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224B1 -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 Google Patents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224B1
KR101709224B1 KR1020160095639A KR20160095639A KR101709224B1 KR 101709224 B1 KR101709224 B1 KR 101709224B1 KR 1020160095639 A KR1020160095639 A KR 1020160095639A KR 20160095639 A KR20160095639 A KR 20160095639A KR 101709224 B1 KR101709224 B1 KR 101709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abnormal sound
signal
control server
crim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희재
최동수
이주연
김경수
임윤재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샤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샤인
Priority to KR102016009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협 인물로부터 신변의 위협이 있을 경우 사용자의 자발적인 행동에 의한 구조 요청은 물론 사용자의 본능적 대응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 등을 통해 사용자의 피해를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구조 요청을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폭행 내지 성범죄 등 강력 범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방범 대상 구역별로 설치되어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송신하기 위한 구조요청 감지부;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로부터 구조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범 대상 구역별 비상상황을 실시간 감시하며, 감시 정보를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제센터로 전달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Self security system for crime protection}
본 발명은 위협 인물로부터 신변의 위협이 있을 경우 사용자의 자발적인 행동에 의한 구조 요청은 물론 사용자의 본능적 대응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 등을 통해 사용자의 피해를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구조 요청을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폭행 내지 성범죄 등 강력 범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방범 및 범죄 예방을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범 방법으로는 CCTV 감시 시스템이 이용되어 왔으나, 설치 위치가 노출되어 있고 카메라로 습득한 화상 정보의 분석 위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음향 정보의 이용에는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 CCTV 감시 시스템의 경우 여성이 생활하는 숙소나 화장실 등 영상 수집이 어려운 곳에는 설치가 불가하기 때문에 해당 공간에 대한 감시는 물론 범죄 상황에서 신속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설치가 곤란하며 범죄에 노출될 수 있는 지역 또는 공간에는 최근 경보음과 구조요청을 발생시키는 비상벨을 설치하는 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나, 피해자가 비상벨의 위치를 인지하고 있더라도 현실적으로 위협을 가하는 범죄자를 피해 설치된 비상벨을 작동시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처럼 공공장소에서의 묻지마 범죄나 약자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 등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서 CCTV 감시 시스템과 같은 현재의 치안, 방범 시스템은 물리적 한계가 있음은 물론 예고 없이 불시에 당하는 범죄나 범죄자의 물리력으로 인한 제지 등 현재 구축된 비상벨의 현실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규 범죄 예방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5314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협 인물로부터 신변의 위협이 있을 경우 사용자의 자발적인 행동에 의한 구조 요청은 물론 사용자의 본능적 대응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 등을 통해 사용자의 피해를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구조 요청을 지원할 수 있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은, 방범 대상 구역별로 설치되어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송신하기 위한 구조요청 감지부;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로부터 구조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범 대상 구역별 비상상황을 실시간 감시하며, 감시 정보를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제센터로 전달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는,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요청버튼 및 상기 구조요청버튼의 입력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요청버튼의 입력신호에 의해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비상벨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방범 대상 구역별로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가 구비되어 기설정된 감지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되는 소리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 음원을 판단하여 이상음원 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이상음원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로부터 이상음원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범 대상 구역별 비상상황을 실시간 감시하며, 감시 정보를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제센터로 전달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는, 선택된 하나의 관제센터에 음성 통화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통화버튼과, 구조요청 대상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및 상기 관제센터의 담당자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제 2스피커를 포함하는 통화연결모듈; 및 상기 통화연결모듈과 상기 관제센터 간 음성 송수신을 제공하는 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이상음원 감지부로부터 생성되는 이상음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관제센터에 자동으로 통화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 및 이상음원 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 또는 이상음원 감지부로부터 생성되는 구조요청 신호 또는 이상음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비상 상황으로 인지하여 비상 상황을 조명과 소리로 표시하기 위한 비상상황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의 이상음원 신호에 의해 상기 관제센터와 통화 연결이 된 이후, 설정된 제 