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223B1 -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 Google Patents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1223B1 KR102421223B1 KR1020220063242A KR20220063242A KR102421223B1 KR 102421223 B1 KR102421223 B1 KR 102421223B1 KR 1020220063242 A KR1020220063242 A KR 1020220063242A KR 20220063242 A KR20220063242 A KR 20220063242A KR 102421223 B1 KR102421223 B1 KR 1024212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safety
- management server
- information
- industri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06010000372 Accident at work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12797 qual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17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245 Elaeagnus mult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98 Elaeagnus mult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571 Occupatio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70 acute poison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46 outsour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st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대 산업현장에 대한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의 이행을 유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중대 산업재해를 예방해야 하는 산업현장에 대하여,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재난 예방 활동에 대한 준비 및 이행실태를 원격지에서 감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산업현장에서 안전규정이 이행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산업현장에서 중대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및 방법을 사용하면, 감독관들이 산업현장에 일일이 방문하지 않더라도 산업현장에서 안전 및 보건 관련 규정을 이행하고 있는지를 원격지에서 효과적으로 감독할 수 있으며, 산업현장의 유형에 따라 재난발생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체크포인트와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현장의 이행상태를 사진이나 영상 스트리밍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감독관들이 여러 현장을 동시에 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산업현장에 근무하면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활동을 하는 안전관리자가 안전관리 업무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도 자동으로 점검하여 감독관에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대 산업현장에 대한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의 이행을 유도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중대 산업재해를 예방해야 하는 산업현장에 대하여,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재난 예방 활동에 대한 준비 및 이행실태를 원격지에서 감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산업현장에서 안전규정이 이행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산업현장에서 중대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및 방법을 사용하면, 감독관들이 산업현장에 일일이 방문하지 않더라도 산업현장에서 안전 및 보건 관련 규정을 이행하고 있는지를 원격지에서 효과적으로 감독할 수 있으며, 산업현장의 유형에 따라 재난발생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체크포인트와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현장의 이행상태를 사진이나 영상 스트리밍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감독관들이 여러 현장을 동시에 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산업현장에 근무하면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활동을 하는 안전관리자가 안전관리 업무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도 자동으로 점검하여 감독관에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각종 산업재해로 인한 피해는 당사자뿐 아니라 그 가족 나아가 국가적으로도 경제발전 역량을 잠식하여 큰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정부와 산업계에서는 그동안 여러 차례 산업재해 예방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여 왔으나, 산업현장에서는 여전히 대형 재해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며, 재해발생에 취약한 산업현장의 구조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는 개선되지 않은 상황이다. 예를 들어 구미 산업단지의 불산 누출 사망사고라던가 울산 한화케미칼 폭발로 인한 노동자 사망사고, 삼성중공업 크레인 전도로 인한 사망사고 등 중대 산업재해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산업재해가 끊임없이 발생하는 이유는, 단기적인 성과 중심의 경영방식이 확산됨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안전보건을 지키기 위한 제도나 시스템이 비용 부담을 이유로 정착되지 못하고, 유해하고 위험한 작업은 대기업 원청에서 중소기업 하청으로 외주화되는 과정에서 안전관리의 사각지대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산업재해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안전한 일터에서 건강하게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지난 2021년에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7907호, 약칭 :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되어 시행되어 오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 또는 사업장, 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원료나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하여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한 사업주나 경영책임자 또는 공무원 및 법인 등에 대한 처벌과 이를 위한 필요조치 등을 규정함으로써, 중대재해를 예방할 책임이 있는 사람들이 재해예방과 시민과 종사자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한편, 중대재해처벌법에서 “중대재해”란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를 포함한다. 그중 “중대산업재해”란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재해를 말하는데,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다만, 중대재해처벌법은,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하거나,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하거나 또는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한 결과를 야기한 재해 등에 대하여 “중대산업재해”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는 사업주 등이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한 처벌을 면하기 위해서라도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종 조치 및 관련 의무 이행을 철저히 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인적자원으로 재해예방을 위한 모든 조치를 이행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감독해야 하는 산업현장이 무수히 많지만 이를 감독할 수 있는 감독인력이 적을 뿐만 아니라, 감독해야 하는 모든 산업현장들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기저기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 산업현장들을 순회하면서 안전관리실태를 감독한다 하더라도 시간적, 공간적 제약 때문에 중대재해처벌법에서 정한 관련 규정을 이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물론 감독인원을 충분히 확충하게 되면 가능하게 되겠지만, 산업현장에서의 인력투입에 무한정한 자원을 쓰게 되면 비용의 초과로 인하여 사업을 수행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해지기 때문에 발주기관이나 수주업체 측에서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각각의 산업현장에는 해당 산업현장의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활동을 책임지는 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하는데, 산업현장마다 수행하는 작업의 유형이나 종류가 서로 다르고 재난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산업현장의 유형이나 그날그날 진행될 작업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안전관리자가 선임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산업현장에서 현재 진행 중인 공정은 전력설비에 대한 활선작업 공정인데, 전력설비에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사람이 안전관리자로 선임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감독관들이 안전관리자를 선임을 승인하는 과정에서 승인 요청된 안전관리자에 대한 전문분야나 경력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부분 요청하는 대로 승인하게 되며, 이에 따라 부적격자가 산업현장을 감독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안전관리자가 해당 산업현장에 대한 재난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조치를 취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산업현장이 재난발생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같이 산업현장마다 수행하는 작업의 유형이나 종류가 서로 다르고 재난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산업현장별로 안전관리실태를 철저하게 감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산업현장 종류와 각각의 공종에 따른 작업내용에 따라 안전관리 체크포인트를 다르게 정하여 점검 및 이행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각각의 산업현장에서 공정의 수행 진도에 따라 공종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때그때 일일이 상황에 맞는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한정된 감독관의 숫자로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어 왔다.
