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309B1 -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309B1
KR101878309B1 KR1020170149463A KR20170149463A KR101878309B1 KR 101878309 B1 KR101878309 B1 KR 101878309B1 KR 1020170149463 A KR1020170149463 A KR 1020170149463A KR 20170149463 A KR20170149463 A KR 20170149463A KR 101878309 B1 KR101878309 B1 KR 101878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alarm
alarm device
information
camera
pos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혜림
강철원
임승재
이경태
Original Assignee
강혜림
주식회사 파디엠
강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혜림, 주식회사 파디엠, 강철원 filed Critical 강혜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6Wireless systems, other than telephone systems,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장치는, 상기 안전경보 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모듈; 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타겟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설정된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 상기 안전경보 장치의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단말장치로 송신하거나 상기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안전경보 장치를 끈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SAFE WARNING APPARATUS AND SAFE WARN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늦은 밤이나 인적이 드문 거리와 같이 사용자가 범죄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소지하는 가방 끈에 고정시켜 이용할 수 있는 안전경보 장치를 통해 후방에서 접근하는 타겟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범죄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빈부격차와 개인의 고립화와 같은 사회문제로 인해 사회적 위화감이 커짐에 따라 각종 분쟁이나 범죄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범죄자의 경우 자신보다 신체적으로 약한 여성과 영유아 등의 사회적인 약자를 대상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회적인 약자에 대한 범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범죄를 해결하기 위해 경찰에서는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시범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범죄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범죄 발생을 예방하기에 경찰의 인원이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개개인이 스스로 대안을 강구해야 하는 상황이다.
호신봉, 가스총, 전기충격기 등 다양한 호신용품이 출시되고, 이러한 호신용품의 판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범죄 발생율은 줄어들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다. 더욱이, 여성과 영유아에 대한 범죄의 경우 범죄자의 힘에 의해 제압당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호신용품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새로운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97355호
더욱이, 유괴나 납치 등의 범죄는 대부분 범죄자가 여성이나 영유아의 후방에 범죄자가 위치하였다가 인적이 드문 장소에서 여성이나 영유아를 덮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따라서 여성이나 영유아가 무방비 상태에서 범죄를 당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센서를 통해 후방에서 접근하는 타겟(또는 범죄자)을 감지하고 감지된 타겟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촬영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 및 보호자 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 보호자가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범죄에 대처하도록 하는 안전경보 장치 및 안전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에 의한 작동지시가 없더라도 카메라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 위치정보 수신모듈에 의해 수집된 위치정보 및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위험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경보 장치 및 안전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전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장치는 상기 안전경보 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모듈; 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타겟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설정된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 상기 안전경보 장치의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단말장치로 송신하거나 상기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안전경보 장치를 끈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시스템은 안전경보 장치; 상기 안전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안전경보 장치에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정보를 수신하는 보호자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를 통해 후방에서 접근하는 타겟(또는 범죄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타겟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촬영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 및 보호자 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 보호자가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범죄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작동지시가 없더라도 카메라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 위치정보 수신모듈에 의해 수집된 위치정보 및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위험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의 발명의 효과도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장치를 끈에 고정시킨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장치를 끈에 고정시킨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시스템(1)은 안전경보 장치(10) 및 안전경보 장치(10)로부터 카메라(14)에 의해 촬영된 촬영정보를 수신하고 안전경보 장치(10)에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전경보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장치(20)로부터 촬영정보를 수신하는 보호자 단말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안전경보 시스템(1)은 외부 서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몇몇 실시예에서 안전경보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상대적으로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안전경보 시스템(1)은 사용자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타겟(예컨대, 범죄자 등)을 감지하고 카메라(14)를 이용하여 감지된 타겟을 촬영한 후 