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확인부의 확인 결과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로그인 결과 전송부에서 로그인 처리 결과를 상기 스마트 TV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인증키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단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단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인증키는, 상기 1차 인증키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정보를 더 고려하여 연산함으로써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에서의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가, 1차 인증키 생성부에서 TV로부터 수신된 TV 식별 정보 또는 셋톱박스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 1차 인증키 전송부에서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상기 TV로부터 수신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단말 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1차 인증키 확인부에서 상기 TV에서 입력되어 전송된 1차 인증키와 상기 1차 인증키 생성부에서 발급된 1차 인증키를 비교함으로써 1차 인증키를 검증하는 단계; 및 로그인 처리부에서 상기 1차 인증키 확인부의 확인 결과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방법을 제공받기 위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고자 할 경우, TV에 직접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일일이 기억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로그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그인이 필요한 TV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로그인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해 각종 TV의 기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세부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에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SMS 로그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에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SMS 로그인 확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TV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TV(예컨대, 스마트 TV 또는 셋톱박스가 설치된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때,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패스워드)를 TV에 직접 입력하여 로그인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즉, TV상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이용한 로그인을 실행하면, 인증을 위해 사용할 사용자 단말(예컨대,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생성한다. 상기 입력창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인증 번호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일회용 비밀 번호(One Time Password; OTP)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공된 OTP를 다시 TV의 입력창에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등록된 사용자의 아이디로 로그인 처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SMS 메시지를 통해 1차 인증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1차 인증키로부터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2차 인증키를 생성함으로써 서비스 서버로부터 단말 인증 정보를 통해 로그인을 위한 OTP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설명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전화 번호가 부여되어 통화 가능하며, SMS 메시지 수신 기능이 포함된 어떠한 단말도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서 채택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위해 사용자 단말을 스마트폰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설명에서의 'TV'는 어떠한 종류의 형태와 기능을 갖는 TV도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하 설명에서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인터넷과의 통신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TV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스마트 TV가 아닌 일반 TV에 셋톱박스가 연결된 형태의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TV 내에서 구현되는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셋톱박스 내에서 기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TV를 스마트 TV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스마트 TV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네트워크 통신 기능이 제공되는 어떠한 방식의 TV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스마트 TV(110), 통신 네트워크(120), 서비스 서버(130) 및 스마트폰(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TV는 통신 네트워크(120)와의 연결이 가능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스마트 TV(110)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서와 같이 일반 TV에 셋톱박스가 연결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네이버 앱)을 통해 SMS 로그인을 실행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입력창이 생성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전화번호 입력창을 통해 스마트폰(14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서비스 서버(130)로 인증 번호를 요청한다.
즉, 상기 스마트 TV(110)에서 입력된 전화번호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되며 인증 번호를 요청하게 된다.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기 요청에 따라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키를 SMS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전송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스마트폰(140)으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는 스마트폰(140)에서 수신된 SMS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키(예컨대, 일회용 비밀번호(OTP))를 확인하고, 이를 스마트 TV(110)의 입력창에 입력함으로써 로그인 요청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 TV(110)에 입력된 OTP는 다시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되고,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전송된 OTP를 확인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스마트 TV(110)에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안성 강화 및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위해 스마트폰(140)에서 2차 인증키를 생성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스마트 TV(110)의 인증 요청에 따라 1차 인증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1차 인증키를 SMS 메시지에 포함하여 스마트폰(140)으로 전송한다. 이때, 스마트폰(14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SMS 메시지의 수신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수신된 SMS 메시지의 내용을 파싱(parsing)하여 상기 1차 인증키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상기 1차 인증키를 단말의 로그인 정보 및/또는 단말 고유정보 등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연산하여 새로운 2차 인증키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2차 인증키는 자동으로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된다.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기 스마트폰(140)으로부터 2차 인증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2차 인증키를 이용하여 일회용 비밀번호, 즉 OTP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OTP는 상술한 방법에서와 같이 SMS 메시지에 포함되어 다시 스마트폰(140)으로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폰(140)에 SMS 메시지로 제공된 OTP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TV(110)의 입력창에 입력함으로써 서비스 서버(130)에 로그인 요청하게 된다.
이와 같이, OTP가 서비스 서버(130)에 정상적으로 전송되면,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스마트 TV(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정상적으로 로그인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스마트 TV(110) 및 스마트폰(140)으로 통지한다.