따라서, 한정된 감독인원으로 다수의 현장을 감독함에서 오는, 산업현장이 중대 산업재해 발생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업 또는 사업장을 운영하면서 안전 또는 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하여 인명피해를 발생하는 사례를 예방하기 위하여,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실태를 자동으로 점검하면서 감독관들이 원격지에서 효과적으로 감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현장에 상주하여 안전관리업무를 책임져야 하는 안전관리자를 선임하는데 있어서, 해당 산업현장의 유형이나 작업내용에 맞는 전문성과 경력을 가진 안전관리자가 선임될 수 있도록 하며, 안전관리자를 선임하기 위한 요청 및 승인과정이 온라인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독관이 안전관리자의 선임을 승인함에 있어서, 승인 요청된 안전관리자가 해당 산업현장의 유형이나 작업내용에 맞는 전문성과 경력을 가진 안전관리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감독관에게 제공하거나, 안전관리자의 적격성 여부를 정보시스템이 판단한 후 판단결과를 감독관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현장에 상주하여 안전관리업무를 책임져야 하는 안전관리자가, 작업승인 요청 및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작성 등을 타인에게 수행시키지 않고 직접 수행하게 강제함으로써, 안전관리자가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철저하게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현장의 유형과 그날그날 수행할 작업의 공종에 적합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정보시스템이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현장에 있는 안전관리자가 작성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가 원격지에 있는 감독관에게 제출되어 감독관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만 대상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관리사항 이행이 담보되고 이를 통하여 산업재해 발생이 예방될 수 있는 방법과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현장에서 작업이 이행되는 과정에 대하여 영상촬영을 할 수 있고 영상촬영내용이 온라인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어 원격지에 있는 감독관에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원격지의 감독관이 복수의 산업현장을 동시에 감독할 수 있는 방법과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현장에서 안전관리자가 작업대상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체크리스트에 대하여 확인입력을 한 후,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촬영을 하면 정보시스템이 촬영된 사진을 딥러닝으로 분석하여 체크리스트의 관련 항목과 자동으로 매치시키고,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이에 대한 사진을 연결하여 포함하는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과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관리자가 체크리스트에 대하여 일일이 확인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촬영을 하기만 하면 정보시스템이 촬영된 사진을 딥러닝으로 분석하여 체크리스트의 관련 항목과 자동으로 매치시키고,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이에 대한 사진을 연결하여 포함하는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과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관리자가 산업현장에 상주하며 안전관리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독관에게 알려주고, 안전관리자가 산업현장에서 이탈하는 경우 안전관리자 및 감독관에게 경고메시지를 보내줄 수 있는 방법과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관리자가 산업현장 내에서 직접 수행해야 하는 안전관리활동을 타인에게 전가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과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대 산업재해를 예방해야 하는 산업현장에 대한 원격감독을 가능하게 하고, 안전규정 이행을 자동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시스템은, 상기 산업현장의 안전관리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인 제1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거치되는 스마트기기인 제2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대한 감독관이 그 조작권한을 가진 제3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산업현장 DB, 상기 안전관리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안전관리자 DB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말기가, 자신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소지자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로그인 정보로 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로그인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로그인을 허용하는 제1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산업현장 DB를 조회하여,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산업현장 리스트를 제공하여 그중 하나의 산업현장을 선택받은 후, 선택받은 산업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 리스트를 제공하여 그중 하나를 작업대상으로 선택받는 제2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소지자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자 승인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면서 제1단말기 소지자를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자로 승인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산업현장 DB에서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자 자격요건을 조회하고, 상기 안전관리자 DB에서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가 갖춘 자격을 조회한 후 그 결과가 포함된 심사자료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요청정보와 함께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말기가,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자 승인입력을 받아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5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자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제6단계;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정보를 수신한 제1단말기에서,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작업승인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정보 및 상기 제1단말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2단말기에 전송하는 제7단계;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QR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한 작업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8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산업현장 DB에서 상기 작업대상의 작업유형 및 공종에 따른 안전관리 필요사항을 조회한 후,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작업승인 요청정보와 함께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하는 제9단계; 상기 제3단말기가, 상기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제시하여 확인 또는 수정입력을 받아 확정시킨 후,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이를 상기 제2단말기 또는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0단계;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각 항목에 대한 확인입력을 받은 후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1단계; 상기 제3단말기가,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 후, 작업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입력이 되면, 작업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이를 상기 제2단말기 및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2단계; 및 상기 작업승인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작업대상의 현장화면을 촬영하면서, 상기 관리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3단말기에 상기 현장화면을 실시간 스트리밍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정보시스템에는, 상기 산업현장의 다양한 유형별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이 수록된 딥러닝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1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각 항목에 대한 확인입력을 받은 후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1a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작업대상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촬영 및 제출을 요구하는 제11b단계;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이 촬영되고, 촬영될 사진 중에서 전송할 사진이 선택되면, 선택된 사진들을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1c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에 대한 딥러닝 분석을 통하여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을 매치시킨 후,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와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이 매치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에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제11d단계;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안전점검 보고서를 화면에 제시하여 수정 또는 확인입력을 받은 후,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1e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한 후,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이용하여 딥러닝 학습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딥러닝 DB를 업데이트 하는 제11f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2단계는, 상기 제3단말기가,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작업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입력이 되면, 작업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이를 상기 제2단말기 또는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으로 하거나, 상기 제11단계를,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작업대상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촬영 및 제출을 요구하는 제11-1단계;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이 촬영되고, 촬영될 사진 