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555B1 -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1555B1 KR101341555B1 KR1020130118507A KR20130118507A KR101341555B1 KR 101341555 B1 KR101341555 B1 KR 101341555B1 KR 1020130118507 A KR1020130118507 A KR 1020130118507A KR 20130118507 A KR20130118507 A KR 20130118507A KR 101341555 B1 KR101341555 B1 KR 1013415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tagging device
- protected
- guardian
- nfc tagg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에 대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서 설정된 화면 잠금(Screen Lock)을 해제 또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 동기화된 NFC 태깅 장치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서 발생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구조 요청 신호와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은, 상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패턴 및 상기 패턴을 해제가능한 횟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화면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 잠금을 해제 또는 상기 NFC 태깅 장치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횟수가 상기 해제가능한 횟수를 초과 또는 상기 NFC 태깅 장치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상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패드나 타블렛 PC, 스마트 폰의 보급이 증가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대화를 즐기거나 전화 통화는 물론 영상 통화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스마트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상대방은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가 개인정보열람을 허용한 경우 스마트 단말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구조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은, 스마트 단말을 조작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제2013-0032515호(2013.04.02 공개)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한 경우,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최근 이슈가 된 다수의 살해사건과 폭력사건을 보면 피해자는 피의자의 감시하에 있어 신고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치매 환자와 같이 정신적 인지 능력이 전혀 없거나, 유아나 긴급 환자의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일신상의 이유로 위급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전화를 걸 수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NFC 태깅 장치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하고, 스마트 단말과 NFC 태깅 장치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전화를 하거나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에 대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서 설정된 화면 잠금(Screen Lock)을 해제 또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 동기화된 NFC 태깅 장치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서 발생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구조 요청 신호와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은, 상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패턴 및 상기 패턴을 해제가능한 횟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화면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 잠금을 해제 또는 상기 NFC 태깅 장치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횟수가 상기 해제가능한 횟수를 초과 또는 상기 NFC 태깅 장치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상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로 NFC 태깅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피의자의 감시하에 피해자가 어떠한 행동을 취하기 어려운 경우일지라도 피의자가 인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으며, NFC 태깅 장치가 스마트 단말에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구조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피해자가 자신의 위치를 포함한 구조 요청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NFC 태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NFC 태깅 장치와 피보호자 단말이 연동되어 구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5는 도 1의 NFC 태깅 장치가 장착되는 유형과 위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NFC 태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NFC 태깅 장치와 피보호자 단말이 연동되어 구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5는 도 1의 NFC 태깅 장치가 장착되는 유형과 위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 장치(100), 블루투스(Bluetooth) 기반 단말(200), 피보호자 단말(300),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3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피보호자 단말(300)과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피보호자 단말(300)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과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NFC 태깅 장치(100)와 피보호자 단말(300)은 NFC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블루투스 기반 단말(200)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피보호자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4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4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 장치(100), 블루투스 기반 단말(200), 피보호자 단말(300),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NFC 태깅 장치(100)는 피보호자 단말(300)과 접촉될 수 있고, NFC 통신을 통하여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을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접촉은 NFC 태깅 장치(100)와 피보호자 단말(300)이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것 이외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NFC 태깅 장치(100)는 NFC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블루투스,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 UWB, HOME RF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블루투스 기반 단말(200)은 피보호자 단말(300)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기반 단말(200)은 피보호자 단말(3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전, 페어링(Pairing)이 요구될 수 있는데, 블루투스 기반 단말(200)에서 피보호자 단말(300)을 검색하여 등록하는 페이링을 수행할 수도 있고,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블루투스 기반 단말(200)을 검색하여 등록하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블루투스 기반 단말(2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블루투스 기반 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피보호자 단말(30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메세지나 발신 호(Call)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피보호자 단말(300)은 피보호자 단말(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도록 충격 센서(미도시) 또는 압력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NFC 태깅 장치(100)를 주기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NFC 인지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피보호자 단말(300)은 피보호자 단말(300)에 가해지는 충격이 기 설정된 충격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전달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검색되는 NFC 태깅 장치(10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전달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NFC 인지 장치에는, 감지 레벨 임계값이 기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300)은 NFC 태깅 장치(100)가 감지되는 레벨이 기 설정된 감지 레벨 임계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전달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3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피보호자 단말(3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피보호자 단말(300)과 연결되고,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NFC 태깅 장치(100)와의 접촉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위험 상황 