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979B1 -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979B1
KR102491979B1 KR1020190141334A KR20190141334A KR102491979B1 KR 102491979 B1 KR102491979 B1 KR 102491979B1 KR 1020190141334 A KR1020190141334 A KR 1020190141334A KR 20190141334 A KR20190141334 A KR 20190141334A KR 102491979 B1 KR102491979 B1 KR 10249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erminal
information
unit
specif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171A (ko
Inventor
정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미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미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미랑
Priority to KR1020190141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979B1/ko
Priority to PCT/KR2020/015650 priority patent/WO2021091355A1/ko
Publication of KR2021005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고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광학 태그(15)를 구비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와, 상기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한 단말 유니트(20)와, 상기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수신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로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운용 서버(30)를 포함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POSITION TRACK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신원 정보와 위치 정보와의 조합을 통하여, 실종 내지 배회 상태의 보호 대상자에 대한 보호 대응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사회 확대 범위 증진에 따라, 맞벌이 가정의 확대에 따라 유아 내지 어린이의 보호에 제약이 따르는 가구수도 점점 증대되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 가족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핵가족화 내지 1인 가구 증대와 더불어, 의료 서비스 환경 내지 서비스 질의 향상에 따라 고령 인구도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보호 관찰을 요하는 환경이 확장되고 있으나, 물리적 한계로 인하여 원치 않는 상황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 특히, 고령의 노인들, 더욱 구체적으로 경증 내지 중증 형태의 인지 장애를 갖는 노인들의 경우 보호 관찰의 범위를 벗어나는 위험한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도록 인지 장애 노인들의 배회 상태를 감지하는 고가의 장비들이 현재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인지 장애 노인들의 특성상 무거운 별도의 단말 장치를 신체에 장착하고 내지 보유하고 다니기 용이하지 않아 현실적인 적용성이 상당한 제약이 따른다.
이에 따라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보호 대상자의 보호자들은 잦은 배회 상태의 위험에 따른 노출록 심리적 및 경제적 부담의 어려움에 쉽게 노출되고 있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간편하고 신체 착용이 가능하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약자, 특히 인지 장애 노인들의 배회 상태 보고 내지 확인과, 보호자에게 신속한 통지를 통한 심리적 타격을 최소화하고 배회 노출 시간을 최소화하여, 보호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의 위험 노출 방지 및 보호자의 심리적 안정을 이루도록, 본 발명은 보호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착용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신원 확인을 가능하게 하여 스캔되는 위치 정보와의 조합을 통하여, 실종 내지 배회 상태의 보호 대상자에 대한 보호 대응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고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광학 태그(15)를 구비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와, 상기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한 단말 유니트(20)와, 상기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수신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로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운용 서버(30)를 포함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유니트(20)는: 상기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한 단말 감지부(21)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밴드 감지 신호를 통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말 제어부(22)와, 상기 단말 제어부(22)의 단말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 디스플레이(271)를 포함하는 단말 출력부(27)와, 상기 단말 출력부(27)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선택 입력 가능하게 하는 단말 입력부(25)와, 상기 단말 입력부(25)에 의하여 선택 입력되는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운용 서버(30)와 통신 가능하게 하는 단말 통신부(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감지부(21)는: 상기 광학 태그(15)로 광학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광학 태그(15)로부터 반사되는 광학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광학 신호로 확인 가능한 단말 광학 감지부(211)와, 상기 단말 유니트(20)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 확인하여 단말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 위치 감지부(213)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22)는 상기 단말 통신부(25)를 통하여 상기 단말 유니트(20)와 상기 운용 서버(30) 간에 웹기반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웹사이트 링크 정보를 포함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광학 감지부(211)는 카메라이고, 상기 밴드 감지 신호는 상기 단말 광학 감지부(211)를 통하여 감지 입력되는 밴드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감지부(210)는, 밴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감지하는 단말 음향 감지부(2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광학 감지부(211)는 카메라이고, 상기 밴드 감지 신호는 상기 단말 광학 감지부(211)를 통하여 감지 입력되는 밴드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입력부(25)는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271) 측에 배치되는 단말 터치 입력부(25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적어도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태깅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통신부(26)는: 상기 운용 서버(30)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단말 유무선 통신부(261)와, 상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와의 통신으로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는 패시브 RFID일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내부에 상기 광학 태그(15)가 수용 배치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맞물리어 상기 광학 태그(15)의 상부에 배치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 사이에 배치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실러(1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에는 상기 광학 태그(15)의 외측에는 사전 설정된 디스플레이 아이콘을 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아이콘 장착부(18.19)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용 서버(30)는: 지도 정보가 저장되고, 사전 설정된 사용자에 대한 밴드 고유 정보가 사전 설정된 밴드 고유 정보로 저장되는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과, 상기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송신된 밴드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IB)를 상기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사전 설정 밴드 고유 정보(IBs)와 비교 확인하는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과, 상기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송신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유니트(20)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 유니트(20) 및 상기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 유니트(40)와 통신 가능하게 하는 서버 통신 모듈(3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용 서버(30)는: 상기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에서 상기 밴드 고유 정보(IB)와 상기 사전 설정 밴드 고유 정보(IBs)가 동일하다고 판단되고, 상기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에서 상기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어 위치 확인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어러트 대응 동작을 실행하는 어러트 대응 모듈(39)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러트 대응 모듈(39)은: 상기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 유니트(40)로 어러트 보호자 신호를 송출하는 어러트 보호자 대응 동작 모듈(391)과, 상기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기관 서버(50)로 어러트 기관 신호를 송출하여 긴급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어러트 기관 대응 동작 모듈(39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적어도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가 취득되고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룰 전달받은 운용 서버(30)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에서 확인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의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의 보호자 단말 유니트(40)에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전송 단계(S40)를 포함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는: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광학 밴드 고유 정보를 취득하는 광학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1)와, 상기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감지부(210)의 단말 위치 감지부(213)에서 상기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가 수신 취득되는 단말 정보 취득 단계(S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적어도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태깅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통신부(26)는 상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와의 통신으로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는, 상기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가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취득하는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와의 사이에,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가 운용 서버(30)로 전달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는: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상기 운용 서버(30)로 전송하는 밴드 고유 정보 전송 단계(S21)와, 상기 운용 서버(30)가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 유니트(20)로 상기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 사용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사용 동의 요청을 전송하는 위치 정보 사용 동의 요청 단계(S23)와, 상기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를 상기 운용 서버(30)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전달 수신 단계(S2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는: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수신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밴드 사용자를 비교 확인하는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와, 상기 위치 정보와 사전 설정 저장된 지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운용 서버(30)의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에서 상기 단말 유니트(20)의 지도 위치를 확인하는 지도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는: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상기 광학 태그(15)로부터 취득 수신된 광학 밴드 고유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밴드 사용자를 비교 확인하는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적어도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태깅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통신부(26)는 상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와의 통신으로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는, 상기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가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취득하는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5)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는: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상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취득 수신된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밴드 사용자를 비교 확인하는 근거리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3)와, 상기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 및 상기 근거리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3)를 통하여 확인되는 상기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상기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를 비교하는 밴드 사용자 비교 확인 단계(S3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는: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상기 광학 태그(15)로부터 취득 수신된 광학 밴드 고유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하는 광학 밴드 사용자 비교 단계(S3111)와, 상기 광학 밴드 사용자 비교 단계(S3111)에서 상기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상기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 중의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말 유니트(20)로 긴급 연결 상태를 실행하는 긴급 연결 모드를 설정하는 긴급 연결 모드 설정 단계(S31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밴드 사용자 비교 확인 단계(S315)는: 상기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에서 확인된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상기 근거리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3)에서 확인된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를 비교하는 취득 밴드 고유 정보 비교 단계(S3151)와, 상기 취득 밴드 고유 정보 비교 단계(S3151)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실행되어야 하는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S315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단계(S3152)는 상기 취득 밴드 고유 정보 비교 단계(S3151)에서 상기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상기 근거리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확인된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의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로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캔 알림 모드를 설정하는 스캔 알림 모드 설정 단계(S315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취득 밴드 고유 정보 비교 단계(S3151)에서 상기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상기 근거리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가 일치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말 