촬영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20)와 보호자 단말장치(3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후방에서 접근하는 타겟을 모니터링하여 범죄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보호자 역시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한 타겟을 모니터링하여 유사시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안전경보 장치(10)의 설치방향에 따라 안전경보 시스템(1)은 사용자의 전방에서 접근하는 타겟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안전경보 시스템(1)에서 안전경보 장치(10)와 사용자 단말장치(20)는 사용자가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상호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예컨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전경보 장치(10)와 사용자 단말장치(20)는 상호 간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0)와 보호자 단말장치(30), 사용자 단말장치(20)와 외부 서버(40)는 예컨대 3G(Third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우선, 안전경보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경보 장치(10)는 바디부(10a)와 고정부(10b)를 포함하고, 바디부(10a)는 안전경보 장치(10)의 작동을 위한 각종 구성요소가 포함된 몸체로서 바디부(10a)에는 프로세서(11), 위치정보 수신모듈(12), 센서(13), 카메라(14), 통신모듈(15), 발광모듈(16), 마이크(17) 및 스피커(18)가 포함되어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안전경보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는 안전경보 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는 위치정보 수신모듈(12), 센서(13), 카메라(14), 통신모듈(15), 발광모듈(16), 마이크(17) 및 스피커(18)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13)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 위치정보 수신모듈(12)에 의한 위치정보, 사용자 단말장치(20) 또는 보호자 단말장치(30) 등의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안전경보 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위치정보 수신모듈(12)은 안전경보 장치(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 수신모듈(12)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위치정보 수신모듈(12)이 안전경보 장치(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안전경보 장치(10)는 직간접적인 통신방식을 통해 보호자 단말장치(30) 또는 외부 서버(40)에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장치(10)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사용자의 구제를 위해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용이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위치정보 수신모듈(12)에 의해 수신된 위치정보는 안전경보 장치(10)의 진행방향 또는 이동속도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전경보 장치(10)는 위치정보 수신모듈(12)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사용자 단말장치(20)에 의해 획득되는 위치정보로 대체될 수도 있다.
센서(13)는 미리 설정된 범위(예컨대 센서의 감지 범위)에 위치하는 타겟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3)는 감지 센서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타겟 또는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타겟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3)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와 적외선 센서를 결합한 형태일 수 있지만, 근접한 타겟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센서(13)는 센서(13)의 발광부(미도시)에서 출력된 초음파가 타겟에 부딪혀 센서(13)의 수광부(미도시)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대상체(타겟)와의 거리나 움직임을 검출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13)는 타겟에서 발생되는 열(적외선)을 감지하여 타겟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어두운 실내나 야간에도 타겟의 움직임을 정확히 감지할 수도 있다.
카메라(14)는 미리 설정된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안전경보 장치(10)는 사용자가 매고 있는 가방 끈(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안전경보 장치(10)는 가방 끈(100)에 안전경보 장치(10)가 고정되었을 때 카메라(14)가 사용자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메라(14)는 사용자의 후방(미리 설정된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여 타겟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안전경보 장치(10)의 배터리(미도시) 용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경보 장치(10)의 사용에 있어서 배터리(미도시)를 고려한 사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프로세서(11)는 카메라(14)가 필요한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예컨대 카메라(14)는 감지정보, 위치정보 및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동할 수 있으며, 카메라(14)의 작동은 프로세서(1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전경보 장치(10)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 프로세서(11)는 사용자가 위험에 당면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위험에 처한 경우 때 안전경보 장치(10)의 카메라(1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1)는, 안전경보 장치(10)의 시간에 따른 위치정보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안전경보 장치(10)의 이동속도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에 카메라(1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후방에서 타겟이 따라온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면, 타겟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본능적으로 빠른 이동을 시도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프로세서(11)는, 안전경보 장치(10)의 시간에 따른 위치정보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안전경보 장치(10)의 이동속도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있다고 판단을 하고 카메라(14)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차량이나 대중교통에 탑승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속도가 갑자기 증가한 것일 수도 있기 때문에, 시간에 따른 위치정보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안전경보 장치(10)의 이동속도가 평균적인 사람의 이동속도를 넘어선 경우(또는 사람에게 가능한 이동속도의 증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위험에 빠진 것이 아니라 차량이나 대중교통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카메라(14)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는 안전경보 장치(10)가 외부 CCTV의 촬영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14)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CCTV가 사용자를 촬영하고 있는 경우에는 CCTV에 의해 사용자가 모니터링되고 있으며, 범죄자의 상당수는 CCTV의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고 CCTV 촬영범위에서는 