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875A -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 - Google Patents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875A
KR20170007875A KR1020150098829A KR20150098829A KR20170007875A KR 20170007875 A KR20170007875 A KR 20170007875A KR 1020150098829 A KR1020150098829 A KR 1020150098829A KR 20150098829 A KR20150098829 A KR 20150098829A KR 20170007875 A KR20170007875 A KR 20170007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afety
safety helper
abnormal sound
help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석
김영필
송정규
조성호
노장현
한학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오시스템즈
도도인터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오시스템즈, 도도인터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오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50098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7875A/ko
Publication of KR20170007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6Wireless systems, other than telephone systems,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6Interfaces masking personal details for privacy, e.g. blurring faces, vehicle 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속도로의 졸음쉼터에서 발생하는 각종 음원 정보나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교통사고나 범죄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112 지령 서버, 119 지령 서버, 보험사 서버, 견인차량 서버 등에 이를 통보하도록 졸음쉼터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 도우미 장치 및 이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계되는 관제센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졸음쉼터 이용객들에게 한층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Apparatus for helping safety and System thereof Using Image Shooted by CCTV and Judgment Unusual sound}
본 발명은 안전 도우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도로의 졸음쉼터에서 발생하는 각종 음원을 분석하고 교통사고나 범죄 발생이 확인될 경우 관련 기관에 이를 통보하도록 마련된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기능은 크게 이동성과 접근성으로 구분되고, 이 중 고속도로는 지역간 대량의 교통 수단을 신속히 이동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주행속도가 높다. 높은 주행속도는 교통사고 발생 시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큰 충돌 에너지로 작용하게 되므로 고속도로의 치사율(사망자수/사고발생건수)이 다른 도로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교통사고의 원인은 과속, 졸음운전, 전방주시 태만, 차량결함, 기타 사유 등으로 구분되는데, 그 중 졸음운전은 운전자의 인지와 반응 등을 둔화시키고, 이는 결과적으로 운전수행능력의 저하로 이어져 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속도로의 경우 높은 주행속도로 인해 교통사고는 치명적인 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졸음운전의 예방을 위해서는 운전자가 운전 피로와 졸음을 느낄 경우 안전하게 쉬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고속도로에서 부족한 휴식공간을 확충하고 이를 통한 졸음 운전의 예방을 위해 기존의 휴게소 간 간격이 먼 구간을 대상으로 졸음쉼터를 설치, 운영해오고 있다. 졸음 쉼터는 운전자가 안전하게 잠시 쉴 수 있는 공간으로, 운전자가 휴식할 수 있는 휴식 공간 이외에도 간이화장실과 파고라, 조경 등의 시설뿐만 아니라 근육을 풀어줄 다양한 운동기구들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졸음쉼터의 설치, 운영으로 인해 동일 구간에서의 교통사고 발생률이 감소하는 결과가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이처럼, 졸음쉼터는 고속도로에서의 교통사고, 특히 졸음에 의한 사고를 줄이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한 이점에 반해 졸음쉼터에서 발생하는 여러 사고들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대처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예컨대, 졸음쉼터에서 주차 중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이 경우 고속도로의 특성상 처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고를 유발한 차량이 그대로 달아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졸음쉼터는 일반 휴게소보다 이용객이 적기 때문에 일반 범죄에 노출되는 경우가 더 많다. 범죄에 노출되더라도 피해자는 자신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신고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목격자가 없는 경우 가해자와 피해자가 바뀌는 경우도 있고, 가해자를 단속하지 못하기도 한다.
따라서 졸음쉼터 이용객들에게 한층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384781호(2014. 04. 07. 이상 음원 탐지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졸음쉼터에서 발생하는 음원 정보나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교통사고나 범죄가 발생할 경우 관련 정보를 해당 기관에 통보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소정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터치 스크린;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 상기 본체 상단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음원을 분석하는 음원 분석부; 상기 음원 분석부의 분석결과 상기 음원이 이상음원인 경우 이상음원 발생지점을 검출하는 방향 검출부; 상기 방향 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이상음원 발생지점을 향하도록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방향 전환부; 및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 상기 이상음원과 대응하는 선택신호가 관제센터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안전 도우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주변에 서비스 이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온(on)/오프(off) 동작을 선택하거나 촬영된 영상의 모자이크를 처리하는 기능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택신호는 교통사고 발생 또는 범죄 발생과 관련된 신호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119 지령 서버나 112 지령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지령 서버에 우선하여 전달한다.
