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080B1 -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080B1
KR101545080B1 KR1020140024205A KR20140024205A KR101545080B1 KR 101545080 B1 KR101545080 B1 KR 101545080B1 KR 1020140024205 A KR1020140024205 A KR 1020140024205A KR 20140024205 A KR20140024205 A KR 20140024205A KR 101545080 B1 KR101545080 B1 KR 101545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user
information
cctv
cent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석
채원호
정종원
김길영
김영훈
석대승
이소희
한규호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호를 요청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이동경로 내에 있는 CCTV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변환경을 감시하고,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CCTV에 구비된 경보기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시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비상상황 안내 문자를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뿐만 아니라 주변에서도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위험을 가하고자 하는 자도 경보음에 놀라 도망가도록 함으로써 위험요소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Smart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를 요청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이동경로 내에 있는 CCTV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변환경을 감시하고,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CCTV에 구비된 경보기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시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비상상황 안내 문자를 송출하는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CCTV는 화상정보를 특정의 목적으로 특정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장치로서, CCTV의 가장 큰 설치 목적은 보안 및 감시의 역할이며, 각종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통한 예방과 더불어 사건발생 사후의 대책 차원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CTV는 근래 각종 강력범죄가 증가하고, 테러 등에 대한 위험성이 높아짐에 따라 범죄예방 및 보안강화를 목적으로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설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CCTV 설치로 인해 거리 범죄 발생률 감소와 범죄 발생시 추적이 가능하여 범인 검거와 증거 채택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CCTV 카메라를 이용하면, 광범위한 영역을 대상으로 모니터 요원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면서 사건 발생 시 조치를 취하거나 사건 발생 후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여 범죄발생의 증거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CCTV 방식은 모니터요원의 육안에 의한 판단에 의존해야 하는데, 모니터 요원이 숙련된 사람이라 하더라도 많은 수의 CCTV들을 장시간 집중해서 모니터링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확인 서비스의 경우 이동 단말을 소지한 대상의 대략적인 위치는 파악할 수 있지만 대상이 위치한 곳에서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대상이 위치한 지점의 상황을 판단하기에는 정보가 부족하므로 조치를 위한 판단이 부정확하고, 특정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적절한 대처가 늦어지게 된다. 또한, 대상의 위치를 파악한 후에도 현장에 도착하고 나서야 정확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 지연되어 신변의 보호나 생명의 안전을 위해 조속한 대처가 어렵다.
일본 공개특허 제 2000-188740 호 [발명의 명칭 : 긴급 방송할 수 있는 CCTV 설비]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8-0069160 호[발명의 명칭 : 폐쇄회로 티브이 카메라를 이용한 위험알림 통신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 10-1142933 호[발명의 명칭 :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CCTV 카메라 장치와 안전관제 센터 서버, 그를 포함한 지능형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 10-1199418 호[발명의 명칭 :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보호를 요청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이동경로 내에 있는 CCTV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변환경을 감시하고,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CCTV에 구비된 경보기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시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비상상황 안내 문자를 송출하는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은 스마트 안전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마트 안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스마트 안전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안전 서비스에 따라 수신되는 주변환경 감시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스마트 단말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스마트 안전 서비스의 요청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 안전 서비스를 개시하고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받아 화면상에 스마트 안전 서비스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주변환경을 감시하고, 감시결과 위험상황이 인지되는 경우 주변환경 감시정보를 스마트 단말기로 출력하는 한편 경보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송출하는 관제센터 서버 및 관제센터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경보제어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음을 생성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CCTV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CCTV는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부터 경보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경보램프 점멸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고, 상기 CCTV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경보램프 점멸신호에 응하여 점멸하는 경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관제센터 서버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정보 및 보안관리 기관정보를 읽어들여 사용자의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관제센터 서버는 사용자의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할 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정보 및 보안관리 기관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관제센터 서버는 스마트 단말기로 범죄우발 지역정보를 제공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위험자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감시하며, 위험자의 위치정보가 스마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기로 위험상황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CCTV는 비상벨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비상벨 버튼이 눌려 비상벨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고, CCTV는 비상벨이 작동되는 경우 경보램프로 경보램프 점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단말기의 스마트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비상벨 버튼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비상벨 버튼이 클릭되면 관제센터 서버로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스마트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로도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를 요청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이동경로 내에 있는 CCTV를 통하여 사용자의 주변환경을 감시하고,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CCTV에 구비된 경보기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시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비상상황 안내 문자를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뿐만 아니라 주변에서도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위험을 가하고자 하는 자도 경보음에 놀라 도망가도록 함으로써 위험요소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CTV와 스마트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범죄자들에게 심리적으로 위축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제센터, CCTV와 스마트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언제 어디서든 긴급 상황을 빠르게 전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관제센터에 범죄 발생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지니고 있는 사람이 경찰의 순찰업무를 대신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CCTV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에 적용된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작동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기(100), 관제센터 서버(200), CCTV(300), 경보램프(400) 및 통신망(500)으로 이루어진다.
