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19374A1 -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19374A1
WO2022019374A1 PCT/KR2020/011727 KR2020011727W WO2022019374A1 WO 2022019374 A1 WO2022019374 A1 WO 2022019374A1 KR 2020011727 W KR2020011727 W KR 2020011727W WO 2022019374 A1 WO2022019374 A1 WO 20220193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ituation
disaster
situation propagation
propagation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17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승원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에스텍
Publication of WO20220193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193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technology, and more specifically, a situation for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that can provide a situation propagation function that defines standard tasks for collaboration functions by disaster type and links with the management of standard-defined collaboration functions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radio wave platform.
  • the types of disasters are not only diversifying, but also their damage, from the shock of the Gyeongju earthquake, which was considered a safe zone, the war against fine dust that occurs every spring, the spread of bird flu that appears as a regular, the recent pesticide egg scandal, and the spread of the Corona 19 virus. It can be seen that is deeply infiltrating our daily life.
  • Organic cooperative response is an essential factor in reducing damage caused by disasters, and disasters occur on-site and locally. need to be maximized.
  • disaster response that defines roles and responsibilities between organizations so that local governments, public institutions, NGOs, and private organizations can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utilize their respective organizations, equipment, and materials in the event of a disaster.
  • a disaster response collaboration system is needed to implement the plan and concrete implementation.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for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that can define standard tasks for collaboration functions for each type of disaster and provide a situation propagation function that is linked with the management of standard-defined collaboration functions. do.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for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that can support a site-oriented customized disaster response system to share the disaster site situation in real time to enable rapid situation determination and response do.
  • the method of providing a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for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includes: establishing a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for a collaboration function for each type of disaster; generating a business management process for managing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by receiving a selection regarding the collabo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ituation;
  • the work management process is started, the uniquely assigned emergency contact network function and situation propagation function are activated respectively, and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s access to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is tracked in real time,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us between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s is monitored.
  • the checklist includes an internal process linking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and the situation propagation function, and and generating and providing a function that is implemented to automatically branch the flow of situation propaga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selection by initiat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process when a function is activated and a specific selection is input.
  • the step of establishing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includes: collecting response plan information for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recovery and support for each type of disaster; defining a plurality of business objects based on the response plan information, wherein the business object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response time; generating mapping information on elements related to the work object in a predefined set of authorities in charge, a set of departments in charge, and a set of tasks in charge; and determining a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for each disaster type, arranging the work objects based on the response time, and updating the work object according to the mapping information. can do.
  • each agency, department (or department) according to the business subject respectively classifying; Determining at least one work management path with respect to the flow of work management on the work management graph consisting of nod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stitutions and departments; and generating, as the business management process, a process designed to include task assignment information for a business subject of each node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business management path, and to transmit a task assigned to each business entity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path.
  • step of monitoring th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when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function is activated, branch nodes branching to two or more nodes on the business management path are determined in conjunction with the business management process, and the business corresponding to the branch nodes is determined. It may include the step of creating an emergency contact network composed of subjects and determining the emergency situation propagation according to the emergency emergency contact network according to the activity of each of the connection status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 the step of generating and providing the checklist includes: classifying work objects related to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regarding the flow of situation propagation in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generating first and second checklists, respectively, comprising business objects associated with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providing the first checklist to the subject of situation propagation while procee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providing the second checklist to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 when proceeding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reflecting and updating the results of the first checklist for work objects related to the first checklist at the same time can do.
  • the device for providing a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for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includes: an SOP building unit that establishes a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related to a collaboration function for each type of disaster; a situation propagation pre-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regarding the collabo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ituation and generating a business management process for the management of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the work management process is started, the uniquely assigned emergency contact network function and situation propagation function are activated respectively, and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s access to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is tracked in real time,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us between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s is monitored.
  • the situation propagation unit includes an internal process linking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and the situation propagation function, and and a context propagation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and provides a function to automatically branch the flow of context propaga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selection by initiat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process when a function is activated and a specific selection is input.
  • 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for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can provide a situation propagation function that defines standard tasks for collaboration functions for each type of disaster and interworks with the management of the standard defined collaboration functions.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for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can support a site-oriented customized disaster response system to enable rapid situation determination and response by sharing the disaster site situation in real time.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of FIG. 1 .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of FIG. 1 .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for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stablishing a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business manag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work management 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 identification number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 the core response tasks include preparing, reporting and disseminating the disaster response situation report (Chairman/Vice Minister, Prime Minister’s Office, BH), and preparing and disseminating the situation assessment meeting for each stage of disaster according to the major and heavy damage reports based on the collection of data on the damage status and response status. It can consist of holding, operating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taking special instructions from the head of the Central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and supporting and coordinating 13 collaborative functions and tasks.
  • the core response task may consist of requesting relief cooperation from relevant ceremonies and relief support organizations (the Korean Red Cross and the National Disaster Relief Association, etc.)
  • a pan-government collaboration system that can be quickly applied and utilized can be established.
  • Core response tasks include establishment, operation, and support of a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in case of emergency communication demand such as disaster sites and major scripts, identification and recovery of damage to communication facilities in areas with communication loss, communication support such as installation of a telephone network in disaster relief facilities, Consists of joint use of disaster-related organizations necessary for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securing resources and managing the current situation, organizing and operating a consultative body for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at the central and city/provincial level, and specialized education and joint training tasks to enhance emergency communication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can be
  • the central government By coordinating and organizing the capabilities and resources of the central government to enable the rapid procurement of specialized personnel, equipment, materials, and other support for preparation, response, or recovery from a large-scale disaster or accident requiring the central government's response. It can support management organizations of public and private facilities subject to emergency restoration.
  • the core response task is to check the status of the emergency support system and the on-site command system in advance, check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for each facility in the expected damage area, the responsible department, and the support organization when disaster damage is expected, and identify the equipment capable of emergency support related to emergency recovery (in the vicinity of the site) equipment priority), and in the event of damage, the emergency recovery status of major damaged facilities, identification of the status of possession and spare equipment, and operation of the wide area support system can be composed.
  • Core response tasks include emergency response support for energy, operation of a disaster response situation room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4 hours a day), support for emergency energy recovery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industrial complexes such as energy supply facilities, support for energy recovery of damaged facilities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It can consist of emergency energy support such as aquaculture farms, vinyl houses, and livestock houses, emergency support requests for disaster sites and isolated areas with energy supply, energy supply support for the temporary disaster countermeasure headquarters, and emergency energy support for temporary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victims.
  • emergency energy support such as aquaculture farms, vinyl houses, and livestock houses, emergency support requests for disaster sites and isolated areas with energy supply, energy supply support for the temporary disaster countermeasure headquarters, and emergency energy support for temporary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victims.
  •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order for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efficiently utiliz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such as materials, equipment, and manpower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rivate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must establish a comprehensive joint utilization system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to provide disaster relief. It can support the minimization of disaster damage by providing promptly and accurately.
  • the core response tasks are to establish a mobilization system that allows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to be put in quickly and in a timely manner by establishing a joint utilization system for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through mutual cooperation system and role sharing among related agencies, effective accident management in disaster-affected areas, and
  • mutual linkages and emergency liaison systems are established between all support elements for efficient coordination and support,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planning, securing sources, and resource acquisition and utilization.
  •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basic plan for joint use of internal and external logistics based on cooperation, and resource request and support during the disaster response period can be composed of mutual support tasks through existing implementation agreements (MOUs) and inter-agency agreements.
  • the core response tasks include monitoring and reporting on damage to traffic and infrastructure caused by disasters, securing alternative modes of transportation that can be locally implemented, continuation of transportation activities for road, rail, subway, and air transportation by means of transportation, coordination of transportation and facility infrastructure recovery activities, It can consist of disaster prevention, preparedness, response, recovery, and mitigation activities coordination support work within the limits of the authority and resources of transportation-related organizations.
  • the core response tasks include the operation of the on-site emergency medical support system and the overall emergency medical support such as the supply of medical support supplies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emergency treatment system for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support for the central stockpile of quarantine drugs, operation of a monitoring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patients, and epidemiology to identify the cause It can consist of preventive and management support tasks such as investigation, quarantine, and treatment of infected people.
