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08Y1 -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3108Y1 KR200483108Y1 KR2020160004932U KR20160004932U KR200483108Y1 KR 200483108 Y1 KR200483108 Y1 KR 200483108Y1 KR 2020160004932 U KR2020160004932 U KR 2020160004932U KR 20160004932 U KR20160004932 U KR 20160004932U KR 200483108 Y1 KR200483108 Y1 KR 2004831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information
- contact person
- terminal
- application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27—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transmitter-receiver for distance detec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04M1/72519—
-
- H04W4/008—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휴대 단말의 분실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알람을 제공하여 사전에 휴대 단말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지원하고, 부주의나 도난에 의해 휴대 단말을 분실한 경우 휴대 단말을 용이하게 찾아 회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 단말의 분실이 우려되는 상황시 사용자에게 사전 통지하여 휴대 단말의 분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부주의나 도난에 의한 휴대 단말의 분실시 휴대 단말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 단말에 대한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휴대 단말의 분실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알람을 제공하여 사전에 휴대 단말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지원하고, 부주의나 도난에 의해 휴대 단말을 분실한 경우 휴대 단말을 용이하게 찾아 회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 단말이 일반 사용자들에게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이러한 휴대 단말은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소지품이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 단말은 휴대 가능한 특성상 분실 우려가 높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분실 방지 기술의 일례로서,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서버에 등록한 후 해당 휴대 단말이 분실된 경우 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분실된 휴대 단말에 대한 식별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면, 서버에서 상기 휴대 단말을 도난 상태로 전환한 후 해당 휴대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타 사용자 단말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휴대 단말의 분실 사후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뿐 휴대 단말의 분실이 우려되는 상황을 사전에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통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휴대 단말의 분실을 사전에 예방하기 어려운 구성이다.
또한, 종래 기술은 휴대 단말이 사용자의 부주의나 도난에 의해 분실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을 습득한 범죄자가 휴대 단말의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휴대 단말을 더 이상 찾기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의 분실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휴대 단말의 분실이 발생하기 이전에 사용자에게 사전 통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의 분실시 휴대 단말의 전원 차단을 방지하여 휴대 단말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휴대 단말의 분실이 우려되는 상황시 사용자에게 사전 통지하여 휴대 단말의 분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부주의나 도난에 의한 휴대 단말의 분실시 휴대 단말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 단말에 대한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 단말을 분실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분실 단말에 대한 대리 회수 서비스를 제공하되, 분실 단말을 대리 회수하는 담당자를 분실 단말을 습득한 습득자가 용이하게 인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분실 단말의 안전한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앱세서리 장치와, 상기 휴대 단말에 구성되어 상기 앱세서리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보호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보호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시 분실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분실모드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웹페이지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회수 요청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회수하는 담당자별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에 따른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담당자를 지정하고, 해당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로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지정 담당자의 인증을 위해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지정 담당자에 대한 미리 저장된 담당자 정보를 전송하는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보호 모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전원 차단 또는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을 위한 동작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제어 정보 수신시 상기 분실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보호 모드 동작시 상기 휴대 단말을 미리 설정된 잠금 암호로 잠금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보호 모드 동작시 상기 잠금 암호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입력에 따른 입력코드와 미리 설정된 잠금 암호가 동일한 경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분실 모드 동작시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측정된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의 카메라부 및 마이크부와 연동하여 생성한 영상 정보 및 음향정보를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위치정보와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를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담당자 정보 수신시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담당자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담당자 정보는 상기 지정 담당자의 사진, 성명,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담당자 단말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부로 상기 지정 담당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담당자 단말의 위치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담당자 단말이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지정 담당자의 휴대 단말에 대한 회수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회수 완료 여부에 대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미리 설정된 AP와 통신을 통해 상기 AP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분실 우려가 없는 안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시에도 상기 보호 모드 및 분실 모드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은 상기 휴대 단말에 구성되며, 미리 설정된 동작신호의 수신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른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또는 