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202A -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202A
KR20230126202A KR1020230023300A KR20230023300A KR20230126202A KR 20230126202 A KR20230126202 A KR 20230126202A KR 1020230023300 A KR1020230023300 A KR 1020230023300A KR 20230023300 A KR20230023300 A KR 20230023300A KR 20230126202 A KR20230126202 A KR 20230126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nager
information
worker
dis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국
신진교
김광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드림
김원국
신진교
김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드림, 김원국, 신진교, 김광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드림
Publication of KR2023012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20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작업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중대재해의 발생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를 작업현장의 경영자가 소지하는 경영자 단말기, 작업현장의 관리감독자가 소지하는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중대재해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영자가 중대재해예방 및 처리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중대재해에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erious Disaster Accidents}
본 발명은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대재해를 예방해야 하는 산업현장에서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재난 예방 활동에 대한 준비 및 이행실태를 원격지에서 감독할 수 있도록 한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재해로 인한 피해는 당사자뿐 아니라 그 가족 나아가 국가적으로도 경제발전 역량을 잠식하여 큰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정부와 산업계에서는 그동안 여러 차례 산업재해 예방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여 왔으나, 작업현장에서는 여전히 대형 재해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며, 재해발생에 취약한 작업현장의 구조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는 개선되지 않은 상황이다. 예를 들어, 구미 산업단지의 불산 누출 사망사고라던가 울산 한화 케미칼 폭발로 인한 노동자 사망사고 또는 삼성중공업 크레인 전도로 인한 사망사고 등과 같이 중대 산업재해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산업재해가 끊임없이 발생하는 이유는 단기적인 성과 중심의 경영방식이 확산됨에 따라 작업현장에서 안전보건을 지키기 위한 제도나 시스템이 비용 부담을 이유로 정착되지 못하고, 유해하고 위험한 작업은 대기업원청에서 중소기업 하청으로 외주화되는 과정에서 안전관리의 사각지대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산업재해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안전한 일터에서 건강하게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지난 2021년에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7907호, 약칭: 중대재해처벌법)이 재정되어 시행되어 오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 또는 사업장, 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원료나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하여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한 사업주나 경영책임자 또는 공무원 및 법인 등에 대한 처벌과 이를 위한 필요조치 등을 규정함으로써 중대재해를 예방할 책임이 있는 사람들이 재해 예방과 시민과 종사자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한편, 중대재해처벌법에서 “중대재해”란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 를 포함한다. 그중 “중대산업재해”란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재해를 말하는데,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다만, 중대재해처벌법은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하거나,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하거나 또는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한 결과를 야기한 재해 등에 대하여 “중대산업재해”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는 사업주 등이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한 처벌을 면하기 위해서라도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종 조치 및 관련 의무 이행을 철저히 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인적자원으로 재해예방을 위한 모든 조치를 이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감독해야 하는 산업현장이 무수히 많지만 이를 감독할 수 있는 감독인력이 적을 뿐만 아니라, 감독해야 하는 모든 산업현장들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기저기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 산업현장들을 순회하면서 안전관리실태를 감독한다 하더라도 시간적, 공간적 제약 때문에 중대재해처벌법에서 정한 관련 규정을 이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물론 감독인원을 충분히 확충하게 되면 가능하게 되겠지만, 산업현장에서의 인력투입에 무한정한 자원을 쓰게 되면 비용의 초과로 인하여 사업을 수행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해지기 때문에 발주기관이나 수주업체 측에서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각각의 작업현장에는 해당 작업현장의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활동을 책임지는 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하는데, 작업현장마다 수행하는 작업의 유형이나 종류가 서로 다르고 재난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작업현장의 유형이나 그날그날 진행될 작업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안전관리자가 선임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작업현장에서 현재 진행 중인 공정은 전력설비에 대한 활선작업 공정인데, 감독관들이 안전관리자를 선임을 승인하는 과정에서 승인 요청된 안전관리자에 대한 전문분야나 경력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부분 요청하는 대로 승인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력설비에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사람이 안전관리자로 선임되어 작업현장을 감독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안전관리자가 해당 작업현장에 대한 재난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조치를 취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작업현장이 재난발생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같이 작업현장마다 수행하는 작업의 유형이나 종류가 서로 다르고 재난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작업현장별로 안전관리실태를 철저하게 감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작업현장 종류와 각각의 공종에 따른 작업내용에 따라 안전관리 체크포인트를 다르게 정하여 점검 및 이행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각각의 작업현장에서 공정의 수행 진도에 따라 공종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때그때 일일이 상황에 맞는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한정된 감독관의 숫자로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한정된 감독인원으로 다수의 현장을 감독함에서 오는 작업현장이 중대 산업재해 발생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05275호(등록일: 2021. 01. 