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765A -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765A
KR20160117765A KR1020150045084A KR20150045084A KR20160117765A KR 20160117765 A KR20160117765 A KR 20160117765A KR 1020150045084 A KR1020150045084 A KR 1020150045084A KR 20150045084 A KR20150045084 A KR 20150045084A KR 20160117765 A KR20160117765 A KR 20160117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sunami
sea wave
flooding
seismic sea
predi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현
홍성진
박형성
김동석
조시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50045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7765A/ko
Publication of KR2016011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01V1/00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은; 지진 해일 재해요소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는 단계; 동해안 대상지역의 지진 해일 대책현황을 분석하는 단계; 지역별 연안역 지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동해안 대상지역별 범람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동해안 대상지역별 지진 해일 침수 예상도를 작성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침수 예상도에서 일정한 침수 정도를 넘으면 지진 해일 경보를 발령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은 가상시나리오를 활용한 국내 유일 지진 해일대응 시스템으로 단계별 대응절차를 통해 지진 해일 발생에 대한 신속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M7.5, M8.0, M8.5, M9.0 규모별 동해안 43개 지구의 지진 해일 범람특성의 분석 및 침수 예상도를 활용하여 위험지역의 예측을 가능하고 하고, 또한 지진 해일 위험지역에 대한 지진 해일 침수 예상도를 작성하여 위험정보 알려, 수요자가 지진 해일의 위험성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지진 해일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실시간으로 지진 해일 상황을 관리하고 의사결정 지원을 할 수 있게 하여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Description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Predicting and maneuvering system of seismic sea wave}
본 발명은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상청 등의 관련 기관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각종 기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동해안 지역에 대한 지진 해일 침수 예상도를 작성하여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별 연안별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 등에 따른 환경 변화에 따라 과거의 기후 환경이 점차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이 나타나고 있고 또한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재해 및 재난의 형태가 점차 다양화되고 그 피해규모 또한 증가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재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술과 경제수준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재해에 대한 방재시스템에 대하여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가적, 사회적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관련기술의 연구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재해에 대한 방재 시스템으로는 주로 집중호우나 폭풍을 동반한 폭우 등에 따른 산사태나 주택 또는 도로의 침수 등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해양 재난, 특히 대형 지진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해일의 피해는 아주 크고 그 예측이 어렵지만, 이에 대한 주의는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다. 다만 폭풍 해일재난과 관계되는 것으로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7-0047683호에서는, 폭풍해일 시나리오를 이용한 범람 예측 방법 및 그 시스템이라는 명칭으로, "(a) 과거 발생한 실제 태풍 정보들을 근거로 가상시나리오 수치모의 결과를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개별 시나리오 추출을 위한 화면 입력을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화면에 개별 시나리오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에 억세스하여 해당 시나리오에 일치 또는 가장 유사한 개별 시나리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색된 개별 시나리오 정보를 근거로 예상 피해결과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풍해일 시나리오를 이용한 범람 예측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017835호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지진관측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서버에 저장된 지진관측정보를 무선 연동에 의해 인접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연동장비를 구비한 지진관측소와; 상기 인접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지진관측정보를 바탕으로 셀 영역에 따라 지진/해일 경보 등급을 설정하는 지진/해일 경보 서버와; 상기 지진/해일 경보 서버에서 설정한 셀 영역별 지진/해일 경보 등급 정보를 각 셀 영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발명의 기술은 종래의 실정보를 기준으로 시나리오를 만들어 이용하거나 또는 단순히 지진정보를 이용하여 해일 경보를 발령하는 것으로서 해일 발생에 따른 피해 예측을 미연에 제공하지 못하므로, 지진 발생에 따라 일어나는 해일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음을 본 발명자 등은 인식하였고,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7-0047683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01783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일 목적은 기상청 등의 관련 기관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각종 기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동해안 지역에 대한 지진 해일 침수 예상도를 작성하여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별 연안별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므로, 지진 발생 후에 일어나는 해일에 대한 해안 또는 연안 지역의 피해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대비할 수 있게 하는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진 해일의 예측을 정확하게 하여 이에 대응하도록 하므로 지진 해일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실시간으로 지진 해일의 재난 상황을 관리하고 의사결정 지원을 할 수 있는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은;