정보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해당 메세지를 전송하거나 발신 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피보호자 단말(3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피보호자 단말(300)의 이동 경로를 학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와 연결되고, 피보호자 단말(300)로부터 생성된 위험 상황 정보를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은 위험 상황 정보와 함께 피호보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최근, 스마트 패드나 타블렛 PC, 스마트 폰의 보급이 증가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대화를 즐기거나 전화 통화는 물론 영상 통화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스마트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상대방은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가 개인정보열람을 허용한 경우 스마트 단말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한 경우,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최근 이슈가 된 다수의 살해사건과 폭력사건을 보면 피해자는 피의자의 감시하에 있어 신고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치매 환자와 같이 정신적 인지 능력이 전혀 없거나, 유아나 긴급 환자의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일신상의 이유로 위급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전화를 걸 수 없다는 점에 착안하고, 스마트 단말과 NFC 태깅 장치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전화를 하거나 메세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호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발신 호 또는 메세지를 전송할 때 사용자의 위치도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구조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피의자가 피해자의 행동에 유의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NFC 태깅 장치를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로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NFC 태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NFC 태깅 장치와 피보호자 단말이 연동되어 구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고, 도 5는 도 1의 NFC 태깅 장치가 장착되는 유형과 위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메세지 수신부(510), 학습부(530), 신호 수신부(550), 전송부(5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 또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블루투스 기반 단말(200), 피보호자 단말(3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송하면, 블루투스 기반 단말(200), 피보호자 단말(3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프로그램이 블루투스 기반 단말(200), 피보호자 단말(3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블루투스 기반 단말(200), 피보호자 단말(3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 외에도, 온라인 마켓, 앱스토어(App Store) 등에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400) 연결은 피보호자 단말(300)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이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400)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가 네트워크(4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메세지 수신부(510)는, 피보호자 단말(3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의 연락처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에 대한 피보호자 단말(300)의 전달 메세지를 수신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은 부모님, 친구, 구조 센터 등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고,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의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는 부모님일 수도 있고, 선생님일 수도 있고, 학교폭력신고 센터일 수도 있고, 경찰서일 수도 있다. 그리고, 피보호자 단말(300)은 기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달 메세지인 긴급신고내용을 미리 저장할 수도 있다. 긴급신고내용은 사용자가 겪을 수 있는 상황을 미리 예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 및 성폭력(이하 "학교/성폭력"이라 함) 신고 인터페이스(아이콘)에는 "지금 폭력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저의 위치로 되도록 빨리 와주세요"라고 저장할 수도 있고, 해당 내용이 디폴트(Default)로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전달 메세지는 피보호자 단말(300)로부터 생성될 수 있고, 전달 메세지와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수집한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는 GPS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피보호자 단말(300)이 실내에 위치한 경우를 대비하여 피보호자 단말(300)이 연결된 네트워크(400)의 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400)의 위치는 예를 들어 Wi-Fi의 위치 또는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수신된 RSSI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산출된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가장 가까운 기지국의 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는 주기적으로 메세지 수신부(510)에서 수집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가장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는 네트워크(400)와 피보호자 단말(300)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 기반하여 오차 범위를 줄이는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학습부(530)는, 피보호자 단말(300)의 이동 경로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전달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송할 때, 피보호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학습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폭력방지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면 일정 패턴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중에는 학교를 8:00시까지 등교하고, 방과 후인 4:00 이후에는 학원으로 이동하고, 10:00에는 독서실로 이동하며, 새벽 1:00에는 집으로 오는 일정한 패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보호자 단말(300)은 이러한 패턴을 일정 기간 동안 학습하고, 사용자의 이동 경로 패턴을 전달 메세지에 포함시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학습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의 디스플레이 상에 두 경로가 오버레이되도록 표시될 수도 있으며, 시계열적으로 이동 위치가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경로는 지도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도록 피보호자 단말(300)의 촬영 수단(미도시)에서 촬영한 영상을 지도상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550)는,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설정된 화면 잠금(Screen Lock)을 해제 또는 피보호자 단말(300)과 동기화된 NFC 태깅 장치(100)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발생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30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에서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패턴 및 패턴을 해제가능한 횟수를 수신하고, 피보호자 단말(300)의 화면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화면 잠금을 해제 또는 NFC 태깅 장치(100)의 접촉을 감지하고,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횟수가 해제가능한 횟수를 초과 또는 NFC 태깅 장치(100)의 접촉이 감지되면, 구조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상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 단말(300)을 피보호자가 분실하거나 또는 피보호자가 응급 상황이었을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피보호자가 피보호자 단말(300)을 분실한 경우에는, 타인이 피보호자 단말(300)을 습득한다고 할지라도, 화면 잠금이 설정이 되어 있으면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의 연락처를 파악할 수가 없고, 피보호자에게 피보호자 단말(300)을 돌려줄 기회가 없어질 수 있다. 