중에서 전송할 사진이 선택되면, 선택된 사진들을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1-2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에 대한 딥러닝 분석을 통하여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을 매치시킨 후,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와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이 매치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에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제11-3단계;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안전점검 보고서를 화면에 제시하여 수정 또는 확인입력을 받은 후,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1-4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한 후,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이용하여 딥러닝 학습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딥러닝 DB를 업데이트 하는 제11-5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관리서버 또는 상기 제3단말기가,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안전관리 상태 확인요청을 하는 제14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제1단말기 위치정보가 포함된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5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그 사실을 상기 제3단말기에 통보하되, 일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일정한 범위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경고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3단말기에 대하여 안전관리자 현장이탈 사실을 통보하는 제1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7단계에서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QR코드를 생성할 때, 상기 제11단계에서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생성할 때 또는 상기 제15단계에서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생성할 때는,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의 확인을 받아 생성하되 상기 제1단말기를 현재 소지한 사람이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정보에 의한 안전관리자인지에 대하여 본인확인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QR코드,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 또는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으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본인확인은, 상기 제1단말기에 포함된 생체인식 기능을 통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작업승인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1단말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2단말기와 자신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한 후, 상기 이격거리가 포함된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이격거리가 일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경고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3단말기에 대하여 안전관리자 현장이탈 사실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으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자 자격요건과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가 갖춘 자격을 비교하여 자격요건별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자격요건별 적합 여부를 상기 심사자료에 더 포함하여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으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제11단계에서,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확인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중대 산업재해를 예방해야 하는 산업현장에 대한 원격감독을 가능하게 하고, 안전규정 이행을 자동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으로서, 상기 산업현장의 안전관리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인 제1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거치되는 스마트기기인 제2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대한 감독관이 그 조작권한을 가진 제3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산업현장 DB, 상기 안전관리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안전관리자 DB, 딥러닝 DB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위에서 언급된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활동에 대한 감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안전관리자가 안전규정을 철저하게 이행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 중대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중대 산업재해를 예방해야 하는 산업현장에 대한 원격감독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안전관리자 적격여부의 판단용이, 다양한 산업현장 및 수많은 공종 각각에 적합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의 자동생성, 승인된 안전관리자가 안전관리 활동을 직접 수행할 수 있게 강제하는 수단 구비, 안전관리자의 근무현황 및 현장이탈 파악 용이 등 정보시스템이 다양하고 효과적인 감독수단을 원격지에 있는 감독관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한정된 감독 인원으로도 다수의 산업현장을 효율적이고도 철저하게 감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산업현장에서 안전관리업무를 책임져야 하는 안전관리자를 선임하기 위한 승인요청이 있는 경우 관리서버가, 산업현장 DB에서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자 자격요건을 조회하고, 제1단말기 소지자(승인요청자)가 갖춘 자격을 안전관리자 DB에서 조회한 후, 그 결과가 포함된 심사자료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안전관리자 승인요청정보와 함께 제3단말기에 전송하여 감독관에게 제시하기 때문에, 해당 산업현장의 유형이나 작업내용에 맞는 전문성과 경력을 가진 안전관리자가 선임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관리자 심사자료를 생성할 때 관리서버는,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자 자격요건과 제1단말기 소지자가 갖춘 자격을 비교하여 자격요건별 적합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자격요건별 적합 여부를 더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감독관이 안전관리자를 승인할 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적격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안전관리자 승인요청을 할 때 당사자의 단말기인 제1단말기를 이용하여 승인 요청하도록 하고, 제1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 소지자의 정보를 관리서버에서 가지고 있으면서 이를 로그인 정보로 이용하기 때문에 안전관리와 관련되어 관리서버에 접근하는 것은 안전관리자 당사자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정보시스템의 보안이 강화됨은 안전관리 활동에 대하여 안전관리자 본인이 직접 수행하도록 유도 또는 강제할 수 있게 되므로, 산업현장에서의 안전관리가 안전관리자에 의하여 철저하게 직접 이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작업승인 요청을 위하여 제1단말기가 QR코드를 생성할 때, 제1단말기 소지자의 확인을 받아 생성하되 제1단말기를 현재 소지한 사람에 대한 본인확인 즉, 안전관리자 승인정보에 의한 안전관리자가 제1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지 확인이 되는 경우에만 QR코드를 생성하고, QR코드에는 제1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포함되기 때문에 안전관리자가 해당 산업현장에 위치하여 직접 작업승인 요청을 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2단말기가 제1단말기로부터 QR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QR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한 작업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기 때문에 안전관리자(제1단말기 소지자)가 작업승인을 요청함에 있어서, 안전관리자가 정위치(제2단말기가 위치한 산업현장)에 위치하고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관리서버가 산업현장 DB에서 작업승인 요청된 작업대상의 작업유형 및 공종에 따른 안전관리 필요사항을 조회한 후,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작업승인 요청정보와 함께 제3단말기에 전송하고, 제3단말기가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제시하여 감독관으로부터 확인 또는 수정입력을 받아 확정시킨 후,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관리서버는 이를 제2단말기 또는 제1단말기에 전송하기 때문에,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작성에 따른 감독관의 업무부담을 크게 경감시킴은 물론 다양한 산업현장과 무수히 많은 공정에도 불구하고 작업대상별로 가장 적합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가,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각 항목에 대한 확인입력을 받은 후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면, 관리서버가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제3단말기에 전송하여 감독관에게 보여주며,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생성할 때는, 제1단말기 소지자의 확인을 받아 생성하되 제1단말기를 현재 소지한 사람이 안전관리자 승인정보에 의한 안전관리자인지에 대하여 본인확인이 되는 경우에만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산업현장에 상주하여 안전관리업무를 책임져야 하는 안전관리자가, 자신이 작업승인 요청 및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작성 등을 타인에게 수행시키지 않고 직접 수행하게 함으로써, 안전관리자가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를 철저하게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에만 체크리스트에 대한 확인입력이 가능한 특징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전관리자가 산업현장 내에서 안전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에 의한 각 안전관리 항목을 직접 확인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이, 원격지에서 감독관이 확정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가 산업현장에 있는 안전관리자에 의하여 각 항목별로 확인되고, 안전관리자가 확인한 체크리스트가 원격지에 있는 감독관에게 제출되어 감독관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만 대상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관리사항 이행이 담보되고 이를 통하여 재난사고 발생이 예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산업현장에서 작업이 이행되는 과정에 대하여 영상촬영을 할 수 있고 영상촬영내용이 온라인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어 원격지에 있는 감독관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원격지의 