한편, 상기 통신 네트워크(12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12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120)는 스마트 TV(110)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케이블 방송 통신망, 지상파 방송 통신망, 위성 방송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예로서 스마트폰(140)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통신하기 위한 입출력 기능을 포함하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SMS 메시지를 감지 및 파싱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떠한 단말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TV(210), 셋톱박스(Set-top box; STB)(220), 지상파 방송 서버(230), 케이블 방송 서버(240), 통신 네트워크(250), 서비스 서버(130) 및 스마트폰(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TV(110) 내에서 구현되는 동작을 TV(210)와 연결된 STB(22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TB(220)는 지상파 방송 서버(230) 또는 케이블 방송 서버(240)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TV(21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STB(220)는 인터넷 연결 기능을 포함하여 통신 네트워크(250)와 연결함으로써 서비스 서버(13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STB(220)에는 별도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통해 본 발명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STB(2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네이버 앱)을 통해 TV(210) 화면에서 SMS 로그인을 실행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입력창이 생성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전화번호 입력창을 통해 스마트폰(14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STB(220)에서는 통신 네트워크(2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로 인증 번호를 요청한다. 즉, 상기 TV(210)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 정보는 STB(220)에서 통신 네트워크(2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되며 인증 번호를 요청하게 된다.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기 요청에 따라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키를 SMS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전송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스마트폰(140)으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는 스마트폰(140)에서 수신된 SMS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키(예컨대, 일회용 비밀번호(OTP))를 확인하고, 이를 TV(210) 화면에 생성된 입력창에 입력함으로써 로그인 요청하게 된다. 상기 TV(210)에 입력된 OTP는 STB(220)에서 다시 통신 네트워크(2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되고,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전송된 OTP를 확인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STB(22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안성 강화 및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위해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140)에서 2차 인증키를 생성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 구체적인 방법은 상기 도 1의 방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술한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 TV (애플리케이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11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로그인 기능 구동부(310), 인증 요구부(320), OTP 전송부(330) 및 로그인 결과 수신부(3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스마트 TV(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네이버 앱)에서 SMS 로그인 기능을 실행하면, 로그인 기능 구동부(310)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S 로그인 실행창을 생성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SMS 로그인을 연동하여 처리할 사용자 단말(예컨대, 스마트폰(14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인증 번호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인증 번호 전송 요청에 따라 인증 요구부(320)에서는 입력된 전화번호와 함께 TV 식별 정보 또는 STB ID 정보(도 2와 같은 STB(22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경우)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함으로써 인증을 요청한다.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기 TV 식별 정보 또는 STB ID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SMS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스마트폰(140)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140)에서는 미리 설치되어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네이버 앱)에서 상기 전송된 SMS 메시지의 수신을 감지(detect)하고, 수신된 SMS 메시지가 상기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일 경우, 상기 SMS 메시지의 내용을 파싱(parsing)한다. 한편, 이때 상기 스마트폰(14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미로그인 되었거나 활성화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 또는 활성화를 요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14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신된 SMS 메시지를 파싱하여 1차 인증키를 추출하면, 상기 1차 인증키와 단말의 로그인 정보 또는 단말 고유 정보(예컨대, MAC 어드레스, 단말 일련 번호 등)를 이용하여 2차 인증키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2차 인증키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자동으로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된다.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기 스마트폰(140)에서 전송된 2차 인증키를 분석하여 단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예컨대, 사용자 ID)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가입자에 매핑된 일회용 인증번호(즉, OTP)를 생성하고, 생성된 OTP를 SMS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시켜 스마트폰(140)으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는 스마트폰(140)에서 수신된 SMS 메시지에 포함된 OTP를 확인하고, 스마트 TV(110)의 화면상에 생성된 SMS 로그인 실행창에 상기 OTP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요청한다. 상기 요청에 따라, 스마트 TV(110)의 OTP 전송부(330)는 상기 입력된 OTP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함으로써 로그인을 요청한다.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기 스마트 TV(110)로부터 수신된 OTP를 자신이 생성된 OTP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OTP에 매핑된 가입자로 스마트 TV(110)(또는 STB)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로그인 처리한다. 상기 로그인 결과는 스마트 TV(110) 또는 스마트폰(140)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 TV(110)의 로그인 결과 수신부(340)에서는 로그인 결과를 수신하여 로그인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서버(인증 서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30)는 1차 인증키 생성부(410), 1차 인증키 전송부(420), 2차 인증키 수신부(430), OTP 생성부(440), OTP 전송부(450), OTP 확인부(460), 로그인 처리부(470) 및 로그인 결과 전송부(4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TV(110)의 SMS 로그인 실행창을 통해 스마트폰(140)의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인증 번호 전송이 요청되면,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기 스마트 TV(110)로부터 입력된 스마트폰(140)의 전화번호와 함께 스마트 TV(110)의 TV 식별 정보 또는 STB ID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먼저 1차 인증키 생성부(410)에서는 상기 수신된 TV 식별 정보 또는 STB ID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1차 인증키 전송부(420)에서는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스마트폰(140)으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SMS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스마트폰(14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된 SMS 메시지를 감지하고, 파싱하여 1차 인증키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1차 인증키를 단말의 로그인 정보 또는 단말 고유 정보와 연산하여 2차 인증키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2차 인증키는 다시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된다.