1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응답신호 또는 음성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관제서버로 구조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는,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이상 음원 신호의 탐지 시 또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신호에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켜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영상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방범 대상 구역이 실내 공간일 경우, 방범 대상 구역내의 화재 및 침입을 감지하고 선택적으로 재난발생 또는 침입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재난발생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 이상음원 감지부 및 재난발생 감지부의 장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점검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 이상음원 감지부 및 재난발생 감지부 각각은 상기 관제서버의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현재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접속 권한이 부여되며,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방범 대상 구역에 대한 감지 정보를 수신 및 표시하고, 상기 방범 대상 구역별 치안 담당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하나의 예로써,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 및 이상음원 감지부는 내부면에 방열프라이머가 도포된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프라이머는 실리콘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30 내지 120중량부, 선형 금속분말 30 내지 120중량부, 글리콜류 1 내지 3중량부, 탄닌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은, 위협 인물로부터 신변의 위협이 있을 경우 사용자의 자발적인 행동에 의한 구조 요청은 물론 사용자의 본능적 대응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 등을 통해 사용자의 피해를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구조 요청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폭행 내지 성범죄와 같은 비상상황을 조기에 발견하고 그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므로, 기존 CCTV 감시 시스템이나 비상벨로부터 사각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강력 범죄 리스크를 해소하여 안심하고 일상 생활을 할 수 있는 사회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요청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음원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음원 감지부의 이상 음원 감지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표시부와 재난발생 감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해자 주도형 구조 요청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해 감지형 구조 요청 지원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 화장실(A), 여직원 관사(B), 엘리베이터(B) 등을 포함하여 범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구역(이하 '방범 대상 구역'이라 함)별로 설치되어 사용자 주도로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송신하기 위한 구조요청 감지부(100)와,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의 구조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및 판단하고 이러한 감시 정보를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제센터(400)로 전달하기 위한 관제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주도에 따른 구조 요청과 병행하여 사용자의 본능적 대응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 예를 들면 구타 소리, 비명 소리 등을 통해 사용자의 피해를 감지할 수 있는 이상음원 감지부(200)를 더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구조 요청과 선제적 구조 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200)는 상기 언급된 방범 대상 구역(A, B, C)별로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200)는 기설정된 감지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기 마이크(210)를 통해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되는 소리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 음원을 판단하여 이상음원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며 이를 상기 관제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200)로부터 이상음원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범 대상 구역별 비상상황을 실시간 감시할 수 있게 되고, 감시 정보를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제센터(4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제센터(400)는 지자체의 경찰서, 지자체 소방서, 지자체의 민원 상황실 중 하나 이상이거나 상기 방범 대상 구역을 담당하는 지구대, 자율방범대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관제서버(300)로부터 전달되는 감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범죄로 인한 비상 상황에 따라 관리 인력 등을 출동시켜 범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조요청 감지부(100)와 상기 관제서버(300) 간 또는 이상음원 감지부(200)와 상기 관제서버(300) 간에는 선택된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이동통신망(2G, 3G, 4G, LTE),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망 중 적합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요청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비상벨을 출력함과 더불어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는 비상벨모듈(110)과, 상기 관제센터(400)의 담당자와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통화연결모듈(120) 및 상기 통화연결모듈(120)과 상기 관제센터(400) 간 음성 송수신을 제공하는 송수신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벨모듈(110)은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요청버튼(111) 및 상기 구조요청버튼(111)의 입력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음향 신호 즉 비상벨을 출력하는 제 1스피커(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조요청버튼(111)의 입력신호에 의해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관제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조요청버튼(111)은 물리 버튼으로 구성하거나 바람직하게는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전식 터치 버튼으로 구성함이 타당하다.
