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395B1 -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395B1
KR101700395B1 KR1020150144934A KR20150144934A KR101700395B1 KR 101700395 B1 KR101700395 B1 KR 101700395B1 KR 1020150144934 A KR1020150144934 A KR 1020150144934A KR 20150144934 A KR20150144934 A KR 20150144934A KR 101700395 B1 KR101700395 B1 KR 101700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signal
situation
unit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남진
Original Assignee
(주)삼성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삼성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50144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395B1/ko
Priority to PCT/KR2015/013525 priority patent/WO201706534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B64C2201/126
    • B64C2201/127
    • B64C2201/1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으로서, 경호 대상자를 감지하여 일정 거리 범위를 유지하면서 상기 대상자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대상자의 위험 감지시 위험 상황 조치 기능을 수행하고 위험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경호용 드론과 이를 이용하여 대상자를 보호할 수 있는 이동식 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 {Security drone and mobile security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호 대상자를 감지하여 일정 거리 범위를 유지하면서 상기 대상자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대상자의 위험 감지시 위험 상황 조치 기능을 수행하고 위험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경호용 드론과 이를 이용하여 대상자를 보호할 수 있는 이동식 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CT 기술 발달에 따라 ICT 기술을 범죄 예방을 위한 방범 분야나 보안 분야에 적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나의 예로서, 건물이나 거리에 설치된 CCTV 등의 촬영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해당 구역에서 범죄가 발생하는지를 파악하는 방범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범 기술의 경우, 모든 구역에 촬영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사생활 침해 등의 논란의 소지가 있기에 CCTV 등의 촬영 장치를 설치된 구역만 모니터링할 수 있는다는 제한이 있으며, 촬영 장치로 긴급 상황이 촬영되더라도 상황실의 관리자가 촬영 영상을 확인하여 긴급 상황 발생을 인지하기 이전에는 긴급 상황의 파악되지 않는 수동적 상황 처리로 인해 후속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 발생되는 지능적 범죄들은 더욱 고도화되고 있어 범죄자들이 사전에 CCTV 등이 설치되지 않은 구역이나 CCTV 등의 촬영 장치 사각지대를 파악함으로써 영상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구역에서 범죄가 발생되고 있기에 이들 종래 기술로서는 범죄 예방을 모니터링하기에 한계가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서, 아동 또는 여성들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면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위급 신호를 감지하여 보호자, 경찰서나 응급 구조대 등으로 전달하는 방범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범 기술의 경우에는 단순히 대상자의 위치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이지 대상자가 어떠한 위급 상황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없으며, 나아가서 아동들이 호기심에 따른 거짓 위급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도 경찰이나 응급 구조대가 현장까지 도달하여 상황을 파악해야 하므로 필요치 않은 인력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2649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CCTV 등의 촬영 장치를 이용한 방범 기술의 경우, 모든 구역에 촬영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에 촬영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구역이 존재하고 또한 CCTV 자체의 사각지대가 형성되기에 범죄 발생 모니터링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추적을 통한 방범 기술의 경우, 단순히 대상자의 위치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이지 대상자가 어떠한 위급 상황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며, 거짓 위급 신호를 발생에 따른 인력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종래 기술들은 범죄 발생 상황 중에는 어떠한 조치를 취할 수 없기에 범죄 예방 차원이라기 보다는 범죄 발생 후의 조치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은, 공중에 부상하여 비행하는 드론으로서, 경호 대상자가 보유한 신호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신호 감지부가 감지한 신호를 기초로 상기 대상자와 기설정된 거리 범위를 유지시키며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 제어부; 상기 대상자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대상자의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기설정된 상황 조치 기능을 수행하는 상황 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황 조치부는, 상기 대상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 상기 대상자를 향해 조명을 방출하는 조명부; 및 상기 대상자를 향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상기 신호 장치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신호 장치로부터의 위급 신호를 기초로 상기 대상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상기 대상자를 촬영한 촬영 영상의 영상또는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대상자의 