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201B1 -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201B1
KR102006201B1 KR1020190005791A KR20190005791A KR102006201B1 KR 102006201 B1 KR102006201 B1 KR 102006201B1 KR 1020190005791 A KR1020190005791 A KR 1020190005791A KR 20190005791 A KR20190005791 A KR 20190005791A KR 102006201 B1 KR102006201 B1 KR 102006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hold
business
electricity
building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덕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하이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05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G01R31/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쇼핑몰 등의 대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각 세대별 또는 각 업소별 전기누전의 발생 여부를 실시간 감지하는 동시에 누전의 발생 또는 발생 가능성이 있는 세대 또는 업소를 발견 시 해당 사실을 실시간으로 해당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는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 전자식 전력 계량기, 세대/업소 통신모듈,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 관리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전기누전 경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기누전 경보부는 상기 공동주택의 세대별 그리고 상기 건축물의 업소별로 해당 세대 또는 업소의 전기누전 발생 확률이 높은 지점을 지점을 중심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고, 제어모듈과 제1 및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그리고 경보작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Electric leakage monitoring apparatus for apartment house and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 기술 분야 중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나 쇼핑몰 등의 대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각 세대별 또는 각 업소별 전기누전의 발생 여부를 실시간 감지하는 동시에 전기누전의 발생 또는 발생 가능성이 있는 세대 또는 업소를 발견 시 해당 사실을 실시간으로 해당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국내의 화재 발생 현황을 보면 매년 3만 건 이상의 화재가 발생하고 그 중 약 30% 이상이 전기에 의한 화재로 알려져 있을 만큼 전기 화재가 빈번한 실정이며, 특히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쇼핑몰 등의 대형 건축물처럼 전력 사용량이 많은 곳에서 전기 화재가 발생 시 엄청난 재산 피해 및 인명 피해가 초래될 확률이 높다.
한편, 최근까지도 국내에서는 전기 화재의 주요 원인이 되는 합선이나 누전에 의한 화재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극적인 화재 예방 조치였다.
그러나 누전차단기는 그 작동 시에만 해당 사용자 내지 관리자를 통한 누전의 발생 또는 발생 가능성의 인지 및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므로, 그 작동이 발생되지 않는 누전 상황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예방 기능까지 제공하진 못하였다.
그리고 이는 누전을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들의 감전 위험을 높이는 동시에 전기의 불필요한 소모에 따른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는 것이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17775호(2017.03.17.공고.),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745972호(2017.06.13.공고.), “통합형 수배전반 경고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운영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쇼핑몰 등의 대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각 세대별 또는 각 업소별 전기누전의 발생 여부를 실시간 감지하는 동시에 전기누전의 발생 또는 발생 가능성이 있는 세대 또는 업소를 발견 시 해당 사실을 실시간으로 해당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쇼핑몰 등의 대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각 세대별 또는 각 업소별로 전기누전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는 상황 발생 시, 해당 세대 또는 업소 내 사용자에게 전기누전이 의심되는 상황임을 시각적으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전기 시설물 주변에 대한 접근을 피하게 되어 전기누전에 따른 감전 사고의 확률이 크게 낮아질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는, 아파트 및 기타 공동주택(10) 그리고 쇼핑몰 및 기타 대형 건축물(20)을 대상으로 상기 공동주택(10)별 또는 건축물(20)별 설치되며, 해당 공동주택(10) 또는 건축물(20)의 각 세대(11)별 또는 업소(21)별 전기 사용량이 사전에 설정되는 사계절 기준의 네 단위기간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되, 상기 전기 사용량은 상기 단위기간별 일일 사용량 기준의 최고값이 저장되는 동시에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고유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와, 상기 공동주택(10) 또는 건축물(20)의 각 세대(11)별 또는 업소(21)별 설치되어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되, 일일 단위로 전기 사용량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와, 상기 공동주택(10) 또는 건축물(20)의 각 세대(11)별 또는 업소(21)별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일일 단위의 전기 사용량을 수신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되,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포트(310)를 구비하는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와, 상기 공동주택(10) 또는 건축물(20)의 각 세대(11)별 또는 업소(21)별 사용자가 휴대하고, 상기 접속포트(310)를 매개로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일일 전기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 및 전기 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전기용품의 정격전압 및 예상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에 전송하는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와, 상기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 및 세대/업소 통신모듈(300)과 접속되고,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의 일일 단위 전기 사용량 산출값 및 상기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저장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단위기간 중 해당 단위기간의 일일 사용량 기준의 전기 사용량 최고값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 상기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의 전기 사용량 산출값이 상기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저장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기 사용량 최고값을 초과하는 상황이 사전에 설정된 날자 수 이상으로 지속되는 것을 전제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및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일일 전기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 및 전기 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전기용품의 정격전압 및 예상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및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사전에 수신된 일일 전기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 및 전기 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전기용품의 정격전압 및 예상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의 일일 단위 전기 사용량 산출값에 반영한 전기 사용량이 상기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저장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기 사용량 최고값보다 낮게 산출되어야 하는 상황인 경우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에 대한 전기누전의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른 전기누전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전기누전 확인 요청 신호를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 