상기 통화연결모듈(120)은 선택된 하나의 관제센터(400)에 통화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통화버튼(121)과, 구조요청 대상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22) 및 상기 관제센터(400)의 담당자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제 2스피커(123)를 포함하여 연결된 관제센터(400)의 담당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죄를 포함한 비상상황에서 담당자의 육성을 통한 초동 대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통화연결모듈(120)의 통화버튼(121)을 누름으로써 사용자와 관제센터(400)의 담당자 간 육성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지만, 범죄자의 물리적인 행위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통화버튼(121)을 누르지 못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200)와 신호 연동을 통해 통화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20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200)로부터 생성되는 이상음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화연결모듈(120)이 작동되어 상기 관제센터(400)에 자동으로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200)의 이상음원 신호에 의해 상기 관제센터(400)와 통화 연결이 된 이후, 설정된 제 1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응답신호 또는 음성이 입력되지 않으면 이를 비상상황으로 인지하여 상기 관제서버(300)로 구조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시간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임의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바람직하게는 10초 내지 30초 사이의 시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음원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음원 감지부의 이상 음원 감지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한편,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마이크(210)와 함께 기설정된 감지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22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영상 수집은 이상음원 감지부(200)의 이상음원 신호의 감지 시 또는 상기 관제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신호에 의해 카메라(220)를 작동시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수집한 영상 정보는 상기 관제서버(300)로 송신하여 관제센터(400) 등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서버(3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210) 및 카메라(220)를 통해 수집되는 감시 영역 주변에서의 소리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범죄 현장의 증거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200)는 자체적으로 수집된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음원으로 판단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람의 비명 소리나 음성, 차량 사고의 충돌음 또는 특정 물체가 파괴되는 파괴음이 상기 감시 영역 내에서 발생하게 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210)는 이를 감지하게 되며, 이렇게 감지된 소리 신호는 제어부(230)로 전송되어 상기 감시 영역 주변의 음원이 이상 음원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관제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이상 음원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220)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상 음원의 발생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기 마이크(210)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어야 하며, 각각의 마이크(210)를 통해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되는 소리의 시간차를 기반으로 상기 소리의 발생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30)의 이상 음원 판단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정보 생성부(231), 음향정보 생성부(232), 방향정보 생성부(233), 기준패턴 생성부(234), 이상 음원 판단부(235), 주변 잡음 변화 추적부(236), 카메라 제어부(237) 및 통신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정보 생성부(231)는 상기 마이크(210)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감시 영역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람의 음성에 관한 음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마이크(210)를 통해 수집되는 소리 정보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필터링를 수행하는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사람의 음성에 관한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음향정보 생성부(232)는 상기 마이크(210)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감시 영역 주변에서 발생하는 차량 사고 음향, 사람의 비명 및 각종 파괴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향정보 생성부(232) 역시 하나 이상의 마이크(210)를 통해 수집되는 소리 정보에서 차량 사고 음향, 사람의 비명 및 각종 파괴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필터링를 수행하는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음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정보 생성부(233)는 상기 마이크(210)가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마이크(210)에 수집되는 소리의 시간차를 기반으로 상기 소리의 발생 방향에 대한 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발생 방향에 대한 원리는 사람의 양쪽 귀가 듣는 시간차를 기본으로 한다. 즉, 두 개의 마이크(210)에 도달하는 소리의 도착하는 시간차를 계산하여 발생 지점의 각도를 계산하는 것이다.
상기 기준패턴 생성부(234)는 입력되는 샘플 데이터의 주파수 및 음량을 기반으로 기준패턴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이상음원 판단부(235)는 상기 기준 패턴과 상기 마이크(210)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매칭하여 이상음원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샘플 데이터(Sample Data)를 입력받아서 음성 전처리 및 음향 전처리를 하여 상기 샘플 데이터의 주파수 및 음량을 기반으로 기준 패턴을 생성함으로써 음향 모델을 완성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210)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입력 data로 하여 노이즈 제거 및 필터링을 통한 전처리 과정 후 특징 벡터열을 기반으로 패턴을 인식하게 되는데 이때, 패턴을 인식하는 기준이 상기 완성한 음향 모델이 되는 것이다.