동작 패턴 또는 음향 패턴을 기초로 상기 대상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행 제어부는, 평상시 상기 대상자와 기설정된 기준 거리 범위를 유지시켜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고,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의 위험 상황 판단시 상기 드론을 상기 기준 거리 범위로부터 기설정된 상황 조치 거리 범위까지 상기 대상자에게 접근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상황 조치부는,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의 위험 상황 판단에 따른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연계 서버 또는 연계 통신 단말로 상기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상황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대상자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황 조치부는, 상기 대상자의 위험 상황 감지시, 기설정된 연계 통신 단말로 영상 통화를 연결하여 상기 촬영부의 실시간 촬영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감지부는, 상기 신호 장치로부터 전파되는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대상자 위치 파악부; 및 상기 신호 장치로부터의 위급 신호를 감지하는 위급 신호 수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상기 비행 제어부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드론의 고도와 상기 대상자와의 거리를 판단하는 드론 위치 판단부; 및 상기 장애물 감지부의 장애물 감지 및 상기 드론 위치 판단부의 고도와 상기 대상자와의 거리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 조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호 시스템은, 상기의 경호용 드론; 및 경호 대상자가 보유하며, 상기 경호용 드론을 향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장치는, 상기 경호용 드론을 향해 위치 신호를 전송하는 위치 신호 발신부; 상기 경호용 드론을 향해 위급 신호를 전송하는 위급 신호 발신부; 및 상기 위급 신호 발신부를 동작시키는 위급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경호용 드론으로부터 상기 대상자에 대한 상황 정보를 전송받는 연계 서버 또는 연계 통신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계 서버 또는 연계 통신 단말은 상기 경호용 드론으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대상자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상의 경호용 드론이 경호 대상자의 이동을 따라 함께 이동하여 대상자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대상자의 위험 상황시에 이에 대한 상황 조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범죄나 응급 상황으로부터 대상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불순한 의도로 대상자에게 접근하는 사람에 대해서 조명 방출이나 음향 신호 출력 등의 상황 조치를 통해 위압감을 조성함으로써, 범죄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경호용 드론이 평상시 대상자와 기준 거리를 유지하면서 대상자를 모니터링하면서 대상자에 위험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상황 조치 거리까지 대상자에게 접근하여 상황 조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대상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상자의 상해 발생시 그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라 응급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게 되어 대상자의 응급 상황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여러 영역별로 다수의 방범 장치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적인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고 구축 비용이나 유지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경호용 드론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의 신호 감지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의 비행 제어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의 상황 조치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호용 드론과 신호 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의 동작 상황에 대한 구현예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이 대상자의 위급 상황에서 동작하는 구현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경호 대상자를 감지하여 일정 거리 범위를 유지하면서 상기 대상자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대상자의 위험 감지시 위험 상황 조치 기능을 수행하고 위험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경호용 드론과 이를 이용하여 대상자를 보호할 수 있는 이동식 경호 시스템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경호용 드론(100)과 신호 장치(50)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연계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경호용 드론(100)은, 공중에 부상하여 조종사 없이 비행이 가능한 무인 항공기로서, 비행을 위한 기본적 구성은 공지된 다양한 드론의 구성이 적용 가능하기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경호 대상자(10)는 경호용 드론(100)을 향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장치(50)를 보유하며, 경호용 드론(100)은 경호 대상자(10)가 보유한 신호 장치(5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신호 장치(50)의 이동에 따라 일정 고도와 대상자(10)와의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비행한다. 이때, 경호용 드론(100)의 비행 고도와 대상자(10)와의 이격 거리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경호용 드론(100)이 신호 장치(50)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를 기초로 사전에 설정된 대상자(10)와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대상자(10)의 이동을 따라서 비행할 수 있다.
