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313B1 -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313B1
KR102559313B1 KR1020220006876A KR20220006876A KR102559313B1 KR 102559313 B1 KR102559313 B1 KR 102559313B1 KR 1020220006876 A KR1020220006876 A KR 1020220006876A KR 20220006876 A KR20220006876 A KR 20220006876A KR 102559313 B1 KR102559313 B1 KR 10255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disaster
message
information messages
me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2663A (ko
Inventor
구현희
류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싱크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싱크테크노 filed Critical (주)싱크테크노
Publication of KR2023009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6Delivery according to prior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재난문자방송을 위한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복수의 사용기관에 의해 입력된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기관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정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기간통신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TTUS FOR TRANSMITTING DISAST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재난문자방송을 위한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회의 도심집중화와 생태계 변화에 따른 이상기후 등으로 발생하는 재난의 종류 및 그 양상이 복잡화, 대형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재난 상황에 대한 대비 및 대응을 위한 국가적 시스템 및 서비스 마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은 휴대폰 보급률이 100%로, 이동통신망을 활용하여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란 태풍, 지진, 홍수, 산사태, 미세먼지, 감염병 등 각종 자연 및 사회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재난정보를 전달하고 국민이 대비 및 대피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지자체), 기상청 및 관련 부처 등에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휴대폰으로 보내는 긴급문자를 의미한다.
이동통신망을 통해 긴급재난문자를 보내기 위해서는 국제표준인 CBS(Cell Broadcast Service)에 따른다. CBS는 양방향 문자 정보 전달 서비스인 SMS(Short Message Service)와 달리 일정 크기의 문자 정보를 한개 이상의 특정 서비스 영역으로 전송하는 서비스 방식이다.
한국은 재난문자를 위한 메시지 식별자를 매핑하는데 있어 CBS 국제표준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기관이 다수의 재난문자를 동시에 전송할 경우 일부 재난문자가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0527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61752호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기관이 동시에 복수의 재난 정보를 입력할 때, 상기 복수의 재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재난문자방송을 위한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복수의 사용기관에 의해 입력된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는 동일한 메시지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사용기관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기간통신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재난문자방송을 위한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서버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은 복수의 사용기관에 의해 입력된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는 동일한 메시지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사용기관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기간통신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복수의 사용기관이 동시에 복수의 재난 정보를 입력할 때, 상기 복수의 재난 정보를 손실없이 사용자에게 전달 수 있다.
도 1은 송출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출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서버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기간통신사업자"란 주파수를 할당받아 제공하는 역무 중 이동통신서비스를 행하는 자를 말한다.
"CBS(Cell Broadcasting Service)"란 공공알람이나 긴급알람을 위해 기지국이 불특정 다수의 휴대폰으로 데이터 정보(문자)를 전송할 수 있도록 만든 이동통신시스템을 응용한 서비스를 말한다.
"재난문자방송"이란 재난 및 민방공 상황발생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예상되는 때 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CBS 수신기능이 탑재된 이동기기(휴대폰 등)에 전달하는 재난문자 방송을 말한다.
"재난정보"란 기간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에게 재난문자방송의 송출을 요청하는 정보로 행동요령이 포함된 자연재난(호우, 태풍 등)과 사회재난(화재, 붕괴 등) 및 민방공 상황발생 등의 정보를 말한다.
"송출시스템"이란 재난정보의 송출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기간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에게 요청하기 위해 구축한 시스템으로서 정부에서 운영·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사용기관"이란 송출시스템을 사용하여 재난정보를 송출할 수 있도록 입력권한이 부여된 기관을 말한다.
도 1은 송출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준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기관에 의해 입력된 재난 정보는 송출시스템(100)으로 수신된다. 송출시스템(100)은 운영서버(101)를 포함한다. 운영서버(101)는 CBS(Cell Broadcast Service)를 위한 재난정보 메시지를 생성한다. 재난정보 메시지의 포맷은 3GPP TS 23.041 V17.2.0 (2021-09)에 따를 수 있으며, 재난정보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자와 재난정보를 포함한다.
