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860B1 -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860B1
KR102141860B1 KR1020190094797A KR20190094797A KR102141860B1 KR 102141860 B1 KR102141860 B1 KR 102141860B1 KR 1020190094797 A KR1020190094797 A KR 1020190094797A KR 20190094797 A KR20190094797 A KR 20190094797A KR 102141860 B1 KR102141860 B1 KR 102141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ns
broadcast signal
scree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보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주)동양시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시스컴 filed Critical (주)동양시스컴
Priority to KR102019009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는,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방송 선로의 분기기에 연결되어 분기기에 의해 분기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방송 신호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장치의 제어 명령에 따라 방송 신호의 각 채널별로 신호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산출하며, 산출한 측정값이 지정 기준을 벗어날 때 (기)측정한 신호 상태를 캡쳐 이미지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Monitoring Network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헤드엔드장비와 연동하여 로컬(local) 즉 각 가정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원격지에서 인터넷 및 모바일을 이용해 모니터링 및 점검한 후 사후관리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은 매우 보편화된 문명의 이기로서, 시청자는 텔레비전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텔레비전 시청을 위하여 과거에는 공중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통해 방송국의 신호를 수신하여 시청이 가능하였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점차 지역 케이블 방송을 이용하거나, 최근에는 IP TV가 보편화되면서 원하는 때에 언제 어디서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그런 시대에 도래하게 되었다. 소위 VOD(Video On Demand) 서비스가 제공되는 그러한 시대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종래에는 아파트 단지 또는 다세대 주택 등의 대규모 주택 단지에는 각 가구마다 개별적인 안테나를 설치하지 않고, 중앙에 각 채널별로 마스터 안테나를 설치하여 각 가구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청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물론 공청시스템을 통해 지역 케이블 방송이나 IP TV의 이용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공청시스템은 헤드엔드장비를 통해 각 가정으로 방송 전파가 송출되고 있으며, 아파트 단지의 경우에는 관리사무소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기도 한다.
종래의 헤드엔드장비(예: 관리사무소 배치)의 경우 각각의 수신장비를 통해 영상 또는 음성(예: 라디오)을 수기로 확인해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있다. 가령 관리사무소 내에서 채널을 일일이 돌리면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서비스 기사들이 별도의 신호세기(예: 영상은 SNR값, 음성은 dB값)를 확인하기 위해 계측기를 단자함에 연결해서 확인하므로 이 또한 많은 번거로움이 뒤따르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11001호(2014.06.1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23570호(2002.01.24)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7808호(2004.02.2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39318호(2014.09.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30659(2007.06.14)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헤드엔드장비와 연동하여 로컬 즉 각 가정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원격지에서 인터넷 및 모바일을 이용해 모니터링 및 점검한 후 사후관리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는,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방송 선로의 분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기에 의해 분기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장치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의 각 채널별로 신호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측정값이 지정 기준을 벗어날 때 상기 측정한 신호 상태를 캡쳐 이미지 기반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의 신호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비디오 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를 측정하고, 오디오 신호의 음질 또는 음압 레벨(dB)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상기 캡쳐 이미지로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을 지정 포맷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후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캡쳐 이미지로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을 디스플레이부에 미표시한 상태에서 지정 포맷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캡쳐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MNS 장치는, 스크린샷 원터치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샷 원터치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각 채널별 측정값을 산출하여 기저장한 캡쳐 이미지를 외부에서 연결된 저장매체에 한번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MNS 장치는, 서로 다른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한 수신감도를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신호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MNS 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방송 선로의 분기기에 연결되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분기기에 의해 분기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장치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의 각 채널별로 신호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측정값이 지정 기준을 벗어날 때 상기 측정한 신호 상태를 캡쳐 이미지 