경호용 드론(100)에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대상자(10)를 따라 이동하면서 대상자(10)를 포함하는 일정 영역을 촬영하며, 또한 조명과 스피커가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대상자(10)의 위험 상황을 감지시에 대상자(10)를 향해 조명을 방출하거나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연계 장치(200)는 경호용 드론(100)과 연동하여 경호용 드론(100)을 통해 대상자(10)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례로서 경찰 서버(200a), 응급 구조대 서버(200b), 보호자 통신 단말(200n) 등 대상자(10)를 모니터링하고 대상자(10)가 위급이나 응급 상황에 처한 경우 이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다양한 관련 기관이나 지인이 보유한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경호 대상자(10)의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200n)을 통해 경호용 드론(100)이 촬영하는 대상자(10)의 촬영 영상을 언제든지 실시간 전송받을 수 있어 대상자(10)의 현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자(10)가 범죄 등의 위험 상황에 처한 경우 경호용 드론(100)이 이에 대한 상황 정보를 경찰 서버(200a)로 전송함으로써 대상자(10)를 범죄 상황에서 보호하거나 신속한 후속 조치가 가능하며, 또한 대상자(10)가 사고 등의 응급 상황에 처한 경우 경호용 드론(100)이 이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응급 구조대 서버(200b)에 전송함으로써 대상자(10)의 응급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호 시스템은 경호 대상자를 따라 함께 이동하는 경호용 드론이 대상자를 촬영하면서 대상자가 범죄 등의 위험 상황에 처한 경우 조명을 방출하거나 음향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범죄 상황을 모면할 수 있도록 보호하고 또한 후속 조치로서 관련 기관이나 보호자 등에게 상황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경호용 드론(100)에 대한 세부 구성을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100)은 신호 감지부(110), 비행 제어부(130), 촬영부(150), 상황 조치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감지부(110)는, 대상자(10)가 보유한 신호 장치(50)로부터의 신호를 전송받아 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하며, 대상자(10)가 신호 장치(50)를 통해 전송하는 위급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 감지부(110)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의 신호 감지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신호 감지부(110)는 대상자 위치 파악부(111)와 위급 신호 수신부(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자 위치 파악부(111)는 대상자(10)가 보유한 신호 장치(50)로부터 전파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며, 신호 강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경호용 드론(100)을 기준으로 대상자(10)의 위치를 파악한다.
위급 신호 수신부(115)는 대상자(10)가 신호 장치(50)를 통해 전송하는 위급 신호를 감지하는데, 이를 위해 신호 장치(50)에는 대상자(10)가 처한 다수의 상황별로 각각의 위급 신호가 설정되고 해당 상황별 위급 버튼이 구비되어 대상자(10)는 해당 상황별 위급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상황에 대한 위급 신호가 경호용 드론(100)으로 전파되며, 위급 신호 수신부(115)가 신호 장치(50)로부터 전파되는 위급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대상자(10)가 현재 어떤 위급 상황에 처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가령, 위급 신호 수신부(115)와 신호 장치(50) 간에는 범죄 등의 위험 상황에 노출된 경우에 대응되는 위험 신호, 신체 상해 등의 응급 상황에 노출된 경우에 대응되는 응급 신호 등이 구분되어 설정되며, 대상자(10)가 신호 장치(50)를 통해 해당 위급 신호를 전파할 경우 위급 신호 수신부(115)는 이를 감지하여 대상자(10)가 어떠한 위급 상황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2로 회귀하여 경호용 드론(100)의 구성에 대하여 계속 살펴보기로 한다.
비행 제어부(130)는 신호 감지부(110)가 감지한 신호를 기초로 대상자(10)와 기설정된 거리 범위를 유지시키며 경호용 드론(100)의 비행을 제어하는데, 가령 신호 감지부(110)에서 감지한 신호 강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파악한 대상자(10)의 위치를 기준으로 비행 제어부(130)는 사전에 설정된 대상자(10)자와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며 경호용 드론(100)의 비행을 제어한다.
비행 제어부(130)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의 비행 제어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비행 제어부(130)는 장애물 감지부(131), 드론 위치 판단부(133), 비행 조정부(1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애물 감지부(131)는 음파 발생기 및 음파 센서, 광 방출기 및 광 센서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음파나 광을 방출하여 비행 경로 상에 존재하는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음파나 광을 감지함으로써 장애물을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서 장애물 감지부(131)는 음파나 광 이외에도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드론 위치 판단부(133)는 경호용 드론(100)의 고도와 대상자(10)와의 거리를 판단하는데, 가령 GPS 장치를 보유하여 경호용 드론(100)의 고도와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신호 감지부(110)가 파악한 대상자(10)의 위치를 기초로 경호용 드론(100)과 대상자(10)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드론 위치 판단부(133)는 대상자(10)로부터 경호용 드론(100)의 위치가 일정 기준치 이상의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대상자(10)의 신호 장치(50)로 알람을 전송할 수 있고, 경호용 드론(1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드론 위치 판단부(133)는 파악된 경호용 드론(1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신호 감지부(110)가 파악한 대상자(10)의 위치를 좌표화시킬 수도 있다.
