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352B1 -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352B1
KR101692352B1 KR1020160104557A KR20160104557A KR101692352B1 KR 101692352 B1 KR101692352 B1 KR 101692352B1 KR 1020160104557 A KR1020160104557 A KR 1020160104557A KR 20160104557 A KR20160104557 A KR 20160104557A KR 101692352 B1 KR101692352 B1 KR 10169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unit
monitoring device
signal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호
차애영
Original Assignee
(주)성광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광유니텍 filed Critical (주)성광유니텍
Priority to KR1020160104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9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electric, magnetic, capacitive switch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91Intrusion detection systems, i.e. where the body of an intruder causes the interference with the electromagnetic fie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터와 상기 마그네터의 자력을 감지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구성하여 자력의 감지 유무에 따라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침입 이벤트 신호 및 미아 발생 이벤트 신호를 스마트기기에서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침입 발생 및 미아 발생을 확인할 수 있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고, 특히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캐릭터인형 내부에 형성하여 아이들이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쉽게 휴대하도록 하는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A character doll having multipurpose smart watching device for providing secuity function and missing child prevention function and smart watching system}
본 발명은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릭터 인형 내부에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감시 장치를 설치 구성하여 침입 이벤트 신호 및 미아 발생 이벤트 신호를 스마트기기에서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침입 발생 및 미아 발생을 확인할 수 있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무선 정보통신망이 빠르게 보급됨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향유하는 문화가 급속하게 정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정보제공 서비스도 다양한 형태로 변모되고 있다.
특히, 최근 아동, 청소년, 여성, 노인 등 사회적 약자들을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경찰이 신고자의 위치를 직접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대응책이 발표된 바 있을 정도로, 아동, 청소년 성범죄와 학교폭력의 충격성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의 경우에 보안에 취약하여 별도의 보안 장치들을 설치하게 되므로 별도의 설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사회적으로 심각한 아동 상대의 강력 범죄 등에 아동이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언제 어디서든지 범죄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CDMA/WCDMA 통신을 이용하는 미아 방지 기술은 GPS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좌표를 CDMA/WCDMA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대부분 차량용 위치추적기나 대인관제용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미아 추적 기술들의 경우에는 가격이 비싸고, 구매한 후에도 매월 데이터통화료를 납부해야만 사용할 수 있으며, 전력소모 또한 많아서 사용 시마다 매번 충전을 하거나 상시전원을 연결해야 한다.
그리고, 방범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방범 서비스에 가입하여야 가능한 것이며, 도입하기 위한 비용이 현실적으로 상당하여 보편화되기에는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미아 방지 관련된 장치들을 아동이 휴대함에 있어 불편함과 쉽게 잃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불법침입 범죄나 아동 대상 강력 범죄의 일종인 도난, 강도, 유괴, 미아 발생을 감시하고 아동이 미아 방지 장치를 손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미아방지장치와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3337호(2013.04.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마그네터와 마그네터의 자력을 감지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구성하여 자력의 감지 유무에 따라 보안 모드를 수행하여 침입 발생시 스마트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침입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마그네터와 분리하여 아이에게 소지하도록 하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는 미아모드로 전환되어 부모의 스마트기기와 실시간 근거리 통신을 통해 미아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보안모드중계기를 구성하여 스마트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하면, 외출로 판단하고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외출 모드로 전환하고 이벤트신호 수신수단을 보안모드중계기로 변경하고 침입 이벤트 신호를 획득하면 해당 침입 이벤트 신호를 중계기를 경유해 외부에 위치한 스마트기기로 송출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에 사진촬영버튼부와 비상상황알람버튼부와 미아위치정보생성부를 구성하여 사진촬영버튼부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사진 촬영을 일정 거리에서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아이와 근거리에 존재하더라도 아이가 비상상황알람버튼부를 통해 비상상황 발생을 부모에게 알릴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아 발생시 미아의 위치정보를 수시로 관공서등에 제공함으로 미아의 위치 파악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캐릭터인형 내부에 형성함으로 아동이 부담없이 손쉽게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은,
출입문, 창문, 방범창 등에 설치 구성되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에 자력을 제공하기 위한 마그네터(200)와;
상기 마그네터(200)의 자력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틱센서(110)와,
스마트기기(300)로 체크신호를 송신하거나 스마트기기로부터 체크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체크신호송수신부(115)와,
마그네터(1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300)의 체크신호가 감지되면 활성화 되고, 활성화 상태에서 일정시간 △T1 동안 자력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 침입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침입 이벤트 신호를 스마트기기(300)로 제공하는 보안모드수행부(120)와,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체크신호가 감지되고 마그네터(100)의 자력이 일정 시간 △T2 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활성화 되고, 활성화 상태에서 스마트기기(3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상호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체크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크신호를 발생시켜 스마트기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미아방지모드수행부 (13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각 구성수단들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침입 이벤트 신호를 획득하면, 불법 침입 알람을 출력하는 불법침입알람출력부(31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체크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미아발생 알람을 출력하는 미아발생알람출력부(32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체크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미아발생위치정보생성부(330)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300)와;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부에 내장 형성되는 캐릭터 인형(500)을 포함하며,