  • the core response tasks include identification of information on domestic waste infrastructure, the situation of major damage, the status of securing facilities and accommodations for support personnel such as volunteers and other local governments, reporting to the situation room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damaged city/province (si/gun/gu), and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disaster waste treatment, such as identifying the working system, and designate a priority area (collection/transport area, etc.) for disaster wast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so that recovery work can proceed smoothly.
  • it can be composed of cooperation support for disaster site environmental maintenance such as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disaster waste.
  • Core response tasks include identifying, adjusting and supporting the demand for volunteers in disaster areas, identifying the demand for volunteering at the disaster site, input status, unresolved requirements, etc.
  • Core response tasks include access control to disaster sit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emergency response, evacuation of residents/life protection measures from areas where damage is expected, traffic control and detour measures to secure passageways for emergency vehicles to arrive at the site, and crime prevention (plundering relief goods, theft, etc.) ), maintenance of social order in the disaster area, such as patrolling for patrol and accident site investigation in the disaster area, sharing of on-site control and traffic control information, operation of a situation room for dissemination of the situation and operation of an emergency contact system, response resources and In case of shortage of manpower, it may consist of a request for support.
  • Core response tasks include operation of the central control group for command and control relocation and integrated operation for managing special disaster situations, performing large-scale search and rescue tasks, performing life-saving activities such as requesting emergency medical resources in case of shortage of first aid equipment, induced disasters and 2 It can consist of car damage prevention activities, collaboration between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s, and requesting cooperation related to search, rescue, and first aid to support departments (institutions).
  • the core response task is to provide coordinated information related to disasters to the media and stakeholders when a disaster occurs or is imminent, to share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among disaster-related organizations to avoid distributing disparate information, and to distribute coordinated information; It can consist of response to misinformation and monitoring of rumors on SNS, and guidance on disaster victim-related services such as psychological treatment to disaster victims and their families.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system 100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 a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 and a database 150 .
  • 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communication for task confirmation and situation propag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phone, notebook or comput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tablet PC.
  •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13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context propagating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130 .
  • the user terminal 1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task to be performed from the user in the context propagation process, and may provide the user with a checklist on task performance to support the user to effectively check the task performance situation.
  • the user terminal 110 may install and execute a dedicated program or a dedicated application for interworking with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and continue real-time interworking with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from the time of situation occurrence until the end of the situation through the backend process. can also be maintained as
  •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that can support normal operation of a collaboration function between a response agency and a person in char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ituation.
  •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network and may exchange information.
  •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130 may visualize and provide various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ntext propagation process. For example,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may generate a disaster registration card-centered collaboration dashboard for each disaster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targeted for the situation propagation.
  •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130 may store data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database 150 .
  •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13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processor, a memory, a user input/output unit,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 the database 150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
  • the database 150 may store information on standard tasks for collaboration functions for each type of disaster, and may store situ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r disaster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disaster respons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for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in various forms during the provision process may be stored.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of FIG. 1 .
  •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13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 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cedure for processing each step in the process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operating, and manage the memory 230 that is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and the memory A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the volatile memory and the non-volatile memory in 230 may be scheduled.
  •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the data flow between them. can be controlled
  •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130 .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rive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overall data required for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 and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 SSD solid state drive
  • HDD hard disk drive
  •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a touch screen.
  •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accessed through remote access, and in such a case,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may be performed as a server.
  •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N (Wide Area Network) (VAN). It may include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Value Added Network).
  • LAN local area network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WAN wide area network
  • VAN Wide Area Network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of FIG. 1 .
  •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includes the SOP building unit 310 , the context propagation preprocessor 330 , the context propagation performing unit 350 , the context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 and the control unit 390 . may include
  •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may establish a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for a collaboration function for each type of disaster.
  •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may correspond to a set of step-by-step instructions for effectively handling complex routine tasks that each person in charge must perform when a situation occurs.
  •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may provide a basis for effectively responding to disaster situations by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various organizations and departments for each type of disaster in advance as a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periodically updating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That i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organizational change proceeds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social development,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periodically updating the establishe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In another embodiment,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can immediately update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the collaboration function related to the change when a change is detected for the subject of the collabo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that is, the institution and the department. have.
  •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collects response plan information for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recovery and support for each type of disaster, and a response plan Based on the information, it defines a plurality of work objects -the task objec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response time - and relates to the elements related to the work object in the predefined set of agencies in charge, the set of departments in charge and the set of tasks in charge. After generating mapping information, determining a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usiness objects for each type of disaster, aligning the business objects based on the response time, and updating the business object according to the mapping informa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 the situation propagation preprocessor 330 may receive a selection regarding a collabo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ituation and create a business management process for the management of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the context propagation preprocessor 330 may generate and provide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collaboration function, and may receive a selection input corresponding to the collaboration function through the interface.
  • the situation propagation preprocessor 330 can contribute to effective situation propagation and business process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by creating a business management process that provides management functions related to creation, inquiry, change, and deletion of the selected collaboration function.
  • the task management process manages the task list given to each person in charge in the process of disseminating the situation, monitor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start and end of the task, and supports the task performance details for each person through the checklist. It may correspond to a dedicated process. That is, the situation propagation preprocessor 330 may generate and provide a business management process based on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each type of disaster in order to quickly respond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ituation.
  • a process designed to include task assignment information for a business subject of , and to transmit a task assigned to each business subject according to path progress, can be created as a business management process.
  • the situation propagation preprocessor 330 may determine the task in charge according to the work structure, capability, and scope of each institution and department under the cooperative system with reference to the establishe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Accordingly, a specific task may be classified redundantly in a plurality of organizations and departments, and the task may correspond to a minimum unit of work that can be independently defined and processed. Tasks classified by business subject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business entity, and, if necessary, can be reprocessed and stored in a grouped form according to response time.
  • the context propagation preprocessor 330 may determine at least one work management path regarding the flow of work management on a work management graph composed of nod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stitutions and departments.
  • the business management graph may correspond to a network composed of a node corresponding to a business entity and an edge corresponding to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ntities, and the business management path is related to the connection between adjacent nodes. It may correspond to a sequence.
  • the situation propagation preprocessor 330 may define a business management path on the business management graph in consideration of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business subjects and the situation propagation direction when the situation is propagated.
  • the business management path may be branched from one node to a plurality of nodes according to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ntities, and may be merged into one node from the plurality of nodes.
  • the situation propagation pre-processing unit 330 includes task assignment information for the work subject of each node included in at least one work management path, and a process designed to transmit the task assigned to each work subject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path. It can be created as a business management process. That is, the work management process may correspond to a systematic procedure of allocating a task to a work subject corresponding to each node along a work management path defined on the work management graph and checking the task processing result.
  • the situation propagation execution unit 350 activates the uniquely assigned emergency contact network function and situation propagation function when the business management process is started, tracks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s access to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in real time, and sends/receives between situation propagation targets You can monitor the reception status.
  • the situation propagation performing unit 350 may detect whether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is normally operated through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function, and may detect whether the communication flow between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s is cut through the situation propagation function.
  • the situation propagation unit 350 determines branch nodes branching to two or more nodes on the business management path in conjunction with the business management process, and performs tasks corresponding to the branch nodes. It creates an emergency emergency contact network composed of subjects,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emergency situation propagation according to the emergency emergency contact network according to the activity of each connection status and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 the situation propagation performing unit 350 may determine branch nodes branching to two or more nodes on the work management path in conjunction with the work management process.
  • the business entity corresponding to the node where the business management path is branched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mergency contact system.
  • the situation propagation execution unit 350 may determine an important person in charge in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based on the branch node.
  • the situation propagation performing unit 350 may create an emergency emergency contact network composed of business entities corresponding to the branch nodes. That is,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may correspond to a contact system for business entities who play an important role in emergency contact.
  • the situation propagation performing unit 350 may determine the emergency situation propagation according to the emergency emergency contact network according to the activity of each of the connection status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propagation performing unit 350 may restore the flow of progress through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when the progress of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is not smooth or disconnected.