비행 조정부(135)는, 장애물 감지부(131)의 장애물 감지에 따라 장애물을 피해 경호용 드론(100)의 비행을 조정하며, 드론 위치 판단부(133)의 고도 및 대상자(10)와의 거리 판단에 기초하여 경호용 드론(100)과 대상자(10) 간의 설정된 거리 범위를 유지하도록 경호용 드론(100)의 비행을 조정한다.
이때, 경호용 드론(100)의 비행 고도 및 대상자(10)와의 거리는 대상자(10)가 처한 상황별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는데, 가령 평상시에는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고도와 가장 먼 거리로 설정된 기준 거리 범위를 유지하면서 경호용 드론(100)이 대상자(10)의 이동을 따라 비행하도록 조정하다가 대상자(10)가 위험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시에 경호용 드론(100)이 대상자(10)에게 보다 근접한 고도와 거리로 설정된 상황 조치 거리까지 접근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다시 상기 도 2를 통해 경호용 드론(1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촬영부(150)는 대상자(10)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데, 이를 위해 촬영부(150)를 카메라 등을 포함하여 영상과 음성을 포함하는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야간 촬영을 위해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150)의 촬영 장치는 대상자(10)를 기준으로 한 일정 영역을 촬영하는데, 경호용 드론(100)이 이동하면서 신호 감지부(110)가 파악한 대상자(10)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촬영부(150)에는 카메라 또는 카메라의 렌즈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절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황 조치부(170)는 대상자(10)의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기설정된 상황 조치 기능을 수행하는데, 대상자(10)가 위험 상황에 처한 경우 조명을 방출하거나 음향 신호를 출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대상자(10)에 대한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연계 장치나 연계 통신 단말로 상기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황 조치부(170)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의 상황 조치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상황 조치부(170)는 위험 상황 판단부(171), 조명부(173), 음향 출력부(175), 상황 정보 전송부(17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험 상황 판단부(171)는 대상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데, 대상자(10)가 보유한 신호 장치(50)로부터의 위급 신호에 따라 대상자(10)의 위험 상황을 파악할 수도 있고, 또는 촬영부(150)의 촬영 영상에서 패턴을 분석하여 대상자(10)의 위험 상황을 판단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앞서 신호 감지부(1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장치(50)에는 대상자(10)가 처한 다수의 상황별로 각각의 위급 신호가 설정되고 해당 상황별 위급 버튼이 구비되어 대상자(10)는 해당 상황별 위급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상황에 대한 위급 신호가 경호용 드론(100)으로 전파될 수 있으며, 신호 감지부(110)가 감지한 위급 신호를 위험 상황 판단부(171)가 판단하여 대상자(10)가 어떠한 위급 상황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상황 판단부(171)는 촬영부(150)가 대상자(10)를 촬영한 촬영 영상의 영상 또는 음향을 분석하여 대상자(10)의 위험 상황을 판단할 수도 있는데, 가령, 영상 분석시 대상자(10)가 사전에 설정된 특정 행위 패턴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파악할 수 있고, 또는 대상자(10)가 쓰러져 일정 시간 동안 미동조차 없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음향 분석시 대상자(10)의 비명 소리가 감지되거나 사전에 설정된 특정 음성 패턴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경우 이를 위험 상황으로 파악할 수 있다.
조명부(173)는 대상자(10)를 향해 조명을 방출하는데, 위험 상황 판단부(171)가 대상자(10)의 위험 상황 판단시 이에 따라 대상자(10)를 향해 조명을 방출할 수도 있고 또는 대상자(10)가 위험 상황에 처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야간 이동을 하는 경우 대상자(10)를 향해 조명을 방출할 수도 있다.