조심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외부 CCTV의 촬영범위에서는 범죄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배터리(미도시)의 절약을 위해 카메라(14)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경보 장치(10)의 메모리(미도시)에 CCTV 설치정보가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4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CCTV 설치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CCTV 설치정보는 CCTV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정보로서 해당 CCTV의 촬영 가능 범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CTV 설치정보와 안전경보 장치(10)의 위치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안전경보 장치(10)를 소지한 사용자가 설치된 CCTV에 의해 촬영이 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경보 장치(10)의 메모리(미도시)에 CCTV 설치정보가 저장된 경우에 프로세서(11)는 CCTV 설치정보와 안전경보 장치(10)의 위치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안전경보 장치(10)를 소지한 사용자가 설치된 CCTV에 의해 촬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안전경보 장치(10)를 소지한 사용자가 설치된 CCTV에 의해 촬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14)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외부 서버(4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CCTV 설치정보가 저장된 경우에 외부 서버(40)는 CCTV 설치정보와 안전경보 장치(10)의 위치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안전경보 장치(10)를 소지한 사용자가 설치된 CCTV에 의해 촬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안전경보 장치(10)를 소지한 사용자가 설치된 CCTV에 의해 촬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14)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제어정보(또는 제어신호)를 사용자 단말장치(20)에 전송하여 안전경보 장치(10)에 전달되도록 하거나 안전경보 장치(10)에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는 제어정보에 따라 카메라(14)의 작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는 위치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카메라(1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안전경보 장치(10)가 위험지역 또는 우범지역 등에 대한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고, 사용자가 위험지역 또는 우범지역 등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가 위험에 빠질 확률이 높다고 판단을 하고 카메라(14)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는 위치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치정보에 해당하여 카메라(14)를 작동시킨 경우, 위치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치정보에 해당하지 않게 되면 카메라(14)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는 사용자가 위험지역 또는 우범지역 등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카메라(14)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는,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타겟이 감지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발광모듈(16)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는 사용자의 후방에 타겟이 감지된 경우 바로 카메라(14)를 작동시켜 타겟을 촬영하지 않고, 먼저 발광모듈(16)을 작동시킴으로써 후방의 타겟이 자신에 대해 현재 촬영이 진행되고 있다고 인식할 수 있도록 상황을 조성할 수 있다. 만약 후방에 위치한 타겟이 안전경보 장치(10)의 촬영을 의식하여 더 이상 사용자를 따라오지 않으면 카메라(14)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다만, 안전경보 장치(10)의 발광모듈(16)이 작동함에도 불구하고 후방의 타겟이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된다면, 프로세서(11)는 카메라(14)를 작동시킴으로써 실제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스(11)는 배터리(미도시)의 잔여용량에 따라 안전경보 장치(10)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미도시)의 잔여용량이 충분한 제1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카메라(14)와 마이크(17)을 모두 작동시켜 촬영정보와 음성정보를 모두 수집하고, 배터리(미도시)의 잔여용량이 불충분한 제2 범위(제1 범위보다 잔여용량이 낮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카메라(14) 또는 마이크(17) 중 어느 하나만을 작동시켜 모니터링은 유지하면서 배터리(미도시)의 소비를 줄여 모니터링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스(11)는 배터리(미도시)의 잔여용량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20)에 안전경보 장치(10)와 사용자 단말장치(20)의 연결을 무선에서 유선으로 변경하도록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전경보 장치(10)는 내부에 유선연결을 위한 라인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당 라인을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자 단말장치(20)와 연결할 수 있다. 안전경보 장치(10)와 사용자 단말장치(20)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호 간의 무선통신을 위한 배터리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20)의 배터리(미도시)를 이용하여 안전경보 장치(10)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도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는 카메라(14)의 방향이 정방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최초에 사용자가 가방 끈(100)에 안전경보 장치(10)를 고정시킨다고 하더라도 카메라(14)의 방향이 후방을 향하도록 옳게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최초에는 카메라(14)의 방향이 후방을 향하도록 안전경보 장치(10)가 가방 끈(100)에 고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이동 중에 안전경보 장치(10)의 고정 위치가 변경되어 카메라(14)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는 안전경보 장치(10)의 시간에 따른 위치정보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안전경보 장치(10)의 이동방향을 산출하고, 카메라(14)가 산출된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카메라(14)가 산출된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여 안전경보 장치(10)의 고정위치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4)가 향하는 방향은 예컨대 안전경보 장치(10)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미도시) 또는 자이로 센서(미도시) 등을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것은 예컨대 발광모듈(16)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스피커(18), 진동자(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메라(14)가 잘못된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된 경우에는 촬영을 진행하더라도 원하는 영역의 촬영이 어려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카메라(14)가 산출된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1)는 카메라(14)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프로세서(11)는 카메라(14)의 작동을 멈추는 것과 별개로 마이크(17)의 작동은 유지할 수 있다.
