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723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723B1
KR102562723B1 KR1020180084519A KR20180084519A KR102562723B1 KR 102562723 B1 KR102562723 B1 KR 102562723B1 KR 1020180084519 A KR1020180084519 A KR 1020180084519A KR 20180084519 A KR20180084519 A KR 20180084519A KR 102562723 B1 KR102562723 B1 KR 10256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unit
blockchain
block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739A (ko
Inventor
안건태
김영덕
이관희
이경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84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7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은 작업이 진행되는 밀폐공간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사전 설정된 주기로 블록화하여 상기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에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부; 및 사전 설정된 복수의 작업 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작업단계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SAFETY WORK SYSTEM AND METHOD APPLYING BLOCKCHAIN IN A CLOSED SPACE}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때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는 대부분 부주의나 작업 기준 미준수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사업장에서의 안전 사고 발생 원인의 88% 정도가 부주의 및 규정 미준수 등 작업자의 인적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질식에 의한 재해 사망은 국내에서 매년 20여명 정도 발생하고, 재해 발생시 약 75% 정도가 사망사고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밀폐된 작업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유해 작업장 내에 온도, 습도, 공기 및 유해가스를 감지하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여 대처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밀폐된 작업 공간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경우, 유해 가스에 대한 사람의 인지 속도와 센서에 의한 감지 속도는 별반 차이가 나지 않아 그 효용성에 의문이 존재할 수 있다.
결국, 작업 공간에서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고 발생 이후의 상황에 대한 대처도 필요하지만, 그에 앞서 애초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우선되어야 한다. 실제로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는 안전작업 관리기준의 엄격성 및 그 준수 이행 정도에 따라 사고 발생 가능성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산업안전 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밀폐된 공간에서의 안전작업을 위한 다양한 활동 및 점검 사항들, 예를 들어,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의 측정(제619조), 인원의 점검(제621조), 출입의 금지(제622조), 감시인의 배치(제623조), 안전대(624조), 대피용 기구의 비치(제625조) 및 환기(제620조) 등이 규정되어 있으나, 작업의 효율성 및 부주의 등으로 잘 실현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점을 인식하고 이해 당사자들 간에 신뢰할 수 있고 관리 가능한 방안을 마련하여 안전한 작업을 보장하고 재해 사고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국 등록 특허 10-0846829(공고일: 2008년 7월 16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밀폐된 작업 공간에서의 사고 발생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안전작업 관리기준의 준수 여부를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공동으로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는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작업 프로세서를 구성하여 해당 작업에 대한 다수의 이해관계자들이 모든 기록을 공동으로 기록, 관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위변조 가능성을 제거하고, 이해관계자들 간의 신뢰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은 작업이 진행되는 밀폐공간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사전 설정된 주기로 블록화하여 상기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에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부; 및 사전 설정된 복수의 작업 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작업단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은 상기 작업단계 제어부는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에 질의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는 현재까지 수집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단계 제어부에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단계 제어부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진 경우에만 다음 단계의 작업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사전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주체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상기 사전 설정된 주기로 수집된 정보를 상기 블록 생성부가 생성한 복수의 블록에 담아 상기 복수의 주체에 분산 저장하는 블록 분산 저장부; 및 현재까지 수집된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단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밀폐공간 내부에 비치되어 온도, 산소 또는 유해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환경 센서부; 및 작업자, 감시자 및 대피용 기구에 부착된 이동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단계 제어부는 모든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에 질의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는 현재까지 수집된 블록체인으로부터 모든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단계 제어부에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은 모든 작업이 안전하게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 간에 채결된 계약사항을 자동 실행하는 작업 평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방법은 작업이 진행되는 밀폐공간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정보를 사전 설정된 주기로 블록화하여 상기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에 분산 저장하는 단계; 및 사전 설정된 복수의 작업 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방법은 모든 작업이 안전하게 종료된 경우, 상기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 간에 채결된 계약사항을 자동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밀폐된 작업 공간에서의 사고 발생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안전작업 관리기준의 준수 여부를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공동으로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으로 작업 프로세서를 구성하여 해당 작업에 대한 다수의 이해관계자들이 모든 기록을 공동으로 기록, 관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위변조 가능성을 제거하고, 이해관계자들 간의 신뢰관계를 증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방법의 순서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0),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 및 작업단계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작업 평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 즉 '~모듈' 또는 '~테이블' 등은 소프트웨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부(100)는 작업이 진행되는 밀폐공간의 상태를 감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0)는 환경 센서부(110)와 이동 센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센서부(110)는 작업이 진행되는 밀폐공간 내부에 비치되어 온도, 산소 또는 유해가스의 농도를 측정 또는 감지하고, 이동 센서부(120)는 작업이 진행되는 밀폐공간 내 또는 주변에 위치하는 작업자, 감시자 또는 대피용 기구 등에 부착되어 이들 측정 대상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센서부(100)는 산업안전 보건기준에 따른 규칙에서 요구하는 각종 점검사항들을 감지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부의 블록도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는 정보 수신부(210), 블록 생성부(220), 블록 분산 저장부(230) 및 작업단계 분석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210)는 센서부(10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수신한다.