스마트 단말기(100)는 스마트 안전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마트 안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스마트 안전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안전 서비스에 따라 수신되는 주변환경 감시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스마트 단말기(100)의 스마트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비상벨 버튼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비상벨 버튼이 클릭되면 관제센터 서버(200)로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스마트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로도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관제센터 서버(200)는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스마트 안전 서비스의 요청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 안전 서비스를 개시하고 스마트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받아 화면상에 스마트 안전 서비스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주변환경을 감시하고, 감시결과 위험상황이 인지되는 경우 주변환경 감시정보를 스마트 단말기(100)로 출력하는 한편 경보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송출한다.
CCTV(300)는 관제센터 서버(200)로부터 송출되는 경보제어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음을 생성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관제센터 서버(200)로부터 경보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경보램프 점멸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한다.
CCTV(300)는 비상벨 버튼(3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비상벨 버튼(310)이 눌려 비상벨이 작동되는 경우 비상상황 정보를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하고, CCTV(300)는 비상벨이 작동되는 경우 경보램프(400)로 경보램프 점멸신호를 출력한다.
경보램프(400)는 CCTV(30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경보램프 점멸신호에 응하여 점멸하여, 위험상황이 발생했음을 주변에 알리게 된다.
관제센터 서버(200)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정보 및 보안관리 기관정보를 읽어들여 사용자의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전송한다.
관제센터 서버(200)는 사용자의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할 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정보 및 보안관리 기관정보를 읽어들이고, 사용자 단말정보 및 보안관리 기관정보를 이용하여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정보는 부모 또는 형제 또는 친구의 스마트폰 번호이고, 보안관리 기관정보는 경찰서, 소방서, 지역방범대 등에 마련되어 있는 유선전화번호 또는 휴대폰 번호이다.
관제센터 서버(200)는 스마트 단말기(100)로 범죄우발 지역정보를 제공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위험자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감시하며, 위험자의 위치정보가 스마트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기(100)로 위험상황 안내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게 위험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에 적용된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작동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관제센터 서버(200)에 회원등록을 한 후 관제센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안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탑재시킨다.
스마트 안전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마트 안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스마트 안전 서비스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스마트 안전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관제센터 서버(200)는 사용자의 스마트 안전 서비스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 단말기(100)로 스마트 안전 서비스가 개시되었음을 알리는 문자를 전송한 후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스마트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정보를 스마트 안전 서비스 화면에 출력시켜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관제센터 서버(200)는 스마트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수신받아 스마트 안전 서비스 화면에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관제센터 서버(200)는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CCTV(300)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화면상에 출력시켜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면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100)로 주변환경 감시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한다.
한편, 관제센터 서버(200)는 CCTV(300)를 통해 감시하고 있다가 위험상황이 인지되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100)로 위험상황 정보를 문자로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 주변에 있는 CCTV(300)로 경보제어신호를 송출한다.