또한, 피보호자가 응급 상황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피보호자가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의 연락처를 찾기 위하여 피보호자 단말(300)의 홀드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도, 화면 잠금이 설정이 되어 있으면,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의 연락처는 찾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패턴 해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 신호와 함께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실폰을 훔치려고 의도한 사람에게 경각심을 줌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분실폰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화면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피보호자가 의식불명 상태일지라도, 피보호자가 착용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NFC 태깅 장치(100)를 피보호자 단말(300)에 접촉시키는 경우, 화면 잠금을 풀지 않은 상태일지라도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또는 긴급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수신부(550)는, 블루투스(Bluetooth) 기반 단말 또는 피보호자 단말(300)의 학교/성폭력 신고, 미아실종신고, 차량사고신고, 아이 및 분실폰(이하 "아이/분실폰"이라 함) 찾기, 기기 설정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의 연락처 및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NFC 태깅 장치(100)와, 피보호자 단말(300)과의 통신 또는 접촉에 기초하여 발생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학교/성폭력 신고 아이콘은,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300)에 접촉되면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NFC 태깅 장치(100)가 접촉된 피보호자 단말(300)은, 진동, 무음 및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현재 위치 정보와 활성화된 학교/성폭력 신고 아이콘의 활성화가 해제될 때까지의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학교/성폭력 신고 아이콘이 활성화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이후 피의자에 의해 피해자의 위치가 이동될 수도 있기 때문이며, 활성화의 해제가 될 때까지 피해자의 신변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미아실종신고 아이콘은, NFC 태깅 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발견자 단말(미도시) 또는 피보호자 단말(300)에 의해 접촉된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발견자 단말은, NFC 태깅 장치(100)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NFC 태깅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구조 요청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적어도 하나의 발견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아와 같은 영아나 치매 환자와 같은 노인의 경우 스마트 폰을 보유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아나 치매 환자에게는 NFC 태깅 장치(100)만을 착용시키고, 미아나 치매 환자를 발견한 발견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발견자 단말을 이용하여, NFC 태깅 장치(100)로부터 읽어들인 구조 요청 신호를 이와 기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사고신고 아이콘은, 피보호자 단말(300)에 가해지는 충격이, 기 설정된 충격 임계값보다 큰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충격 임계값은 피보호자 단말(300)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고, 센서에서는 가속도, 중력 가속도, 각속도,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중력 가속도, 각속도, 회전 각도가 기 설정된 충격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그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감지 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고, 긴급 연락처에 저장된 번호, 경찰서 또는 119 센터에 긴급 신호와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300)은 전달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화하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사고신고 아이콘은,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사용자가 휴대하는 피보호자 단말(300)에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즉 차량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 사고로 인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피보호자 단말(300)은 차량에 위치한 블루투스 장비 또는 NFC 장비와 연동되어 차량에 위치한 것을 필요 조건으로, 충격이 발생한 것을 충분 조건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아이/분실폰 찾기 아이콘은,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아이/분실폰 찾기 아이콘이 활성화된 피보호자 단말(300)은, 진동 및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현재 위치 정보와 활성화된 아이/분실폰 찾기 아이콘의 활성화가 해제될 때까지의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분실폰 찾기 아이콘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잃어버렸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폰과 멀어진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피보호자 단말(300)이 감지하는 레벨과, 피보호자 단말(300)에 기 설정된 감지 레벨을 비교하고,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감지한 레벨이 기 설정된 감지 레벨보다 낮아지는 경우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신호 수신부(550)는, 구조 요청 신호와, 피보호자 단말(30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달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구조 요청 신호는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수집한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 요청 신호는 메세지 수신부(510)에 미리 저장되었던 정보일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는 실시간으로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수집될 수도 있고, 메세지 수신부(510)에 기 저장된 위치 정보의 가장 최근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구조 요청 신호는 피보호자 단말(300)이 스마트 단말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사진 정보 및 음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태깅 장치(100)에 의해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구조 요청 신호를 생성할 때, 피보호자 단말(300)이 촬영한 동영상, 사진,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 사진, 음성을 생성할 때에는 피의자가 인지할 수 없도록, 피보호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를 켜지 않거나 소리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피의자가 인지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피보호자 단말(300)은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동영상, 사진, 음성을 생성하고, 구조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생성된 정보를 신호 수신부(5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피의자에게 붙잡히기 전까지 어디에 위치하고 있었는지, 주변 환경은 어떠한지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어 추적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300)이 촬영을 할 경우에는, 피보호자 단말(300)이 감지한 빛의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인 경우에만 촬영을 허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예를 들어, 피보호자 단말(300)이 가방 내부에 있는 경우,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가방 내부 사진만 찍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전송부(670)는, 구조 요청 신호와 피보호자 단말(30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피보호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학습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는 하나의 점으로 표현될 수도 있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동되는 선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각이 아침 8시 30분이라고 가정하면, 그 전에는 어디에 있었는지 시간과 장소를 표현할 수 있고, 그 후에는 어디에 있는지에 대하여 시간과 장소를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이동 경로를 표시하므로 미아나 치매 환자, 피의자에게 잡힌 피해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고, 탐문이나 수사, 및 수색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NFC 태깅 장치(100)는 피보호자 단말(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의 연락처 및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의 전화 번호, 주소, 또는 전달 메세지가 입력되고, "Write Tag" 아이콘을 누른 후 NFC 태깅 장치(100)를 피보호자 단말(300)에 접촉하면, NFC 태깅 장치(100)는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300)에 접촉되면, 피보호자 단말(300)은 진동 및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아나 치매 환자의 경우, 자신의 처지와 상황을 알려야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때,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300)에 접촉되면,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진동 및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주변에 피보호자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아의 경우, "저 길을 잃어버렸어요. ***-*****으로 전화해주세요"라는 음성을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고, 치매 환자의 경우, "저는 치매 환자입니다. 