상기 일정 시간 △T2는 일정시간 △T1 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을 통해, 마그네터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설치 구성하여 자력의 감지 유무에 따라 보안 모드를 수행하여 침입 발생시 스마트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침입 사실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동시에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마그네터와 분리하여 아이에게 소지하도록 하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는 미아모드로 전환되어 스마트기기와 실시간 근거리 통신을 통해 미아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보안모드중계기를 구성하여 보안모드중계기와 스마트기기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가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하면, 외출로 판단하여 이벤트신호 수신수단을 보안모드중계기로 변경하고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외출 모드로 전환시킨 후,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에서 침입 이벤트 신호를 보안모드중계기가 획득하면 해당 침입 이벤트 신호를 외부에 위치한 스마트기기로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어디서든지 현재 보안 상태를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에 사진촬영버튼부와 비상상황알람버튼부와 미아위치정보생성부를 구성하여 사진촬영버튼부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사진 촬영을 일정 거리에서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아이와 근거리에 존재하더라도 아이가 비상상황알람버튼부를 통해 비상상황 발생을 부모에게 알릴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아 발생시 미아의 위치정보를 수시로 관공서등에 제공함으로 미아의 위치 파악을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캐릭터인형 내부에 형성함으로 아동이 부담없이 손쉽게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휴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의 마그네터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가 내장 형성된 캐릭터인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에 구성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에 구성되는 스마트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가 내장 형성된 캐릭터인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의 마그네터(2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 형성된 캐릭터인형(50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 마그네터(200), 스마트기기(300),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를 내장하는 캐릭터인형(500)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 마그네터(200), 스마트기기(300),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를 내장하는 캐릭터인형(500), 보안모드중계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 형성되는 캐릭터인형(500)은 두 가지 용도로 사용되어 진다.
하나는 불법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기능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미아방지기능을 위한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캐릭터인형을 실내 특정위치에 설치하는 경우이고, 후자는 캐릭터인형을 소지하고 아이가 부모와 함께 외출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마그네터(2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 형성되는 캐릭터인형(500)은 불법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지점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불법침입은 출입문, 창문, 방범창 등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마그네터(200)는 출입문, 창문, 방범창 등에 설치되고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 형성되는 캐릭터인형(500)은 상기 마그네터(200)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터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이격 위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인형(500)에 내장 형성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자력감지 여부와 체크신호 감지 여부에 따라 보안 모드, 미아방지 모드, 외출 모드를 수행한다.
즉, 마그네터(2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300)의 체크신호가 감지되면 보안 모드를 수행하고, 마그네터(2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300)의 체크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외출 모드를 수행하고, 마그네터(200)의 자력이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미아방지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마그네터(2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가 감지되는 공간인 실내에서는 보안 모드로 작동한다.
상기 보안 모드 작동 중 사용자가 스마트기기(300)를 들고 외부로 외출하는 경우에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마그네터(200)의 자력은 감지되나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는 감지되지 않게 되며, 이 경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외출 모드로 작동된다.
그리고 사용자(부모)와 아동이 캐릭터인형(500)(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되어 있음)을 들고 외출하는 경우에는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는 감지되나 마그네터(200)의 자력은 감지하지 못하게 되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미아방지 모드로 작동된다.
특히, 상기 미아방지 모드의 경우, 사용자가 없는 집안에는 또 다른 제2의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마그네터(200) 주변에 설치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불법침입에 대한 보안 모드나 외출모드를 수행해야할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200)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캐릭터인형
(50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마그네틱센서(110), 체크신호송수신부(115), 보안모드수행부(120), 미아방지모드수행부(130), 외출모드수행부(140), 전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센서(110)는 마그네터(200)의 자력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며, 상기 체크신호송수신부(115)는 스마트기기(300)와의 체크신호 송수신을 위해 형성된다. 상기에서 스마트기기와의 체크신호 송수신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보안모드수행부(120)는 마그네터(1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가 감지되면 활성화 된다.
