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050B1 -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050B1
KR102503050B1 KR1020220137312A KR20220137312A KR102503050B1 KR 102503050 B1 KR102503050 B1 KR 102503050B1 KR 1020220137312 A KR1020220137312 A KR 1020220137312A KR 20220137312 A KR20220137312 A KR 20220137312A KR 102503050 B1 KR102503050 B1 KR 102503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base
keywords
data
interface
safety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화
박주관
최재우
백주홍
정태준
임동휘
윤지영
정은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피앤씨안전문화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피앤씨안전문화연구소 filed Critical (주)케이피앤씨안전문화연구소
Priority to KR1020220137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가 입출력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정보 또는 출력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중대산업사고 관련 매뉴얼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1데이터베이스 및 재래형사고 관련 매뉴얼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2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 및 제2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메타데이터군 및 제2메타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되, 상기 키워드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이 종속되도록 데이터가 계층화된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SAFETY INSPECTION MANUAL SYSTEM}
본 발명은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중대산업사고와 재래형사고에 관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재해로 인한 피해는 당사자뿐 아니라 그 가족 나아가 국가적으로도 경제발전 역량을 잠식하여 큰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정부와 산업계에서는 그동안 여러 차례 산업재해 예방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여 왔으나, 산업현장에서는 여전히 대형 재해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며, 재해발생에 취약한 산업현장의 구조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는 개선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렇게 산업재해가 끊임없이 발생하는 이유는, 단기적인 성과 중심의 경영방식이 확산됨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안전보건을 지키기 위한 제도나 시스템이 비용 부담을 이유로 정착되지 못하고, 유해하고 위험한 작업은 대기업 원청에서 중소기업 하청으로 외주화되는 과정에서 안전관리의 사각지대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산업재해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안전한 일터에서 건강하게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는 중대재해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시행되어 오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 또는 사업장, 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원료나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하여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한 사업주나 경영책임자 또는 공무원 및 법인 등에 대한 처벌과 이를 위한 필요조치 등을 규정함으로써, 중대재해를 예방할 책임이 있는 사람들이 재해 예방과 시민과 종사자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한편, 중대재해처벌법에서 "중대재해"란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를 포함한다. 그중 "중대산업재해"란 대한민국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재해를 말하는데,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중대산업재해에 따른 중대산업사고 이외에도 현장에서는 추락, 끼임 등의 재래형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2021년 대한민국 산업재해에서 산재사망의 경우에는 위와 같은 재래형사고가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상술한 중대산업사고와 재래형사고를 예방하도록 각종 조치 및 관련 의무 이행을 철저히 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인적자원으로 사고예방을 위한 모든 조치를 이행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감독해야 하는 산업현장이 무수히 많지만 이를 감독할 수 있는 감독인력이 적을 뿐만 아니라, 감독해야 하는 모든 산업현장들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기저기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 산업현장들을 순회하면서 안전관리실태를 감독한다 하더라도 시간적, 공간적 제약 때문에 관련 규정을 이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물론 감독인원을 충분히 확충하는 방안도 있지만, 산업현장에서의 인력투입에 과도한 예산을 소모하게 되면 비용의 초과로 인하여 사업을 수행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해지기 때문에 발주기관이나 수주업체 측에서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각각의 산업현장에는 해당 산업현장의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활동을 책임지는 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하는데, 산업현장마다 수행하는 작업의 유형이나 종류가 서로 다르고 재난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산업현장의 유형이나 그날그날 진행될 작업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안전관리자가 선임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산업현장에서 현재 진행 중인 공정은 전력설비에 대한 활선작업 공정인데, 전력설비에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사람이 안전관리자로 선임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감독관들이 안전관리자를 선임을 승인하는 과정에서 승인 요청된 안전관리자에 대한 전문분야나 경력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부분 요청하는 대로 승인하게 되며, 이에 따라 부적격자가 산업현장을 감독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안전관리자가 해당 산업현장에 대한 재난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조치를 취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산업현장이 재난발생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산업현장마다 수행하는 작업의 유형이나 종류가 서로 다르고 재난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산업현장별로 안전관리실태를 철저하게 감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산업현장 종류와 각각의 공종에 따른 작업내용에 따라 안전관리 체크포인트를 다르게 정하여 점검 및 이행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각각의 산업현장에서 공정의 수행 진도에 따라 공종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때그때 일일이 상황에 맞는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작성해야 하여 한정된 감독관의 숫자로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어 왔다.
