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771A -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771A
KR20150045771A KR20130125446A KR20130125446A KR20150045771A KR 20150045771 A KR20150045771 A KR 20150045771A KR 20130125446 A KR20130125446 A KR 20130125446A KR 20130125446 A KR20130125446 A KR 20130125446A KR 20150045771 A KR20150045771 A KR 20150045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smart
disaster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운광
이종국
최우정
이준우
조재웅
김진영
노선준
문지윤
최선화
배병걸
심재현
이철규
홍성진
정도준
최승용
이은정
신재만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2013012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771A/ko
Publication of KR20150045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은 재난과 관련된 기상 정보, 레이더 영상, 위성영상, CCTV, 급경사지취약도, 고조위험예측, 침수예상도, 빅데이터(트위터), 현장조사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지도 화면에 표출하여 재난의 전조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은 실시간 기상정보를 지도에 표현함으로써, 재난위험지역을 시각적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고, 트위터 SNS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재난에 대한 전조 및 실시간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난현장에 대한 국민들의 반응을 파악할 수 있으며,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정보를 한데 모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Smart disaster managing system for combined disaster management}
본 발명은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통합적인 재난 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인 스마트 빅 보드(Smart Big Board; 이하, “SBB”라 칭함)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재난을 감지하고 재난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관기관의 재난관련 실시간 관측정보를 SBB의 지도상으로 표현하고 이런 기상정보들이 특정한 수치 이상을 보여 재난의 가능성이 감지될 경우에 SBB가 재난 모드로 변경되면서 재난의 가능성을 전파하며, 그리고 전국에서 발생하는 트위터를 재난과 관련된 17개의 키워드를 기준으로 필터링을 실시하여 재난의 전조를 감지하고 재난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인구증가 및 그로 인한 환경변화가 풍수해 등의 재난을 대규모화집중화시키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재난을 모니터링 하고 빠르게 대처하는 기술의 필요성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인 요청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풍수해 등의 국가적인 재난을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 국가재난관리시스템(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을 개발하였다. NDMS는 재난 발생의 예방과 대비, 발생된 재난에 대응 및 복구 등과 같이 재난 관리 단계별 업무를 지원하는 전국 단위 종합 정보 시스템으로서, 풍수해와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유형별 업무지원 시스템과, 기상청 및 홍수 통제소 등과 같이 유관기관의 재난정보를 연계 및 활용하는 재난정보 공동 활용시스템과, 재난현장을 지원하는 119 소방현장 대응시스템 등으로 구축되어 운영 중에 있다.
또한, 최근에는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기능과 서비스 범위를 한 단계 높이기 위한 고도화 작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특히 소방방재청은 지금까지 중앙행정기관과 시ㆍ도 중심으로 구축된 재난 대응 시스템을 전국 주요 시ㆍ군ㆍ구로 확대하고, 이전에 구축된 범정부 차원의 재난 관리 네트워크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국가 재난 관리 고도화 사업을 공고하고 사업에 착수한 상태이다.
이러한 국가 재난 관리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는, 첫째, 재난 유형별 피해자료의 표준화 미비로 인한 작업효율성 저하 및 이중 작업 가능성 산재, 둘째, 재난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재난 위험 및 피해 규모 산출을 위한 시ㆍ군ㆍ구의 표준화된 자료 구축 필요성, 셋째, 재난자료의 관리 및 재난 이력 관리 체계의 미흡으로 인해 재해 위험성, 또는 피해 규모와 같은 재해 특성 분석을 위한 기반 데이터의 부실 유발, 넷째, 지역의 재난피해 대처능력 분석을 통한 정책 개발 및 재난 피해 저감 능력 증진 방안 도출, 다섯째, 책임행정의 강화기반 조성, 유관기관 사이의 재난정보 이용 및 시스템 연계부진으로 인한 낮은 정보 활용성 등이 있다.