상기 보안모드수행부(120)의 활성화 상태에서 마그네틱센서(110)가 일정시간인 △T1 동안 자력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 상기 보안모드수행부(120)는 침입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침입 이벤트 신호를 스마트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은 체크신호송수신부(115)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일정시간인 △T1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시간 값으로 5초 이내가 바람직하다.
즉, 마그네터(1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보안모드수행부(120)는 활성화 되어 보안 모드를 수행하고 있다가, 침입 등으로 출입문, 창문, 방범창 등이 열림으로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와 마그네터가 일정거리 이상 이격 되면(자력 감지 범위 이상 이격 되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의 자력 감지 범위를 마그네터가 벗어나게 된다. 이 경우 보안모드수행부(120)는 불법침입으로 판단하고 침입 이벤트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기기로 제공한다.
상기 외출모드수행부(140)는 마그네터(2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활성화 된다. 즉, 외출모드수행부(140)가 활성화 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소지하고 외부로 외출한 경우일 것이다.
상기 외출모드수행부(140)의 활성화 상태에서 마그네틱센서(110)가 일정시간인 △T1 동안 자력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 상기 외출모드수행부(140)는 침입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침입 이벤트 신호를 보안모드중계기(400)로 전송한다. 상기 침입 이벤트 신호를 전송받은 보안모드중계기(400)는 자신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스마트기기(300)로 상기 침입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다.
외출모드수행부(140)에서 보안모드중계기(400)로의 이벤트 신호 전송은 근거리 통신방식에 의한 전송이고, 보안모드중계기(400)에서 스마트기기(400)로의 전송은 일반적인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전송일 수 있다.
상기 일정시간인 △T1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시간 값으로 5초 이내가 바람직하다.
즉, 마그네터(1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외출모드수행부(140)는 활성화 되어 외출 모드를 수행하고 있다가 침입 등으로 출입문, 창문, 방범창 등이 열림으로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와 마그네터가 일정거리 이상 이격 되면(자력 감지 범위 이상 이격 되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의 자력 감지 범위를 마그네터가 벗어나게 된다. 이 경우 외출모드수행부(140)는 불법침입으로 판단하고 침입 이벤트신호를 생성하여 보안모드중계기로 제공한다.
상기 보안모드중계기(400)에는 침입 이벤트 신호를 전송 받을 사용자 스마트기기를 등록 설정하는 스마트기기설정모듈(4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안모드중계기(400)는 사용자의 외출시를 대비한 것으로 캐릭터인형(500)에 내장 형성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와 스마트기기(300)는 근거리 통신만이 가능하다. 만일 외출로 인해 스마트기기(300)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와의 근거리통신 거리를 벗어나면 침입등의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신호를 스마트기기로 전달할 수 없다. 이 경우 외부의 스마트기기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며 이 구성이 보안모드중계기(400)인 것이다.
사용자의 외출로 외출모드 동작 중 불법 침입에 의한 이벤트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이벤트신호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에서 보안모드중계기(400)로 전달되고 보안모드중계기는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기기로 전송하게 된다. 보안모드중계기와 스마트기기와의 무선통신은 일반적인 무선통식 방식에 의한다.
그리고, 상기 보안모드중계기에는 이벤트 신호를 전송할 스마트기기의 번호를 설정 등록하기 위한 스마트기기설정모듈(410)을 구성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스마트기기설정모듈(410)을 통해 특정 전화번호를 설정 등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미아방지모드수행부(130)는 마그네터(200)의 자력이 감지되지 않고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가 감지되면 활성화 된다.
상기 미아방지모드수행부(130)가 활성화 되는 경우는 사용자(부모)와 아동이 캐릭터인형(500)(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되어 있음)을 들고 외출하는 경우이다.
사용자(부모)와 아동이 캐릭터인형(500)(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되어 있음)을 들고 외출하게 되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보안모드에서 미아방지모드로 전환된다.
즉,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가 감지되는 보안모드(실내에 사용자가 있는 경우) 상태에서 캐릭터인형(500)(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되어 있음)을 소지한 아이와 사용자(부모)가 함께 외출하게 되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에는 마그네터의 자력이 감지되지 않고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만이 감지되는 상태가 되어 상기 미아방지모드수행부(130)가 활성화 되는 것이다.
미아방지 모드로 활성화 된 미아방지모드수행부(130)는 스마트기기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가 상호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체크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체크신호는 체크신호송수신부(115)를 통해 스마트기기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전원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150)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각 구성수단들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릭터인형(500)에 내장 형성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자력과 체크신호가 모두 감지되는 경우(사용자가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안모드로 동작한다. 보안모드로 동작중에 자력은 감지되나 체크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들고 외출하는 경우)에는 외출모드로 동작한다. 보안모드로 동작중에 체크신호는 감지되나 자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된 캐릭터인형을 소지하고 부모와 아이가 외출하는 경우) 미아방지모드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캐릭터인형(500)에 내장 형성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보안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보안모드수행부(120)는 마그네터(2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300)의 체크신호가 감지되면 보안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 된다.