지진 해일 재해요소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는 단계;
동해안 대상지역의 지진 해일 대책현황을 분석하는 단계;
지역별 연안역 지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동해안 대상지역별 범람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동해안 대상지역별 지진 해일 침수 예상도를 작성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침수 예상도에서 일정한 침수 정도를 넘으면 지진 해일 경보를 발령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시도 및 시군구별 지진 해일 매뉴얼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침수 예상도에 따른 피해를 시뮬레이션하고, 그에 따른 지진 해일 매뉴얼을 수정 보완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동해안 대상지역별 지진 해일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는 단계는 지진 해일로 인한 피해 가능성 있는 연안의 해일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침수예상도 작성은 지역별 파고분포 및 가상의 침수예상 경로 확인이 가능하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은 가상시나리오를 활용한 국내 유일 지진 해일대응 시스템으로 단계별 대응절차를 통해 지진 해일 발생에 대한 신속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M7.5, M8.0, M8.5, M9.0 규모별 동해안 43개 지구의 지진 해일 범람특성의 분석 및 침수 예상도를 활용하여 위험지역의 예측을 가능하고 하고, 또한 지진 해일 위험지역에 대한 지진 해일 침수 예상도를 작성하여 위험정보 알려, 수요자가 지진 해일의 위험성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지진 해일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실시간으로 지진 해일 상황을 관리하고 의사결정 지원을 할 수 있게 하여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메인 화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대상지역 선택기능 화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레이어 정보 표시 기능 화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검색 기능 화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침수 예상도 동영상 화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부가 기능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 지진 해일로 인한 피해 가능성 있는 동해안 지진 해일 침수예상도 작성(예를 들어 43개소); 본 침수 예상도에 의해 지역별 파고분포 및 가상의 침수예상 경로 확인이 가능함;
- 동해안 지진 해일 예측 대상지역의 지진 해일 대책현황 분석
- 지진 해일 재해요소의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세계전도 및 수심도, 행정구역도와 하천호수 공원 등 배경데이터, 대피소와 조위 데이터와 수심도와 기타 주요 시설물 정보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
- 지역별 연안역 지형 데이터베이스 구축;
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정밀표고 및 수심자료 확보, 현장조사 그리고 좌표체계 통일 및 기준 수면 통일을 수행함;
- 동해안 대상지역별 범람특성 분석;
- 동해안 대상지역별 지진 해일 침수예상도 작성;
- 지진 해일 침수예상도 작성 지침(안) 작성;
- 시도, 시군구별 지진 해일 매뉴얼 수집 및 분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내용으로 되는 본 발명의 지진 해일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핵심적인 기능으로서는, 최근 발생한 한반도 주변 지진 해일 발생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화면에 발생시각, 진앙지, 규모 등 지도 및 텍스트로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지진 해일 침수예상도 작성 지역 목록으로 해당 침수예상도 상세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는 대상지역 바로가기 기능을 제공하며 시도 시군구별로 지역 선택이 가능하고, 또 건물명 또는 지역명으로 이동가능한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침수예상도 상에서 레이어 정보를 축척별로 표시되며 온/오프(on/off)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선정된 43개 위험지구에 대한 규모별(예를 들어, 진도 7.5, 8.0, 8.5, 9.0) 시나리오별(예를 들어, 11개 지점)로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지역별 파고분포 및 가상의 침수예상경로를 확인 가능한 동영상 다운로드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기능으로, 대피소 이동경로 탐색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신속한 대피를 위해 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대피소 이동경로 탐색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진 해일 발생 상황에 따른 대응절차를 단계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데, 이는 시스템 상에서 단계별 절차를 확인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여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메인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메인 화면은 ① 최근에 발생한 한반도 주변 지진 해일 발생정보를 제공하는 영역, ② 지진 해일 침수예상도 작성 지역 목록으로 클릭 시 해당 침수예상도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영역, ③ 지진 해일 발생 상황에 따른 대응절차 단계를 제공하는 영역 및 ④ 공지사항 및 자료실 제공 영역으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대상지역 선택기능 화면으로, 대상지역 바로가기 기능을 제공하며 시도 또는 시군구별로 지역 선택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레이어 정보 표시 기능 화면으로, 레이어 정보를 축척별로 표시되면 온/오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검색 기능 화면으로, 검색은 건물명 또는 지역명으로 검색하는 기능과 이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침수 예상도 동영상 화면이다. 도면에는 강구지구, 부구지구, 속초지구 및 후포지구에 대해 예를 들어 도시되어 졌으며, 이를 포함한 11개 가상시나리오, 대상지역에 따른 침수예상도 시뮬레이션 동영상을 웹사이트 및 다운로드로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다.
기타 부가 기능으로서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부가 기능 화면을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기능의 화면은 현재 위치 주소표시, 측정, 그림 정장, 인쇄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여기에 서술된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방법론, 시스템 및/또는 이들의 용도 등에 대해 완전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노력하여 본 기술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어떤 특별한 정도로,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개의 양태를 참고로 하여 상술되어 졌지만, 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인은 여기의 기술의 정신 또는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개시된 양태에 대한 다수의 변형을 만들 수 있다. 많은 양태는 본 기재 기술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범위는 이하 첨부된 청구범위로 된다.