상기 안전 도우미 장치는 이웃하는 안전 도우미 장치와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매체가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한 구성의 제1 안전 도우미 장치; 및 상기 제1 안전 도우미 장치와 동일하고, 인접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내지 제n 안전 도우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전 도우미 장치가 이상음원 발생지점을 영상 촬영할 때, 상기 제1 안전 도우미 장치와 연결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 도우미 장치가 서로 협업하여 상기 이상음원 발생지점을 촬영하는 시스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협업하는 다른 안전 도우미 장치는 상기 제1 안전 도우미 장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안전 도우미 장치이다.
상기 협업하는 다른 안전 도우미 장치는 상기 제1 안전 도우미 장치와 상기 이상음원 발생지점의 경로 상에 위치한 안전 도우미 장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안전 도우미 장치; 및 상기 안전 도우미 장치가 검출한 이상음원 발생지점에 대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이상음원에 대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해당 서버 또는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관제센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선택신호는, 교통사고 발생 또는 범죄 발생과 관련된 신호이고,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119 지령 서버 또는 112 지령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지령 서버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은 고속도로의 졸음쉼터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나 범죄를 인지하고 이를 관련 서버로 전송하는 안전 도우미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 결과, 졸음쉼터 이용자는 교통사고나 범죄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해당 관련기관에 통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안전 도우미 장치에는 교통사고나 범죄 발생 시 그 발생지점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안전 도우미 장치는 인접하는 다른 안전 도우미 장치와 협업하여 이상음원 발생 지점에 대한 영상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통사고나 범죄 발생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록,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도우미 장치는 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장치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졸음쉼터 이용자들이 다양한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의 외부 구성도
도 2는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이상음원 감지 및 그의 서비스 안내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둘 이상의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에 마련된 감시 카메라의 협업에 따른 이상음원 발생지점을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이상음원을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영상정보를 관제센터나 관련 서버에 함께 전송하는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 예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고속도로의 졸음쉼터에 마련된 안전 도우미 장치를 통해 졸음쉼터에서 발생하는 각종 음원 정보나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교통사고나 범죄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에 따라 관련 기관에 이를 통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의 외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도우미 장치(100)는 고속도로의 졸음쉼터에 지주형 거치대(1)로 지지 설치되며, 그 외형은 본체(110)로 이루어진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10)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다양한 모양,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도우미 장치(100)는 졸음쉼터마다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터치 스크린(120)이 마련된다. 실시 예 도면에서 터치 스크린(120)은 본체(110)의 전면에만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체(110)의 후면에도 터치 스크린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120)은 본체(110)의 모양에 따라 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터치 스크린(110)에는 본 안전 도우미 장치(100)가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관련 화면이나 메뉴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터치스크린(100)을 둘러싸는 본체(110)의 소정 부분에는 이용자의 안면을 검출하는 카메라(130)가 더 구성된다. 이는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이용자(또는 신고자, 또는 청각 장애우)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함이다. 물론, 사생활 보호를 위해 이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노출시키기 싫은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카메라(130)의 구동을 중지시키거나 촬영되더라도 이를 모자이크 처리하도록 하기 위해 기능 버튼(도면 미도시)이 더 추가될 수 있다. 기능 버튼 조작과 관련된 안내는 터치스크린(120)을 이용하기 전에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터치 스크린(1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표시 LED 조명부(140)(150)가 구성된다. 표시 LED 조명부(140)(150)는 졸음쉼터의 이용 안내와 관련한 다양한 메시지나 이미지 등을 표시하도록 하며, 야간에는 주위를 조명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본체(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60)가 구성된다. 마이크(160)는 후술하는 이상음원을 감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음원 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70)가 마련된다. 스피커(170)는 졸음쉼터 이용객들에게 음악 및 안내 방송 등을 제공한다.
