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660A -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660A
KR20200046660A KR1020180128136A KR20180128136A KR20200046660A KR 20200046660 A KR20200046660 A KR 20200046660A KR 1020180128136 A KR1020180128136 A KR 1020180128136A KR 20180128136 A KR20180128136 A KR 20180128136A KR 20200046660 A KR20200046660 A KR 20200046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risk
sop
server
measure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275B1 (ko
Inventor
김원국
신진교
김광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드림
신진교
김광래
김원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드림, 신진교, 김광래, 김원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드림
Priority to KR102018012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2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를 산출하고, 아울러 그에 따른 위험등급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각 부서별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각종 재난안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이 기록된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험경보 서버; 및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관리하는 SOP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각종 재난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난은 상당한 규모의 인적 피해 및 물적 피해를 발생시키면서도 완전한 대응이 어려워 그 피해를 경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자연재난은 발생빈도는 낮으나 발생의 예측이 어렵고 최근 들어 발생양상이 다각화되고 발생규모도 커지는 추세에 있다. 또한, 산업화가 고도화됨에 따라 자연재난뿐만 아니라 사람에 의한 인재(人災)도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정부는 다양한 재난들에 대해서 컨트롤 타워 역할에 대한 요구에 힘입어 재난안전관리본부를 운용하고 있으며, 국가적인 재난을 관리하기 위해 국가재난관리시스템(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NDMS는 재난 발생의 예방과 대비, 발생된 재난에 대응 및 복구 등과 같이 재난 관리의 단계별 업무를 지원하는 전국 단위의 종합정보시스템으로서, 풍수해와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유형별 업무지원시스템과, 기상청 및 홍수 통제소 등과 같이 유관기관의 재난정보를 연계 및 활용하는 재난정보 공동 활용시스템과, 재난현장을 지원하는 119 소방현장 대응시스템 등이 구축되어 운영중에 있다.
하지만, 재해 또는 재난은 발생지역에 위치한 개개인이 당황하지 않고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다면 그 피해를 큰 규모로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재난발생현장을 통제하는 국지 상황관제센터의 실질적인 통제와 그들을 신뢰하는 개인들의 침착한 대응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재난 발생시에 수행해야 할 표준행동요령(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을 평소에 세밀하게 수립하고, 그에 대해 미리 숙지하고 익숙해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빈번한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진 발생에 대한 교육과 대비를 철저히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은 실제로 지진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또한, 2009년 US 에어웨이스 1549 편의 허드슨 강 불시착 사고에 있어서도 표준작업절차에 따른 침착한 대응으로 인해 사망자 없이 사고가 수습되었으며 이후 허드슨 강의 기적이라고 불리고 있어, 표준작업절차의 숙지와 침착한 초기대응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좋은 예가 되고 있다.
한편,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활용한 IoT 디바이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영상이나 센서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으나,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난정보제공장치는 위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단말기에 재난정보를 제공하고 수신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종래의 사물인터넷 환경의 발전에 부응하는 재난상황 대응 관련 방재안전 서비스 창출이나 상술한 재난대응과 관련한 새로운 결과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5-0045771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를 산출하고, 아울러 그에 따른 위험등급을 결정하며, 방재사각지역 최소화와 재난상황 지휘여건 고도화를 위해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각 부서별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각종 재난안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이 기록된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험경보 서버; 및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관리하는 SOP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험경보 서버는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해당 특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경보 서버는 각 재난에 대한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계측데이터 수집부; 각 재난에 대한 특보데이터를 수신하는 특보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집된 계측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특보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를 산출하는 위험지수 산출부; 상기 산출된 위험지수에 상응하는 위험등급을 결정하는 위험등급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OP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접속 처리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재난 대응방안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재난 대응방안의 각 항목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재난에 대응하는 관리자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훈련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재난 대응방안에 대한 적정성 평가결과를 입력받고, 적정성이 높은 대응방안에 기초하여 최적의 SOP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재난안전 통합관리 방법에 있어서, 위험경보 서버가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경보 