  • the context propagation performing unit 350 may activate a context propagation function interworking with at least two context propagation channels when the task management process is started. That is, the context propagation execution unit 350 can prepare for a situation in which a specific context propagation channel does not operate normally by allowing the flow of context propagation to proceed independently through two or more context propagation channels.
  • the channel of situation propagation may include an email, a mobile message, a dedicated app, or a web page.
  •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may generate and provide a checklist regarding standard response tasks to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based on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may manage the progress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and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work to be performed to each business entity through a checklist at each stage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may provide a separate interface for inputting performance results for each task together with the checklist.
  •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may generate a checklist by reflecting the work results performed by the previous work subject.
  • the checklist generated by the context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n internal process that interworks with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and the context propagation function.
  • the func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external access (or execution), and when a specific selection is input,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process can be started.
  • the internal process of the checklist can automatically branch the flow of context propagation according to specific selections.
  • the internal process included in the checklist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next subject of situation propag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 Situation propagation can proceed.
  • the flow of situation propaga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selection as the target of the next situation propagation is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election.
  •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classifies the work objects associated with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w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in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First and second checklists composed of work objects related to directions are generated, respectively, and the first checklist is provided to the subject of situation propagation while procee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when proceeding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checklist can be updat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first checklist for the work objects related to the first checklist at the same time while providing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
  • the second direction may correspond to a reverse direction to the flow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may independently generate and provide a checklist associated with a task performed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checklist associated with a task performed in the reverse direction.
  •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may update the checklist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work in the case of the work performed in the reverse direction.
  •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work objects related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w of situation propagation in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emergency situation propagation.
  • Tasks related to emergency propaga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ely configuring related work objects and generating first and second checklists composed of work objects rela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n case of emergency propagation Objects are add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hecklists, and the first checklist is provided to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 while procee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checklist is provided to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 when proceeding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doing so, only business objects related to emergency situation propagation can be activated.
  •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may adjust the number of work objects included in the checklist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That is,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may reduce the number of work objects included in the checklist when the situation propagation needs to be performed urg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Meanwhile,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may increase the number of work objects included in the checklist when the situation propagation may be relatively late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ster.
  •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may adjust the number of work objects included in the checklist according to the disaster grad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the number of activated situation propagation channels, and the length of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For example,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reduces the number of work objects included in the checklist as the disaster level is higher, the number of activation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channel is small, and the length of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is longer. can support you.
  • the controller 3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ext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 and between the SOP building unit 310 , the context propagation preprocessor 330 , the context propagation execution unit 350 , and the context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 It can manage control flow or data flow.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for strengthening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apparatus 130 may establish a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related to a collaboration function for each disaster type through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step S410).
  •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may receive a selection regarding a collabo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ituation through the situation propagation preprocessor 330 to generate a business management process for the management of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tep S430) ).
  •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activates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function and the situation propagation function that are uniquely assigned when the task management process is started through the situation propagation execution unit 350, respectively, and access to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of the situation propagation subjects It is possible to track the situation in real time and monitor th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between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s (step S450).
  •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may generate and provide a checklist regarding standard response tasks to the situation propagation target according to the flow of situation propagation based on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through the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370 (step S470) ).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stablishing a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may establish a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related to a collaboration function for each type of disaster through the SOP building unit 310 .
  •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may collect response plan information for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recovery and support for each type of disaster (step S510).
  • Response plan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collected from various organizations or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public portals.
  •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may utiliz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50, and in this case, the database 150 interworks with an external system through a data collection function to periodically collect, process and It can play a role in storage.
  • the response plan for prevention may include public relations to the public, safety policy establishment, facility inspection, etc.
  • the response plan for preparation includes training, manpower management, It may include equipment management
  • the response plan for a response may include report reception, situation propagation, on-site dispatch, on-site response, situational awareness, situation analysis, resource management, resource joint use, and the like.
  • the response plan for recovery may include relief and recovery support
  • the response plan for support may include business support and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may define a plurality of work objects based on the response plan information - the work objec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 the work object may correspond to an independent work unit performed by the work subject, and may be defined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response time, work content, cost, and time (step S530).
  •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may generate mapping information on elements related to the work object in the predefined set of authorities in charge, the set of departments in charge, and the set of tasks in charge (step S550).
  • the set of agencies in charge may include information agencies, public agencies, and external agencies as the subject of work performing tasks. It may include tasks that can be handled.
  •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may designate an institution or a department as a responsible business subject for each business object, and may designate related tasks, and the business object may include mapping information regard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determines a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usiness objects for each disaster type, aligns the business objects based on the response time, and then updates the business object according to the mapping information. can be (step S570).
  • the SOP construction unit 310 may build a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each type of disaster, and after defining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in advance, update the busines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to generate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business manag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ork management process may be defined based on the standard work for the collaboration function for each type of disaster.
  • the work management process may be generated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work object 630 for each work subject 610 according to the progress 650 of the work management path.
  • the progress 650 of the business management path may indicate a direction for business management in a situation propagation process when a disaster situation occurs.
  • the work subject 610 may correspond to an institution and a department for situation propagation, and the work object 630 may correspond to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work subject 610 .
  • the business entity 610 when the business entity 610 is in charge of the duties and roles for general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perform disaster situation reception, initial report and situation propagation, etc. as a response activity for a disaster situation. have. If the business entity 610 is in charge of the duties and roles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perform tasks such as identifying and taking action on an initial damage situation, establishing a disaster response posture, and establishing a collaboration func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work management 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tuation propagation platform providing device 130 receives a selection regarding a collabo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ituation through the situation propagation preprocessor 330 to generate a business management process for the management of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can do.
  • the work management process may proceed along the work management path defined on the work management graph 700 , and the proceeding directions are a first direction 730 corresponding to a forward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750 corresponding to a reverse direction. can be distinguished.
  • the work management path may branch from one node to a plurality of nodes, and in this case, the branch node 710 may correspond to a node to which the path branches to and advances to the plurality of nodes.
  • processor 230 memory
  • situation propagation execution unit 370 situation propagation management unit
  • first direction 750 second dir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재난 유형 별로 협업기능에 관한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를 구축하는 단계; 재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상기 협업기능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여 상기 표준운영절차의 관리를 위한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업무관리 프로세스가 개시되면 고유 할당되는 비상연락망 기능 및 상황전파 기능을 각각 활성화하고, 상황전파 대상자들의 상기 비상연락망에 대한 접속상황을 실시간 추적하며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들 간의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운영절차를 기초로 상황전파의 흐름에 따라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표준대응업무에 관한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난 유형별 협업기능 표준업무를 정의하고 표준정의된 협업기능의 관리와 연동하는 상황전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안전지대라 여겼던 경주 지진의 충격과 봄철마다 발생하는 미세먼지와의 전쟁, 단골처럼 등장하는 조류독감의 확산, 최근 살충제 계란 파동, 코로나 19 바이러스 확산까지 재난의 종류가 다양해질 뿐 아니라 그 피해가 우리의 일상생활 깊숙이 침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 재난피해의 범위는 광범위해지고, 한 가지 재난유형이 아닌 연쇄적 영향으로 복합적인 재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대규모 재난에 효과적 대응을 위해서는 재난관리 기관만으로는 대응의 한계가 있어 여러 기관이 참여할 수밖에 없다. 오늘날의 재난은 그 시점과 형태 예측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필요한 대응체계는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를 포괄하는 유기적 협력구조라고 할 수 있다.