14)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경영자 관심의 표준화를 통해 경영자의 의지표명 수준 및 실무자가 운용할 수 있는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업장 내의 모든 작업자, 파견작업자를 대상으로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경영자의 책무 완수가 요구되고, 사고예방 조치를 위한 경영자용 산업안전보건 관리 툴이 필요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중대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목적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은 작업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중대재해의 발생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를 작업현장의 경영자가 소지하는 경영자 단말기, 작업현장의 관리감독자가 소지하는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중대재해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중대재해 관리서버는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에 해당하는 경영자의 중대재해 예방수칙 정보를 상기 경영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에 해당하는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작업장 안전수칙 정보를 상기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대재해 관리서버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전송받아 작업자 출입을 승인하고, 상기 작업자 정보는 작업 경력, 소속 기관, 건강 체크 리스트 및 사전교육 이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대재해 관리서버는 상기 작업현장의 기상, 지진 및 소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대재해 관리서버는 상기 작업현장에 설치된 CCTV 또는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더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대재해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송된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작업장 안전수칙의 이행에 대한 조치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경영자가 소지하는 경영자 단말기, 작업현장의 관리감독자가 소지하는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작업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중대재해의 예방을 지원하는 중대재해 관리서버가 수행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방법은 상기 작업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중대재해의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를 상기 경영자 단말기, 상기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를 상기 경영자 단말기, 상기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에 해당하는 경영자의 중대재해 예방수칙 정보를 상기 경영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에 해당하는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작업장 안전수칙 정보를 상기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전송받아 작업자 출입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 정보는 작업 경력, 소속 기관, 건강 체크 리스트 및 사전교육 이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작업현장의 기상, 지진 및 소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작업현장에 설치된 CCTV 또는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송된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작업장 안전수칙의 이행에 대한 조치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컴퓨터에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경영자 관심의 표준화를 통해 경영자의 의지표명 수준 및 실무자가 운용하는 경영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으로 경영자 책무에 따른 조치 결과를 시스템화하여 사업장 내의 모든 작업자, 협력업체 등으로부터 파견되어 온 파견작업자를 대상으로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경영자의 책무 완수가 요구되고 사고예방 조치를 위한 경영자용 관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대재해예방 경영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9의 S230 단계를 구체화하여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대재해예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를 나타내며,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대재해예방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100)은 다양한 작업현장(140)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중대재해를 사전에 다양한 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이를 예측하고 적절한 대응방안을 전달하여 수행하게 함으로써 중대재해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100)은 중대재해 관리서버(110), 경영자 단말기(120),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작업현장(140) 및 작업자 단말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영자 단말기(120),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및 작업자 단말기(150)는 경영자, 관리감독자 및 작업자가 각각 휴대하는 단말로서,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중대재해 관리서버(110)와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Internet), 3G/4G/5G(generation)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각 경영자 단말기(120),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및 작업자 단말기(15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영자 단말기(120),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및 작업자 단말기(150)는 휴대 또는 소지가 가능한 형태 이외에도 사무실 또는 작업현장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형태의 화면표시 및 전송이 가능한 전자장치이면 그 형태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다.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해당 기관 또는 회사에서 관리하는 모든 작업현장(140)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으며 작업현장의 유형이나 작업공정별 작업대상 등이 수록될 수 있고 각 작업현장(140)별 유형이나 작업공정별 안전관리를 위한 중점사항, 점검 포인트, 특이사항, 필요 작업자수 및 정보, 기온 또는 날씨 등과 같이 작업현장(140)의 주변 환경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150)는 제1 내지 제n 작업현장(140: 140a, 140b, ..., 140n) 마다 적어도 한명의 작업자가 소지할 수 있는 통신이 가능한 기기로서 중대재해 관리서버(110)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현장(140)에 들어가기 전 또는 작업현장(140)의 출입구에서 소지하고 있는 작업자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작업현장(140)에 출입하기 위한 작업자 체크리스트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는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를 통해 작업의 진행이 가능함을 통지받을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150)는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작업현장(140)의 상황 등을 촬영하여 중대재해 관리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작업현장(140)에 도착하기 전 또는 출입현장에서 직접 작업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작업자 정보는 작업 경력, 소속 기관, 건강 체크 리스트 및 사전교육 이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정보의 입력은 중대재해 관리서버(110) 등과 연동되어 동작하기 위한 작업자 단말기(150)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 및 전송되거나 URL 또는 바코드 등을 통해 해당 인터넷 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입력 및 전송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150)를 통해 작업자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작업자 정보는 중대재해 관리서버(110), 경영자 단말기(120) 또는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어 해당 단말기를 통해 또는 중대재해 관리서버(1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 및 분석기법들을 통해 작업자의 작업 허용여부를 결정 및 통보할 수 있다.