상기 마그네터(200)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로 자력을 제공하게 되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마그네틱센서(110)는 자력 감지 범위 내에 존재하는 마그네터에서 제공하는 자력을 감지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일정거리(10cm 이내가 바람직하나 마그네터의 자력 세기에 따라 변경 가능한 거리)이내에 마그네터가 위치하면 자력을 감지하게 된다.
불법침입에 의해 출입문,창문,방범창 등이 열리게 되면 캐릭터인형(500)에 내장된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자력감지 범위를 마그네터가 벗어나게 되고, 일정시간인 △T1 동안 자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침입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예들 들어, 마그네터(200)의 자력이 감지되는 상태에서 불법침입에 의해 출입문,창문,방범창 등이 열리게 되면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자력 감지범위 이상으로 마그네터(200)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자력을 감지하지 못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불법침입 상황으로 판단하여 보안모드수행부(120)는 침입 이벤트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일정시간인 △T1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한 시간 값으로 5초 이내가 바람직하다.
부연 설명하자면, 마그네터(2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거리에 위치하게 되고,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마그네터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지면 즉, 자력이 일정시간인 △T1 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보안모드수행부(120)는 즉시 침입 이벤트신호를 생성하고 스마트기기(300)로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여 불법 침입을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벤트 신호를 수신받은 스마트기기(300)는 설정 상태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알람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며, 알람 지속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기기에는 알람지속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창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0초, 1분, 5분, 10분, 계속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설정창을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되, 상기 설정은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어플을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미아방지 모드(부모가 캐릭터인형을 소지한 아이와 함께 외출하는 경우)로 동작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미아방지모드수행부(130)는 마그네터(200)의 자력이 감지되지 않고, 스마트기기(300)의 체크신호가 감지되면 미아방지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 된다.
상술한 보안모드 동작중에, 외출등으로 마그네터(200)와 캐릭터인형(500)(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 형성되어 있음)이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게 되면일정시간인 △T2 동안 자력이 감지되지 않게 되지만,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는 감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캐릭터인형(500) 내부에 내장 형성된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보안모드수행부(120)는 일정시간인 △T1 동안 자력이 감지되지 않게 되어 최초 1회 이벤트 신호를 스마트기기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에서 △T2 ≫△T1 인 특징을 갖는 시간 값이다.
이때, 사용자(부모)는 이미 알고 있는 상황(불법침입이 아닌 외출상황임을 알고 있는 상황)이어서 최초 1회 침입 이벤트 신호를 무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벤트 신호 전송 후,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는 감지되나(부모의 스마트기기와 캐릭터인형은 상호 인접한 위치에 있기 때문)일정시간인 △T2 동안 자력이 감지되지 않아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미아방지모드수행부(130)는 자동으로 활성화 되어 미아방지 모드가 동작되는 것이다.
즉, 부모가 캐릭터인형(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가 내장됨)을 소지한 아이와 함께 외출하게 되는 상황이어서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는 마그네터(200)의 자력을 특정 시점까지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데, 상기 특정 시점이란 외출에서 돌아오는 시점일 수 있다.
상기에서 일정시간인 △T2 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한 시간 값으로 5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정시간 △T2는 사용자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된 캐릭터인형(500)을 아이의 가방이나 옷등에 소지시키고 외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반영한 시간 값이다.
미아방지 모드로 활성화 된 미아방지모드수행부(130)는 스마트기기(3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상호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체크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주기적으로 스마트기기로 체크신호를 송신하고 스마트기기로부터 체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파악한다. 상기 체크신호의 송수신은 체크신호송수신부(115)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캐릭터인형(500)에 내장 형성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터(200)의 자력 감지 여부와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 감지 여부에 따라 보안모드, 외출모드, 미아방지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의 스마트기기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300)는 불법침입알람출력부(310), 미아발생알람출력부(320), 미아발생위치정보추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300)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불법침입알람출력부(310), 미아발생알람출력부(320), 미아발생위치정보추출부(330)의 동작 수행을 지원한다.