따라서, 한정된 감독인원으로 다수의 현장을 감독함에서 오는, 산업현장이 중대 산업재해 발생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KR 10-2421223 B1 (2022.07.14.)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중대산업사고와 재래형사고를 키워드로 분류하여 케이스별로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은, 정보가 입출력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정보 또는 출력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중대산업사고 관련 매뉴얼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1데이터베이스 및 재래형사고 관련 매뉴얼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2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 및 제2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메타데이터군 및 제2메타데이터군을 각각 포함하되, 상기 키워드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이 종속되도록 데이터가 계층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메타데이터군은, 안전밸브, 부식, 방폭, 배관, 계기, 가스감지기, 접지, 내화, 국소배기, 고압가스용기, 유해화학물질 취급 관리, 누출예방, 비상 샤워, 소방시설, 비상대피로, 회전장치, 고정장치, LOTO관리 및 양압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메타데이터군은, 안전난간, 작업장통로, 수직사다리, 계단, 경고표지, 방호장치, 중장비 관리, 출하장 및 전기재해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키워드 간의 관련성이 수치로 기록된 관계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계DB는 제1데이터베이스 또는 제2데이터베이스 각각의 복수의 키워드 간의 관련성과, 제1데이터베이스의 키워드와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의 키워드 사이의 관련성이 백분율에 따른 수치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제1메타데이터군 및 제2메타데이터군의 각 키워드의 유사어 및 동의어에 대한 데이터가 키워드에 매칭되도록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단어와 매칭되는 키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키워드에 종속된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인공신경망을 포함하는 신경망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신경망모듈이 이미지에서 객체(Object)의 특성(Feature)을 추출하여 상기 제어모듈이 객체의 특성과 매칭되는 키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와 매칭된 키워드의 종속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모듈이 입력된 이미지와 매칭된 키워드의 진단항목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진단항목 데이터의 기준에서 벗어난 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분석정보와 관리방법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신경망모듈에서 둘 이상의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모듈이 복수의 객체 사이의 위치 관계를 분석하여 진단항목 데이터의 기준에 비교하도록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신경망은 콘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복수의 키워드와 매칭되는 단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복수의 키워드에 종속된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을 하나의 데이터셋으로 구축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은, 중대산업사고와 재래형사고 관련 매뉴얼 데이터가 각각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되 키워드를 기준으로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이 종속되도록 데이터가 계층화되어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활용할 수 있음에 따라, 안전관리의 효율성이 보다 높아져 경제적이면서도 사고발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은 인공신경망을 통해 산업현장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혹은 이미지를 통해 매칭된 키워드와 연관된 데이터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음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자체적으로 안전점검을 시행할 수 있는 상황을 마련할 수 있으면서도 관련 산업 종사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에 계층화된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에 단어가 입력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에서 키워드에 연관된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에 이미지가 입력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가 입력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10)은 사용자단말(20)과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단말(20)은 산업현장에서 개인 사용자가 지참하는 개인단말이나 산업현장을 관리하는 서버 등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10)은 제어부(100)와 데이터베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사용자단말(20)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사용자단말(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와 상기 사용자단말(20)의 노드가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네트워크의 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사용자단말(20)은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형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20)은, 고정형 단말기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구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10)과 접속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0)는 복수의 기억장치로 이루어져 중대산업사고 관련 매뉴얼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1데이터베이스(210) 및 재래형사고 관련 매뉴얼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2데이터베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200)는 메타데이터로 구성된 메타 데이터베이스(Meta Database) 