서버가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이 기록된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관리 서버가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SOP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해당 특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기상청 서버 및 전력거래소 서버로부터 각 재난에 대한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기상청 서버 및 전력거래소 서버로부터 각 재난에 대한 특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OP를 관리하는 단계는 재난에 대응하는 관리자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훈련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훈련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재난 대응방안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재난 대응방안의 각 항목에 대한 적정성 평가결과를 입력받는 단계; 및 적정성이 높은 대응방안에 기초하여 최적의 SOP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를 산출하고, 아울러 그에 따른 위험등급을 결정하며, 방재사각지역 최소화와 재난상황 지휘여건 고도화를 위해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각 부서별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각종 재난상황과 안전관리 의사결정 체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의 위험경보 서버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의 SOP 관리 서버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관리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관리시스템은, 기상청 서버(10), 전력거래소 서버(20), 위험경보 서버(30),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40), SOP 관리 서버(50), 및 SOP 데이터베이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위험경보 서버(30)와 SOP 관리 서버(50)를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한 예를 설명하지만, 설계자의 설계방식에 따라 하나의 서버(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기상청 서버(10)는 기상, 지진, 환경에 대한 계측데이터와 그에 대한 특보데이터를 위험경보 서버(30)로 제공한다. 이때, 기상은 풍속, 풍향, 온도, 습도, 강우, 적설량 등을 포함하고, 환경은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상화질소, 황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상청 서버(10)는 풍속에 대한 계측데이터, 풍향에 대한 계측데이터, 온도에 대한 계측데이터, 습도에 대한 계측데이터, 강우에 대한 계측데이터, 적설량에 대한 계측데이터를 위험경보 서버(3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상청 서버(10)는 일례로 하기의 [표 1]과 같은 강풍에 대한 특보데이터, 폭풍해일에 대한 특보데이터, 풍랑에 대한 특보데이터, 태풍에 대한 특보데이터, 한파에 대한 특보데이터, 폭염에 대한 특보데이터, 건조에 대한 특보데이터, 호우에 대한 특보데이터, 대설에 대한 특보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특보데이터는 위험지수에 따라 주의보와 경보로 구분되며, 풍랑의 경우 해상에서 풍속 14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3m 이상 예상되는 경우에 주의보가 내려지고, 또한 해상에서 풍속 21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5m 이상 예상되는 경우에 경보가 내려지게 된다.
다른 예로, 태풍의 경우 태풍으로 인하여 강풍, 풍랑, 호우 현상 등이 주의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면 주의보가 내려지고, 또한 강풍 또는 풍랑이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거나 총 강우량이 200mm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거나 폭풍해일이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경보가 내려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대설은 24시간 신적설이 5cm 이상 예상되는 경우에 주의보가 내려지고, 24시간 신적설이 20cm 이상 예상되는 경우에 경보가 내려지게 된다. 참고로, 신적설은 지면 위나 오래된 설면 위에 새로 쌓인 눈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1
또한, 기상청 서버(10)는 일례로 하기의 [표 2]와 같은 지진해일에 대한 특보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2
또한, 기상청 서버(10)는 일례로 하기의 [표 3]과 같은 황사에 대한 특보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3
이러한 기상청 서버(10)는 발전소가 위치하는 지역별(일례로, 태안화력, 군산화력, 인천화력, 평택화력 등)로 기상, 지진, 환경에 대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력거래소 서버(20)는 전력수급에 대한 계측데이터와 그에 대한 특보데이터를 위험경보 서버(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수급에 대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는 우리나라 전체 발전량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고, 특정 발전소의 발전량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력거래소 서버(20)는 일례로 하기의 [표 4]와 같은 전력수급에 대한 특보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4
다음으로, 위험경보 서버(30)는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를 산출하고, 아울러 그에 따른 위험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경보 서버(30)는 기상에 대한 계측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일례로 하기의 [표 5]와 같다.
일례로, 강우가 30mm 이상 50mm 미만이면 위험지수를 '20', 위험등급을 '관심'으로 결정하고, 강우가 50mm 이상 80mm 미만이면 위험지수를 '30', 위험등급을 '주의' 또는 '경계'로 결정하며, 강우가 80mm 이상이면 위험지수를 '40', 위험등급을 '심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주의'와 '경계' 중 어느 하나로의 결정은 전문가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풍속의 경우에 있어서 21m/s 이상 30m/s 미만의 경우 위험지수를 '40' 또는 '60'으로 결정하는 것 역시 전문가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이 경우, 위험경보 서버(30)는 상기 [표 1]에서 폭염에 대한 주의보가 내려졌음을 고려하여 현재 온도가 33℃라 하더라도 기상에 대한 위험지수는 '20', 위험등급은 '관심'으로 결정하지 않고, 기상에 대한 위험지수는 '40', 위험등급은 '주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험경보 서버(30)는 풍속, 온도, 습도, 강우, 적설량 중 위험등급이 높은 요소에 우선순위를 두어 기상에 대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강우가 '경계'등급이고 풍속이 '주의'등급이면 강우에 우선순위를 두어 기상에 대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험경보 서버(30)는 지진에 대한 계측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는 일례로 하기의 [표 6]과 같다.