가까운 경찰서로 데려가 주세요"라는 음성을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물론,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300)에 접촉되면, 경찰서나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송되게 되므로, 경찰이나 보호자가 이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미아나 치매 환자가 해당 음성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경우, 폭력의 표적이 될 수 있으므로, 피보호자 단말(300)과 경찰서 간의 거리를 고려하고, 경찰의 스마트 단말이나 경찰차와 피보호자 단말(300)이 일정 거리 내인 경우에만 해당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피보호자 단말(30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구조 요청을 전송한 후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호 발신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매 노인이나 환자의 경우, 주변 사람들이 보호자의 전화번호를 찾는데 꽤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치매 노인이나 환자의 경우,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300)에 접촉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500)로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와 긴급 메세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보호자에게 전화하기 아이콘을 더 포함하여 바로 보호자에게 전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달 메세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은 전달 메세지에 포함된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피보호자 단말(500)의 위치를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학교 폭력 신고, 치매/미아/환자 신고, 피보호자 단말 정보 입력,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 정보 입력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매/미아/환자 신고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경우, 전달 메세지 전송 메세지와 보호자에게 전화하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NFC 태깅 장치(100)는 ID 저장부(110), 정보 저장부(130), 접촉 신호 감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FC 태깅 장치(100)는, 에폭시 수지, PVC(PolyVinyl Chloride), 실리콘 수지, 인조 가죽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바디(Body)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에폭시 수지는, 나프탈렌 변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블락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형 에폭시 수지 및 인계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 에폭시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에폭시 베이스드 수지(epoxy based resin), SiO2, SiO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PVC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터, 폴리에터, 우레탄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 6(nylon 6), 나일론 66(nylon 66), 나일론 6/9(nylon 6/9), 나일론 6/10(nylon 6/10), 나일론 6/12(nylon 6/12), 나일론 11, 나일론 12,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olyvinylidenechloride), 폴리부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 terephthalate), 아크릴 베이스드 수지(acrylate based resin)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실리콘 수지는, SiO2, SiO를 포함하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조 가죽은 초극세 섬유를 이용한 샤무드 인공피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디는, NFC 태깅 장치(10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NFC 태깅 장치(100)를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태깅 장치(100)가 명함 카드와 같은 바디에 삽입된 경우, 바디는 NFC 태깅 장치(10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명함 카드의 후면 또는 정면에 NFC 태깅 장치(1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해당 공간에 NFC 태깅 장치(100)가 삽입되는 경우, NFC 태깅 장치(100)가 삽입되는 공간은 바디일 수 있다. 또한, NFC 태깅 장치(100)가 실리콘 밴드와 같은 바디에 삽입된 경우, 바디는 NFC 태깅 장치(100)를 코팅된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ID 저장부(110)는 NFC 태그의 고유 식별 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는, NFC 태깅 장치(100)와 피보호자 단말(300) 간의 통신 연결이 생성되었을 때, 다른 NFC 태깅 장치를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읽어들여 통신이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정보 저장부(130)는 NFC 태그와 통신하는 피보호자 단말(3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의 연락처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전송할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접촉 신호 감지부(150)는 피보호자 단말(300)가 접촉 신호가 발생한 경우, 피보호자 단말(300)에 의해 NFC 태그의 고유 식별 번호, 연락처 데이터 및 전달 메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NFC 태깅 장치(100)는 사람의 팔, 목, 다리, 허리 중 적어도 하나에 착용될 수 있도록 실리콘 밴드에 삽입되거나, 전자 태그 카드, 열쇠 고리, 명함 지갑, 액정 클리너, 단추 형태, 스티커, 인조 가죽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피보호자)는 위급한 상황일 때 자신의 스마트 폰(피보호자 단말(300))에 NFC 태깅 장치(100)를 접촉시킨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300)은 경고음(무음, 진동도 선택가능)을 발생시키면서 보호자, 선생님, 폭력 방지 센터에 긴급 신호와 자신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를 확인한 보호자, 선생님, 폭력 방지 센터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는 피보호자 단말(300)의 GPS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매장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위급한 상황일 때,자신의 스마트 폰(피보호자 단말(300))에 NFC 태깅 장치(100)를 접촉시키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300)은 경고음(무음, 진동, 소리 중 선택 가능)을 발생시키면서, 긴급 연락처에 저장된 번호, 경찰서 또는 119 센터에 긴급 신호와 자신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한 연락처에 저장된 보호자, 경찰서 또는 119 센터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피보호자 단말(300)에 미리 설치하고, 긴급 연락처,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NFC 태깅 장치(100)에는 고유 번호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매장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경우, 주변에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다양한 종류의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발견하고 자신의 스마트 폰(피보호자 단말(300))에 NFC 태깅 장치(100)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경찰서 또는 119 센터에 긴급 신호와 자신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고, 이를 확인한 경찰서 또는 119 센터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위 과정에서, 사용자의 피보호자 단말(30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 피보호자 단말(300)은 모바일 웹 페이지가 호출되고 위치가 전송될 수 있다. NFC 태깅 장치(100)에는 URL과 주소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기초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NFC 기능과 Bluetooth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FC 기능에는 학교/성폭력 신고, 안심 지킴이, 분실폰 찾기와 같은 스마트 폰이 요구되는 기능과, 자녀 안심 찾기와 같은 스마트 폰이 요구되지 않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폰이 요구되는 기능이란, NFC 태깅 장치(100)와 피보호자 단말(300)이 모두 요구되는 기능이고, 스마트 폰이 요구되지 않는 기능은 NFC 태깅 장치(100)만으로 구성되어도 구동 가능한 기능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하나의 발견자 단말(미도시)에 의해 NFC 태깅 장치(100)가 리딩될 수 있으므로, 피보호자 단말(300)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안심 지킴이 기능은, NFC 태깅 장치(100)가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이유는, 피보호자 단말(300)에 충격 센서와 블루투스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차량이 존재함을 필요 조건으로, 충격이 발생함을 충분 조건으로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블루투스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 피보호자 단말(100) 또는 NFC 태깅 장치(200)가 블루투스 통신으로 발생되는 셀(Cell) 영역을 벗어나면 경고음이나 진동을 울리는 것으로 인하여, 미아 방지 또는 실종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e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고 동작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e를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연락처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우선,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학교/성폭력 신고 아이콘을 클릭하고, 긴급 연락처를 적어도 하나 입력하고, NFC 태깅 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다면, NFC 태깅 장치(100)의 시리얼 넘버를 입력한다.
