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738B1 -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738B1
KR102312738B1 KR1020200181794A KR20200181794A KR102312738B1 KR 102312738 B1 KR102312738 B1 KR 102312738B1 KR 1020200181794 A KR1020200181794 A KR 1020200181794A KR 20200181794 A KR20200181794 A KR 20200181794A KR 102312738 B1 KR102312738 B1 KR 102312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onstruction
unit
health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일형
김도근
이윤성
노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신
Priority to KR1020200181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보건방침 및 목표를 포함하는 최고 경영자의 의지, 안전관리조직, 안전경영시스템, 안전보건투자를 포함하는 안전보건체제를 확립하고, 안전관리규정, 안전기본계획수립이행을 포함하는 안전보건활동계획을 수립하며, 위험성평가, 안전작업허가, 안전보건교육, 근로자 참여를 포함하는 공통안전보건과, 계획시공사항, DFS, 적격업체 선정, 공사감독사항, 단계별 안전보건조치를 포함하는 발주자안전보건과, 적격 수급업체선정, 협의체 구성운영, 교육, 인프라 지원을 포함하는 수급자안전보건과, 화재, 폭발, 누출, 끼임, 감전, 추락, 질식을 포함하는 현장안전보건에 관한 안전보건활동 수준을 규정하며, 안전보건활동 모니터링, 내외부 감사 시정조치, 이차사고관리, 산재감소성과를 포함하는 안전보건경영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SMART CONSTRUCTION SAFETY MONITER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보건방침 및 목표를 포함하는 최고 경영자의 의지, 안전관리조직, 안전경영시스템, 안전보건투자를 포함하는 안전보건체제를 확립하고, 안전관리규정, 안전기본계획수립이행을 포함하는 안전보건활동계획을 수립하며, 위험성평가, 안전작업허가, 안전보건교육, 근로자 참여를 포함하는 공통안전보건과, 계획시공사항, DFS, 적격업체 선정, 공사감독사항, 단계별 안전보건조치를 포함하는 발주자안전보건과, 적격 수급업체선정, 협의체 구성운영, 교육, 인프라 지원을 포함하는 수급자안전보건과, 화재, 폭발, 누출, 끼임, 감전, 추락, 질식을 포함하는 현장안전보건에 관한 안전보건활동 수준을 규정하며, 안전보건활동 모니터링, 내외부 감사 시정조치, 이차사고관리, 산재감소성과를 포함하는 안전보건경영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른 공공기관, 지방공기업법 제5조에 따른 지방직영기업, 같은 법 제49조에 따른 지방공사 및 같은 법 제76조에 따른 지방공단을 비롯하여, 건설공사를 발주 또는 시공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으로서 발주기관, 종합건설업체, 전문건설업체는 산업안전보건법 제4조제1항제5호에 따라 사업장의 자율적인 안전보건경영체제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에서 정한 인증을 받아야한다.
이에 따라, 국내 각 건설사들은 예를들어, D건설에서는 IoT 안전/환경 데이터 모니터링시스템, 실시간 근로자 위치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등을 운용하고 있고, H건설에서는 근로자 위치, 가스농도, 장비협착, 타워크레인충돌, 풍속, 흙막이 가시설 붕괴를 대비한 실시간 안전관제 시스템을 웅용하고 있으며, S건설에서는 출입게이트 연동, 근로자위치, 가스농도, 장비접근, 통합CCTV, 영상분석, 기상, 소음, 사면변위 등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운용중에 있다.
뿐만 아니라, 건설, 산업현장 실시간 안전관제 시스템에 관한 종래 특허기술들을 살펴 보면, 한국등록특허 10-1575983(등록일자 2015년12월02일)에 이동개체에 부착된 액티브 태그를 구비하여 태그신호를 전송하는 다수 개의 통합형태그장치; 상기 통합형태그장치와 통신 접속 시에 상기 통합형태그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태그신호에서 태그장치식별정보를 인식하며, 인식한 태그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한 태그장치인식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며, 위험알림신호를 수신받아 알람경고장치부를 통해 위험상황을 작업자에게 통보하는 다수 개의 리더장치; 입력수단을 통한 작업자의 맵 정보 요청에 따라 자기 자신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맵정보요청신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며, 공장 설비 맵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재해 발생정보와 위험포인트 정보가 매핑된 공장 설비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수 개의 작업자용단말기; 및 상기 리더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태그장치인식신호에서 리더장치식별정보와 태그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리더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설치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이동개체의 위치를 결정하며, 결정된 이동개체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개체별 위치 추적을 수행하여 이동패턴을 분석하며, 분석된 이동 패턴에 따라 이동개체의 이동경로를 예측하며, 분석된 이동패턴 및 예측된 이동경로를 사물 또는 작업자별로 분류시켜 확인된 태그장치식별정보별로 저장하며, 사물의 예측 이동경로와 작업자의 예측 이동경로가 동일한 경우에 사물 또는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리더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위험알림신호를 생성시켜 확인된 리더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리더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자용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맵정보요청신신호에서 작업자용단말기위치정보와 작업자용단말기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작업자용단말기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리더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리더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공장 설비 맵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작업자용단말기로 전송하는 안전관리지능형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8-0039368(공개일자 2018년04월18일)에 화면에 모바일 전용앱이 설치된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의 모바일 전용앱을 실행하고 핸드폰 번호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 가입하면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스캔 가능하게 설비에 대한 기본 정보가 기록된 점검용 QR 코드가 부착된 산업 설비와, 상기 스마트폰의 서비스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구성되는 인증용 QR 코드와,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고 상기 산업 설비에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었을 때 상기 점검용 QR 코드의 스캔을 방지하는 위치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고객에게 부여한 인증용 QR 코드를 스캔하여 접속하면 고객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서 