본체(110)에는 졸음쉼터의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180)가 일체로 구성된다. 감시 카메라(180)는 일반 카메라뿐만 아니라 적외선 카메라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의 경우 주간에는 칼라 영상을 구현하나 야간에는 일정 조도가 낮아지면 적외선 CDS 센서가 작동하여 자동으로 적외선 LED의 불이 들어오면서 흑백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180)는 본체(110)의 상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 또는 90°/180°/360°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체(110)와 감시카메라(180) 사이에는 여러 개의 기어들이 조합되는 기어 군들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설명에서는 지주형 거치대(1)에 본체(110)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지주형 거치대(1)와 연결된 본체(110)가 회전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체(110) 및 감시 카메라(180)가 각각 회전되는 구조가 된다.
도 2는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서는 안전 도우미 장치에 마련된 음원 처리모듈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음원 처리모듈(200)은 졸음쉼터에서 발생하는 음원이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될 때, 상기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된 음원을 분석하는 음원분석부(210)가 구성된다. 음원 분석부(210)는 차량 충돌음, 차량 급 제동음, 차량 경적음, 싸우는 소리, 비명소리 등과 같은 음원들을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음원들은 졸음쉼터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ex, 주차사고나 인사사고 등)나 범죄 사고와 밀접한 정보일 수 있고, 이에 본 실시 예에서 상기한 음원들을 이상음원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음원분석부(210)는 입력된 음원이 이상음원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음원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음원 신호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이 서로 다른 경우 이를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음원 분석부(210)의 분석결과 이상 음원인 경우 음원 발생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 검출부(220)가 구성된다. 음원 발생 지점에 대한 방향 검출은 복수 개의 마이크 중 음원 세기가 가장 크게 입력되는 마이크가 장착된 위치 정보 또는 복수 개의 마이크 중 음원이 가장 빨리 입력되는 마이크가 장착된 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방향 검출부(220)의 검출 결과에 따라 이상 음원이 발생한 방향으로 감시 카메라(180)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부(230)가 구성된다.
또한 이상음원인 경우 관제센터(300) 등에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240)가 구성된다. 본 실시 예는 통신부(240)의 일 예로 TCP/IP 방식의 통신 네트워크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프로토콜방식의 통신수단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들, 즉 터치 스크린(120), 표시 LED 조명부(140)(150), 마이크(160) 및 스피커(170), 감시 카메라(180) 및 통신부(2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250)는 음원 처리모듈(200)의 동작, 즉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된 음원을 분석하는 음원 분석부(210), 음원 분석부(210)의 분석 결과 이상음원의 발생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 검출부(220), 이상음원 발생 방향으로 감시카메라(180)의 움직임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부(23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안전 도우미 장치(100)는 서비스 유닛(260)에 대한 기능을 포함한다. 안전 도우미 장치(100)에 제공되는 서비스 유닛(260)은 터치 스크린(120)에 화면 표시되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120)을 조작할 경우 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비스 유닛(260)이 제공하는 서비스로는 교통정보안내기능, 119 구조대나 112 신고를 위한 비상호출기능, 청각장애인 비상호출기능, 도로사고접수기능, 재난방송기능 등이 포함된다. 상기한 서비스들은 졸음쉼터 이용자가 터치스크린에 화면 표시되는 메뉴를 조작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고, 서비스 활용에 대한 예는 후술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고속도로의 졸음쉼터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 도우미 장치(100~100n)와, 안전 도우미 장치(100~100n)와 통신하는 관제센터(300)를 포함한다.