통신모듈(15)은 센서(13)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 안전경보 장치(10)의 위치정보, 카메라(14)에 의해 촬영된 촬영정보, 마이크(17)에 의해 수신된 음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단말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모듈(15)은 사용자 단말장치(20)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발광모듈(16)은 외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안전경보 장치(10)는 발광모듈(16)을 작동시킴으로써 타겟에게 현재 안전경보 장치(10)에 의해 촬영이 진행 중이란 점을 적극적으로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겟은 안전경보 장치(10)가 작동된 상태에서 범죄를 저지른다면 카메라(14)에 의해 얼굴이 노출되어 향후 체포될 우려가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발광모듈(16)을 이용하여 타겟의 범죄를 저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마이크(17)는 안전경보 장치(10)의 주변 소리를 감지하여 음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안전경보 장치(10)는 촬영정보 이외에 음성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스피커(18)는 안전경보 장치(10)의 외부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0b)는 안전경보 장치(10)를 끈(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안전경보 장치(10)는 사용자가 매는 가방 끈(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방을 촬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것이며, 이를 위해 안전경보 장치(10)는 바디부(10a)를 가방 끈(1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10b)를 포함한다. 고정부(10b)가 가방 끈(100)에 고정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10b)의 제1 면에는 바디부(10a)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10b_1)가 형성되고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에는 끈(100)에 고정부(10b)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가이드(10b_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가방 끈(100)에 고정부(10b)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필요한 경우에만 바디부(10a)를 고정부(10b)에 결합하여 안전경보 장치(1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바디부(10a)는 제1 방향을 따라서는 제1 가이드(10b_1)에 결합이 되지만,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서는 제1 가이드(10b_1)에 결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0a)는 일 방향으로만 제1 가이드(10b_1)에 결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안전경보 장치(10)를 고정부(10b)에 거꾸로 연결함으로써 촬영되는 영상의 위 아래가 바뀌는 등의 실수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실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장치(20)를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20)는 안전경보 장치(10), 보호자 단말장치(30) 및 외부 서버(40)와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안전경보 장치(10)로부터 감지정보, 촬영정보, 음성정보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안전경보 장치(10)에 제어정보를 전송하거나 보호자 단말장치(30)에 안전경보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장치(20)에는 안전경보 장치(10)를 활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장치(20)는 컴퓨터(예컨대,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컨대,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스마트폰,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장치(20)는 통신모듈(21), 입력부(22), 표시부(23), 프로세서(24), DB부(25), 저장부(26), 위치정보 수신모듈(27)을 포함할 수 있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장치(20)는 도 5에 구성된 구성요소보다 상대적으로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스피커(미도시) 또는 마이크(미도시) 등의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2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신모듈(21)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안전경보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3G(Third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보호자 단말장치(3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통신모듈(21)는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안전경보 장치(10)와 페어링(pairing)되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보호자 단말장치(3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22)는 안전경보 장치(10)를 제어하고, 보호자 단말장치(30)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24)로 전달한다. 입력부(22)는 표시부(23)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 종 키들의 기능이 표시부(23)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22)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표시부(23)는 안전경보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 설정 정보, 입력데이터 등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안전경보 장치(10)로부터 전달받은 촬영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표시부(23)는 구체적으로 안전경보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 설정을 위해 감지센서 동작, 감지 범위 설정, 영상 촬영 방법 설정 등 다양한 설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20)를 제어하기 위한 경고음 관련 설정, 빛 세기 관련 설정, 보호자 설정, 위험지역 표시 등 다양한 설정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표시부(23)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23)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부(23)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며,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프로세서(24)로 전송한다. 특히, 표시부(23)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부(22)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표시부(23)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24)는 사용자 단말장치(2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경보 장치(1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장치(20)에 알림이 발생되도록 하고, 안전경보 장치(10)로부터 전달받은 촬영 데이터를 저장 또는 보호자 단말장치(30)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어서, DB부(25)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데이터가 저장, 등록되는 영역으로, 경고음 설정 정보, 빛 세기 설정 정보 등의 설정 데이터 외에도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 보호자 등록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집, 회사 등 안전지역으로 설정된 안전지역 데이터 및 귀가 시간, 목적지 이동 시간 등 설정된 시간이 되면 촬영이 되도록 하는 설정 시간 등이 포함된다.