대상자(10)의 위험 상황시와 평상시는 구분되어 조명의 강도와 방향이 설정될 수 있으며, 평상시 대상자(10)를 향해 조명을 방출하는 경우에는 대상자(10)가 이동하는 경로 상의 일정 거리 범위까지 비출 수 있도록 조명이 방출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75)는 대상자(10)를 향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데, 위험 상황 판단부(171)가 대상자(10)의 위험 상황 판단시 이에 따라 대상자(10)를 향해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또는 대상자(10)가 위험 상황에 처하지 않은 경우에도 대상자(10)를 향해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가령 대상자(10)가 위험 상황에 처한 경우에는 싸이렌이나 강한 어투의 음성이 크게 출력될 수 있고, 평상시의 경우에는 대상자(10)가 선택한 음악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황 정보 전송부(177)는 위험 상황 판단부(171)의 위험 상황 판단에 따른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연계 서버 또는 연계 통신 단말로 상기 상황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상황 정보는, 대상자(1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대상자(10)를 촬영한 촬영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연계 서버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경찰 서버나 응급 구조대 서버 등 대상자(10)가 처한 위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당 관련 기관 서버로 대상자(10)에 대한 상황 정보가 전송될 수 있으며, 또한 연계 통신 단말은 대상자(10)에 대응되어 사전에 설정된 전화번호 등에 대응되는 이동통신 단말이 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황 정보 전송부(177)는 대상자(10)의 위험 상황 감지시 기설정된 연계 통신 단말로 영상 통화를 연결하여 촬영부(150)의 실시간 촬영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상황 정보 전송부(177)가 이와 같은 상황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통신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듈이 통신망에 연결되어야 하며, 이때 통신망은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등 적용가능한 다양한 통신망이 상황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서 경호용 드론(100)에는 기설정된 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기능이 추가적으로 부여될 수도 있고, 조정 장치를 통해 경호용 드론(100)의 비행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경호용 드론(100)이 대상자(10)를 촬영하는 실시간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연계 통신 단말에 탑재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을 통해 밤이나 인적이 드문 곳을 이동하는 경호 대상자를 모니터링하면서 보호할 수 있으며, 대상자의 상황 정보를 관련 기관이나 보호자 등에서 전송함으로써 위험 상황에 대한 신속한 후속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호 시스템의 구현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호용 드론과 신호 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경호용 드론(100)으로는 공중에 부상하여 비행 가능한 다양한 드론이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도 6의 (a)에 도시된 경호용 드론(100)의 구현예에서는 쿼드로콥터를 적용하였다.
경호용 드론(100)의 하면에는 지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장치(150)가 설치되고, 정면에는 지상을 향해 조명을 방출하는 조명 장치(173)가 설치되며, 또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7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호용 드론(100)을 통해 공중에 부상하여 경호 대상자를 따라 비행하면서 지상의 대상자를 향해 조명을 비추거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경호용 드론(100)과 연동하는 신호 장치는, 경호용 드론을 향해 위치 신호를 전송하는 위치 신호 발신부, 상기 경호용 드론을 향해 위급 신호를 전송하는 위급 신호 발신부, 상기 위급 신호 발신부를 동작시키는 위급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도 6의 (b)는 경호 대상자가 보유하는 신호 장치(50)의 다양한 구현예를 나타낸다.
신호 장치는 반지(50a), 목거리의 펜던트(50b), 시계(50c) 등에 장착되어 대상자가 항시 착용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대상자가 보유하는 스마트폰(50d)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도 6과 같은 경호용 드론(100)과 다양한 신호 장치를 적용하여 경호용 드론이 동작하는 구현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호용 드론(100)은 경호 대상자(10)가 보유한 신호 장치로부터 전파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대상자(10)를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대상자(10)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데, 대상자(10)를 기준으로 일정 영역을 촬영함으로써 대상자(10)가 위험 상황에 처한 경우, 조명을 방출하거나 음향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대상자(10)에게 접근하는 사람(15)에게 위압감을 줄 수 있어 범죄 행위로부터 대상자(10)를 사전에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호용 드론(100)은 대상자(10)와 일정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대상자(10)를 모니터링하는데, 상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호용 드론(100)은 대상자(10)를 기준으로 반경 D1과 D2 사이의 영역 A를 유지하면서 대상자(10)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경호용 드론(100)이 대상자(10)와 일정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대상자(10)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구성은 앞서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았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100)은 대상자(10)의 위급 상황에 따라 대상자(10)와의 거리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호용 드론이 대상자의 위급 상황에서 동작하는 구현예를 도시한다.