관제센터(300)는 안전 도우미 장치(100~100n)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가공/처리하고, 이를 다시 외부에 마련된 각각의 서버(400)나 단말장치(5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관제센터(300)는 지역별 관제센터 및 이를 총괄하는 하나의 관제센터로 구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400)나 단말장치(500)는, 119 지령 서버나 112 지령 서버, 각 지령 서버와 연동하는 구급차량 및 경찰 차량에 마련된 단말장치(무전기), 도로공사 서버, 교통정보 서버, 보험사 서버, 보험사와 연계된 견인차량 서버 및 견인차량 단말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도우미 장치(100)가 관제센터(3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119 지령 서버나 112 지령 서버, 또는 안전 도우미 장치(100)가 마련된 졸음 쉼터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구급차량 및 경찰 차량 등에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이어서는 상기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관련 도면을 참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이상음원 감지 및 그의 서비스 안내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안전 도우미 장치(100)는 상시 구동 온 상태이다(s100). 정전 등의 이유로 인해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보조 전원이나 배터리 등을 이용하여 계속 동작 가능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마이크(160)는 졸음쉼터에서 발생하는 모든 음원을 수집한다(s102). 그리고 수집된 음원은 음원 분석부(210)로 전달된다(s104). 음원 분석부(201)는, 수집된 음원이 이상 음원인지를 판단한다(s106). 이상 음원 판단은, 기 제공된 이상음원 테이블(도면 미도시)을 참조하여 이상음원을 판단하거나, 또는 소정 레벨 이상의 데시벨(dB)이 측정된 경우 이상음원으로 판단한다. 즉 차량 충돌음, 차량 급제동음, 차량 경적음, 싸우는 소리, 비명소리 등과 같은 음원들을 미리 저장하고, 마이크(160)를 통해 수집된 음원과 비교하여 미리 마련된 유사도 값 이상이면 이상음원으로 판단한다. 또는 소정 데시벨 이상 측정되면 모두 이상음원으로 판단한다. 이때 이상음원은 교통사고나 범죄 등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선택신호로 구분되어 제어부(150)로 전달될 것이다. 예컨대 차량의 급 제동음이 분석된 경우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우선적으로 119 지령 서버나 구급차량에 전달한 선택신호를 생성하고, 이후 112 지령 서버 등에 전달한 선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교통사고 음원으로 분석될 경우 112 지령 서버에 우선 전달되는 선택신호를 생성하거나 112 지령 서버 및 119 지령 서버에 전달한 선택신호를 동시에 생성할 수도 있다.
판단결과, 이상음원인 경우 방향 검출부(220)는 상기 이상음원이 입력된 방향, 즉 이상음원이 발생한 방향 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제어부(250)에 전달한다(s108). 방향정보는 어느 위치에 마련된 마이크(160)를 통해 음원이 입력되었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제어부(250)는 방향 전환부(230)를 제어하여 감시 카메라(180)를 상/하/좌/우, 또는 회전구동시켜서 이상음원이 발생한 지점을 영상 촬영토록 한다(s110). 이렇게 촬영된 영상정보는 이상음원 발생에 따른 선택신호와 함께 관제센터(300), 또는 119/112 지령 서버, 또는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구급차량 또는 경찰 차량, 또는 보험사나 견인차량 서버에 전달되게 된다(s112). 그 결과, 졸음쉼터에서 교통사고 또는 범죄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고, 구급차량이나 경찰차량, 견인차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이 그 졸음쉼터에 도착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이상음원의 발생지점을 촬영하는 방법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이상음원을 판단한 안전 도우미 장치에 마련된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다른 안전 도우미 장치의 감시 카메라를 협업하여 촬영하는 방법도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도우미 장치에는 졸음쉼터에 마련된 다른 안전 도우미 장치와 유/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하는 구조가 제공되며, 유/무선 통신방식에는 블루투스, NFC, CDMA, 와이파이, 유/무선 랜, 지그비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감시 카메라의 협업에 따른 이상음원 발생지점에 대한 촬영은 도 5를 참조한다.
둘 이상의 안전 도우미 장치(제1 내지 제n 안전 도우미 장치)(100 ~ 100n)가 연결된다(s200).
그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안전 도우미 장치(즉, 제1 안전 도우미 장치)(100)가 이상 음원 발생을 판단한다(s202).