외부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한 경우 분실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분실모드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웹페이지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회수 요청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회수하는 담당자별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에 따른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담당자를 지정하고, 해당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로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지정 담당자의 인증을 위해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지정 담당자에 대한 미리 저장된 담당자 정보를 전송하는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휴대 단말의 분실이 우려되는 상황시 사용자에게 사전 통지하여 휴대 단말의 분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부주의나 도난에 의한 휴대 단말의 분실시 휴대 단말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 단말에 대한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 단말의 분실시에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통해 휴대 단말을 편리하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가 분실한 휴대 단말을 사용자를 대신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해당 휴대 단말을 습득한 습득자가 상기 휴대 단말을 대리 회수하는 담당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분실된 휴대 단말에 대한 안전한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은 휴대 단말 분실시 분실된 휴대 단말로부터 음향정보와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가 지정된 주소로 자동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휴대 단말에 대한 고의적인 도난을 방지하고 범죄자를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부의 분실 모드 전환에 따른 동작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 및 앱세서리 장치의 동작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의 분실된 휴대 단말에 대한 회수 과정을 나타낸 동작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앱세서리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부의 분실 모드 전환에 따른 동작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 및 앱세서리 장치의 동작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의 분실된 휴대 단말에 대한 회수 과정을 나타낸 동작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앱세서리 장치의 구성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에 대한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과 근거리 통신하는 앱세서리(Appcessory) 장치(10)와, 휴대 단말(100)에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부 및 상기 휴대 단말(10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100)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를 포함하며,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휴대 단말(100)과 NFC 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로 초기화되어 상기 휴대 단말(100)의 분실 방지를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 가능하거나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밴드, 열쇠고리, 팔찌, 카드, 목걸이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NFC 통신을 통해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를 인식하고, 상기 NFC 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앱세서리 장치(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앱세서리 장치(10)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와 BLE 통신을 통해 상호 근거리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100)에 구성되는 통신부, 입력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부, 센서부, 저장부, 디스플레이부, 출력부, 카메라부, 마이크(microphone)부 등과 같은 상기 휴대 단말(100)의 다양한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구성되거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휴대 단말(100)의 저장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본 고안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앱세서리 장치(1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100)의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을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고안에서 설명하는 통신망은 널리 알려진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상기 BLE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와 통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100)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알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앱세서리 장치(10)와 휴대 단말(100)은 상기 NFC, BLE 이외에도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알람 신호는 음향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사용자의 부주의나 타인의 도난에 의해 휴대 단말(100)의 분실이 우려되는 상황 발생시 알람신호를 출력하여 휴대 단말(100)의 분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100)을 통해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인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시 휴대 단말(100)이 분실된 것으로 판단하여 분실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분실 모드 전환시 상기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현재 위치에 따른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를 대리하여 분실된 휴대 단말(100)을 회수하는 복수의 담당자 각각이 소지한 담당자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담당자 단말(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100)의 분실에 따른 회수 요청을 수신시 상기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상기 각 담당자 단말(300)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담당자를 지정하여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300)로 상기 휴대 단말(100)에 대한 단말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100)을 지정 담당자가 회수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은 휴대 단말(100)의 분실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여 휴대 단말(100)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하는 동시에 휴대 단말(100)이 분실된 상태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100)을 회수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이하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상세 동작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분실 방지 시스템의 동작 개념도로서,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상기 휴대 단말(100)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100)과의 거리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알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10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도난이나 사용자의 부주의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100)과 앱세서리 장치(10)의 근거리 통신 연결에 따른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100)의 