감독관이 산업현장에 일일이 방문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산업현장을 동시에 효율적이고도 철저하게 감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작업대상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체크리스트에 대하여 안전관리자가 확인입력을 한 후,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촬영을 하면, 관리서버가 촬영된 사진을 딥러닝으로 분석하여 체크리스트의 관련 항목과 자동으로 매치시키고,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을 이에 대한 사진과 연결시킨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관리자는 감독관이 보내준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별로 이행상태를 확인입력 한 후, 사진을 촬영하기만 하면 체크리스트와 사진이 연계된 안전점검 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감독관에게 보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정확하게 안전관리를 위한 점검을 수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작업대상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체크리스트에 대하여 안전관리자가 일일이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기만 하면 관리서버가 촬영된 사진을 딥러닝으로 분석하여, 감독관이 보내준 체크리스트의 관련 항목과 자동으로 매치시키고,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이에 대한 사진을 연결하여 포함하는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안전관리자는 안전관리 이행상태에 대하여 사진을 촬영하기만 하면 체크리스트와 사진이 연계된 안전점검 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감독관에게 보낼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안전관리를 위한 점검을 수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관리서버 또는 제3단말기가, 제1단말기에 대하여 안전관리 상태확인 요청을 하고, 제1단말기는 제1단말기 위치정보가 포함된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면, 관리서버가 안전관리 상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그 사실을 제3단말기에 통보하되, 일정한 시간 이내에 안전관리 상태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제1단말기가 제2단말기로부터 일정한 범위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단말기에 대하여 경고메시지를 전송하고 제3단말기에 대하여 안전관리자 현장이탈 사실을 통보하기 때문에 안전관리자가 산업현장을 무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산업현장의 안전관리가 철저하게 이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제1단말기가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생성할 때는, 제1단말기 소지자의 확인을 받아 생성하되 제1단말기를 현재 소지한 사람이 안전관리자 승인정보에 의한 안전관리자인지에 대하여 본인확인이 되는 경우에만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생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안전관리자가 자신의 단말기인 제1단말기를 타인에게 맡겨놓고 무단으로 이탈하는 것까지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승인정보를 수신한 제1단말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2단말기와 자신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한 후, 이격거리가 포함된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관리서버는 안전관리 상태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이격거리가 일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제1단말기에 대하여 경고메시지를 전송하고 제3단말기에 대하여 안전관리자 현장이탈 사실을 통보하는 특징도 가지기 때문에, 안전관리자가 산업현장을 이탈하지 않고 안전관리 활동을 정상적으로 잘 하고 있는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이 수행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에서 체크리스트 및 현장영상이 감독관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나는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의 다른 실시예가 수행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가 수행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이 수행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에서 체크리스트 및 현장영상이 감독관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나는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의 다른 실시예가 수행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가 수행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대 산업재해를 예방해야 하는 산업현장에 대한 원격감독을 가능하게 하고, 안전규정 이행을 자동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정보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보시스템(10)은 산업현장(50)의 안전관리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인 제1단말기(100), 상기 산업현장(50)에 거치되는 스마트기기인 제2단말기(200), 상기 산업현장(50)에 대한 감독관이 그 조작권한을 가진 제3단말기(300), 상기 산업현장(50)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산업현장 DB(410), 상기 안전관리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안전관리자 DB(420) 및 관리서버(40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산업현장(50)에서 수행될 작업에 대한 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사람이 소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으로서, 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사람의 명의로 된 스마트폰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단말기(200)는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로서, 상기 산업현장(50) 중 안전관리대상 공정이 진행 중인 작업대상(51)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카메라가 있는 노트북이나, 카메라를 연결시킨 PC 등을 상기 제2단말기(200)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3단말기(300)는 상기 관리서버(400)에 연결되는 PC나 노트북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스마트패드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제3단말기(300)에서는 감독관이 여러 개의 산업현장(50)에 대한 원격감독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대형 모니터의 분할화면을 통하여 여러 산업현장(50)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PC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더 나아가서, 여러 산업현장(50)에 대하여 집중적인 관리와 감독을 할 수 있도록 관제센터 형태로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할 것인데, 이 경우 상기 제3단말기(300)는 ‘중대 재난사고 예방을 위한 관제센터’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산업현장 DB(410)는 해당 기관에서 관리하는 모든 산업현장(50)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산업현장의 유형이나, 작업공정별 작업대상 등이 수록되도록 하고, 각각의 산업현장(50)별 유형이나 작업공정별 작업대상(51)에 대한 안전관리를 위한 중점사항, 점검 포인트 및 특이사항, 안전관리자의 자격 등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전관리자 DB(420)는 상기 산업현장(50)별로 또는 상기 작업대상(51) 별로 선임될 안전관리자들에 대한 학력, 자격, 경력 등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업현장 DB(410) 및 상기 안전관리자 DB(420)는 각각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산업현장 DB(410)와 상기 안전관리자 DB(420)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같이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더라도 상기 관리서버(400)가 검색할 수 있는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400) 내부에 또는 제3의 저장공간에 저장하고 있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단말기(100), 상기 제2단말기(200), 상기 제3단말기(300) 및 상기 관리서버(400)는 유무선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1단말기(100)와 상기 제2단말기(200) 상호 간에는 블루투스나 wifi 또는 NFC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510)을 통한 통신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이 수행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말기(100)가, 자신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소지자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100) 자체를 식별할 수 있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로그인 정보로 하여 상기 관리서버(400)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10). 상기 관리서버(400)에는 상기 소지자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단말기(100)가 로그인할 경우 정당한 접근권한을 가진 사람인지를 판단하여 로그인을 허용하거나 거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관리서버(400)가 상기 로그인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로그인을 허용하는 제1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관리서버(400)에 로그인하는 상기 제1단말기(100)에 대하여 상기 ‘소지자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로 로그인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제1단말기(100)는 상기 산업현장(50)에서 안전관리자가 될 것인데, 안전관리 업무에 대하여 임의로 타인에게 수행시킨다든가 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안전관리자 선임단계에서부터 안전관리활동 전반을 수행 함에 있어 본인의 스마트폰인 상기 제1단말기(100)를 소지하고 다니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인확인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관리서버(400)는, 먼저 상기 산업현장 DB(410)를 조회하여, 상기 제1단말기(100)에 대하여 ‘산업현장 리스트’를 제공하여(s120) 그중 하나의 산업현장(50)을 선택받은 후(s130), 선택받은 산업현장(50)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 리스트를 제공하여(s120) 그중 하나를 작업대상(51)으로 선택받는(s130) 제2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대상(51)은 상기 산업현장(50)에서 수행되는 여러 가지 공종 및 공정에 따라 그날그날 수행되는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산업현장(50)에는 많은 작업대상(51)이 있게 되며, 여러 가지 공종 및 공정에 따라 그날그날 달라지기 때문에작업대상(51)에 따른 안전관리 위한 중점사항, 점검 포인트 및 특이사항 또한 각각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감독관 입장에서는 상기 작업대상(51)에 따른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작성업무가 만만치 않은 일이 된다.