블록 생성부(220)는 사전 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주체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한다. 사전 설정된 주기는 수 초(예를 들어, 10초) 또는 수 분이 될 수 있다.
블록 분산 저장부(230)는 사전 설정된 주기로 수집된 정보를 블록 생성부(220)가 생성한 복수의 블록에 담아 복수의 주체에 분산 저장한다. 복수의 주체란 해당 작업에 대한 이해관계나 감독, 피감독 관계에 있는 주체들로서, 예를 들어 고용주, 피고용주, 감독기관 등을 포함한다. 즉, 블록 분산 저장부(230)는 블록 생성부(220)가 생성한 복수의 블록에 사전 설정된 주기로 수집된 정보들을 담아 각각의 복수의 주체가 관할하는 저장장치에 배포 및 저장한다.
작업단계 분석부(240)는 현재까지 수집된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작업단계 제어부(300)는 사전 설정된 복수의 작업 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 작업 단계는 복수의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공간에서의 안전 작업 시작(제1단계), 인원의 점검 및 감시원 배치 여부 확인(제2단계), 안전대 또는 대피용 안전 기구 비치 여부 확인(제3단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의 측정(제4단계), 환기(제5단계) 및 밀폐공간에서의 안전 작업 종료(제6단계)와 같이 작업 단계가 사전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작업단계 제어부(300)는 현재 단계까지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로부터 획득하여 다음 단계의 작업으로 진행할 것이지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위에서는 작업 단계를 6단계로 사전 설정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계의 순서나 개수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작업단계 제어부(300)는 사전 설정된 단계들 각각이 종료된 상태에서 작업의 안전 이행 여부를 확인한 후 다음 단계로의 이행 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복수의 단계를 그룹화하여 확인 및 다음 복수의 단계로의 진행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모든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한꺼번에 확인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한편, 작업단계 제어부(3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와 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와 분리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시인이나 감독 센터측이 보유한 장치에 작업단계 제어부(300)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가 작업단계 제어부(30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와 분리되는 실시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밀폐 공간 안전작업에 참여하는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해 위치기반 추적이 가능하도록 위치센서(111, 121, 123, 125)를 부착 또는 착용한다. 환경 센서부(110)의 일 예인 복합 가스센서(111)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1)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가스의 상태를 감지하고, 통신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로 전송한다. 도 4에서는 중계기(131)가 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고, 위치센서(111, 121, 123, 125) 자체적으로 송신기를 구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동 센서부(120)의 일 예인 작업자 위치/가스센서(121), 감시인 위치/가스 센서(123) 및 대피용 기구 위치센서(125)는 작업자의 위치와 연계하여 감시인 및 대피용 기구의 비치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위치 기반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로 전송한다.