서비스 서버(130)의 2차 인증키 수신부(430)에서는 수신된 2차 인증키로부터 사용자 단말(즉, 스마트폰(140))의 단말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예컨대, 가입자 ID 정보)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OTP 생성부(440)에서는 상기 가입자에 매핑되는 OTP를 생성하고, OTP 전송부(450)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40)으로 생성된 OTP를 전송한다. 이때에도, 상기 OTP 전송부(450)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MS 메시지의 내용에 상기 생성된 OTP를 포함하여 스마트폰(140)으로 전송한다.
한편, 스마트폰(140)에서는 SMS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OTP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화면상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140)에 표시되는 OTP를 확인하고, 스마트 TV(110)의 SMS 로그인 실행창의 OTP 입력부에 해당 OTP를 입력한다. 그런 다음, 로그인을 요청하면, 상기 로그인 요청에 따라 OTP 정보가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된다.
서비스 서버(130)의 OTP 확인부(460)에서는 상기 스마트 TV(110)로부터 전송된 OTP를 수신하고, 상기 OTP 생성부(440)를 통해 생성된 OTP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이상이 없을 경우, 로그인 처리부(470)에서는 상기 OTP에 매핑된 가입자의 ID로 해당 스마트 TV(110) 또는 STB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을 처리한다. 마지막으로, 로그인 결과 전송부(480)에서는 상기 로그인 처리 결과를 스마트 TV(110)로 전송한다.
스마트폰(애플리케이션)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4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은 1차 인증키 수신부(510), 1차 인증키 검출부(520), 2차 인증키 생성부(530), 2차 인증키 전송부(540), OTP 수신부(550) 및 로그인 결과 수신부(5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TV(110)의 SMS 로그인 실행창을 통해 스마트폰(14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서비스 서버(130)로 인증 번호를 요청하면,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1차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라 해당 스마트폰(140)으로 생성된 1차 인증키를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1차 인증키는 SMS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스마트폰(140)에 미리 설치되어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네이버 앱)의 1차 인증키 수신부(510)에서는 수신되는 SMS 메시지를 감지하고, SMS 메시지의 발신자가 서비스 서버(130)인지 확인하며, 수신된 SMS 메시지가 1차 인증키가 포함된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판단 결과 수신된 SMS 메시지가 1차 인증키를 포함하는 메시지인 경우, 1차 인증키 검출부(520)에서는 상기 SMS 메시지를 파싱하여 1차 인증키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2차 인증키 생성부(530)에서는 수신된 1차 인증키를 단말의 로그인 정보 또는 단말 고유 정보와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연산하여 2차 인증키를 생성한다. 2차 인증키 전송부(540)에서는 상기 생성된 2차 인증키를 다시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2차 인증키를 수신한 후, OTP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OTP를 SMS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하여 다시 스마트폰(140)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140)의 OTP 수신부(550)에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OTP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신된 OTP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된 OTP를 확인하고 스마트 TV(110)의 SMS 로그인 실행창에 입력하여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하면, 서비스 서버(130)에서 전송된 OTP를 확인하여 로그인 처리를 하게 된다.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로그인 처리 후, 로그인 결과를 스마트폰(140)으로 전송하며, 스마트폰의 로그인 결과 수신부(560)에서는 로그인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셋톱박스( STB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세부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110)의 기능을 STB(220)에서 동일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B(220)는 케이블 TV/IPTV 수신부(Cable TV/IPTV Receiver; 601), 데이터 통신 I/F(Interface)부(Data Comm. I/F; 602), 주 제어부(Main Controller; 603), 인터넷 접속 처리부(Internet Access Processor; 604), 응용 프로그램 처리부(CP Provided Application Processor; 605), TV 제어 화면 생성부(TV control Video Generator; 606), TV 영상 구성부(TV Video Combiner; 607), 스마트폰 영상 구성부(Smart Phone Video Combiner; 608), 수신 신호 처리부(Sensor Handling Processor; 609), TV 영상 최적화부(TV Video Optimizer; 610), 스마트폰 영상 최적화부(Video Optimizer; 611), 영상 압축 처리부(Video Compression Processor; 612), TV I/F부(613), 비디오 통신 I/F부(Video Comm. I/F; 614), 데이터 통신 I/F부(Data Comm. I/F; 61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TV/IPTV 수신부(601)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로서 케이블 TV 수신부 및 IPTV 수신부로 구분될 수 있다. 케이블 TV 수신부는 케이블 TV 신호에 대한 복조(demodulation)를 수행한다. 이때, 복조된 후의 데이터는 압축된 영상, 음성 및 부가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된 영상은 MPEGx/H.264 표준에 따른 복원(decompression)을 수행하여 비디오 원본 데이터(video raw data)를 생성한다. 또한, 압축된 음성은 MPEGx/AC3/AAC 표준에 따른 복원(decompression)을 수행하여 오디오 원본 데이터(audio raw data)를 생성한다. 아울러, 부가 정보는 상기 주 제어부(603)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비디오 원본 데이터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은 순수한 TV 디스플레이 화면으로서, TV(21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다.