도면은 단지 하나의 운영서버(101)를 나타내고 있으나, 복수의 운영서버가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운영서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기관 그룹은 제1 운영서버에 연결되고, 제2 사용기관 그룹은 제2 운영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재난정보 메시지는 기간통신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시스템(200)으로 보내진다. 네트워크 시스템(200)은 CBS를 지원하는 CBC(Cell Broadcast Centre)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RAN(Radio Access Network)를 포함한다. 재난정보 메시지는 네트워크 시스템(200)를 통해 각 사용자의 단말(300)로 전송된다.
도면은 단지 하나의 네트워크 시스템(200)을 나타내고 있으나, 복수의 기간통신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시스템이 배치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운영서버는 복수의 네트워크 시스템 각각으로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재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기관은 법령에 의해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사용기관은 기상청,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금융위원회, 경찰청, 소방청, 산림청, 기상청, 해양경찰청, 원자력안전위원회, 질병관리청 등을 포함한다.
3GPP TS 23.041에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위한 메시지 식별자가 정의되며, 한국의 재난정보 방송을 위한 KPAS(Korean Public Alert System)에는 다음이 사용된다.
메시지 식별자 의미
4370 클래스(class) 0 메시지
4371 클래스 1 메시지
4372 클래스 1 메시지
4373 클래스 1 메시지
4374 클래스 1 메시지
4375 클래스 1 메시지
4376 클래스 1 메시지
4377 클래스 1 메시지
4378 클래스 1 메시지
4379 클래스 1 메시지
클래스는 재난의 경중에 따른 분류로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명칭 클래스 재난유형 단말알림소리 수신거부
위급재난 클래스 0 공습경보, 경계경보, 화생방경보, 경보해제, 지진 규모 6.0 이상 60dB이상 불가
긴급재난 클래스 1 테러, 방사성물질 누출 예상, 지진 규모 3.0 이상, 지진해일주의보, 지진해일 경보 40dB이상 가능
안전안내 클래스 1 위급/긴급재난을 제외한 재난경보 및 주의보 일반문자 수신환경 설정값 가능
통상적으로, 위급재난의 경우 메시지 식별자로 '4370', 긴급재난의 경우 메시지 식별자로 '4371', 안전안내의 경우 메시지 식별자로 '4372'를 사용한다.
국제표준은 다수의 메시지 식별자를 정의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단지 3개의 메시지 식별자만을 사용하고 있다. 긴급재난은 매우 중요하고 위급한 메시지로써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안전안내는 안내를 목적으로 하므로 사용자가 재난정보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큰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긴급재난의 경우에는 위급재난보다는 빈도수가 높고, 사용자에게 반드시 전달이 필요한 정보라 할 수 있다.
도 1의 송출 시스템에 의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복수의 사용기관이 동시에 복수의 재난정보를 입력하면, 어떤 메시지를 우선순위로 보낼지에 대한 판단이 어렵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긴급재난의 경우 메시지 식별자로 '4371'를 일률적으로 적용한다. 기상청이 지진규모 3.0 이상의 제1 재난정보를 입력하고, 행정안전부가 테러에 관한 제2 재난정보를 동시에 입력한다고 할 때, 어느 메시지를 우선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200)으로 전달할지 판단하기 어렵다.
둘째, 송출시스템(100)과 네트워크 시스템(200) 간의 전송 지연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재난정보 메시지가 중요한 메시지이기는 하지만, 시스템 과부하를 막기 위해, 기간통신사업자는 일반적으로 수십밀리초~수십초 사이의 지연시간을 둔다. 지연시간 사이에는 네트워크 시스템(200)은 송출시스템(100)으로부터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다.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가 수신된 후, 지연시간 동안 송출시스템(100)이 이들 메시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출시스템을 보여준다.
운영서버(501)와 네트워크 시스템(600)의 동작은 도 1의 운영서버(101) 및 네트워크 시스템(200)과 동일하다.
전송서버(502)는 재난정보 메시지의 우선순위와 지연주기에 따른 메시지 관리를 담당한다. 전송서버(502)은 운영서버(501)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600)으로 보낸다. 전송서버(502)는 지연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네트워크 시스템(600)으로 보낼 수 있다. 지연주기는 네트워크 시스템(600)이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주기이다.