유기적인 협력대응은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는 데 필연적인 요인으로, 재난은 현장에서 발생하고 현장은 지역에서 발생함으로 지역의 재난대응체계와 상호협력체계의 구축을 통하여 지역 차원의 재난대응 역량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역에 속하는 정부, 공공기관, NGO, 민간기관 등에 이르기까지 재난이 발생할 경우 각자가 보유하고 있는 조직, 장비, 물자 등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기관 간 역할과 책임을 정의하는 재난대응 계획과 이를 구체적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재난대응 협업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재난유형별 재난관리 체계를 정립하고 표준 업무에 관한 절차를 수립하여 이에 기초한 재난 대응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870795호 (2018.06.1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난 유형별 협업기능 표준업무를 정의하고 표준정의된 협업기능의 관리와 연동하는 상황전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난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신속한 상황판단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 현장 중심의 맞춤형 재난대응 체계를 지원할 수 있는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은 재난 유형 별로 협업기능에 관한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를 구축하는 단계; 재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상기 협업기능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여 상기 표준운영절차의 관리를 위한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업무관리 프로세스가 개시되면 고유 할당되는 비상연락망 기능 및 상황전파 기능을 각각 활성화하고, 상황전파 대상자들의 상기 비상연락망에 대한 접속상황을 실시간 추적하며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들 간의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운영절차를 기초로 상황전파의 흐름에 따라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표준대응업무에 관한 체크리스트 -상기 체크리스트는 상기 비상연락망 및 상기 상황전파 기능에 연동하는 내부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외부 접근에 따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특정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내부 프로세스의 동작을 개시함으로써 상기 특정 선택에 따라 상기 상황전파의 흐름을 자동 분기시키도록 구현됨- 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준운영절차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 유형 별로 예방(prevention), 대비(preparation), 대응(response), 복구(recovery) 및 지원(support)을 위한 대응계획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대응계획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업무 객체들 -상기 업무 객체는 대응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을 정의하는 단계; 기 정의된 담당 기관 집합, 담당 부서 집합 및 담당 업무 집합에서 상기 업무 객체와 연관되는 요소들에 관한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유형 별로 상기 복수의 업무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준운영절차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대응시점을 기준으로 업무 객체를 정렬한 후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상기 업무 객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에 의한 협업기능에 따라 상황 접수, 수습 및 복구를 포함하는 각 단계에서의 태스크(task)들에 대해 업무주체에 따라 기관별, 부서(또는 부처)별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 기관들 및 부서들 각각에 대응되는 노드들로 구성된 업무관리 그래프 상에서 업무관리의 흐름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업무관리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무관리 경로에 포함된 각 노드의 업무주체에 대한 태스크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경로 진행에 따라 각 업무주체에게 할당된 태스크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스를 상기 업무관리 프로세스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연락망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업무관리 프로세스와 연동하여 상기 업무관리 경로 상에서 두개 이상의 노드들로 분기하는 분기 노드들을 결정하고 해당 분기 노드들에 대응되는 업무주체들로 구성된 긴급 비상연락망을 생성하며 상기 접속상황 및 상기 송·수신 상태 각각의 활성도에 따라 상기 긴급 비상연락망에 따른 긴급 상황전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표준운영절차에서 상황전파의 흐름에 관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 연관되는 업무 객체들을 각각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연관된 업무 객체들로 구성된 제1 및 제2 체크리스트들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1 체크리스트를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체크리스트를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제공하면서 상기 제1 체크리스트와 동시에 연관된 업무 객체들에 대해 해당 제1 체크리스트의 결과를 반영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는 재난 유형 별로 협업기능에 관한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를 구축하는 SOP 구축부; 재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상기 협업기능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여 상기 표준운영절차의 관리를 위한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상황전파 전처리부; 상기 업무관리 프로세스가 개시되면 고유 할당되는 비상연락망 기능 및 상황전파 기능을 각각 활성화하고, 상황전파 대상자들의 상기 비상연락망에 대한 접속상황을 실시간 추적하며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들 간의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상황전파 수행부; 및 상기 표준운영절차를 기초로 상황전파의 흐름에 따라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표준대응업무에 관한 체크리스트 -상기 체크리스트는 상기 비상연락망 및 상기 상황전파 기능에 연동하는 내부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외부 접근에 따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특정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내부 프로세스의 동작을 개시함으로써 상기 특정 선택에 따라 상기 상황전파의 흐름을 자동 분기시키도록 구현됨- 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상황전파 관리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재난 유형별 협업기능 표준업무를 정의하고 표준정의된 협업기능의 관리와 연동하는 상황전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재난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신속한 상황판단 및 대처가 가능하도록 현장 중심의 맞춤형 재난대응 체계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운영절차의 구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관리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명확한 책임 및 역할 규정을 통한 협업대응체계 일원화를 위해 13개 협업기능별 기본체계 및 내·외부 지원 및 협업기관을 정립하고, 협업기능은 기관별로 해당하는 사항이 다를 수 있으며, 같은 기능이라고 하더라도 기관의 성격과 특성에 따라 하는 업무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난 발생에 따른 협업기능의 항목을 작성기관에 해당하는 재난의 종류, 기관의 성격 및 특성, 기관의 주요 업무를 고려하여 목표 구성을 수립할 수 있다. 현장에서 운영되는 효과적인 표준협업대응절차 수립을 통해 13개 협업기능 표준운영절차(SOP)와 재난대응 협업 상호 자원요청/지원 체계를 수립할 수 있다.
1)재난상황관리
재난 발생 사전대비 단계부터 피해복구 완료단계까지 신속·정확한 상황관리 전파 및 보고체제 가동, 13개 협업기능별, 관련 부처(부서) 및 유관기관간 상호협력 체계 효과적 관리 및 중대본-중수본-지대본 통합재난상황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핵심 대응업무는 재난대처 상황보고서 작성, 보고 및 전파(장·차관, 총리실, BH) 업무, 피해현황과 대처상황의 자료 취합을 기반으로 지대본, 중수본 보고에 따른 재난단계별 상황판단회의 준비·개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 중앙대책본부장 특별지시사항 조치, 13개 협업기능 지원·조정 및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2)긴급생활안정지원
재난으로 인한 이재민 발생에 대비하여 긴급생활안정지원에 관한 협업체계 구축하고 각 기관별 역할 분담 및 재난유형별 재난구호 대응, 이재민 심리회복 지원활동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재난 발생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호활동을 통해 이재민 보호 및 생활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핵심 대응업무는 이재민 구호 상황파악 및 공유를 기반으로 관계부처 및 구호지원기관(대한적십자사 및 전국재해 구호협회 등)에 구호협조 요청, 유관부처 및 기관 협조 요청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3)긴급통신지원
재난발생으로 주요 통신이 두절되는 상황에 대비하여 미리 유선이나 무선 또는 위성통신망을 활용할 수 있도록 긴급통신수단 마련하고, 재난현장의 지휘통신 두절 시 재난관련기관 보유자원(정보통신설비, 인력 등)을 신속히 지원하여 활용할 수 있는 범정부 협업체계 구축할 수 있다. 핵심 대응업무는 재난현장 및 중대본 등 긴급통신 수요 발생 시 긴급통신체계 구축·운영 및 지원, 통신두절 지역 내 통신시설 피해현황 파악 및 복구 지원, 재난발생 시 이재민수용시설에 전화망 설치 등 통신 지원, 긴급통신 지원에 필요한 재난관련기관 공동 활용 보유자원 확보 및 현황 관리, 중앙 및 시·도 단위의 긴급통신지원 등을 위한 협의체 구성 운영, 긴급통신 재난대응 역량 제고를 위한 전문교육 및 합동훈련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4)시설응급복구