유니트(20)로 밴드 사용자의 화상 정보 송출을 요청하는 밴드 사용자 화상 정보 요청 모드 설정 단계(S315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밴드 사용자에 대한 신고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 후, 상기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이 실행되는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 단계(S60)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운용 서버(30)의 어러트 대응 모듈(39)이 상기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 단계(S60)에서 입력된 밴드 고유 정보 신고 데이터를 확인하여 대응하는 어러트 대응 유형을 확인하는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어러트 대응 확인 단계(S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러트 대응 확인 단계(S70)에서 확인된 어러트 대응 유형에 따라, 상기 운용 서버(30)의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기관 서버(50)로 어러트 기관 신호를 송출하여 긴급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어러트 기관 신고 전송 단계(S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러트 대응 확인 단계(S70)에서 확인된 어러트 대응 유형에 따라, 상기 운용 서버(30)의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기관 서버(50)로 어러트 기관 신호를 송출하여 긴급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어러트 기관 신고 전송 단계(S80)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 유니트(40)에 어러트 보호자 신고 정보를 전송하는 어러트 보호자 신고 정보 전송 단계(S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러트 대응 확인 단계(S70)에서 확인된 어러트 대응 유형에 따라, 상기 운용 서버(30)의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기관 서버(50)로 어러트 기관 신호를 송출하여 긴급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어러트 기관 신고 전송 단계(S80)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 유니트(20)에 어러트 보호자 신고 정보의 전달 완료를 알리는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완료 안내 전송 단계(S1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는: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상기 운용 서버(30)로 전송하는 밴드 고유 정보 전송 단계(S21)와, 상기 운용 서버(30)가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 유니트(20)로 상기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 사용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사용 동의 요청 및 상기 밴드 사용자에 대한 신고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정보 사용 동의 및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요청 단계(S24)와, 상기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에 대하여 응답하는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을, 상기 운용 서버(30)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 및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 정보 전달 수신 단계(S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운용 서버(30)의 어러트 대응 모듈(39)이 입력된 밴드 고유 정보 신고 데이터를 확인하여 대응하는 어러트 대응 유형을 확인하는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어러트 대응 확인 단계(S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고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광학 태그(15)를 구비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와, 상기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한 단말 유니트(20)와, 상기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수신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로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운용 서버(30)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내부에 상기 광학 태그(15)가 수용 배치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는 합성 수지재, 종이재, 실리콘재 및 필름재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고,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태깅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3)를 포함하는 액티브 RFID인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구비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와, 상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3)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한 단말 유니트(20-4)와, 상기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수신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로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운용 서버(30)를 포함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용 서버(30)가 밴드 사용자의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 유니트(40)로부터 긴급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장치(20)로 단말 스캔 요청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단말 장치(20)의 단말 통신부(26)는 상기 단말 스캔 요청 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주위 스캔을 실행하여 상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와 통신 실행하는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유니트(20)는: 적어도 상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3)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한 단말 감지부(21)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밴드 감지 신호를 통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말 제어부(22)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전송 가능하도록 상기 운용 서버(30)와 통신 가능하게 하는 단말 통신부(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광학 태그(15)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20)는 상기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20)는: 상기 단말 제어부(22)의 단말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 디스플레이(271)를 포함하는 단말 출력부(27)와, 상기 단말 출력부(27)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선택 입력 가능하게 하는 단말 입력부(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통신부(26)는 상기 단말 입력부(25)에 의하여 선택 입력되는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에 따라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전송 가능하도록 상기 운용 서버(30)와 통신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감지부(21)는: 상기 광학 태그(15)로 광학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광학 태그(15)로부터 반사되는 광학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광학 신호로 확인 가능한 단말 광학 감지부(211)와, 상기 단말 유니트(20)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 확인하여 단말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 위치 감지부(213)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22)는 상기 단말 통신부(25)를 통하여 상기 단말 유니트(20)와 상기 운용 서버(30) 간에 웹기반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웹사이트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광학 감지부(211)는 카메라이고, 상기 밴드 감지 신호는 상기 단말 광학 감지부(211)를 통하여 감지 입력되는 밴드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감지부(210)는, 밴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감지하는 단말 음향 감지부(2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광학 감지부(211)는 카메라이고, 상기 밴드 감지 신호는 상기 단말 광학 감지부(211)를 통하여 감지 입력되는 밴드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입력부(25)는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271) 측에 배치되는 단말 터치 입력부(25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26)는, 상기 운용 서버(30)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단말 유무선 통신부(26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내부에 상기 광학 태그(15)가 수용 배치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맞물리어 상기 광학 태그(15)의 상부에 배치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 사이에 배치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실러(1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에는 상기 광학 태그(15)의 외측에는 사전 설정된 디스플레이 아이콘을 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아이콘 장착부(18.19)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용 서버(30)는: 지도 정보가 저장되고, 사전 설정된 사용자에 대한 밴드 고유 정보가 사전 설정된 밴드 고유 정보로 저장되는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과, 상기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송신된 밴드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IB)를 상기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사전 설정 밴드 고유 정보(IBs)와 비교 확인하는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과, 상기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송신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유니트(20)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 유니트(20) 및 상기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 유니트(40)와 통신 가능하게 하는 서버 통신 모듈(3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용 서버(30)는: 상기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에서 상기 밴드 고유 정보(IB)와 상기 사전 설정 밴드 고유 정보(IBs)가 동일하다고 판단되고, 상기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에서 상기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어 위치 확인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어러트 대응 동작을 실행하는 어러트 대응 모듈(39)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러트 대응 모듈(39)은: 상기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 유니트(40)로 어러트 보호자 신호를 송출하는 어러트 보호자 대응 동작 모듈(391)과, 상기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기관 서버(50)로 어러트 기관 신호를 송출하여 긴급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어러트 기관 대응 동작 모듈(39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적어도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고유 태깅 고유 정보가 취득되고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룰 전달받은 운용 서버(30)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에서 확인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의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의 보호자 단말 유니트(40)에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전송 단계(S40)를 포함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운용 서버(30)에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 장치(40)로부터 긴급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긴급 요청 신호 단계(S110)와, 상기 보호자 단말 장치(40)로부터 상기 긴급 요청 신호가 송신되어 수신한 상기 운용 서버(30)는 상기 긴급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밴드 사용자에 대하여 사전 설정 지역의 사전 설정 지역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에 단말 스캔 요청 정보를 산출하고 단말 스캔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와,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가 수신된 단말 스캔 요청 신호에 따라 코드 아담 스캔 신호를 송출하는 밴드 스캔 단계(S130)와,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의 코드 아담 스캔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적어도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고유 태깅 고유 정보가 취득되고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가 운용 서버(30)로 전달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룰 전달받은 운용 서버(30)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에서 확인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의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의 보호자 단말 유니트(40)에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전송 단계(S40)를 포함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는: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수신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밴드 사용자를 비교 확인하는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와, 상기 위치 정보와 사전 설정 저장된 지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운용 서버(30)의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에서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의 지도 위치를 확인하는 지도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는: 상기 긴급 요청 단계(S110)에서 입력되는 밴드 사용자의 실종 시간과, 상기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에 포함되는 보행 속도와 보행 지속 시간를 포함하는 보행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 스캔 요청 준비 확인 단계(S121)와, 상기 밴드 사용자의 실종 시간과, 상기 보행자 정보로부터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의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를 설정하는 단말 스캔 요청 범위 확인 단계(S123)와, 상기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및 상기 밴드 사용자에 대응하는 단말 스캔 요청 정보를 송출하는 단말 스캔 실행 요청 신호 송출 단계(S12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밴드 스캔 단계(S130)는: 상기 단말 스캔 요청 정보의 상기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는 복수 개의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가 수신된 단말 스캔 요청 정보의 상기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의 복수 개의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순서 정보 중 최소 적용 범위에 대한 이니셜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에 따라 코드 아담 스캔 신호를 송출하는 밴드 스캔 이니셜 단계(S131)와, 상기 밴드 스캔 이니셜 단계(S131)의 실행 후, 사전 설정 시간 내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니셜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다음 단계에 따라 코드 아담 스캔 신호를 송출하는 밴드 스캔 익스펜더블 단계(S1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간편하고 휴대성이 강화된 포지션 트랙킹 밴드와 스마트폰 등의 단말 유니트를 통한 운용 서버로의 밴드 고유 정보의 태그 스캔 및 위치 정보 전송을 가능하게 하여, 보호 대상자, 특히 인지 장애 노인들의 휴대성 및 착용성 증진을 통한 비착용으로 인한 보호 대상자의 확인 불가 내지 확인에 사용되는 시간의 최소화를 통하여 보호 관찰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장치의 간소화를 통한 비용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간편하고 휴대성이 강화된 포지션 트랙킹 밴드와 스마트폰 등의 단말 유니트를 통한 운용 서버로의 밴드 고유 정보의 태그 스캔 및 위치 정보 전송을 가능하게 하여, 장치의 간소화를 통한 비용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보호 대상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광학 태그의 스캔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의 스캔을 통하여 신원 확인의 정합성을 극대화시키고 부정합시 발생하는 위험성에 따른 대처 조치를 용이 및 신속하게 할 수도 있다.