및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그리고 해당 관리자가 휴대하는 관리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600)에 전송하는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500)와, 상기 공동주택(10)의 각 세대(11) 또는 상기 건축물(20)의 각 업소(21)에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과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5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전기누전 확인 요청 신호를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수신 시 기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710), 상기 제어모듈(710)과 접속되어 상기 제어모듈(7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기기 제어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20),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20)로부터 무선 송출된 상기 기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1)과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1)을 통해 수신된 상기 기기 제어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 및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의 로드(732a) 선단에 설치된 점멸 램프(733)와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 점멸 램프(73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34)와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 점멸램프(733) 및 배터리(734)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1)이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의 로드(732a) 및 점멸 램프(733)의 전·후진 작동을 위해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735)을 포함하고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기누전 발생 확률이 높은 지점을 지점을 중심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는 경보 작동모듈(730)을 포함하며, 상기 공동주택(10)의 세대(11)별 그리고 상기 건축물(20)의 업소(21)별로 설치되는 전기누전 경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쇼핑몰 등의 대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각 세대별 또는 각 업소별 전기누전의 발생 여부가 실시간 감지될 수 있는 동시에 전기누전의 발생 또는 발생 가능성이 있는 세대 또는 업소가 발생 시 해당 사실이 실시간으로 해당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통지되어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쇼핑몰 등의 대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각 세대별 또는 각 업소별로 전기누전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는 상황 발생 시, 해당 세대 또는 업소 내 사용자에게 전기누전이 의심되는 상황임이 시각적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전기 시설물 주변에 대한 접근을 피하게 되어 전기누전에 따른 감전 사고의 확률이 크게 낮아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에서 전기 사용량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데이터 저장 예를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에서 전기누전 경보부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측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에서 전기 사용량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데이터 저장 예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에서 전기누전 경보부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는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 세대/업소 통신모듈(300),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500), 관리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600), 전기누전 경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는 아파트 및 기타 공동주택(10) 그리고 쇼핑몰 및 기타 대형 건축물(20)을 대상으로 공동주택(10)별 또는 건축물(20)별 설치되며, 해당 공동주택(10) 또는 건축물(20)의 각 세대(11)별 또는 업소(21)별 전기 사용량이 사전에 설정되는 사계절 기준의 네 단위기간별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 사용량은 상기 단위기간별 일일 사용량 기준의 최고값이 저장되는 동시에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고유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다.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는 공동주택(10) 또는 건축물(20)의 각 세대(11)별 또는 업소(21)별 설치되어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기 사용량을 측정한다. 여기서,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는 일일 단위로 전기 사용량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은 공동주택(10) 또는 건축물(20)의 각 세대(11)별 또는 업소(21)별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일일 단위의 전기 사용량을 수신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은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일일 단위의 전기 사용량을 수신하여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5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은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일일 단위의 전기 사용량 정보에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또한,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은 이어서 설명되는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포트(310)를 구비한다.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는 공동주택(10) 또는 건축물(20)의 각 세대(11)별 또는 업소(21)별 사용자가 휴대한다. 이러한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는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의 접속포트(310)를 매개로 세대/업소 통신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일일 전기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 및 전기 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전기용품의 정격전압 및 예상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에 전송한다.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500)는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 및 세대/업소 통신모듈(300)들과 접속되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전송되는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의 일일 단위 전기 사용량 산출값 및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저장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단위기간 중 해당 단위기간의 일일 사용량 기준의 전기 사용량 최고값을 비교한다.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500)는 상술한 비교 결과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의 전기 사용량 산출값이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저장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기 사용량 최고값을 초과하는 상황이 사전에 설정된 날자 수 이상으로 지속되는 것을 전제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및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일일 전기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 및 전기 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전기용품의 정격전압 및 예상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에 대한 전기누전의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른 전기누전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전기누전 확인 요청 신호를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 및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그리고 해당 관리자가 휴대하는 관리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600)에 전송한다.
