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509A -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509A
KR20220121509A KR1020210025669A KR20210025669A KR20220121509A KR 20220121509 A KR20220121509 A KR 20220121509A KR 1020210025669 A KR1020210025669 A KR 1020210025669A KR 20210025669 A KR20210025669 A KR 20210025669A KR 20220121509 A KR20220121509 A KR 20220121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mergency situation
situation information
disaster site
dis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676B1 (ko
Inventor
서갑호
양견모
박민로
함제훈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2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6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은 재난 현장에 투입되어 상기 재난 현장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로봇; 상기 복수 개의 로봇으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기입력된 시나리오를 기초로 상기 수신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정보를 일반 상황 정보와, 재난 현장의 화재 발생 여부, 요구조자 발견 여부, 로봇의 이동 가능 여부, 로봇의 임무 수행 가능 여부, 탈출 경로 발견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상 상황 정보로 구분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정보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현하고,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비상 상황 정보를 전송받으면, 관제자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도록 상기 비상 상황 정보에 식별 기능을 부여하여 상기 일반 상황 정보와 식별 가능하게 구현하는 정보 구현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INTERGRATED CONTROL SYSTEM FOR SUPPORTING DISASTERS ACCIDENT}
본 발명은 재난 현장을 지원하기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로봇에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재난정보를 이슈발생 여부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 및 선별하기 위한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 홍수 등 각종 재난 발생시, 구조자 구출 및 현장 진압 등을 수행하는 재난방재를 위한 작업자들이 재난 현장에 투입되어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유해 가스, 고온, 시야확보 어려움 등 극한환경으로 인하여 방재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재난 발생시, 재난피해 최소화 및 구조자 구출을 위해서는 초동 대응이 매우 중요한데, 작업자의 경험 또는 감을 바탕으로 방재작업을 실시하고 있어 방재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방재작업은 재난현장을 통재하는 지휘관이 무전기 등을 이용하여 각 작업자들에게 현재 상황 및 위치를 음성으로 전달 및 공유하면서 방재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지휘관 및 작업자들이 음성으로 현재 위치 또는 상황을 전달하기 때문에 정보를 전달의 불확실성이 증가되면서 방재작업을 어렵게 만드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Wi-Fi, GPS 등을 이용하여 공중 또는 지상에서 정찰이 가능한 드론, 구조차량 등 다양한 종류의 재난방재용 로봇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재난방재용 로봇은 재난현장의 위치별 현재 상황, 구조자의 위치, 탈출 경로 등과 관련된 재난정보를 수집하여 지휘관 또는 통제실로 전달하고, 지휘관 또는 통제실에서는 각각의 재난방재용 로봇에서 수신된 재난정보를 선별한여 해당 위치의 작업자에게 전달하여 방재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방재작업에 사용되는 재난방재용 로봇은 GPS, 온도센서 등 각종 센서와 해등 위치의 재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 초음파 탐지기 등 재난정보 수집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그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소모가 커 장시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지휘관 또는 통제실에서는 복수 개의 재난방재용 로봇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정보를 감시하면서 이슈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재난정보를 선별하여 작업자들에게 전달하게 되는데, 소수의 인원이 다수의 재난방재용 로봇의 이슈 발생 여부 판단 및 재난정보 선별을 수행하기 때문에 실수로 발생된 이슈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때, 놓친 이슈가 구조자 위치, 화재 위치 등 주요 이슈인 경우, 인명구조 실패로 직결되거나 방재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재난방재용 로봇의 방전 또는 통제실의 실수 등으로 이슈를 놓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재난방재용 로봇의 전력소비를 저감시키고 복수 개의 재난 방재용 로봇에서 수집된 재난정보로부터 이슈 발생 여부를 판단 및 선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관제 시스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165158 B1(2020.1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 개의 로봇에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재난정보로부터 이슈 발생된 재난정보를 선별하여 재난 현장의 화재 발생 여부 등과 같은 중요 재난정보를 다른 재난정보와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중요 재난정보 발생시 관제자가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돕고, 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은 재난 현장에 투입되어 상기 재난 현장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로봇; 상기 복수 개의 로봇으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기입력된 시나리오를 기초로 상기 수신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정보를 일반 상황 정보와, 재난 현장의 화재 발생 여부, 요구조자 발견 여부, 로봇의 이동 가능 여부, 로봇의 임무 수행 가능 여부, 탈출 경로 발견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상 상황 정보로 구분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정보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현하고,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비상 상황 정보를 전송받으면, 관제자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도록 상기 비상 상황 정보에 식별 기능을 부여하여 상기 일반 상황 정보와 식별 가능하게 구현하는 정보 구현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재난 현장의 종류에 따라 일반 상황 정보와 비상 상황 정보로 구분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재난별 상황판단 기준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비상 