즉, 기준 패턴을 생성함으로써 완성되는 음향 모델과 입력 data의 주파수 및 음량을 매칭하여 이상 음원을 탐지하게 된다. 또한, 기정의된 언어모델을 기반으로 언어처리를 함으로써 단어나 문장을 인식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샘플 데이터는 영화, 라디오 등 일반 멀티미디어 자료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과정 중 잡음 제거와 관련하여 기존의 Band Pass Filter 또는 Field NoiseSuppression 기법은 음성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강조하거나 휴대폰 운용 환경을 기준으로 Noise를 감쇄시키는 방법으로 고안되었으므로 야외에 설치되고 원거리에서 발생하는 음향에 대한 잡음 제거 기법으로는 적법하지않다. 따라서, 모든 주파수 대역이 고려되어야 하고 이상 음원을 변별하는 방법 위주의 잡음 제거 기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S/W 적인 방법인 Low Cut Filter 뿐 아니라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물리적인 Filter를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물리적 Filter를 예로, 미세하지 않은 커다란 홀을 가공해서 소리가 거침없이 마이크(210)로 전달되도록 하는데, 이것을 이중 구조로 하여 1차에서 빠른 공기의 흐름을 작은 여러 개의 공기 흐름으로 나누고 두 번째에서 1차에서 나온 공기 흐름을 방향만 빗나가게 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주변잡음 변화 추적부(236)는, 시간 및 기상 환경의 변화에 따른 주변 잡음 변화를 추적하여 이상 음원 감지에 대한 기준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야외 환경에서의 생활 잡음은 계절, 시간대 또는 기후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변 환경의 노이즈를 트래킹하여 상기 이상 음원 판단부(235)에서 이상 음원을 판단할 때, 주변 환경의 잡음을 고려하여 변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237)는 상기 이상음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22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방향정보 생성부(233)를 통해 생성되는 방향 정보를 기반으로 소리의 방향에 맞게 상기 카메라(220)의 촬영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통상의 CCTV 같은 경우에는 영상에만 의존하고 있으므로 특정 감시 영역만을 촬영한다거나 일정 시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복수 개의 감시 영역을 감지할 수밖에 없는 한계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마이크(210)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30)가 이상음원의 발생이 예상되는 방향을 촬영하도록 카메라(22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신부(238)는 상기 이상음원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300)로 송신하거나 관제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표시부와 재난발생 감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은 앞서 예로 든 방범 대상 구역(A, B, C)이 통상 실내공간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방범 대상 구역에 대하여 재난이나 침입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범 대상 구역이 실내 공간일 경우, 방범 대상 구역 내의 화재 및 침입을 감지하고 선택적으로 재난발생 또는 침입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서버(300)로 송신하기 위한 재난발생 감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재난발생 감지부(600)는 화재감지센서와 IR센서가 탑재되어 방범 구역 내의 화재발생이나 외부 침입발생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 및 이상음원 감지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 또는 이상음원 감지부(200)로부터 생성되는 구조요청 신호 또는 이상음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비상 상황으로 인지하여 비상 상황을 조명과 소리로 표시하기 위한 비상상황 표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비상상황 표시부(500)는 비상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경광등과, 청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경보벨을 포함하고 비상상황에서 작동함으로써 위협 인물을 포함한 범죄자를 당혹스럽게 하여 돌발 행동을 저지하거나 도주를 유도하여 사용자의 신변을 지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관제서버(300)는 원격지에서 연결된 각 장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 이상음원 감지부(200) 및 재난발생 감지부(600) 등은 자체적으로 기설정된 시간별로 또는 외부 요청 명령에 의해 상태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서버(300)는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 이상음원 감지부(200) 및 재난발생 감지부(600)의 장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점검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 이상음원 감지부(200) 및 재난발생 감지부(600) 각각은 상기 관제서버(300)의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현재의 상태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범 대상 구역별 치안 담당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700)은 상기 관제서버(300)로부터 접속 권한이 부여되며, 상기 관제서버(300)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방범 대상 구역에 대한 감지 정보 즉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의 구조요청 신호나 이상음원 감지부(200)의 이상음원과 영상 등을 수신하여 이를 표시함으로써 관한 방범 대상 구역에 대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상기 관제센터(400)로부터 출동명령 신호를 수신하거나 치안 담당자가 모니터링에 따른 본인 판단 으로 해당 방범 대상 구역으로 긴급 출동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700)은 상술한 감지 정보를 수신 및 표시하기 위하여 사전에 모니터링 App이 설치되어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상기 관제센터(400)와 연계되어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와 통화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요청 감지부(100) 및 이상음원 감지부(200)는 내부의 전자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열로 인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 및 이상음원 감지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전자부품을 수용하며 그 내부면에는 상기 전자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케이싱으로 유도하여 방출할 수 있는 방열프라이머가 도포된 케이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싱은 기본적으로 열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열전도성이 있는 재질이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열프라이머는 열전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내부의 전자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상기 케이싱으로 전달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한다.