또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Graph Database, GDB)를 포함하여 상호연결성이 높은 데이터 세트를 보다 손쉽게 탐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제1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을, 도 3은 키워드에 계층화된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을, 도 4는 제2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는 중대산업사고 관련 매뉴얼 데이터가 기록되되 복수의 키워드로 구성된 제1메타데이터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는 각 키워드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이 종속되도록 데이터가 계층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메타데이터군은 안전밸브, 부식, 방폭, 배관, 계기, 가스감지기, 접지, 내화, 국소배기, 고압가스용기, 유해화학물질 취급 관리, 누출예방, 비상 샤워, 소방시설, 비상대피로, 회전장치, 고정장치, LOTO관리 및 양압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안전밸브의 키워드를 통해 계층화된 데이터를 예거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안전밸브는 차단 밸브 시건 조치인 CSO/CSC와, 설치 유무, 차단밸브, 빗물 배출을 위한 드레인홀(Drain Hole), 파열판과 안전밸브 직렬설치, 작동 검사(Popping Test), 안전 배출(Safe Location), 배압(Back Pressure), 안전밸브 설치 위치, 방출 배관 등의 하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하위데이터들은 안전 점검을 위한 진단대상일 수 있다. 그리고 각 진단대상들은 세분화된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CSO/CSC의 진단항목으로는 시건 조치 누락, 불완전한 시건 조치, 시건 장치 부식, 밸브 위험 태그 부착 누락, 3-way 형식 차단 밸브 개폐 방향 불명확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때 각 진단항목은 진단을 위한 점검포인트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시건 조치 누락에 대한 진단항목은 "Dual PSV의 차단밸브에 CSO/CSC가 되어 있는가?", "차단밸브에 CSO/CSC가 명기된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가?" 등의 점검포인트 데이터가 종속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각 진단대상 또는 진단항목에는 관리방법에 대한 데이터가 종속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조치 누락에 대한 관리방법의 일 예시로는 다음과 같다.
"KOSHA Guide D-18-2017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11.3차단밸브설치, 안전보건규칙 제266조(차단밸브의설치금지)의 규정에 의하여 안전밸브 등의 전·후단에는 차단밸브를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안전보건규칙 제266조의 단서 규정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안전밸브 등의 전·후단에 차단밸브를 설치할 수 있으며, 시건조치의 방법으로는 점화원 관리차원에서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블끈 등을 사용하고 열림과 닫힘을 색상으로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상기 부식에 대한 키워드에는 이종금속간 부식(Galvanic Corrosion), 보온재 파손으로 빗물 유입에 의한 부식(Corrosion Under Insulation), 화학설비 부식, 부속설비 부식 등으로 진단항목이 세분화될 수 있음에 따라, 산업현장에 배치된 장비들의 종류가 특정되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장비와 연관된 진단항목을 활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220)는 재래형사고 관련 매뉴얼 데이터가 기록되되 복수의 키워드로 구성된 제2메타데이터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220)는 각 키워드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이 종속되도록 데이터가 계층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메타데이터군은, 안전난간, 작업장통로, 수직사다리, 계단, 경고표지, 방호장치, 중장비, 출하장 및 전기재해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키워드들에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예거하자면 상기 안전난간은 설치 및 구조, 중간난간, 발끝막이판, 탈부착식 난간, 수직지주 등의 진단항목이 포함되고, 상기 작업장통로는 설치 및 구조, 발판 구조, 바닥 청결, 지게차 통로, 정리정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각 진단항목에는 진단대상이 세분화되도록 기록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설치 및 구조의 진단대상은 지면 배관 통로 누락, 방유제 출입 통로 누락, 상부 장애물 존재, 하부 장애물 존재, 조도 낮음, 스팀 응축수 비산 방지 플레이트 누락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진단항목 또는 진단대상에는 관리방법에 종속 데이터로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0)는 각 키워드 간의 관련성이 수치로 기록된 관계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계DB는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 또는 제2데이터베이스(220)에 기록되어 상기 제1메타데이터군의 키워드 간의 관련성이 기록되거나, 상기 제2메타데이터군의 키워드 간의 관련성이 기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계DB가 별도의 기억장치로 구현되어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의 키워드와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220)의 키워드 간의 관련성이 기록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관계DB는 백분율을 통해 관계가 수치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0% ~ 100% 사이의 수치로 정해져 복수의 키워드 간의 상호 연관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데이터베이스(220)는 상기 작업장통로에 상기 계단이 상기 중장비보다 높은 관련성을 가지도록 기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련DB에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의 방폭에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220)의 전기재해가 중장비 보다 높은 관련성을 가지도록 기록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가 N1개의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220)가 N2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관련DB에는 하나의 키워드에 (N1+N2-1)개의 관련성 수치가 기록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키워드 자신을 제외한 다른 키워드 각각에 대한 관련성 수치가 기록될 수 있으며, 