앞서 상기 도 7의 (b)에서 경호용 드론(100)이 대상자(10)를 기준으로 반경 D1과 D2 사이의 영역 A를 유지하는 거리 범위를 평상시 기준 거리 범위로 설정하고, 만약 대상자(10)가 위급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경호용 드론(100)이 상기 기준 거리 범위로부터 기설정된 상황 조치 거리 범위까지 대상자(10)에게 접근하는데,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호용 드론(100a)이 대상자(10)를 기준으로 기준 거리 범위인 영역 A를 유지하면서 대상자(10)를 모니터링하다가 대상자(10)가 위급한 상황이라 판단되면 대상자(10)를 기준으로 반경 E1과 E2 사이의 영역 B인 상황 조치 거리로 경호용 드론(100b)이 이동하여 상황 조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황 조치 기능으로 대상자(10)를 향해 조명을 방출하거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또한 대상자(10) 인근으로 근접하여 촬영함으로써 주변 상황이나 대상자에게 접근한 사람을 보다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상의 경호용 드론이 경호 대상자의 이동을 따라 함께 이동하여 대상자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대상자의 위험 상황시에 이에 대한 상황 조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범죄나 응급 상황으로부터 대상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불순한 의도로 대상자에게 접근하는 사람에 대해서 조명 방출이나 음향 신호 출력 등의 상황 조치를 통해 위압감을 조성함으로써, 범죄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상자의 상해 발생시 그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라 응급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게 되어 대상자의 응급 상황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여러 영역별로 다수의 방범 장치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적인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고 구축 비용이나 유지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대상자,
50, 50a, 50b, 50c, 50d : 신호 장치,
100 : 경호용 드론,
110 : 신호 감지부,
111 : 대상자 위치 파악부, 115 : 위급 신호 수신부,
130 : 비행 제어부,
131 : 장애물 감지부, 133 : 드론 위치 판단부,
135 : 비행 조정부,
150 : 촬영부,
170 : 상황 조치부,
171 : 위험 상황 판단부, 173 : 조명부,
175 : 음향 출력부, 177 : 상황 정보 전송부,
200 : 연계 장치,
200a : 경찰 서버,
200b : 응급 구조대 서버,
200n : 보호자 통신 단말.

Claims (14)

  1. 공중에 부상하여 비행하는 드론에 있어서,
    경호 대상자가 보유한 신호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의 강도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파악된 대상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의 렌즈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 상기 대상자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대상자의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기설정된 상황 조치 기능을 수행하는 상황 조치부; 및
    상기 신호 감지부가 감지한 신호의 강도를 기초로 평상시 상기 대상자와 기설정된 기준 거리 범위를 유지시켜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고, 상기 상황 조치부의 위험 상황 감지에 따른 상황 조치시 상기 드론을 상기 기준 거리 범위로부터 기설정된 상황 조치 거리 범위까지 상기 대상자에게 접근시키는 비행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행 제어부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드론의 고도와 현재 위치, 및 상기 대상자와의 거리를 판단하는 드론 위치 판단부; 및
    상기 장애물 감지부의 장애물 감지, 상기 드론 위치 판단부의 고도와 현재 위치, 및 상기 대상자와의 거리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호용 드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조치부는,
    상기 대상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
    상기 대상자를 향해 조명을 방출하는 조명부; 및
    상기 대상자를 향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호용 드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상기 신호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신호 장치로부터의 위급 신호를 기초로 상기 대상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호용 드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는,
    상기 대상자를 촬영한 촬영 영상의 영상 또는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대상자의 동작 패턴 또는 음향 패턴을 기초로 상기 대상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호용 드론.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조치부는,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의 위험 상황 판단에 따른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연계 서버 또는 연계 통신 단말로 상기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상황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호용 드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대상자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호용 드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조치부는,
    상기 대상자의 위험 상황 감지시, 기설정된 연계 통신 단말로 영상 통화를 연결하여 상기 촬영부의 실시간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호용 드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감지부는,
    상기 신호 장치로부터 전파되는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여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대상자 위치 파악부; 및
    상기 신호 장치로부터의 위급 신호를 감지하는 위급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호용 드론.