상기 불법침입알람출력부(310)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나 보안모드중계기로부터 제공되는 침입 이벤트 신호를 획득하면, 불법 침입 알람을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불법 침입 알람이 문자메세지 형태인 경우, “침입이 발생되었습니다” 라는 문자메세지를 제공하는 것이며, 음성메세지 형태인 경우, “침입이 발생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메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추가적으로 마그네터(200)가 설치된 주변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불법 침입 알람 발생시, 스마트기기에서 카메라로 촬영 신호를 송출하여 불법 침입 현장 영상 정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제공받을 수 도 있다.
스마트기기(3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체크통신을 수행한다. 체크통신 수행 중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상으로 상호 이격되면 체크통신이 불가능해지는데, 이때 상기 미아발생알람출력부(320)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로부터 체크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미아발생알람을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미아발생 알람이 문자메세지 형태인 경우, “아이가 위험거리 이상 떨어져 있습니다” 라는 문자메세지를 제공 할 수 있으며, 음성메세지 형태인 경우, “아이가 위험거리 이상 떨어져 있습니다” 라는 음성메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미아발생알람출력부(320)는 아이가 소지한 캐릭터인형 내부에 내장된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비상상황알람신호송출부(175)로부터 비상상황알람신호를 제공 받게 되면 비상상황알람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비상상황 알람이 문자메세지 형태인 경우, “아이가 위험상황에 노출 되었습니다” 라는 문자메세지를 제공 할 수 있으며, 음성메세지 형태인 경우, “아이가 위험상황에 노출되었습니다” 라는 음성메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미아발생위치정보생성부(330)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와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해진 시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키게 된다.
즉, 미아발생위치정보생성부(330)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와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해진 시점의 위치정보를 스마트기기 내에 내장된 GPS 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시점의 위치정보를 추출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체크 통신이 불가능해진 최초 시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게 됨으로써, 추후에 아이를 잃어버린 지점에 대한 정보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사진촬영버튼부(160), 사진촬영신호송출부(165),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 비상상황알람신호송출부(175), 미아위치정보생성부(180), 미아위치정보송출부(18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진촬영버튼부(160)는 스마트기기의 사진 촬영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캐릭터인형(500) 일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사진촬영신호송출부(165)는 사진촬영버튼부(160)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면, 사진 촬영 신호를 스마트기기로 송출하여 스마트기기의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부모와 아이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된 캐릭터인형(500)을 소지하고 외출시 미아방지 기능 이외에 원격으로 스마트기기의 사진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진촬영버튼부(160)와 사진촬영신호송출부(165)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는 아이가 부모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캐릭터인형(500) 일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비상 상황이란 괴한으로부터의 유괴 상황이나 기타 다른 안전사고 발생등일 수 있다.
비상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아이는 상기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를 누르거나 터치하는 방식으로 조작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비상상황알람신호송출부(175)는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면, 스마트기기와 근거리 통신 중인지(스마트기기와 상호 체크신호를 주고 받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근거리 통신 중일 경우에 비상 상황 알람 신호를 스마트기기로 송출하여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부모에게 알리게 된다.
이때 비상상황알람신호를 수신한 부모가 소지한 스마트기기(300)에는 아이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했다는 내용의 문자 내지는 음성 메세지가 표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에 의한 조작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비상상황알람신호송출부(175)는 부모의 스마트기기로 비상상황알람신호를 송출하기도 하지만, 후술하게 될 캐릭터인형(500)에 형성되는 음성정보제공부(530)로 상기 비상상황알람신호를 제공하여 아이가 위험상황에 노출되었다는 내용의 음성메세지가 음성정보제공부(530)의 스피커부를 통해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부모와 떨어져 있는 아이에게 발생한 비상 상황을 주변 사람들이 인지하고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상기 미아위치정보생성부(180)는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체크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스마트기기(3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체크통신을 수행한다. 