Figure pat00006
이 경우, 위험경보 서버(30)는 지진에 대한 특보데이터를 고려하여 지진해일에 대한 주의보가 발령되었다면 현재 지진에 대한 계측데이터가 3.5라 하더라도 위험지수는 '40', 위험등급은 '주의'나 '경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험경보 서버(30)는 발전소에 대한 설치된 IoT 소방설비로부터의 정보와 IoT 열상데이터계측장비로부터의 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일례로 하기의 [표 7]과 같다.
Figure pat00007
또한, 위험경보 서버(30)는 환경에 대한 계측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는 일례로 하기의 [표 8]과 같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24시간 평균치가 80㎍/㎥ 이하이면 위험지수를 '20', 위험등급을 '관심'으로 결정하고, 미세먼지 24시간 평균치가 80㎍/㎥ 초과 150㎍/㎥ 이하이면 위험지수를 '30', 위험등급을 '주의'로 결정하며, 미세먼지 24시간 평균치가 150㎍/㎥ 초과 200㎍/㎥ 이하이면 위험지수를 '40', 위험등급을 '경계'로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이 경우, 위험경보 서버(30)는 현재 미세먼지 위험등급이 '관심'이라 하더라도 황사 주의보가 내려졌다면 한단계 격상시켜 '주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험경보 서버(30)는 전력거래소 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수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일례로 하기의 [표 9]와 같다.
Figure pat00009
이 경우, 위험경보 서버(30)는 운영예비력이 순간적으로 300KW 미만으로 연속 10분을 채우지 않더라도 전력수급에 대한 특보데이터가 '주의' 등급이면 곧바로 위험지수는 '40', 위험등급은 '주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경보 서버(30)는 위험지수를 관리함으로써, 위험수준 및 위협관리지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산업시설 특성상, 태풍·폭설·집중호우·강풍·낙뢰·지진 등의 "자연재난"과 발전설비 화재·유해물질 유출·폭발 등의 "사회재난"의 복합적 잠재위협에 대비한 예방 조치와 피해 저감 활동을 위한 면밀한 재난위험지수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장소와 시간의 제한을 극복하면서 결정권자가 재난상황을 조망할 수 있는 IoT 기반 계측 시스템과 방재시나리오 정보포탈 연계를 제공한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과 지능형 대응·평가 요소를 포괄하는 위험지수화 정보기술 내재화로 방재안전관리 통합플랫폼 및 방재시나리오 정보포탈의 효과적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위험경보 서버(30)는 위험등급에 해당하는 재난이 발생하면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등급을 해당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하여 재난이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재난을 알리는 방식은 MMS, SMS, 메신저(카카오톡, 라인 등)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면, 각 관리자들은 자신의 단말기(40)를 통해 SOP 관리 서버(50)에 접속하여 해당 재난에 대한 대응방안을 등록한다. 이는 각 관리자들의 훈련지침에 따른 의무사항이다.
다음으로, SOP 관리 서버(50)는 재난안전을 위한 최적의 SOP를 관리하며, 아울러 재난에 대응하는 관리자들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 프로세스(시나리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SOP 관리 서버(50)는 재난 발생시 각 관리자 단말기(40)로부터 입력받은 재난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해 그 적정성을 평가하고, 적정성이 높은 대응방안은 SOP에 반영하여 최적의 SOP를 수립(생성)한다. 이때, 평가는 AI(Artificial Intelligence)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재난대응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수립된 최적의 SOP는 SOP 데이터베이스(51)에 저장되며, 추후 해당 재난 발생시 SOP 관리 서버(50)에 의해 각 관리자 단말기(40)에 배포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SOP 훈련관리를 시스템화할 수 있으며 절차별 담당자 업무 프로세스의 근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재난대응 훈련 시나리오를 체크리스트를 전산화할 수 있으며, 주기적 매뉴얼 개선 보완과 평가 관리 절차 시스템화로 담당자 개별 대응 수준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SOP 훈련관리 서비스를 촉진할 수 있으며, 상황조치 시나리오에 따른 담당자별 훈련 메뉴얼 제출과 정기적 관계자 회람을 통해 메뉴얼 업데이트 자동화 프로세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력수급이 관심 단계인 경우, 상황실 및 발전계획부의 SOP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SOP는 다른 부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황실에서는 상황을 접수하면 발전설비운영상황과 전력수급상황을 파악한다.