기반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의 신호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비디오 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를 측정하고, 오디오 신호의 음질 또는 음압 레벨(dB)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상기 캡쳐 이미지로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을 지정 포맷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후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캡쳐 이미지로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을 디스플레이부에 미표시한 상태에서 지정 포맷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캡쳐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MNS 장치는, 스크린샷 원터치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샷 원터치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각 채널별 측정값을 산출하여 기저장한 캡쳐 이미지를 외부에서 연결된 저장매체에 한번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MNS 장치는, 서로 다른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한 수신감도를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신호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의 경우 가정에서 고장 신고가 접수되었을 때, 원격을 통해 진단을 수행한 후 고장 수리를 진행할 수 있어 수리가 좀더 수월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기기로부터의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방송 신호의 공급측에서의 문제인지, 아니면 분기기로부터 각 가정으로 연결되는 신호 라인의 문제인지를 좀더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이 수월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장 수리를 위해 관리사무소 직원들의 신세를 져야 하는 번거로움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모니터링방송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MNS 장치와 헤드엔드장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MNS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도 1의 MNS 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MNS장치의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의 구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모니터링방송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MNS 장치와 헤드엔드장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MNS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모니터링방송시스템(90)은 헤드엔드장비(100), MNS(Monitoring Network System)(를 위한) 장치(110), 통신망(120), 관리자 단말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헤드엔드장치(10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원격모니터링방송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MNS 장치(1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헤드엔드장비(10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헤드엔드장비(100)는 헤드엔드센터에 구비되는 장치를 지칭한다. 여기서, 헤드엔드센터는 통상적으로 종합유선방송(CATV)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하나를 이룬다. 지상파나 위성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해 동축케이블 또는 광케이블로 송출하거나, CATV 방송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제작한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공급업자로부터 공급받은 프로그램을 케이블로 송출하는 설비를 말한다. 이에 따라 종합유선방송은 헤드엔드 등의 송출 설비를 설치한 송출계, 케이블 및 중계증폭기 등의 전송 설비를 이루는 전송계, 분배기 및 컨버터 등의 옥내 설비로 이루어진 가입자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송출계에 해당하는 헤드엔드센터에는 공중파 및 위성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점 설비와 CATV의 주 전송장비로서 신호를 변환, 증폭해 전송로에 신호를 송신하는 헤드엔드 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엔드장비(100)는 상기와 같은 종합유선방송 시스템의 일환이기는 하지만,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헤드엔드장비(100)가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아파트 단지 또는 다세대 주택 등의 대규모 주택 단지에서 각 가구마다 개별적인 안테나를 설치하지 않고, 중앙에 각 채널별로 마스터 안테나를 설치하여 각 가구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시청시스템의 일환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종합유선방송 시스템의 헤드엔드장비(100)와 구별하기 위하여 공청용 헤드엔드장비 또는 방송신호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대상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헤드엔드장비(100)는 다양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각 가정으로 송출한다. 예를 들어, 헤드엔드장비(100)는 방송신호로서 FM, DMB, HD, UHD, 위성방송 등의 신호를 수신하여 로컬 즉 각 가정으로 전송한다. 방송신호는 FM과 같은 라디오주파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영상시청을 위한 방송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부(97)로 수신되는 방송신호는 사용자들에 의해 각 채널이 선택되어 가정으로 제공된다. 선택된 각 채널의 방송신호는 신호처리부를 통해 신호처리되어 각 가정으로 송출된다. 신호처리부는 통상 채널튜닝(혹은 선국),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스케일링, 신호증폭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며, 또한 각 신호는 분배기 등을 통해 각 가정으로 분배 및 전송된다. 물론 헤드엔드장비(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110)를 연결하기 위한 분기기(예: 방향성결합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분배기와 분기기는 수신된 하나의 신호를 복수의 경로로 나누어 전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서로 공통되나 단자의 구성 및 신호의 배분 방식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다. 분배기는 입력(IN)과 출력(OUT)만 있고, 분기기는 탭(TAP), 출력 및 입력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분배기는 1대2 분배기의 경우 하나의 신호를 둘로 나눌 때 100% 신호를 50:50%로 나눈다. 반면, 분기기는 1대2 분기기의 경우 하나의 신호를 차등해서 둘로 나눈다. 예컨대 출력에는 80%, 탭에는 20%로, 실제로는 탭쪽의 신호를 떨어지게 나눈다. 분기기는 도 2에서와 같이 방향성 결합기가 사용된다.