작업현장(140)은 복수의 작업현장(140a, 140b, ... 140n)일 수 있으며, 공동의 목표 작업 달성을 위하여 연계된 작업현장들일 수 있고 각각 분리된 목표 작업 달성을 위한 별개의 작업장들일 수도 있으며, 도 1에서는 각 다른 작업현장인 제1 내지 제n 작업현장(140a, 140b, ..., 140n)을 표기상 작업현장(140)으로 포괄적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각 작업현장(140)은 소정의 지리적 영역에 걸친 실내외 공간을 점유할 수 있고 해당 실내외 공간 곳곳에 설치된 다양한 유형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어 작업자 단말기(150)를 통해 전달되지 못하는 다양한 현장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들은 온도, 습도, 비, 조도, 풍량, 소음, 충격, 움직임, 화재, 전력변화, 지진 등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작업현장(140)에 고정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CCTV 등의 촬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감독자 단말기(130)는 작업현장(140)에서 수행될 작업에 대한 관리감독을 담당하는 관리감독자로 선임될 사람이 소지하고 다니는 기기로서, 관리감독자로 선임될 사람의 명의로 된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관리감독자 단말기(130)도 작업자 단말기(150)와 같이 작업현장(140)의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며, 작업현장(140)의 상황 등을 촬영하여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를 통하거나 직접 와이파이 또는 무선통신 등을 통해 경영자 단말기(120) 또는 작업자 단말기(150) 직접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관리감독자 단말기(130)는 상황에 따라 1명의 관리감독자가 복수의 작업현장(140)을 총괄할 경우 하나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작업현장(140) 마다 서로 다른 관리감독자가 배치될 경우 각 관리감독자는 개별적으로 각각 관리감독자 단말기(130)을 소지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역시 중대재해 관리서버(110)와 통신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전달받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경영자 단말기(120)는 중대재해 관리서버(110)와 통신할 수 있으며,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작업자 단말기(150)에 직접 또는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를 통해 작업현장(140)의 상태를 체크 및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정보 및 지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경영자는 작업현장(140)을 책임지는 총괄책임자로서 작업현장(140)이 일예로 건설 작업을 진행하는 건설현장일 경우 건설업체 대표이사 등이 될 수 있다.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도 2 내지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경영자 단말기(120),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작업현장(140) 및 작업자 단말기(150)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주변 연결 장치들로부터 전달된 다양한 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해당 작업현장(140)에 발생될 수 있는 중대재해를 감지 및 분석/예측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알람 및 조치들을 경영자 단말기(120),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작업현장(140) 또는 작업자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작업자가 해당 작업현장(140)에 도착하여 작업자 단말기(150)를 통해 정보를 입력할 경우 이를 확인하여 해당 작업현장(140)의 출입을 허가하거나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또는 경영자 단말기(120)에 허가 여부를 확인하여 답변을 받아 출입을 허가할 수 있다. 이때,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작업자의 출입이 확인된 경우 이를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또는 경영자 단말기(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여 작업자 단말기(150)의 소지자가 작업현장(140)에 도착함을 알릴 수 있다.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경영자 단말기(20),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작업현장(140) 및 작업자 단말기(150) 이외에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작업현장(140) 및 인근의 기상, 지진 및 소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아 중대재해 분석에 활용할 수 있으며, 작업현장(140)에 설치된 CCTV 또는 각 센서들로부터 감지 정보를 더 전송받을 수 있다.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작업현장(140)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중대재해의 발생을 예측하고,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를 경영자 단말기(120), 작업현장(140)의 관리감독자가 소지하는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및 작업현장(140)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작업자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함으로써 중대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에 해당하는 경영자의 중대재해 예방수칙 정보를 경영자 단말기(120)에 전송하고,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에 해당하는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작업장 안전수칙 정보를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및 작업자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은, 일예로 대형 화재 발생 시 주변 소방서 또는 응급구조대에 자동으로 신고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거나 건설 중인 건물이 무너지거나 건설장비가 파손되는 