상기 키워드를 호출하는 경우 높은 관련성 수치를 가지는 다른 키워드들이 연관데이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높은 관련성 수치는 (N1+N2-1)개 중에서 상위 N개를 추출하여 연관데이터로 제공하거나, 상기 수치가 기 설정된 M% 이상인 경우에 연관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N ≤ N1+N2-1, 0 < M < 10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정보가 입출력되는 인터페이스(110)와, 상기 인터페이스(110)로 입력된 정보 또는 출력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110)는 통신 인터페이스, 입출력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장치들로부터 제어모듈(120)로 명령들 또는 데이터 입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120)로부터 수신된 명령들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120)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어, 다양한 컨텐츠들(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사용하여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 근접(proximity) 또는 호버링(hovering)을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API 형태의 상기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20)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자단말(20)로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 데이터들을 사용자단말(20)에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인공신경망을 포함하는 신경망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경망모듈(130)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또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등의 인공신경망을 포함하거나, CNN-LSTM과 같이 복합 인공신경망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경망모듈(130)은 콘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포함할 수 있으며,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방식의 AlexNet, GoogLeNet, RexNet, VGGNet 알고리즘과 이단계 방식(Two-Stage Methods)의 Faster R-CNN, R_FCN, FPN-FRCN 알고리즘과 단일 단계 방식(Single-Stage Methods)의 YOLO, SSD, RetinaNet 알고리즘 등과 같은 객체검출 알고리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6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에 단어가 입력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을, 도 7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에서 키워드에 연관된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6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20)에서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2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10)로 접속되는 경우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10)은 상기 사용자단말(20)에 단어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서 상기 단어와 매칭되는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사용자단말(20)로 계단이라는 단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서 계단이라는 키워드가 있는지를 검색하고, 계단이라는 키워드가 없는 경우에는 입력된 단어와 유사어 또는 동의어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200)는 유사어 및 동의어가 별도의 기억장치에 기록되도록 포함하거나, 각 키워드에 유사어 및 동의어가 종속 데이터로 기록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는 상기 유사어 및 동의어에 대한 데이터가 별도의 기억장치에 포함되어 상기 제어부(100)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의 제1메타데이터군 및 제2메타데이터군에서 단어를 매칭한 후에 동일한 키워드가 매칭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유사어 및 동의어가 기록된 기억장치에서 단어가 유사어 또는 동의어인지를 판별하고, 유사어 또는 동의어인 경우 해당 키워드를 추출하여 제1데이터베이스(210) 또는 제2데이터베이스(220)에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인터페이스(110)에서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모듈(120)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10) 또는 제2데이터베이스(220)에서 리딩한 정보한 상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단말(20)로 제공해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사용자단말(20)에서 입력된 단어와 매칭된 키워드의 명칭, 상기 키워드에 종속된 진단항목, 진단대상, 점검포인트 또는 관리방법을 제공해줄 수 있다. 그리고 진단항목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진단항목을 디스플레이 상에서 출력하되, 상기 진단대상, 점검포인트 또는 관리방법은 복수의 진단항목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것은 일 예로 계단이라는 키워드가 사용자단말(20)에서 출력되고 있으며, 상기 계단에 종속된 진단항목인 발판 구조, 출입구, 이동식 계단 등이 함께 표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계단에 대한 키워드에는 다른 키워드들에 대한 관련성 수치가 연관 데이터로 기록될 수 있으며, 상기 계단에 대한 키워드가 표출되는 경우에는 관련성 수치가 기 설정된 M% 이상이거나, 상위 N개의 키워드가 관련 데이터로 함께 표출될 수 있다. 