도 4f를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화면 잠금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우선, ① 기기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고, ② 화면 보안 패턴을 설정한 후, ③ 잠금 해제 패턴을 입력한다. 도 4g를 참조하면, ④, ⑤패턴을 적어도 두 번 입력하여 저장한 후, ⑥ 화면 잠금 화면에 쓰일 배경 이미지를 선택한다. 도 4h를 참조하면, ⑦ 잠금 화면이 설정된 상태에서, ⑧ 기 설정된 패턴과 다른 패턴이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여 입력된 경우, ⑨ 긴급 알림 화면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서 사이렌과 같은 알람음이 울리면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와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긴급 알림 화면은, 디스플레이가 되지 않게 할 수도 있고, 알람음은 무음 또는 진동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i를 참조하면, ⑩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60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SMS로 긴급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긴급 메세지에는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를 알리는 URL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를 알리는 URL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는 경우, ⑪와 같이 지도로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될 수도 있고, 주소로 확인을 클릭하는 경우, 피보호자 단말(300)가 위치한 주소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깅 장치(100)가 교복에 장착되는 위치를 도시한다. 이때, NFC 태깅 장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는 피의자가 피해자의 NFC 태깅 장치(100)를 신고 위험 장치로 인지하고, 이를 빼앗거나 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착안한다. 이에 따라, NFC 태깅 장치(100)는 피보호자 단말(300)이 위치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 단말(300)이 위치할 수 있는 위치는, 주머니가 많은 위치일 수 있다. 또한, NFC 태깅 장치(100)는 단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피보호자 단말(300)을 접촉시키기 용이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깅 장치(100)가 등산복이나 등산 용품에 장착되는 위치를 도시한다. 도 5a와 마찬가지로, NFC 태깅 장치(100)는 사용자가 자신의 피보호자 단말(300)을 접촉시키기 용이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 단말(300)은 접촉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NFC 태깅 장치(100)와 피보호자 단말(300)이 함께 위치하고 있는 것을 필요 조건으로, 피보호자 단말(300)에 NFC 태깅 장치(100)가 접촉되는 것을 충분 조건으로 하여 경고음이나 긴급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깅 장치(100)가 가방에 장착되는 위치를 도시한다. 도 5a 또는 도 5b와 마찬가지로, NFC 태깅 장치(100)는 사용자가 자신의 피보호자 단말(300)을 접촉시키기 용이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깅 장치(100)는, 명함 지갑, 손가방, 실리콘 밴드, 열쇠 고리, 전자 태그 카드, 액정 클리너, 가방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깅 장치(100)의 시제품을 도시하고, 도 5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깅 장치(100)가 인조 가죽, 예를 들어, 샤무드 내에 NFC 칩 형태로 삽입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때, NFC 칩은 옷 또는 가방 내에 오버로크 처리될 수도 있다. 도 5g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깅 장치(100)가 인조 가죽, 예를 들어, 샤무드 내에 NFC 칩 형태로 삽입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때, NFC 칩은 목걸이 줄, 시계 줄, 등산 용품 줄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h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깅 장치(100)가 스마트 폰의 이어캡 형태로 구현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i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매장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NFC 태깅 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5a 내지 도 5i에 구현된 제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일신상의 이유로 위급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전화를 걸 수 없고, 피의자가 피해자의 행동을 주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NFC 태깅 장치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하고, 스마트 단말과 NFC 태깅 장치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전화를 하거나 메세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호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발신 호 또는 메세지를 전송할 때 사용자의 위치도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구조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5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300)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의 연락처와 전달 메세지를 입력받는다(S6100). 그리고 나서, 피보호자 단말(30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연락처 및 전달 메세지를 전송한다(S6200).
이때, 도 6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설정된 화면 잠금(Screen Lock)을 해제 또는 피보호자 단말(300)과 동기화된 NFC 태깅 장치(100)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발생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구조 요청 신호와 피보호자 단말(30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피보호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 단말(30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에서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패턴 및 패턴을 해제가능한 횟수를 수신하고, 피보호자 단말(300)의 화면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화면 잠금을 해제 또는 상기 NFC 태깅 장치(100)의 접촉을 감지하고,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횟수가 해제가능한 횟수를 초과 또는 NFC 태깅 장치(100)의 접촉이 감지되면, 구조 요청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구조 요청 신호를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6으로 돌아와서, NFC 태깅 장치(100)와 피보호자 단말(300)은 NFC 통신으로 연결되고(S6300), NFC 태깅 장치(100)는 피보호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고(S6400),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피보호자 단말(300)의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한다(S6400).