등의 중대재해가 발생된 경우 이를 경찰서, 응급안전센터(119구급대 등) 등에 정확히 전달하여 빠른 초동조치가 가능하도록 안내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중대재해 관리서버(110)에는 각 재난 및 재해에 해당하는 다양한 시나리오 및 행동 요령들이 저장되어 있어 재난 및 재해가 발생되거나 또는 예측될 경우 이에 해당하는 행동 요령을 각 단말기 소유자에 맞게 서로 다른 행동요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및 작업자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된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작업장 안전수칙의 이행에 대한 조치 결과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최종 조치 결과를 경영자 단말기(120)에 전달하여 경영자가 중대재해로부터 작업현장(140)의 작업자 또는 관리감독자가 안전한지 여부 및 중대재해 해제가 가능한 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중대재해로부터 건물의 붕괴, 파손 또는 작업자의 부상 등의 이상상태가 발생된 경우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포함된 행동 요령 및 안전수칙을 각 단말기에 전송하여 각 담당자들이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중대재해를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그리고 안전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100)은 중대재해 관리서버(110)에서 작업현장(140)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각 작업현장(140)에서 중대재해가 발생하거나 중대재해의 발생을 예측하여 경영자 단말기(120),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또는 작업자 단말기(150)에 전송하여 중대재해의 발생을 미리 예방하거나 이미 중대재해가 발생된 경우일 경우 2차 피해가 발생되거나 중대재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초치가 빠르게 진행됨으로써 작업현장(140)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경영자 책임 하에 주도적으로 사망사고 등 안전사고 발생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경영자 등의 경영책임자와 작업자간 실시간 상호작용 채널을 두어 작업현장(140)의 작업자와 경영자 간의 보다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안전사고 예방 조치와 위험요인 제거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대재해예방 경영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9의 S230 단계를 구체화하여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대재해예방 경영방법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현장(140)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210),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중대재해의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S220) 및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를 경영자 단말기(120),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및 작업자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S230 단계 즉,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를 경영자 단말기(120),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및 작업자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는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에 해당하는 경영자의 중대재해 예방수칙 정보를 상기 경영자 단말기(120)에 전송(S231)하고,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에 해당하는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작업장 안전수칙 정보를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및 작업자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S232)할 수 있다.
작업자가 작업현장(140)에 도착하여 출입을 할 경우,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작업자 단말기(150)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전송받아 작업자 출입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 정보는 작업 경력, 소속 기관, 건강 체크 리스트 및 사전교육 이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작업현장(140)의 중대재해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현장(140)의 기상, 지진 및 소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작업현장(140)에 설치된 CCTV 또는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중대재해가 예측되거나 중대재해 발생 후 작업자 단말기(140) 또는 관리감독자 단말기(130)로부터 중대재해가 발생된 작업현장(140)의 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전달된 중대재해 발생 영상은 중대재해 관리서버(110)에 저장되어 추후 중대재해 분석 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으며, 경영자 단말기(120)에 전송하여 현재 상황을 경영자에게 상세하게 알릴 수도 있다.
중대재해 관리서버(110)는 중대재해 발생이 예측되거나 중대재해가 발생될 경우, 중대재해에 해당하는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중대재해가 발생된 작업장(140)의 안전수칙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경영자 단말기(120),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및 작업자 단말기(1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각 단말기(120, 130, 150)마다 수행해야 하는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안전수칙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상기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 및 안전수칙의 전송과 함께 중대재해 발생 알람을 각 단말기(120, 130, 150)에 전송할 수 있다.