다수의 참여자들로 구성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는 밀폐공간 작업 현장에서 전송되어 오는 정보의 기초 데이터(Raw Data)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모두 블록화하여 블록체인에 연결한다. 각각의 블록에는 사전 설정된 주기 동안에 대응되는 각종 정보들이 담긴다. 예를 들어 작업자, 감시인 또는 비상 대피용 기구가 위치한 지점, 측정된 온도, 산소 또는 유해 가스의 농도 등의 변화가 사전 설정된 각각의 연속된 기간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저장된다.
정보 수신부(210)가 수신한 기초 데이터는 블록 생성부(220)에서 사전 설정된 주기마다 생성한 복수의 블록에 담겨 고용주, 피고용주, 감독 기관 등과 같은 복수의 주체측의 관리 하에 있는 저장장치에 배포 및 저장된다.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전 설정된 주기에 대응되는 블록들이 연속적으로 생성된다. 최초 생성된 '블록0'의 개수(11a, 11b, 11c, 11d, ??)는 해당 작업에 관련된 주체들의 수에 따라 생성되어, 각각 배포 및 저장된다. '블록1(13a, 13b, 13c, 13d, ??)', '블록2(15a, 15b, 15c, 15d, ??)' 등 이후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블록들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생성되는 블록은 이전 생성 블록을 참조하는 형식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블록에 담긴 정보를 변경하려면 이전 블록의 내용도 변경해야 하므로 위변조가 매우 어려워진다. 뿐만 아니라, 블록화된 정보는 다수의 참여자 노드에 분산되어 자동으로 동기화된 블록체인을 다수의 참여 주체가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중앙 집중식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위변조 가능성 자체를 제거할 수 있다.
밀폐공간 안전작업의 운영을 위해서 작업단계 제어부(300)에 의해 복수의 작업 단계가 정의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하 6단계의 작업 단계가 정의된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밀폐공간에서의 안전작업을 위한 작업 프로세스는 작업장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산업안전보건 규칙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 안전 규칙 준수를 확인 하는 등으로 매뉴얼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단계 1. 밀폐 공간 안전작업을 시작
단계 2. 인원의 점검 및 감시원 배치 여부 확인
단계 3. 안전대 또는 대피용 안전기구 비치 여부 확인
단계 4.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의 측정
단계 5. 환기
단계 6. 밀폐 공간 안전작업 종료
이와 같이 안전작업 절차가 정의된 경우, 각 절차 단계가 상호 의존성을 가지는 경우 각 단계 종료 시점에서 작업단계 제어부(300)는 현재 수집된 블록체인으로부터 밀폐공간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에 질의를 보낸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 구체적으로는 작업단계 분석부(240)는 현재까지 수집된 블록체인으로부터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작업단계 제어부(300)의 질의에 응답한다.
작업단계 제어부(3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진 경우에만 다음 단계의 작업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1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면, 단계 2와 단계 3는 부착된 센서 정보를 추적하여 인원의 점검 및 감시원 배치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한다. 이러한 참여자 및 부속장비들에 대한 추적은 필요에 따라 주기적으로도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계 5의 경우도 현장에서 조치상황을 참여자로부터 확인하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환기 시스템이 갖추어 져 있는 경우 환기시스템의 작동여부에 대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자동으로 단계 실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각 단계의 완료 시점 판단은 수동, 반수동 및 자동으로 측정 가능하며 자동화될수록 신뢰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 단계는 작업자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소지한 가스 농도 정보가 실시간으로 블록체인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감시인 배치"단계 준수여부는 작업자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안전작업장에 실제 감시인이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단계 제어부(300)는 안전작업 진행 시 시간적 효율성을 고려하여 각 작업 단계마다 진행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모든 작업단계를 진행시키고 추후 시스템 이력 추적을 통하여 얼마나 안전작업을 준수하며 진행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준수 진행 여부를 평가 및 관리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작업단계 제어부(300)는 현재 수집된 블록체인으로부터 밀폐공간 작업의 모든 단계가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에 질의를 보내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부(200)는 현재까지 수집된 블록체인으로부터 모든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작업단계 제어부(300)의 질의에 응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10)은 작업 평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 평가부(400)는 모든 작업이 안전하게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 간에 채결된 계약사항을 자동 실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작업에 참여 또는 감독, 관리하는 등 작업에 관련된 복수의 주체들 간에 계약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의 편의성 개선과 안전 규칙에 대한 엄격한 준수 정도는 서로 상충관계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전성에 대한 강조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안전작업 시스템을 적용하는 피고용주에 대해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를 적용한다거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안전작업 시스템을 적용하는 기업에게 가점을 부과하는 