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795B1 -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795B1
KR101870795B1 KR1020170068202A KR20170068202A KR101870795B1 KR 101870795 B1 KR101870795 B1 KR 101870795B1 KR 1020170068202 A KR1020170068202 A KR 1020170068202A KR 20170068202 A KR20170068202 A KR 20170068202A KR 101870795 B1 KR101870795 B1 KR 10187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voice
disaster
ebs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수
허봉규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PTT 단말기 및 EBS 서버와 결합하여 PTT 단말기로 PTT 서비스를 통해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PTT 서버;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PTT 단말기, LTE 단말, AI/IoT 단말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EBS 서버; 및 EBS 서버가 수집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지의 여부 및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대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EBS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EBS 서버를 제어하는 방송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NG AND MANAGING DISASTER STATUS}
본 발명은,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난 상황 발생시 재난 상황을 알리기 위한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PTT 단말기, LTE 단말, AI/IoT 단말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진, 산불, 해일, 폭우 등과 같은 국가 재난 발생시에 재난이 발생하였음을 신속하게 국민들에게 알려야 한다. 이러한 국가 재난 발생시에 국민들에게 알리는 방법으로는, 종래에는 SMS(재난문자)를 통해 또는 라디오나 TV 방송 등을 통하여 국민들에게 재난 발생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획일적인 방식에 불과하다. 또한 재난 발생 후 실시간으로 긴급 재난 상황을 전파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뒤늦게 전파되는 경우가 많아서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특정 지역에서의 화재, 지진, 원전사고, 해일 등 주변 상황을 상세히 알고 싶어도 이러한 상황은 사고 후 제보를 통해서만 알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의 무전 시스템 또는 재난 안전 통신망은 그룹 통신에 속해 있는 멤버(단말)간에만 음성이나 영상 정보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을 뿐이며, 해당 음성이나 영상을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이동 통신사 및 개인이 관리하고 있는 IoT 디바이스나 AI 단말을 통해 재난 상황을 직접 전파하는 기술이나 사례가 없었다.
또한, 종래의 PTT(Push To Talk) 시스템은 스마트폰 혹은 PC의 PTT 단말기를 이용하여 그룹내 멤버들간에 음성 및 영상 정보 공유가 가능하였으나, LTE 모듈을 탑재한 디바이스(드론이나 CCTV, 확성기)를 통해 재난 상황을 수집하거나 전송하는 방법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PTT 단말기, LTE 단말, AI/IoT 단말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재난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파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에 대처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재난 종류 별로 미리 축적해 둔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재난 대처 정보를 다양한 단말들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으로서, PTT 단말기 및 EBS 서버와 결합하여 PTT 단말기로 PTT 서비스를 통해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PTT 서버;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PTT 단말기, LTE 단말, AI/IoT 단말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EBS 서버; 및 EBS 서버가 수집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지의 여부 및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대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EBS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EBS 서버를 제어하는 방송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PTT 서버는, PTT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EBS 서버 또는 다른 PTT 단말기로 PTT 서비스를 통해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BS 서버는, PTT 서버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PTT 서버는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PTT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BS 서버는, LTE 단말과 LTE 망을 통해 결합하며, LTE 망을 통해 LTE 단말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거나, LTE 단말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BS 서버는, NIG 서버와 결합하며, NIG 서버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NIG 서버는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AI/IoT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BS 서버는, PTT 서버와 결합하여 PTT 서버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거나, PTT 서버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PTT 서버 연동부; LTE 단말과 LTE 망을 통해 결합하여 LTE 단말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거나, LTE 단말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LTE 단말 연동부; LTE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 또는 영상 신호 및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저장 및 관리하고, PTT 서버, LTE 단말 및 NIG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처리부; NIG 서버와 연동하여,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NIG 서버로 전송하는 타망 연동부; 및 방송 제어 장치와 연동하여, EBS 서버가 수집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지의 여부 및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대상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미디어 처리부로 전송함으로써 미디어 처리부가 제어 신호에 따라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BS 서버와 연동하여, EBS 서버로부터 재난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대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재난 종류 정보에 기초한 재난 대처 정보를 EBS 서버로 전송하는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BS 서버는, NIG 서버와 결합하며, NIG 