넷째,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액티브 RFID 타입의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여 밴드 사용자가 배회 등의 상태인 긴급 대응이 필요한 경우 보호자의 요청에 따른 모바일 상태 내지 특정 지역에서의 신호 반응을 통한 밴드 사용자의 위치 확인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의 전체적인 내지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및 흐름도이다.
도 20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의 전체적인 내지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및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구성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히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후술하는 본 발명에 소요되는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 사용자 I/F, 운영체제(미도시) 및 각종 필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통신포트, 인쇄장치 I/F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의 집합체 형태로 독자적인 기기나 범용 처리장치의 일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 통신망 내지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어 LTE, LTE-A, 5G, WCDMA, CDMA, UMTS, Wibro, GS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통신 유형을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Metropolitan Area Network_, 광역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통신, 통신망,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도 있고,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내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energy)와 RF 무선 통신을 다양한 통신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제어 시스템(1)은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와 단말 유니트(20)와 운용 서버(30)를 포함하고,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다. 여기서, 밴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유아, 어린이, 노인, 특히 고령 노인, 치매 노인 등 보호 관찰이 요하거나 바람직한 사람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광학 태그(15)를 포함할 수 있는데, 광학 태그(15)는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 태그(15)는 QR 코드 등의 광학적 현상을 통하여 정보 전달이 가능한 형태의 태그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QR 코드 이외에 광학적 현상을 이용하는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앙한 변형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광학 태그(15)는 QR 코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를 포함하는데, 경우에 따라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 포지션 트랙킹 밴드 실러(13), 포지션 트랙킹 밴드 기판(16)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를 포함한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는 내부에 광학 태그(15)가 수용 배치된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실리콘, 합성 수지 형태의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종이재 내지 필름재 형태의 박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는 밴드 메인 바디(111)와 밴드 메인 스트랩(113)을 포함한다. 밴드 메인 바디(111)는 본 실시예에서 장방형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예로서 다양한 형상의 설계 변형이 가능하다.
밴드 메인 바디(111)의 일면 중앙 부위에는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112)가 배치된다.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112)에는 다른 구성요소가 안착 수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112)의 내측면에는 후술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의 맞물림 수용을 위한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 장착부(114)가 형성된다.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 장착부(114)는 본 실시예에서 수용 홈 형상으로 구성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돌기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선택적 변형이 가능하다.
밴드 메인 바디(111)의 양단에는 밴드 메인 스트랩(113)이 배치된다. 밴드 메인 스트랩(113)은 밴드 사용자의 손목 등을 감싸 착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데, 밴드 스트랩(113)의 일측에는 밴드 스트랩 장착부(1131)가 구비되고, 밴드 스트랩(113)의 다른 일단의 길이 상에는 밴드 스트랩 장착 대응부(1133)가 배치된다. 밴드 스트랩 장착 대응부(1133)는 복수 개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밴드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충분한 대응이 가능하며 범용적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밴드 스트랩 장착부와 밴드 스트랩 장착 대응부는 고리와 구멍 맞물림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밴드 메인 스트랩 자체가 탄성 변형 가능하고 가요성 구조의 원형 띠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를 포함한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맞물리어 광학 태그(15)의 상부에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광학 태그(15)가 직접 밴드 메인 바디 내지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에 직접 각인 내지 인쇄 형성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을 배제 내지 선택 취합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포지션 트랙킹 밴드(110)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를 포함하고,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는 다른 구성요소를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112)에 수용 고정 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의 외주 측단에는 밴드 커버 장착부(124)가 구비되는데, 밴드 커버 장착부(124)는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 장착부(114)와 맞물림 구조를 형성한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는 하부의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의 내부의 투영이 가능한 투명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밴드 커버 장착부(124)는 돌기 구조를 취하고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 장착부(114)는 대응하여 수용홈 구조를 취하나 이들은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실러(13)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 사이에 배치된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실러(13)는 본 실시예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페루프 구조를 이루는데, 포지션 트랙킹 밴드 실러(13)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 사이에 배치되어, 양 구성요소의 사이 간극에 끼움 구조를 형성하여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112)의 내부 공간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112)의 내부 공간으로 수분 내지 이물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실러(13)는 실리콘, 합성 수지 등의 재료로 선택될 수 있는데,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 사이의 간극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재료의 선택이 가능하다.
광학 태그(15)는 별개물로 내지는 다른 구성에 직접 각인 형성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에 배치되는 범위에서 변형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 광학 태그(15)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의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112)에 별도의 구성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광학 태그(15)는 일면 상에 광학 태그 정보가 각인 내지 인쇄된 형태의 블록 내지 칩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14)를 더 포함하는데,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14)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의 사이에 개재되어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데,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14)와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 사이에는 광학 태그(15)가 인식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14) 사이에는 하기되는 다른 구성요소 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14)에는 미디엄 바디 태그 장착부(141)가 형성되고, 미디엄 바디 태그 장착부(141)에 광학 태그(15)가 안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엄 바디 태그 장착부(141)는 관통구 구조를 이루나 이는 광학 태그(15)의 배치 구조의 일예일 뿐, 미디엄 바디 태그 장착부는 단순한 요홈 구조 내지 단순 배치 위치로만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14)에 형성되는 미디엄 바디 태그 장착부(141)의 외측에는 디스플레이 아이콘 장착부(18.19)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아이콘 장착부(18.19)는 미디엄 바디 태그 장착부(141)의 외부 일면 상의 영역으로 광고 문구 내지 로고 등의 외부로 표시하고자 하는 사항 등이 표현될 수 있는 영역을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아이콘 장착부(18.19)는 미디엄 바디 태그 장착부(141)의 외측 일면 상에 형성되는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가 별도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아이콘 장착부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 내지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에 직접 형성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음은 앞서 기술한 사항들로부터 명백하다.