계약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또는 작업단계 제어부(300)에서 질의를 통해 안전작업이 모두 준수하게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면, 계약 잔금의 송부를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평가부(400)는 모든 작업이 안전하게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 간에 채결된, 인센티브, 가점 또는 계약 잔금 등과 같은 계약 사항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에 따르면, 고용주, 피고용주, 관리기관 등 밀폐작업 안전작업 수행과 관련한 이해관계자들은 안전작업블록체인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현장 정보를 블록화하여 연결한 블록체인을 공동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밀폐 작업장에서의 안전작업 참여자(고용주, 피고용주, 관리기관 등)를 노드화하고, 밀폐공간에서 감지 가능한 정보를 일정 주기로 모두 블록화하여 블록체인에 연결함으로써 추후 위조 또는 변조가 불가능한 안전작업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안전작업이 완전히 종료되고 참여자들이 작업의 종료 단계를 합의 후 승인하면, 결과가 분산 저장시스템으로 전송되어 모든 참여자들이 밀폐공간 안전작업 진행상황에 대한 기록을 공동 확인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고가 발생한 경우 어느 단계의 어느 시점에서 발생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험 또는 손해배상 처리 과정에서 어느 한 참여 주체가 임의로 기록을 위조 또는 변조하여 다른 참여자가 피해를 보는 일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책임소재 규명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안전 작업의 프로세스를 안전작업 수행 결과를 관련한 이해관계자들 간에 형성된 계약 사항들의 이행 단계까지 확대함으로써 작업 관리의 자동화 범위를 확장할 뿐만 아니라, 피고용주에게 안전 규칙 준수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방법은 작업이 진행되는 밀폐공간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 감지된 정보를 사전 설정된 주기로 블록화하여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에 분산 저장하는 단계(S200) 및 사전 설정된 복수의 작업 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방법은 사전 설정된 복수의 작업 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00) 이후 모든 작업이 안전하게 종료되었는지 확인(S350)하여, 그렇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 간에 채결된 계약사항을 자동 실행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100: 센서부
110: 환경 센서부
120: 이동 센서부
200: 블록체인 네트워크부
210: 정보 수신부
220: 블록 생성부
230: 블록 분산 저장부
240: 작업단계 분석부
300: 작업단계 제어부
400: 작업 평가부

Claims (9)

  1. 작업이 진행되는 밀폐공간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사전 설정된 주기로 블록화하여 상기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에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부; 및
    사전 설정된 복수의 작업 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작업단계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단계 제어부는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에 질의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는 현재까지 수집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단계 제어부에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작업단계 제어부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진 경우에만 다음 단계의 작업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사전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주체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상기 사전 설정된 주기로 수집된 정보를 상기 블록 생성부가 생성한 복수의 블록에 담아 상기 복수의 주체에 분산 저장하는 블록 분산 저장부; 및
    현재까지 수집된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단계 분석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밀폐공간 내부에 비치되어 온도, 산소 또는 유해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환경 센서부; 및
    작업자, 감시자 및 대피용 기구에 부착된 이동 센서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단계 제어부는 모든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에 질의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는 현재까지 수집된 블록체인으로부터 모든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단계 제어부에 응답을 송신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모든 작업이 안전하게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 간에 채결된 계약사항을 자동 실행하는 작업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8. 센서부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밀폐공간의 상태를 감지하는 제1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부에서, 상기 감지된 정보를 사전 설정된 주기로 블록화하여 상기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에 분산 저장하는 제2 단계; 및
    작업단계 제어부에서, 사전 설정된 복수의 작업 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에 질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현재까지 수집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단계 제어부에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현재 단계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진 경우에만 다음 단계의 작업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모든 작업이 안전하게 종료된 경우, 상기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주체 간에 채결된 계약사항을 자동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방법.