한편 상기 제2단계가 수행된 후에는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소지자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자 승인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면서 ‘제1단말기 소지자’를 상기 작업대상(51)에 대한 안전관리자로 승인요청하는(s140) 제3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요청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관리서버(400)가, 상기 산업현장 DB(410)에서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자 자격요건을 조회하고(s150), 상기 안전관리자 DB(420)에서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가 갖춘 자격을 조회한 후(s150) 그 결과가 포함된 심사자료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요청정보와 함께 상기 제3단말기(300)에 전송하는(s160) 제4단계를 수행하면, 상기 제3단말기(300)가, 감독관으로부터 상기 작업대상(51)에 대한 안전관리자 승인입력을 받아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는(s170) 제5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관리서버(400)가,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작업대상(5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자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s180) 제6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심사자료를 생성하여 상기 제3단말기(300)에 전송할 때(s160), 상기 작업대상(51)에 대한 안전관리자 자격요건과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가 갖춘 자격을 비교하여 자격요건별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자격요건별 적합 여부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상기 감독관은 ‘제1단말기 소지자’가 상기 작업대상(51)에 대한 안전관리자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상기 관리서버(400)의 판단결과로 도움을 받기 때문에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작업대상(51)에 대한 안전관리자 선임요청과 승인절차가 완료되고 난 후, 상기 작업대상(51) 즉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시작하게 되는데,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안전관리상태 등에 대한 점검을 위하여 작업승인 요청 및 승인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정보를 수신한 제1단말기(100)는, 자신을 소지한 안전관리자로부터 상기 작업대상(51)에 대한 작업승인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정보 및 상기 제1단말기(100)가 위치한 곳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생성한 후, 상기 QR코드를 상기 제2단말기(200)에 전송하는(s210) 제7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QR코드에는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작업대상(51)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제1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정보가 더 포함된다. 생성된 QR코드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유효성을 잃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단말기(200)가, 상기 제1단말기(100)로부터 상기 QR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한 작업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는(s220) 제8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리서버(400)는 상기 작업승인 요청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가 안전관리자로 승인된 사람인지,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작업대상(51) 구역 안에 설치된 상기 제2단말기(200) 근처에 있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QR코드를 상기 제2단말기(200)에 전송할 때는, 상기 제1단말기(100)에 QR코드를 디스플레이시킨 후 상기 제2단말기(200)의 카메라로 이를 인식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QR코드 이미지파일을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상기 제2단말기(200)로 무선전송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7단계에서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QR코드를 생성할 때는,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의 확인을 받아 생성하도록 하되 상기 제1단말기(100)를 현재 소지한 사람이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정보에 의한 안전관리자인지에 대하여 본인확인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QR코드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해당 작업승인 요청은 안전관리자 본인이 직접, 상기 작업대상(51)의 현장에서 요청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승인된 안전관리자가 상기 산업현장(50) 중 상기 작업대상(51)이 위치한 장소에서 직접 승인요청을 한 것인지를 상기 관리서버(400)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작업승인 요청정보를 수신한 상기 관리서버(400)는, 작업승인을 요청한 작업대상(51)에 대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감독관의 확인을 받아 안전관리자에게 전달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산업현장 DB(410)에서 상기 작업대상(51)의 작업유형 및 공종에 따른 안전관리 필요사항을 조회한 후, 상기 작업대상(51)에 대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작업승인 요청정보와 함께 상기 제3단말기(300)에 전송하는(s230) 제9단계를 수행하며, 이를 수신한 상기 제3단말기(300)가, 상기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제시하여 감독관으로부터 확인 또는 수정입력을 받아 확정시킨 후,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며(s240), 상기 관리서버(400)는 이를 상기 제2단말기 또는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s241) 제10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수신한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는 이를 안전관리자에게 보여주고 상기 확정된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별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여 점검결과를 상기 확정된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별로 입력하도록 하며(s250), 상기 확정된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별 확인결과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400) 및 상기 제3단말기(300)를 통하여 감독관에게 전달되어 작업을 승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별 입력은 상기 제1단말기(100)를 통하여 입력해도 되며, 상기 제2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0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400)가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하면(s241),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 중 상기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수신한 단말기가, 상기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자신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안전관리자로부터 각 항목에 대한 확인입력을 받은 후(s250),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고(s260),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상기 제3단말기(300)에 전송하는(s261) 제11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1단계에서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가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생성할 때는(s260),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의 확인을 받아 생성하되 상기 제1단말기(100)를 현재 소지한 사람이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정보에 의한 안전관리자인지에 대하여 본인확인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안전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의 작성을 안전관리자 본인이 직접하게 되므로 산업현장에서 안전관리의 실효성이 높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1단계에서, 상기 제1단말기(100)와 상기 제2단말기(200)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확인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를 통하여 상기 안전관리자가 체크리스트를 상기 작업대상(51)의 안전관리 영역 안에서 작성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단말기(300)가 상기 관리서버(400)를 통하여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전달받은 경우에는(s261),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자신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 후, 감독관으로부터 작업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입력이 되면, 작업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며(s270), 상기 관리서버(400)는 이를 상기 제2단말기(200) 및 제1단말기(100)에 전송하는(s271) 제12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업승인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2단말기(200)는, 상기 작업대상(51)의 현장화면을 촬영하면서(s310), 상기 관리서버(400)를 통하여 상기 제3단밀기(300)에 상기 현장화면을 실시간 스트리밍하는(s320) 제13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에서 체크리스트 및 현장영상이 감독관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나는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단말기(200)가 상기 작업대상(51)의 현장화면을 촬영하면서(s310), 상기 관리서버(400)를 통하여 상기 제3단말기(300)에 상기 현장화면을 실시간 스트리밍(s320) 하는 동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전관리자가 상기 산업현장(50)이나 상기 작업대상(51)에 대한 안전관리를 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이를 경고함으로써 안전관리자가 상기 산업현장(50)이나 상기 작업대상(51)에 대한 안전관리를 철저하게 이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3단계 이후에 상기 관리서버(400) 또는 상기 제3단말기(300)가, 상기 제1단말기(100)에 대하여 안전관리 상태 확인요청을 하는 제14단계를 수행하면,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제1단말기(100)에 대한 위치정보가 포함된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는 