도 2는 헤드엔드장비(100)의 세부 구성을 보여준다. 이는 모두 신호처리부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안테나부(혹은 모뎀)(97)로 수신된 방송신호는 사용자의 각 채널 선택에 따라 선택(혹은 선국)되어 수신되며, 수신된 신호는 복조되어 디먹스를 통해 분리될 수 있다. 가령, 영상신호의 경우, 비디오와 음성 즉 오디오로 분리된다. 분리된 각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는 디코딩(혹은 복호화)과 보정 즉 스케일링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다시 혼합기에 의해 믹싱되어 각 가정으로 전송돼 TV 화면 등에 표시될 수 있다. 오디오의 경우에는 출력될 때 신호가 증폭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도 2의 회로들은 이러한 신호처리 과정을 보여준다. 물론 위의 모든 신호처리 동작은 TV 단말에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헤드엔드장치(100)의 경우도 신호처리의 관점에서 그 동작이 크게 다르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110)는 헤드엔드장비(100)에 연동하며, 더 정확하게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엔드장비(100)의 분기기, 가령 방향성 결합기에 연결되어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의 상태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기는 원격 제어시에 선택적으로 방송신호를 분기하도록 분기기에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스위칭회로만으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경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110)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리자 단말장치(130)의 원격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MNS 장치(110)는 원격지에서 제어 명령이 없다 하더라도 관리자가 기설정해 둔 방식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여 관련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장치(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가령, 주기적으로 신호들을 측정하여 이상이 발생할 때 이를 알리는 것이다.
예컨대, 로컬 단의 각 가정에서 방송이 제대로 수신되지 않는다며 서비스 센터에 고장 수리를 요청한 경우, 관리자는 먼저 자신의 관리자 단말장치(130)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MNS 장치(110)에 원격 접속하여 각 가정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상태 또는 품질을 점검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해 MNS 장치(110)는 분기기까지의 신호를 점검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분기기를 통해 분기된 방송 신호의 점검 결과 신호가 양호하게 수신되는 경우라면, 분기기와 각 가정으로 연결되는 통신 선로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110)는 현장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만큼, 원격지의 관리자 단말장치(130)에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측정값을 현장에서 측정된 값의 기준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방송신호의 신호세기, 더 정확하게는 신호의 상태를 측정하는 경우, 만약 원격지에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 신호의 손실이 중간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위치에서 측정한 값을 원격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값은 캡쳐 이미지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캡쳐 이미지 기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화면상에서 이미지의 형태의 지정 포맷으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어,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스크린샷 기능을 통해 화면을 캡쳐한 경우라면 관리자 단말장치(130)는 사진과 같은 이미지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고,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지는 않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캡쳐된 경우에는 적(R), 녹(G), 청(B)의 화소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화면에 표시해 주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화면 캡쳐의 경우에는 현재 화면에 표시한 데이터 정보를 내부적으로 CPU 등이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그 정보를 근거로 소프트웨어적으로 데이터를 복사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후자의 경우가 이해되지 못할 일은 없을 것이다.
좀더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110)는 방송신호, 가령 비디오와 오디오가 혼합된 영상신호에서, 더 정확하게는 비디오의 신호대잡음비(SNR), 그리고 오디오 즉 음성의 음압레벨의 데시벨(dB), 또는 음질을 측정하고, 해당 측정 결과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한 후 이를 스크린샷을 통해 화면 캡쳐해 이미지의 형태로 전송해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비디오의 신호대잡음비 측정을 위하여 비디오 잡음 측정기(Video Noise Meter)가 사용될 수도 있다. 측정 과정에서 MNS 장치(110)는 가령, 방송 공동 수신 안테나 시설의 질적 수준과 관련한 데이터를 기준값으로 기설정(혹은 기저장)한 후, 측정에 의한 측정값과 기설정한 기준값을 비교하여 방송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 해당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 물론 파일을 저장할 때의 파일명은 지정된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각 가정의 사용자정보, 채널정보, 측정신호의 유형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위의 기설정되는 기준값은 <표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9079889915-pat000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110)는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 단말장치(130)의 원격 제어에 따라 로컬 단의 각 가정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신호의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도 3에서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다. 계측 화면이라 볼 수 있다. 물론 원격지의 관리자 단말장치(130)는 MNS 장치(110)에 표시되는 동일한 화면을 볼 수도 있다. 이의 경우에는 물론 MNS 장치(110)에서 캡쳐 이미지를 전송해 줄 필요는 없다. 원격에서 모니터링을 위하여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장 위치에서의 방송신호의 측정이 정확히 가능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도 무관하며, 따라서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MNS 장치(110)가 측정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앞서 언급한 대로 소프트웨어적으로 특정 데이터를 캡쳐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스템 설계자가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원격에서 해당 화면을 볼 수 있거나, 이의 경우가 아니라 캡쳐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설계하였다면 그 방식으로 동작할 것이다. 반면, 화면에 표시하지 않고 데이터를 캡쳐하고,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면 그에 따라 동작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측정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이를 스크린샷 기능을 통해 화면을 캡쳐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해 줄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볼 때, 제1 영역(300)은 측정값 표시부가 될 수 있고, 제2 영역(310)은 영상 표시부가 될 수 있으며, 제3 영역(320)은 그래픽 표시부가 될 수 있다. 