또한,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500)는 상술한 비교 결과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의 전기 사용량 산출값이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저장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기 사용량 최고값을 초과하는 상황이 사전에 설정된 날자 수 이상으로 지속되는 것을 전제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및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사전에 수신된 일일 전기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 및 전기 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전기용품의 정격전압 및 예상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의 일일 단위 전기 사용량 산출값에 반영한 전기 사용량이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저장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기 사용량 최고값보다 낮게 산출되어야 하는 상황인 경우,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에 대한 전기누전의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른 전기누전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전기누전 확인 요청 신호를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세대/업소 통신모듈(300) 및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그리고 해당 관리자가 휴대하는 관리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전기누전 경보부(700)는 공동주택(10)의 세대(11)별 그리고 건축물(20)의 업소(21)별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전기누전 경보부(700) 각각은 제어모듈(710),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20) 및 경보 작동모듈(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모듈(710)은 공동주택(10)의 각 세대(11) 또는 건축물(20)의 각 업소(21)에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세대/업소 통신모듈(300)과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어모듈(710)은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500)로부터 전송되는 상술한 전기누전 확인 요청 신호를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수신 시 기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20)은 제어모듈(710)과 접속되어 제어모듈(7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기기 제어신호를 무선 송출한다. 다시 말해,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20)은 제어모듈(7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기기 제어신호를 이어서 설명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1)에 무선 전송한다.
경보 작동모듈(730)은 전기누전 경보부(700)가 설치되는 공동주택(10)의 해당 세대(11) 또는 건축물(20)의 해당 업소(21)에 전기누전 발생 확률이 높은 지점을 지점을 중심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보 작동모듈(730)은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 점멸 램프(733), 배터리(734) 및 하우징(7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1)은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20)로부터 무선 송출된 상기 기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 및 점멸 램프(733)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1)을 통해 수신된 상기 기기 제어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작동하며, 점멸 램프(733)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의 로드(732a) 선단에 설치된다.
배터리(734)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 및 점멸 램프(733)에 전원을 공급한다.