승인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서비스 유형으로 분류되고, 상기 산업 설비에 부착된 점검용 QR 코드를 스캔하여 접속하면 상기 산업 설비에 대한 기본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서비스 유형에 따라 서비스 제공화면 및 내용이 달라지며, 목측점검에 의해 작성한 데이터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전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 안전 관제 서비스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8-0109470(공개일자 2018년10월08일)에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작업자에게 휴대되는 측위검출부와; 복수개로 구성되어 건조현장에 간헐적으로 설치되고, 라디오 맵(Radio Map) 구축용 측위신호를 수집하며, 와이파이(Wi-Fi)로 상기 측위검출부와 통신하는 통신중계기와; 상기 통신중계기에서 수집된 측위신호로 건조현장의 가상지도를 구축하고, 상기 측위검출부에서 수집된 위치 정보로 상기 가상지도 상에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설정하는 관제서버와; 건조현장에 포설되어 상기 통신중계기와 상기 관제서버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복합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현장 내 작업자 인명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2026531(등록일자 2019년09월23일)에 현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비콘;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 및 작업자, 관리자, 작업내용 및 작업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작업자의 작업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된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DB부; 상기 복수 개의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 상기 현재위치정보가 상기 작업정보에 포함된 작업장소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에 한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인 작업시작버튼을 활성화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작업시작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작업개시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작업정보저장부; 해당 작업자의 작업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작업정보전송부;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작업개시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작업개시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작업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2028201(등록일자 2019년09월26일)에 작업자가 착용하는 복수의 개인보호구의 착용 여부를 탐지하여 개인상황 정보로 생성하는 제1 장비 센서부,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장비 전원부 및 상기 생성된 개인상황 정보를 개인보호 플랫폼 장치에 전달하는 제1 장비 통신부만을 구비하거나, 상기 작업자 주변의 개인상황을 측정하여 개인상황 정보로 생성하는 개인측정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 측정부의 부착 여부를 탐지하는 제2 장비 센서부,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장비 전원부 및 상기 생성된 개인상황정보를 상기 개인보호 플랫폼 장치에 전달하는 제2 장비 통신부만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개인보호 장비; 상기 복수의 개인보호 장비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개인보호 플랫폼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모니터링 플랫폼 장치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각각의 개인보호 장비를 관리하고, 상기 연결된 각각의 개인보호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연결된 각각의 개인보호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상기 연결된 각각의 개인보호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각각의 개인보호 장비로부터 개인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개인상황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플랫폼 장치로 전송하는 개인보호 플랫폼 장치; 및 상기 개인보호 플랫폼 장치로부터 수신된 개인상황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작업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 안전상황을 추론하고, 상기 추론된 작업자 안전상황에 따라 제어신호 또는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보호 플랫폼 장치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플랫폼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개인보호 장비들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제어부, 상기 모니터링 플랫폼 장치와의 각 통신부 및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개인보호 장비로부터 제외되어 상기 개인보호 플랫폼 장치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957382(등록일자 2019년03월06일)에 유해 화학물질을 다루는 공장, 연구소 등 기관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 유출사고 등의 재난상황에서 사물통신(M2M, Machine to Machine) 및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신속한 상황전파 및 초동대응을 통해 재난지역 내 인명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유출된 화학물질의 2차 확산을 방지하며 화학물질재난 전문수습반의 빠른 출동을 동시 지원하도록 구성된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 시스템은 유해 화학물질의 유출을 초기에 감지하기 위해 이를 취급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이기종의 센서들로 이루어진 센서모듈(110) 및 상기 이기종 센서들 간의 사물통신을 지원하고 센서모듈(110)로부터 수신된 화학물질재난 감지신호를 재난발생 알람신호로 변환하여 재난발생 지역 내 위치한 모든 사용자 단말 및 통합관제부 서버에 송신하는 재난전파모듈(120)로 구성된 초기대응 관제부(100); 상기 초기대응 관제부(100)로부터 재난발생 알림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유관기관별 초동대응 태스크(task)를 동시다발적으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즉시 전파하고, 각 기관별로 수행하는 초동대응 시나리오를 실시간으로 보고받아 통합관제부 서버(210)에 재난사건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재난대응 시나리오 데이터를 백업 및 사후평가하여 시나리오 수정 등 피드백 정보를 각 유관기관에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의 GPS 위치정보와 현재 재난발생 위치를 비교하여 각 사용자 단말마다 해당 위치에서 재난지역 바깥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긴급 