그래픽 표시부는 팝업창의 형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3 영역(320)은 각 채널의 선택시 신호세기와 신호품질 등을 그래픽으로 표시해 줌으로써 관리자가 한 눈에 신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원격지에서 해당 화면을 보면서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가령 채널이 선택될 수도 있으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외에도 MNS 장치(110)는 스크린샷 원터치 버튼으로 한번에 채널별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관리자가 스크린샷 원터치 버튼을 원격으로 실행시킨 경우, 혹은 오프라인 상에서 작동시킨 경우 MNS 장치(110)는 순차적으로 채널을 변경하면서 측정된 값을 화면에 표시하고 각 화면을 캡쳐하는 방식으로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기저장된 캡쳐 이미지를 외부에서 연결된 USB 등의 저장매체에 동시에 저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특정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전송하고 이의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적인 캡쳐일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은 헤더부에 페이로드부의 적(R), 녹(G), 청(B)의 화소데이터와 관련한 부가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시간 구간을 캡쳐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지만,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MNS 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MNS 장치(11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유선통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관리자 단말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관리자 단말장치(130)는 모니터링센터에 구비되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장치(131)와 PC장치(133)를 포함하며, 국내 S사의 갤럭시*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 TV와 그의 주변장치인 인공지능(AI)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로컬 단의 특정 가정에서 고장 신고가 접수된 경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장치(130)를 통해 해당 가정으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MNS 장치(110)를 원격 제어하여 통신에 의해 해당 가정으로 송신되는 방송신호의 상태나 품질을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확인하여 원활하고 신속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장치(131)의 경우에는 물론 PC장치(133)도 마찬가지지만,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시켜 이벤트가 발생할 때(예: 고장신고 접수, 방송신호의 이상 발생 등) 푸시 알림 형식으로 수시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자신의 담당 구역에 고장 신고가 접수되면 담당 기사는 자신의 휴대폰 등을 위해 알림을 수신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관리자 단말장치(130)는 내부적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다이렉트로 통신망(120)을 경유해 MNS 장치(110)에 접속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가상 IP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국에는 복수의 MNS 장치(110)가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장치(130)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 화면상에는 각 지역의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MNS 장치(110)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여 특정 지역, 특정 장소의 MNS 장치(110)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자 단말장치(130)는 각 지역의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MNS 장치(110)와 관련한 현장명, 주소, 담당자, 전화번호, 전송채널, 준공일자, 사후관리기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 후, 데이터 변경이 있을 때 주기적으로 갱신하거나, 관할 지역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해당 지역을 담당하는 담당자에게 연락을 취하여 관리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가령, 고장 신호가 있을 때 지역정보를 확인하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담당자에게 연락을 취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격지에서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MSN 장치(110)를 통해 방송신호의 상태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고장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엔지니어의 경우 고장 수리가 수월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의 MNS 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MNS장치의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MNS 장치(110)는 외부 케이스(400), 디스플레이부(4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1 ~ 425), 그리고 구동부(혹은 구동장치)(4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부(410)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1 ~ 425)가 디스플레이부(410)에 통합되어 터치스크린 형태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외부 케이스(400)는 헤드엔드장비(100)의 지정 공간에 비치하기 위하여 바닥면이 평평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MNS 장치(110)는 랙장치라 명명될 수도 있다. 외부 케이스(400)는 내부 PCB 메인보드 등에 구성되는 구동부(430)에 전파 방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차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110)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서비스 기사는 현장에 MNS 장치(110)를 대동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소형 제작시 신호 간섭 등을 고려해 외부 케이스(400)가 제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0)는 액정패널을 포함하고, 터치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원격지에서 관리자에 의해 특정 채널에 대한 점검이 요청되면, 해당 채널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아울러 선택되는 방송신호와 관련한 측정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해 주는 것이다. 물론 디스플레이부(410)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외부 케이스(400)에 구성된 버튼(421)의 기능과 분리하여 터치 방식으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1 ~ 425)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복수의 버튼(421)과 접속 단자(423, 425)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버튼(421)은 전원버튼이 대표적이며, 그 이외에 각 방송신호를 튜닝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423, 425)로는 헤드엔드장비(100)와 연결하기 위한 RJ45 등의 규격을 갖는 랜(LAN) 포트(425)가 구성될 수 있다. 랜 포트(425)에 의해 실질적인 방송신호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되지만, 이를 통해 장비의 업데이트가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랜 포트(425)에 랩탑컴퓨터나 태블릿PC 등을 연결하여 프로그램 갱신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USB 등의 저장매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자(4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단자(423)에 저장매체를 연결하여 이를 통해 가령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다. 연결단자(423)에 USB 등의 저장매체를 연결한 후 스크린샷 원터치 버튼을 선택해 한번에 캡쳐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때, USB 용량에 따라 동작이 변경될 수는 있다. 