서버로 재난 대처 정보를 전송하고, NIG 서버는 수신된 재난 대처 정보를 AI/IoT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에서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EBS 서버가 LTE 단말 중 어느 하나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 또는 영상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EBS 서버가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NIG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 NIG 서버는 디바이스 서버를 통해 AI/IoT 단말과 방송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AI/IoT 단말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에서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EBS 서버가 LTE 단말 중 어느 하나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 또는 영상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EBS 서버가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PTT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 PTT 서버는 PTT 단말기와 방송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PTT 단말기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에서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EBS 서버가 LTE 단말 중 어느 하나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 또는 영상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및 EBS 서버가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다른 LTE 단말과 방송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LTE 단말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에서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EBS 서버가 방송 제어 장치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 또는 영상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EBS 서버가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NIG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 NIG 서버는 디바이스 서버를 통해 AI/IoT 단말과 방송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AI/IoT 단말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에서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EBS 서버가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서버로 재난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대처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서버로부터 재난 대처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EBS 서버가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대처 정보를 NIG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재난 대처 정보를 수신한 NIG 서버는 디바이스 서버를 통해 AI/IoT 단말과 방송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AI/IoT 단말로 재난 대처 정보를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난 발생시에 PTT 단말기, LTE 단말, AI/IoT 단말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로 재난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파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시 전 국민/지역 주민들에게 실시간으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 (음성/영상/문자 등)를 전달하여, 빠른 대처가 가능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드론, CCTV 등)를 통하여 재난 발생 지역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여 재난 상황에 대한 컨트롤 타워(Control Tower)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라디오 및 방송으로부터 뒤늦게 수집된 재난 상황이 아닌 실시간으로 현장에서 발생한 음성/영상 미디어를 개인화된 AI 디바이스 및 IoT 디바이스를 통해 시청 또는 청취가 가능하다.
또한, OTT 사업자가 배포 및 관리하는 다양한 AI 디바이스 및 IoT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재난 상황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파하여 언제든지 재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수집된 재난 상황을 빠르게 전파하여 재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존 PTT 서버와 연계하여 재난 지역에서 사용하는 PTT 단말기와 함께 재난 상황을 실시간 공유하여 보다 빠르게 재난 상황에 대처하고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에 대처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재난 종류 별로 미리 축적해 둔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재난 대처 정보를 다양한 단말들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100, 이하 간단히 "시스템(100)"이라 한다)의 전체적인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EBS 서버(2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LTE 단말(300)로부터 수집되는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AI/IoT 단말(600)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LTE 단말(300)로부터 수집되는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다른 LTE 단말(300)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LTE 단말(300)로부터 수집되는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PTT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방송 제어 장치(30)에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LTE 단말(300)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방송 제어 장치(30)에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AI/IoT 단말(600)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100, 이하 간단히 "시스템(100)"이라 한다)의 전체적인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PTT 서버(10), EBS 서버(20) 및 방송 제어 장치(30)를 포함한다.
PTT(Push to Talk) 서버(10)는, PTT 단말기(200) 및 EBS 서버(20)와 결합하여 PTT 단말기(200)로 PTT 서비스를 통해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PTT 서버(10)는 PTT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EBS 서버(20) 또는 다른 PTT 단말기(200)로 PTT 서비스를 통해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여기에서, PTT 단말기(200)와 PTT 서버(10)는 종래 알려져 있는 통신망인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는데, 특히, PTT 단말기(200)와 PTT 서버(10)는 LTE, 3G, Wi-Fi 등과 같은 망을 통해 결합한다.