안전대피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통합관제부(200); 상기 초기대응 관제부(100)로부터 재난발생 알림신호 수신 시 전달받은 현재 재난발생 위치 및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재난발생 위치와 가까운 인원에게는 긴급대피를 경각시키기 위하여 진동과 경고음이 자동으로 알람되어지고, 통합관제부(200)로부터 현재 GPS 위치정보에 따른 안전한 최단 대피경로 정보를 안내받아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메시지로 알리는 각각의 사용자단말(300)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제부(200)는 각 기관별로 수행하는 초동대응 시나리오를 재난상황설정 매뉴얼(221), 위기경보 및 상황전파(222), 초동대응전개 절차(223) 및 기관별 테스크(224)를 목록화(cataloged) 하여 저장하고, 각 시나리오에 설정된 화학물질재난의 과거 발생기록에 대해서 일시, 장소, 기상정보, 발생유형, 사고전개 리포트, 기관대응 리포트, 피해규모를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재난대응 시나리오 DB(2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상황설정 매뉴얼(221)은 재난전파모듈(120)에 의해 화학물질 유출 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초동대응 시나리오에 참여의무가 있는 기관명, 책임부서, 현장출동 인원, 연락보고 라인, 기관협조 체계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위기경보 및 상황전파(222)는 화학물질이 취급되는 보관실, 연구실, 공정구역 위치의 GPS 정보와 유해 화학물질의 안전대처 및 폐기처리 방법을 평상시 유관기관에 제공하고 재난발생 시에는 센서모듈(110)로부터 수집된 유해 화학물질의 구체적인 유출 및 피해상황을 실시간으로 상기 유관기관에 전파하는 계통이며, 상기 초동대응 전개절차(223)는 재난상황이 발생되면 사용자단말(300)에 긴급대피를 위한 알람 및 현재 사용자의 GPS 위치정보에 따른 안전한 최단 대피경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명령함과 동시에 유관기관에 기 설정된 초동대응 시나리오를 전개하도록 즉각적으로 전파하는 절차이며, 상기 기관별 태스크(224)는 각 유관기관의 업무속성에 따라 할당되어진 출동인원, 지원장비, 임무범위, 협조대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2042616(등록일자 2019년11월04일)에 도심지 건설현장 내 구조물 및 주변 인접구조물 상에 설치되고 구조물의 붕괴 이상 정보를 계측하는 IoT센서부와; 도심지 건설현장 내 구조물 및 주변 인접구조물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IoT센서부의 계측데이터 결과값에 따라 잠재적 위험을 표시하되 상기 IoT센서부의 통신신호를 전달받아 절대기준 평가에 의해 위험도를 표시하면서 근로자 및 주민이 구조물 붕괴의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위험도를 단계별로 표시하는 OSV감시부와; 상기 IoT센서부의 계측데이터 및 구조물 안정성 평가에 대한 결과값을 제공하되 상기 IoT센서부의 계측데이터 및 구조물 안정성 평가에 대한 결과값을 분석하여 붕괴상황을 전파할 수 있게 시나리오 데이터를 구축하는 안전관리서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IoT센서부 및 상기 안전관리서버부 간에 상호 무선통신 네트워크망으로 연결하여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IoT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IoT센서부는, 건설현장 내 설치하되 경사센서 및 변형률센서, 수압계 및 수위센서, 토압계, 로드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현장계측센서부와, 인접구조물 상에 설치하되 경사센서 및 변형률센서, 균열게이지, GNSS(global navigation satelite system), 광섬유격자(FBG;fiver vragg grating)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인접계측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OSV감시부는, 건설현장 내에서 즉각적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게 설치되는 현장형OSV감시부와, 복수의 붕괴요소를 고려하여 전체 데이터를 기반 안전성 평가 알고리즘으로 피드백하는 서버형OSV감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관리서버부에서는, 붕괴사례를 통한 붕괴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조사하되 붕괴사고 사례조사로부터 붕괴사고의 유형을 분류하고 공통적으로 관찰된 위험인자를 도출하여 붕괴메커니즘을 분석하며, 붕괴 영향인자가 고려된 수치해석을 통한 안전성 평가의 결과값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하는 안전성 영향인자분석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안전관리서버부의 안전성 영향인자분석 데이터는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각 인자별 데이터베이스에서 등급 계산에 사용된 데이터베이스의 빈도 분포에 따라 가중치 값을 결정하게 구성하며, 상기 안전관리서버부에는 건축현장을 기준으로 인접건축물의 건물정보를 통합하여 3차원 모델링하도록 구성하는 BIM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관리서버부에서는 상기 IoT센서부의 계측데이터 및 구조물 안정성 평가에 대한 결과값을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형태로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에 제공하고,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의 데이터연계방식으로 조사 및 분석하여 도심지 상시안전관리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시나리오를 도출하며, 붕괴 시나리오에 따른 대응방안을 웹브라우저 또는 모바일앱을 통해 공공데이터로 개방하도록 안전사고 예방 정보공유플랫폼을 구축하는 IoT 기반 도심지 건설현장 상시 안전관리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특허기술들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와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융합한 안전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국소적인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영상이나 센서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또는 IoT 디바이스 및 위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전관제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그치고 있을 뿐, 각종 위험인자와 관련된 계측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위험작업에 대한 위험지수를 산출하고, 아울러 그에 따른 위험등급을 결정하며, 안전사각지역의 최소화와 재난상황 지휘여건 체계화를 위해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표준화된 대응시나리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각종 재난안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거시적 시스템으로는 활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국내에서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안전강화대책이 공공기관 안전강화대책으로서 시행되고 있다.
1) 안전경영 System 인증 확대
안전관리 중점기관부터 안전경영시스템 인증을 확대하여 안전관리계획 활동등의 적절성 여부를 확인(2019년 노동부)
※ 계획수립 실행 점검 - 개선 과정을 통해 지속적 안전보건 개선을 뒷받침하는 경영시스템(현재 : 자율 참여(338개 공공기관 중 17개 기관 KOSHA 18001 인증 → 개정 : 안전관리 중점기관부터 인증 확대)