분실이 우려되는 상태로 판단하여 보호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 모드 동작시 휴대 단말(100)을 미리 설정된 잠금암호로 잠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보호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100)이 분실 상태인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보호 모드에서 상기 휴대 단말(100)의 무단 사용 및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분실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분실 모드 전환시에도 보호 모드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보호 모드에서 상기 휴대 단말(100)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100)의 전원 차단(전원 OFF) 또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사용을 위한 동작 신호 수신시 미리 설정된 잠금암호를 질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증 관련 인터페이스를 상기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휴대 단말(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외부 입력)을 기초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입력코드와 미리 설정된 상기 잠금암호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입력코드와 잠금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다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코드와 잠금암호의 비교시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입력코드의 반복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100)이 도난 상태인 것으로 자동 판단하고 분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보호모드에서 상기 동작 신호 수신시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잠금암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분실 상태로 판단하여 분실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분실모드로 전환시 상기 휴대 단말(100)에 구성된 카메라부를 활성화한 후 상기 카메라부와 연동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주변 상황을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휴대 단말(100)에 구성된 GPS부와 연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분실모드로 전환시 상기 휴대 단말(100)에 구성된 마이크부와 연동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주변 음향을 기초로 음향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100)을 소지한 사람의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100)을 통해 미리 설정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상기 음향정보와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위치정보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클라우드(Cloud)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등록된 계정에 대한 계정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분실 모드 전환시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와 음향정보를 상기 클라우드(cloud) 서버의 계정정보에 따라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의 계정정보에 대응되는 웹페이지(web page)에 상기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와 음향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계정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와 음향정보를 DB(201)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음향정보,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와 함께 상기 계정정보 또는 상기 계정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계정정보 또는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웹페이지에 상기 음향정보와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음향정보와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이메일(E-mail) 주소에 따라 이메일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상기 위치정보만을 상기 이메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별도의 단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100)을 분실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제어 정보 수신시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제어 정보 수신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을 분실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분실 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음향정보와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 또는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은 휴대 단말(100)을 분실한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음향정보와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분실한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100)을 습득한 범죄자의 휴대 단말(100)에 대한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앱세서리 장치(10)와 관계없이 상기 동작 신호의 수신시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입력코드와 미리 설정된 잠금암호를 상호 비교하고 비교시마다 횟수를 카운트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 상기 입력코드와 잠금암호가 상호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인터페이스의 출력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잠금암호에 대응되는 입력코드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실패시 또는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상기 분실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정보 수신시 상기 보호모드로의 전환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바로 상기 분실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앱세서리 장치(10)와의 통신에 따른 상기 보호모드 전환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바로 분실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상기 분실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하거나, 상기 음향정보 및 영상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동작 신호 수신시에 상기 휴대 단말(100)을 잠금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분실 모드로 전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앱세서리 장치(1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앱세서리 장치(10)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보호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휴대 단말(100)의 출력부를 통해 알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보호 모드 실행시 상기 보호 모드 및 분실 모드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항상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보호 모드 실행 시점부터 상기 휴대 단말(100)을 사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거나 상기 전원 차단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코드와 잠금암호를 비교하여 상술한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보호 모드 또는 상기 분실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상기 잠금암호와 일치하는(동일한) 상기 입력코드가 수신되거나 상기 앱세서리 장치(10)와의 측정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앱세서리 장치(10)와 NFC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보호 모드 또는 분실 모드를 