그러면 제1 안전 도우미 장치(100)는 감시 카메라(18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상기 이상 음원의 발생 지점을 촬영하게 된다(s204). 이때, 제1 안전 도우미 장치(100)는 영상 촬영 전 또는 영상 촬영을 하는 도중 제2 내지 제n 안전 도우미 장치가 다른 음원을 수집하여 관련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2 내지 제n 안전 도우미 장치가 영상 촬영을 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201).
그 결과 제2 내지 제n 안전 도우미 장치가 영상 촬영을 할 수 있는 조건인 경우, 제1 안전 도우미 장치(100)는 제2 내지 제n 안전 도우미 장치로 이상음원 발생지점에 대한 정보(ex 좌표정보 등)를 통보한다(s206). 이에 제2 내지 제n 안전 도우미 장치는 자신의 감시카메라를 각각 구동시켜 상기한 이상음원 발생지점을 촬영하도록 한다(s208).
그리고 제1 안전 도우미 장치(100)와, 제2 내지 제n 안전 도우미 장치가 각각 촬영한 영상정보는 관제센터(300)로 전달된다(s210).
이와 같이 하면, 이상음원 발생지점에 대한 영상정보를 다양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영상 촬영에 참여하는 안전 도우미 장치를 복수 개로 설명하고 있으나, 졸음쉼터의 공간상 안전 도우미 장치는 많게는 2대 정도 설치된다고 보면, 이상음원 발생지점에 대한 영상 촬영은 2대의 감시카메라가 주로 촬영하게 된다. 또한 제2 내지 제n 안전 도우미 장치가 다른 음원을 수집하여 관련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동안에는 제1 안전 도우미 장치가 이상음원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통보하더라도 감시 카메라의 구동/촬영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한편, 위에서는 이상음원을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영상정보를 함께 관제센터(300)나 관련 서버(400)/단말장치(500)에 전송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용자가 직접 관련 서비스를 호출할 수도 있다. 이는 졸음쉼터 비상호출 메뉴를 보인 도 6을 참조한다. 이를 보면, 이용자가 터치 스크린(120)의 비상호출버튼(메뉴)을 클릭하면, 터치 스크린에는 도 6과 같은 비상호출버튼이 표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그렇게 화면 표시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119, 112, 관제센터, 견인차량과 같은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졸음쉼터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구급차량이나 경찰차량, 또는 견인차량을 호출할 수 있다. 또는 관제센터를 호출할 경우, 관제센터와 음성/영상통화를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 예를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7은 졸음쉼터 교통정보 안내를 제공하는 화면이고, 도 8은 졸음쉼터 청각장애인 비상호출과 관련된 안내를 제공하는 화면이고, 도 9는 재난방송을 안내하는 화면이다. 이들을 보면, 공히 이용자가 안전 도우미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20)에 마련된 메뉴를 조작하면, 도 7 내지 도 9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메뉴가 화면 표시되고, 그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 메뉴들을 조작하면 해당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 물론 상기 도 7 내지 도 9는 안전 도우미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 일부에 불과하고 다른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고속도로의 졸음쉼터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분석하여 교통사고나 범죄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관제센터나 서버 등에 교통사고 정보나 범죄발생 사실을 통보함으로써, 졸음쉼터 이용객들에게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전 도우미 장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안전 도우미 장치 110 : 본체
120 : 터치 스크린 130 : 카메라
140, 150 : 표시 LED 조명부 160 : 마이크
170 : 스피커 180 : 감시 카메라
200 : 음원 처리모듈 210 : 음원 분석부
220 : 방향 검출부 230 : 방향 전환부
240 : 통신부 250 : 제어부
260 : 서비스 유닛 300 : 관제센터
400 : 서버 500 : 단말장치

Claims (9)

  1. 소정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터치 스크린;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
    상기 본체 상단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통해 수집된 음원을 분석하는 음원 분석부;
    상기 음원 분석부의 분석결과 상기 음원이 이상음원인 경우 이상음원 발생지점을 검출하는 방향 검출부;
    상기 방향 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이상음원 발생지점을 향하도록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감시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방향 전환부; 및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 상기 이상음원과 대응하는 선택신호가 관제센터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주변에 서비스 이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온(on)/오프(off) 동작을 선택하거나 촬영된 영상의 모자이크를 처리하는 기능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는 교통사고 발생 또는 범죄 발생과 관련된 신호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119 지령 서버나 112 지령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지령 서버에 우선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도우미 장치는 이웃하는 안전 도우미 장치와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매체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을 포함하는 제1 안전 도우미 장치; 및