그러나 상기 방열프라이머에 열전도성을 부과하더라도 방열프라이머의 경화 시 발생되는 미세균열, 온도차에 의한 신장에 의한 미세균열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열차단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으로 열전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프라이머가 실리콘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30 내지 120중량부, 선형 금속분말 30 내지 120중량부, 글리콜류 1 내지 3중량부, 탄닌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예를 제시한다.
먼저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타 조성의 바인더로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케이싱과의 부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나노 다이아몬드 분말은 우수한 열전도 특성과 함께 미세 공극(micro pore)이 형성되어 있어 표면적 증대를 통한 방열기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나노 다이아몬드의 배합량을 한정하는 이유는 배합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충분한 방열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배합량을 초과하는 경우 타 조성간 결합력이 약화로 코팅층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코팅층은 도포 후 경화과정 등에서 온도차 등에 의해 미세균열이 유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미세균열은 열전도율을 저하시켜 결과적으로 방열기능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선형 금속분말이 더 첨가되도록 하여 선형을 이루는 금속분말에 의해 페이스트의 가교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경화과정, 온도차에 의한 신장 등에서 페이스트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완화시켜 페이스트의 미세균열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형 금속분말은 다양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바, 일 예로 나노금속으로 이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경우 염기성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염기성 수용액에 적정 중량비로 이산화티탄을 첨가하여 교반시키고 이렇게 교반된 혼합물을 고온에서 적정시간을 반응시키고 이러한 반응 후, 용매 및 불순물을 제거하여 결정화시켜 제조되도록 하는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선형 금속분말은 페이스트에서 보강섬유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인장 강도가 큰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나노화시키면서도 선형의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페이스트에서 가교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일반적인 금속분말의 경우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어 단지 페이스트에서 충진제로서 기능을 수행할 뿐인데 본 실시 예에서는 선형의 금속분말이 첨가되도록 함으로서 페이스트의 인장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페이스트의 미세균열을 제어하거나 미세균열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미세균열의 간극을 선형의 금속분말이 연결되도록 하여 미세균열의 간극을 통해서도 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선형의 금속분말을 첨가하는 이유는 상기 방열프라이머의 도포과정에서 공기가 연행되는데 이러한 공기는 차후 열전도성을 저하시키는 포인트가 되는 바, 선형의 금속분말은 도포과정 등에서 연행된 공기와 충돌에 의해 연행된 공기를 물리적으로 터트리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열프라이머의 경화 과정에서 온도차에 의한 균열이 아니라 프라이머 내 용제의 증발에 의한 표면균열의 제어를 위해서 상기 방열프라이머에는 글리콜류가 더 배합되도록 한다.
상기 글리콜류는 페이스트의 공극에 용제증발 시 모세관장력을 저하시킴으로서 내부 인장 응력을 줄여 줌에 의해 경화 후 수축 저감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수축에 의한 균열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글리콜류는, 부틸디글리콜, 부틸트라이글리콜, 부틸글리콜, 메틸디글리콜, 부틸폴리글리콜, 에틸폴리글리콜, 메틸트라이글리콜, 에틸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방열프라이머의 배합 및 도포과정에서 금속이온 등이 표면으로 용출되어 방열프라이머와 상기 케이싱 경계면에서 금속이온이 흡착 등에 의해 상호 부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방열프라이머에는 금속이온 등과 결합을 통해 금속이온이 표면으로 용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탄닌을 더 첨가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서 제시하는 방열프라이머에 따라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 및 이상음원 감지부(200)는 열로 인한 장치의 오작동, 성능저하를 개선하여 정보 전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장비의 수명 연장 등을 포함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해자 주도형 구조 요청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로서, 방범 대상 구역 내에서 범죄자로부터 위협을 받는 상황의 경우, 사용자는 이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위험을 인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는 구조요청 감지부(100)의 위치를 확인하고 구조요청버튼(111)을 누르면 구조요청 감지부(100)의 비상벨모듈(110)에 의해 경보음이 울리면서 구조요청신호가 관제서버(300)로 송신된다.