  10. 삭제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또는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경호용 드론; 및
    경호 대상자가 보유하며, 상기 경호용 드론을 향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호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장치는,
    상기 경호용 드론을 향해 위치 신호를 전송하는 위치 신호 발신부;
    상기 경호용 드론을 향해 위급 신호를 전송하는 위급 신호 발신부; 및
    상기 위급 신호 발신부를 동작시키는 위급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호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호용 드론으로부터 상기 대상자에 대한 상황 정보를 전송받는 연계 서버 또는 연계 통신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호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서버 또는 연계 통신 단말은 상기 경호용 드론으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대상자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경호 시스템.
KR1020150144934A 2015-10-16 2015-10-16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 KR101700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34A KR101700395B1 (ko) 2015-10-16 2015-10-16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
PCT/KR2015/013525 WO2017065347A1 (ko) 2015-10-16 2015-12-10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34A KR101700395B1 (ko) 2015-10-16 2015-10-16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395B1 true KR101700395B1 (ko) 2017-02-13

Family

ID=5815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934A KR101700395B1 (ko) 2015-10-16 2015-10-16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0395B1 (ko)
WO (1) WO2017065347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403A (ko) * 2016-01-22 2018-04-25 디지탈 이글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옌청) 컴퍼니., 리미티드. 경찰용 다기능성 무인항공기
KR20190044203A (ko)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지구의 치안 유지를 위한 무인 비행체 순찰 시스템 및 순찰 방법
KR20190086321A (ko) *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안전 귀가용 드론 및 안전 귀가 시스템
KR102019863B1 (ko) * 2018-06-29 2019-09-10 주식회사 새론다이내믹스 드론을 이용한 사용자 안전 확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2092602B1 (ko) * 2019-06-12 2020-03-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드론을 이용한 보행자 안전 보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18345B1 (ko) 2019-04-09 2020-06-03 제이씨현시스템주식회사 드론을 활용한 현장 실시간 입체경호서비스 제공시스템
CN112133111A (zh) * 2020-09-22 2020-12-25 福建威盾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警卫任务全景信息展现方法、系统、设备和介质
KR102300348B1 (ko) * 2021-04-13 2021-09-09 주식회사 프로펠 실시간 이미지 분석을 기반으로 현장 상황을 공유하는 무인 항공기, 및 제어 방법
KR102300349B1 (ko) * 2021-04-13 2021-09-09 주식회사 프로펠 탐지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무인 항공기, 및 운용 방법
US11279481B2 (en) 2017-05-12 2022-03-22 Phirst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evaluating and determining a response to emergency situations using unmanned airborne vehicles
EP3989194A1 (en) * 2018-10-29 2022-04-27 Hexagon Technology Center GmbH Facility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5483B2 (en) 2017-09-01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Personal security robotic vehicle
US10489649B2 (en) 2017-09-28 2019-11-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rone data locker system
CN108346260A (zh) * 2018-01-24 2018-07-31 上海歌尔泰克机器人有限公司 一种用于无人机的监控方法、装置、无人机及监控系统
US11749074B2 (en) 2019-12-13 2023-09-05 Sony Group Corporation Rescue support in large-scale emergency situations
CN114040162B (zh) * 2021-11-08 2023-09-08 娄少回 远程安保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049A (ko) * 2009-03-23 2010-10-01 (주) 이니투스 방범시스템
KR20110026753A (ko) * 2009-09-08 2011-03-1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363066B1 (ko) * 2013-12-31 2014-02-17 (주)엑스오코리아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우범지역 감시시스템
KR20140077726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아용 모니터링 로봇
KR101526499B1 (ko) 2015-01-02 2015-06-09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시큐리티 객체검출 기능을 이용한 보안용 네트워크 방범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영상 분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068B1 (ko) * 2011-11-25 2013-09-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행체의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049A (ko) * 2009-03-23 2010-10-01 (주) 이니투스 방범시스템
KR20110026753A (ko) * 2009-09-08 2011-03-1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077726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아용 모니터링 로봇