IPTV 수신부는, 인터넷(internet)을 통해 수신된 IPTV 데이터로서 압축된 영상, 음성 및 부가 정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축된 영상은 케이블 TV 수신부에서와 마찬가지로 MPEGx/H.264 표준에 따른 복원(decompression)을 수행하여 비디오 원본 데이터(video raw data)를 생성한다. 또한, 압축된 음성은 MPEGx/AC3/AAC 표준에 따른 복원(decompression)을 수행하여 오디오 원본 데이터(audio raw data)를 생성한다. 아울러, 부가 정보는 상기 주 제어부(603)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비디오 원본 데이터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은 순수한 TV 디스플레이 화면으로서, TV(210)의 TV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다.
데이터 통신 I/F부(602)는 상기 케이블 TV/IPTV 수신부(601)에서 수신되는 TV 방송 콘텐츠 수신과는 별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 채널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250)를 통해 서비스 서버(12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주 제어부(60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120)의 연결 등을 포함한 각종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한 STB(220)의 주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인터넷 접속을 통해 서비스 서버(120)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로그인을 수행하고, 상태 정보를 교환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후 스마트폰(140)으로부터 수신된 TV 제어 명령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의 입력 신호를 수신 신호 처리부(609)를 통해 수신하여 TV(210) 및 각 스마트폰(140)의 디스플레이 설정(display configuration)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주 제어부(603)는 TV 채널 변경, 음성 조절 등과 같은 TV 설정 변경을 제어하며, 인터넷 접속을 제어하고, ' T-commerce' 와 같은 CP(Content Provider)가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제어를 수행한다.
인터넷 접속 처리부(60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서비스 서버(130)에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경우 이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터넷 접속 처리부(604)를 통해 TV(210) 화면상에서는 TV 디스플레이 영역과는 별도로 인터넷 디스플레이 영역을 생성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응용 프로그램 처리부(60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TV(210)에서 재생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예컨대, 스마트폰(14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TV(210)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TV(210)와 스마트폰(140)의 상호 연결을 통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TV(210)와 각 스마트폰(140)들 간의 상호 작용을 처리할 수 있다.
TV 제어 화면 생성부(606)는 TV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설정 변경 등에 대한 별도의 제어 디스플레이 영역을 TV(210) 화면 및/또는 스마트폰(140) 화면상에 생성할 수 있다.
TV 영상 구성부(607)는 상술한 케이블 TV/IPTV 수신부(601), 인터넷 접속 처리부(604), 응용 프로그램 처리부(605), TV 제어 화면 생성부(606)를 통해 제공되는 각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용자가 설정한 형태로 결합하여 TV 디스플레이 영역을 생성한다. 즉, 상기 TV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TV 디스플레이 영역, 인터넷 디스플레이 영역, CP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 디스플레이 영역 등으로 구분되어 제공되거나, 각 영역들이 일부 오버랩되어 생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각 디스플레이 영역이 결합되는 형태로는 독립적으로 각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크기(scale)를 달리하여 TV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생성하거나, 특정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처리하여 TV 디스플레이 화면을 생성하게 된다.
스마트폰 영상 구성부(608)는 응용 프로그램 처리부(605) 및/또는 TV 제어 화면 생성부(606)를 통해 제공되는 각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용자가 설정한 형태로 결합하여 스마트폰에 구현될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영역을 생성한다.