이때 관련 데이터로 표출되는 키워드는 하이퍼데이터로,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 데이터를 선택할 시에 종속 데이터를 제공해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인터페이스(110)에서 복수의 단어가 입력되거나 복수의 키워드들을 선택하는 경우 이를 하나의 데이터셋(Dataset)으로 제공해줄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단말(20)에서 입력한 정보가 복수의 키워드들을 함께 요청하는 경우 복수의 키워드들은 하나의 데이터셋으로 구축되어 전자문서화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산업현장에서 자신들이 보유하거나 해당되는 매뉴얼을 별도로 선별하여 활용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8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에 이미지가 입력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을, 도 9는 제어부가 입력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10)의 제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경망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110)에서 이미지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신경망모듈(130)이 이미지에서 객체(Object)의 특성(Feature)을 추출하여 상기 제어모듈(120)이 객체의 특성과 매칭되는 키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서 검색하고, 상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와 매칭된 키워드의 종속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단말(20)을 통해 산업현장을 촬영한 이미지를 애플리케이션이 업로드 하거나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110)에서 해당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이미지를 상기 신경망모듈(130)을 통해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20)은 추출된 이미지의 특성과 매칭되는 키워드가 데이터베이스(200)에 포함된 경우 상기 키워드와 종속데이터인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어모듈(120)이 입력된 이미지와 매칭된 키워드의 진단항목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진단항목 데이터의 기준에서 벗어난 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분석정보와 관리방법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키워드의 진단항목 중 일부는 이미지를 통해 분석 가능하며,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혹은 통로(A, C)에 장애물(B, D)이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신경망모듈(130)은 이미지를 분석하여 계단, 작업장통로, 안전난간 등의 객체의 특성을 추출할 수 있으며, 해당 이미지에서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 등을 파악하도록 다른 객체들을 추출하여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20)은 이미지에서 키워드에 관련된 객체들과, 키워드에 해당되지 않는 기타 객체들을 구분할 수 있으며, 추출된 객체들 간의 배치관계 혹은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키워드를 리딩한 후에 상기 키워드의 진단항목 데이터의 기준에서 벗어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벗어난 경우에는 관련된 관리방법을 안내해줄 수 있다. 위와 같은 사례 이외에도 폭, 높이, 간격 등의 이미지에서 추측 가능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진단항목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석하거나, 복수의 객체들이 함께 포함되어야 하는 사례인 경우에는 해당 객체들이 모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판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이미지에서 추출된 키워드와 매칭된 객체가 가스감지기인 경우, 물질명 및 알람, 검교정, 설치 유무, 설치 위치, 방치, 전원 공급 등 다른 객체들이 이미지에 포함된지 여부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20 : 사용자단말
100 : 제어부
110 : 인터페이스
120 : 제어모듈
130 : 신경망모듈
200 : 데이터베이스
210 : 제1데이터베이스
220 : 제2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정보가 입출력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정보 또는 출력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중대산업사고 관련 매뉴얼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1데이터베이스 및 재래형사고 관련 매뉴얼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2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 및 제2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메타데이터군 및 제2메타데이터군을 각각 포함하되, 상기 키워드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이 종속되도록 데이터가 계층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타데이터군은,
    안전밸브, 부식, 방폭, 배관, 계기, 가스감지기, 접지, 내화, 국소배기, 고압가스용기, 유해화학물질 취급 관리, 누출예방, 비상샤워, 소방시설, 비상대피로, 회전장치, 고정장치, LOTO 관리 및 양압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타데이터군은,
    안전난간, 작업장통로, 수직사다리, 계단, 경고표지, 방호장치, 중장비, 출하장 , 전기재해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키워드 간의 관련성이 수치로 기록된 관계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계DB는 제1데이터베이스 또는 제2데이터베이스 각각의 복수의 키워드 간의 관련성과, 제1데이터베이스의 키워드와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의 키워드 사이의 관련성이 백분율에 따른 수치로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제1메타데이터군 및 제2메타데이터군의 각 키워드의 유사어 및 동의어에 대한 데이터가 키워드에 매칭되도록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단어와 매칭되는 키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키워드에 종속된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공신경망을 포함하는 신경망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신경망모듈이 이미지에서 객체(Object)의 특성(Feature)을 추출하여 상기 제어모듈이 객체의 특성과 매칭되는 키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와 매칭된 키워드의 종속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모듈이 입력된 이미지와 매칭된 키워드의 진단항목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진단항목 데이터의 기준에서 벗어난 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분석정보와 관리방법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경망모듈에서 둘 이상의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모듈이 복수의 객체 사이의 위치 관계를 분석하여 진단항목 데이터의 기준에 비교하도록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신경망은 콘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복수의 키워드와 매칭되는 단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복수의 키워드에 종속된 진단항목과 관리방법을 하나의 데이터셋으로 구축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KR1020220137312A 2022-10-24 2022-10-24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KR102503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312A KR102503050B1 (ko) 2022-10-24 2022-10-24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312A KR102503050B1 (ko) 2022-10-24 2022-10-24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050B1 true KR102503050B1 (ko) 2023-02-23