KR1020180084519A 2018-07-20 2018-07-20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KR10256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19A KR102562723B1 (ko) 2018-07-20 2018-07-20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19A KR102562723B1 (ko) 2018-07-20 2018-07-20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739A KR20200009739A (ko) 2020-01-30
KR102562723B1 true KR102562723B1 (ko) 2023-08-03

Family

ID=6932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519A KR102562723B1 (ko) 2018-07-20 2018-07-20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712B1 (ko) * 2020-03-20 2021-12-02 구형서 블록체인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작업자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547409B1 (ko) 2021-10-28 2023-06-26 (주)매트론 밀폐공간의 내부 및 외부 간 비접촉 통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6502A (ja) 2006-12-12 2008-06-26 Systec:Kk 作業安全計画管理システム
KR101117613B1 (ko) * 2010-07-19 2012-03-08 주식회사 파인시스 컬버트내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US20170279774A1 (en) * 2016-03-28 2017-09-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centralized Autonomous Edge Compute Coordinated by Smart Contract On A Blockchain
KR101868589B1 (ko) 2018-03-30 2018-06-18 옥타코 주식회사 접근통제형 장비를 위한 생체인증 로그데이터의 블록체인 공유 기반의 액세스 보안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29B1 (ko) 2007-02-28 2008-07-16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US20170011460A1 (en) * 2015-07-09 2017-01-12 Ouis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ding, clearing and settling securities transaction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6502A (ja) 2006-12-12 2008-06-26 Systec:Kk 作業安全計画管理システム
KR101117613B1 (ko) * 2010-07-19 2012-03-08 주식회사 파인시스 컬버트내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US20170279774A1 (en) * 2016-03-28 2017-09-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centralized Autonomous Edge Compute Coordinated by Smart Contract On A Blockchain
KR101868589B1 (ko) 2018-03-30 2018-06-18 옥타코 주식회사 접근통제형 장비를 위한 생체인증 로그데이터의 블록체인 공유 기반의 액세스 보안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739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188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Gnoni et al. Integrating IoT technologies for an “intelligent” safety management in the process industry
Park et al. Framework of automated construction-safety monitoring using cloud-enabled BIM and BLE mobile tracking sensors
JP7076887B2 (ja) 落下保護具イベント生成及び監視
KR20180059356A (ko)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CN112074850A (zh) 具有分布式数字区块链账本的个人防护设备管理系统
KR10256272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KR102421223B1 (ko) 중대 산업현장 원격감독 및 안전규정 이행 유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대 산업재해 예방시스템
TW201842266A (zh) 防墜設備連接狀態及控制
KR101845942B1 (ko) 위험 상황 감지 및 대피 알림 시스템
KR20200037038A (ko) Nfcqr을 이용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Fantoni et al. Automating the process of method-time-measurement
KR102312738B1 (ko)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US11308568B2 (en) Confined space configura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system
KR20180115123A (ko) 작업장 사고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391197B1 (ko)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705896B (zh) 机械作业管理预警方法、系统和介质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102316815B1 (ko) 발주기관용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Hossain et al. BIM-based smart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app: a case study in an ongoing construction site
KR102342148B1 (ko) 키오스크 및 스마트 작업 통합 플랫폼
KR20160049232A (ko) 원전 건설 안전보건환경관리 프로세스 모델링 구축 방법
JP6832289B2 (ja) 原子力発電所格納容器に係わる作業のサーバとクライアントを用いたリアルタイム遠隔操作管理
CN104570977A (zh) 一种火工品安全生产监管系统
KR102421978B1 (ko) 공정안전관리 기반 디지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