중앙정부의 대응을 필요로 하는 대규모 재난 사태 혹은 사고로부터 사전대비, 대응 또는 복구를 위하여 전문 인력, 장비, 자재 등 기타 지원의 신속한 조달을 가능하게 하는 중앙정부의 역량과 자원을 조정하고, 조직함으로써 응급복구 대상 공공, 사유시설물의 관리기관을 지원할 수 있다. 핵심 대응업무는 평상시에 긴급 지원체계 및 현장지휘 체계 사전 구축상황 확인, 재난 피해 예상시에 피해예상지역 시설별 책임기관, 책임부서, 지원기관 비상연락망 확인과 응급복구관련 비상지원 가능한 장비 파악(현장주변 장비 우선 파악), 피해 발생시에 주요 피해시설에 대한 응급복구 상황파악과 보유 및 여유장비 현황 파악, 광역지원체계 가동 등의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5)에너지기능복구
태풍, 집중호우 등 자연재난과 가스폭발, 누전화재 등 사회재난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에너지(전기·가스 등) 공급시설 피해에 대한 신속한 복구 필요에 따라 정전, 가스공급 중단 등 에너지 공급중단 사고에 대한 응급복구 및 신속한 기능회복을 위해 협조부서와 지원기관 등의 협업기능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핵심 대응 업무는 에너지 긴급 지원 등 재난대응 상황실 운영 (산업통상자원부 24시간 상시운영), 에너지공급시설 등 국가기반시설 및 산업단지 피해시설 에너지 긴급복구 지원, 국민생활 밀착형 피해시설 에너지기능 회복 지원, 양식장·비닐하우스·축사 등 에너지 긴급 지원, 재난현장 및 에너지 공급 고립지역 긴급 지원 요청, 임시 재난대책본부 에너지 공급 지원, 이재민 임시 수용시설 긴급에너지 지원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6)재난자원지원
중앙과 지방자치단체가 재난발생 시 자재·장비·인력 등 재난관리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앙과 지자체, 민간기관·단체, 비정부 조직 재난관리자원의 종합적인 공동활용 체계를 구축하여 재난현장에 신속·정확하게 제공하여 재난피해 최소화를 지원할 수 있다. 핵심 대응업무는 관계기관 간 상호 협력체계와 역할 분담 등으로 재난관리자원에 대한 공동활용 체계 구축을 통해 재난 관리자원을 적기에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는 동원 체계 확립, 재난피해지역에서 효과적인 사고수습 및 복구노력을 위해 중앙과 지방의 자원 요청 및 제공을 위하여 모든 지원 요소들 사이에 상호 연계 및 비상연락 체계를 확립하여 효율적인 조정 및 지원, 재난관리자원의 기획, 출처확보, 자원 획득 및 활용을 위해 상호협력에 기초한 내·외부적 물류 공동 활용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시행, 재난대응 기간 동안의 자원요청 및 지원은 기존의 이행 협정서(MOU), 기관 간 협약 등을 통해 상호 지원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7)교통대책
교통재난대응 및 기능별 교통협업 대책을 수행함에 있어 중앙행정기관, 지방행정기관, 공기업 및 민간단체의 교통 및 수송체계를 총력 지원하고,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및 경감활동 참여와 교통분야 법률적 책임완수를 지원할 수 있다. 핵심 대응업무는 재난에 따른 교통 및 기반체계 피해상황 모니터링 및 보고, 국지적으로 집행 가능한 대체교통수단 확보, 교통수단별 도로, 철도·지하철, 항공교통 수송활동 지속, 교통 및 시설기반체계 복구활동 조정, 교통관련 기관의 권한 및 자원 제한범위 내에서 재난예방, 대비, 대응, 복구 및 경감활동 조정지원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8)의료 및 방역 대책
대규모 재난 발생시 의료서비스(환자, 보호자 및 대응요원 등) 및 방역활동(피해 현장 및 주변 지역의 감염병 예방)의 신속·원활한 수행을 위한 유관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규정하고 상호 협력·조정을 위한 운영개념을 지원할 수 있다. 핵심 대응업무는 현장응급의료 지원체계 운영과 응급의료기관 비상진료체계 구축에 따른 의료지원 물품 공급등의 응급의료지원 총괄, 중앙비축 방역약품 지원과 환자 조기 발견을 위한 감시체계 운영, 원인 규명을 위한 역학조사와 감염자 격리, 치료 등의 예방 및 관리 지원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9)재난현장환경정비
태풍, 집중호우 등 자연재난이나 대형사고와 같은 사회재난으로부터 일시에 다량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의 신속한 수거 및 적절한 처리로 2차 피해 최소화 등을 통한 주민불편 해소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협업기능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핵심 대응업무는 생활폐기물 인프라 관련 정보 파악과 주요 피해상황·자원봉사자·타 지자체 등의 지원인력 대기시설·숙소 등의 확보 상황, 환경부 및 피해 시·도(시·군·구)의 상황실 보고 및 근무 체계 파악 등의 재난 폐기물 처리 관련 정보수집, 재난폐기물 수거·운반 우선지역(수거·운반지역 등)을 지정하여 복구작업 등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위험물의 혼입과 작업인력의 피로, 부상 등이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되도록 재난 폐기물의 수거·운반 등의 재난현장 환경정비 협력 지원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10)자원봉사관리
재난 발생 시 재난현장에 투입되는 민간기관 및 단체의 자원봉사자와 일반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조직 구성 및 인력, 자원 등에 대해 기관 간의 상호협력을 통해 효율적인 자원봉사활동이 실행될 수 있도록 유관기관들의 임무와 역할을 규정한 합동대응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핵심 대응업무는 재난지역 자원봉사 인력 수요 파악 및 조정·지원, 재난현장에 대한 자원봉사 요청 수요, 투입현황, 미처리 요구사항 등 파악, 자원봉사활동에 필요한 지원 총괄, 현장의 자원봉사 활동 지원 사항 파악 및 접수, 자원봉사자에게 지급할 물자 부족 시 재난자원관리 통합기관에 협조요청, 현장 인력 조정 및 지원에 관한 상황 중대본에 보고, 현장에서 자원봉사 활동이 필요한 협업 기능 파악 및 각 협업기능의 책임기관에 활동 지원, 각 협조기능에 필요한 민간전문가 요청 시 인력 섭외 및 투입, 중앙·시도자원봉사센터 및 현장 자원봉사센터와의 상황공유, 자원봉사 기관·단체 확인 및 협력체계 구축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11)사회질서유지
자연 및 사회재난발생 시 재난지역에 대한 교통통제 및 사회질서 유지를 위해 관련부서 및 유관 기관과 협동 대응체계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고자 표준 업무 및 행동 절차를 작성·활용하며, 주요 임무로는 교통통제, 현장통제, 주민대피, 치안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핵심 대응업무는 긴급 대응관련자 외 재난현장 출입통제, 피해 위험예상 지역으로부터 주민대피/인명보호 조치, 긴급 차량의 현장 도착을 위한 통행로 확보를 위한 교통 통제 및 우회 조치, 범죄예방(구호품 약탈, 절도 등)을 위한 순찰과 재난지역 사고현장 조사 등 재난지역 사회질서 유지, 현장통제 및 교통통제 정보 공유와 상황전파 및 비상연락체계 가동을 위한 상황실 운영, 재난대응 인력, 물품, 장비 수송에 필요한 대응자원 및 인력 부족 시 지원요청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12)수색, 구조, 구급 대책
재난(자연, 사회)이 발생한 경우 유관기관, 단체와 유기적인 협업체계를 통해 재난현장의 인명수색·구조·구급 활동을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지원할 수 있다. 핵심 대응업무는 특별재난상황 관리를 위한 지휘 통제 재배치 및 통합 운영을 위한 중앙통제단 가동, 대규모 수색과 구조업무 수행, 응급처치 장비 부족 시 응급 의료자원지원 요청 등의 인명 구급 활동 수행, 유발재난 및 2차 피해 방지 활동, 중앙부처 간 협업, 지원부서(기관)에 수색·구조·구급 관련 협조 요청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13)재난수습 홍보 대책
재난 발생 시 기관 간 원활한 정보공유로 국민들에게 정확하고 조율된 정보를 적절한 때에 제공하여 생명과 재난, 환경 등의 피해를 줄이고 국민의 신뢰도 확보를 지원할 수 있다. 핵심 대응업무는 재난이 발생했거나 임박했을 때, 재난 관련한 조율된 정보를 언론과 이해관계자에게 제공, 서로 다른 정보의 배포를 피하기 위해 재난 관련 기관 간 재난수습홍보 정보를 공유하며 조율된 정보를 배포, 오보대응 및 SNS에서의 유언비어 등에 대한 모니터링, 재난 피해자와 가족에게 심리치료 등 재난피해자 관련 서비스 등에 대한 안내 업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상황전파 플랫폼과 연동하여 업무 확인 및 상황전파를 위한 통신을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상황전파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수행 업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사용자에게 업무 수행에 관한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업무 수행 상황을 효과적으로 확인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10)은 상황전파 플랫폼과의 연동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백엔드 프로세스를 통해 상황 발생 시점부터 상황 종료 시점까지 상황전파 플랫폼과의 실시간 연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재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대응기관 및 담당자들 사이의 협업기능이 정상 동작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상황전파 과정에서 다양한 상황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재난등록카드 중심 단위 재난별 협업대시보드를 생성하여 상황전파 대상 비상연락망 접속상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재난 상황 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재난 유형별 협업기능 표준업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재난 대응을 위한 상황관리 정보나 재난등록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SOP 구축부(310), 상황전파 전처리부(330), 상황전파 수행부(350), 상황전파 관리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SOP 구축부(310)는 재난 유형 별로 협업기능에 관한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준운영절차(SOP)는 상황 발생시 각 담당자들이 수행해야하는 복잡한 루틴의 업무들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단계별 지침들의 집합에 해당할 수 있다. SOP 구축부(310)는 사전에 재난 유형 별로 다양한 기관 및 부서들 간의 협업체계를 표준운영절차로서 구축하여 재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OP 구축부(310)는 주기적으로 표준운영절차를 갱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회 발전에 따라 조직 변화가 다양하게 진행되는 점을 고려하여 SOP 구축부(310)는 기 구축된 표준운영절차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SOP 구축부(310)는 표준운영절차에 따른 협업기능의 업무주체, 즉 기관 및 부서에 대한 변경이 검출된 경우 해당 변경에 연관된 협업기능에 관한 표준운영절차를 