PTT(Push To Talk) 단말기(200)는, IP 기반의 PT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PTT 서비스라 함은,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서비스 즉, 종래 알려져 있는 무전기나 TRS 단말기를 통해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PTT 단말기(200)는 이러한 PTT 서비스를 LTE, 3G, Wi-Fi, 인터넷망 등과 같은 IP 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PTT 단말기(200)는 예컨대, WiFI/LTE/3G 망을 지원하는 IP 기반의 무전기 타입, IP 기반의 산업용 스마트폰 무전기 타입, 일반 스마트폰 타입 및 관제를 위한 PC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 스마트폰 타입인 경우, PTT 단말기(200)에는 PT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탑재하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PTT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PTT 단말기(200)는 관제 센터를 포함하는데 관제 센터는 PTT 단말기(200)의 그룹 관리, 사용자 관리 등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PC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PTT 단말기(200)와 PTT 서버(1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PTT 서비스는, IP 망에 기반하여, PTT 서버(10)가 후술하는 EBS 서버(20)로부터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PTT 단말기(200)로 전송하거나, PTT 단말기(200)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EBS 서버(20) 또는 다른 PTT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IP 기반의 PTT 서비스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며,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EBS 서버(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20)는, 방송 제어 장치(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PTT 단말기(200), LTE 단말(300), AI/IoT 단말(6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EBS 서버(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PTT 서버(10)와 결합하여 PTT 서버(1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PTT 서버(10)는 이를 PTT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또한, EBS 서버(20)는 LTE 단말(300)과 LTE 망을 통해 결합하여 LTE 단말(3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EBS 서버(20)는 LTE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LTE 단말(300)은, LTE 망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LTE 모듈을 구비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LTE 모듈 자체는 종래 기술에 의해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LTE 단말(300)은 예컨대 드론, CCTV, 확성기 등과 같은 장치에 LTE 모듈을 내장형 또는 외장 결합 형태로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드론에 LTE 모듈을 결합하면 드론이 비행하면서 스피커를 통해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EBS 서버(20)는, NIG 서버(400)와 결합하며, NIG 서버(4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NIG 서버(400)는 이를 AI/IoT 단말(600)로 전송함으로써, AI/IoT 단말(6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NIG(Network Interface Gateway) 서버(400)는, EBS 서버(20)로부터 전송되는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타 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를 말한다. NIG 서버(400)는 타 망 즉, 타 이동 통신 사업자 망이나 OTT(Over-the-Top) 사업자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넷 망을 통해 디바이스 서버(500)와 연동되어, 디바이스 서버(500)를 통해 AI/IoT 단말(600)과 음성 또는 영상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고, 이에 의해 AI/IoT 단말(600)과 음성 또는 영상 세션을 연결하여 이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AI/IoT 단말(600)로 전송한다.
디바이스 서버(500)는 이동 통신 사업자 또는 OTT 사업자가 관리하는 AI/IoT 단말(600)과 결합하여 이들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디바이스 서버(500)는 NIG 서버(400)로부터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AI/IoT 단말(600)로 알려서 AI/IoT 단말(600)이 NIG 서버(400)와 방송 세션을 형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AI/IoT 단말(600)이라 함은, IoT(Internet of Things), 즉, 사물 인터넷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IoT 단말 또는 AI 단말로서, NIG 서버(400)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IoT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듈과 네트워크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미디어 처리부와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재생/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NIG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재생 또는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IoT 단말 자체는 종래 기술에 의해 잘 알려져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AI 단말은,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모듈을 구비하는 IoT 단말을 의미하며, 예컨대 스피커나 셋톱 박스 형태로 최근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이동 통신 사업자가 최근 제공하고 있는 KT 기가 지니, SKT Nugu, LGU+의 맘카 CCTV 등과 같은 디바이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AI 단말은 인공 지능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음성 등의 입력을 처리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수집하여 학습하고 이에 기초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I 단말은 인공 지능 모듈을 더 구비하는 IoT 단말로 볼 수 있으며, 이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해 잘 알려져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AI/IoT 단말(600)은 이동 통신 사업자가 관리하는 WiFi, 블루투스 기반의 디바이스 이외에 OTT 사업자가 보유하는 AI 및 IoT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사업자가 관리하는 마을방송 수신기도 AI/IoT 단말(60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EBS 서버(2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EBS 서버(20)는, PTT 서버 연동부(21), LTE 단말 연동부(22), 미디어 처리부(23), 타망 연동부(24) 및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를 포함한다.