특히, 최근에 발생한 아이티 대지진 및 동일본 대지진과 같은 대규모 재난이 범세계적으로 빈발하고 있는데, 상기한 대규모 재난 발생 시에 경험한 바와 같이, SNS(트위터 등)를 비롯한 네트워크 기술의 효용성을 확실하게 느끼게 되었으며, 이러한 중요한 사례로부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재난에 빠르게 감지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같이 IT 기반이 잘 구축되어 있는 환경에서는 SNS(트위터 등)와 재난감지센서를 활용한 다양한 방법으로 재난을 감지하는 기술의 효용성이 뛰어나고 효율적인데, 실례로 2011년 강남역 침수사건 발생시, 강남역 인근에서 침수 및 폭우와 관련된 트위터만 약 5,000건 이상 발생하여 SNS(트위터 등)를 활용한 재난관리가 효율적이라는 가능성을 보여준 바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산지가 국토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국지적 기후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NDMS 운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기상청 AWS 관측소에서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 및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국지성 기후를 파악하기에는 그 수가 모자라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민간 기업인 에스케이 플래닛(SK planet)에서는 에스케이 텔레콤(SK telecom)의 기지국에 기상정보 수집 장치를 설치하여 고해상도의 기상정보를 수집 중에 있으며, 현재 서울에만 약 265개의 관측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기상청의 AWS 관측소가 서울에 약 30개인 것을 생각하면 에스케이 플래닛의 기상정보는 매우 고해상도의 기상정보라 할 수 있으며, 앞으로 전국으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재난 관련 다양한 정보들이 산재하고 있기는 하나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관리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없어 재난에 대한 효과적인 대비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없는 실정이며, 다만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043422호에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이라는 명칭으로, "(a)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모든 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재난 유형별로 재난위치정보를 별개의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기기의 콤보박스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전체(All), 침수, 해일, 산사태, 풍해, 대설, 화재를 포함한 재난유형 중 어느 하나의 재난위치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상기 (c)단계에서 요청된 재난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기술의 방법은 단지 발생된 재난의 위치와 그 형태를 모바일 기기 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복합적인 방재정보와 종합적인 재난정보의 제공 및 공개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방재정책에 대한 신뢰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재난의 전조를 파악하고 재난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데 국민들이 생산하는 SNS 정보를 적극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고해상도의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재난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자 스마트 재난관리 상황판(SBB)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04342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 수준 및 이들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기상청과 관측소에서 보내주는 기상정보를 지도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런 기상정보들이 특정한 수치 이상을 보여 재난의 가능성이 감지될 경우에 재난 모드로 변경되면서 재난의 가능성을 전파할 수 있어 종합적인 재난 관리를 할 수 있는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에 전국에서 발생하는 트위터를 재난과 관련된 17개의 키워드를 기준으로 필터링을 실시하여 재난의 전조를 감지하고 재난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은;
재난과 관련된 기상 정보, 레이더 영상, 위성영상, CCTV, 급경사지취약도, 고조위험예측, 침수예상도, 빅데이터(트위터), 현장조사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지도 화면에 표출하여 재난 상황관리 및 전조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기상정보는 기상청 및 에스케이 플래닛(SK planet)의 실시간 강우, 바람, 기온 정보를 입수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기상현상에 대한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CCTV는 전국 국도 및 홍수통제소의 CCTV를 연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상황판은 교통정보 및 뉴스시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빅데이터인 트위터는 실시간 발생 내용 및 그 분석결과를 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상황판은 그 정보가 지도에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상황판은 각 정보 및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은;
재난과 관련된 기상 정보, 레이더 영상, 위성영상, CCTV, 급경사지취약도, 고조위험예측, 침수예상도, 빅데이터(트위터 등), 현장조사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기상 정보는 일정 기준 이상의 기상현상에 대해서는 경보를 발령하고, 빅데이터인 트위터는 위치정보 기반으로 모니터링하여 실시간 재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의 전조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의 효과를 들 수 있다. 