중대재해 관리서버(110) 또는 경영자 단말기(120) 중 적어도 하나는 관리감독자 단말기(130) 및 작업자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된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각 작업장(140) 안전수칙의 이행에 대한 조치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경영방법에 따르면, 중대재해가 발생될 수 있는 작업현장(140)에 다양한 주변조건을 미리 입력 및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분석함으로써 작업현장(140)의 중대재해 발생을 미리 확인하고 예방할 수 있으며, 경영자의 확인을 통해 최종 경영자가 중대재해를 빠르게 파악하고 조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현장(140)에서 발생되는 위험요소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110 : 중대재해 관리서버, 120 : 경영자 단말기, 130 : 관리감독자 단말기, 140 : 작업현장, 150 : 작업자 단말기

Claims (12)

  1. 작업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중대재해의 발생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를 작업현장의 경영자가 소지하는 경영자 단말기, 작업현장의 관리감독자가 소지하는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중대재해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재해 관리서버는,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에 해당하는 경영자의 중대재해 예방수칙 정보를 상기 경영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에 해당하는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작업장 안전수칙 정보를 상기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재해 관리서버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전송받아 작업자 출입을 승인하고,
    상기 작업자 정보는 작업 경력, 소속 기관, 건강 체크 리스트 및 사전교육 이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재해 관리서버는,
    상기 작업현장의 기상, 지진 및 소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재해 관리서버는,
    상기 작업현장에 설치된 CCTV 또는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더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재해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송된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작업장 안전수칙의 이행에 대한 조치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7. 작업현장의 경영자가 소지하는 경영자 단말기, 작업현장의 관리감독자가 소지하는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작업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중대재해의 예방을 지원하는 중대재해 관리서버가 수행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중대재해의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를 상기 경영자 단말기, 상기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를 상기 경영자 단말기, 상기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에 해당하는 경영자의 중대재해 예방수칙 정보를 상기 경영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예측된 중대재해 정보에 해당하는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작업장 안전수칙 정보를 상기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전송받아 작업자 출입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 정보는 작업 경력, 소속 기관, 건강 체크 리스트 및 사전교육 이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현장의 기상, 지진 및 소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현장에 설치된 CCTV 또는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감독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송된 재난 및 재해 행동 요령과 작업장 안전수칙의 이행에 대한 조치 결과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재해예방 경영방법.
KR1020230023300A 2022-02-22 2023-02-22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62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23226 2022-02-22
KR1020220023226 2022-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202A true KR20230126202A (ko) 2023-08-29

Family

ID=8780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300A KR20230126202A (ko) 2022-02-22 2023-02-22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2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275B1 (ko) 2018-10-25 2021-01-20 주식회사 포드림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275B1 (ko) 2018-10-25 2021-01-20 주식회사 포드림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2281A1 (en) Using smart cards to reduce risks of work accidents
US202001933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Process Safety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Xia et al. Human factors analysis of China's confined space operation accidents from 2008 to 2018
KR102438757B1 (ko)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KR102481223B1 (ko)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Martinovich et al. Functional model of activity of the fire and rescue unit
Botti et al. Design of a digital tool for the identification of confined spaces
Gonzalez-Cortes et al. Inherently Safer Design (ISD) solutions in confined spaces: Experts' practical feedback in Quebec, Canada
KR102534819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 대한 안전 감시를 위한 매뉴얼 제공 및 결과 보고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Ning et 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s
KR20230126202A (ko)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6203A (ko) 중대재해예방 업무프로세스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afoutis et al. MIND-VERSA: A new Methodology for IdentifyiNg and Determining loopholes and the completeness Value of Emergency ResponSe plAns
KR20200009739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Menezes et al. Functional resonance analysis method and human performance factors identifying critical functions in chemical process safety
Nugroho et al. Evaluation of a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in Universitas Indonesia
Courtway Wearables,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integrated project deliver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95680B1 (ko) 범용성을 갖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Bienias et al. Preparation of an enterprise for emergency situations and their better communication
Steinhäusler EU including: development of radiological and nuclear training learning objectives
Ramalan et al. A Study on Human Factor That Lead to Tower Crane Accident at Construction Site in Malaysia
Olaniran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and oil and gas industry’s health and safety practises in Nigeria
KR102592275B1 (ko)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Park et al. ISAFE: Automated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Platform
Stinson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to Improve HSE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