그리고, 현장출동 및 초기대응 조치로서 재난안전대책본부 설치 및 가동, 재난안전대책본부 실무반 편성,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 및 지원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황실을 가동하여, 현장피해 및 대처상황 파악하고, 전력수급 상황보고서 작성 및 전파, 재난상황 수시 보고 및 전파, 필요자원 파악 및 지원요청, 상황판단회의 개최, 관계기관 대책 회의 준비 및 개최, 주요인사 상황실 방문시 브리핑을 수행한다.
발전계획부에서는 전력거래소 수급경보 발령시 시간대별 전력수급 전망을 수신하고 전력수급상황을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소관부서에 징후를 전파하고 경영진 및 정부기관에 징후를 보고한다.
그리고 전력수급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고, 전사 설비운전 현황 파악, 발전설비 감시활동 강화 지시, 설비시험 및 작업 중지 지시를 수행한다.
다른 예로, 전력수급이 주의나 경계 단계인 경우, 상황실 및 발전계획부의 SOP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SOP는 다른 부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황실에서는 전력거래소 수급경보 발령시 전력수급상황 및 발전설비 운영현황을 파악한다.
그리고 경영진 및 정부기관에 상황을 보고하고 전사 및 관련 유관기관에 상황을 전파한다.
그리고 현장피해 및 대처상황을 파악하고 전력수급상황을 수시로 보고 및 전파한다.
그리고 필요자원 파악 및 지원을 요청하며 상황판단회의 개최, 관계기관 대책 회의 준비 및 개회, 주요인사 상황실 방문시 브리핑을 수행한다.
발전계획부에서는 현장대처상황 파악 및 파악내용을 상황실에 보고한다.
또 다른 예로, 전력수급이 심각 단계인 경우, SOP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황실에서는 현장피해 및 대처상황을 파악하고 상황보고서를 작성하여 전파한다.
그리고 전력수급경보 발령시 전직원에게 상황을 전파하고, 전력거래소 출력증발 요청시 본사 관련 부서 및 해당 본부에 상황을 전파하며, 정부기관 및 전력그룹사 대채본부에 상황을 보고한다.
그리고 필요자원을 파악하고 지원을 요청한다.
그리고, 발전설비 출력증발방안 및 지원방안을 논의하고 관계기관 대책 회의를 준비 및 개최하며 주요인사 상황실 방문시 브리핑을 수행한다.
발전계획부에서는 상황을 접수하고 발전설비운영상황 및 전력수급상황을 파악한다.
그리고 정부기관에 상황을 보고하고 유관기관에 상황을 전파한다.
그리고 전력수급상황 및 설비운영현황을 파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의 위험경보 서버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의 위험경보 서버(30)는, 계측데이터 수집부(31), 특보데이터 수신부(32), 위험지수 산출부(33), 위험등급 결정부(34), 및 메시지 전송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아울러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계측데이터 수집부(31)는 기상청 서버(10) 및 전력거래소 서버(20)로부터 각 재난에 대한 계측데이터를 수집한다. 즉, 계측데이터 수집부(31)는 기상청 서버(10)로부터 기상, 지진, 환경에 대한 계측데이터를 수집하고, 전력거래소 서버(20)로부터 전력에 대한 계측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계측데이터 수집부(31)는 발전소에 대한 설치된 IoT 소방설비로부터 설비의 장애 개수 및 화재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으며, IoT 열상데이터계측장비로부터 열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특보데이터 수신부(32)는 기상청 서버(10) 및 전력거래소 서버(20)로부터 각 재난에 대한 특보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위험지수 산출부(33)는 계측데이터 수집부(31)에 의해 수집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 수신부(32)에 의해 수신된 특보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를 산출한다.