우선 실시간 기상정보, 레이더 영상 및 위성영상을 지도에 표현함으로써, 재난위험지역을 시각적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기상정보(강우량, 바람, 기온)별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현상에 대해서는 주의/경계/위험의 세 단계로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단순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재난발생가능지역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 두 번째로 트위터 등의 SNS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재난에 대한 전조 및 실시간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난현상에 대한 국민들의 반응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난현상에 대한 객관적 정보 파악과 더불어, 국민들이 재난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는 반응, 심리, 대응방법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SBB를 재난관리를 위한 공통 플랫폼으로 개발 및 채택했을 경우,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정보를 한데 모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CCTV 정보 및 영상을 SBB와 연동하여 관리하게 된다면, 중앙에서 지자체 정보를 관리하기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재난관리의 오픈 플랫폼으로서 기능하게 된다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관심에 따른 다양한 앱으로 개발 및 응용이 가능하여 ICT산업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SBB의 구성도 및 운영 흐름도이고,
도 2는 SBB의 일반(Normal) 화면이고,
도 3은 SBB에서 경보가 있을 때 나타나는 경보(Alarm) 화면이고,
도 4는 레이더 영상 화면이고,
도 5는 천리안 위성영상 화면이고,
도 6는 전국 트위터를 키워드별로 필터링한 분석 모드 화면이고,
도 7는 전국 국도 및 홍수통제소 수위영상 CCTV 화면이고,
도 8은 급경사지 취약지도 화면이고,
도 9은 고조위험예측 화면이고,
도 10은 강남역 주변의 침수예상도 화면이고,
도 11는 현장조사 앱을 통해 피해조사 상황을 업데이트하는 현장조사 화면이고,
도 12은 전국 주요도로의 교통정보 화면이고,
도 13은 뉴스시청의 일 예로 연합뉴스 TV 시청 화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SBB는 기상정보, 레이더 영상, 위성영상, CCTV, 급경사지취약도, 고조위험예측, 침수예상도, 빅데이터인 트위터, 현장조사 등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지도 화면에 표출한다. 이렇게 표출된 화면을 통해 재난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를 통합해서 한눈에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난전조의 감지 및 재난에 대해 실시간으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기상정보는,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기상청의 AWS와 에스케이 플래닛 AWS에서 강우량, 바람, 기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구축하고 있으며, 기상청 데이터는 전국정보를 제공하고 에스케이 플래닛 데이터는 서울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및 위성영상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연계하여 SBB 지도 위에 표출하고 있다. 그리고, CCTV는 국토교통부의 전국 국도 영상 및 한강 홍수통제소에서 제공하는 4대강 수위 영상을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급경사지 취약도는 재난안전연구원의 연구 성과로서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조위험예측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현재 조위정보와 과거의 최고조위정보 및 태풍이나 해일 발생시 해일예측시뮬레이션을 통한 최대파고 예측값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침수예상도는 광화문과 강남사거리 일대의 과거 침수흔적을 기반으로, 재현기간(강우빈도)과 누적강우시간에 따른 침수예상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를 표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는 위치정보기반의 트위터를 내용과 함께 발생위치를 지도에 표현해주며, 분석(Analysis) 기능을 탑재하여 17개의 재난키워드별 트위터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용어로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현장조사는 재난발생 현장에 파견된 전문가들이 현장조사 앱을 통해 등록하는 문자, 이미지, 동영상 등을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국 주요도로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연합뉴스 및 KTV의 뉴스시청과 소방방재청에서 제공하는 재난뉴스속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경로로 제공되는 SBB는 별도의 앱이 필요 없으며, 구글 크롬에서 URL을 입력하면 해당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으로 SBB에 접속한다면 이동이나 여행 중에도 전국의 재난관련정보를 얻을 수 있는 휴대용 상황판(Portable SBB)인 동시에, 재난과 관련된 정보를 하나의 지도 화면에서 파악할 수 있는 종합적인 재난관리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SBB는 기상청 및 에스케이 플래닛의 실시간 강우, 바람, 기온 정보를 입수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기상현상에 대한 경보를 발령하고, 또한 위치정보기반의 트위터를 모니터링 하여 실시간 재난 정보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레이더 영상, 위성 영상, 전국 국도 및 홍수통제소의 CCTV, 교통정보, 뉴스시청, 급경사지취약도, 고조위험예측, 침수예상도 뿐만 아니라, 재난발생 현장에 파견된 전문 조사단이 판단하는 현장조사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상황실에서 현장의 모든 재난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상황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SBB의 구성도 및 운영 흐름도이다. SBB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로그인(1)이 필요하며, 최종적으로는 웹 페이지의 화면에 지도 및 여러 가지 정보의 형태가 출력(14)된다.
우선, 기상정보(2)는 기상청 AWS 및 에스케이 플래닛에서 제공하는 강우량, 바람, 기온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여기에 기존에 설정해놓은 기상정보별 수치에 따라 특정 기준을 넘으면 주의/경계/위험의 3단계로 경보가 발령된다. 특정 기준을 넘지 않으면 정상(Normal) 상황이 되지만, 기준을 초과했을 경우에는 경보(Alarm) 상황으로 자동으로 변경된다.
또한, 레이더영상 및 위성영상(3)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레이더 영상 및 천리안 위성영상을 수집하여, 지도 위에 표출해 준다.
빅 데이터(4)는 전국에서 발생한 트위터 정보를 수집한다. 그 중에서 위치정보를 지닌 최근 1500개의 트위터가 저장되며, 실시간 모드에서 최근 100개의 트위터를 위치정보와 함께 표출한다. 분석모드는 미리 입력해놓은 17개의 재난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필터링하여 급상승 키워드와 지역별/시간별 트위터 발생건수 및 해당 트위터 정보를 제공한다.
CCTV(5)는 전국 국도 및 홍수통제소의 수위영상 정보를 제공하며, 무엇보다 CCTV의 위치가 지도에 표시된다는 장점이 있다.