이어서, 저장부(26)는 사용자 단말장치(20)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안전경보 장치(10)로부터 전달받은 촬영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DB부(25) 및 저장부(26)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정보 수신모듈(27)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위치정보 수신모듈(27)는 지속적으로 GPS 위성(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GPS 신호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음, 위치정보 수신모듈(27)는 위치 정보를 프로세서(24)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고도 등의 좌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24)는 DB부(25)에 저장된 설정시간에 도달할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에 알림이 발생되도록 하고, 안전경보 장치(10)의 프로세서(11)로 하여금 카메라(14)가 해당 지역을 촬영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24)는 DB부(25)에 저장된 설정시간에 도달하고, 위치정보 수신모듈(27)로부터 수신받은 위치 정보가 DB부(25)에 저장된 설정 위치 정보에 근접할 경우, 센서(13)에 의한 감지신호가 없더라도 안전경보 장치(10)의 프로세서(11)로 하여금 카메라(14)가 해당 지역을 촬영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아울러, 프로세서(24)는 위치정보 수신모듈(27)로부터 수신받은 위치가 DB부(25)에 저장된 안전지역에 위치할 경우 촬영 및 감지센서(12)에 의한 인체 감지가 해제되도록 안전경보 장치(1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4)는 위치정보 수신모듈(27)로부터 수신받은 위치 정보를 DB부(25)에 저장된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위험지역에 위치하면 사용자 단말장치(10)에 알림이 발생되도록 하고, 안전경보 장치(10)로 위험지역 알림신호를 전송하여 프로세서(11)로 하여금 카메라(14)가 해당 지역을 촬영하도록 한다.
아울러, 프로세서(24)는 위치정보 수신모듈(27)로부터 수신받은 위치가 위험지역을 벗어나면 해당 지역 촬영이 해제되도록 안전경보 장치(10)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밖에, 보호자 단말장치(30)는 사용자 단말장치(20)와 그 구성이 유사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외부 서버(40)는 사용자 단말장치(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10)에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40)는 경찰청 서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범죄에 노출된 경우 경찰청 서버로 도움 요청 신호, 촬영정보, 음성정보 또는 위치정보가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경찰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는 경찰청 서버인 외부 서버(40)로부터 위험지역, 우범지역 또는 CCTV 설치정보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안전경보 장치(10)의 위험지역, 우범지역 또는 CCTV 설치정보에 대한 위치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40)는 안전경보 장치(10)의 제조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외부 서버(40)는 사용자 단말장치(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안전경보 장치(10)의 촬영정보 또는 음성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위험지역 또는 우범지역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40)를 통해 사용자 간에 공유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40)로부터 갱신된 위험지역 또는 우범지역에 대한 정보를 안전경보 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에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20)를 통해서 개별적으로 위험지역 또는 우범지역을 설정하여 관리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개인이 관리하는 위험지역 또는 우범지역에 대한 정보가 외부 서버(40)를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도 공유될 수 있다. 개인이 관리하는 위험지역 또는 우범지역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초한 정보이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한편, 외부 서버(40)가 안전경보 장치(10)의 제조사가 운영하는 서버인 경우, 특정한 지역에 대하여 위험지역 또는 우범지역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면, 외부 서버(40)는 안전경보 장치(10)의 위치 정보(또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가 부족한 특정한 지역을 방문하였던 사용자 단말장치(20)에 대하여 위험지역 또는 우범지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서버(40)는 부족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보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40)는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외부 서버(40)는 사용자 단말장치(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방에 