PTT 서버 연동부(21)는 PTT 서버(10)와 결합하여 PTT 서버(1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PTT 서버(10)는 EBS 서버(20)로부터 전달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PTT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또한, PTT 단말기(200)가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PTT 서버(10)로 전송한 경우, PTT 서버(10)는 이를 EBS 서버(20)로 전송하는데, PTT 서버 연동부(21)는 이러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LTE 단말 연동부(22)는, LTE 단말(300)과 LTE 망을 통해 결합하여 LTE 단말(3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거나, LTE 단말(300)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미디어 처리부(23)는, LTE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관리하며, PTT 서버(10) 또는 NIG 서버(400)로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방송 제어 장치(30)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이를 PTT 서버(10), LTE 단말(300), NIG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디어 처리부(23)는 LTE 단말(300)로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LTE 단말 연동부(22)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타망 연동부(24)는, NIG 서버(400)와 연동하여,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NIG 서버(400)를 통해 타망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NIG 서버(400)는 디바이스 서버(500)를 통해 AI/IoT 단말(600)과 방송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AI/IoT 단말(600)로 전달한다.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는, 방송 제어 장치(30)와 연동하여, EBS 서버(20)가 수집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지의 여부 및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대상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방송 제어 장치(3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미디어 처리부(23)로 전송함으로써 미디어 처리부(23)가 제어 신호에 따라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는 방송 제어 장치(30)로부터 직접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미디어 처리부(23)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방송 제어 장치(30)에 대해 설명한다.
방송 제어 장치(30)는, EBS 서버(20)가 수집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지의 여부 및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대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EBS 서버(20)로 전송함으로써 EBS 서버(20)를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EBS 서버(20)가 보유하고 있는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다른 구성 요소들(PTT 단말기(200), LTE 단말(300), AI/IoT 단말(600)) 전부에 전달할지 또는 이중 일부에 대해서 전달할지의 여부에 대한 전송 대상에 대한 제어 신호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할 시점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EBS 서버(20)로 전달한다.
또한, 직접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제어 장치(30)는 기존의 방송국에 위치하거나 또는 EBS 서버(20)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LTE 단말(300)로부터 수집되는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AI/IoT 단말(600)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LTE 단말(300)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하기 위해 음성/영상 세션 연결 요청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하고 EBS 서버(20)가 이에 응답함으로써 LTE 단말(300)과 EBS 서버(20) 사이에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된다(S100). 여기에서, LTE 단말(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LTE 모듈을 구비하는 CCTV나 드론 등과 같은 장치를 말한다.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되면, LTE 단말(300)은 수집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한다(S110). 전술한 바와 같이, LTE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는 EBS 서버(20)의 LTE 단말 연동부(22)로 전송되고, LTE 단말 연동부(22)는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미디어 처리부(23)로 전달한다.
EBS 서버(20)의 미디어 처리부(23)는 LTE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저장해 둔다(S120).
이러한 상태에서, 방송 제어 장치(30)가 AI/IoT 단말(6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재난 방송 송출 요청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한다(S130). 전술한 바와 같이, 재난 방송 송출 요청 신호는 EBS 서버(20)의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로 전달되고,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는 재난 방송 송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어 신호 즉, AI/IoT 단말(6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라는 제어 신호를 미디어 처리부(23)로 전달한다.
EBS 서버(20)의 미디어 처리부(23)는 상기 단계(S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AI/IoT 단말(6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해 타망 연동부(24)를 통해 NIG 서버(400)로 방송 세션(음성/영상 세션)을 연결할 것을 요청하고 NIG 서버(400)가 이에 응답함으로써 NIG 서버(400)와 EBS 서버(20) 사이에 방송 세션이 연결된다(S140).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되면, EBS 서버(20)의 미디어 처리부(23)는 타망 연동부(24)를 통해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NIG 서버(400)로 전송한다(S150).
NIG 서버(400)는 방송 세션이 시작됨과 동시에 음성 또는 영상 신호가 송출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 신호를 디바이스 서버(500)로 전달한다(S160).
그러면, 디바이스 서버(500)는 AI/IoT 단말(6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가 송출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 신호를 예컨대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 등의 방식으로 AI/IoT 단말(600)로 전송한다(S170).