2) 안전중심 경영평가 실시
경영평가 항목중 경영관리 분야의 안전 지표(재난 및 안전관리) 배점 상향(2018년 : 최대 2점 → 2019년 : 최대 6점)/기재부
안전관리 중점기관은 안전에 대한 책임 강화를 위해 기관별 안전지표(산업재해 예방 노력도) 별도 신설
3 발주공사의 발주자 역할 확대
발주자의 안전관리활동 평가 대상을 확대하고 평가 결과도 공개(2019년12월)/국토부
※ 평가내용: 안전한 공사조건 제공, 안전System 운영 여부, 환산 재해율 등
※ 2018년 57개 현장 → 2019년 170개 현장→ 2020년 공기 50% 이상, 200억 이상 모든 공사
3) 위험성 평가 강화
작업장 위험 시설·설비 등 작업환경, 작업방식 등에 대한 위험성평가가 실효성 있게 추진되도록 관리(2019년 4월~)/기재부, 각 부처
※ 작업장 유해, 위험, 인적요인 탐색 → 위험성 결정 → 자발적 예방조치
공공기관은 도급발주 작업장의 위험성평가를 점검(도급발주 계약조건에 포함) 하여 부실할 경우 보완 조치
위험성 평가조치결과를 주무부처에 제출토록 하고, 이행여부를 경영평가에 참조하여 이행력 담보
4) 위험 상황 신고 System 정비
근로자가 위험상황 인지시 발주자(원청 포함)에게 직접 일시 작업중지를 요청하는 제도를 모든 공공기관으로 확대 적용 (2019년 4월)/기재부, 각 부처
근로자가 위험요소 발견시 개선을 실시간으로 요구할 수 있는 Mobile App 개발보급(2020년)/노동부
5) 안전기술 개발
Smart 안전관제기술을 개발하고 IoT 무인화 기술을 활용한 안전사고 예방 System 구축 추진(2019년~)
※ 구조물-지반-근로자 연계 Sensor, 근로자 모션분석 등을 통해 작업위험성을 실시간 확인·예측하는 Smart 안전관제기술개발(예타 진행 중)/국토부, 기재부
※ 생체인식 출입자 관리 System, 메탄Gas 원격 감시장치, 지능형 분석 Server 연계 이상징후 감지 System 및 배전 작업용 Wearable 다기능 안전대 개발 등/산업부
6) 공공입찰 제도 개선
공공계약 입찰시 ① 안전관리 평가대상을 확대, ② 고난이도 공사의 경우 시공계획 평가시 안전관리 역량 포함(계약예규 개정, 2019년 상)/기재부
※ (現) 종합심사 낙찰제(300억 이상 공사)에 안전관리 평가 → (改) 적격심사(300억원 미만 공사)에도 안전관리 평가 항목 신설
※ 위험도가 높은 대규모·고난이도 공사계약에서 시공계획 평가의 세부항목 으로 안전관리 계획 항목 신설
상기한 안전대책을 시스템화하기 위하여 그 일환으로, 최근에는 한국공개특허 10-2020-0046660(공개일자 2020년05월07일)에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이 기록된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험경보 서버; 및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관리하는 SOP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의 경우에도 공공기관 안전강화 대책으로서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에서 인증되는 안전경영 System을 충족하기에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현재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은 문서 작업 또는 수동 작업으로 일일히 기재하고 체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발주기관, 종합건설업체, 전문건설업체 상호간 시스템이 연계되고 효과적으로 역할분담이 될 수 있도록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자동 시스템화된 건설 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이 전무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001] 한국등록특허 10-1575983(등록일자 2015년12월02일) [특허문헌 002] 한국공개특허 10-2018-0039368(공개일자 2018년04월18일) [특허문헌 003] 한국공개특허 10-2018-0109470(공개일자 2018년10월08일) [특허문헌 004] 한국등록특허 10-2026531(등록일자 2019년09월23일) [특허문헌 005] 한국등록특허 10-2028201(등록일자 2019년09월26일) [특허문헌 006] 한국등록특허 10-1957382(등록일자 2019년03월06일) [특허문헌 007] 한국등록특허 10-2042616(등록일자 2019년11월04일) [특허문헌 008] 한국공개특허 10-2020-0046660(공개일자 2020년05월07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보건방침 및 목표를 포함하는 최고 경영자의 의지, 안전관리조직, 안전경영시스템, 안전보건 투자를 포함하는 안전보건체제를 확립하고, 안전관리규정, 안전기본계획 수립이행을 포함하는 안전보건활동계획을 수립하며, 위험성평가, 안전작업허가, 안전보건교육, 근로자 참여를 포함하는 공통안전보건과, 계획시공사항, DFS, 적격업체선정, 공사감독사항, 단계별 안전보건조치를 포함하는 발주자안전보건과, 적격 수급업체선정, 협의체 구성운영, 교육, 인프라 지원을 포함하는 수급자안전보건과, 화재, 폭발, 누출, 끼임, 감전, 추락, 질식을 포함하는 현장안전보건에 관한 안전보건활동수준을 규정하며, 안전보건활동 모니터링, 내외부 감사 시정조치, 이차사고 관리, 산재감소성과를 포함하는 안전보건경영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주기관 관리자 단말기, 종합건설업체 관리자 단말기, 전문건설업체 관리자 단말기, 설계감리 관리자 단말기 또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공사개요, 위험성평가, 근로자관리, 센서관리, 건설기계관리, 시스템관리를 포함하는 사항에 관한 입력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유닛과; 상기 입력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 확인 또는 제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웹대시보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웹대시보드유닛의 디스플레이 메인화면은 상단부에는 공사개요선택부, 위험성평가선택부, 근로자관리선택부, 센서관리선택부, 시스템관리선택부, 공정율표시부, 전체근로자인원현황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안전보건방침표시부, 안전보건목표표시부, 현장공종현황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현장공종현황표시부에 해당하는 현장지도맵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공사개요선택부는 사업명, 공사면적, 공사종류, 공사금액, 현장규모, 현장주소, 공사시작일, 공사종료일을 포함하는 공사개요입력표시부와, 상기 안전보건방침표시부, 안전보건목표표시부에 표시되는 안전보건방침/목표입력표시부와, 안전보건활동 및 연간안전활동계획을 포함하는 안전관리계획입력표시부와, 안전조직도 및 비상연락망을 포함하는 안전조직/비상연락망입력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위험성평가선택부는 위험성평가대상이 되는 현장공종선택부 및 상기 현장공종선택에 따른 위험성평가목록부를 포함하는 위험성평가표시부와, 상기 위험성평가목록부에서 선택된 목록의 유해위험요인, 위험도등급, 안전보건대책을 포함하는 위험성평가를 작성입력하는 위험성평가표작성부와, 상기 위험성평가표작성부에서 작성된 유해위험요인, 위험도등급, 안전보건대책을 포함하는 위험성평가의 적정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위험성평가점검목록부와, 상기 위험성평가점검목록부에서 선택된 목록의 위험성평가의 적정이행여부를 점검한 결과, 지적내용, 시정요구, 조치내용을 포함하는 사항을 작성입력하는 위험성평가점검작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위험도등급은 다음 식에 따라 산출된 위험도값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위험도값을 구간별로 정한 상, 중, 하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위험도값을 구간별로 정한 별표갯수로 표시하여 나타내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발생빈도 = (세부공종별 재해자수/전체 재해자수)× 100%
발생강도 = 세부공종별 산재요양 일수의 환산지수합계/세부 공종별 재해자수
위험도값 = 발생빈도× 발생강도