Claims (4)

  1. 지진 해일 재해요소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는 단계;
    동해안 대상지역의 지진 해일 대책현황을 분석하는 단계;
    지역별 연안역 지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동해안 대상지역별 범람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동해안 대상지역별 지진 해일 침수 예상도를 작성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침수 예상도에서 일정한 침수 정도를 넘으면 지진 해일 경보를 발령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시도 및 시군구별 지진 해일 매뉴얼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침수 예상도에 따른 피해를 시뮬레이션하고, 그에 따른 지진 해일 매뉴얼을 수정 보완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해안 대상지역별 지진 해일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는 단계는 지진 해일로 인한 피해 가능성 있는 연안의 해일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예상도 작성은 지역별 파고분포 및 가상의 침수예상 경로 확인이 가능하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KR1020150045084A 2015-03-31 2015-03-31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KR20160117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084A KR20160117765A (ko) 2015-03-31 2015-03-31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084A KR20160117765A (ko) 2015-03-31 2015-03-31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765A true KR20160117765A (ko) 2016-10-11

Family

ID=5716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084A KR20160117765A (ko) 2015-03-31 2015-03-31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776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5060A (zh) * 2016-08-19 2016-12-07 临沂大学 用于露天矿坑尾矿库边坡滑坡预警预报方法
CN109946763A (zh) * 2019-03-27 2019-06-28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波群识别的畸形波短期预报方法
KR20200014147A (ko) * 2018-07-31 2020-02-1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형 복합재난 영향 확산을 고려한 수치모형 및 시나리오 기반 피해 예측방법
KR20220010925A (ko) * 2020-07-20 2022-01-27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유한요소법 기반의 지진해일 수치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6978191A (zh) * 2023-09-25 2023-10-31 宁波麦思捷科技有限公司武汉分公司 一种海洋灾害预测与预警的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835A (ko) 2005-08-08 200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47683A (ko) 2005-11-02 2007-05-07 아카호시 가부시키가이샤 전착 드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835A (ko) 2005-08-08 200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47683A (ko) 2005-11-02 2007-05-07 아카호시 가부시키가이샤 전착 드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5060A (zh) * 2016-08-19 2016-12-07 临沂大学 用于露天矿坑尾矿库边坡滑坡预警预报方法
KR20200014147A (ko) * 2018-07-31 2020-02-1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형 복합재난 영향 확산을 고려한 수치모형 및 시나리오 기반 피해 예측방법
CN109946763A (zh) * 2019-03-27 2019-06-28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波群识别的畸形波短期预报方法
CN109946763B (zh) * 2019-03-27 2021-01-19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波群识别的畸形波短期预报方法
KR20220010925A (ko) * 2020-07-20 2022-01-27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유한요소법 기반의 지진해일 수치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6978191A (zh) * 2023-09-25 2023-10-31 宁波麦思捷科技有限公司武汉分公司 一种海洋灾害预测与预警的方法及系统
CN116978191B (zh) * 2023-09-25 2023-12-08 宁波麦思捷科技有限公司武汉分公司 一种海洋灾害预测与预警的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 et al. Participatory sensing and digital twin city: Updating virtual city models for enhanced risk-informed decision-making
McDougall Using volunteered information to map the Queensland floods
Opolot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in flood management: a review
KR20160117765A (ko) 지진 해일의 예측 및 대응 시스템
Knight et al. Application of flood risk modelling in a web-based geospatial decision support tool for coastal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KR20160117766A (ko) 실시간 해양정보 분석을 통한 해양재난의 예측 및 관리 시스템
Takabatake et al. Tsunami evacuation simulation for the District of Tofino, Vancouver Island, Canada
KR20150045771A (ko)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Rogers et al. NASA’s Mid-Atlantic Communities and Areas at Intensive Risk Demonstration:: Translating Compounding Hazards to Societal Risk
Oswald et al. Identifying sea level rise vulnerability using GIS: development of a transit inundation modeling method
Lorini et al. Venice was flooding... one tweet at a time
Kabanda GIS modeling of flooding exposure in Dar es Salaam coastal areas
Italian Civil Protection Department et al. The Dewetra platform: a multi-perspective architecture for risk management during emergencies
Stanchev et al. 3D GIS model for flood risk assessment of Varna Bay due to extreme sea level rise
Kubíček et al. Flood management and geoinformation support within the emergency cycle (EU example)
KURT¹ et al. Potential impacts of sea level rise on the coasts of Turkey
Juhász et al. Sea Level Rise Impact Assessment Tool–A Web-Based Application for Community Resilience in Coral Gables, Florida
Hong et al. Using 3D WebGIS to support the disaster simulation, management and analysis–examples of tsunami and flood
JP7111397B1 (ja) 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Zillm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s
Yang et al. A 3D simulation of river basin boundary based on the change of water-level using open government data in South Korea
Laknath et al. Simulation of 2004 tsunami inundation in Galle City in Sri Lanka and revisit the present evacuation measures
Opdyke et al. Benchmarking household storm surge risk perceptions to scientific models in the Philippines
Kim et al. Sea-Level-Rise Modeling and Impact Assessment for Historic Coastal Communities
WO2023181387A1 (ja) 通知装置、通知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