가령, 저장 공간이 부족하면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고,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거나, 기저장된 데이터를 삭제 후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MNS 실행부(520) 및 저장부(5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제1 통신부와 제2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통신부는 헤드엔드장비(100)의 분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랜 포트(425)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통신부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관리자 단말장치(130)와 통신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의 경우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원격지의 관리자로부터 제어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제어부(510)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5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제어부(510)의 요청에 따라 관리자 단말장치(130)로 방송신호의 측정과 관련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크린샷 기능에 의한 화면 캡쳐된 캡쳐 이미지가 전송될 수 있다. 물론 해당 캡쳐 이미지상에는 도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 영상의 화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신호세기와 같은 측정값도 포함될 수 있다. 관리자는 캡쳐 이미지의 영상 화면을 보고 화질의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510)는 도 5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MNS 실행부(520) 및 저장부(5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MNS 실행부(520)에 제공한다. 비디오 신호는 도 4의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저장매체가 연결단자(423)에 연결되면, 저장부(5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사하여 저장매체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MNS 실행부(520)를 통해 측정 혹은 분석된 방송신호의 신호세기, 더 정확하게는 신호대잡음비(SNR)나 데시벨(dB) 측정값을 도 3에서와 같이 지정된 포맷으로 형성하여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되도록 한다.
나아가, 제어부(510)는 원격지의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장치(130)를 통해 현재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된 화면을 캡쳐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하거나, 또는 저장부(530)에 저장되어 있는 신호 점검 관련 기준값과 현재 측정된 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기준값을 벗어날 때, 자동으로 관리자 단말장치(130)로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화면에 표시된 관련 데이터를 이미지의 형태로 캡쳐하여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MNS 실행부(5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질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MSN 실행부(520)는 인터넷 및 모바일 전송망을 이용해 TV 공청신호 및 화면을 원격으로 점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격지의 관리자 단말장치(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현재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여 측정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측정값이 관리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MNS 실행부(520)는 방송신호의 특성상, 다시 말해 비디오 영상이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캡쳐 이미지의 기반으로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진다.
좀더 살펴보면, MNS 실행부(520)를 통해 FM의 경우 지역 해당 주파수 별로 음질 및 레벨이 측정된다. 또한, DMB의 경우 로컬 즉 각 가정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며, HD의 경우 로컬로 출력되는 신호의 SNR, dB 등의 측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송되는 채널별 화면 상태의 확인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한 후 스크린샷 기능을 수행하여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나아가, UHD의 경우 로컬로 출력되는 신호의 SNR, dB를 측정하고 또한 전송되는 채널별 화면 상태를 확인하다. 위성방송의 경우는 각 위성별(BS, AS, KS5, KS6 등) 수신 레벨 측정 및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즉 MNS 실행부(520)는 FM, DMB, HD, UHD, 아날로그, CATV, 위성방송 등의 신호 측정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이다.
나아가, MNS 실행부(520)는 지정된 관리자 단말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보안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530)에는 공사 후 사후관리를 위해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특히 담당자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접속 요청이 있는 해당 정보를 근거로 점검 등을 허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장부(530)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에 관여할 수 있으며, 또는 방송신호의 측정과 관련한 데이터를 영구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53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관리자 단말장치(130)의 원격 제어에 의해 삭제될 수도 있다. 또한, 방송신호의 점검에 관련된 캡쳐 이미지는 저장매체에 담기 위한 요청이 있을 때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110)는 전파조사시 모니터, 위성수신기, 계측기 등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관리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헤드엔드장비(100)를 통해 모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신호는 직접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신호측정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헤드엔드장치(100)의 결함을 발견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MNS 장치(110)는 FM, DMB의 경우 소형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감도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서도 측정한 수신감도를 방송신호의 측정시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제어부(5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 동작을,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 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도 5의 MNS 실행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가령, MNS 장치(110)는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최초 제어 명령을 지시했을 때 관련 프로그램을 MNS 실행부(520)에서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키고, 동작이 완료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삭제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의 구동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NS 장치(110)는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방송 선로의 분기기에 연결되어 분기기에 의해 분기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600). 예를 들어, MNS 장치(1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헤드엔드장비(100)의 분기기(예: 방향성 결합기)에 연동할 수 있다.