상기 근로자관리선택부는 근로자 성명, 직종, 전화번호, 업체명, 공종을 포함하는 근로자현황목록표시부와, 상기 근로현황목록표시부에서 선택된 근로자의 생년월일, 입사일, 배치일, 공종근무경력을 포함하는 기본정보, 키, 몸무게, 혈압, 보유질환을 포함하는 건강정보 및 개인보호장구 지급여부, 안전교육실시여부를 포함하는 근로자상세정보표시부와, 근로자 출역현황 표시부와, 근로자 위험도 예측현황표시부와, 근로자안전점검 체크시간 및 횟수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센서관리선택부는 기상센서, 소음센서, 장비접근센서, 가스센서, 사면변위센서, 타워크레인변위센서, CCTV를 포함하는 사항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관리선택부는 현장 관리자 기본정보설정부, 근로자 위험산정변수설정부, 위험성평가설정부, 현장기본정보설정부, 사용자관리설정부, 모바일관리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웹대시보드유닛의 디스플레이 메인화면은 건설기계작업계획, 건설기계안전점검을 포함하는 사항이 입력 및 표시되는 건설기계관리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의 서버유닛은 원격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어 상기 웹대시보드유닛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기 모발일 단말기에 출력되어 입력, 제어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은 발주기관, 종합건설업체, 전문건설업체 상호간 시스템이 연계되고 효과적으로 역할분담이 될 수 있도록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자동 시스템화된 건설 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최고경영자가 경영방침에 안전보건정책을 선언하고 이에 대한 실행계획을 수립(Plan)하여 이를 실행 및 운영(Do), 점검 및 시정조치(Check)하며 그 결과를 최고경영자가 검토하고 개선(Action)하는 등 P-D-C-A 순환과정을 통하여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계적인 안전보건활동을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에 구현된 네트워크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메인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공사개요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안전보건방침목표화면
도 6은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안전관리활동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비상연락망화면
도 8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비상연락망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위험성평가화면
도10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위험성평가작성화면
도11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위험성평가점검목록화면
도12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위험성평가점검작성화면
도13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근로자현황화면
도14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근로자상세정보화면
도15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근로자상세정보화면
도16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근로자출역화면
도17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근로자위험화면
도18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근로자위험화면
도19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근로자안전점검화면
도20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근로자안전점검화면
도21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관리자 기본정보화면
도22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위험산정화면
도23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위험평가설정화면
도24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현장기본설정화면
도25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사용자관리화면
도26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 웹대시보드의 모바일관리화면
본 발명은, 발주기관 관리자 단말기, 종합건설업체 관리자 단말기, 전문건설업체 관리자 단말기, 설계감리 관리자 단말기 또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공사개요, 위험성평가, 근로자관리, 센서관리, 건설기계관리, 시스템관리를 포함하는 사항에 관한 입력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유닛과; 상기 입력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 확인 또는 제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웹대시보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웹대시보드유닛의 디스플레이 메인화면은 상단부에는 공사개요선택부, 위험성평가선택부, 근로자관리선택부, 센서관리선택부, 시스템관리선택부, 공정율표시부, 전체근로자인원현황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안전보건방침표시부, 안전보건목표표시부, 현장공종현황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현장공종현황표시부에 해당하는 현장지도맵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사개요선택부는 사업명, 공사면적, 공사종류, 공사금액, 현장규모, 현장주소, 공사시작일, 공사종료일을 포함하는 공사개요입력표시부와, 상기 안전보건방침표시부, 안전보건목표표시부에 표시되는 안전보건방침/목표입력표시부와, 안전보건활동 및 연간안전활동계획을 포함하는 안전관리계획입력표시부와, 안전조직도 및 비상연락망을 포함하는 안전조직/비상연락망입력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성평가선택부는 위험성평가대상이 되는 현장공종선택부 및 상기 현장공종선택에 따른 위험성평가목록부를 포함하는 위험성평가표시부와, 상기 위험성평가목록부에서 선택된 목록의 유해위험요인, 위험도등급, 안전보건대책을 포함하는 위험성평가를 작성입력하는 위험성평가표작성부와, 상기 위험성평가표작성부에서 작성된 유해위험요인, 위험도등급, 안전보건대책을 포함하는 위험성평가의 적정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위험성평가점검목록부와, 상기 위험성평가점검목록부에서 선택된 목록의 위험성평가의 적정이행여부를 점검한 결과, 지적내용, 시정요구, 조치내용을 포함하는 사항을 작성입력하는 위험성평가점검작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도등급은 다음 식에 따라 산출된 위험도값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위험도값을 구간별로 정한 상, 중, 하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위험도값을 구간별로 정한 별표갯수로 표시하여 나타내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발생빈도 = (세부공종별 재해자수/전체 재해자수)× 100%
발생강도 = 세부공종별 산재요양 일수의 환산지수합계/세부 공종별 재해자수
위험도값 = 발생빈도× 발생강도