즉시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OP 구축부(310)는 재난 유형 별로 예방(prevention), 대비(preparation), 대응(response), 복구(recovery) 및 지원(support)을 위한 대응계획 정보를 수집하고, 대응계획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업무 객체들 -업무 객체는 대응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을 정의하며, 기 정의된 담당 기관 집합, 담당 부서 집합 및 담당 업무 집합에서 업무 객체와 연관되는 요소들에 관한 매핑 정보를 생성하고, 재난 유형 별로 복수의 업무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준운영절차를 각각 결정하고 대응시점을 기준으로 업무 객체를 정렬한 후 매핑 정보에 따라 업무 객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상황전파 전처리부(330)는 재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협업기능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여 표준운영절차의 관리를 위한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황전파 전처리부(330)는 협업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협업기능에 대응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황전파 전처리부(330)는 선택된 협업기능의 생성, 조회, 변경 및 삭제에 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생성함으로써 재난 상황 발생 시 효과적인 상황전파와 업무 처리가 이루어 지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업무관리 프로세스는 상황전파 과정에서 각 담당자들에게 부여되는 업무 리스트를 관리하고, 해당 업무의 개시와 종료에 따른 결과를 모니터링 하며, 각 담당자에 대한 업무 수행 내역을 체크리스트를 통해 지원할 수 있는 전용 프로세스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황전파 전처리부(330)는 재난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재난 유형별 표준운영절차를 기초로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전파 전처리부(330)는 선택에 의한 협업기능에 따라 상황 접수, 수습 및 복구를 포함하는 각 단계에서의 태스크(task)들에 대해 업무주체에 따라 기관별, 부서(또는 부처)별로 각각 분류하고, 기관들 및 부서들 각각에 대응되는 노드들로 구성된 업무관리 그래프 상에서 업무관리의 흐름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업무관리 경로를 결정하며, 적어도 하나의 업무관리 경로에 포함된 각 노드의 업무주체에 대한 태스크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경로 진행에 따라 각 업무주체에게 할당된 태스크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스를 업무관리 프로세스로서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전파 전처리부(330)는 선택에 의한 협업기능에 따라 상황 접수, 수습 및 복구를 포함하는 각 단계에서의 태스크(task)들에 대해 업무주체에 따라 기관별, 부서(또는 부처)별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 상황전파 전처리부(330)는 기 구축된 표준운영절차를 참조하여 협업체계 하에서 각 기관들 및 부서들의 업무구조, 능력 및 범위에 따른 담당 업무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태스크(task)는 다수의 기관 및 부서들에 중복적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태스크(task)는 독립적으로 정의되어 처리될 수 있는 최소 단위의 업무에 해당할 수 있다. 업무주체 별로 분류된 태스크들은 해당 업무주체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대응시기에 따라 그룹화된 형태로 재가공 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황전파 전처리부(330)는 기관들 및 부서들 각각에 대응되는 노드들로 구성된 업무관리 그래프 상에서 업무관리의 흐름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업무관리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업무관리 그래프는 업무주체에 대응되는 노드(node)와 업무주체들 간의 협업관계에 대응되는 에지(edge)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해당할 수 있고, 업무관리 경로는 인접한 노드들 간의 연결에 관한 시퀀스(sequence)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황전파 전처리부(330)는 상황전파 시 각 업무주체들 간의 협업관계와 상황전파 방향을 고려하여 업무관리 그래프 상에서 업무관리 경로를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업무관리 경로는 업무주체들 간의 협업관계에 따라 하나의 노드에서 복수의 노드들로 분기될 수 있고 복수의 노드들에서 하나의 노드로 병합될 수 있다.
또한, 상황전파 전처리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업무관리 경로에 포함된 각 노드의 업무주체에 대한 태스크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경로 진행에 따라 각 업무주체에게 할당된 태스크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스를 업무관리 프로세스로서 생성할 수 있다. 즉, 업무관리 프로세스는 업무관리 그래프 상에서 정의되는 업무관리 경로를 따라 각 노드에 대응되는 업무주체에게 태스크를 할당하고 태스크 처리 결과를 확인하는 체계화된 절차에 해당할 수 있다.
상황전파 수행부(350)는 업무관리 프로세스가 개시되면 고유 할당되는 비상연락망 기능 및 상황전파 기능을 각각 활성화하고, 상황전파 대상자들의 비상연락망에 대한 접속상황을 실시간 추적하며 상황전파 대상자들 간의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황전파 수행부(350)는 비상연락망 기능을 통해 비상연락망의 정상 가동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상황전파 기능을 통해 상황전파 대상자들 간의 통신 흐름의 단절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전파 수행부(350)는 비상연락망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업무관리 프로세스와 연동하여 업무관리 경로 상에서 두개 이상의 노드들로 분기하는 분기 노드들을 결정하고 해당 분기 노드들에 대응되는 업무주체들로 구성된 긴급 비상연락망을 생성하며 접속상황 및 송·수신 상태 각각의 활성도에 따라 긴급 비상연락망에 따른 긴급 상황전파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전파 수행부(350)는 비상연락망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업무관리 프로세스와 연동하여 업무관리 경로 상에서 두개 이상의 노드들로 분기하는 분기 노드들을 결정할 수 있다. 비상연락망의 경우 다양한 상황에서 신속한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업무관리 경로가 분기되는 노드에 대응되는 업무주체가 비상연락체계에서 중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상황전파 수행부(350)는 분기 노드를 기준으로 비상연락망에서 중요 담당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황전파 수행부(350)는 해당 분기 노드들에 대응되는 업무주체들로 구성된 긴급 비상연락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긴급 비상연락망은 비상연락 시 중요 역할을 담당하는 업무주체들에 관한 연락체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황전파 수행부(350)는 접속상황 및 송·수신 상태 각각의 활성도에 따라 긴급 비상연락망에 따른 긴급 상황전파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황전파 수행부(350)는 비상연락망의 진행이 원활하지 않거나 또는 단절된 경우 긴급 비상연락망을 매개로 하여 진행의 흐름을 복구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전파 수행부(350)는 업무관리 프로세스가 개시되면 적어도 두개의 상황전파 채널과 연동하는 상황전파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상황전파 수행부(350)는 상황전파의 흐름이 두개 이상의 상황전파 채널들을 통해 독립적으로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상황전파 채널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이 때, 상황전파의 채널은 이메일, 모바일 메시지, 전용 앱 또는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표준운영절차를 기초로 상황전파의 흐름에 따라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표준대응업무에 관한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표준운영절차에 따른 상황전파의 진행을 관리할 수 있으며, 상황전파의 각 단계에서 체크리스트를 통해 각 업무주체에게 수행 업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체크리스트와 함께 해당 업무별 수행 결과 입력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이전 업무주체에 의해 수행된 업무 결과를 반영하여 체크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전파 관리부(370)에 의해 생성되는 체크리스트는 비상연락망 및 상황전파 기능에 연동하는 내부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체크리스트는 외부 접근(또는 실행)에 따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특정 선택이 입력되면 내부 프로세스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체크리스트의 내부 프로세스는 특정 선택에 따라 상황전파의 흐름을 자동 분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전파 대상자가 체크리스트를 실행시켜 자신의 업무내역을 확인한 후 특정 업무내역에 대한 선택을 입력하면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내부 프로세스는 해당 선택에 따라 다음의 상황전파 대상자를 자동 결정하여 상황전파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선택에 따라 다음의 상황전파 대상자가 상이하게 결정됨으로써 상황전파의 흐름이 선택 별로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표준운영절차에서 상황전파의 흐름에 관한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 연관되는 업무 객체들을 각각 분류하고, 제1 및 제2 방향들에 연관된 업무 객체들로 구성된 제1 및 제2 체크리스트들을 각각 생성하며, 제1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1 체크리스트를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제공하고, 제2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제2 체크리스트를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제공하면서 제1 체크리스트와 동시에 연관된 업무 객체들에 대해 해당 제1 체크리스트의 결과를 반영하여 갱신할 수 있다.