또한, MNS 장치(110)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장치(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방송 신호의 각 채널별로 신호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산출하며, 산출한 측정값이 지정 기준을 벗어날 때 측정한 신호 상태를 캡쳐 이미지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장치(130)로 전송한다(S610).
여기서, "캡쳐 이미지 기반"이란 디스플레이부(410)의 화면상에 측정한 신호 상태와 관련한 데이터를 도 3에서와 같이 표시한 후 스크린샷 기능을 수행하여 화면 캡쳐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식, 그리고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소프트웨어적으로 일정 포맷을 생성한 후 해당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장치(130)로 전송하여 해당 데이터가 이미지의 형태로 컴퓨터 등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는 스크린샷 버튼을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있음을 인지하여 동작하지만, 후자의 경우는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는 없으므로,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때, 데이터를 지정포맷으로 생성한 후 소프트웨어적으로 자동 캡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형성한 후, 화면에 표시하지 않고 저장부에 저장한 후 해당 데이터를 복사하여 전송해 줄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미러링 동작과 같이 현장의 MNS 장치(110)의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되는 수신된 방송 신호의 신호 상태에 대한 화면과 동일 화면을 원격지의 관리자 단말장치(130)에서 시청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다만, 후자의 방식보다는 위의 전자의 방식이 데이터 처리 관점이나, 업무의 효율성 측면에서 더욱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NS 장치(110)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상이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만 데이터를 캡쳐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해 줄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화면을 바라보고 있어야 하므로, 피로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캡쳐 이미지 기반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MNS 장치(11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헤드엔드장비 110: MNS 장치
120: 통신망 130: 관리자 단말장치
400: 외부 케이스 410: 디스플레이부
421: 버튼 423: 연결단자
425: 랜 포트 500: 통신 인터페이스부
510: 제어부 520: MNS 실행부
530: 저장부

Claims (7)

  1. 안테나부를 통해 다양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분기기를 통해 각 가정으로 송출하는 헤드엔드장비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MNS(Monitoring Network System) 장치로서,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방송 선로의 상기 분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기에 의해 분기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장치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의 각 채널별로 신호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측정값이 지정 기준을 벗어날 때 상기 측정한 신호 상태를 캡쳐 이미지 기반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
    스크린샷 원터치 버튼; 및
    서로 다른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을 지정 포맷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후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캡쳐 이미지로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샷 원터치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채널을 변경하면서 측정된 값을 화면에 표시하고 각 화면을 캡쳐하는 방식으로 관리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거나 기저장된 캡쳐 이미지를 외부에서 연결된 저장매체에 동시에 저장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한 수신감도를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신호 상태를 측정하는 MNS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의 신호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비디오 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를 측정하고, 오디오 신호의 음질 또는 음압 레벨(dB)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상기 캡쳐 이미지 기반으로 전송하는 MNS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을 디스플레이부에 미표시한 상태에서 지정 포맷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캡쳐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MNS 장치.