한편,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은 단말 유니트(20)를 포함한다. 단말 유니트(20)는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유니트(20)는 단말 감지부(21)와, 단말 제어부(22)와, 단말 출력부(27)와, 단말 입력부(25)와, 단말 통신부(26)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 유니트(20)의 구성 유형은 본 발명의 단말 유니트(20)의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에서 특정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유니트(20)는 스마트폰(20-1) 내지 태블릿과 같은 이동 단말 장치일 수도 있고, 노트북(20-2)과 같은 PC 형태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을 위한 별도의 전용 단말 장치(20-3)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유니트(20)는 스마트폰(20-1)의 휴대폰 유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감지부(21)는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한다. 밴드 고유 정보는 밴드 사용자에 대한 밴드 사용자 고유 번호 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밴드 사용자 고유 번호 코드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 예를 들어 성명, 생년월일, 주소, 보호자 연락처, 밴드 대상자 복약 정보, 밴드 대상자 주의 정보 등의 밴드 대상자 특이 정보 등을 포함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는 운용 서버(30) 측에 저장될 수 있다.
단말 감지부(21)를 통하여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는 단말 제어부(22) 측으로 전달된다. 단말 제어부(22)는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감지부(21)로부터 감지되는 밴드 감지 신호를 통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제어부(22)와 하기되는 운용 서버(30) 간에는 웹 기반 서비스로 구현되어, 단말 유니트(20)에 별도의 구동 실행 앱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단말 유니트(20)는 웹 기반 운영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운용 서버(30)와 신호의 송수신 상태 형성도 가능하다.
단말 출력부(27)는 단말 디스플레이(271)를 포함하는데, 단말 디스플레이(271)는 단말 제어부(22)의 단말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출력부(27)는 웹 기반 운영 방식으로 네트워크 통한 송수신 방식을 취하는 점에서 단말 디스플레이(271)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단말 출력부(27)는 이외에도 다른 출력 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단말 입력부(25)는 단말 출력부(27)를 통하여 입력되는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선택 입력 가능하게 한다. 단말 유니트(20)가 스마트폰(20-1)으로 구현되는본 실시예에서 단말 입력부(25)는 단말 터치(251)와 단말 입력 포트(253)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터치(251)는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폰(20-1)으로 구현되는 단말 유니트(20)의 터치 스크린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입력부(25)는 단말 터치(251)와 단말 입력 포트(253)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입력 기능을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단말 통신부(26)는 단말 입력부(25)에 의하여 선택 입력되는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운용 서버(30)와 통신 가능한다. 단말 통신부(26)의 통신 유형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어 LTE, LTE-A, 5G, WCDMA, CDMA, UMTS, Wibro, GS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통신 유형을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통신망과 다양한 통신 방법이 포함될 수도 있음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제어부(22)는 단말 통신부(25)를 통하여 단말 유니트(20)와 운용 서버(30) 간에 웹기반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음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한데, 단말 통신부(25)를 통하여 단말 유니트(20)와 운용 서버(30) 간에 단말 제어부(22)에 의한 웹기반 데이터 통신이 실행되는 경우,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밴드 사용자의 밴드 사용자 고유 번호 코드 등으로 구현되는 밴드 고유 정보에 해당하는 밴드 고유 정보는 웹기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운용 서버(30)와의 연결을 위한 웹사이트 링크 정보를 포함하고, 밴드 고유 정보 중의 웹사이트 링크 정보는 단말 제어부(22)를 통하여 단말 출력부(27)의 단말 디스플레이(271) 상에 화상 표시되고 단말 입력부(25)의 단말 터치(251)를 통하여 링크 연결되어 정보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술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감지부(21)는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감지부(21)는 단말 광학 감지부(211)와 단말 위치 감지부(2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광학 감지부(211)는 광학 태그(15)로 광학 신호를 송출하고 광학 태그(15)로부터 반사되는 광학 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송신 및 반사 수신된 광학 신호를 통하여 단말 광학 감지부(211)는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단말 광학 감지부(211)에 직접 디코딩 모듈이 구비되어 직접 밴드 고유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수신된 광학 신호가 단말 제어부(22)로 전달되어 단말 제어부(22)에서 광학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밴드 고유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단말 위치 감지부(213)는 단말 유니트(20)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 확인한다. 단말 위치 감지부(213)는 GPS로 구현되는데, 단말 위치 감지부(213)는 통신사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LBS 등의 방식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단말 위치 감지부(213)는 단말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위치 정보는 단말 제어부(22)로 전달되어, 궁극적으로 단말 유니트(20)의 사용자와 함께 있는 밴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취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광학 감지부(211)는 카메라로 구현된다. 단말 광학 감지부(211)가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소정의 과정을 통하여 카메라로 구현되는 단말 광학 감지부(211)를 통하여 밴드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이미지, 즉 밴드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단말 유니트(20)가 취득하는 밴드 감지 신호는 광학 태그(15)를 통하여 취득되는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와 더불어 단말 광학 감지부(211)를 통하여 감지 입력되는 밴드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가 함께 단말 통신부(26)를 통하여 운용 서버(30)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단말 감지부(21)는 단말 광학 감지부(211)와 단말 위치 감지부(213)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단말 감지부(21)는 단말 광학 감지부(211)와 단말 위치 감지부(213) 이외에도 다양한 감지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단말 감지부(210)는 단말 음향 감지부(215)를 포함할 수 있는데, 단말 음향 감지부(215)는 밴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감지한다.
이때, 단말 광학 감지부(211)가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소정의 과정을 통하여 카메라로 구현되는 단말 광학 감지부(211)를 통하여 밴드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동영상 이미지, 즉 밴드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 이외 동영상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단말 유니트(20)가 취득하는 밴드 감지 신호는 광학 태그(15)를 통하여 취득되는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와 더불어 단말 광학 감지부(211)를 통하여 감지 입력되는 밴드 사용자의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 및 단말 음향 감지부(215)를 통하여 취득되는 밴드 사용자의 음성 정보가 함께 단말 통신부(26)를 통하여 운용 서버(30)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와 단말 유니트(20)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광학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광학 태그(15) 및 단말 감지부(21)로서의 단말 광학 감지부(211)가 구비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와 단말 유니트(20) 간에는 광학 태그/단말 광학 감지부 이외에도 신호 송수신을 이루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포함하고,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통신부(26)는 단말 유무선 통신부(261) 이외에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단말 통신부(26)는 단말 유무선 통신부(261)를 포함하고, 단말 유무선 통신부(261)는 운용 서버(30), 보다 구체적으로 운용 서버(30)의 서버 통신 모듈(37)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이루는데, 이와 더불어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통신부(26)는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를 더 구비하고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포함한다.
즉,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는, 적어도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태깅 고유 정보가 포함, 즉 저장되어 있다. 즉,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1)와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73)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는 패시브 RFID의 구성을 취할 수 있는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1)는 본 실시예에서 패시브 RFID 기능 구현을 위한 무선 통신 제어칩으로 구현되고,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73)는 적어도 일부가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1)에 연결되어,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통신부(26)의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와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루는 가능하도록 신호 수신을 이루는 구조를 취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는 패시브 RFID 타입으로, RFID 리더기로서의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에 의하여 전자기 유도되어 활성화되는 구성을 취하고,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1) 내에 구비되는 밴드 태깅 고유 정보인 밴드 고유 정보가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73)를 통하여 송출되고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73) 및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271)를 통하여 수신된다.