안전경보 장치(10)의 촬영정보 또는 음성정보를 업로드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인에 의해 모니터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정경보 장치(10)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장치(10)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장치(10)는 제1 배터리(19a) 및 제2 배터리(1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터리(19b)는 안전경보 장치(10)의 메인 배터리이고 제1 배터리(19a)는 보조 배터리로서 제2 배터리(19b)가 안전경보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만 작동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배터리(19a)는 바디부(10a) 내에 내장된 것일 수 있고, 제2 배터리(19b)는 바디부(10a)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제2 배터리(19b)는 고정부(10b)에 내장될 수도 있다. 보조 배터리를 바디부(10a) 내에 내장하고 메인 배터리를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게 위협을 가하는 범죄자는 안전경보 장치(10)에 카메라(14)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안전경보 장치(10)의 작동을 멈추려고 할 것이다. 가장 손쉽게 안전경보 장치(10)의 작동을 멈추는 방법은 착탈식 배터리인 제2 배터리(19b)를 안전경보 장치(10)로부터 제거하는 것이다. 설사 범죄자가 제2 배터리(19b)를 안전경보 장치(10)로부터 제거하더라도 안전경보 장치(10)에는 제2 배터리(19b)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중단된 경우 안전경보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19a)가 있다. 즉, 범죄자는 안전경보 장치(10)에 내장형 제1 배터리(19a)가 있다는 사실을 모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경보 장치(10)로부터 제2 배터리(19b)를 제거하고 별다른 조치를 더 이상 취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경보 장치(10)에 따르면, 범죄자가 안전경보 장치(10)로부터 제2 배터리(19b)를 제거하더라도 제1 배터리(19a)를 통해 그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사용자의 신변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10b)는 카메라(미도시), 마이크(미도시) 및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고정부(10b)의 카메라(미도시) 및 마이크(미도시)는 고정부(10b)가 바디부(10a)에 결합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는 바디부(10a)가 고정부(10b)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만 카메라(미도시), 마이크(미도시) 및 통신모듈(미도시)을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범죄자가 안전경보 장치(10)의 작동을 무력화하기 위해 바디부(10a)를 고정부(10b)로부터 분리하더라도 프로세서(11)는 고정부(10b)의 기능을 작동시킴으로써 모니터링이 계속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는 바디부(10a)의 카메라(14) 또는 마이크(17)에 의해 촬영정보 또는 음성정보가 더 이상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 고정부(10b)의 카메라(미도시), 마이크(미도시) 및 통신모듈(미도시)을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범죄자에 의해 바디부(10a)가 파손되어 바디부(10a)가 작동을 못하는 경우, 프로세서(11)는 고정부(10b)의 기능을 작동시킴으로써 모니터링이 계속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20)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장치(20)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카메라 재생영역(50)이 포함되어 있으며, 안전경보 장치(10)의 카메라(14)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카메라 재생영역(5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화면에는 긴급버튼(51), 플래시 버튼(52), 보호자 알림 버튼(53) 및 경고음 버튼(54)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긴급버튼(51)을 누르면 문자버튼(미도시)과 전화버튼(미도시)이 나오며, 사용자가 문자버튼(미도시)을 선택하면 화면에 전송할 문자 내용이 보이고 전송버튼(미도시)을 누르면 문자가 전송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화버튼(미도시)을 선택하면 예컨대 경찰서 번호가 나타나고 통화버튼(미도시)을 누르면 경찰서로 전화가 연결된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플래시 버튼(52)을 누르면, 안전경보 장치(10)의 발광모듈(16)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보호자 알림 버튼(53)을 누르면, 사진 전송 버튼(미도시)과 동영상 전송 버튼(미도시)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송 방식을 선택해 사진 전송 버튼(미도시) 또는 동영상 전송 버튼(미도시)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하는 경우 보호자 알림 메뉴가 활성화 되고,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화면 상의 "보호자 알림" 문구가 "전송 중"이라는 문구로 변경된다. 그리고 다시 한번 보호자 알림 버튼(53)을 선택하면 비활성화 되어 전송 중이라는 문구는 "보호자 알림"이라는 문구로 다시 변경된다.
