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543B1 - 미아 발생 예방방법 - Google Patents

미아 발생 예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543B1
KR101440543B1 KR1020130104315A KR20130104315A KR101440543B1 KR 101440543 B1 KR101440543 B1 KR 101440543B1 KR 1020130104315 A KR1020130104315 A KR 1020130104315A KR 20130104315 A KR20130104315 A KR 20130104315A KR 101440543 B1 KR101440543 B1 KR 101440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management server
guardia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선우
백희규
Original Assignee
허선우
백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선우, 백희규 filed Critical 허선우
Priority to KR1020130104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아 발생 예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보호자단말기에 보호대상자 단말기의 GPS위치정보와 보호대상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보내주도록 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미아 발생 예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GPS모듈과 무선통신모듈을 각각 구비한 보호자단말기 및 보호대상자 단말기와, 그 보호자단말기 및 보호대상자 단말기와 통신연결되는 관리서버를 이용한 미아 발생 예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기 보호자단말기와 보호대상자 단말기간의 거리신호를 전달받아 그 신호 강도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수신된 신호 강도가 설정된 신호 강도보다 미약한 경우에 그 미약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해서 미약신호가 수신되면 미아 발생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보호자단말기와 보호대상자 단말기에 각각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3단계와, 상기 관리서버에서 보호대상자 단말기에 촬영신호를 송신하고 보호대상자 단말기에서는 주변영상을 촬영한 후 그 촬영된 영상을 관리서버로 다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거쳐 관리서버에 수신된 영상정보를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아 발생 예방방법{Method for Preventing Missing Children}
본 발명은 미아 발생 예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대상자와 보호자의 거리가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해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것으로 확인되면, 미아 발생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보호자단말기로 사건(미아 발생)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고, 보호대상자의 단말기에서 주변 촬영 후 관리서버로 송신하도록 함은 물론, 관리서버에서는 수신된 영상정보를 보호자단말기로 보내주도록 하여 미아 발생을 예방하도록 한 미아 발생 예방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주 5일 근무가 보편화됨에 따라 여가 활용이나 레저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테마파크 등의 대규모의 위락시설이 속속 개장하고 있다.
그런데 대규모의 위락시설에 많은 수의 인파가 몰림에 따라 미아가 발생하거나 동행자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며, 또한 유괴의 위험도 적지 않았다.
이에 따라 위락시설에서는 길을 잃은 유아 및 아동의 보호자를 찾아주거나 동행자를 찾아주기 위해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보호자는 미아방지장치를 사용하여 미아 발생이나 유괴의 위험으로부터 유아 및 아동을 보호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미아방지장치는 보호자 정보가 기록된 이름표나 액세서리를 이용한 인식표, GPS위치 탐색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보호자와 피보호자 간 통신을 통해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송서비스 방법이나 미아방지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의사표현이 불분명한 유아 및 아동의 소재를 찾기에는 상당히 어려워 신속한 조치가 불가능하였다.
종래의 미아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0125호(2009.01.07,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미아 발생 예방 시스템 및 방법)가 개시되어 있다.
위 특허기술은 보호자가 보호대상자 단말기의 GPS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도록 하여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대상자 단말기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알람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여 주위 사람의 도움을 받도록 하여 미아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위 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은 보호자가 보호대상자의 GPS위치정보만을 수신받음에 따라 인파가 붐비는 곳에서는 보호대상자를 찾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주변인의 도움을 받는데도 한계가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자와 피보호자 간의 거리를 블루투스 신호강도를 통해 실시간 체크하여 일정 시간 동안 그 신호강도가 설정된 강도보다 미약한 경우, 미아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보호자단말기로 이를 알려줌과 아울러 보호대상자 단말기의 GPS위치정보와 주변 촬영 영상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즉각적인 대처로 미아 발생을 예방하도록 한 미아 발생 예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GPS모듈과 무선통신모듈을 각각 구비한 보호자단말기 및 보호대상자 단말기와, 그 보호자단말기 및 보호대상자 단말기와 통신연결되는 관리서버를 이용한 미아 발생 예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기 보호자단말기와 보호대상자 단말기간의 거리신호를 전달받아 그 신호 강도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수신된 신호 강도가 설정된 신호 강도보다 미약한 경우에 그 미약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해서 미약신호가 수신되면 미아 발생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보호자단말기와 보호대상자 단말기에 각각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3단계와, 상기 관리서버에서 보호대상자 단말기에 촬영신호를 송신하고 보호대상자 단말기에서는 주변영상을 촬영한 후 그 촬영된 영상을 관리서버로 다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거쳐 관리서버에 수신된 영상정보를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 미약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기 전 설정된 신호 강도보다 강한 신호가 수신되면 시간 카운트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 관리서버에서는 