고조위험예측(6)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과거 최고 수위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조위정보(7)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최대 조위와 해일이 겹쳐 함께 발생할 경우의 최대예측 값을 제공한다.
침수예상도(8)는 광화문과 강남역 일대에 10년/20년/30년/40년/50년 재현기간(강우빈도)의 강우가 30분/60분/120분/180분간 누적되었을 경우에 따른 예상 침수구역을 시뮬레이션 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연구 성과이다.
급경사지취약지도(9)는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북한산과 관악산 등 산간지역의 상대적 취약성을 표현한다.
현장조사(10)는 현장조사 앱을 이용해 재난현장을 조사하고 있는 전문가가 직접 올리는 문자/사진/동영상을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하고 있다.
교통정보(11)는 전국 주요 도로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TV시청(12)은 연합뉴스와 KTV를 제공하고 있다.
맵핑(Mapping; 13)은 상기 TV 시청(12)을 제외한 2 내지 10번까지의 정보를 하나의 지도 화면에 해당 정보의 위치를 제공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웹페이지에 SBB의 화면을 표출(14)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지도뿐만 아니라 항목별 다양한 정보를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도 2는 아무런 기상경보가 발령되지 않았을 경우의 화면으로 SBB의 일반(Normal) 화면이다. 일반 상태일 경우에는 상단과 하단에 있는 바가 하늘색으로 표현된다. 왼쪽에는 기상정보, CCTV, 빅데이터, 현장조사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있으며, 오른쪽에는 왼쪽에서 선택한 항목에 따른 결과를 표출해주고 있다. 도 2에서는 한반도에 아무런 경보가 없는 상태이며, 전국에서 발생하는 실시간 트위터 위치가 지도에 표시되고 있으며, 자세한 정보가 오른쪽에 표출되고 있다.
도 3은 SBB에 경보가 있을 때의 상황으로 경보(Alarm) 화면이다. 경보 상태에는 상단과 하단이 붉은색 바로 전환된다. 해당 그림은 기상정보 중에서도 기온을 선택한 상태이며, 오른쪽 그래프에 경보가 발생한 지역의 기온정보가 표출된다.
도 4는 레이더 영상을 표출했을 때의 화면이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레이더 영상을 SBB의 지도 위에 얹어서 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줌 인-아웃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자세한 레이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위성영상을 선택했을 때의 화면으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천리안 위성영상을 연계하여 표출한다. 위성영상 또한 바람직하게는 레이더 영상처럼 줌 인-아웃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레이더 영상과 함께 표출할 수 있어 자세한 기상상황 분석이 가능하다.
도 6는 빅데이터 화면에서 실시간 트위터 정보가 아닌 분석모드를 선택했을 때의 화면이다. 오른쪽 상단에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는 창과 해당 키워드별 누적 트위터 건수가 그래프로 표현되며, 그 아래에 해당 키워드로 필터링된 트위터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도 7는 CCTV를 선택했을 때의 화면이다. 왼쪽 메뉴에서 기상정보의 하위메뉴로 들어가 있는 CCTV를 선택하면, 지도 위에 국도 및 홍수통제소의 CCTV 위치가 나타난다. 원하는 지역의 CCTV 아이콘을 클릭하면, 오른쪽 하단처럼 해당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급경사지취약지도를 선택한 화면이다. 서울지역의 산지를 대상으로 상대적 위험성을 평가한 결과물이 지도에 표현되며, 색이 짙을수록 더 위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9은 고조위험예측을 선택했을 때의 화면이다. 고조위험예측을 선택하고 원하는 지역의 조위지점을 클릭하면, 지도 위에 그래프가 표출된다. 그래프는 총 3개로, 왼쪽부터 과거 최고 수위, 관측해수위, 최대예측(조위+해일) 정보가 표출된다.
도 10은 강남역 일대의 침수예상도 화면이다. 침수예상도를 선택하면 재현기간(강우빈도)과 누적강우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나며, 각각의 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지도 위에 표출한다.
도 11는 현장조사를 선택했을 때의 화면이다. 왼쪽 메뉴에서 현장조사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가장 최근에 현장조사 앱을 통해 재난정보를 올린 지점으로 이동한다. 지도 위에는 현장조사 앱을 통해 올린 정보의 위치를 표현하고 있으며, 오른쪽에 리스트를 표현하고 있다.
도 12은 교통정보를 표시했을 때의 화면이다. 전국 주요도로의 실시간 교통정보가 지도 위에 표현된다.