이벤트 신호를 수신한 AI/IoT 단말(600)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 수신을 위해 NIG 서버(400)에 접속하여 방송 세션을 연결한다(S180).
방송 세션이 NIG 서버(400)와 AI/IoT 단말(600) 사이에 연결되면, NIG 서버(400)는 EBS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산 신호를 AI/IoT 단말(600)로 전송한다(S190).
그리고, AI/IoT 단말(600)은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재생 출력한다(S200). 이에 의하여 AI/IoT 단말(600) 사용자는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S180)에서, AI/IoT 단말(600)은 디바이스 서버(500)와 방송 세션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NIG 서버(400)는 디바이스 서버(500)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디바이스 서버(500)는 이를 다시 AI/IoT 단말(60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LTE 단말(300)로부터 수집되는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다른 LTE 단말(300)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LTE 단말(300)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하기 위해 음성/영상 세션 연결 요청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하고 EBS 서버(20)가 이에 응답함으로써 LTE 단말(300)과 EBS 서버(20) 사이에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된다(S210).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되면, LTE 단말(300)은 수집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한다(S220). 전술한 바와 같이, LTE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는 EBS 서버(20)의 LTE 단말 연동부(22)로 전송되고, LTE 단말 연동부(22)는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미디어 처리부(23)로 전달한다.
EBS 서버(20)의 미디어 처리부(23)는 LTE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저장해 둔다(S230).
이러한 상태에서, 방송 제어 장치(30)가 LTE 단말(3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재난 방송 송출 요청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한다(S240). 전술한 바와 같이, 재난 방송 송출 요청 신호는 EBS 서버(20)의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로 전달되고,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는 재난 방송 송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어 신호 즉, LTE 단말(3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라는 제어 신호를 미디어 처리부(23)로 전달한다.
EBS 서버(20)의 미디어 처리부(23)는 상기 단계(S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LTE 단말(3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해 LTE 단말 연동부(22)를 통해 LTE 단말(300)로 방송 세션(음성/영상 세션)을 연결할 것을 요청하고 LTE 단말(300)이 이에 응답함으로써 LTE 단말(300)와 EBS 서버(20) 사이에 방송 세션이 연결된다(S250).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되면, EBS 서버(20)의 미디어 처리부(23)는 LTE 단말 연동부(22)를 통해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LTE 단말(300)로 전송한다(S260).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 LTE 단말(300)은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재생 출력한다(S270). 이에 의하여 LTE 단말(300) 사용자는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LTE 단말(300)로부터 수집되는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PTT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LTE 단말(300)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하기 위해 음성/영상 세션 연결 요청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하고 EBS 서버(20)가 이에 응답함으로써 LTE 단말(300)과 EBS 서버(20) 사이에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된다(S3000).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되면, LTE 단말(300)은 수집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한다(S310). 전술한 바와 같이, LTE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는 EBS 서버(20)의 LTE 단말 연동부(22)로 전송되고, LTE 단말 연동부(22)는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미디어 처리부(23)로 전달한다.
EBS 서버(20)의 미디어 처리부(23)는 LTE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저장해 둔다(S320).
이러한 상태에서, 방송 제어 장치(30)가 PTT 단말기(2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재난 방송 송출 요청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한다(S330). 전술한 바와 같이, 재난 방송 송출 요청 신호는 EBS 서버(20)의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로 전달되고,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는 재난 방송 송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어 신호 즉, PTT 단말기(2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라는 제어 신호를 미디어 처리부(23)로 전달한다.
EBS 서버(20)의 미디어 처리부(23)는 상기 단계(S3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PTT 단말기(2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해 PTT 서버 연동부(21)를 통해 PTT 서버(10)로 방송 세션(음성/영상 세션)을 연결할 것을 요청하고 PTT 서버(10)가 이에 응답함으로써 PTT 서버(10)와 EBS 서버(20) 사이에 방송 세션이 연결된다(S340).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되면, EBS 서버(20)의 미디어 처리부(23)는 LTE 단말 연동부(22)를 통해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PTT 서버(10)로 전송한다(S350).