상기 보호자단말기에 미아 발생 메시지와 함께 진동 및 경보음을 포함한 보호자 인지신호를 실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보호대상자 단말기에는 사건발생에 따른 대처정보를 제공하고 주변 촬영 후 촬영영상과 GPS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보호자단말기에는 보호자가 인지하도록 보호대상자 단말기와의 거리에 따른 신호강도가 단계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이루어진 미아 발생 예방방법에 따르면, 피보호자가 소지한 보호대상자 단말기의 GPS위치정보와 주변 영상정보를 보호자가 즉시 수신받음으로써 단시간내에 피보호자를 찾을 수 있는 등 조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미아 또는 실종 발생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발생 예방방법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발생 예방방법의 동작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발생 예방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발생 예방방법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발생 예방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발생 예방방법은 보호자단말기(10)와 보호대상자 단말기(20) 및 관리서버(30)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미아 발생을 예방하게 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자단말기(10)와 보호대상자 단말기(20)는 서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호자단말기(10) 및 보호대상자 단말기(20)는 상기 관리서버(30)와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미아 발생 예방방법은 보호대상자 단말기(20)를 소지하고 있는 유아 등 피보호자가 보호자단말기(10)를 소지하고 있는 부모 등의 보호자로부터 떨어지는 경우 위험상황 즉, 미아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보호자에게 위험상황을 전달하여 조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미아 또는 실종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보호대상자는 유아, 취학 전 또는 초등 저학년 아동, 정신지체아, 치매노인 등일 수 있고, 이러한 보호대상자는 GPS모듈과 무선통신모듈(블루투스, 이동 무선통신) 등을 구비한 단말기를 팔찌, 시계, 벨트에 부착하거나 해당 기능이 있는 형태의 휴대장치를 휴대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보호자단말기(10)와 보호대상자 단말기(2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GPS모듈과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된 단말기로서, 통상의 휴대폰 및 핸드폰일 수도 있다.
상기 보호자단말기(10)와 보호대상자 단말기(20)는 서로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호 간 거리신호가 주기적으로 보호자단말기(10)에 표시되어 진다.
이때, 거리신호는 상기 보호자단말기(10)와 보호대상자 단말기(20) 간 거리에 따라 신호강도가 다를 것이고, 보호자단말기(10)에는 각 신호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방법은 블록으로 표시되거나 숫자로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보호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형태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보호자단말기(10)에 표시되는 신호강도는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서버(30)에 전송하게 되고, 관리서버(30)에서는 신호강도를 계속해서 체크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미아 발생 예방방법의 구체적인 과정을 보면, 상기 관리서버(30)에서는 상기 보호자단말기(10)로부터 거리신호를 전달받아 그 거리신호의 신호강도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보호자단말기(10)에서 측정된 보호대상자 단말기(20)와의 거리신호는 가까운 경우에는 신호강도가 강할 것이고, 멀어질수록 신호강도가 약해질 것이다. 설정 신호강도를 기준으로 그보다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예로서 시그널을 1로 보내고, 신호강도가 설정된 강도보다 미세할 경우에는 시그널을 2로 해서 관리서버(30)에 전송하게 된다.
관리서버(30)에서는 상기 보호자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신호 예로서, 시그널 1과 2를 수신하여 보호자와 피보호자 간의 거리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자단말기(10)에서 송신된 신호 강도가 설정된 신호 강도보다 미약한 경우(예로서 시그널 2가 전송된 경우), 관리서버(30)에서는 미약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
상기 미약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해서 미약신호가 수신되면 미아 발생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게 되고, 상기 보호자단말기(10)와 보호대상자 단말기(20)에 각각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미약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기 전 설정된 신호 강도보다 강한 신호(예로서 시그널 1이 전송된 경우)가 수신되면 카운트를 초기화하게 되고, 미약신호가 수신되면 그때부터 다시 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
상기 미약신호가 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계속해서 수신되어 미아가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기(10)에는 미아 발생 메시지와 함께 보호자가 인지할 수 있는 인지신호를 실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인지신호는 진동이나 경보음을 포함한 보호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신호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대상자 단말기(20)에는 사건발생에 따른 대처정보를 제공하고, 그 보호대상자 단말기에서 주변을 촬영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제공받은 대처정보는 피보호자가 취해야 하는 행동 강령과 심적 안정을 위한 데이터(친숙한 노래, 심리안정에 효과적인 음악)이고, 관리서버(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자 단말기(20)에서 주변영상을 촬영한 후 그 촬영된 영상을 관리서버(30)로 전송하게 되며, 또한 보호대상자 단말기(20)의 현 GPS위치를 산출하여 그 GPS 위치정보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관리서버(30)에서는 보호대상자 단말기(20)에서 전송된 영상정보를 보호자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되고, 보호자는 수신된 영상을 통해 신속하게 피보호자를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와 피보호자 간의 거리정보를 관리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체크하게 됨으로써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경우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되며, 그에 따라 미아 발생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GPS위치정보를 포함하여 피보호자의 주변 영상정보를 함께 제공받음으로써 보호자가 단시간내에 피보호자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보호자단말기 20: 보호대상자 단말기
30: 관리서버