도 13은 TV를 선택했을 때의 화면이다. TV는 지도크기, CCTV 크기, 전체크기로 시청할 수 있으며, 연합뉴스와 KTV 두 채널을 제공한다. 또한 TV시청 중에도 우측 하단에 경고메세지가 발생하여 실시간 재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재난과 관련된 기상 정보, 레이더 영상, 위성영상, CCTV, 급경사지취약도, 고조위험예측, 침수예상도, 빅데이터(트위터), 현장조사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지도 화면에 표출하여 재난의 전조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는 기상청 및 에스케이 플래닛(SK planet)의 실시간 강우, 바람, 기온 정보를 입수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기상현상에 대한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CTV는 전국의 홍수통제소의 CCTV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판은 교통정보 및 뉴스시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인 트위터는 실시간 발생 내용 및 그 분석결과를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판은 그 정보가 지도에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판은 각 정보 및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8. 재난과 관련된 기상 정보, 레이더 영상, 위성영상, CCTV, 급경사지취약도, 고조위험예측, 침수예상도, 빅데이터(트위터), 현장조사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기상 정보는 일정 기준 이상의 기상현상에 대해서는 경보를 발령하고, 빅데이터인 트위터는 위치정보 기반으로 모니터링하여 실시간 재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의 전조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KR20130125446A 2013-10-21 2013-10-21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KR20150045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446A KR20150045771A (ko) 2013-10-21 2013-10-21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446A KR20150045771A (ko) 2013-10-21 2013-10-21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771A true KR20150045771A (ko) 2015-04-29

Family

ID=5303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446A KR20150045771A (ko) 2013-10-21 2013-10-21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577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608A (ko) * 2015-08-21 2017-03-0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KR20170022607A (ko) * 2015-08-21 2017-03-0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20200046660A (ko)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포드림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5423A (ko) * 2018-12-18 2020-06-26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화학 시설에 대한 보안 취약성 평가 시스템
KR20210054109A (ko) * 2019-11-04 2021-05-13 (주)유엔이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091999A1 (en) * 2019-11-04 2021-05-14 Drummond Scott Making weather information available during bad weather
KR102655841B1 (ko) * 2024-01-23 2024-04-09 디아이랩 주식회사 초단기 강수 예측을 통한 침수 위험 조기 감지 및 대응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608A (ko) * 2015-08-21 2017-03-0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KR20170022607A (ko) * 2015-08-21 2017-03-0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20200046660A (ko)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포드림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5423A (ko) * 2018-12-18 2020-06-26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화학 시설에 대한 보안 취약성 평가 시스템
KR20210054109A (ko) * 2019-11-04 2021-05-13 (주)유엔이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091999A1 (en) * 2019-11-04 2021-05-14 Drummond Scott Making weather information available during bad weather
KR102655841B1 (ko) * 2024-01-23 2024-04-09 디아이랩 주식회사 초단기 강수 예측을 통한 침수 위험 조기 감지 및 대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5771A (ko)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Morss et al. Flash flood risks and warning decisions: A mental models study of forecasters, public officials, and media broadcasters in Boulder, Colorado
Terpstra et al. Towards a realtime Twitter analysis during crises for operational crisis management
Slamet et al. Social media-based identifier for natural disaster
KR101724260B1 (ko)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KR20160099931A (ko)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Durage et al. Comparison of the Canadian and US tornado detection and warning systems
Donratanapat et al. A national scale big data analytics pipeline to assess the potential impacts of flooding on critical infrastructures and communities
Horita et al. Determining flooded areas using crowd sensing data and weather radar precipitation: a case study in Brazil
KR101396160B1 (ko) 매시업 기능을 활용한 cctv 블라인드 스폿 분석 및 설치 위치 결정 방법
Iliopoulou et al. ITS technologies for decision making during evacuation operations: a review
KR20160117765A (ko)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JP2003141670A (ja) 河川情報の危険度評価・判断支援システム
Leelawat et al. The tsunami warning system in Thailand: A part of the reconstruction process after the 2004 Indian Ocean tsunami
Italian Civil Protection Department et al. The Dewetra platform: a multi-perspective architecture for risk management during emergencies
Meissen et al. WIND-A 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and its extensions towards mobile services.
WO2021124552A1 (ja) 情報提供方法
JP2022052355A (ja) 情報分析装置、情報分析方法および情報分析プロブラム
Yin et al. A web-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debris flow disaster management in Taiwan
JP7111397B1 (ja) 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9101803A (ja) 危険判定通知システムおよびその端末装置
Yabut et al. e-wasBaha: A mobile application framework for flood monitoring in Metro Manila using crowdsourcing
Jhagdambi et al. Using Big Data in Early Warning System of Flash Floods in Mauritius
Inayath Early warning system and community based emergency response mechanism
Borretti et al. The French Vigilance system.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disaster risks in Fr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