경우에 따라,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73)와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1)는 별도의 일체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73)와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1)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기판(16) 상에 배치되는데, 포지션 트랙킹 밴드 기판(16)은 본 실시예에서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의 사이에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 사이에 배치되고, 포지션 트랙킹 밴드 기판(16)은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112)에 수용 배치된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기판(16)은 통상적인 PCB 기판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이 밖에도 FPCB 형태의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 및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7)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밴드 고유 정보 취득이 가능하다. 이는 독자적인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 취득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광학 태그를 통한 광학적 신호 확인과 더불어 전자기 신호 확인을 통한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 취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밴드 고유 정보 취득 과정 상에서의 오류 내지 단지 광학 태그의 이미지 정보만을 이용한 원치 않는 불상 사태를 방지하는 인증 기능의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는 등 보다 정확한 밴드 사용자 확인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은 포지션 트래킹 밴드(10)와 단말 유니트(20)와 더불어 운용 서버(30)를 포함한다. 운용 서버(30)는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수신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로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운용 서버(30)를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로부터 단말 유니트(20)에 의하여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는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통신부(26)의 단말 무선 통신부(261)를 통하여 운용 서버(30)로 전송되고 운용 서버(30)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에 대한 정보, 즉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한 밴드 대상자 연락처로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밴드 대상자 연락처, 즉 보호자의 단말 유니트(40)로 네트워크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 즉 문자 등의 알림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 통신부(26)의 단말 무선 통신부(261)을 구비하는 경우를 기술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단말 유선 통신부가 구비될 수도 있고, 유무선 통합 형태의 단말 유무선 통신부가 구비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용 서버(30)는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과,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과,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과, 서버 통신 모듈(37)를 포함한다.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는 지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은 하기되는 위치 정보 확인 모듈(36)에서 사용되는 위치 정보의 지도 정보로의 전환 기능시 사용될 수 있는데,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위치 감지부(213)에서 취득되는 GPS 정보, 즉 GPS 좌표 정보는 위치 정보 확인 모듈(36)에서 지도 정보와의 매칭을 통하여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위치 정보로 전환될 수 있다.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는 사전 설정된 사용자에 대한 밴드 고유 정보 및/또는 밴드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사용자 정보/밴드 유니트 정보/밴드 대상자 정보도 사전 설정된 밴드 고유 정보로 저장된다. 즉, 포지션 트랙킹 밴드(10) 및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수신되는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 내지 밴드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사용자 정보 내지 밴드 대상자 정보 내지 밴드 유니트 정보가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사전 설정 밴드 고유 정보로 저장됨으로써, 스캔 취득된 밴드 사용자가 누구인지 및/또는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 유니트의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는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송신된 밴드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밴드 고유 정보(IB)를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사전 설정 밴드 고유 정보(IBs)와 비교 확인한다. 즉, 포지션 트랙킹 밴드(10) 및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수신되는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를 도면 부호 IB라 하고,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저장 데이터로서 사전 설정 밴드 고유 정보를 도면 부호 IBs할 할 때,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은 밴드 고유 정보(IB)를 사전 설정 밴드 고유 정보(IBs)와 비교 확인한다.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은 밴드 고유 정보(IB)와 사전 설정 밴드 고유 정보(IBs)의 비교 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작동 단계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의 제어 과정은 후술된다.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은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유니트(20)의 위치를 확인한다. 즉,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은 GPS 신호 내지 GPS 좌표 신호 데이터를 지도 정보를 활용하여 본 시스템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지도 정보, 즉 지역 명칭 내지 지번, 내지 도로명 주소 등의 인지 가능한 형태의 공간 지도 정보로 절환시킬 수도 있다.
서버 통신 모듈(37)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단말 유니트(20) 및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 유니트(40)와 통신 가능하게 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단말 유니트(20)는 무선을 기반으로 하나 경우에 따라 유선/유무선 통신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바, 서버 통신 모듈(37)은 단말 유니트(20)와의 통신을 통한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 등을 수신하고, 단말 유니트(20)로 수신 확인을 안내하거나 보호자 단말 유니트(40)로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한다.
경우에 따라, 운용 서버(30)는 어러트 대응 모듈(3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어러트 대응 모듈(39)는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에서 밴드 고유 정보(IB)와 사전 설정 밴드 고유 정보(IBs)가 동일하다고 판단되고,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에서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어 위치 확인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어러트 대응 동작을 실행하게 한다 .
보다 구체적으로 어러트 대응 모듈(39)은 어러트 보호자 대응 동작 모듈(391)과, 어러트 기관 대응 동작 모듈(393)를 포함한다. 어러트 보호자 대응 동작 모듈(391)은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보호자 단말 유니트(40)로 어러트 보호자 신호를 송출하고, 어러트 기관 대응 동작 모듈(393)은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기관 서버(50)로 어러트 기관 신호를 송출하여 긴급 대응 조치를 취한다. 즉, 어러트 대응 모듈(39)은 밴드 사용자와 함께 있는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유니트 사용자가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를 통하여 밴드 고유 정보를 취득하고, 밴드 고유 정보에 포함된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 즉 웹사이트 링크 정보를 통하여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이루는 과정에서, 긴급 보호 조치를 위한 신고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단말 유니트 사용자의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전달 수신되는 긴급 보호 조치 내지 신고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서버 통신 모듈(37)이 수신하여 어러트 기관 대응 동작 모듈(393)로 전달되고, 어러트 기관 대응 동작 모듈(393)는 사전 설정된 방식으로 119 내지 112 등의 기관의 기관 서버(50)로 신고 실행을 하는 등 사전 설정된 대응 어러트 동작을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앞선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와,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전송 단계(S40)를 포함한다.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는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적어도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가 취득되고 위치 정보가 수신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는 광학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1)와, 단말 정보 취득 단계(S13)를 포함한다. 광학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1)에서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광학 밴드 고유 정보가 취득된다.
즉, 단말 유니트 사용자의 단말 유니트(20)에는 단말 감지부(21)의 단말 광학 감지부(211)가 구비되는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의 광학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1)에서 단말 제어부(22)의 광학 태그 제어 신호에 의하여 가동되고 단말 광학 감지부(211)는 광학 태그(15)를 향하여 빛을 출사시키고 광학 태그(15)에서 반사되는 광학 신호를 감지하여 단말 제어부(22)로 전달한다.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단말 감지부(21)의 단말 광학 감지부(211)를 통하여 밴드 고유 정보가 취득되고, 이는 단말 감지부(21)로부터 단말 제어부(22)로 전달된다.
그런 후,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제어부(22)는 단말 감지부(21)로부터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 정보 취득 단계(S13)가 실행된다. 즉, 단말 정보 취득 단계(S13)에서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제어부(22)는 단말 감지부(210)의 단말 위치 감지부(213)에서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가 수신 취득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단말 위치 감지부(213)는 GPS 센서일 수도 있고, LBS 방식의 위치 감지 구조 센서일 수도 있고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밴드 고유 정보와 단말 유니트의 위치 정보가 취득된 후, 취득된 정보는 운용 서버(30)로 전달된다. 즉, 단말 제어부(20)는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와 단말 위치 정보를 운용 서버(30)로 전송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가 실행된다.
즉,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에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운용 서버(30)로 전달되는데,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의 전송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다양한 송출 방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실시예의 변형적 형태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는 밴드 고유 정보 전송 단계(S21)와, 위치 정보 사용 동의 요청 단계(S23)와, 위치 정보 전달 수신 단계(S2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밴드 고유 정보 전송 단계(S21)에서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제어부(22)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를 운용 서버(30)로 전송한다.
그런 후, 위치 정보 사용 동의 요청 단계(S23)가 실행된다. 위치 정보 사용 동의 요청 단계(S23)에서 운용 서버(30)가 밴드 고유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 유니트(20)로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 사용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사용 동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즉, 개인 정보로서의 위치 정보의 사용 여부에 대한 동의 요청이 이루어지는데, 그런 후 위치 정보 전달 수신 단계(S25)가 실행된다. 위치 정보 전달 수신 단계(S25)에서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송신되는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가 운용 서버(30)로 전송되어 운용 서버(30)가 이를 수신한다.
그런 후,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에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룰 전달받은 운용 서버(30)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는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와 지도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3)를 포함하는데,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는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수신된 밴드 고유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밴드 사용자를 비교 확인한다.