TV 영상 최적화부(610)는 사용하는 TV(210)의 설정에 적합하도록 TV 디스플레이 화면을 최적화한다. 이때, 스케일링(Scaling), 프레임 레이트 변환(Frame rate conversion), 인핸스먼트(Enhancement) 등의 각종 신호 처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영상 최적화부(611)는 사용하는 스마트폰(140)의 설정에 적합하도록 전송하는 영상을 최적화한다. 이때, 마찬가지로 스케일링(Scaling), 프레임 레이트 변환(Frame rate conversion), 인핸스먼트(Enhancement) 등의 각종 신호 처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영상 압축 처리부(612)는 스마트폰(140)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원본 데이터를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압축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에서 압축을 복원하는 처리 구성이 추가되어야 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609)는 스마트폰(14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하는 정보를 취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 통신 I/F부(615)를 통해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609)에서 수신된 정보는 주 제어부(603)로 전송되어, TV(210)와 연동된 기능을 수행하거나 TV(21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도 6에서는 스마트폰(140)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이 STB(220)로 직접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140)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이 서비스 서버(120)를 통해 전송되어 STB(220)의 데이터 통신 I/F(602)로 수신될 수도 있다.
TV I/F부(613)는 TV(210)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로서 HDMI/Component/Composite 등 각종 연결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비디오 통신 I/F부(614)는 비디오 원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 신호 전송을 위해 WirelessHD, WirelessUSB, WirelessPCI, 또는 WiGig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하향 채널(Downlink)은 비디오 원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고, 상향 채널(uplink)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의한 입력 정보 전송을 위한 반송 채널(return channel)로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I/F부(615)는 스마트폰(140)과 연동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컨대, 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으며, 다른 어떠한 방법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STB(220)의 응용 프로그램 처리부(605)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을 위한 각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V 와 스마트폰의 연동 방법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 TV(110)에서 SMS 로그인을 실행(S701)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된다. 상기 생성된 입력창에서 전화 번호를 입력(S702)하고, 인증 번호 전송 요청 버튼을 선택하면, 서비스 서버(130)로 인증 요구 메시지가 전송(S703)된다. 이때, 인증 요구 메시지에는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와 함께 스마트 TV(110)의 식별 정보 또는 STB ID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기 스마트 TV(110)로부터 인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스마트 TV(110)의 식별 정보 또는 STB ID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S704)한다.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는 SMS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되어 상기 수신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스마트폰(140)으로 전송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SMS 메시지를 수신(S706)한 스마트폰(140)에서는 상기 SMS 메시지의 수신을 감지하고, 실행중인 백그라운드 앱에서 상기 수신된 SMS 메시지를 검출(S707)하여 1차 인증키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추출된 1차 인증키를 미리 설정된 암호화 방법에 따라 단말의 로그인 정보 또는 단말 고유 정보와 연산하여 2차 인증키를 생성(S708)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2차 인증키는 다시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S709)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기 스마트폰(140)으로부터 2차 인증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2차 인증키를 이용하여 일회용 비밀번호(즉, OTP)를 생성(S710)한다. 상기 생성된 OTP는 다시 SMS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되어 상기 해당 스마트폰(140)으로 전송(S711)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상기 SMS 메시지를 열람하여 OTP를 확인(S712)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TV(110)의 입력창에 상기 OTP를 입력(S713)한다. 그런 다음, 로그인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입력된 OTP가 다시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S714)된다.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스마트 TV(110)로부터 전송된 OTP를 이전에 생성한 OTP와 비교함으로써 OTP를 확인(S715)한다. 상기 확인 결과,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스마트 TV(110) 식별 정보 또는 STB ID에 해당하는 장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을 인증(S716)하고, 로그인 처리(S717)한다. 상기 로그인 처리 결과는 해당 스마트 TV(110)로 전송(S718)되며, 스마트 TV(110)에서는 상기 로그인 처리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로그인(S719)되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130)에서 1차 인증키 및 2차 인증키를 생성하여 로그인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1차 인증키만으로도 로그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도 7의 S704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130)에서 1차 인증키를 생성하고, 이를 SMS 메시지를 통해 스마트폰(140)으로 전송하면, 스마트폰(14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SMS 메시지를 검출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 관련 정보(예컨대, 단말의 로그인 정보 또는 단말 고유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기 스마트폰(140)으로부터 단말의 로그인 정보 또는 단말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로그인 정보 또는 단말 고유 정보를 상기에서 생성한 1차 인증키와 매핑하여 저장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140)에서 SMS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1차 인증키를 확인하고, 스마트 TV(110)의 입력창에 상기 1차 인증키를 입력한다. 그런 다음, 로그인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입력된 1차 인증키가 다시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된다.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스마트 TV(110)로부터 전송된 1차 인증키를 이전에 생성한 1차 인증키와 비교함으로써 1차 인증키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스마트 TV(110) 식별 정보 또는 STB ID에 해당하는 장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을 인증하고, 로그인 처리한다. 상기 로그인 처리 결과는 해당 스마트 TV(110)로 전송되며, 스마트 TV(110)에서는 상기 로그인 처리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로그인되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 상기 TV의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화면 및 로그인 후 제공될 수 있는 각종 서비스의 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에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SMS 로그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TV(8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네이버 앱)을 실행하면, 화면 일부에 또는 TV 방송 화면과 겹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로그인을 실행함으로써 로그인 실행창(810)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로그인 실행창(910)에서 ID 로그인을 선택하고 해당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MS 로그인을 실행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번호를 입력하세요'라는 안내 메시지와 함께 전화 번호 입력란(811)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예컨대, 스마트폰)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인증 번호 전송 버튼(812)을 선택하면,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자신의 단말로 일회용 인증 번호(OTP)가 SMS 메시지로 전송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에서 수신된 SMS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된 OTP를 확인하고, 상기 로그인 실행창(810)의 인증 번호 입력란(813)에 OTP를 입력한다. 