상기 관제서버(300)에서는 구조요청신호가 송신된 해당 방범 대상 구역을 확인하고 관할 지구대를 포함하는 관제센터(400)로 감지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관제센터(400)에서 해당 방범 대상 구역에 대한 비상상황을 인지하게 되며,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긴급출동 명령을 내려 관리 인력이 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와 연동되는 비상상황 표시부(500)는 구조요청신호의 생성과 동시에 작동되어 경광등이나 경보음 등으로 주위에 비상상황임을 알릴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해 감지형 구조 요청 지원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로서, 방범 대상 구역 내에서 범죄자로부터 갑자기 위협을 받는 상황의 경우 사용자는 본능적으로 비명 등의 소리를 지르게 된다. 또한 범죄자의 물리적 행동에 의해 방범 대상 구역 내에 파손음과 같은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방범 대상 구역에 설치되는 이상음원 감지부(200)는 실시간으로 감지 영역에서의 소리를 수집하고 이러한 소리를 비교 분석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방범 대상 구역 내에서 사용자가 본능적으로 내는 소리나 기물 파손 등과 같은 소리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이상음원으로 감지하여 이상음원 신호를 생성하고 관제서버(300)로 생성된 이상음원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관제서버(300)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200)로부터 이상음원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방범 대상 구역에서의 비상상황을 인지함과 더불어 이러한 감지 정보를 관제센터(40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관제센터(400)에서는 방범 대상 구역에서 발생한 이상음원이 범죄에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100)의 통화연결모듈(120)을 통해 통화 연결을 시도하게 되고, 육성 통화를 통해 담당자는 최종적으로 비상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통화 대응을 통해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제센터(400)에서는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긴급출동 명령을 내려 관리 인력이 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역시 비상상황에서 비상상황 표시부(500)의 경광등이나 경보음 등을 작동시켜 주위에 비상상황임을 알릴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200)의 카메라(220)를 작동시켜 범죄 상황에 따른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구조요청 감지부 110 : 비상벨모듈
120 : 통화연결모듈 130 : 송수신모듈
200 : 이상음원 감지부 210 : 마이크
220 : 카메라 230 : 제어부
300 : 관제서버 400 : 관제센터
500 : 비상상황 표시부 600 : 재난발생 감지부

Claims (12)

  1. 방범 대상 구역별로 설치되어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송신하기 위한 구조요청 감지부;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로부터 구조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범 대상 구역별 비상상황을 실시간 감시하며, 감시 정보를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제센터로 전달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는,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요청버튼 및 상기 구조요청버튼의 입력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요청버튼의 입력신호에 의해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비상벨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방범 대상 구역별로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가 구비되어 기설정된 감지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되는 소리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 음원을 판단하여 이상음원 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이상음원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로부터 이상음원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범 대상 구역별 비상상황을 실시간 감시하며, 감시 정보를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제센터로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 및 이상음원 감지부는 내부면에 방열프라이머가 도포된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프라이머는 실리콘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30 내지 120중량부, 선형 금속분말 30 내지 120중량부, 글리콜류 1 내지 3중량부, 탄닌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는,
    선택된 하나의 관제센터에 통화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통화버튼과, 구조요청 대상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및 상기 관제센터의 담당자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제 2스피커를 포함하는 통화연결모듈; 및
    상기 통화연결모듈과 상기 관제센터 간 음성 송수신을 제공하는 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이상음원 감지부로부터 생성되는 이상음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관제센터에 자동으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 및 이상음원 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 또는 이상음원 감지부로부터 생성되는 구조요청 신호 또는 이상음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비상 상황으로 인지하여 비상 상황을 조명과 소리로 표시하기 위한 비상상황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는,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의 이상음원 신호에 의해 상기 관제센터와 통화 연결이 된 이후, 설정된 제 1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응답신호 또는 음성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관제서버로 구조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음원 감지부는,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이상 음원 신호의 탐지 시 또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신호에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켜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영상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대상 구역이 실내 공간일 경우, 방범 대상 구역내의 화재 및 침입을 감지하고 선택적으로 재난발생 또는 침입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재난발생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 이상음원 감지부 및 재난발생 감지부의 장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점검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구조요청 감지부, 이상음원 감지부 및 재난발생 감지부 각각은 상기 관제서버의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현재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접속 권한이 부여되며,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방범 대상 구역에 대한 감지 정보를 수신 및 표시하고, 상기 방범 대상 구역별 치안 담당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12. 삭제