체크통신 수행 중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상으로 상호 이격 되면 체크통신이 불가능해지는데, 이때 상기 미아위치정보생성부(180)는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체크신호가 일정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는 미아위치정보송출부(185)를 통해 관공서나 경찰서등으로 전송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체크신호가 일정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는 아이가 부모로부터 일정거리(근거리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상 떨어지게 되어 미아가 발생한 상황이며, 이 경우 상기 미아위치정보생성부(180)와 미아위치정보송출부(185)는 미아가 발생한 시점(체크신호가 수신되지 않기 시작한 시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를 관공서나 경찰서등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아위치정보생성부(180)와 미아위치정보송출부(185)의 동작은 주기적으로 반복 실행됨으로 미아의 이동에 따른 미아의 위치정보를 연속적 생성하여 관공서나 경찰서등에 제공함으로 미아를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에는 고유식별정보가 부여되며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고유번호 등일 수 있으며 관공서나 경찰서등에 등록 저장 관리되며 상기 관공서나 경찰서등에 등록 저장시 부모의 연락정보도 함게 등록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에서 미아의 위치정보를 관공서나 경찰서등에 제공시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고유식별정보도 함께 제공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자신과 근거리 통신을 할 스마트기기를 설정 등록하는 스마트기기설정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기기설정부(190)를 통해 사용자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보안기능과 미아방지기능을 수행할 스마트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인형(500)의 내부에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장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인형(500)의 일측에는 사진촬영버튼부(160),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인형(500)의 일측에는 충전단자부(5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단자부(510)를 통해 캐릭터인형(500) 내부에 내장 형성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전원부(150)로 외부 상시전원을 공급하여 전원부(150)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동작을 필요에 따라 제한하기 위해 캐릭터인형(500) 일측에는 작동스위치부(520)가 형성된다.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동작은 필요에 따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예들 들어 보안모드 시 출입문을 통한 가족들의 일반적인 출입의 경우에도 자력이 감지되지 않아 불법침입으로 판단하여 불법침입 알람을 스마트기기로 제공한다. 따라서 보안모드를 실행시킬 필요가 없는 시간대나 상황의 경우에는 상기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동작을 필요에 따라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스위치부(520)가 캐릭터인형(500)의 일측에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스위치부(520)의 조작에 의해 전원부(150)의 전원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구성수단들로 공급되기도 하고 차단되기도 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인형(500)에는 음성정보제공부(530)가 형성된다.
상기 음성정보제공부(530)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와 스마트기기(300)의 체크통신이 불가능해지면, 부모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내용의 음성메세지를 아이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음성정보제공부(530)는 스피커와 음성멘트저장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체크신호가 일정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음성정보제공부(530)는 스피커를 통해 "부모님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요. 부모님을 찾아보세요" 등의 음성안내메세지를 아이에게 표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음성메세지를 안내받은 아이는 주의를 환기하고 부모를 찾거나 부모가 있는 곳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성멘트저장메모리에는 사용자(부모)에 의해 다양한 멘트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음성안내멘트가 표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성정보제공부(530)는 스피커와 음성멘트저장메모리 이외에 진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를 통해 안내되는 음성멘트를 듣지 못하는 아이에게 진동 등과 같은 촉각적 방법으로 자신이 부모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상기 스피커와 진동수단은 캐릭터인형(500) 외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인형(500)에는 영상촬영부(540)가 형성된다.
상기 영상촬영부(540)는 카메라와 저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로부터 조작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영상촬영부(540)는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로부터 조작신호를 획득하게 되면 카메라를 구동시켜 아이의 주변상황을 촬영하고 저장수단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는 아이가 부모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캐릭터인형(500) 일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비상 상황이란 괴한으로부터의 유괴 상황이나 기타 다른 안전사고 발생등일 수 있다.
비상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아이는 상기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를 누르거나 터치하는 방식으로 조작신호를 발생시키케 되고,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의 조작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상황알람신호는 부모의 스마트기기로 전달되고 부모의 스마트기기에는 아이에게 비상상황이 발생 했음을 알리는 음성이나 문자 메세시 형식의 알람이 표시된다.
동시에 상기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의 조작신호는 영상촬영부(540)로도 전달되어 카메라를 구동시켜 아이 주변의 비상 상황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상기 영상은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나중에 아이에게 발생한 비상 상황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되어 진다.