한편, PTT 서버(10)는 PTT 단말기(2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해 PTT 단말기(200)로 방송 세션(음성/영상 세션)을 연결할 것을 요청하고 PTT 단말기(200)가 이에 응답함으로써 PTT 서버(10)와 PTT 단말기(200) 사이에 방송 세션이 연결된다(S360).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되면, PTT 서버(10)는 EBS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PTT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370).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 PTT 단말기(200)은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재생 출력한다(S380). 이에 의하여 PTT 단말기(200) 사용자는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방송 제어 장치(30)에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LTE 단말(300)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방송 제어 장치(30)는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하기 위해 음성/영상 세션 연결 요청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하고 EBS 서버(20)가 이에 응답함으로써 방송 제어 장치(30)와 EBS 서버(20) 사이에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된다(S400).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되면, 방송 제어 장치(30)는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한다(S410).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제어 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는 EBS 서버(20)의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로 전송되고,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는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미디어 처리부(23)로 전달한다.
EBS 서버(20)의 미디어 처리부(23)는 방송 제어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저장해 둔다(S420).
이러한 상태에서, 방송 제어 장치(30)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수신할 LTE 단말(300)을 선택하고, 선택된 LTE 단말(3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재난 방송 송출 요청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한다(S430). 전술한 바와 같이, 재난 방송 송출 요청 신호는 EBS 서버(20)의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로 전달되고,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25)는 재난 방송 송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어 신호 즉, LTE 단말(3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라는 제어 신호를 미디어 처리부(23)로 전달한다.
EBS 서버(20)의 미디어 처리부(23)는 상기 단계(S4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LTE 단말(300)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해 LTE 단말 연동부(22)를 통해 LTE 단말(300)로 방송 세션(음성/영상 세션)을 연결할 것을 요청하고 LTE 단말(300)이 이에 응답함으로써 LTE 단말(300)와 EBS 서버(20) 사이에 방송 세션이 연결된다(S440).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되면, EBS 서버(20)의 미디어 처리부(23)는 LTE 단말 연동부(22)를 통해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LTE 단말(300)로 전송한다(S450).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 LTE 단말(300)은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재생 출력한다(S460). 이에 의하여 LTE 단말(300) 사용자는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방송 제어 장치(30)에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를 AI/IoT 단말(600)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3과 비교할 때, 방송 제어 장치(30)가 EBS 서버(20)와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S500,S510)을 전달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EBS 서버(2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도 8의 시스템(100)은,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서버(7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도 9의 EBS 서버(20)는,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연동부(26)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서버(700)는 EBS 서버(20)의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연동부(26)와 연동하여, 재난 발생시 EBS 서버(20)로부터의 재난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대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재난 종류 정보에 기초한 재난 대처 정보를 EBS 서버(20)의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연동부(26)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서버(700)는 미리 대량의 재난 대처 정보를 재난 종류에 따라 축적해 두고, EBS 서버(20)로부터 재난 종류 정보(예컨대, 지진, 홍수, 해일, 산불 등)가 수신되면 해당 재난 종류에 따른 재난 대처 정보를 EBS 서버(2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재난 대처 정보는, 해당 재난에 대한 대피 요령, 주의 사항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대처 정보를 수신한 EBS 서버(20)의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연동부(26)는 이를 미디어 처리부(23)로 전달하여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에 따라 재난 대처 정보를 AI/IoT 단말(600)로 전달하게 된다. 또는, 미디어 처리부(23)를 거치지 않고, 타망 연동부(24)를 통해 재난 대처 정보를 AI/IoT 단말(600)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AI/IoT 단말(600) 이외에, PTT 서버 연동부(21)를 통해 PTT 단말기(100)로, LTE 단말 연동부(22)를 통해 LTE 단말(200)로 재난 대처 정보를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재난 발생시 EBS 서버(20)에서 재난 종류가 어떠한 것인지를 파악하고(예컨대, 지진, 태풍, 호우, 해일, 산불 등)(S600), 해당 재난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대처 정보 요청 신호를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서버(700)로 전송한다(S610).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서버(700)는 재난 대처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재난 종류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재난 종류에 상응하는 재난 대처 정보를 EBS 서버(20)로 전송한다(S620).