만약 제1 방향이 상황전파의 흐름에 대한 순방향에 해당하는 경우 제2 방향은 상황전파의 흐름에 대한 역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업무와 연관된 체크리스트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업무와 연관된 체크리스트를 독립적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업무의 경우 이전 업무 결과를 반영하여 체크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업무주체는 자신의 체크리스트만을 확인하더라도 이전 업무주체의 업무 결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이를 반영하여 자신의 담당 업무를 처리함으로써 업무주체들 간의 협업체계가 손쉽게 적용되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표준운영절차에서 상황전파의 흐름에 관한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 연관되는 업무 객체들을 각각 분류하는 과정에서 긴급 상황전파에 연관되는 업무 객체들을 별도로 구성하고, 긴급 상황전파에 해당하는 경우 제1 및 제2 방향들에 연관된 업무 객체들로 구성된 제1 및 제2 체크리스트들을 각각 생성하는 과정에서 긴급 상황전파에 연관되는 업무 객체들을 제1 및 제2 체크리스트들 각각에 추가하며, 제1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1 체크리스트를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제공하고, 제2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제2 체크리스트를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제공하면서 긴급 상황전파에 연관되는 업무 객체들만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재난 유형에 따라 체크리스트에 포함되는 업무 객체들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재난 유형에 따라 상황전파가 긴급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경우 체크리스트에 포함되는 업무 객체들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재난 유형에 따라 상황전파가 상대적으로 늦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경우 체크리스트에 포함되는 업무 객체들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 등급, 상황전파 채널의 활성화 개수 및 비상연락망의 길이에 따라 체크리스트에 포함되는 업무 객체들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전파 관리부(370)는 재난 등급이 높을수록, 상황전파 채널의 활성화 개수가 작을수록, 비상연락망의 길이가 길수록 체크리스트에 포함되는 업무 객체들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상황 전파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SOP 구축부(310), 상황전파 전처리부(330), 상황전파 수행부(350) 및 상황전파 관리부(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SOP 구축부(310)를 통해 재난 유형 별로 협업기능에 관한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를 구축할 수 있다(단계 S410).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상황전파 전처리부(330)를 통해 재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협업기능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여 표준운영절차의 관리를 위한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상황전파 수행부(350)를 통해 업무관리 프로세스가 개시되면 고유 할당되는 비상연락망 기능 및 상황전파 기능을 각각 활성화하고, 상황전파 대상자들의 비상연락망에 대한 접속상황을 실시간 추적하며 상황전파 대상자들 간의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단계 S450).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상황전파 관리부(370)를 통해 표준운영절차를 기초로 상황전파의 흐름에 따라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표준대응업무에 관한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7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운영절차의 구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SOP 구축부(310)를 통해 재난 유형 별로 협업기능에 관한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를 구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OP 구축부(310)는 재난 유형 별로 예방(prevention), 대비(preparation), 대응(response), 복구(recovery) 및 지원(support)을 위한 대응계획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단계 S510). 대응계획 정보는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수집되거나 또는 공공포털 등 다양한 출처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 한편, SOP 구축부(31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50)는 데이터 수집 기능을 통해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주기적으로 대응계획에 관한 정보를 수집, 가공 및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재난 유형별 상호협력체계를 참조하면, 예방(prevention)을 위한 대응계획은 대국민 홍보, 안전정책 수립, 시설점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대비(preparation)을 위한 대응계획은 훈련, 인력관리, 장비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응(response)을 위한 대응계획은 신고접수, 상황전파, 현장출동, 현장대응, 상황파악, 상황분석, 자원관리, 자원공동활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구(recovery)를 위한 대응계획은 구호, 복구지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원(support)를 위한 대응계획은 업무지원, 정보자원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OP 구축부(310)는 대응계획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업무 객체들 -상기 업무 객체는 대응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을 정의할 수 있다. 업무 객체는 업무주체에 의해 수행되는 독립적인 업무 단위에 해당할 수 있으며, 대응시점, 업무내용, 비용,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단계 S530).
또한, SOP 구축부(310)는 기 정의된 담당 기관 집합, 담당 부서 집합 및 담당 업무 집합에서 업무 객체와 연관되는 요소들에 관한 매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550). 담당 기관 집합은 업무를 수행하는 업무주체로서 정보기관, 공공기관, 외부기관을 포함할 수 있고, 담당 부서 집합은 담당 기관에 속하는 다양한 부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담당 업무 집합은 각 기관 및 부서에서 처리 가능한 업무들을 포함할 수 있다. SOP 구축부(310)는 업무 객체 별로 담당 업무주체로서 기관 또는 부서를 각각 지정할 수 있고, 연관된 업무들을 지정할 수 있으며, 업무 객체는 해당 정보들에 관한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OP 구축부(310)는 재난 유형 별로 복수의 업무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준운영절차를 각각 결정하고 대응시점을 기준으로 업무 객체를 정렬한 후 매핑 정보에 따라 업무 객체를 갱신할 수 있다(단계 S570). SOP 구축부(310)는 재난 유형 별로 표준운영절차를 구축할 수 있으며, 표준운영절차를 사전 정의한 후 해당 표준운영절차와 연관된 업무 정보를 갱신하여 표준운영절차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업무관리 프로세스 재난 유형별 협업기능에 대한 표준업무를 기초로 정의될 수 있다. 업무관리 프로세스는 업무관리 경로의 진행(650)에 따라 업무주체(610)별 업무 객체(63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업무관리 경로의 진행(650)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상황전파 과정에서 업무관리를 위한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업무주체(610)는 상황전파를 위한 기관 및 부서에 해당할 수 있으며, 업무 객체(630)는 업무주체(610)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업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업무주체(610)가 재난상황관리 총괄에 대한 임무 및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 재난 상황에 대한 대응활동으로서 재난발생 상황 접수, 초동보고 및 상황전파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업무주체(610)가 재난상황관리에 대한 임무 및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 초기 피해상황 파악 및 조치, 재난대응태세 확립 및 협업기능 구축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관리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130)는 상황전파 전처리부(330)를 통해 재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협업기능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여 표준운영절차의 관리를 위한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업무관리 프로세스는 업무관리 그래프(700) 상에서 정의되는 업무관리 경로를 따라 진행할 수 있으며, 진행 방향은 순방향에 해당하는 제1 방향(730)과 역방향에 해당하는 제2 방향(75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업무관리 경로는 하나의 노드에서 복수의 노드들로 분기할 수 있으며, 이 때 분기노드(710)는 복수의 노드들로 경로가 분기하여 진출하는 노드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 2018M3D7A1084943
과제번호 : 2018M3D7A1084943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관리(전문)기관명 : 한국연구재단
연구사업명 :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명 : 재난관리 담당자를 위한 현장 맞춤형 상황전파 플랫폼 개발
기여율 : 1/1
과제수행기관명 : ㈜포에스텍
연구기간 : 2018.11.01 ~ 2021.10.31
[부호의 설명]
100: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130: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SOP 구축부330: 상황전파 전처리부
350: 상황전파 수행부370: 상황전파 관리부
390: 제어부
610: 업무주체630: 업무 객체
650: 업무관리 경로의 진행
700: 업무관리 그래프710: 분기 노드
730: 제1 방향750: 제2 방향

Claims (6)

  1. 재난 유형 별로 협업기능에 관한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를 구축하는 단계;
    재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상기 협업기능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여 상기 표준운영절차의 관리를 위한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업무관리 프로세스가 개시되면 고유 할당되는 비상연락망 기능 및 상황전파 기능을 각각 활성화하고, 상황전파 대상자들의 상기 비상연락망에 대한 접속상황을 실시간 추적하며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들 간의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운영절차를 기초로 상황전파의 흐름에 따라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표준대응업무에 관한 체크리스트 -상기 체크리스트는 상기 비상연락망 및 상기 상황전파 기능에 연동하는 내부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외부 접근에 따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특정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내부 프로세스의 동작을 개시함으로써 상기 특정 선택에 따라 상기 상황전파의 흐름을 자동 분기시키도록 구현됨- 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운영절차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 유형 별로 예방(prevention), 대비(preparation), 대응(response), 복구(recovery) 및 지원(support)을 위한 대응계획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대응계획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업무 객체들 -상기 업무 객체는 대응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을 정의하는 단계;