상기 [표 4] 및 [표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운영예비력이 순간적으로 300KW 미만으로 연속 10분을 채우지 않더라도 전력수급에 대한 특보데이터가 '주의' 등급이면 위험지수로서 '20'이 아닌 '40'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위험등급 결정부(34)는 위험지수 산출부(33)에 의해 산출된 위험지수에 상응하는 위험등급을 결정한다. 이때, 위험등급은 위험지수의 구간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메시지 전송부(35)는 위험등급 결정부(34)에 의해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해당 관리자 단말기(40)의 관리자는 자신의 관리자 단말기(40)를 통해 SOP 관리 서버(50)에 접속하여 해당 재난에 대한 대응방안을 등록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의 SOP 관리 서버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의 SOP 관리 서버(50)는, 접속 처리부(51), 표시부(52), 입력부(53), 및 제어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아울러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접속 처리부(51)는 웹 접속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모듈로서, 관리자 단말기(40)의 접속처리를 수행하며 관리자 단말기(40)에 재난 대응방안의 입력을 위한 웹 화면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표시부(52)는 관리자 단말기(40)로부터 입력받은 재난 대응방안을 표시하기 위한 웹 화면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52)는 SOP 관리 서버(5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52)는 SOP 관리 서버(5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53)는 표시부(52)에 의해 표시된 재난 대응방안의 각 항목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는다. 이때, 평가는 재난안전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53)는 전문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54)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웹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53)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으로서,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아울러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4)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54)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54)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어부(54)는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각 부서별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즉, 제어부(54)는 재난안전을 위한 최적의 SOP를 관리하며, 아울러 재난에 대응하는 관리자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훈련 시나리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4)는 재난 발생시 각 관리자 단말기(40)로부터 입력받은 재난 대응방안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고 적정성이 높은 대응방안은 SOP에 반영하여 최적의 SOP를 수립한다. 이때, 평가는 AI(Artificial Intelligence)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재난대응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위험경보 서버(30)가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한다(401).
그리고 위험경보 서버(30)가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이 기록된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한다(402).
이후,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관리 서버(50)가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SOP를 관리한다(403). 특히, SOP 관리 서버(50)는 관리자 단말기(40)로부터 재난 대응방안을 입력받고, 재난안전 전문가로부터 상기 재난 대응방안의 각 항목에 대한 적정성 평가결과를 입력받으며, 상기 적정성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적정성이 높은 대응방안에 기초하여 최적의 SOP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최적의 SOP는 추후 각 관리자 단말기(40)로 전송되어 각 재난에 대해 최선의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기상청 서버
20: 전력거래소 서버
30: 위험경보 서버
40: 관리자 단말기
50: SOP 관리 서버
51: SOP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이 기록된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험경보 서버; 및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관리하는 SOP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경보 서버는,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해당 특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경보 서버는,
    각 재난에 대한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계측데이터 수집부;
    각 재난에 대한 특보데이터를 수신하는 특보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집된 계측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특보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를 산출하는 위험지수 산출부;
    상기 산출된 위험지수에 상응하는 위험등급을 결정하는 위험등급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를 포함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OP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접속 처리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재난 대응방안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재난 대응방안의 각 항목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재난에 대응하는 관리자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훈련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재난 대응방안에 대한 적정성 평가결과를 입력받고, 적정성이 높은 대응방안에 기초하여 최적의 SOP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6. 위험경보 서버가 각종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와 특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에 대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험경보 서버가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이 기록된 메시지를 해당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관리 서버가 상기 결정된 위험등급에 상응하는 SOP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재난과 관련된 계측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해당 특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지수와 위험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기상청 서버 및 전력거래소 서버로부터 각 재난에 대한 계측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기상청 서버 및 전력거래소 서버로부터 각 재난에 대한 특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OP를 관리하는 단계는,
    재난에 대응하는 관리자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훈련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재난 대응방안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재난 대응방안의 각 항목에 대한 적정성 평가결과를 입력받는 단계; 및
    적정성이 높은 대응방안에 기초하여 최적의 SOP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방법.