이후, 방송 제어 장치(30)가 AI/IoT 단말(600)로 재난 대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재난 대처 정보 송출 요청 신호를 EBS 서버(20)로 전송한다(S630).
EBS 서버(20)는 상기 단계(S6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AI/IoT 단말(600)로 재난 대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타망 연동부(24)를 통해 NIG 서버(400)로 방송 세션(음성/영상 세션)을 연결할 것을 요청하고 NIG 서버(400)가 이에 응답함으로써 NIG 서버(400)와 EBS 서버(20) 사이에 방송 세션이 연결된다(S640).
음성/영상 세션이 연결되면, EBS 서버(20)는 타망 연동부(24)를 통해 재난 대처 정보를 NIG 서버(400)로 전송한다(S650).
NIG 서버(400)는 재난 대처 정보가 송출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 신호를 디바이스 서버(500)로 전달하고(S660), 디바이스 서버(500)는 AI/IoT 단말(600)로 재난 대처 정보가 송출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 신호를 예컨대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 등의 방식으로 AI/IoT 단말(600)로 전송한다(S670).
이벤트 신호를 수신한 AI/IoT 단말(600)은 재난 대처 정보 수신을 위해 NIG 서버(400)에 접속하여 방송 세션을 연결하고(S680), NIG 서버(400)는 EBS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재난 대처 정보를 AI/IoT 단말(600)로 전송한다(S690).
그리고, AI/IoT 단말(600)은 수신되는 재난 대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재생하는 등의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S200). 이에 의하여 AI/IoT 단말(600) 사용자는 재난 대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AI/IoT 단말(600)로 재난 대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PTT 단말기(100)나 LTE 단말(200)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재난 대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3의 실시예에서, 단계(S180)에서, AI/IoT 단말(600)은 디바이스 서버(500)와 방송 세션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NIG 서버(400)는 디바이스 서버(500)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디바이스 서버(500)는 이를 다시 AI/IoT 단말(600)로 전송한다.
또한, AI/IoT 단말(600)이 OTT 사업자가 관리하는 OTT AI/IoT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디바이스 서버(500)가 OTT 디바이스 서버라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마찬가지이다.
또한, AI/IoT 단말(600)로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AI/IoT 단말(600)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100...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10...PTT 서버
20...EBS 서버
30...방송 제어 장치
200...PTT 단말기
300...LTE 단말
400...NIG 서버
500...디바이스 서버
600...AI/IoT 단말
700...재난 대처 빅 데이터 서버

Claims (12)

  1.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으로서,
    PTT 단말기 및 EBS 서버와 결합하여 PTT 단말기로 PTT 서비스를 통해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PTT 서버;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PTT 단말기, LTE 단말, AI/IoT 단말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EBS 서버; 및
    EBS 서버가 수집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지의 여부 및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대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EBS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EBS 서버를 제어하는 방송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EBS 서버는,
    PTT 서버와 결합하여 PTT 서버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거나, PTT 서버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PTT 서버 연동부;
    LTE 단말과 LTE 망을 통해 결합하여 LTE 단말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거나, LTE 단말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LTE 단말 연동부;
    LTE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 또는 영상 신호 및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저장 및 관리하고, PTT 서버, LTE 단말 및 NIG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처리부;
    NIG 서버와 연동하여,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NIG 서버로 전송하는 타망 연동부; 및
    방송 제어 장치와 연동하여, EBS 서버가 수집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지의 여부 및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대상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미디어 처리부로 전송함으로써 미디어 처리부가 제어 신호에 따라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방송 제어 장치 연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 서버는, PTT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EBS 서버 또는 다른 PTT 단말기로 PTT 서비스를 통해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BS 서버는, PTT 서버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PTT 서버는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PTT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BS 서버는, LTE 단말과 LTE 망을 통해 결합하며, LTE 망을 통해 LTE 단말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거나, LTE 단말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BS 서버는, NIG 서버와 결합하며, NIG 서버로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NIG 서버는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AI/IoT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EBS 서버와 연동하여, EBS 서버로부터 재난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대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재난 종류 정보에 기초한 재난 대처 정보를 EBS 서버로 전송하는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EBS 서버는, NIG 서버와 결합하며, NIG 서버로 재난 대처 정보를 전송하고, NIG 서버는 수신된 재난 대처 정보를 AI/IoT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에서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EBS 서버가 LTE 단말 중 어느 하나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 또는 영상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EBS 서버가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NIG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 NIG 서버는 