이때,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는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에서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광학 태그(15)로부터 취득 수신된 광학 밴드 고유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밴드 사용자가 비교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 내지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의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에서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사용자의 정보가 확인된 후, 운용 서버(30)는 지도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3)를 실행할 수 있다.
지도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3)에서 운용 서버(30)는 위치 정보와 사전 설정 저장된 지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운용 서버(30)의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에서 단말 유니트(20)의 지도 위치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형태의 지도 위치 정보로 변환하여 보호 단말 유니트(40)의 보호자에게 접근 가능한 위치 정보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밴드 사용자의 정보 확인 및 위치가 최종적으로 확인된 후, 운용 서버(30)는 밴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보호 단말 유니트의 보호자에게 전송한다. 즉, 운용 서버(30)는 운용 서버(40)의 서버 통신 모듈(37)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전송 단계(S40)를 실행하는데,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전송 단계(S40)에서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에서 확인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의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 즉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 보다 정확하게 보호자의 보호 단말 유니트(40)로 현재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를 착용한 보호 대상자의 위치 확인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리는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가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은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알림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부가적 알림, 즉 본 실시예에서 어러트 기능의 실행이 가능할 수도 있다. 즉, 밴드 사용자의 위치 스캔 사실 내지 현재 위치 정보를 보호자에게만 통지하는 것이 아니라, 경찰서 내지 소방서 등의 정부 공기관에 보호 조치 요청 실행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은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에서 밴드 사용자에 대한 신고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단계 S20에서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와 단말 유니트의 단말 위치정보가 송신되고 단계 S30에서 운용 서버(30)가 이를 수신한 후, 경우에 따라 운용 서버(30)는 단말 유니트(20) 측으로 별도의 신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가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단말 유니트(20)로 전송되는 웹기반 웹사이트 화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별도의 신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신고 여부 버튼, 예를 들어 110, 112 내지 119 등의 정부 내지 공적 기관의 비상 연락처가 표시되어 정부 기관 내지 공적 기관으로의 신고 여부를 알리기 위한 활성화 버튼이 형성된 웹페이지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 후,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이 실행되는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 단계(S60)가 실행될 수 있다. 즉, 단말 유니트(20)의 사용자가 신고 활성화 버튼을 입력 활성화시키는 경우,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어러트 대응 확인 단계(S70)를 실행할 수 있다.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어러트 대응 확인 단계(S70)에서는 운용 서버(30)의 어러트 대응 모듈(39)이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 단계(S60)에서 입력된 밴드 고유 정보 신고 데이터를 확인하여 대응하는 어러트 대응 유형이 확인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러트 대응 유형은 각 정부 기관의 연락처 유형에 따라 분류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설계 사양에 따라 현재 밴드 사용자의 신체 내지 정신 상태 등에 따른 대응 유형으로 분류하여 단순 신고만 이루는 단순 신고 어러트 대응 모드 내지 신고와 더불어 병원의 앰뷸런스의 호출을 위한 긴급 구조 어러트 대응 모드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런 후, 운용 서버(30)는 어러트 기관 신고 전송 단계(S80)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운용 서버(30)는 어러트 기관 신고 전송 단계(S80)를 실행하여, 어러트 대응 확인 단계(S70)에서 확인된 어러트 대응 유형에 따라, 운용 서버(30)의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사전 설정된 정부 내지 공공 기관의 기관 서버(50)로 어러트 기관 신호를 송출하여 긴급 대응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상 상태, 즉 어러트 대응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이의 상황을 보호자에게 알리는 단계의 실행이 구비될 수 있는데, 운용 서버(30)는 어러트 보호자 신고 정보 전송 단계(S90)를 실행할 수 있다. 운용 서버(30)는 어러트 기관 신고 전송 단계(S80)가 이루어지는 경우, 즉 어러트 대응 확인 단계(S70)에서 확인된 어러트 대응 유형에 따라, 운용 서버(30)의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기관 서버(50)로 어러트 기관 신호를 송출하여 긴급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어러트 기관 신고 전송 단계(S80)를 실행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 유니트(40)에 어러트 보호자 신고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통하여 현재 밴드 사용자에 대하여 취해진 추가적 대응 조치 여부 및/또는 후속적으로 취해야 할 연락처 등의 정보 제공을 이룰 수도 있다.
이러한 일련의 비상 상태의 어러트 대응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이러한 어러트 대응 모드의 실행을 직접 요청한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는데, 운용 서버(30)는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완료 안내 전송 단계(S100)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어러트 대응 확인 단계(S70)에서 확인된 어러트 대응 유형에 따라, 운용 서버(30)의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기관 서버(50)로 어러트 기관 신호를 송출하여 긴급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어러트 기관 신고 전송 단계(S80)를 실행하는 경우, 운용 서버(30)는 단말 유니트(20)에 일련의 어러트 대응을 위한 신고가 완료되었다는 기관 신고 정보 및/또는 보호자 신고 정보의 전달 완료를 알릴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계 S90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가 보호자의 연락처의 제공을 사전 동의한 경우, 단말 유니트(20) 측으로 보호자의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여 긴급 통화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앞서 기술된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 이하의 단계가 순차적으로 통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와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가 분리되는 구조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의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와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전송 단계와 함께 내지 연이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에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전송 단계가 통합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데, 앞선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의 변형예로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a)가 구비될 수도 있다.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a)는 밴드 고유 정보 전송 단계(S21)와, 위치 정보 사용 동의 및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요청 단계(S24)와, 위치 정보 및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 정보 전달 수신 단계(S26)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 고유 정보 전송 단계(S21)는 앞서 기술된 단계와 동일하게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를 운용 서버(30)로 전송하게 되고, 위치 정보 사용 동의 및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요청 단계(S24)에서 운용 서버(30)가 밴드 고유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 유니트(20)로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 사용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사용 동의 요청 및 밴드 사용자에 대한 신고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밴드 사용자에 대한 신고를 실행하는 경우 위치 정보도 같이 전송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특별한 어러트 대응없이 단순 위치 정보만 전송하여 본 시스템의 서비스 운용자와 보호자에게만 조치를 취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119, 110 등의 정부 내지 공공 기관의 연락처 정보가 기재된 활성화 가능한 버튼 형태의 정보가 단말 유니트(20) 상에 표시되도록 웹사이트 화상 정보의 형태로 표시 구현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사용 동의 및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요청 단계(S24)가 이루어진 후, 위치 정보 및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 정보 전달 수신 단계(S26)가 실시된다. 위치 정보 및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 정보 전달 수신 단계(S26)에서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송신되는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와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에 대하여 응답하는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이 운용 서버(30)에서 수신된다.
이와 같이,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입력이 실행되는 경우, 운용 서버(30)의 어러트 대응 모듈(39)이 입력된 밴드 고유 정보 신고 데이터를 확인하여 대응하는 어러트 대응 유형을 확인하는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어러트 대응 확인 단계(S70)를 실행하고 이의 후속 단계는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 내지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는 광학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1)와 단말 정보 취득 단계(S13)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 및 이의 제어 방법은 광학적인 방법 이외에도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한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 취득이 가능하고, 이의 단독적 내지 광학적 취득 방식과의 복합적 이용을 통한 크로스체크 내지 인증 용도 활용도 가능하다.
즉,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적어도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태깅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통신부(26)는 앞서 언급된 운용 서버(30)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단말 유무선 통신부(261)와 더불어,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와의 통신으로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기술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는, 단계 S11 및 S13 이외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5)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5)에서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가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때, 앞서 기술된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는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 이외, 근거리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3)와, 밴드 사용자 비교 확인 단계(S3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근거리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3)에서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취득 수신된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가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되고, 이의 비교 결과를 통하여 해당 밴드 사용자가 비교 확인될 수 있다.