상황 정보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사전에 복수 개의 중요도 판단 기준이 설정되고, 복수 개의 비상 상황 정보가 발생된 경우 중요도 판단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구현 모듈은,비상 상황 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로 순차적으로 식별 가능하게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구현 모듈은, 비상 상황 정보 발생시, 비상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팝업, 크기 조절, 가장자리 색상 대비 중 적어도 하나의 포함하여 비상 상황 정보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보 구현 모듈은, 비상 상황 정보 구현시, 관제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구현 모듈은, 관제자의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 구현 모듈은 비상 상황 정보를 구현한 후, 사전에 설정된 확인 시간 이내에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관제자의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비상 상황 정보를 재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로봇은, 점멸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등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은, 발생된 비상 상황 정보가 요구조자 발견 정보 또는 탈출 경로 발견 정보인 경우, 그에 대응되는 로봇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알람부를 작동되도록 로봇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로봇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동시에 수신되는 복수 개의 재난 현장 정보를 일반 상황 정보와 비상 상황 정보로 구분하고, 관제자의 주위를 환기하도록 비상 상황 정보를 식별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관제자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고 재난방재 작업을 원활히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 상황 정보 발생시 이를 일반 상황 정보와 식별되도록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차별하여 구현한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도 관제자의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비상 상황 정보를 재구현 함으로써, 관제자에게 비상 상황 정보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인식시켜 관제자의 비상 상황 정보를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은 재난 현장 정보를 취득하고 전송하는 복수 개의 로봇(100)과, 각각의 로봇(10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200)과, 수신 모듈(200)에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복수 개의 정보를 일반 상황 정보와 비상 상황 정보로 구분하는 제어 모듈(400) 및 비상 상황 정보 발생시 이를 일반 상황 정보와 식별 가능하게 구현하는 정보 구현 모듈(600)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로봇(100)은 재난 현장을 순찰하면서 재난 현장 정보를 수집하여 수신 모듈(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재난 상황에 따라 비행 드론 또는 지상정찰 로봇 등 다양한 종류의 로봇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재난 현장은 임의로 구획되는 복수의 탐색 영역으로 나뉘고, 각각의 로봇(100)은 서로 다른 탐색 영역을 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재난피해 최소화 및 구조자 구출을 위해서는 초동 대응이 매우 중요한데, 복수의 로봇(100)이 같은 지역을 반복하여 탐색하는 경우 탐색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초동 대응에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수신 모듈(200)은 복수 개의 로봇(100)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복수의 재난 현장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고 이를 취합하여 제어 모듈(4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재난 현장 상황 등에 따라 수신 모듈(200)과 복수의 로봇(100)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초단파(VHF), 극초단파(UHF) 등 재난 현장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수단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로봇(100)은 재난 현장을 보다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재난 현장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수신 모듈(200)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로봇(100)에서 동시에 수신되는 재난 현장 정보는 로봇(1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봇 정보와 함께 각각의 로봇(100) 별로 구분하여 제어 모듈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재난 현장의 화재 발생 여부, 요구조자 발견 여부, 로봇(100)의 이동 가능 여부, 로봇(100)의 임무 수행 가능 여부, 탈출 경로 발견 여부 등과 같은 비상 상황 정보 발생시 로봇(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비상 상황 정보가 발생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재난방재 작업을 보다 원활히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 모듈(400)은 수신 모듈(200)로부터 동시에 수신되는 복수 개의 재난 현장 정보를 각각 일반 상황 정보와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는 비상 상황 정보로 구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400)에는 사전에 재난 현장 종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황판단 기준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400)에는 화재 재난에 대응되는 제1 상황판단 기준과 홍수 재난에 대응되는 제2 상황판단 기준이 사전에 입력될 수 있는데, 제1 상황판단 기준의 경우 재난 현장의 화재 발생 여부, 인화물질 발견 여부 등을 포함하고, 제2 상황판단 기준은 침수구역 발생 여부, 제방 파손 발생 여부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2 상황판단 기준은 모든 상황판단 기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요구조자 발견 여부, 로봇(100)의 이동 가능 여부, 로봇(100)의 임무 수행 가능 여부, 탈출 경로 발견 여부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관제자 또는 지휘관은 상기와 같이 사전에 입력된 복수 개의 상황판단 기준 중 재난 현장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상황판단 기준을 선택하거나 재난 현장 여건에 맞는 상황판단 기준을 설정하면, 설정된 상황판단 기준에 따라 수집된 재난 현장 정보를 일반 상황 정보와 비상 상황 정보로 구분하여 정보 구현 모듈(600)로 전송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400)은 상기와 같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비상 상황 정보를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나눌 수 있도록 중요도 판단 기준이 설정된다.