도면은 단지 하나의 운영서버(501)를 나타내고 있으나, 복수의 운영서버가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운영서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기관과 연결될 수 있다. 기 복수의 운영서버는 전송서버(502)로 자신의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면은 단지 하나의 네트워크 시스템(600)을 나타내고 있으나, 복수의 기간통신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시스템이 배치될 수 있다. 전송서버(502)는 복수의 네트워크 시스템 각각으로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서버(502)는 재난정보 메시지의 입력 주체인 사용기관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동일한 메시지 식별자(예, 4371)를 갖는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기관의 우선순위에 따라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사용기관의 우선순위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청, 행정안전부, 경찰청 등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송서버(502)는 재난정보 메시지의 재난 성격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표준규격 3GPP TS 23.041에 의하면, 메시지 식별자는 다음과 같은 재난 성격에 따라 결정된다.
메시지식별자 Severity Urgency Certainty
4370 - - -
4371 Extreme Immediate Observed
4372 Extreme Immediate Likely
4373 Extreme Expected Observed
4374 Extreme Expected Likely
4375 Severe Immediate Observed
4376 Severe Immediate Likely
4377 Severe Expected Observed
4378 Severe Expected Likely
재난 성격에 관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재난성격 코드 값
Severity “Extreme” - Extraordinary threat to life or property
“Severe” - Significant threat to life or property
“Moderate” - Possible threat to life or property
“Minor” ? Minimal to no known threat to life or property
“Unknown” - Severity unknown
Urgency “Immediate” - Responsive action SHOULD be taken immediately
“Expected” - Responsive action SHOULD be taken soon (within next hour)
“Future” - Responsive action SHOULD be taken in the near future
“Past” - Responsive action is no longer required
“Unknown” - Urgency not known
Certainty “Observed”- Determined to have occurred or to be ongoing
“Likely” - Likely (p > ~50%)
“Possible” - Possible but not likely (p <= ~50%)
“Unlikely” - Not expected to occur (p ~ 0)
“Unknown” - Certainty unknown
심각성(Severity)에서는 "Extreme"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 긴급성(Urgency)에서는 "Immediate"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 확실성(Certainty)에서는 "Observed"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재난성격에 따라 메시지 식별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긴급재난의 경우 메시지 식별자로 "4371"을 공용으로 사용하고, 사용기관이 재난성격은 입력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기관이 재난정보를 입력할 때, 재난성격을 함께 입력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기상청은 지진에 관한 긴급재난에 관한 재난정보를 메시지 식별자로 "4371", 재난성격 ("Extreme", "Immediate", "Likely")도 입력한다. 전송서버는 동일한 메시지 식별자라도 재난성격에 따라 재난정보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서버의 동작을 보여준다. 이 동작은 사용기관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는 예를 보여준다.
사용기관은 기상청, 산림청, 경찰청, 행정안전부를 예시하나, 사용기관이나 그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사용기관의 우선순위는 가장 높은 순위부터 기상청-행정안전부-산림청-경찰청 이라 한다.
운영서버는 기상청, 산림청, 경찰청으로부터의 재난정보를 입력받아, 기상청 재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재난정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산림청 재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재난정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경찰청 재난 정보를 기반으로 제3 재난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들 메시지를 전송서버로 보낸다(S310~S330).
전송서버는 수신된 재난정보메시지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한다(S340). 사용기관을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므로, 제1 재난정보 메시지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전송서버는 지연주기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재난정보 메시지부터 순차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350). 여기서는, 제1 재난정보 메시지가 전송된다. 네트워크 시스템의 용량에 따라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운영서버는 행정안전부로부터의 재난정보를 입력받아, 행정안전부 재난 정보를 기반으로 제4 재난정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 메시지를 전송서버로 보낸다(S360).
전송서버는 이전에 보내지 못한 제2 및 제3 재난정보 메시지 및 제4 재난정보 메시지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한다(S370). 사용기관을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므로, 제4 재난정보 메시지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전송서버는 지연주기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재난정보 메시지부터 순차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380). 여기서는, 제4 재난정보 메시지가 전송된다.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는 동시에 또는 지연주기 동안 수신될 수 있고,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전송서버는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들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재난정보 메시지부터 순차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보낼 수 있다.