    기 정의된 담당 기관 집합, 담당 부서 집합 및 담당 업무 집합에서 상기 업무 객체와 연관되는 요소들에 관한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유형 별로 상기 복수의 업무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준운영절차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대응시점을 기준으로 업무 객체를 정렬한 후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상기 업무 객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에 의한 협업기능에 따라 상황 접수, 수습 및 복구를 포함하는 각 단계에서의 태스크(task)들에 대해 업무주체에 따라 기관별, 부서(또는 부처)별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
    기관들 및 부서들 각각에 대응되는 노드들로 구성된 업무관리 그래프 상에서 업무관리의 흐름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업무관리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무관리 경로에 포함된 각 노드의 업무주체에 대한 태스크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경로 진행에 따라 각 업무주체에게 할당된 태스크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스를 상기 업무관리 프로세스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연락망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업무관리 프로세스와 연동하여 상기 업무관리 경로 상에서 두개 이상의 노드들로 분기하는 분기 노드들을 결정하고 해당 분기 노드들에 대응되는 업무주체들로 구성된 긴급 비상연락망을 생성하며 상기 접속상황 및 상기 송·수신 상태 각각의 활성도에 따라 상기 긴급 비상연락망에 따른 긴급 상황전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표준운영절차에서 상황전파의 흐름에 관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 연관되는 업무 객체들을 각각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연관된 업무 객체들로 구성된 제1 및 제2 체크리스트들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1 체크리스트를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체크리스트를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제공하면서 상기 제1 체크리스트와 동시에 연관된 업무 객체들에 대해 해당 제1 체크리스트의 결과를 반영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6. 재난 유형 별로 협업기능에 관한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를 구축하는 SOP 구축부;
    재난 상황의 발생에 따라 상기 협업기능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여 상기 표준운영절차의 관리를 위한 업무관리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상황전파 전처리부;
    상기 업무관리 프로세스가 개시되면 고유 할당되는 비상연락망 기능 및 상황전파 기능을 각각 활성화하고, 상황전파 대상자들의 상기 비상연락망에 대한 접속상황을 실시간 추적하며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들 간의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상황전파 수행부; 및
    상기 표준운영절차를 기초로 상황전파의 흐름에 따라 상기 상황전파 대상자에게 표준대응업무에 관한 체크리스트 -상기 체크리스트는 상기 비상연락망 및 상기 상황전파 기능에 연동하는 내부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외부 접근에 따라 기능이 활성화되어 특정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내부 프로세스의 동작을 개시함으로써 상기 특정 선택에 따라 상기 상황전파의 흐름을 자동 분기시키도록 구현됨- 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상황전파 관리부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장치.
PCT/KR2020/011727 2020-07-22 2020-09-01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201937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67A KR102201772B1 (ko) 2020-07-22 2020-07-22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0-0090967 2020-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9374A1 true WO2022019374A1 (ko) 2022-01-27

Family

ID=7412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1727 WO2022019374A1 (ko) 2020-07-22 2020-09-01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1772B1 (ko)
WO (1) WO20220193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0883A (zh) * 2022-10-12 2022-11-08 北京易特思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化城市管理非固定单据动态生成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343B1 (ko) * 2021-09-01 2023-02-23 주식회사 포에스텍 재난대응을 위한 상호협력체계 기반의 상황전파 처리 방법
KR102593645B1 (ko) * 2021-09-23 2023-10-25 주식회사 아이티에스노아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662828B1 (ko) * 2023-10-30 2024-05-03 대아티아이 (주) 철도부지내 수소인프라 구축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원 방법
KR102662831B1 (ko) * 2023-10-30 2024-05-07 대아티아이 (주) 철도부지내 수소인프라 구축 안전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05A (ko) * 2010-03-03 2011-09-09 (주)위니텍 표준작전절차 시나리오 기반의 재난 및 위기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1895501B1 (ko) * 2017-02-22 2018-10-29 대한민국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
KR20200003324A (ko) * 2018-06-29 2020-01-09 (주)유엔이 재난 상황 전파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082261B1 (ko) * 2019-08-07 2020-0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op 기반 재난재해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6660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포드림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795B1 (ko) 2017-03-10 2018-06-25 (주)티아이스퀘어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05A (ko) * 2010-03-03 2011-09-09 (주)위니텍 표준작전절차 시나리오 기반의 재난 및 위기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1895501B1 (ko) * 2017-02-22 2018-10-29 대한민국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
KR20200003324A (ko) * 2018-06-29 2020-01-09 (주)유엔이 재난 상황 전파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00046660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포드림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2261B1 (ko) * 2019-08-07 2020-0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op 기반 재난재해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0883A (zh) * 2022-10-12 2022-11-08 北京易特思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化城市管理非固定单据动态生成方法
CN115310883B (zh) * 2022-10-12 2023-01-06 北京易特思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化城市管理非固定单据动态生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772B1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19374A1 (ko)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056690B (zh) 基于大数据、云平台和物联网的护线智能巡检方法及系统
CN115061430A (zh) 安全管理系统、方法、设备、存储介质、信息处理云平台
JP5172227B2 (ja) 非常時情報通信システム、非常時情報通信方法及び非常時情報通信プログラム
CN103473626A (zh) 一种基于调度数据网集中运维系统的安全防护方法
CN110009541A (zh) 公共安全事件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6597966A (zh) 基于化工园区的安防系统
CN112365246A (zh) 一种基于ai+gis+bim的智慧管廊综合管理平台
CN112288320A (zh)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系统
CN109711647A (zh) 一种公共安全支撑平台
KR20230042856A (ko)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N110137940A (zh) 一种基于移动可视化的智能电力管控系统
Bajaj et al. Sensing human activity for assessing participation in evacuation drills
WO2023085596A1 (ko) 사이버캐릭터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운영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
CN110874681B (zh) 基于gis的石化企业应急资源管理与调度的方法
JP2005126216A (ja) 災害情報ネットワーク
Vahdat-Nejad et al. Information gathering of earthquake disasters by mobile crowd sourcing in smart cities
MacDonald et al. An emergency medical services transfer authorization center in response to the Toronto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KR102502343B1 (ko) 재난대응을 위한 상호협력체계 기반의 상황전파 처리 방법
Boyd et al. Critical incident management guidelines
JP4767238B2 (ja) 監視制御システム
JP6829942B2 (ja) 発災時初動支援キット
Fitrani RISK ASSESSMENT AND BUSINESS IMPACT ANALYSIS AS A BASIS FOR THE DRAFTING DISASTER RECOVERY PLAN AT UPT-TIK OF XYZ UNIVERSITY
Supangkat Designing a distribution emergency information service in earthquake post-disaster based on service computing system engineering
Lin et al. Data requirements of intelligent indoor emergency evacu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463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463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