    상기 제1 안전 도우미 장치와 동일하고, 인접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내지 제n 안전 도우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전 도우미 장치가 이상음원 발생지점을 영상 촬영할 때, 상기 제1 안전 도우미 장치와 연결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 도우미 장치가 서로 협업하여 상기 이상음원 발생지점을 촬영하는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시스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하는 다른 안전 도우미 장치는 상기 제1 안전 도우미 장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안전 도우미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시스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하는 다른 안전 도우미 장치는 상기 제1 안전 도우미 장치와 상기 이상음원 발생지점의 경로 상에 위치한 안전 도우미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시스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을 포함하는 안전 도우미 장치; 및
    상기 안전 도우미 장치가 검출한 이상음원 발생지점에 대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이상음원에 대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해당 서버 또는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관제센터를 포함하는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시스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는 교통사고 발생 또는 범죄 발생과 관련된 신호이고,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119 지령 서버 또는 112 지령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지령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시스템 장치.
KR1020150098829A 2015-07-13 2015-07-13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 KR20170007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829A KR20170007875A (ko) 2015-07-13 2015-07-13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829A KR20170007875A (ko) 2015-07-13 2015-07-13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875A true KR20170007875A (ko) 2017-01-23

Family

ID=5798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829A KR20170007875A (ko) 2015-07-13 2015-07-13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78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21Y1 (ko) * 2019-11-07 2020-06-10 (주)엘케이시스템 터널용 긴급전화장치
KR102405942B1 (ko) * 2021-11-30 2022-06-08 주식회사 한일에스티엠 지능형 인프라를 이용한 졸음쉼터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781B1 (ko) 2013-09-13 2014-04-14 아이브스테크놀러지(주) 이상 음원 탐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781B1 (ko) 2013-09-13 2014-04-14 아이브스테크놀러지(주) 이상 음원 탐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21Y1 (ko) * 2019-11-07 2020-06-10 (주)엘케이시스템 터널용 긴급전화장치
KR102405942B1 (ko) * 2021-11-30 2022-06-08 주식회사 한일에스티엠 지능형 인프라를 이용한 졸음쉼터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8252B2 (en) Traffic event monitoring
EP2677510B1 (en) Mobile autonomous surveillance
KR100995569B1 (ko)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CN205428100U (zh) 公交车驾驶室区域入侵监测智能报警系统
KR101545080B1 (ko)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KR101483949B1 (ko) 통합 관제 시스템
KR101957637B1 (ko) 버스 정보 안내기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423396B1 (ko) 다목적 횡단보도 스마트 안전지도시스템
KR20170007875A (ko) Cctv의 영상 및 이상 음원 인식을 활용한 안전 도우미 장치 및 그의 시스템 장치
KR101616469B1 (ko) 긴급구조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 방법
KR101709224B1 (ko)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KR101944217B1 (ko) 버스 정보 안내기를 이용한 생활 방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156241B1 (ko) 안전 블록을 구비한 위험상황 알림 시스템
KR100926580B1 (ko) 어린이 방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547835B1 (ko) 양방향 다중 비상 호출 시스템
KR101167605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지능형 다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6229729A (zh) 一种地磁与摄像机协同的消防通道智能管理系统
CN213211330U (zh) 一种消防通道的检测系统
KR101509223B1 (ko) 모니터링 자동 포착기능이 구비된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 처리방법
JP2003256961A (ja) ネットワーク型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239873B1 (ko) 입체 교통 감시 및 방범 동영상 시스템
KR102410061B1 (ko) 자동 위급상황 알림 기능을 갖는 보안등
KR20220128166A (ko) 스마트 세이프티 이동식 카메라를 탑재한 공사현장용 스마트 대차
KR20130028214A (ko) 스마트폰 연동형 차량용 블랙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