Claims (4)

  1. GPS모듈과 무선통신모듈을 각각 구비한 보호자단말기(10) 및 보호대상자 단말기(20)와, 그 보호자단말기(10) 및 보호대상자 단말기(20)와 통신연결되는 관리서버(30)를 이용한 미아 발생 예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기 보호자단말기(10)와 보호대상자 단말기(20)간의 거리신호를 전달받아 그 신호 강도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수신된 신호 강도가 설정된 신호 강도보다 미약한 경우에 그 미약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해서 미약신호가 수신되면 미아 발생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보호자단말기(10)와 보호대상자 단말기(20)에 각각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3단계와,
    상기 관리서버(30)에서 보호대상자 단말기(20)에 촬영신호를 송신하고 보호대상자 단말기(20)에서는 주변영상을 촬영한 후 그 촬영된 영상을 관리서버(30)로 다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거쳐 관리서버(30)에 수신된 영상정보를 보호자단말기(10)로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발생 예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미약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기 전 설정된 신호 강도보다 강한 신호가 수신되면 시간 카운트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발생 예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관리서버(30)에서는 상기 보호자단말기(10)에 미아 발생 메시지와 함께 진동 및 경보음을 포함한 보호자 인지신호를 실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보호대상자 단말기(20)에는 사건발생에 따른 대처정보를 제공하고, 주변 촬영 후 촬영영상과 GPS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발생 예방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보호자단말기(10)에는 보호자가 인지하도록 보호대상자 단말기(20)와의 거리에 따른 신호강도가 단계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발생 예방방법.
KR1020130104315A 2013-08-30 2013-08-30 미아 발생 예방방법 KR101440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315A KR101440543B1 (ko) 2013-08-30 2013-08-30 미아 발생 예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315A KR101440543B1 (ko) 2013-08-30 2013-08-30 미아 발생 예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543B1 true KR101440543B1 (ko) 2014-09-17

Family

ID=5176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315A KR101440543B1 (ko) 2013-08-30 2013-08-30 미아 발생 예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5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3271A (zh) * 2015-12-31 2016-04-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蓝牙技术的防走失方法、终端、系统以及监控终端
WO2017065442A1 (ko) * 2015-10-13 2017-04-20 김태평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67587A (ko) * 2017-12-07 2019-06-17 전창민 돌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074454B1 (ko) * 2019-03-08 2020-02-06 (주) 경성테크놀러지 장애아동 발열상태 감지와 실종 방지 및 수색이 가능한 장애아동 관리 시스템
CN115689297A (zh) * 2022-12-29 2023-02-03 杭州天阙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被拐风险预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363A (ko) * 2007-01-19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41325A (ko) * 2008-10-14 2010-04-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미아 찾기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 휴대단말, 서버 및 방법
KR20100101277A (ko) * 2009-03-09 2010-09-17 도찬구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0639B1 (ko)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363A (ko) * 2007-01-19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41325A (ko) * 2008-10-14 2010-04-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미아 찾기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 휴대단말, 서버 및 방법
KR20100101277A (ko) * 2009-03-09 2010-09-17 도찬구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0639B1 (ko)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442A1 (ko) * 2015-10-13 2017-04-20 김태평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CN105513271A (zh) * 2015-12-31 2016-04-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蓝牙技术的防走失方法、终端、系统以及监控终端
KR20190067587A (ko) * 2017-12-07 2019-06-17 전창민 돌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037218B1 (ko) * 2017-12-07 2019-10-28 주식회사 휴브리스 돌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074454B1 (ko) * 2019-03-08 2020-02-06 (주) 경성테크놀러지 장애아동 발열상태 감지와 실종 방지 및 수색이 가능한 장애아동 관리 시스템
CN115689297A (zh) * 2022-12-29 2023-02-03 杭州天阙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被拐风险预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543B1 (ko) 미아 발생 예방방법
KR101341555B1 (ko)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US10096225B2 (en) Digital wearable monitoring device with dual locking system
JP2023011037A (ja) プログラム
KR101459104B1 (ko) 동작분석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감지방법
US20220217308A1 (en) Camera Glasses for Law Enforcement Accountability
CN105872952A (zh) 基于可穿戴设备的信息发送方法及装置
US9978243B2 (en) Wandering notification server and wandering notification system
KR101422234B1 (ko) 생체정보 및 gps정보를 활용한 긴급상황 통보시스템
KR20140088004A (ko) 자동 알림 방식에 기반한 양방향 안전 관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방법
JP4436814B2 (ja) 通信装置およびサーバ
JP2017080382A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動撮像装置
JP2008090602A (ja) 登下校時の防犯システム
KR101453248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시스템
KR101493399B1 (ko) 범죄자 접근 경고 시스템 및 그 서버 제어 방법
KR20160127200A (ko) 웨어러블 카메라 기반의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352B1 (ko) 보안 기능과 미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마트 감시 장치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과 다목적 스마트 감시 시스템
KR20160018900A (ko)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 및 방법
JP6095722B2 (ja) 行動管理装置、情報端末、行動管理方法、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126988A (ko) 위험 상황 알림용 영상 촬영 및 전송 장치
JP2017130209A (ja) 行動管理装置、情報端末、行動管理方法、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05849B1 (ko) 전자발찌 착용자 출현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5982674B1 (ja) 自動撮像装置
KR101605746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신고 시스템
US20200221012A1 (en) Terminal device, camera system,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