복수의 사용기관으로부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가 수신될 때,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의 우선순위에 따라 재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재난정보 메시지들의 버퍼 관리를 통해 네트워크 시스템의 용량에 따라 재난정보 메시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서버(900)은 프로세서(910), 메모리(9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0)를 포함한다. 메모리(920)는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행되는 다양한 명령어를 저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0)는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메시지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9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송서버의 동작은 프로세서(9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가 소프트웨어 명령어로 구현될 때, 명령어는 메모리(9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행되어 전술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Claims (4)

  1. 재난문자방송을 위한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기관에 의해 입력된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는 동일한 메시지 식별자 값 '4371'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사용기관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가 기간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될 우선순위를 정하고; 및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재난정보 메시지부터 상기 기간통신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재난정보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제2 재난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재난정보 메시지와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 중 미전송된 나머지 재난정보 메시지를 포함하여 다시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메시지 전송 방법.
  3. 재난문자방송을 위한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서버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은:
    복수의 사용기관에 의해 입력된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는 동일한 메시지 식별자 값 '4371'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사용기관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가 기간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될 우선순위를 정하고; 및
    상기 복수의 재난정보 메시지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재난정보 메시지부터 상기 기간통신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버.
  4. 삭제
KR1020220006876A 2021-12-17 2022-01-17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59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1929 2021-12-17
KR1020210181929 2021-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663A KR20230092663A (ko) 2023-06-26
KR102559313B1 true KR102559313B1 (ko) 2023-07-26

Family

ID=8694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876A KR102559313B1 (ko) 2021-12-17 2022-01-17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3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05B1 (ko) * 2014-12-02 2016-05-12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댁내형 dmb 재난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05A (ko) * 2010-03-03 2011-09-09 (주)위니텍 표준작전절차 시나리오 기반의 재난 및 위기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KR20140072994A (ko) * 2012-12-05 2014-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경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861752B1 (ko) 2017-11-08 2018-05-28 (주)그린아이티코리아 통합 비상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490113B1 (ko) * 2018-06-12 2023-01-17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방송 장치 및 방법
KR102205275B1 (ko) 2018-10-25 2021-01-20 주식회사 포드림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84207B1 (ko) * 2019-04-25 2022-04-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05B1 (ko) * 2014-12-02 2016-05-12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댁내형 dmb 재난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김재현 및 2명, 한국통신학회지 (정보와통신) 제29권 제5호, 2012.04.)*
비특허문헌2(손중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저널 제138권), 2011.11.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663A (ko)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4489B2 (en) Wireless user based notification system
CN100587746C (zh) 向多个移动终端通知紧急事件的方法
EP2357627B1 (en) Emergency system and method
US200800341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mergency notifications over network
US82753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pping commercial mobile alert service message attributes to a cell broadcast interface
US9060253B2 (en) Identifying and blocking mobile messaging service spam
BR112012025027B1 (pt) sistema e método de comunicação de uma condição de emergência
AU2008255649B2 (en) An information broadcasting system
US201500985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erts
SE542634C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r distribution over multiple mobile networks
Al-Dalahmeh et al. The Viability of Mobile Services (SMS and Cell Broadcast) in Emergency Management Solutions: An Exploratory Study.
US86999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efinition and scope of commercial mobile alerts
US201502819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y sending commercial mobile alert system messages (cmas) and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ewts) alert messages
Aloudat et al. Location-based services in emergency management-from government to citizens: Global case studies
KR102559313B1 (ko) 재난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480352B (zh) 用于lte网络基于边缘的特定于位置的警报系统
EP3918821A1 (en) Public warning system enhancement
US10979883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mobile station functioning as mobile base station under emergency condition
JP2016517193A (ja) 優先順位をつけてサービスアクセスの禁止を実行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11570751B2 (en) Instant mobile aler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Ngo et al. Enhancing the Usability of the Commercial Mobile Alert System
Kang et al. Priority-based CBS Transmission for Multiple CBEs in 5G Networks
US20220078598A1 (en) Pws-enhancements for non-3gpp devices
Cruickshank et al. Reference scenarios for the deployment of emergency communications for earthquakes and mass transport accidents
AU2007200147A1 (en) Emergency ale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