이에, 제어 모듈(400)에서 동시에 2개 이상의 비상 상황 정보가 발생된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구현 모듈(600)로 구현하고, 재난 현장에서 대응 순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재난방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재 재난의 경우 요구조자 발견을 1순위로 설정하고, 재난 현장의 화재 발생을 2순위로 설정하며, 인화물질 발견을 3순위로 하고, 로봇 임무 수행 불가능을 4순위, 로봇 이동 불가능을 5순위로 하는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제어 모듈(400)은 1순위에 대응되는 요구조자 발견 여부와 관련된 제1 비상 상황 정보와 4순위에 해당하는 로봇 임무 수행 가능 여부와 관련된 제2 비상 상황 정보가 동시에 발생된 경우, 정보 구현 모듈에서 제1 비상 상황 정보가 구현된 이후 제2 비상상황 정보가 구현되도록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정보 구현 모듈(600)로 전송함으로써, 방재작업 효율을 개선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구현 모듈은 상기와 같이 수집되는 재난 현장 정보를 구현하여, 재난방재 임무를 수행하는 관제자 또는 지휘관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정보 구현 모듈(600)은 각각의 로봇(100)에 장착된 카메라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획되는 모니터링 장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로봇들이 재난 현장을 순찰하면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재난 현장 정보가 각각의 로봇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관제자 또는 지휘관의 재난 상황 파악 및 지시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재난방재 작업을 원활히 하는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구현 모듈(600)은 제어 모듈(400)로부터 비상 상황 정보가 수신된 경우, 비상 상황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를 주변과 대비되는 색상으로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 영역을 팝업 또는 확대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구현한다.
이에, 비상 상황 정보 발생시 인식이 용이하도록 상기의 효과를 적용하여 구현시킴으로써, 지휘관 또는 관제자가 비상 상황 정보를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하여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으로 인한 인명 또는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보 구현 모듈(600)은 비상 상황 정보 구현시 지휘관 또는 관제자의 주위를 환기시키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6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상 상황 정보 발생시, 지휘관 또는 관제자가 시각 뿐만 아니라 청각을 통하여 비상 상황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을 보다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구현 모듈(600)은 관제자의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620)를 더 포함하고, 비상 상황 정보 구현 후 사전에 설정된 확인 시간 내에 입력부(620)를 통하여 확인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정보 구현 모듈(600)은 관제자 또는 지휘관이 해당 비상 상황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하여 이를 동일한 방법으로 재구현 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정보 구현 모듈(600)이 비상 상황 정보 발생시 상기의 방법으로 비상 상황 정보를 구현했음에도 관제자 또는 지휘관이 이를 인지하지 못한 경우, 재구현되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 정보 누락으로 인한 피해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은 주변 재난방재 작업자 또는 요구조자를 환기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400)은 발생된 비상 상황 정보가 요구조자 발견 또는 탈출 경로 발견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이를 발견한 로봇(100)의 이동을 정지하고 알람부를 작동시키도록 해당 로봇(10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주변 요구조자 또는 재난방재 작업자에게 위치를 알리게 된다.