제15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400)가,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그 사실을 상기 제3단말기(300)에 통보하되, 일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제2단말기(200)로부터 일정한 범위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단말기(100)에 대하여 경고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3단말기(300)에 대하여 안전관리자 현장이탈 사실을 통보하는 제16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5단계에서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생성할 때는,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의 확인을 받아 생성하되 상기 제1단말기(100)를 현재 소지한 사람이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정보에 의한 안전관리자인지에 대하여 본인확인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인확인은, 상기 제1단말기(100)에 포함된 생체인식 기능을 통하여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안전관리자의 얼굴이나 손 등의 신체 일부에 대한 셀카 사진을 첨부하여 전송함으로써 본인확인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관리자가 안전관리 대상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이를 경고하는 다른 방법으로, 상기 제1단말기(100)로 하여금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신호를 보내도록 하고 관리서버가 이를 판단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작업승인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1단말기(10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2단말기(200)와 자신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한 후, 상기 이격거리가 포함된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이격거리가 일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상기 제1단말기(100)에 대하여 경고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3단말기(300)에 대하여 안전관리자 현장이탈 사실을 통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의한 실시예는, 상기 정보시스템(10)에, 상기 산업현장(50)의 다양한 유형별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이 수록된 딥러닝 DB(43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나머지 구성은 앞서 살펴본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이 적용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단말기(100)를 통하여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송부하기 전에, 상기 제1단말기(100)에 대하여 상기 작업대상(51)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촬영 및 제출을 요구하며, 상기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이 촬영제출되면 상기 관리서버(400)가 제출된 사진들에 대하여 딥러닝 분석을 통하여 제출된 사진들이 체크리스트의 어느 항목에 해당하는 사진인지를 식별해 내고,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사진들을 매치한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해내는 실시예이다. 도 5에는 이러한 실시예가 수행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앞선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1단계는, 사진촬영 및 딥러닝 분석을 위한 과정이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가, 상기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각 항목에 대한 확인입력을 받은 후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는 제11a단계를 수행하게 되면(s250 및 s260), 상기 관리서버(400)가,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에 대하여, 상기 작업대상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촬영 및 제출을 요구하는 제11b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51).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에서, 안전관리자에 의하여 상기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이 촬영되고, 안전관리자에 의하여 촬영될 사진 중에서 전송할 사진이 선택되면, 선택된 사진들을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1c단계(s252)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관리서버(400)가, 상기 딥러닝 DB(430)를 이용하여 학습된 딥러닝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에 대한 딥러닝 분석을 하고(s253), 이를 통하여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을 매치시킨 후(s254),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와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이 매치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에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하는(s255) 제11d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가, 상기 안전점검 보고서를 화면에 제시하여 수정 또는 확인입력을 받은 후,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는(s256) 제11e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상기 제3단말기(300)에 전송한 후,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이용하여 딥러닝 학습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딥러닝 DB(430)를 업데이트 하는 제11f단계(s258)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단계는, 상기 제3단말기(300)가,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작업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입력이 되면, 작업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400)는 이를 상기 제2단말기(200) 또는 제1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작업대상(51)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체크리스트에 대하여 안전관리자가 확인입력을 한 후,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 촬영을 하면 정보시스템(10)이 촬영된 사진을 딥러닝으로 분석하여 체크리스트의 관련 항목과 자동으로 매치시키고,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이에 대한 사진을 연결하여 포함하는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관리자는 감독관이 보내준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별로 이행상태를 확인입력 한 후, 사진을 촬영하기만 하면 체크리스트와 사진이 연계된 안전점검 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감독관에게 보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정확하게 안전관리를 위한 점검을 수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안전관리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이용하여 딥러닝 학습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을 점점 더 정교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6에는 도 5의 실시예와 다소 다른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작업대상(51)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체크리스트에 대하여 안전관리자가 일일이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기만 하면 정보시스템이 촬영된 사진을 딥러닝으로 분석하여, 감독관이 보내준 체크리스트의 관련 항목과 자동으로 매치시키고,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이에 대한 사진을 연결하여 포함하는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게하는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관리자는 안전관리 이행상태에 대하여 사진을 촬영하기만 하면 체크리스트와 사진이 연계된 안전점검 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감독관에게 보낼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안전관리를 위한 점검을 수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1단계는, 상기 관리서버(400)가,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에 대하여, 상기 작업대상(51)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촬영 및 제출을 요구하는 제11-1단계(s1251),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는, 상기 안전관리자에 의하여 상기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이 촬영되고, 촬영될 사진 중에서 전송할 사진이 선택되면, 선택된 사진들을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는 제11-2단계(s1252)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400)가,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에 대한 딥러닝 분석을 통하여(s1253)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을 매치시킨 후(s1254),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와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이 매치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에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제11-3단계(s1255)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상기 제2단말기(200)가, 상기 안전점검 보고서를 화면에 제시하여 안전관리자로부터 수정 또는 확인입력을 받은 후,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1-4단계(s1256)를 수행한 후, 상기 관리서버(400)가,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상기 제3단말기(300)에 전송한 후(s1257),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이용하여 딥러닝 학습과정을 수행하고(s1258) 상기 딥러닝 DB(430)를 업데이트 하는 제11-5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단계는, 상기 제3단말기(300)가,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작업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입력이 되면, 작업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400)는 이를 상기 제2단말기(200) 또는 제1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50 산업현장
51 작업대상
100 제1단말기
200 제2단말기
300 제3단말기
400 관리서버
410 산업현장 DB
420 안전관리자 DB
430 딥러닝 DB
500 유무선 인터넷망
510 근거리 통신망
50 산업현장
51 작업대상
100 제1단말기
200 제2단말기
300 제3단말기
400 관리서버
410 산업현장 DB
420 안전관리자 DB
430 딥러닝 DB