또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영상정보는 관공서나 경찰서등으로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종래의 미아방지장치들의 디자인이나 성능은 아이가 친밀성을 갖기에 한계가 있어 아이가 외출시마다 신경 써서 휴대하기란 용이치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를 캐릭터인형(500) 내부에 내장 형성하고, 보안이나 미아방지 기능 이외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버튼부, 스피커, 진동수단 등을 캐릭터인형에 형성함으로 아이가 부모와 함께 외출시 악세사리로 사용할 수 있어 휴대의 간편성과 용이성이 향상되고, 집에 돌아와서는 마그네터(200) 주변에 위치시킴으로 보안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어 다목적용 스마트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
200 : 마그네터
300 : 스마트기기
400 : 보안모드중계기
500 : 캐릭터인형

Claims (15)

  1. 보안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문, 창문, 방범창 등에 설치 구성되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에 자력을 제공하기 위한 마그네터(200)와;
    상기 마그네터(200)의 자력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틱센서(110)와,
    스마트기기(300)로 체크신호를 송신하거나 스마트기기로부터 체크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체크신호송수신부(115)와,
    마그네터(1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300)의 체크신호가 감지되면 활성화 되고, 활성화 상태에서 일정시간 △T1 동안 자력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 침입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침입 이벤트 신호를 스마트기기(300)로 제공하는 보안모드수행부(120)와,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체크신호가 감지되고 마그네터(100)의 자력이 일정 시간 △T2 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활성화 되고, 활성화 상태에서 스마트기기(3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상호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체크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크신호를 발생시켜 스마트기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미아방지모드수행부 (13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각 구성수단들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침입 이벤트 신호를 획득하면, 불법 침입 알람을 출력하는 불법침입알람출력부(31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체크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미아발생 알람을 출력하는 미아발생알람출력부(32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체크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미아발생위치정보생성부(330)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300)와;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부에 내장 형성되는 캐릭터 인형(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2. 보안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문, 창문, 방범창 등에 설치 구성되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에 자력을 제공하기 위한 마그네터(200)와;
    상기 마그네터(200)의 자력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틱센서(110)와,
    스마트기기(300)로 체크신호를 송신하거나 스마트기기로부터 체크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체크신호송수신부(115)와,
    마그네터(1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300)의 체크신호가 감지되면 활성화 되고, 활성화 상태에서 일정시간 △T1 동안 자력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 침입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침입 이벤트 신호를 스마트기기(300)로 제공하는 보안모드수행부(120)와,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체크신호가 감지되고 마그네터(100)의 자력이 일정 시간 △T2 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활성화 되고, 활성화 상태에서 스마트기기(3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상호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체크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크신호를 발생시켜 스마트기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미아방지모드수행부 (130)와,
    마그네터(2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활성화 되고, 활성화 상태에서 마그네틱센서(110)가 일정시간 △T1 동안 자력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 침입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침입 이벤트 신호를 보안모드중계기(400)로 전송하는 외출모드수행부(14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각 구성수단들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침입 이벤트 신호를 획득하면, 불법 침입 알람을 출력하는 불법침입알람출력부(31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체크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미아발생 알람을 출력하는 미아발생알람출력부(32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체크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해진 시점의 위치정보를 추출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미아발생위치정보생성부(330)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300)와;
    외출모드수행부(140)로부터 침입 이벤트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침입 이벤트신호를 스마트기기(300)로 전송하는 보안모드중계기(400)와;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부에 내장 형성되는 캐릭터 인형(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사진 촬영을 위해 캐릭터인형(500)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사진촬영버튼부(160)와,
    상기 사진촬영버튼부(160)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면, 사진 촬영 신호를 스마트기기로 송출하여 스마트기기가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진촬영신호송출부(16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해 캐릭터인형(500)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와,
    상기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면, 스마트기기와 근거리 통신 중인지를 판단하여 근거리 통신 중일 경우에 비상상황알람신호를 스마트기기(300)로 송출하는 비상상황알람신호송출부(1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300)의 미아발생알람출력부(320)는 비상상황알람신호송출부(175)로부터 비상상황알람신호를 수신하면 비상상황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상기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체크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미아위치정보생성부(180)와,
    상기 미아위치정보생성부(180)에서 생성된 위치정보를 관공서나 경찰서로 전송하는 미아위치정보전송부(185)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아위치정보생성부(180)와 미아위치정보전송부(185)의 동작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근거리통신 할 스마트기기(300)를 설정등록하기 위한 스마트기기설정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모드중계기(400)는 침입 이벤트신호를 전송할 스마트기기(300)를 설정등록하기 위한 스마트기기설정모듈(4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8.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에 있어서,
    마그네터(200)의 자력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틱센서(110)와,
    스마트기기(300)로 체크신호를 송신하거나 스마트기기로부터 체크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체크신호송수신부(115)와,
    마그네터(1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300)의 체크신호가 감지되면 활성화 되고, 활성화 상태에서 일정시간 △T1 동안 자력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 침입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침입 이벤트 신호를 스마트기기(300)로 제공하는 보안모드수행부(120)와,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체크신호가 감지되고 마그네터(100)의 자력이 일정 시간 △T2 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활성화 되고, 활성화 상태에서 스마트기기(30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상호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체크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크신호를 발생시켜 스마트기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미아방지모드수행부 (130)와,