상기 근로자관리선택부는 근로자 성명, 직종, 전화번호, 업체명, 공종을 포함하는 근로자현황목록표시부와, 상기 근로현황목록표시부에서 선택된 근로자의 생년월일, 입사일, 배치일, 공종근무경력을 포함하는 기본정보, 키, 몸무게, 혈압, 보유질환을 포함하는 건강정보 및 개인보호장구 지급여부, 안전교육실시여부를 포함하는 근로자상세정보표시부와, 근로자 출역현황 표시부와, 근로자 위험도 예측현황표시부와, 근로자안전점검 체크시간 및 횟수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관리선택부는 기상센서, 소음센서, 장비접근센서, 가스센서, 사면변위센서, 타워크레인변위센서, CCTV를 포함하는 사항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관리선택부는 현장 관리자 기본정보설정부, 근로자 위험산정변수설정부, 위험성평가설정부, 현장기본정보설정부, 사용자관리설정부, 모바일관리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웹대시보드유닛의 디스플레이 메인화면은 건설기계작업계획, 건설기계안전점검을 포함하는 사항이 입력 및 표시되는 건설기계관리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의 서버유닛은 원격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어 상기 웹대시보드유닛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기 모발일 단말기에 출력되어 입력, 제어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현재 시행중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하여 각각의 공공기관, 발주기관, 건설사업체 등에서는 자체적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지만, 이들은 대부분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메뉴얼로서 문서로만 시행하고 그 운용과정을 수작업으로만 수행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시스템화로 구현하여 발주기관, 건설시공사 또는 하도급기관 상호간에 인터페이스 연계되어 일괄 관리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이 개발된 바 없으므로 본 발명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최근의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를 경영평가 활용하는 추세이며, 공공기관 작업장의 안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한 안전보건 활동 및 그 수준에 대한 평가(고용노동부)를 P-D-C-A 관점에서 안전보건체제, 활동계획, 활동수준, 성과 등 공공기관 유형특성별 평가하고 있고,(Plan(계획 수립) - Do(실행 및 운영) - Check(점검 및 시정조치) - Action(개선)),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 중심의 평가에서 기타공공기관 까지 확대할 예정이다.(2019년: 128개소 → 2020년: 180개소)
또한, 건설공사 참여자의 안전관리 수준평가의 평가결과 공개하되, 공공발주 건설공사 참여자(발주청, 시공자 및 건설사업관리용역업자)의 안전사고 예방활동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여 참여자들의 자발적인 안전관리활동 강화노력을 유도(한국시설안전공단)하고 있는 바, 2018년 57개 현장 → 2019년 171개 현장→ 2020년 공기 50% 이상, 200억 이상 모든 공사로 확대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안전등급제를 적용하여 인센티브 제공 및 경영평가 반영할 예정이며, 공공기관에 안전등급제를 도입해 자발적 안전문화 정착 및 안전관리강화를 함으로써 작업 및 건설현장 등에서의 재해 감축 추진(기획재정부) 하고 있다.
특히, 위험요소를 보유한 공공기관들을 대상으로 매년 안전역량(안전계획, 안전조직인력예산 등), 안전수준(위험요소 관리노력 및 상태 등), 안전가치(사회적 기여, 사고현황 등)를 심사하여 5단계의 안전등급(
Figure 112020140204388-pat00001
)을 부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상기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축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일환으로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시스템을 개발하였는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개설시, 공사개요, 위험성평가, 근로자관리, 센서관리, 건설기계관리, 시스템관리를 포함하는 사항에 관한 것으로, 공사개요, 안전보건방침, 안전보건목표, 안전보건추진계획, 월간/연간 안전보건계획, 안전조직구성, 안전담당자지정, 예정공정표구성, 위험성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입력사항을 저장하는 안전담당자편성DB, 공정표DB, 안전보건계획DB, 위험성평가DB, 근로자관리DB, 건설기계반출입DB, 센서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안전교육훈련, 위험성평가, 근로자관리, 건설기계관리, 건설환경관리, 위험성평가 확인/조치를 포함하는 관리사항을 입력, 확인, 통제하고 모니터링하며, 성과를 측정하는 네트워크 프로세스를 구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주기관 관리자 단말기, 종합건설업체 관리자 단말기, 전문건설업체 관리자 단말기, 설계감리 관리자 단말기 또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공사개요, 위험성평가, 근로자관리, 센서관리, 건설기계관리, 시스템관리를 포함하는 사항에 관한 입력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유닛과; 상기 입력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 확인 또는 제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웹대시보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웹대시보드유닛의 디스플레이 메인화면은 상단부에는 공사개요선택부, 위험성평가선택부, 근로자관리선택부, 시스템관리선택부, 공정율표시부, 전체근로자인원현황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안전보건방침표시부, 안전보건목표표시부, 현장공종현황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현장공종현황표시부에 해당하는 현장지도맵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사개요선택부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업명, 공사면적, 공사종류, 공사금액, 현장규모, 현장주소, 공사시작일, 공사종료일을 포함하는 공사개요입력표시부와, 상기 안전보건방침표시부, 안전보건목표표시부에 표시되는 안전보건방침/목표입력표시부와, 안전보건활동 및 연간안전활동계획을 포함하는 안전관리계획입력표시부와, 안전조직도 및 비상연락망을 포함하는 안전조직/비상연락망입력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위험성평가선택부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험성평가대상이 되는 현장공종선택부 및 상기 현장공종선택에 따른 위험성평가목록부를 포함하는 위험성평가표시부와, 상기 위험성평가목록부에서 선택된 목록의 유해위험요인, 위험도등급, 안전보건대책을 포함하는 위험성평가를 작성입력하는 위험성평가표작성부와, 상기 위험성평가표작성부에서 작성된 유해위험요인, 위험도등급, 안전보건대책을 포함하는 위험성평가의 적정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위험성평가점검목록부와, 상기 위험성평가점검목록부에서 선택된 목록의 위험성평가의 적정이행여부를 점검한 결과, 지적내용, 시정요구, 조치내용을 포함하는 사항을 작성입력하는 위험성평가점검작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해위험요인, 위험도등급, 안전보건대책을 포함하는 위험성평가는 위험성평가대상 공종(작업)별로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으로 인한 위험요인, 사용자재 및 물질에 의한 위험요인, 작업방법에 의한 위험요인, 사용기계·기구에 대한 위험요인별로 각각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공종(작업)별 작업의 유해·위험요인에 대하여 그 유해위험요인이 사고로 발전할 수 있는 발생빈도(발생 가능성)와 발생강도(사고발생시 사고의 중대성 또는 손실 크기)를 계산하여 위험도등급을 공종(작업)별, 위험요인별로 자체 또는 외부 빅데이터화를 구축한 인공지능시스템과 연계하여 평가할 수 있다.
예를들어, 과거 1년간 전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건설업 재해자수(사망자수 포함)로부터 다음과 같이 발생빈도, 발생강도, 위험도를 산출하여 빅데이터화 할 수 있다.