하우징(735)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 점멸 램프(733) 및 배터리(734)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1)이 외면에 설치되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의 로드(732a) 및 점멸 램프(733)의 전·후진 작동을 위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상술한 전기누전 경보부(700)의 구성에 의해서, 전기누전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별된 공동주택(10)의 세대(11) 또는 건축물(20)의 업소(21) 내 사용자가 전기누전이 의심되는 상황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누전 경보부(700)의 경보 작동모듈(730)이 설치된 주변 및 기타 전기누전이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시설물 주변에 접근하지 않게 됨으로써, 전기누전에 따른 감전사고의 발생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 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는,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쇼핑몰 등의 대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각 세대별 또는 각 업소별 전기누전의 발생 여부가 실시간 감지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전기누전의 발생 또는 발생 가능성이 있는 세대 또는 업소가 발생 시 해당 사실이 실시간으로 해당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통지될 수 있게 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쇼핑몰 등의 대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각 세대별 또는 각 업소별로 전기누전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는 상황 발생 시, 해당 세대 또는 업소 내 사용자에게 전기누전이 의심되는 상황임이 시각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해당 사용자가 전기 시설물 주변에 대한 접근을 피하게 되어 전기누전에 따른 감전 사고의 확률이 크게 낮아질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공동주택 11 : 세대
20 : 건축물 21 : 업소
100 :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
200 : 전자식 전력 계량기 300 : 세대/업소 통신모듈
310 : 접속포트
400 :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500 :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 600 : 관리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700 : 전기누전 경보부 710 : 제어모듈
720 :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730: 경보 작동모듈
731 :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732 :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732a : 로드 733 : 점멸 램프
734 : 배터리 735 : 하우징

Claims (1)

  1. 아파트 및 기타 공동주택(10) 그리고 쇼핑몰 및 기타 대형 건축물(20)을 대상으로 상기 공동주택(10)별 또는 건축물(20)별 설치되는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와, 상기 공동주택(10) 또는 건축물(20)의 각 세대(11)별 또는 업소(21)별 설치되어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되, 일일 단위로 전기 사용량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와, 상기 공동주택(10) 또는 건축물(20)의 각 세대(11)별 또는 업소(21)별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일일 단위의 전기 사용량을 수신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세대/업소 통신모듈(300)과, 상기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 및 세대/업소 통신모듈(300)과 접속되고,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의 일일 단위 전기 사용량 산출값 및 상기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저장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정보를 기반으로 전기누전의 확인 여부를 판단하는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50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10) 또는 건축물(20)의 각 세대(11)별 또는 업소(21)별 사용자가 휴대하는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및 상기 공동주택(10)의 각 세대(11) 또는 상기 건축물(20)의 각 업소(21)에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과 접속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전기누전 경보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는 상기 공동주택(10) 또는 건축물(20)의 각 세대(11)별 또는 업소(21)별 전기 사용량이 사전에 설정되는 사계절 기준의 네 단위기간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되, 상기 전기 사용량은 상기 단위기간별 일일 사용량 기준의 최고값이 저장되는 동시에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고유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고,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은 상기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일일 단위의 전기 사용량에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동시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포트(310)를 구비하며,
    상기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는 상기 접속포트(310)를 매개로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일일 전기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 및 전기 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전기용품의 정격전압 및 예상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에 전송하고,
    상기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500)는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의 일일 단위 전기 사용량 산출값 및 상기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저장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단위기간 중 해당 단위기간의 일일 사용량 기준의 전기 사용량 최고값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 상기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의 전기 사용량 산출값이 상기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저장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기 사용량 최고값을 초과하는 상황이 사전에 설정된 날자 수 이상으로 지속되는 것을 전제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및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일일 전기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 및 전기 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전기용품의 정격전압 및 예상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및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사전에 수신된 일일 전기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 및 전기 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하는 전기용품의 정격전압 및 예상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식 전력 계량기(200)의 일일 단위 전기 사용량 산출값에 반영한 전기 사용량이 상기 전기 사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저장된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기 사용량 최고값보다 낮게 산출되어야 하는 상황인 경우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에 대한 전기누전의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른 전기누전 확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전기누전 확인 요청 신호를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 및 세대/업소 사용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그리고 해당 관리자가 휴대하는 관리자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600)에 전송하며,