    마그네터(200)의 자력이 감지되고 스마트기기의 체크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활성화 되고, 활성화 상태에서 마그네틱센서(110)가 일정시간 △T1 동안 자력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 침입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침입 이벤트 신호를 보안모드중계기(400)로 전송하는 외출모드수행부(140)와,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의 각 구성수단들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가 내부에 내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사진 촬영을 위해 캐릭터인형(500)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사진촬영버튼부(160)와,
    상기 사진촬영버튼부(160)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면, 사진 촬영 신호를 스마트기기로 송출하여 스마트기기가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진촬영신호송출부(16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해 캐릭터인형(500)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와,
    상기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면, 스마트기기와 근거리 통신 중인지를 판단하여 근거리 통신 중일 경우에 비상 상황 알람 신호를 스마트기기로 송출하는 비상상황알람신호송출부(1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상기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체크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미아위치정보생성부(180)와,
    상기 미아위치정보생성부(180)에서 생성된 위치정보를 관공서나 경찰서로 전송하는 미아위치정보전송부(185)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아위치정보생성부(180)와 미아위치정보전송부(185)의 동작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는 근거리통신 할 스마트기기를 설정등록하기 위한 스마트기기설정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인형에는 전원부(150)의 전원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부(52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인형에는 다목적스마트감시장치(100)와 스마트기기(300)의 체크통신이 불가능해지면, 부모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내용의 음성메세지를 아이에게 제공하기 위해 스피커와 음성멘트저장메모리를 포함하는 음성정보제공부(5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인형에는 상기 비상상황알람버튼부(170)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아이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54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영상촬영부(540)는 카메라와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









KR1020160104557A 2016-08-17 2016-08-17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KR10169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57A KR101692352B1 (ko) 2016-08-17 2016-08-17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57A KR101692352B1 (ko) 2016-08-17 2016-08-17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352B1 true KR101692352B1 (ko) 2017-01-03

Family

ID=5779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557A KR101692352B1 (ko) 2016-08-17 2016-08-17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3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966B1 (ko) * 2017-05-31 2018-04-03 주식회사 스토리메이커 스마트 토이 시스템
CN109951809A (zh) * 2019-03-29 2019-06-28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用户状态提醒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676B1 (ko) * 2012-08-27 2013-04-09 윤준호 방범용 알에프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3337B1 (ko) 2012-12-21 2013-04-10 이준하 위치확인이 가능한 미아방지 시스템
KR101426732B1 (ko) * 2014-01-27 2014-08-05 (주)한국전자기술 유괴 및 미아방지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시스템
KR20150122399A (ko) * 2014-04-23 2015-11-02 (주)엘지하우시스 방범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50303A (ko) * 2014-10-29 2016-05-11 (주)에스엔케이 침입감지를 위한 자기장 신호분리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676B1 (ko) * 2012-08-27 2013-04-09 윤준호 방범용 알에프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3337B1 (ko) 2012-12-21 2013-04-10 이준하 위치확인이 가능한 미아방지 시스템
KR101426732B1 (ko) * 2014-01-27 2014-08-05 (주)한국전자기술 유괴 및 미아방지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시스템
KR20150122399A (ko) * 2014-04-23 2015-11-02 (주)엘지하우시스 방범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50303A (ko) * 2014-10-29 2016-05-11 (주)에스엔케이 침입감지를 위한 자기장 신호분리 및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966B1 (ko) * 2017-05-31 2018-04-03 주식회사 스토리메이커 스마트 토이 시스템
CN109951809A (zh) * 2019-03-29 2019-06-28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用户状态提醒方法、装置及设备
CN109951809B (zh) * 2019-03-29 2021-01-08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用户状态提醒方法、装置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2390B1 (en) Mobile device utilizing time of flight for personal security and localization
JP4668014B2 (ja) 防犯状況通知装置、防犯状況通知方法、および防犯状況通知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202828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 distress signal from a mobile device without requiring focused visual attention from a user
KR101486402B1 (ko)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KR101459104B1 (ko) 동작분석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감지방법
JP2004362252A (ja) 機械警備システム、制御装置、リモート報知器、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6549685A (zh) 与家庭安全系统监视服务通信的便携式安全设备
JP2000040196A (ja) 携帯機器を使用し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993887B1 (ko)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안전관리 시스템
WO2016132492A1 (ja) 徘徊通知サーバ及び徘徊通知システム
KR101692352B1 (ko)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KR101440543B1 (ko) 미아 발생 예방방법
JP2008146683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制御ノード、固定ノード、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300596B1 (ko) 원패스 비상호출 시스템
US9761120B2 (en)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0483108Y1 (ko)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KR101267094B1 (ko) 도난 방지를 위한 봉인 시스템
KR101662059B1 (ko)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KR101878309B1 (ko)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JP6081502B2 (ja) 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防犯システム
JP2005311995A (ja) 異常・緊急事態検知手段としての携帯電話機
JP2014021637A (ja) 報知システム及び報知方法
GB2407937A (en) Position locating system
KR20160050633A (ko) 블루투스의 브로드캐스팅방식을 이용한 분실방지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실방지시스템
JP201113549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