KR1020180128136A 2018-10-25 2018-10-25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05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136A KR102205275B1 (ko) 2018-10-25 2018-10-25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136A KR102205275B1 (ko) 2018-10-25 2018-10-25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660A true KR20200046660A (ko) 2020-05-07
KR102205275B1 KR102205275B1 (ko) 2021-01-20

Family

ID=70733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136A KR102205275B1 (ko) 2018-10-25 2018-10-25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27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772B1 (ko) * 2020-07-22 2021-01-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12738B1 (ko) 2020-12-23 2021-10-14 주식회사 영신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102316815B1 (ko) 2020-12-23 2021-10-25 주식회사 영신 발주기관용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102339691B1 (ko) * 2020-09-10 2021-12-16 김원국 산업단지를 위한 지능형 통합 재난 관제 플랫폼 서버
KR102355696B1 (ko) * 2020-11-17 2022-01-2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입력데이터 조정을 통해 재난대응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시스템
KR20220121509A (ko) * 2021-02-25 2022-09-01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450851B1 (ko) 2022-06-30 2022-10-2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재난 위기 경보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96B1 (ko) 2021-04-03 2022-07-07 장현실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102565325B1 (ko) * 2021-04-15 2023-08-09 (주)블루컴 위기관리 매뉴얼 기반 컨트롤 타워 시스템
KR102454028B1 (ko) 2021-04-17 2022-10-14 주식회사 누비다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102559313B1 (ko) 2021-12-17 2023-07-26 (주)싱크테크노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6203A (ko) 2022-02-22 2023-08-29 주식회사 포드림 중대재해예방 업무프로세스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6202A (ko) 2022-02-22 2023-08-29 주식회사 포드림 중대재해예방 경영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05A (ko) * 2010-03-03 2011-09-09 (주)위니텍 표준작전절차 시나리오 기반의 재난 및 위기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KR20120000716A (ko) * 2010-06-28 2012-01-04 노아솔루션주식회사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6470A (ko) * 2010-10-08 2012-04-18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재난정보의 경보의사결정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20150045771A (ko) 2013-10-21 2015-04-29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05A (ko) * 2010-03-03 2011-09-09 (주)위니텍 표준작전절차 시나리오 기반의 재난 및 위기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KR20120000716A (ko) * 2010-06-28 2012-01-04 노아솔루션주식회사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6470A (ko) * 2010-10-08 2012-04-18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재난정보의 경보의사결정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20150045771A (ko) 2013-10-21 2015-04-29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772B1 (ko) * 2020-07-22 2021-01-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2019374A1 (ko) * 2020-07-22 2022-01-27 주식회사 포에스텍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39691B1 (ko) * 2020-09-10 2021-12-16 김원국 산업단지를 위한 지능형 통합 재난 관제 플랫폼 서버
KR102355696B1 (ko) * 2020-11-17 2022-01-2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입력데이터 조정을 통해 재난대응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시스템
KR102312738B1 (ko) 2020-12-23 2021-10-14 주식회사 영신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102316815B1 (ko) 2020-12-23 2021-10-25 주식회사 영신 발주기관용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KR20220121509A (ko) * 2021-02-25 2022-09-01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450851B1 (ko) 2022-06-30 2022-10-2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재난 위기 경보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275B1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275B1 (ko)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810928A (zh) 可视化电网监测预警及应急指挥系统
CN104951993A (zh) 基于气象及电网gis的综合监测预警系统及方法
CN108805441A (zh) 电力应急指挥系统
CN106815647A (zh) 一种基于数据分析的高效率配电网故障抢修系统及方法
Vazquez et al. Wildfire mitigation plans in power systems: A literature review
CN106022610A (zh) 一种电力系统防台抗台监控应急方法
CN105069558A (zh) 一种基于气象数据的电力设施受损情况的预警分析方法
CN104951493A (zh) 基于gis的气象信息与电力设备关联方法及系统
CN109522380A (zh) 一种面向移动应用的电网灾害综合监测预警数据系统及方法
Bian et al. Risk analysis of tripping accidents of power grid caused by typical natural hazards based on FTA-BN model
CN104991932A (zh) 基于电网gis的卫星实时预警电网设备火灾的方法及其系统
CN109471205B (zh) 一种基于网格化气象数据在电网运行中的监测预警方法
CN113344735B (zh) 电网设备的防灾减灾监测预警系统
CN110942235A (zh) 一种电力应急评估系统
de Moraes Proposing a metric to evaluate early warning system applicable to hydrometeorological disasters in Brazil
KR101919993B1 (ko) 산업단지 내 위험확산 방지 방법
KR102350252B1 (ko) 맵 라이브러리 데이터셋 구축 및 활용방법
JP2002092264A (ja) 自治体等の防災システム
KR102143039B1 (ko) 다중 경로식 원격감시제어장치
KR20150059505A (ko) 기지국 유동인구 정보를 활용한 재난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708534B1 (ko) 유시티 통합 관제를 위한 데이터 관리 방법, 서버 및시스템
CN117275181A (zh) 基于双控地质灾害监测预警系统
Bredesen et al. Understanding and acknowledging the ice throw hazard-consequences for regulatory frameworks, risk perception and risk communication
KR102504503B1 (ko) 재난위험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한 위치별 통합재난위험등급정보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