발생빈도 = (세부공종별 재해자수/전체 재해자수)× 100%
발생강도 = 세부공종별 산재요양 일수의 환산지수합계/세부 공종별 재해자수
위험도값 = 발생빈도× 발생강도
상기와 같은 위험도값에 의하여 위험도등급을 산출할 수 있는데, 다음 [표 1]의 예시와 같이, 평가대상공종(작업)내에서 단위작업별 위험도등급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등급을 결정하고 평가 및 관리기준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위험도등급은 상기 산출된 위험도값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위험도값을 구간별로 정한 상, 중, 하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위험도값을 구간별로 정한 별표갯수로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0140204388-pat00002
상기에서 결정된 위험의 정도가 중대한 위험에 대해서는 구체적 위험 감소대책으로서 안전보건대책을 수립하여 감소대책 실행 이후에 허용할 수 있는 범위의 위험으로 끌어내리는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즉, 위험요인별 위험감소대책은 현재의 안전보건대책을 고려하여 수립하고 이를 개선 대책란에 기입한다. 또한, 위험요인별로 개선대책을 시행할 경우 위험수준이 어느정도 감소하는지 개선후 위험도평가 실시된다.
또한, 위험성 평가 결과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위험성을 평가해서 얻어진 위험 감소대책은 위험 감소대책의 실효성이 있는지 최종적으로 검토하며, 검토시 고려할 사항은 위험감소대책이 기술적 난이도를 고려했는지 여부, 합리적으로 실행가능한 낮은 수준으로 고려되었는지 여부, 실행우선순위가 적절한지 여부, 새로운 위험이 발생하지 않는지 여부, 대책실행후 허용가능한 위험범위내로 위험성이 감소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검토한다.
아울러, 상기 위험 감소대책을 실행한 후 재해감소 및 생산성 향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위험성 평가결과는 근로자에게 공지하고, 다음연도 사업계획 및 재해감소 목표설정에 반영하여 지속적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근로자관리선택부는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로자 성명, 직종, 전화번호, 업체명, 공종을 포함하는 근로자현황목록표시부와, 상기 근로현황목록표시부에서 선택된 근로자의 생년월일, 입사일, 배치일, 공종근무경력을 포함하는 기본정보, 키, 몸무게, 혈압, 보유질환을 포함하는 건강정보 및 개인보호장구 지급여부, 안전교육실시여부를 포함하는 근로자상세정보표시부와, 근로자 출역현황 표시부와, 근로자 위험도 예측현황표시부와, 근로자안전점검 체크시간 및 횟수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관리선택부는 [도 21] 내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 관리자 기본정보설정부, 근로자 위험산정변수설정부, 위험성평가설정부, 현장기본정보설정부, 사용자관리설정부, 모바일관리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관리선택부는 기상센서, 소음센서, 장비접근센서, 가스센서, 사면변위센서, 타워크레인변위센서, CCTV를 포함하는 사항이 입력 및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웹대시보드유닛의 디스플레이 메인화면은 건설기계작업계획, 건설기계안전점검을 포함하는 사항이 입력 및 표시되는 건설기계관리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의 서버유닛은 원격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어 상기 웹대시보드유닛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기 모발일 단말기에 출력되어 입력, 제어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발주기관 관리자 단말기, 종합건설업체 관리자 단말기, 전문건설업체 관리자 단말기, 설계감리 관리자 단말기 또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공사개요, 위험성평가, 근로자관리, 센서관리, 건설기계관리, 시스템관리를 포함하는 사항에 관한 입력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유닛과; 상기 입력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 확인 또는 제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웹대시보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웹대시보드유닛의 디스플레이 메인화면은 상단부에는 공사개요선택부, 위험성평가선택부, 근로자관리선택부, 센서관리선택부, 시스템관리선택부, 공정율표시부, 전체근로자인원현황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안전보건방침표시부, 안전보건목표표시부, 현장공종현황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현장공종현황표시부에 해당하는 현장지도맵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험성평가선택부는 위험성평가대상이 되는 현장공종선택부 및 상기 현장공종선택에 따른 위험성평가목록부를 포함하는 위험성평가표시부와, 상기 위험성평가목록부에서 선택된 목록의 유해위험요인, 위험도등급, 안전보건대책을 포함하는 위험성평가를 작성입력하는 위험성평가표작성부와, 상기 위험성평가표작성부에서 작성된 유해위험요인, 위험도등급, 안전보건대책을 포함하는 위험성평가의 적정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위험성평가점검목록부와, 상기 위험성평가점검목록부에서 선택된 목록의 위험성평가의 적정이행여부를 점검한 결과, 지적내용, 시정요구, 조치내용을 포함하는 사항을 작성입력하는 위험성평가점검작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험도등급은 다음 식에 따라 산출된 위험도값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위험도값을 구간별로 정한 상, 중, 하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위험도값을 구간별로 정한 별표갯수로 표시하여 나타내고,
    발생빈도 = (세부공종별 재해자수/전체 재해자수)× 100%
    발생강도 = 세부공종별 산재요양 일수의 환산지수합계/세부 공종별 재해자수
    위험도값 = 발생빈도× 발생강도
    상기 시스템관리선택부는 현장 관리자 기본정보설정부, 근로자 위험산정변수설정부, 위험성평가설정부, 현장기본정보설정부, 사용자관리설정부, 모바일관리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개요선택부는 사업명, 공사면적, 공사종류, 공사금액, 현장규모, 현장주소, 공사시작일, 공사종료일을 포함하는 공사개요입력표시부와, 상기 안전보건방침표시부, 안전보건목표표시부에 표시되는 안전보건방침/목표입력표시부와, 안전보건활동 및 연간안전활동계획을 포함하는 안전관리계획입력표시부와, 안전조직도 및 비상연락망을 포함하는 안전조직/비상연락망입력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관리선택부는 근로자 성명, 직종, 전화번호, 업체명, 공종을 포함하는 근로자현황목록표시부와, 상기 근로자현황목록표시부에서 선택된 근로자의 생년월일, 입사일, 배치일, 공종근무경력을 포함하는 기본정보, 키, 몸무게, 혈압, 보유질환을 포함하는 건강정보 및 개인보호장구 지급여부, 안전교육실시여부를 포함하는 근로자상세정보표시부와, 근로자 출역현황 표시부와, 근로자 위험도 예측현황표시부와, 근로자안전점검 체크시간 및 횟수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관리선택부는 기상센서, 소음센서, 장비접근센서, 가스센서, 사면변위센서, 타워크레인변위센서, CCTV를 포함하는 사항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대시보드유닛의 디스플레이 메인화면은 건설기계작업계획, 건설기계안전점검을 포함하는 사항이 입력 및 표시되는 건설기계관리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2항, 제5항 내지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의 서버유닛은 원격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어 상기 웹대시보드유닛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출력되어 입력, 제어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1020200181794A 2020-12-23 2020-12-23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102312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794A KR102312738B1 (ko) 2020-12-23 2020-12-23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794A KR102312738B1 (ko) 2020-12-23 2020-12-23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738B1 true KR102312738B1 (ko) 2021-10-14

Family