CCTV(300)는 경보제어신호에 응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한편 CCTV(300)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경보램프(400)로 경보램프 점멸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경보램프(400)는 경보램프 점멸신호에 응하여 점멸하기 시작한다. 경보램프(400)는 CCTV(300)와 통신이 가능하면서 주변에 사람이 많이 다니거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위험에 처할 경우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청각적으로, 시각적으로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황은 사용자에게 위험을 가할 수 있는 자에게도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그 장소로부터 도망가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관제센터 서버(200)는 사용자의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할 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정보 및 보안관리 기관정보를 읽어들이고, 사용자 단말정보 및 보안관리 기관정보를 이용하여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정보는 부모 또는 형제 또는 친구의 스마트폰 번호이고, 보안관리 기관정보는 경찰서, 소방서, 지역방범대 등에 마련되어 있는 유선전화번호 또는 휴대폰 번호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경로를 미리 예측하고 자신이 위험에 처했을 때 신속하게 움직일 수 있는 사용자들의 단말정보를 관제센터 서버(200)에 등록시킬 수 있다.
관제센터 서버(200)는 스마트 단말기(100)로 범죄 우발 지역정보를 미리 제공하여, 사용자가 최대한 신속하게 그 지역을 통과하거나 동행자를 동반할 수 있도록 하며, 미리 등록되어 있는 위험자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감시하며, 위험자의 위치정보가 스마트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기(100)로 위험상황 안내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게 위험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CCTV(300)에는 비상벨 버튼(310)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CCTV(300)에 구비된 비상벨 버튼(310)을 누르게 되면 CCTV(300)는 경보램프(500)로 경보램프 점멸신호를 출력하여 경보램프(500)가 점멸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CCTV(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벨 버튼(310) 이외에 통신부(320), 제어부(330), 스피커(340)가 피사체를 켭쳐하는 카메라와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320)로 비상벨 버튼 눌림신호가 관제센터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하고,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320)를 통해 관제센터 서버(200)로부터 경보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스피커(340)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한편, 제어부(330)는 경보램프(400)로 경보램프 점멸신호를 출력하여 경보램프(400)가 점멸되도록 한다. CCTV(300)의 보안영상 제공 루틴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기술을 채용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CCTV(300)에 구비시킨 비상벨 개념을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 단말기(100)의 스마트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비상벨 버튼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비상벨 버튼이 클릭되면 관제센터 서버(200)로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스마트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로도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단말기
200 : 관제센터 서버
300 : CCTV
400 : 경보램프
500 : 통신망

Claims (7)

  1. 스마트 안전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마트 안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스마트 안전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안전 서비스에 따라 수신되는 주변환경 감시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스마트 단말기;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스마트 안전 서비스의 요청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 안전 서비스를 개시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받아 화면상에 스마트 안전 서비스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주변환경을 감시하고, 감시결과 위험상황이 인지되는 경우 주변환경 감시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출력하는 한편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정보 및 보안관리 기관정보를 읽어들여 사용자의 위험상황 알림정보와, 경보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송출하는 관제센터 서버; 및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경보제어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음을 생성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CCTV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스마트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비상벨 버튼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비상벨 버튼이 클릭되면 관제센터 서버로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스마트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로도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CCTV는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부터 경보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경보램프 점멸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고,
    상기 CCTV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경보램프 점멸신호에 응하여 점멸하는 경보램프를 더 포함하여서 돠는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 서버는 사용자의 위험상황 알림정보를 송출할 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정보 및 보안관리 기관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 서버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범죄우발 지역정보를 제공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위험자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감시하며, 상기 위험자의 위치정보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위험상황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CTV는 비상벨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비상벨 버튼이 눌려 비상벨이 작동되는 경우 비상상황 정보를 상기 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CCTV는 비상벨이 작동되는 경우 경보램프로 경보램프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7. 삭제