Family

ID=8532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312A KR102503050B1 (ko) 2022-10-24 2022-10-24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0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792A (ko) * 2011-11-29 2013-06-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검색 방법, 컨텐츠 검색 서버, 및 컨텐츠 검색을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67258B1 (ko) * 2016-02-15 2017-08-23 주식회사 씨티에이 화학 물질 누출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57132A (ko) * 2020-10-29 2022-05-09 위즈코어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421223B1 (ko) 2022-05-24 2022-07-14 송예식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KR20220133137A (ko) * 2021-03-24 2022-10-04 김원국 중대재해 예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792A (ko) * 2011-11-29 2013-06-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검색 방법, 컨텐츠 검색 서버, 및 컨텐츠 검색을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67258B1 (ko) * 2016-02-15 2017-08-23 주식회사 씨티에이 화학 물질 누출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57132A (ko) * 2020-10-29 2022-05-09 위즈코어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 시스템
KR20220133137A (ko) * 2021-03-24 2022-10-04 김원국 중대재해 예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421223B1 (ko) 2022-05-24 2022-07-14 송예식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Chemical industry in China: The current status, safety problems, and pathways for future sustainable development
Qiu et al.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a coal mine accident causation network based on text mining
Lu et al. A comprehensive risk evaluation method for natural gas pipelines by combining a risk matrix with a bow-tie model
Albert et al. Experimental field testing of a real-time construction hazard identification and transmission technique
Cheng et al. Applying data mining techniques to analyze the causes of major occupational accidents in the petrochemical industry
Rathnayaka et al. Accident modeling and risk assessment framework for safety critical decision-making: application to deepwater drilling operation
Ye et al. Improved HFACS on human factors of construction accidents: a china perspective
Lau et al. Fire risk assessment with scoring system, using the support vector machine approach
Paltrinieri et al. Coupling of advanced techniques for dynamic risk management
Yilmaz et al. Underlying factors of occupational accidents: the case of Turkey
Ratnayake Modelling of asset integrity management process: a case study for computing operational integrity preference weights
Zhang et al. Identification of critical causal factors and paths of tower-crane accidents in China through system thinking and complex networks
Cakan et al. Investigation of factors contributing to fatal and nonfatal roofer fall accidents
Wang et al. Identifying high-frequency–low-severity construction safety risks: an empirical study based on official supervision reports in Shanghai
Shi et al. Fuzzy fault tree analysis for gas explosion of coal mining and heading faces in underground coal mines
Miao et al. Research on coal mine hidden danger analysis and risk early warning technology based on data mining in China
Siraj et al. Analysis of the fire risks and mitigation approaches in the apparel manufacturing industry: Implications toward operational safety and sustainability
Liu et al. Character-based hazard warning mechanics: a network of networks approach
Hughes et al. Learning from text-based close call data
Zhang et al. Systems approach for the safety and security of hazardous chemicals
Chen et al. Loss prevention in the petrochemical and chemical-process high-tech industries in Taiwan
Bilim et al. Estimation of the risk of work-related accidents for underground hard coal mine workers by logistic regression
Huang et al. Concepts, models, and indicator systems for urban safety resilience: a literature review and an exploration in China
Chen et al. Combining accident modeling an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n safety management
KR102503050B1 (ko) 안전점검 매뉴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