그런 다음, 로그인 버튼(814)을 선택하면, 로그인 처리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디 및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는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전화 번호 및 OTP 번호만을 입력함으로써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에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SMS 로그인 확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OTP를 입력하여 로그인 버튼을 선택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아이디(예컨대, 'fstory97')로 로그인하는 안내창이 생성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동 로그인을 선택하거나, 일회성 로그인을 선택하거나, 로그인 취소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의 TV 제어를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8 및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에 의해 스마트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로그인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TV의 상태 정보(1000)가 디스플레이되며, 이를 통해 스마트 TV를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스마트 TV의 채널, 볼륨, 각종 설정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기타 스마트 TV(110)에서 실행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다양한 방법들에 관해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은 특정 프로세싱 기능부 및/또는 그 안에 구현된 프로세싱 기능부, 및/또는 그 안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같은 많은 유형의 기능부들 중 어느 것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러한 기능부들은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동작들 및 처리들, 또는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어느 다른 동작들 및 기능들, 등 또는 그 각 등가물들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그러한 정보들을 생성하고 그러한 동작들, 처리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기능부들(동일한 장치 또는 구별된 장치들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그러한 처리 및 동작들, 등, 및/또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어느 다른 동작들 및 기능들, 및 그 각 등가물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처리는 제1 장치에서의 제1 기능부, 및 제2 장치 내의 제2 기능부에 의해 함께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프로세싱, 동작들 등은 하나의 특정 장치 내에서 처리부들에 의해 전적으로 수행된다. 심지어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그러한 프로세싱, 동작들이 하나의 단일 디바이스내에서 적어도 제1 기능부 및 제2 기능부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용어들 '시스템', '장치', '~부'는 단일 프로세싱 디바이스 또는 복수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그러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처리기, 마이크로 컴퓨터, 중앙 처리 유닛,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스테이트 머신, 로직 회로,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상기 회로 및/또는 동작 지시들의 하드 코딩에 기반하여 신호들(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을 조작하는 소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단일 메모리 디바이스,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또는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의 내장된 회로일 수 있는 결합된 메모리 및/또는 집적된 메모리 엘리먼트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정적 메모리, 동적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캐시 메모리,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소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면,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은 집중적으로 위치될 수 있거나(즉, 유선 및/또는 무선 버스 구조를 통해 함께 직접적으로 연결된), 분산되어 위치될 수 있음(예컨대, 근거리 통신망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을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을 주목하여야 한다. 만약,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정적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회로, 저장하는 메모리 및/또는 메모리 구성요소를 통해 하나 이상의 그 기능들을 구현한다면, 그 대응하는 동작 지시들은 상기 정적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있을 수 있음을 더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메모리 엘리먼트는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서 나타내는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하드 코딩된 및/또는 동작 지시들을 실행한다는 것을 여전히 더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메모리 엘리먼트는 제조의 부품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기능들 및 그의 관계들의 성능을 나타내는 방법 단계들의 목적을 가지고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방법 단계들의 경계들 및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다. 상기 특정 기능들 및 관계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이 정의될 수 있다. 임의의 그러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은 그러므로 상기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추가로,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의 경계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되었다. 어떠한 중요한 기능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이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흐름도 블록들은 또한 어떠한 중요한 기능성을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을 수 있다. 확장된 사용을 위해, 상기 흐름도 블록 경계들 및 순서는 정의되었을 수 있으며 여전히 어떠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흐름도 블록들 및 순서들 둘 다의 대안적인 정의들은 그러므로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당업자는 또한 여기에서의 상기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다른 도시된 블록들, 모듈들, 및 구성요소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분리된 구성요소들, 반도체 집적 회로(ASIC)들,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들 및 그와 유사한 또는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용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명되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 그 측면, 그 특징, 그 개념, 및/또는 그 예를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 제조의 물건, 머신, 및/또는 프로세스의 물리적인 실시예는 여기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측면들, 특징들, 개념들, 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구나, 전체 도면에서, 실시예들은 상기 동일한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들을 사용할 수 있는 상기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명명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을 통합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이, 상기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은 상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 또는 다른 것들일 수 있다.