해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100)에 구성된 센서부의 각종 센서와 연동하여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 또는 충격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시 상기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미리 설정된 공간에 대한 지점별 지자기 패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100)과의 BLE 통신 두절시 상기 휴대 단말(100)의 최근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상기 휴대 단말(100)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부,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한 센서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BLE 통신을 통한 상기 휴대 단말(100)의 최근 위치와 상기 지점별 지자기 패턴 관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상기 휴대 단말(100)과 통신 범위를 벗어나 BLE 통신이 두절(단절)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100)의 최근 위치를 파악(식별)하여 저장하고, 상기 앱세서리 장치(10)의 센서부를 통해 주변의 지자기 패턴을 측정한 후 미리 저장된 상기 지점별 지자기 패턴과 비교하여 현재 지점(위치)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휴대 단말(100)의 최근 위치에 대한 방향을 연산하여 해당 방향에 따른 방향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앱세서리 장치(10)의 표시부를 통해 상기 방향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앱세서리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한 추적 모드 전환시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 및 휴대 단말(100)의 최근 위치를 기초로 방향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100)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로 사용자를 안내하여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의 최근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100)과의 BLE 통신 재연결시 상기 BLE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100)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 거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측정 거리에 따라 알람신호의 출력 패턴을 변경하여 상기 휴대 단말(100)과의 거리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상기 휴대 단말(100)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음향신호로 구성되는 알람신호의 주파수 또는 음량을 높이고, 상기 휴대 단말(100)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주파수 또는 음량을 낮추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10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0)는 휴대 단말(100)이 분실되더라도 문제가 없는 댁내나 회사 내에 휴대 단말(100)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알람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여 알람신호의 지속적인 출력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10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미리 설정된 WIFI AP(Access Point)(400)와 통신을 통해 상기 WIFI AP(400)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분실 우려가 없는 안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앱세서리 장치(10)와 BLE 통신이 두절될 때 상기 안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알람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시에도 상기 보호 모드 또는 분실 모드를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상기 휴대 단말(10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0)와의 통신을 통해 안전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최근 위치가 안전 지역 내에 있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100)과의 근거리 통신이 두절된 경우라도 알람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은 분실이 우려되지 않는 지역에 휴대 단말(100)이 위치하는 경우 알람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동작함으로써 알람신호의 출력에 따른 사용자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휴대 단말(100)을 분실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담당자를 지정하여 해당 담당자가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을 사용자 대신 안전하게 회수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를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분실모드 전환에 따른 위치정보 및 계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DB(201)에서 상기 계정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저장된 단말정보에 상기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DB(201)에 누적 저장하거나 기존 위치정보를 지속 갱신할 수 있으며, 지속 갱신되는 위치정보 또는 상기 DB(201)에 누적 저장된 복수의 위치정보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이동정보(경로정보)를 상기 웹 페이지에 등록하여 사용자가 분실된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계정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생성된 웹페이지에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현재 위치를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시 상기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웹페이지에 등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가 다른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한 후 상기 웹 페이지에 등록된 음향정보와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분실된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 및 분실된 휴대 단말(100)이 전송한 영상 및 음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분실된 휴대 단말(100)을 회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휴대 단말(100)을 훔치거나 무단 사용하고자 하는 범죄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분실된 휴대 단말(100)을 사용자 대신 회수하는 회수 서비스에 대한 요청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요청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회수 서비스 요청시 휴대 단말(100)을 대리 회수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담당자 각각에 대응되는 담당자 단말(30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담당자 단말(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 후 담당자별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분실 모드로 전환된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담당자별 현재 위치를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담당자를 지정 담당자로 선택(지정)한 후 상기 사용자의 계정정보에 매칭하여 미리 저장된 상기 지정 담당자에 대한 담당자 정보를 DB(201)에 설정하고, 상기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300)로 상기 DB(201)에 상기 계정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저장된 단말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지정 담당자 선택(배정)시 분실된 상기 휴대 단말(100)을 습득한 습득자가 상기 휴대 단말(100)이 회수 예정임을 알 수 있도록 알림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알림 정보 전송시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분실된 휴대 단말(100)을 습득한 습득자가 상기 휴대 단말(100)을 지정 담당자에게 반환할 때 상기 지정 담당자가 상기 휴대 단말(100)에 대한 회수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상기 습득자가 알 수 있도록 상기 회수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습득자에 의한 지정 