500 유무선 인터넷망
510 근거리 통신망
Claims (11)
- 중대 산업재해를 예방해야 하는 산업현장에 대한 원격감독을 가능하게 하고, 안전규정 이행을 자동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시스템은, 상기 산업현장의 안전관리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인 제1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거치되는 스마트기기인 제2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대한 감독관이 그 조작권한을 가진 제3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산업현장 DB, 상기 안전관리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안전관리자 DB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말기가, 자신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소지자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로그인 정보로 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로그인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로그인을 허용하는 제1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산업현장 DB를 조회하여,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산업현장 리스트를 제공하여 그중 하나의 산업현장을 선택받은 후, 선택받은 산업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 리스트를 제공하여 그중 하나를 작업대상으로 선택받는 제2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소지자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자 승인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면서 제1단말기 소지자를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자로 승인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산업현장 DB에서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자 자격요건을 조회하고, 상기 안전관리자 DB에서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가 갖춘 자격을 조회한 후 그 결과가 포함된 심사자료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요청정보와 함께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말기가,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자 승인입력을 받아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5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관리자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제6단계;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정보를 수신한 제1단말기에서,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작업승인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정보 및 상기 제1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2단말기에 전송하는 제7단계;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QR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한 작업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8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산업현장 DB에서 상기 작업대상의 작업유형 및 공종에 따른 안전관리 필요사항을 조회한 후,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작업승인 요청정보와 함께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하는 제9단계;
상기 제3단말기가, 상기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제시하여 확인 또는 수정입력을 받아 확정시킨 후,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이를 상기 제2단말기 또는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0단계;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각 항목에 대한 확인입력을 받은 후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1단계;
상기 제3단말기가,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 후, 작업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입력이 되면, 작업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이를 상기 제2단말기 및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제12단계; 및
상기 작업승인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작업대상의 현장화면을 촬영하면서, 상기 관리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3단말기에 상기 현장화면을 실시간 스트리밍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시스템에는, 상기 산업현장의 다양한 유형별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이 수록된 딥러닝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1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확정된 체크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각 항목에 대한 확인입력을 받은 후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1a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작업대상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촬영 및 제출을 요구하는 제11b단계;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이 촬영되고, 촬영될 사진 중에서 전송할 사진이 선택되면, 선택된 사진들을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1c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에 대한 딥러닝 분석을 통하여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을 매치시킨 후,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와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이 매치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에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제11d단계;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안전점검 보고서를 화면에 제시하여 수정 또는 확인입력을 받은 후,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1e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한 후,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이용하여 딥러닝 학습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딥러닝 DB를 업데이트 하는 제11f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2단계는, 상기 제3단말기가,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작업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입력이 되면, 작업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이를 상기 제2단말기 또는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 또는 상기 제3단말기가,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안전관리 상태 확인요청을 하는 제14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제1단말기 위치정보가 포함된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5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그 사실을 상기 제3단말기에 통보하되, 일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일정한 범위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경고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3단말기에 대하여 안전관리자 현장이탈 사실을 통보하는 제1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에서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QR코드를 생성할 때, 상기 제11단계에서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를 생성할 때 또는 상기 제15단계에서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생성할 때는,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의 확인을 받아 생성하되 상기 제1단말기를 현재 소지한 사람이 상기 안전관리자 승인정보에 의한 안전관리자인지에 대하여 본인확인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QR코드,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 또는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확인은, 상기 제1단말기에 포함된 생체인식 기능을 통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승인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1단말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2단말기와 자신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한 후, 상기 이격거리가 포함된 안전관리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안전관리 상태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이격거리가 일정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경고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3단말기에 대하여 안전관리자 현장이탈 사실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작업대상에 대한 안전관리자 자격요건과 상기 제1단말기 소지자가 갖춘 자격을 비교하여 자격요건별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자격요건별 적합 여부를 상기 심사자료에 더 포함하여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단계에서,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확인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시스템에는, 상기 산업현장의 다양한 유형별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이 수록된 딥러닝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1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작업대상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촬영 및 제출을 요구하는 제11-1단계;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사진이 촬영되고, 촬영될 사진 중에서 전송할 사진이 선택되면, 선택된 사진들을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1-2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에 대한 딥러닝 분석을 통하여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과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을 매치시킨 후, 상기 확인된 체크리스트와 상기 선택된 사진들 각각이 매치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에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제11-3단계;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안전점검 