한편, 용어 "~처리부"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사용된다. 모듈은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들의 처리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는 기능적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적 블록을 구현하는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결합하여 직접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모듈은 자체적으로 모듈인 하나 이상의 서브-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기능들 및 특정들의 특별한 조합들이 여기에 분명히 설명된 반면, 이러한 특징들 및 기능들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조합들을 명백히 통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스마트 TV 120 : 통신 네트워크
130 : 서비스 서버 140 : 스마트폰
210 : TV 220 : STB
230 : 지상파 방송 서버 240 : 케이블 방송 서버
250 : 통신 네트워크 310 : 로그인 기능 구동부
320 : 인증 요구부 330 : OTP 전송부
340 : 로그인 결과 수신부 410 : 1차 인증키 생성부
420 : 1차 인증키 전송부 430 : 2차 인증키 수신부
440 : OTP 생성부 450 : OTP 전송부
460 : OTP 확인부 470 : 로그인 처리부
480 : 로그인 결과 전송부 510 : 1차 인증키 수신부
520 : 1차 인증키 검출 530 : 2차 인증키 생성부
540 : 2차 인증키 전송부 550 : OTP 수신부
560 : 로그인 결과 수신부 601 : 케이블 TV/IPTV 수신부
602 : 데이터 통신 I/F 부 603 : 주 제어부
604 : 인터넷 접속 처리부 605 : 응용 프로그램 처리부
606 : TV 제어 화면 생성부 607 : TV 영상 구성부
608 : 스마트폰 영상 구성부 609 : 수신 신호 처리부
610 : TV 영상 최적화부 611 : 스마트폰 영상 최적화부
612 : 영상 압축 처리부 613 : TV I/F 부
614 : 비디오 통신 I/F 부 615 : 데이터 통신 I/F 부

Claims (27)

  1.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 요청에 따라 로그인 실행창이 생성되며, 상기 로그인 실행창을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로그인을 위한 인증을 요구하는 스마트 TV;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전화 번호 및 TV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TV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수신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1차 인증키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1차 인증키와 단말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연산함으로써 2차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2차 인증키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TV에서 입력되어 전송된 일회용 비밀 번호와 상기 발급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비교함으로써 로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로그인 인증을 수행한 후, 로그인 처리 결과를 상기 스마트 TV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백그라운드 앱으로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단문 메시지가 상기 1차 인증키를 포함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검출된 1차 인증키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정보를 더 고려하여 연산함으로써 2차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6.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 요청에 따라 로그인 실행창이 생성되는 TV;
    상기 로그인 실행창을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로그인을 위한 인증을 요구하는 셋톱박스;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전화 번호 및 셋톱박스 식별 정보(ID)를 수신하고, 상기 셋톱박스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수신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1차 인증키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1차 인증키와 단말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연산함으로써 2차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2차 인증키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TV에서 입력되어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전송된 일회용 비밀 번호와 상기 발급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비교함으로써 로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로그인 인증을 수행한 후, 로그인 처리 결과를 상기 셋톱박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백그라운드 앱으로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단문 메시지가 상기 1차 인증키를 포함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검출된 1차 인증키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정보를 더 고려하여 연산함으로써 2차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11. TV로부터 수신된 TV 식별 정보 또는 셋톱박스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하는 1차 인증키 생성부;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상기 TV로부터 수신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1차 인증키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1차 인증키 및 단말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연산하여 생성한 2차 인증키를 수신하는 2차 인증키 수신부;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전송부;
    상기 TV에서 입력되어 전송된 일회용 비밀 번호와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에서 발급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일회용 비밀번호를 검증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확인부; 및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확인부의 확인 결과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을 처리하는 로그인 처리부;를 포함하는,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서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로그인 인증을 수행한 후, 로그인 처리 결과를 상기 TV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로그인 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서버.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1차 인증키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단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서버.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단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서버.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2차 인증키는,
    상기 1차 인증키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정보를 더 고려하여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서버.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는,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서비스 서버.