디바이스 서버를 통해 AI/IoT 단말과 방송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AI/IoT 단말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에서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EBS 서버가 LTE 단말 중 어느 하나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 또는 영상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EBS 서버가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PTT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 PTT 서버는 PTT 단말기와 방송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PTT 단말기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에서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EBS 서버가 LTE 단말 중 어느 하나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 또는 영상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및
    EBS 서버가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다른 LTE 단말과 방송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LTE 단말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에서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EBS 서버가 방송 제어 장치와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 또는 영상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EBS 서버가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상황 전파 미디어인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NIG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 NIG 서버는 디바이스 서버를 통해 AI/IoT 단말과 방송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AI/IoT 단말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
  12.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에서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EBS 서버가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서버로 재난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대처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재난 대처 빅 데이터 서버로부터 재난 대처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EBS 서버가 방송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대처 정보를 NIG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재난 대처 정보를 수신한 NIG 서버는 디바이스 서버를 통해 AI/IoT 단말과 방송 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AI/IoT 단말로 재난 대처 정보를 전송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방법.
KR1020170068202A 2017-03-10 2017-06-01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70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345 2017-03-10
KR20170030345 2017-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795B1 true KR101870795B1 (ko) 2018-06-25

Family

ID=6280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202A KR101870795B1 (ko) 2017-03-10 2017-06-01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7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655B1 (ko) * 2019-08-21 2020-09-07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Ptt무전 단말의 소모전력 절감 방법
KR102201772B1 (ko) 2020-07-22 2021-01-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02343B1 (ko) 2021-09-01 2023-02-23 주식회사 포에스텍 재난대응을 위한 상호협력체계 기반의 상황전파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84B1 (ko) * 2015-07-09 2016-07-29 (주)이노비드 공공시설물 위치에 기반한 안전재난 정보전파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84B1 (ko) * 2015-07-09 2016-07-29 (주)이노비드 공공시설물 위치에 기반한 안전재난 정보전파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655B1 (ko) * 2019-08-21 2020-09-07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Ptt무전 단말의 소모전력 절감 방법
KR102201772B1 (ko) 2020-07-22 2021-01-12 주식회사 포에스텍 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상황전파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02343B1 (ko) 2021-09-01 2023-02-23 주식회사 포에스텍 재난대응을 위한 상호협력체계 기반의 상황전파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38559B (zh) 投屏实现方法、装置及系统
WO2017036194A1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系统以及相关设备
KR101467248B1 (ko)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그룹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CA3016063C (en) Companion device and primary device
KR101870795B1 (ko) 재난 상황 전파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630574A (zh) 视频通话方法及终端设备
CN105474653A (zh) 未配对设备
CN113923470A (zh) 直播流处理方法及装置
KR101875722B1 (ko)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성 및 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1157A (ko) 그룹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12684995A (zh) 跨屏输入方法及装置
KR100721402B1 (ko) Dmb 방송을 이용한 이동전화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383376A (zh) 基于无人机中继通信的应急广播系统
CN102111877A (zh) 感知用户业务活动的方法、基站、网络侧装置及系统
JP6263977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ノード装置、サービス提供サーバ、通信端末、メッセージ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379279A (zh) 多屏联动的交互方法及装置、系统、存储介质、电子设备
JP2016212919A (ja) 防災無線システム及び防災情報伝達方法
JP2007074381A (ja) 同報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399188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
KR101773248B1 (ko) 통신장치, 방송중계 서버 및 그 방송중계방법
JP2018157313A (ja) 映像通信システム、サーバ及び映像通信方法
CN111698571B (zh) 公网镜像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000551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착신 알림 설정 방법 및 시스템
JP6222054B2 (ja)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
JP6222055B2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