담당자의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분실된 휴대 단말(100)을 회수하는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300)로 상기 휴대 단말(100)에 대응되는 단말정보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지정 담당자가 상기 휴대 단말(100)을 습득한 습득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휴대 단말(100)로부터 위치정보 수신시마다 해당 위치정보를 상기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기종, 전화번호,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정 담당자는 상기 담당자 단말(300)을 통해 표시되는 휴대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휴대 단말(100)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습득자와 대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습득자가 습득한 상기 분실된 휴대 단말(100)로 상기 지정 담당자를 대면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지정 담당자에 대한 담당자 정보 및 상기 지정 담당자의 일회성 인증을 위한 인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담당자 정보는 담당자의 사진, 성명,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상기 인증정보 수신시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지정 담당자가 상기 분실된 휴대 단말(100)의 회수 권한이 있음을 증명하기 위한 일회성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와 동일한 인증 코드를 상기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습득자는 상기 휴대 단말(100)에 표시된 담당자 정보에 따른 담당자의 사진이나 상기 인증코드를 기초로 상기 지정 담당자를 대면하여 인증할 수 있으며, 인증된 지정 담당자에 대해 상기 휴대 단말(100)을 안전하게 반환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담당자 단말(300)로부터 인증정보의 송신에 대한 인증 요청정보 수신시에 상기 습득자가 보관 중인 상기 분실된 휴대 단말(100)로 상기 인증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증 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인증 코드를 상기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상기 지정 담당자와 습득자가 대면할 때 상기 인증 코드를 기초로 습득자에 의한 지정 담당자의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300)로부터 상기 분실된 휴대 단말(100)의 회수 여부에 대한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결과 정보 수신시 상기 결과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계정정보에 따른 웹페이지에 상기 결과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분실된 휴대 단말(100)의 회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한편,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와 상기 분실된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분실된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상기 지정 담당자가 위치하거나 상기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지정 담당자의 상기 휴대 단말(100)에 대한 회수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자체적으로 결과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결과정보를 상기 웹 페이지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정 담당자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상기 분실된 휴대 단말(100)을 회수하는 지정 담당자가 상기 분실된 휴대 단말(100)을 횡령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분실된 휴대 단말(100)에 대한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분실한 휴대 단말(100)을 사용자를 대신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분실된 휴대 단말(100)을 습득한 습득자가 상기 휴대 단말(100)을 대리 회수하는 담당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분실된 휴대 단말(100)에 대한 안전한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100)이 분리형 배터리로 구성되어 휴대 단말(100)의 몸체로부터 배터리(battery)의 착탈이 가능한 모듈로 구성된 경우 휴대 단말(100)의 전원이 차단되어 휴대 단말(100)의 찾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분실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앱세서리 장치(10)는 상기 배터리와 휴대 단말(100)의 결합시 상기 배터리 및 휴대 단말(100)의 본체 일부에 결속되어 상기 배터리와 휴대 단말(100)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결속하는 결속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세서리 장치(1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비밀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결속부재의 결속을 해제하여 상기 휴대 단말(100)의 몸체로부터 배터리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분리형 배터리로 구성된 휴대 단말(100)의 도난에 의한 전원 차단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휴대 단말(1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앱세서리 장치 100: 휴대 단말
110: 어플리케이션부 200: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
300: 담당자 단말 400: AP
110: 어플리케이션부 200: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
300: 담당자 단말 400: AP
Claims (11)
-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일 때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앱세서리 장치;
상기 휴대 단말에 구성되어 상기 앱세서리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일 때 보호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보호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시 분실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분실모드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웹페이지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회수 요청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회수하는 담당자별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에 따른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담당자를 지정하고, 해당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로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지정 담당자의 인증을 위해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지정 담당자에 대한 미리 저장된 담당자 정보를 전송하는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미리 설정된 AP와 통신을 통해 상기 AP의 신호가 수신될 때 분실 우려가 없는 안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시에도 상기 보호모드 및 분실모드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보호 모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전원 차단 또는 상기 휴대 단말의 사용을 위한 동작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제어 정보 수신시 상기 분실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보호 모드 동작시 상기 휴대 단말을 미리 설정된 잠금 암호로 잠금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보호 모드 동작시 상기 잠금 암호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입력에 따른 입력코드와 미리 설정된 잠금 암호가 동일한 경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분실 모드 동작시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측정된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의 카메라부 및 마이크부와 연동하여 생성한 영상 정보 및 음향정보를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위치정보와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를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담당자 정보 수신시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담당자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 정보는 상기 지정 담당자의 사진, 성명,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담당자 단말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부로 상기 지정 담당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담당자 단말의 위치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담당자 단말이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지정 담당자의 휴대 단말에 대한 회수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회수 완료 여부에 대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 삭제