  17. 서비스 서버에서의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가,
    1차 인증키 생성부에서 TV로부터 수신된 TV 식별 정보 또는 셋톱박스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
    1차 인증키 전송부에서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상기 TV로부터 수신된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2차 인증키 수신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1차 인증키 및 단말 식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연산하여 생성한 2차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에서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는 단계;
    일회용 비밀번호 전송부에서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일회용 비밀번호 확인부에서 상기 TV에서 입력되어 전송된 일회용 비밀 번호와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에서 발급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일회용 비밀번호를 검증하는 단계; 및
    로그인 처리부에서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확인부의 확인 결과 이상이 없을 경우 상기 TV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로그인 결과 전송부에서 로그인 처리 결과를 상기 TV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1차 인증키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1차 인증키를 단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단문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방법.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2차 인증키는,
    상기 1차 인증키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정보를 더 고려하여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방법.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2차 인증키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는,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을 위한 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20116049A 2012-10-18 2012-10-18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86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6049A KR101486544B1 (ko) 2012-10-18 2012-10-18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6049A KR101486544B1 (ko) 2012-10-18 2012-10-18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799A KR20140049799A (ko) 2014-04-28
KR101486544B1 true KR101486544B1 (ko) 2015-02-04

Family

ID=5065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16049A KR101486544B1 (ko) 2012-10-18 2012-10-18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58A1 (ko) * 2020-09-11 2022-03-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인증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인증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1059B (zh) * 2017-09-27 2020-12-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账号登录方法及其系统、终端、存储介质
CN108235083B (zh) * 2018-01-16 2021-08-2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电视日志信息获取方法及装置
CN108563924A (zh) * 2018-04-24 2018-09-21 深圳市亿道数码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多媒体生态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430A (ko) * 2003-07-21 2005-01-27 한민규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22539B1 (ko) 2003-01-03 200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방법
KR101028882B1 (ko) * 2010-09-14 2011-04-12 김종승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otp 방식의 사용자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5923A (ko) * 2009-10-28 2011-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방송 서비스 인증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539B1 (ko) 2003-01-03 200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방법
KR20050010430A (ko) * 2003-07-21 2005-01-27 한민규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45923A (ko) * 2009-10-28 2011-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방송 서비스 인증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인증 방법
KR101028882B1 (ko) * 2010-09-14 2011-04-12 김종승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otp 방식의 사용자인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58A1 (ko) * 2020-09-11 2022-03-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인증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인증 서버
US11683686B2 (en) 2020-09-11 2023-06-20 Samsung Sds Co., Lt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er terminal and authentication server for execu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799A (ko) 201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603B1 (ko) 이미지 인증키를 이용한 tv와 스마트폰의 연동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049366B2 (en) Tracking details of activation of licensable component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
KR102023609B1 (ko)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8412839B2 (en) Portable phone remote
KR101829834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KR101769370B1 (ko) Usb저장장치의 데이터 보안 방법 및 장치
EP3013063B1 (en) Closed caption-support content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system having the same, and closed caption-providing method thereof
US20150135208A1 (en) Content distribution control program, content distribution control device, content distribution device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117564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services and/or devices with a voice assistant
KR101486544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tv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291967B2 (en) Function upgrade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224875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액세스 포인트 및 그의 연결 방법
KR20120057027A (ko)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122107A (ko) 이미지 인증키를 이용한 tv와 스마트폰의 연동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99983A (ko) 리다이렉트를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2012450A2 (en) Method for restricting viewing access to broadcast program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6416282B (zh) 保护用户隐私的方法、无线电电视设备和系统
JP6302062B2 (ja) 電子機器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53783A (ko) 리모콘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4276A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을 제어하는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758378B1 (ko) 스마트 tv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65984A (ko) 디지털 시스템, 디지털 기기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20150035220A (ko) 라우터를 이용한 방송 신호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412106A (zh) 一种基于dvb的数据处理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