그런 후, 밴드 사용자 비교 확인 단계(S315)가 실행되는데, 밴드 사용자 비교 확인 단계(S315)에서는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 및 근거리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3)를 통하여 확인되는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가 비교된다. 이러한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실제 밴드 사용자를 통한 광학 밴드 고유 정보의 취득이 이루어진 것인지 여부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의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에서는,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광학 태그(15)로부터 취득 수신된 광학 밴드 고유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밴드 사용자가 비교 확인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는 경우에 따라 보다 세분화된 하부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는 광학 밴드 사용자 비교 단계(S3111)와, 긴급 연결 모드 설정 단계(S31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광학 밴드 사용자 비교 단계(S3111)에서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광학 태그(15)로부터 취득 수신된 광학 밴드 고유 정보가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된다.
광학 밴드 사용자 비교 단계(S3111)에서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광학 태그(15)로부터 취득 수신된 광학 밴드 고유 정보가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 결과, 서로 고유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취득 수신된 광학 밴드 고유 정보가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 긴급 연결 모드 설정 단계(S3113)가 실행된다.
즉, 광학 밴드 사용자 비교 단계(S3111)에서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 중의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 유니트(20)로 긴급 연결 상태를 실행하는 긴급 연결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즉, 긴급 연결 모드 설정 단계(S3113)에서는, 광학적인 방식으로 스캔되어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와, 운용 서버(30) 측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의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비정상적인 상태의 경우 서비스 운용자 측에서 단말 유니트의 단말 유니트 사용자 측으로 직접적인 연락을 가능하게 하여 대응 조치 마련을 가능하게 하는 긴급 연결 모드 설정 단계(S3113)를 실행함으로써, 현재의 밴드 사용자에 인접한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유니트 사용자와의 통화를 통한 불일치로 인한 현재 상태에 대한 긴급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상황 제공을 이룰 수도 있다.
반면, 광학 밴드 사용자 비교 단계(S3111)에서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 중의 어느 하나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 흐름은 단계 S313으로 진행된다.
또한, 광학적 방식 이외에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한 밴드 고유 정보의 취득이 가능한 경우, 밴드 사용자 비교 확인 단계(S315)는 취득 밴드 고유 정보 비교 단계(S3151)와, 모드 설정 단계(S3152)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취득 밴드 고유 정보 비교 단계(S3151)에서는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에서 확인된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근거리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3)에서 확인된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가 비교된다.
그런 후, 모드 설정 단계(S3152)에서는 취득 밴드 고유 정보 비교 단계(S3151)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실행되어야 하는 모드가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 설정 단계(S3152)는 스캔 알림 모드 설정 단계(S3153)를 포함할 수 있다. 취득 밴드 고유 정보 비교 단계(S3151)에서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근거리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실행되어야 하는 모드 설정 단계는 스캔 알림 모드 설정 단계(S3153)로 형성된다.
스캔 알림 모드 설정 단계(S3153)에서는 확인된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의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로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캔 알림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반면, 모드 설정 단계(S3152)는 밴드 사용자 화상 정보 요청 모드 설정 단계(S3155)를 포함할 수 있는데, 취득 밴드 고유 정보 비교 단계(S3151)에서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근거리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실행되어야 하는 모드 설정 단계는 밴드 사용자 화상 정보 요청 모드 설정 단계(S3155)로 형성된다. 밴드 사용자 화상 정보 요청 모드 설정 단계(S3155)에서는 단말 유니트(20)로 밴드 사용자의 화상 정보 송출이 요청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은 포지션 트랙킹 밴드, 단말 유니트 그리고 운용 서버를 포함하고 보호자 단말 유니트 측으로 밴드 고유 정보가 취득되어 스캔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앞선 실시예들에서 포지션 트랙킹 밴드는 실리콘, 합성 수지 등의 재료로 입체적으로 구현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단일의 박막 형태의 스트립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고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광학 태그(15)를 구비하는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내부에 광학 태그(15)가 수용 배치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를 포함한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의 일면 상에는 광학 태그(15)가 배치되고, 광학 태그(15)의 외측에는 디스플레이 아이콘 장착부(18.19)가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아이콘 장착부(18.19)는 광학 태그(15)의 외부 일면 상의 영역으로 광고 문구 내지 로고 등의 외부로 표시하고자 하는 사항 등이 표현될 수 있는 영역을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아이콘 장착부(18.19)의 외측 일면 상에 형성된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는 띠 형상의 스트랩 구조로 형성되는데,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는 합성 수지재, 종이재, 실리콘재 및 필름재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디스플레이 아이콘 장착부(18.19)의 외측에는 띠 형태의 밴드 스트랩 장착부(A,B)가 구비된다. 밴드 스트랩 장착부(A,B)는 서로 맞닿아 접촉 접착되는 구조를 취하여 밴드 스트랩 구조를 형성한다. 밴드 스트랩 장착부(A,B)의 적어도 일측에는 밴드 스트랩 장착 접착부(11a,11b)가 구비된다. 밴드 스트랩 장착부(A,B)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 부호 B로 지시되는 밴드 스트랩 장착부(B)의 배면 측에 밴드 스트랩 장착 접착부(11a,11b)가 배치된다. 밴드 스트랩 장착 접착부(11a,11b)는 밴드 스트랩 장착 접착제층(11a)과 밴드 스트랩 장착 이형지(11b)가 배치될 수 있다. 밴드 스트랩 장착 이형지(11b)는 밴드 스트랩 장착 접착제층(11a)을 덮는 구조를 형성하고, 밴드 스트랩 착용시 밴드 스트랩 장착 이형지(11b)가 제거되고 밴드 스트랩 장착 접착제층(11a)을 통하여 밴드 스트랩 장착부(A,B)가 서로 맞닿아 접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아이콘 장착부(18.19)에는 광고 사항이 표시되고 광고 비용 지원을 통하여 광학 태그(15)가 표시된 밴드 스트랩 타입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10)가 밴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비지니스적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 및 필요 사항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광학적 스캔 방식의 광학 태그를 구비하거나, 또는 광학적 스캔 방식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의 광학 태그 및 패시트 타입의 RFID의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사용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밴드 사용자의 위치 탐색에 보다 능동적 방식을 취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앞서 기술한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유니트(20)는 스마트폰(20-1) 내지 태블릿과 같은 이동 단말 장치일 수도 있고, 노트북(20-2)과 같은 PC 형태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을 위한 별도의 전용 단말 장치(20-3)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나, 이 밖에도 별도의 모바일 타입의 모바일 전용 단말 장치(20-4)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유니트(20;20-4)가 차량에 탑재되고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모바일 전용 단말 장치(20-4)의 스캔 커버리지(R)는 도로 인근의 영역까지 충분히 영향력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하여 인도에 위치한 밴드 사용자의 스캔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유니트(20;20-4)의 단말 감지부(21)는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차량에 이동 가능한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20-4)의 경우에도 광학 태그(15)가 탑재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차량의 외부에 탑재되기보다는 차량 내부에 배치되고 연결 가능한 구조의 형태로 단말 감지부(21)가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하기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확인된 밴드 사용자를 확인한 후, 서비스 운용자 측에서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광학 태그를 직접 확인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단말 감지부와 단말 유니트는 분리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분리형 구조의 경우 단말 감지부와 단말 유니트 간의 접속은 유선,무선 등 설계 구조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밴드 고유 정보는 밴드 사용자에 대한 밴드 사용자 고유 번호 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밴드 사용자 고유 번호 코드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 예를 들어 성명, 생년월일, 주소, 보호자 연락처, 밴드 대상자 복약 정보, 밴드 대상자 주의 정보 등의 밴드 대상자 특이 정보 등을 포함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는 운용 서버(30) 측에 저장될 수 있음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단말 감지부(21)를 통하여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는 단말 제어부(22) 측으로 전달된다. 단말 제어부(22)는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감지부(21)로부터 감지되는 밴드 감지 신호를 통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제어부(22)와 하기되는 운용 서버(30) 간에는 웹 기반 서비스로 구현되어, 단말 유니트(20)에 별도의 구동 실행 앱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단말 유니트(20)는 웹 기반 운영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운용 서버(30)와 신호의 송수신 상태 형성도 가능하다.