ID=7815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794A KR102312738B1 (ko) 2020-12-23 2020-12-23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7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223B1 (ko) * 2022-05-12 2022-12-26 주식회사 위솔루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507442B1 (ko) * 2021-12-16 2023-03-09 박영란 환경 안전 보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92275B1 (ko) * 2023-05-31 2023-10-19 임종룡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983B1 (ko) 2014-10-15 2015-12-09 주식회사 세중아이에스 안전 관리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70092317A (ko) * 2016-02-03 2017-08-11 주식회사 두올테크 건설현장 출입통제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 마더보드
JP3215731U (ja) * 2017-11-13 2018-04-12 旭建設株式会社 建設工事における施工計画書の変更一覧表
KR20180039368A (ko) 2016-10-10 2018-04-18 (주)지홈 산업 안전 관제 서비스 시스템
KR20180109470A (ko) 2017-03-28 2018-10-08 (주)네트 건조현장 내 작업자 인명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101957382B1 (ko) 2016-11-25 2019-03-12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1963860B1 (ko) * 2018-08-08 2019-04-01 (주)에스에이티정보 스마트건설현장을 위한 클라우드 협업시스템
KR102026531B1 (ko) 2017-10-13 2019-09-27 주식회사 제이알인더스트리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KR102028201B1 (ko) 2016-11-29 2019-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42616B1 (ko) 2019-04-10 2019-11-08 (주)영신디엔씨 IoT 기반 도심지 건설현장 상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00015642A (ko) * 2020-01-25 2020-02-12 이승철 Super Tree 기반의 Project/Task 지능 목표관리 방법 및 플랫폼
KR20200046660A (ko)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포드림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1566B1 (ko) * 2019-07-16 2020-05-18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983B1 (ko) 2014-10-15 2015-12-09 주식회사 세중아이에스 안전 관리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70092317A (ko) * 2016-02-03 2017-08-11 주식회사 두올테크 건설현장 출입통제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 마더보드
KR20180039368A (ko) 2016-10-10 2018-04-18 (주)지홈 산업 안전 관제 서비스 시스템
KR101957382B1 (ko) 2016-11-25 2019-03-12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유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재난상황의 긴급대처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2028201B1 (ko) 2016-11-29 2019-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9470A (ko) 2017-03-28 2018-10-08 (주)네트 건조현장 내 작업자 인명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102026531B1 (ko) 2017-10-13 2019-09-27 주식회사 제이알인더스트리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JP3215731U (ja) * 2017-11-13 2018-04-12 旭建設株式会社 建設工事における施工計画書の変更一覧表
KR101963860B1 (ko) * 2018-08-08 2019-04-01 (주)에스에이티정보 스마트건설현장을 위한 클라우드 협업시스템
KR20200046660A (ko)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포드림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2616B1 (ko) 2019-04-10 2019-11-08 (주)영신디엔씨 IoT 기반 도심지 건설현장 상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111566B1 (ko) * 2019-07-16 2020-05-18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KR20200015642A (ko) * 2020-01-25 2020-02-12 이승철 Super Tree 기반의 Project/Task 지능 목표관리 방법 및 플랫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442B1 (ko) * 2021-12-16 2023-03-09 박영란 환경 안전 보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481223B1 (ko) * 2022-05-12 2022-12-26 주식회사 위솔루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592275B1 (ko) * 2023-05-31 2023-10-19 임종룡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738B1 (ko)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102111566B1 (ko)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Mohandes et al. Developing a Holistic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assessment model: An application to a case of sustainable construction project
Yazdani et al. A rough based multi-criteria evaluation method for healthcare waste disposal location decisions
KR102005188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Christou et al. The control of major accident hazards: The land-use planning issue
Xu et al. Collaborative information integration for construction safety monitoring
US200902346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workflow management and regulatory compliance
Teo et al. The indirect effect of safety investment on safety performance for building projects
KR102131656B1 (ko)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102316815B1 (ko) 발주기관용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Shohet et al. Integrated communication, control, and command of construction safety and quality
KR100440735B1 (ko) 지리정보를 이용한 위험정보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63619B1 (ko) 건설 현장 위험성 예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N107330643A (zh) 全程风险管理服务及保险服务系统
KR20210009269A (ko)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Forteza et al. Organizational factors and specific risks on construction sites
KR20210009267A (ko)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Omar et al. Critical factors affecting fire safety in high-rise buildings in the Emirate of Sharjah, UAE
RU123187U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функцион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инфраструктурой инженер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несу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уникальных жилых и общественных зданий
KR20160049232A (ko) 원전 건설 안전보건환경관리 프로세스 모델링 구축 방법
CN107481153A (zh) 全程风险管理服务方法
KR102421978B1 (ko) 공정안전관리 기반 디지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7145A (ko) 전사적 자원관리에 의한 환경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ang et al. A Multi-objective location decision making model for emergency shelters giving priority to subjective evaluation of resi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