KR1020160095639A 2016-07-27 2016-07-27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KR10170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39A KR101709224B1 (ko) 2016-07-27 2016-07-27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39A KR101709224B1 (ko) 2016-07-27 2016-07-27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224B1 true KR101709224B1 (ko) 2017-03-02

Family

ID=5842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639A KR101709224B1 (ko) 2016-07-27 2016-07-27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2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427B1 (ko) * 2019-03-25 2019-10-15 차진호 개인 사고/범죄 구조요청 자동발송시스템
KR102614695B1 (ko) 2023-09-26 2023-12-14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솔루션 스마트 비상벨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KR102662452B1 (ko) 2023-09-22 2024-05-02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솔루션 음성인식 비상벨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3941A (ja) * 2004-06-15 2006-01-05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0969661B1 (ko) * 2009-08-04 2010-07-14 주식회사 민택기술 자동 화재 속보 및 화재 접수 모니터 시스템과 그의 운영방법
KR20110053145A (ko) 2009-11-13 2011-05-19 김상동 영상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3941A (ja) * 2004-06-15 2006-01-05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0969661B1 (ko) * 2009-08-04 2010-07-14 주식회사 민택기술 자동 화재 속보 및 화재 접수 모니터 시스템과 그의 운영방법
KR20110053145A (ko) 2009-11-13 2011-05-19 김상동 영상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427B1 (ko) * 2019-03-25 2019-10-15 차진호 개인 사고/범죄 구조요청 자동발송시스템
KR102662452B1 (ko) 2023-09-22 2024-05-02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솔루션 음성인식 비상벨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KR102614695B1 (ko) 2023-09-26 2023-12-14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솔루션 스마트 비상벨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8754B2 (en) Video pattern recognition for automating emergency service incident awareness and response
US1101765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and dynamic security information during an emergency crisis
US7323980B2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with realtime imagery
KR101445367B1 (ko) 이상 음원에 대한 인식율 향상을 통하여 긴급상황 판별 성능을 개선한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 판별방법
US9779614B2 (en) System and method of alerting CMS and registered users about a potential duress situation using a mobile application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40218518A1 (en) Firearm Discharge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KR101841882B1 (ko) 무인방범 시스템 및 방법
US7953228B2 (en) Automatic audio systems for fire detection and diagnosis, and crew and person locating during fires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09224B1 (ko) 범죄 예방을 위한 셀프 방범 시스템
KR101545080B1 (ko)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KR100769562B1 (ko) 감시지역의 비상경보 시스템 및 방법
US115016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an active shooter
KR100878692B1 (ko)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40216165A1 (en) Surveillance system and surveillance method with cooperative surveillance terminals
US10861308B1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emergency response time
CN105321310B (zh) 从警报系统向紧急服务人员传送数据的系统和方法
KR101950755B1 (ko) 공공장소 방범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US10559189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oice alert notification of an incident
CA3142134A1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emergency response time
KR102369351B1 (ko) 범죄 예방을 위한 스마트 드론의 운용 방법
KR101509223B1 (ko) 모니터링 자동 포착기능이 구비된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 처리방법
KR101167605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지능형 다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42366B1 (ko) 드론을 이용한 방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