이때, 피보호자 단말(300)은 자신의 이동 경로 데이터를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S6500). 여기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피보호자 단말(300)의 이동 경로를 학습한다(S6510).
또한, 피보호자 단말(300)은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300)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6600),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300)에 접촉된 경우 구조 요청 신호를 발생시켜(S6610),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전송한다(S6630). 여기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S665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6670), 메세지 및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6690).
한편, 피보호자 단말(300)에 가해진 충격이 기 설정된 충격 임계값 보다 큰 경우(S6700), 구조 요청 신호를 발생시켜(S6710),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로 전송한다(S6730). 여기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6750), 메세지 및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6770).
또한,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300)에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 S6710 내지 S6770를 수행하도록 S6710으로 복귀한다. 여기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저장된 피보호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69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60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6910).
이와 같은 도 6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5를 통해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6100~S691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S6100~S691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에 대한 피보호자 단말의 전달 메세지를 수신한다(S7100).
여기서, 도 7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피보호자 단말에서 설정된 화면 잠금(Screen Lock)을 해제 또는 피보호자 단말과 동기화된 NFC 태깅 장치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피보호자 단말에서 발생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구조 요청 신호와 피보호자 단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피보호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 단말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에서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패턴 및 패턴을 해제가능한 횟수를 수신하고, 피보호자 단말의 화면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화면 잠금을 해제 또는 상기 NFC 태깅 장치의 접촉을 감지하고,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횟수가 해제가능한 횟수를 초과 또는 NFC 태깅 장치의 접촉이 감지되면, 구조 요청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구조 요청 신호를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7로 돌아와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피보호자 단말의 이동 경로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하여 학습한다(S7200).
여기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블루투스(Bluetooth) 기반 단말 또는 피보호자 단말의 학교/성폭력 신고, 미아실종신고, 차량사고신고, 아이/분실폰 찾기, 기기 설정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 및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 장치와, 피보호자 단말과의 통신 또는 접촉에 기초하여 발생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7300).
그리고,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된 구조 요청 신호와 피보호자 단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피보호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학습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S7400).
이와 같은 도 7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목록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가 실행하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에 대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서 설정된 화면 잠금(Screen Lock)을 해제 또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 동기화된 NFC 태깅 장치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서 발생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구조 요청 신호와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은,
상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패턴 및 상기 패턴을 해제가능한 횟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화면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 잠금을 해제 또는 상기 NFC 태깅 장치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횟수가 상기 해제가능한 횟수를 초과 또는 상기 NFC 태깅 장치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상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태깅 장치는, 에폭시 수지, PVC(PolyVinyl Chloride), 실리콘 수지, 인조 가죽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바디(Body)에 삽입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NFC 태깅 장치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NFC 태깅 장치를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차량사고신고 아이콘은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 가해지는 충격이, 기 설정된 충격 임계값보다 큰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은 상기 전달 메세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화하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학교 및 성폭력 신고 아이콘은, 상기 NFC 태깅 장치가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 접촉되면 활성화되고,
상기 NFC 태깅 장치가 접촉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은, 진동 및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활성화된 학교 및 성폭력 신고 아이콘의 활성화가 해제될 때까지의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미아실종신고 아이콘은, 상기 NFC 태깅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발견자 단말 또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 의해 접촉된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견자 단말은, 상기 NFC 태깅 장치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NFC 태깅 장치로부터 수신된 구조 요청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견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아이 및 분실폰 찾기 아이콘은,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서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상기 NFC 태깅 장치가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활성화되고,