이에, 알람부(미도시)가 주변 요구조자에게 탈출 경로를 알려주거나, 재난방재 작업자에게 요구조자의 위치를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부는 점멸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등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경보등은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점멸가능한 경보등이고, 경보기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경보음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탈출 경로 발견 정보와 요구조자 발견 정보를 구분하여 주변에 알릴 수 있어 인명구조 효율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탈출 경로 발견시 경보등이 녹색으로 점등되면서 경보기가 탈출로 안내 관련 경보음을 제공하고, 요구조자 발견시 경보등이 적색으로 점등되면서 경보기가 요구조자 발생 관련 경보음을 제공하도록 구성하여, 재난 현장의 일반 사람들은 녹색으로 점멸되는 경보등 및 탈출로 안내 경보음을 따라 이동하여 탈출하고 재난방재 작업자는 적색으로 점멸되는 경보등 및 요구조자 발생 경보음을 이용하여 요구조자 탐색을 원활히 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로봇 200: 수신 모듈
400: 제어 모듈 600: 정보 구현 모듈
610: 스피커 620: 입력부

Claims (8)

  1. 재난 현장에 투입되어 상기 재난 현장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로봇;
    상기 복수 개의 로봇으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기입력된 시나리오를 기초로 상기 수신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정보를 일반 상황 정보와, 재난 현장의 화재 발생 여부, 요구조자 발견 여부, 로봇의 이동 가능 여부, 로봇의 임무 수행 가능 여부, 탈출 경로 발견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상 상황 정보로 구분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정보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현하고,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비상 상황 정보를 전송받으면, 관제자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도록 상기 비상 상황 정보에 식별 기능을 부여하여 상기 일반 상황 정보와 식별 가능하게 구현하는 정보 구현 모듈;을 포함하는,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재난 현장의 종류에 따라 일반 상황 정보와 비상 상황 정보로 구분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재난별 상황판단 기준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비상 상황 정보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사전에 복수 개의 중요도 판단 기준이 설정되고, 복수 개의 비상 상황 정보가 발생된 경우 중요도 판단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보 구현 모듈은,
    비상 상황 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로 순차적으로 식별 가능하게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잇어서,
    상기 정보 구현 모듈은,
    비상 상황 정보 발생시, 비상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팝업, 크기 조절, 가장자리 색상 대비 중 적어도 하나의 포함하여 비상 상황 정보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보 구현 모듈은,
    비상 상황 정보 구현시, 관제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구현 모듈은,
    관제자의 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비상 상황 정보를 구현한 후, 사전에 설정된 확인 시간 이내에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관제자의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비상 상황 정보를 재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점멸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등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발생된 비상 상황 정보가 요구조자 발견 정보 또는 탈출 경로 발견 정보인 경우, 그에 대응되는 로봇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알람부를 작동되도록 로봇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0210025669A 2021-02-25 2021-02-25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479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669A KR102479676B1 (ko) 2021-02-25 2021-02-25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669A KR102479676B1 (ko) 2021-02-25 2021-02-25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509A true KR20220121509A (ko) 2022-09-01
KR102479676B1 KR102479676B1 (ko) 2022-12-20

Family

ID=8328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669A KR102479676B1 (ko) 2021-02-25 2021-02-25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6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2494A (ko) * 2012-08-13 2014-02-25 정정애 재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408075B1 (ko) * 2013-07-09 2014-06-18 국방과학연구소 다중 로봇 시스템 및 다중 로봇 시스템 제어 방법
KR20160002545U (ko) * 2015-01-12 2016-07-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알람 경보 장치
KR20200046660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포드림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1578A (ko) * 2018-11-26 2020-06-03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다중 로봇 기반의 재난 현장 탐색 시스템 및 방법
KR102165158B1 (ko) 2018-12-07 2020-10-13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재난 대응 로봇 및 관제 장치와 그 초동 대응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2494A (ko) * 2012-08-13 2014-02-25 정정애 재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408075B1 (ko) * 2013-07-09 2014-06-18 국방과학연구소 다중 로봇 시스템 및 다중 로봇 시스템 제어 방법
KR20160002545U (ko) * 2015-01-12 2016-07-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알람 경보 장치
KR20200046660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포드림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61578A (ko) * 2018-11-26 2020-06-03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다중 로봇 기반의 재난 현장 탐색 시스템 및 방법
KR102165158B1 (ko) 2018-12-07 2020-10-13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재난 대응 로봇 및 관제 장치와 그 초동 대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676B1 (ko)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733B1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08064B1 (ko)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70194922A1 (en) Safe warn building system and method
KR101536876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재해 대피 및 구조지원 시스템
DE102013018053B4 (de) Gebläsefiltergerät, Atemschutzsystem, Einsatzinfrastruktur und Verfahren
KR102101584B1 (ko)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069783B1 (ko) 피난 유도 로봇 장치
JP6080568B2 (ja) 監視システム
KR102248180B1 (ko) 무선 비상벨과 이를 포함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KR20200030802A (ko) 이동체 접근 경보 시스템
CN113367430A (zh) 一种用于建筑施工人员穿戴的智能化装置及人员监控系统
CN211792050U (zh) 一种基于车联网的紧急交通事故救援车载终端
KR20200003975A (ko) 재난 안전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EP2620923B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Anzeige einer fluchtwegrelevanten Information
DE102014104131A1 (de) Überwachungsvorrichtung und Überwachungssystem
KR20220121509A (ko) 재난 현장 통합 관제 시스템
JP2006252365A (ja) トンネルの防災システム
KR102454105B1 (ko) 재난 현장 투입용 전력 소비 저감형 로봇
JPH1166477A (ja) 救助活動支援システム
KR101707906B1 (ko) 비상호출장치 및 비상호출시스템
KR20190025440A (ko) 긴급상황 대처를 위한 관제시스템
KR20190116019A (ko) 재난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07875A (ko)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
DE102015122354B4 (de) Sicherungs-Verbund sowie Sicherungs-Verfahren zu seinem Betri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