    상기 전기누전 경보부(700)는 상기 전기누전 통합관리 서버(5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전기누전 확인 요청 신호를 상기 세대/업소 통신모듈(300)을 통해 수신 시 기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710), 상기 제어모듈(710)과 접속되어 상기 제어모듈(7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기기 제어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20),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20)로부터 무선 송출된 상기 기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1)과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1)을 통해 수신된 상기 기기 제어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 및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의 로드(732a) 선단에 설치된 점멸 램프(733)와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 점멸 램프(73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34)와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 점멸램프(733) 및 배터리(734)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31)이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732)의 로드(732a) 및 점멸 램프(733)의 전·후진 작동을 위해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735)을 포함하고 해당 세대(11) 또는 업소(21)의 전기누전 발생 확률이 높은 지점을 중심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는 경보 작동모듈(730)을 포함하고,
    전기누전 여부의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된 상기 공동주택(10)의 세대(11) 또는 건축물(20)의 업소(21) 내 사용자가 상기 전기누전 경보부(700)를 통해서 전기누전의 의심 상황임을 시각적으로 확인 후 상기 경보 작동모듈(730)이 설치된 주변에 접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KR1020190005791A 2019-01-16 2019-01-16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KR102006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91A KR102006201B1 (ko) 2019-01-16 2019-01-16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91A KR102006201B1 (ko) 2019-01-16 2019-01-16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201B1 true KR102006201B1 (ko) 2019-08-01

Family

ID=6761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791A KR102006201B1 (ko) 2019-01-16 2019-01-16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2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1204A (zh) * 2019-12-31 2020-04-24 龙岩龙安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楼宇安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255638B1 (ko) * 2020-12-31 2021-05-25 주식회사 한국 방재리더스 공동주택 누전감시 시스템
KR102499144B1 (ko) * 2021-09-01 2023-02-13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감시와 알람 시스템
KR102629790B1 (ko) 2023-10-06 2024-01-29 (주)동현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감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923A (ko) * 2008-02-05 2009-08-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격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누출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717775B1 (ko) 2016-10-17 2017-03-17 이성원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KR101745972B1 (ko) 2016-11-09 2017-06-13 주식회사 태건상사 통합형 수배전반 경고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운영방법
KR101773170B1 (ko) * 2017-05-17 2017-08-30 (주)경동이앤지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장치
KR101812777B1 (ko) * 2016-04-25 2018-01-30 한국지역난방공사 사물인터넷 기반 지역난방 사용자 시설 모니터링 및 효율 개선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923A (ko) * 2008-02-05 2009-08-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격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누출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812777B1 (ko) * 2016-04-25 2018-01-30 한국지역난방공사 사물인터넷 기반 지역난방 사용자 시설 모니터링 및 효율 개선 시스템
KR101717775B1 (ko) 2016-10-17 2017-03-17 이성원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KR101745972B1 (ko) 2016-11-09 2017-06-13 주식회사 태건상사 통합형 수배전반 경고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운영방법
KR101773170B1 (ko) * 2017-05-17 2017-08-30 (주)경동이앤지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1204A (zh) * 2019-12-31 2020-04-24 龙岩龙安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楼宇安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255638B1 (ko) * 2020-12-31 2021-05-25 주식회사 한국 방재리더스 공동주택 누전감시 시스템
KR102499144B1 (ko) * 2021-09-01 2023-02-13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감시와 알람 시스템
KR102629790B1 (ko) 2023-10-06 2024-01-29 (주)동현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감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201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US20090119068A1 (en) Communicating faulted circuit indicato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6997648A (zh) 一种基于物联网的远程火灾监控电表系统
CN106447998B (zh) 智能配变监测终端及监测系统
KR100543891B1 (ko) 유비쿼터스 기능을 갖는 전기안전 차단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033686B (zh) 用于具有动态响应特性的绝缘故障监测的方法
US9437100B2 (en) Supervising alarm notification devices
CN206505512U (zh) 一种电气火灾预警监控系统
CN104459367A (zh) 电控和保护设备
CN106656664A (zh) 智慧城市用电安全监控管理系统
CN207731442U (zh) 一种分布式智能电气火灾监控系统
KR20190081712A (ko) 재난 경보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3131B1 (ko) 물질유출감지 및 알림 시스템
CN105914876A (zh) 一种具有防窃电功能的用电检查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04112343B (zh) 双重防拆无线报警器
CN106292398A (zh) 一种用于电能表计量箱的控制装置
KR20070088242A (ko) 설비의 상태 및 이벤트의 실시간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CN202995982U (zh) 电网防外力破坏综合监测预警系统
KR101659477B1 (ko) Ble기반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도난감시 시스템
CN109510312A (zh) 一种安全用电监控系统
EP3324251B1 (en) Method for managing electrical supply of a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CN107860424A (zh) 能够进行电力异常预警的预警系统
CN207780556U (zh) 危险源及环境监测报警系统
KR102391960B1 (ko) 전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36295A (ko) 누전차단기의 원격제어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