KR1020140024205A 2014-02-28 2014-02-28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KR101545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205A KR101545080B1 (ko) 2014-02-28 2014-02-28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205A KR101545080B1 (ko) 2014-02-28 2014-02-28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080B1 true KR101545080B1 (ko) 2015-08-17

Family

ID=5406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205A KR101545080B1 (ko) 2014-02-28 2014-02-28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08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349B1 (ko) 2017-02-24 2017-07-18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비상벨 원격 제어를 통한 화재 관제 방법
KR20180052179A (ko) * 2016-11-10 2018-05-18 (주)유미테크 신발 위치 추적을 통한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WO2018117324A1 (ko) * 2016-12-21 2018-06-28 전자부품연구원 사회 안전망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1992663B1 (ko) * 2018-02-07 2019-06-25 강원식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비상벨 장치
CN110136396A (zh) * 2019-04-29 2019-08-16 厦门盈趣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警示功能的智能开关面板
CN114379454A (zh) * 2022-01-29 2022-04-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soa架构的转向灯功能服务化系统
US20230379438A1 (en) * 2022-05-16 2023-11-23 Verkada Inc. Establishing, documenting, and disclosing information pertinent to privacy in surveilled environ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569B1 (ko) * 2010-03-24 2010-11-19 주식회사 시큐인포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352040B1 (ko) * 2013-06-17 2014-01-16 (주)씽크에이티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569B1 (ko) * 2010-03-24 2010-11-19 주식회사 시큐인포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352040B1 (ko) * 2013-06-17 2014-01-16 (주)씽크에이티 성범죄자 접근통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접근통보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179A (ko) * 2016-11-10 2018-05-18 (주)유미테크 신발 위치 추적을 통한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KR101871158B1 (ko) * 2016-11-10 2018-06-26 (주)유미테크 신발 위치 추적을 통한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WO2018117324A1 (ko) * 2016-12-21 2018-06-28 전자부품연구원 사회 안전망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1758349B1 (ko) 2017-02-24 2017-07-18 주식회사 포커스에이치엔에스 비상벨 원격 제어를 통한 화재 관제 방법
KR101992663B1 (ko) * 2018-02-07 2019-06-25 강원식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비상벨 장치
CN110136396A (zh) * 2019-04-29 2019-08-16 厦门盈趣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警示功能的智能开关面板
CN114379454A (zh) * 2022-01-29 2022-04-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soa架构的转向灯功能服务化系统
CN114379454B (zh) * 2022-01-29 2024-03-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soa架构的转向灯功能服务化系统
US20230379438A1 (en) * 2022-05-16 2023-11-23 Verkada Inc. Establishing, documenting, and disclosing information pertinent to privacy in surveilled environments
WO2023225498A1 (en) * 2022-05-16 2023-11-23 Verkada Inc. Establishing, documenting, and disclosing information pertinent to privacy in surveilled environ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080B1 (ko)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KR101700395B1 (ko)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
JP4891113B2 (ja) 緊急通報機能、緊急対応機能を備えた緊急通報システム
WO2014006772A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66869B2 (en) Parolee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841882B1 (ko) 무인방범 시스템 및 방법
CN103325210A (zh) 模块化的移动健康和安全系统
KR101459104B1 (ko) 동작분석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감지방법
JP2008203985A5 (ko)
CN105516659A (zh) 一种基于脸部情绪识别的智能安防系统及方法
KR100769562B1 (ko) 감시지역의 비상경보 시스템 및 방법
CN203288029U (zh) 报警联动系统
JP2008090602A (ja) 登下校時の防犯システム
JP5278981B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56241B1 (ko) 안전 블록을 구비한 위험상황 알림 시스템
KR20080045101A (ko) 이동용 보안 시스템
KR101167605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지능형 다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32464A (ko) 사회 안전망 시스템 및 방법
CN204305210U (zh) 一种集防盗与安全为一体的监控系统
KR102053541B1 (ko)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KR10140129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추적촬영 방법
KR102056549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KR101594053B1 (ko) 융복합 솔루션을 통한 보안 시스템
KR101878309B1 (ko)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JP2010286982A (ja) 警備システム、異常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