이 밖에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경고음 버튼(54)을 누르면, 안전경보 장치(10)의 발광모듈(16)이 작동하고 경고음이 울린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안전경보 시스템 10: 안전경보 장치
20: 사용자 단말장치 30: 보호자 단말장치
40: 외부 서버

Claims (10)

  1. 안전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경보 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모듈;
    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타겟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설정된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 상기 안전경보 장치의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단말장치로 송신하거나 상기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안전경보 장치를 끈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
    상기 안전경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외부 CCTV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정보, 해당 CCTV의 촬영 가능 범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수신모듈, 상기 센서, 상기 카메라 및 상기 통신모듈은 바디부에 장착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고정부는 상호 결합 및 착탈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감지정보,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시간에 따른 상기 위치정보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상기 안전경보 장치의 이동속도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상기 위치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정보에 해당하여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킨 경우,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정보에 해당하지 않게 되면 상기 카메라의 작동을 중지시키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정보는 위험지역 또는 우범지역에 대한 위치정보로 상기 안전경보 장치에 저장된 것이고,
    상기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상기 타겟이 감지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발광모듈을 작동시키고,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상기 타겟이 감지된다면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시간에 따른 상기 위치정보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상기 안전경보 장치의 이동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카메라가 산출된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가 산출된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외부 CCTV 설치정보 및 촬영 범위정보와 상기 안전경보 장치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안전경보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외부 CCTV에 의해 촬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 CCTV에 의해 촬영이 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안전경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제1 면에는 상기 바디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에는 상기 끈에 상기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는 제1 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제1 가이드에 결합이 되지만,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제1 가이드에 결합이 되지 않는 것인, 안전경보 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전경보 장치;
    상기 안전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안전경보 장치에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정보를 수신하는 보호자 단말장치
    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상기 안전경보 장치가 작동하도록 상기 안전경보 장치에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안전경보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및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안전경보 장치가 작동하도록 상기 안전경보 장치에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안전경보 시스템.
KR1020170149463A 2017-07-25 2017-11-10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KR101878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93951 2017-07-25
KR1020170093951 2017-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309B1 true KR101878309B1 (ko) 2018-07-13

Family

ID=6291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463A KR101878309B1 (ko) 2017-07-25 2017-11-10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1331A (zh) * 2023-10-10 2023-11-10 潍坊市平安消防工程有限公司 一种消防报警系统及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017A (ko) * 2011-04-04 2012-10-12 김숭재 스마트폰,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15549B1 (ko) * 2011-02-01 2012-12-26 성현규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KR101481051B1 (ko) * 2013-09-12 2015-01-16 (주)유즈브레인넷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548729B1 (ko) * 2015-02-09 2015-09-01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27200A (ko) * 2015-04-23 2016-11-03 (주)위니텍 웨어러블 카메라 기반의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3764A (ko) * 2016-01-11 2017-07-19 김기노 미아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549B1 (ko) * 2011-02-01 2012-12-26 성현규 부착형 무선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중심 원격 모니터링 안전 시스템
KR20120113017A (ko) * 2011-04-04 2012-10-12 김숭재 스마트폰,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81051B1 (ko) * 2013-09-12 2015-01-16 (주)유즈브레인넷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548729B1 (ko) * 2015-02-09 2015-09-01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27200A (ko) * 2015-04-23 2016-11-03 (주)위니텍 웨어러블 카메라 기반의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3764A (ko) * 2016-01-11 2017-07-19 김기노 미아방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1331A (zh) * 2023-10-10 2023-11-10 潍坊市平安消防工程有限公司 一种消防报警系统及其方法
CN117041331B (zh) * 2023-10-10 2023-12-08 潍坊市平安消防工程有限公司 一种消防报警系统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2814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KR101583378B1 (ko) 개인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4668014B2 (ja) 防犯状況通知装置、防犯状況通知方法、および防犯状況通知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38913B1 (ko) 도난예방 알림 및 위치추적 시스템
US9615235B2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KR101875377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101459104B1 (ko) 동작분석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감지방법
KR101643253B1 (ko) 감시장치 관제시스템 및 이의 관제방법
US9715805B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KR102018988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101545080B1 (ko) 씨씨티브이와 스마트 단말기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KR101654181B1 (ko) 스마트폰 앱과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범용 cctv 비상벨 호출 시스템
KR101612507B1 (ko) 호신용 반지를 이용한 위험상황 관리시스템
KR20110035420A (ko)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위험 알림 방법
KR101453248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시스템
KR101878309B1 (ko)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KR102513984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101493399B1 (ko) 범죄자 접근 경고 시스템 및 그 서버 제어 방법
KR101509924B1 (ko) 범죄 예방 휴대장치, 이를 포함한 범죄 감시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2352B1 (ko)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KR1010782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위급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80043227A (ko)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JP6514488B2 (ja) ウェアラブル端末
KR101489839B1 (ko) 전자구속장치 및 그 제어 시스템과 방법
KR101484457B1 (ko) 휴대용 블랙박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