상기 아이 및 분실폰 찾기 아이콘이 활성화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은, 진동 및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활성화된 아이 및 분실폰 찾기 아이콘의 활성화가 해제될 때까지의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요청 신호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서 수집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은 상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호 발신을 실시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세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은, 상기 전달 메세지에 포함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를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태깅 장치는,
NFC 태그의 고유 식별 번호가 저장된 ID 저장부,
상기 NFC 태그와 통신하는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 데이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할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의 접촉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 의해 상기 NFC 태그의 고유 식별 번호, 연락처 데이터 및 전달 메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기 위한 접촉 신호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NFC 태깅 장치는,
사람 또는 동물의 팔, 목, 다리, 허리, 발목 중 적어도 하나에 착용가능한 실리콘 밴드에 삽입되거나,
전자 태그 카드, 열쇠 고리, 명함 지갑, 액정 클리너, 단추 형태, 스티커, 인조 가죽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인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507A KR101341555B1 (ko) | 2013-10-04 | 2013-10-04 |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507A KR101341555B1 (ko) | 2013-10-04 | 2013-10-04 |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1555B1 true KR101341555B1 (ko) | 2013-12-13 |
Family
ID=4998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8507A KR101341555B1 (ko) | 2013-10-04 | 2013-10-04 |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1555B1 (ko) |
Cited B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2216B1 (ko) | 2014-06-02 | 2014-07-25 | 김종범 | 위험 감지 알림 방법 |
KR101432608B1 (ko) * | 2013-12-12 | 2014-08-21 | (주)베스트케이에스 | Nfc 카드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및 이의 경비 방법 |
WO2015163515A1 (ko) * | 2014-04-25 | 2015-10-29 | 주식회사 아이온 | 고령층을 위한 안전 모니터링 지팡이 |
KR20160009337A (ko) * | 2014-07-16 | 2016-01-26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긴급 상황 알람 장치 및 방법 |
WO2016039520A1 (ko) * | 2014-09-11 | 2016-03-17 | 주식회사 트레이스 | 장신구에 내장된 무선송신장치를 감지하는 사용자단말기 |
KR20160046179A (ko) | 2014-10-20 | 2016-04-28 | 주식회사 케이티 | 카드사 방문이 필요없는 웨어러블 카드의 등록 장치, 웨어러블 카드 장치 및 웨어러블 카드의 등록 방법 |
KR20160084903A (ko) | 2015-01-06 | 2016-07-15 | 주식회사 이씨글로벌 | 티머니 교통카드의 식별 정보에 의한 스마트 단말의 제어 방법 |
KR20160085150A (ko) * | 2015-01-07 | 2016-07-15 | 주식회사 로보티어 | 방범 저출력심장충격기(aed) 폐쇄회로텔레비젼(cctv) 감시카메라 에스에스(ss)-타워 |
KR20160088545A (ko) | 2015-01-16 | 2016-07-26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
KR20160136591A (ko) * | 2015-05-20 | 2016-11-30 | (주) 비앤디 |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장치 및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방법 |
KR20170000123A (ko) | 2015-06-23 | 2017-01-02 | 주식회사 티지아이씨컴퓨터 | 치매 환자 케어 시스템 |
US9773105B2 (en) | 2014-10-22 | 2017-09-26 | Xiaomi Inc. | Device security using user interaction anomaly detection |
KR101785315B1 (ko) * | 2015-04-30 | 2017-10-17 | (주)247코리아 | 스마트폰 케이스와 연동한 신변보호 방법 |
CN110349299A (zh) * | 2018-04-03 | 2019-10-18 |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系统 |
KR102089874B1 (ko) * | 2018-12-13 | 2020-03-17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
KR20200081746A (ko) * | 2018-12-28 | 2020-07-08 | 금강테크 (주) | 등산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장치와 스마트 의류 간의 연동 시스템 및 연동 컨트롤 방법 |
WO2021091355A1 (ko) * | 2019-11-07 | 2021-05-14 | 주식회사 고미랑 |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KR20210055170A (ko) * | 2019-11-07 | 2021-05-17 | 주식회사 고미랑 |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KR20210055171A (ko) * | 2019-11-07 | 2021-05-17 | 주식회사 고미랑 |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KR20210002405U (ko) * | 2020-04-22 | 2021-11-01 | (주)인포마크 | 도난방지 자석태그 방식의 위치추적 디바이스 |
CN114973597A (zh) * | 2022-05-19 | 2022-08-30 | 四川众信佳科技发展有限公司 | 家庭监护方法及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8223B1 (ko) | 2006-03-07 | 2007-11-2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100889272B1 (ko) | 2007-06-27 | 2009-03-19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
KR20110006347A (ko) * | 2009-07-14 | 2011-01-20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위치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101253337B1 (ko) | 2012-12-21 | 2013-04-10 | 이준하 | 위치확인이 가능한 미아방지 시스템 |
-
2013
- 2013-10-04 KR KR1020130118507A patent/KR10134155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8223B1 (ko) | 2006-03-07 | 2007-11-2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100889272B1 (ko) | 2007-06-27 | 2009-03-19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
KR20110006347A (ko) * | 2009-07-14 | 2011-01-20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위치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101253337B1 (ko) | 2012-12-21 | 2013-04-10 | 이준하 | 위치확인이 가능한 미아방지 시스템 |
Cited B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2608B1 (ko) * | 2013-12-12 | 2014-08-21 | (주)베스트케이에스 | Nfc 카드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및 이의 경비 방법 |