보고서를 화면에 제시하여 수정 또는 확인입력을 받은 후,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1-4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한 후,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이용하여 딥러닝 학습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딥러닝 DB를 업데이트 하는 제11-5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2단계는, 상기 제3단말기가, 상기 수정 또는 확인된 안전점검 보고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작업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입력이 되면, 작업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이를 상기 제2단말기 또는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 중대 산업재해를 예방해야 하는 산업현장에 대한 원격감독을 가능하게 하고, 안전규정 이행을 자동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으로서, 상기 산업현장의 안전관리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인 제1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거치되는 스마트기기인 제2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대한 감독관이 그 조작권한을 가진 제3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산업현장 DB, 상기 안전관리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안전관리자 DB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 중대 산업재해를 예방해야 하는 산업현장에 대한 원격감독을 가능하게 하고, 안전규정 이행을 자동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으로서, 상기 산업현장의 안전관리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인 제1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거치되는 스마트기기인 제2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대한 감독관이 그 조작권한을 가진 제3단말기, 상기 산업현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산업현장 DB, 상기 안전관리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안전관리자 DB, 딥러닝 DB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제2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3242A KR102421223B1 (ko) | 2022-05-24 | 2022-05-24 |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3242A KR102421223B1 (ko) | 2022-05-24 | 2022-05-24 |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1223B1 true KR102421223B1 (ko) | 2022-07-14 |
Family
ID=8240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3242A KR102421223B1 (ko) | 2022-05-24 | 2022-05-24 |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122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3050B1 (ko) | 2022-10-24 | 2023-02-23 | (주)케이피앤씨안전문화연구소 |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
KR102529437B1 (ko) * | 2023-01-17 | 2023-05-04 | 사단법인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 |
KR102607071B1 (ko) | 2023-03-27 | 2023-11-29 | 주식회사 노버스메이 | 기업용 보고서의 생성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KR20240027363A (ko) | 2022-08-23 | 2024-03-04 | 최명순 |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모니터링 운영 시스템 |
KR102698142B1 (ko) * | 2023-11-27 | 2024-08-23 | 주식회사 안단테 | 작업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중대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경영 책임자 중심의 중대 재해 예방 수칙을 관리하는 경영자 단말기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1906A (ko) * | 2002-11-12 | 2004-05-20 | 우광일 | 공장자동화설비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1949525B1 (ko) * | 2017-11-16 | 2019-03-18 | 주식회사 아이오티봇 | 무인탐지장치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
KR101983265B1 (ko) * | 2018-10-10 | 2019-09-09 |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KR102039334B1 (ko) * | 2019-04-25 | 2019-11-27 | 김용진 | 건설현장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
KR102131513B1 (ko) * | 2018-09-29 | 2020-07-07 | 박영진 | Nfcqr을 이용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
KR102339815B1 (ko) * | 2021-03-26 | 2021-12-15 | (주)모백스 | 산업설비 지능형 nfc 안전관리 시스템 |
KR102359625B1 (ko) * | 2021-09-29 | 2022-02-08 | (주)에스엔디글로벌 | 질식 화재 사고 방지 장치의 작업 안전 시스템 동작 방법 |
KR102382648B1 (ko) * | 2021-06-17 | 2022-04-01 |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
-
2022
- 2022-05-24 KR KR1020220063242A patent/KR1024212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1906A (ko) * | 2002-11-12 | 2004-05-20 | 우광일 | 공장자동화설비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1949525B1 (ko) * | 2017-11-16 | 2019-03-18 | 주식회사 아이오티봇 | 무인탐지장치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
KR102131513B1 (ko) * | 2018-09-29 | 2020-07-07 | 박영진 | Nfcqr을 이용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
KR101983265B1 (ko) * | 2018-10-10 | 2019-09-09 | (주)미래산업안전기술원 | 작업 현장의 안전 진단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KR102039334B1 (ko) * | 2019-04-25 | 2019-11-27 | 김용진 | 건설현장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
KR102339815B1 (ko) * | 2021-03-26 | 2021-12-15 | (주)모백스 | 산업설비 지능형 nfc 안전관리 시스템 |
KR102382648B1 (ko) * | 2021-06-17 | 2022-04-01 |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
KR102359625B1 (ko) * | 2021-09-29 | 2022-02-08 | (주)에스엔디글로벌 | 질식 화재 사고 방지 장치의 작업 안전 시스템 동작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7363A (ko) | 2022-08-23 | 2024-03-04 | 최명순 |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모니터링 운영 시스템 |
KR102503050B1 (ko) | 2022-10-24 | 2023-02-23 | (주)케이피앤씨안전문화연구소 |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
KR102529437B1 (ko) * | 2023-01-17 | 2023-05-04 | 사단법인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 |
KR102607071B1 (ko) | 2023-03-27 | 2023-11-29 | 주식회사 노버스메이 | 기업용 보고서의 생성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KR102698142B1 (ko) * | 2023-11-27 | 2024-08-23 | 주식회사 안단테 | 작업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중대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경영 책임자 중심의 중대 재해 예방 수칙을 관리하는 경영자 단말기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1223B1 (ko) |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 |
KR102005188B1 (ko) |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 |
KR102235036B1 (ko) |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 |
AU2013204965B2 (en) | A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and data signal for the registration, monitoring and control of machines and devices | |
KR102247941B1 (ko) |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 |
KR101370775B1 (ko) | 기업 맞춤식 안전관리 지능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
KR102438757B1 (ko) |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 |
KR102481223B1 (ko)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 |
KR102391197B1 (ko) |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JP2020501233A (ja) | 現場におけるリスク管理のための情報を提供および受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Guo et al. | A real-time control approach based on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for violations by construction workers | |
CN114175599B (zh) | 用于楼宇管理环境的警报问题管理 | |
Hu | The Ironic Privacy Act | |
CN114257607B (zh) | 一种智能化危险化学品全生命周期管理系统 | |
CN114494878A (zh) | 基于数字孪生的安全隐患管理方法、系统、设备及介质 | |
KR20210088369A (ko) | 제어it 위탁운영 협력사의 업무보안 리스크관리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
KR102562723B1 (ko) |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 |
KR102532723B1 (ko) |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 |
US2023003194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Location of Workers in a Worksite to Enhance Safety and Productivity | |
Kerr et al. | Five Questions to Ask before a Data Breach Occurs. | |
KR102722681B1 (ko) | 안전업무를 온라인을 통해 처리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 |
KR102722683B1 (ko) | 위험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 |
KR20230126203A (ko) | 중대재해예방 업무프로세스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
Kim et al. | Blockchain-enhanced computer vision approach for remote safety inspection in construction | |
KR20230126202A (ko) |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