- 휴대 단말에 구성되며, 미리 설정된 동작신호의 수신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른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또는 외부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한 경우 분실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분실모드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웹페이지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회수 요청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회수하는 담당자별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에 따른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담당자를 지정하고, 해당 지정 담당자의 담당자 단말로 상기 휴대 단말의 단말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지정 담당자의 인증을 위해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지정 담당자에 대한 미리 저장된 담당자 정보를 전송하는 회수 서비스 제공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미리 설정된 AP와 통신을 통해 상기 AP의 신호가 수신될 때 분실 우려가 없는 안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시에도 상기 분실모드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003555 | 2016-06-22 | ||
KR2020160003555 | 2016-06-2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3108Y1 true KR200483108Y1 (ko) | 2017-04-05 |
Family
ID=5860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4932U KR200483108Y1 (ko) | 2016-06-22 | 2016-08-24 |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108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477B1 (ko) * | 2017-08-23 | 2018-06-14 | (주)키웨스트테크 | 도난 방지 시스템 |
KR101888543B1 (ko) * | 2017-05-30 | 2018-08-16 | (주)바인테크 | 분실물 회수관리 안내시스템 |
KR102080432B1 (ko) * | 2019-01-30 | 2020-02-21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폴스 알람을 줄이기 위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5073U (ko) | 2009-11-16 | 2011-05-24 | 한송욱 | 태양 전지를 구비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시스템 |
KR20120004679A (ko) * | 2010-07-07 | 2012-01-13 |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 분실 단말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20010877A (ko) * | 2010-07-27 | 2012-02-06 | 카스정보통신 주식회사 | WiFi 기반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1567241B1 (ko) * | 2014-10-13 | 2015-11-06 | 원종만 | 출동정보전달시스템 |
KR20160019170A (ko) * | 2014-08-11 | 2016-02-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분실한 단말의 회수 가능성을 높이는 장치 및 방법 |
-
2016
- 2016-08-24 KR KR2020160004932U patent/KR20048310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5073U (ko) | 2009-11-16 | 2011-05-24 | 한송욱 | 태양 전지를 구비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시스템 |
KR20120004679A (ko) * | 2010-07-07 | 2012-01-13 |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 분실 단말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20010877A (ko) * | 2010-07-27 | 2012-02-06 | 카스정보통신 주식회사 | WiFi 기반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20160019170A (ko) * | 2014-08-11 | 2016-02-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분실한 단말의 회수 가능성을 높이는 장치 및 방법 |
KR101567241B1 (ko) * | 2014-10-13 | 2015-11-06 | 원종만 | 출동정보전달시스템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8543B1 (ko) * | 2017-05-30 | 2018-08-16 | (주)바인테크 | 분실물 회수관리 안내시스템 |
KR101867477B1 (ko) * | 2017-08-23 | 2018-06-14 | (주)키웨스트테크 | 도난 방지 시스템 |
KR102080432B1 (ko) * | 2019-01-30 | 2020-02-21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폴스 알람을 줄이기 위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
US10909836B2 (en) | 2019-01-30 | 2021-02-02 | Center For Integrated Smart Sensors Foundation | Device for preventing mobile phone loss through reduction of false alarms and method for providing alarms for mobile phone loss preven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6438B1 (ko) |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usb 메모리 장치 | |
US8467770B1 (en) | System for securing a mobile terminal | |
JP4363361B2 (ja) | 携帯用電子機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携帯用電子機器の動作許可範囲決定方法 | |
JP6281728B2 (ja) | 携帯電話によって制御される電子セキュリティバッグセット | |
US20130298208A1 (en) | System for mobile security | |
US9904812B2 (en) | Method of protecting power receiver and related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101764650B1 (ko) | 스마트 기기의 도난 방지 장치 | |
CN103780728B (zh) | 实现移动设备防丢功能的线缆 | |
KR200483108Y1 (ko) | 휴대 단말의 분실 방지 시스템 | |
JP2007019719A (ja) | 携帯端末装置、無線通信ユニット、および使用制限システム | |
US20130187617A1 (en) | Theft protection | |
JP2017224076A (ja) | 融着接続装置の盗難検知システム及び融着接続装置 | |
JP4529893B2 (ja) | 携帯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 |
JP2006319649A (ja) |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使用制限方法 | |
JP6244215B2 (ja) | 車載通信システム | |
KR20070112013A (ko)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장치 | |
KR101595897B1 (ko) |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 |
JP2006304157A (ja) |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盗難防止方法 | |
JP6714873B2 (ja) |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 |
CN105882797A (zh) | 一种自行车控制方法、装置及自行车 | |
KR20160035632A (ko) | 휴대용 단말기와 연계한 자전거 거치대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 |
JP2007013868A (ja) | 無線通信ユニット、携帯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ユニットと携帯端末装置から成る使用制限システム | |
KR101692352B1 (ko) |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 |
JP2011030038A (ja) | 警備システム、phs親機、および警備方法 | |
KR20130139211A (ko)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및 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