WO2015163515A1 (ko) * | 2014-04-25 | 2015-10-29 | 주식회사 아이온 | 고령층을 위한 안전 모니터링 지팡이 |
KR101422216B1 (ko) | 2014-06-02 | 2014-07-25 | 김종범 | 위험 감지 알림 방법 |
KR101715824B1 (ko) * | 2014-07-16 | 2017-03-13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긴급 상황 알람 장치 및 방법 |
KR20160009337A (ko) * | 2014-07-16 | 2016-01-26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긴급 상황 알람 장치 및 방법 |
WO2016039520A1 (ko) * | 2014-09-11 | 2016-03-17 | 주식회사 트레이스 | 장신구에 내장된 무선송신장치를 감지하는 사용자단말기 |
KR20160046179A (ko) | 2014-10-20 | 2016-04-28 | 주식회사 케이티 | 카드사 방문이 필요없는 웨어러블 카드의 등록 장치, 웨어러블 카드 장치 및 웨어러블 카드의 등록 방법 |
US9773105B2 (en) | 2014-10-22 | 2017-09-26 | Xiaomi Inc. | Device security using user interaction anomaly detection |
KR20160084903A (ko) | 2015-01-06 | 2016-07-15 | 주식회사 이씨글로벌 | 티머니 교통카드의 식별 정보에 의한 스마트 단말의 제어 방법 |
KR20160085150A (ko) * | 2015-01-07 | 2016-07-15 | 주식회사 로보티어 | 방범 저출력심장충격기(aed) 폐쇄회로텔레비젼(cctv) 감시카메라 에스에스(ss)-타워 |
KR101646997B1 (ko) | 2015-01-07 | 2016-08-10 | 주식회사 로보티어 | 방범 저출력심장충격기(aed) 폐쇄회로텔레비젼(cctv) 감시카메라 에스에스(ss)-타워 |
KR20160088545A (ko) | 2015-01-16 | 2016-07-26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
KR101785315B1 (ko) * | 2015-04-30 | 2017-10-17 | (주)247코리아 | 스마트폰 케이스와 연동한 신변보호 방법 |
KR20160136591A (ko) * | 2015-05-20 | 2016-11-30 | (주) 비앤디 |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장치 및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방법 |
KR102368388B1 (ko) * | 2015-05-20 | 2022-02-28 | (주)이모션 |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장치 및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방법 |
KR20170000123A (ko) | 2015-06-23 | 2017-01-02 | 주식회사 티지아이씨컴퓨터 | 치매 환자 케어 시스템 |
CN110349299A (zh) * | 2018-04-03 | 2019-10-18 |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系统 |
WO2020122413A1 (ko) * | 2018-12-13 | 2020-06-18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
KR102089874B1 (ko) * | 2018-12-13 | 2020-03-17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위험상황감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가방 및 이를 포함하는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
KR20200081746A (ko) * | 2018-12-28 | 2020-07-08 | 금강테크 (주) | 등산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장치와 스마트 의류 간의 연동 시스템 및 연동 컨트롤 방법 |
KR102191693B1 (ko) * | 2018-12-28 | 2020-12-16 | 금강테크 (주) | 등산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장치와 스마트 의류 간의 연동 시스템 및 연동 컨트롤 방법 |
WO2021091355A1 (ko) * | 2019-11-07 | 2021-05-14 | 주식회사 고미랑 |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KR20210055170A (ko) * | 2019-11-07 | 2021-05-17 | 주식회사 고미랑 |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KR20210055171A (ko) * | 2019-11-07 | 2021-05-17 | 주식회사 고미랑 |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KR102345534B1 (ko) * | 2019-11-07 | 2022-01-03 | 주식회사 고미랑 |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KR102491979B1 (ko) * | 2019-11-07 | 2023-01-26 | 주식회사 고미랑 |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KR20210002405U (ko) * | 2020-04-22 | 2021-11-01 | (주)인포마크 | 도난방지 자석태그 방식의 위치추적 디바이스 |
KR200495688Y1 (ko) * | 2020-04-22 | 2022-07-27 | (주)인포마크 | 도난방지 자석태그 방식의 위치추적 디바이스 |
CN114973597A (zh) * | 2022-05-19 | 2022-08-30 | 四川众信佳科技发展有限公司 | 家庭监护方法及系统 |
CN114973597B (zh) * | 2022-05-19 | 2023-08-11 | 四川众信佳科技发展有限公司 | 家庭监护方法及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1555B1 (ko) |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
KR101284119B1 (ko) |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
US9332390B1 (en) | Mobile device utilizing time of flight for personal security and localization | |
US9892625B2 (en) | Personal protec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 |
US9092963B2 (en) | Wireless tracking device | |
KR101486402B1 (ko) |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 |
JP3167778U (ja) | 弱者見守りシステム | |
JP2017045218A (ja) | 近距離無線通信可能な発信機器を用いた迷子防止システム | |
Pavlakis et al. | Intelligent mobile multimedia application for the support of the elderly | |
US20140176329A1 (en) | System for emergency rescue | |
KR101502739B1 (ko) | 메신저 앱을 활용한 실종 또는 분실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505849B1 (ko) | 전자발찌 착용자 출현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
Girinath et al. | IoT based threat detection and location tracking for women safety | |
Sethi et al. | Safe sole distress alarm system for female security using IoT | |
KR101853324B1 (ko) |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
Singh et al. | Implementation of safety alert system for elderly people using multi-sensors | |
KR101539743B1 (ko) | 마우스 리테이너를 이용한 신원 정보 확인 및 안전 확보 시스템 | |
KR101832327B1 (ko) |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
Vandana et al. | Smart Wearable Device for Safety Monitoring using IoT | |
KR20180053179A (ko) | 어린이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 |
WO2015004510A1 (en) | A novel safe guard device as insurance for life | |
Kanchana Devi et al. | IoT-SDWD: Internet of Things-based security device for women in danger | |
Leema et al. | Women Safety Android Application with Hardware Device | |
KR20170095050A (ko) | 응급상황 인지 및 알림 방법 및 시스템 | |
US2024034036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emergency ser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