KR101363066B1 (ko) * 2013-12-31 2014-02-17 (주)엑스오코리아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우범지역 감시시스템
KR101526499B1 (ko) 2015-01-02 2015-06-09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시큐리티 객체검출 기능을 이용한 보안용 네트워크 방범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영상 분석 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586B1 (ko) 2016-01-22 2020-08-31 디지탈 이글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옌청) 컴퍼니., 리미티드. 소방 및 구조용 무인항공기
KR20180042403A (ko) * 2016-01-22 2018-04-25 디지탈 이글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옌청) 컴퍼니., 리미티드. 경찰용 다기능성 무인항공기
US11279481B2 (en) 2017-05-12 2022-03-22 Phirst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evaluating and determining a response to emergency situations using unmanned airborne vehicles
KR20190044203A (ko)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지구의 치안 유지를 위한 무인 비행체 순찰 시스템 및 순찰 방법
KR102113807B1 (ko) * 2017-10-20 2020-05-21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지구의 치안 유지를 위한 무인 비행체 순찰 시스템 및 순찰 방법
KR102007955B1 (ko) * 2018-01-12 2019-08-06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안전 귀가용 드론 및 안전 귀가 시스템
KR20190086321A (ko) *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안전 귀가용 드론 및 안전 귀가 시스템
KR102019863B1 (ko) * 2018-06-29 2019-09-10 주식회사 새론다이내믹스 드론을 이용한 사용자 안전 확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EP3989194A1 (en) * 2018-10-29 2022-04-27 Hexagon Technology Center GmbH Facility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KR102118345B1 (ko) 2019-04-09 2020-06-03 제이씨현시스템주식회사 드론을 활용한 현장 실시간 입체경호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92602B1 (ko) * 2019-06-12 2020-03-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드론을 이용한 보행자 안전 보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CN112133111A (zh) * 2020-09-22 2020-12-25 福建威盾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警卫任务全景信息展现方法、系统、设备和介质
KR102300349B1 (ko) * 2021-04-13 2021-09-09 주식회사 프로펠 탐지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무인 항공기, 및 운용 방법
KR102300348B1 (ko) * 2021-04-13 2021-09-09 주식회사 프로펠 실시간 이미지 분석을 기반으로 현장 상황을 공유하는 무인 항공기, 및 제어 방법
KR20220141716A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프로펠 탐지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무인 항공기, 및 운용 방법
KR20220141717A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프로펠 탐지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무인 항공기, 및 운용 방법
KR102486769B1 (ko) 2021-04-13 2023-01-10 주식회사 프로펠 탐지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무인 항공기, 및 운용 방법
KR102486768B1 (ko) 2021-04-13 2023-01-10 주식회사 프로펠 탐지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무인 항공기, 및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5347A1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395B1 (ko)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
KR100985816B1 (ko) 터널 내 화재와 비상상황을 감지하고 자동속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5753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CN109906614B (zh) 监视系统以及移动机器人装置
EP2492883A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monitoring and early fire alarming
KR101545080B1 (ko)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KR20100106049A (ko) 방범시스템
KR101485022B1 (ko) 행동 패턴 분석이 가능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6587744B2 (ja) 安全装置
US20140218518A1 (en) Firearm Discharge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KR101687296B1 (ko) 음향 및 행동 패턴 인식 기반의 하이브리드 패턴 분석이 가능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객체 추적 방법
CN104658188A (zh) 通道安全预警系统以及通道预警方法
CN106448036A (zh) 一种楼宇智能安防监控系统
JP6195447B2 (ja) 撮影システム
JP7092344B2 (ja) 携帯飛行監視端末、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CN105321310B (zh) 从警报系统向紧急服务人员传送数据的系统和方法
KR101996753B1 (ko) Ict 기반 화재경보기
KR102513372B1 (ko) 음향과 영상을 연계한 하이브리드형 객체 연속 추적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10057694A (ko) 실외 경비를 위한 이동형 경비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CN100483471C (zh) 带有成像传感器的报警装置
KR102466554B1 (ko)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
KR102462358B1 (ko) 화재감시시스템
KR102019863B1 (ko) 드론을 이용한 사용자 안전 확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1878309B1 (ko)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KR20170064918A (ko) 비콘과 스마트cctv를 이용한 전자수갑착용 범법자 도주방지시스템 및 도주자 위치추적 및 영상감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