  5. 삭제
  6. 삭제
  7. 안테나부를 통해 다양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분기기에 의해 각 가정으로 송출하는 헤드엔드장비에 연결되어 동작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스크린샷 원터치 버튼, 및 서로 다른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MNS 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방송 선로의 상기 분기기에 연결되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분기기에 의해 분기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는 관리자 단말장치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의 각 채널별로 신호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측정값이 지정 기준을 벗어날 때 상기 측정한 신호 상태를 캡쳐 이미지 기반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값을 지정 포맷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후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캡쳐하여 상기 캡쳐 이미지로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린샷 원터치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채널을 변경하면서 측정된 값을 화면에 표시하고 각 화면을 캡쳐하는 방식으로 관리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거나 기저장된 캡쳐 이미지를 외부에서 연결된 저장매체에 동시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한 수신감도를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신호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NS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90094797A 2019-08-05 2019-08-05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41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97A KR102141860B1 (ko) 2019-08-05 2019-08-05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97A KR102141860B1 (ko) 2019-08-05 2019-08-05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860B1 true KR102141860B1 (ko) 2020-08-06

Family

ID=7204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797A KR102141860B1 (ko) 2019-08-05 2019-08-05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86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570B1 (ko) 1993-12-02 2002-06-24 마크 홀린저 케이블텔레비젼시스템헤드엔드용네트워크관리자
KR20040017808A (ko) 2001-04-17 2004-02-27 퀴드리가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데이터 분배
KR100730659B1 (ko) 2004-12-18 2007-06-21 주식회사 리노스 방송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189419A (ja) * 2006-01-12 2007-07-26 Fujitsu Ten Ltd 受信機の異常診断装置、受信機、受信機の異常診断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24771A (ja) * 2006-11-13 2008-05-29 Hitachi Ltd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受信切替え方法
KR101127698B1 (ko) * 2010-12-16 2012-03-27 주식회사 애니퓨쳐텍 지상파 방송을 위한 방송 수신 품질 측정 및 분석 시스템
KR101411001B1 (ko) 2007-11-12 2014-06-23 주식회사 케이티 고객 서비스 현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439318B1 (ko) 2008-12-19 2014-09-15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iptv 원격시청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90072558A (ko) * 2016-11-07 2019-06-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캡처된 스크린샷에 이미지 데이터를 기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세션 상태를 정의하는 애플리케이션-특정 메타데이터와 캡처된 스크린샷을 연관시키는 것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570B1 (ko) 1993-12-02 2002-06-24 마크 홀린저 케이블텔레비젼시스템헤드엔드용네트워크관리자
KR20040017808A (ko) 2001-04-17 2004-02-27 퀴드리가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데이터 분배
KR100730659B1 (ko) 2004-12-18 2007-06-21 주식회사 리노스 방송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189419A (ja) * 2006-01-12 2007-07-26 Fujitsu Ten Ltd 受信機の異常診断装置、受信機、受信機の異常診断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24771A (ja) * 2006-11-13 2008-05-29 Hitachi Ltd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受信切替え方法
KR101411001B1 (ko) 2007-11-12 2014-06-23 주식회사 케이티 고객 서비스 현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439318B1 (ko) 2008-12-19 2014-09-15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iptv 원격시청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127698B1 (ko) * 2010-12-16 2012-03-27 주식회사 애니퓨쳐텍 지상파 방송을 위한 방송 수신 품질 측정 및 분석 시스템
KR20190072558A (ko) * 2016-11-07 2019-06-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캡처된 스크린샷에 이미지 데이터를 기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세션 상태를 정의하는 애플리케이션-특정 메타데이터와 캡처된 스크린샷을 연관시키는 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84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pairing
US8489710B2 (en) Network system, controller, recording device, service server, method of acquiring resource status of record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10602347B2 (en) Determining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figuration for wireless devices
US9191132B2 (en) Broadcast re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 re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output apparatus, and broadcast retransmitting system using the same
CN101335677B (zh) 无线通信装置、无线通信系统和网络控制方法
CN102273195B (zh) 用于扫描电视频道的方法和系统
KR102141860B1 (ko) Mns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1101518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端末の設定情報更新システム
US11805284B1 (en) Real-time distributed MPEG transport stream service adaptation
US10827168B2 (en) Echolocate spectrum analyzer
CN100473127C (zh) 电视广播接收器以及控制其外部装置的方法
US11469842B2 (en) Over-the-air programming integration with over the top streaming services
KR101339835B1 (ko) 이동 단말의 실시간 화면 재생기, 그 시스템 및 화면 재생 방법
CN102017621B (zh) 具有监视能力的显示服务器方法以及装置
KR101588446B1 (ko) 원격 방송이 가능한 비상방송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369255B1 (ko) 디지털 신호 통합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신호처리 방법
KR102449971B1 (ko) 재난 방송을 위한 공시청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278686B1 (ko) 방송공동수신 설비 내 증폭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9081646A (ja) ホテル向けペイパービュー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の故障診断情報取得システム
KR101847837B1 (ko) 전자액자기능을 구비한 댁내형 재난방송 수신장치 및 방법
WO2014207931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1501548A (ja) 電気ネットワークから消費パターンを測定する装置及び方法
WO2013128875A1 (ja) 無線通信装置、情報設定装置、情報設定方法、及び情報設定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160126239A (ko) 실내위치추적을 통한 핸드오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36934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