단말 출력부(27)는 단말 디스플레이(271)를 포함하는데, 단말 디스플레이(271)는 단말 제어부(22)의 단말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출력부(27)는 웹 기반 운영 방식으로 네트워크 통한 송수신 방식을 취하는 점에서 단말 디스플레이(271)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단말 출력부(27)는 이외에도 다른 출력 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단말 입력부(25)는 단말 출력부(27)를 통하여 입력되는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선택 입력 가능하게 한다. 단말 유니트(20)가 차량에 탑재되는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20;20-4)으로 구현되는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입력부(25)는 단말 터치(251)와 단말 입력 포트(253)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터치(251)는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실내에 탑재되는 단말 유니트(20;20-4)의 터치 스크린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입력부(25)는 단말 터치(251)와 단말 입력 포트(253)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입력 기능을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단말 통신부(26)는 단말 입력부(25)에 의하여 선택 입력되는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운용 서버(30)와 통신 가능한다. 단말 통신부(26)의 통신 유형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어 LTE, LTE-A, 5G, WCDMA, CDMA, UMTS, Wibro, GS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통신 유형을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통신망과 다양한 통신 방법이 포함될 수도 있음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이외에 앞서 기술된 광학 방식도 병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감지부(21)는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감지부(21)는 단말 광학 감지부(211)와 단말 위치 감지부(2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광학 감지부(211)는 광학 태그(15)로 광학 신호를 송출하고 광학 태그(15)로부터 반사되는 광학 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송신 및 반사 수신된 광학 신호를 통하여 단말 광학 감지부(211)는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단말 광학 감지부(211)에 직접 디코딩 모듈이 구비되어 직접 밴드 고유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수신된 광학 신호가 단말 제어부(22)로 전달되어 단말 제어부(22)에서 광학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밴드 고유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단말 위치 감지부(213)는 단말 유니트(20)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 확인한다. 단말 위치 감지부(213)는 GPS로 구현되는데, 단말 위치 감지부(213)는 통신사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LBS 등의 방식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단말 위치 감지부(213)는 단말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위치 정보는 단말 제어부(22)로 전달되어, 궁극적으로 단말 유니트(20)의 사용자와 함께 있는 밴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취득될 수 있음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광학 감지부(211)는 카메라로 구현되고, 본 발명의 단말 감지부(21)는 단말 광학 감지부(211)와 단말 위치 감지부(213) 이외에도 다양한 감지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단말 감지부(210)는 단말 음향 감지부(215)를 포함할 수 있는데, 단말 음향 감지부(215)는 밴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감지할 수 있음은 앞선 경우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에서와는 다르게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와 단말 유니트(20) 간에는 광학 태그/단말 광학 감지부 이외 신호 송수신을 이루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필수적으로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포함하고,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통신부(26)는 단말 유무선 통신부(261) 이외에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를 더 포함하고, 단말 통신부(26)는 단말 유무선 통신부(261)를 포함하고, 단말 유무선 통신부(261)는 운용 서버(30), 보다 구체적으로 운용 서버(30)의 서버 통신 모듈(37)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이루는데, 이와 더불어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통신부(26)는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를 더 구비하고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포함한다.
즉,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에는, 적어도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태깅 고유 정보가 포함, 즉 저장되어 있다. 즉,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1)와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73)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는 앞선 실시예에서와는 다르게 액티브 RFID의 구성을 취할 수 있는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1)는 본 실시예에서 액티브 RFID 기능 구현을 위한 무선 통신 제어칩으로 구현되고,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73)는 적어도 일부가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1)에 연결되어,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통신부(26)의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와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루는 가능하도록 신호 수신을 이루는 구조를 취한다.
앞선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14)를 더 포함하는데,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14)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의 사이에 개재되어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데,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14)와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 사이에는 광학 태그(15)가 인식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14) 사이에는 하기되는 다른 구성요소 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14)에는 미디엄 바디 태그 장착부(141)가 형성되고, 미디엄 바디 태그 장착부(141)에 광학 태그(15)가 안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엄 바디 태그 장착부(141)는 관통구 구조를 이루나 이는 광학 태그(15)의 배치 구조의 일예일 뿐, 미디엄 바디 태그 장착부는 단순한 요홈 구조 내지 단순 배치 위치로만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는 액티브 RFID 타입으로 비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RFID 리더기로서의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에 의하여 전자기 유도되어 활성화되는 구성을 취하고,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1) 내에 구비되는 밴드 태깅 고유 정보인 밴드 고유 정보가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73)를 통하여 송출되고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73) 및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271)를 통하여 수신된다.
경우에 따라,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73)와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1)는 별도의 일체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173)와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1)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기판(16) 상에 배치되는데, 포지션 트랙킹 밴드 기판(16)은 본 실시예에서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바디(11)와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의 사이에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커버(12) 사이에 배치되고, 포지션 트랙킹 밴드 기판(16)은 밴드 메인 바디 수용부(112)에 수용 배치된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기판(16)은 통상적인 PCB 기판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이 밖에도 FPCB 형태의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포지션 트랙킹 밴드 미디엄 바디(14)에는 미디엄 바디 배터리 장착부(142)가 형성되고, 미디엄 바디 배터리 장착부(142)에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배터리(18)가 안착 수용되는데,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배터리(18)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기판(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 배터리(18)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 기판(16)에 전원을 공급하고, 포지션 트랙킹 밴드 기판(16)에 배치되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에 전원을 공급하고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는 비콘 기능을 수행하고,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와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7)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짐으로써,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밴드 고유 정보 취득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의 비콘 기능과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7)의 스캔 기능을 통하여 확인된 밴드 사용자의 존재 및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가 운용 서버(30)로 송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와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7)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밴드 고유 정보의 송수신과 더불어, 서비스 운용자 내지 경찰 등이 직접 확인된 밴드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광학 태그(15)를 스캔함으로써 광학적 방식을 통한 밴드 고유 정보의 스캔 및 송출이 이루어짐으로써, 앞서 기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밴드 고유 정보 및 광학 스캔을 통한 밴드 고유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광학 태그를 통한 광학적 신호 확인과 더불어 전자기 신호 확인을 통한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 취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밴드 고유 정보 취득 과정 상에서의 오류 내지 단지 광학 태그의 이미지 정보만을 이용한 원치 않는 불상 사태를 방지하는 인증 기능의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는 등 보다 정확한 밴드 사용자 확인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은 포지션 트래킹 밴드(10)와 단말 유니트(20)와 더불어 운용 서버(30)를 포함함은 단말 유니트(20;20-4)가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모바일 타입으로 구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앞선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하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운용 서버(30)는 밴드 사용자의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 유니트(40)로부터 긴급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 장치920)로 단말 스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운용 서버(30)는 보호자 단말 유니트(40)로부터의 긴급 요청 신호에 따라 단말 유니트(20;20-4)로 보호자 단말 유니트의 대응하는 밴드 사용자에 대한 스캔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유니트(20)는 긴급 요청 신호 내지 이에 대응하는 스캔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소정의 스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비콘 기능을 실행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10) 측이 활성화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밴드 사용자에 대한 밴드 고유 정보가 수신 확인되고 이는 운용 서버(30) 측으로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송신되어 운용 서버(30)에서 이를 수신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포지션 트랙킹 밴드가 독자적인 위치 센서를 구비하여 단말 유니트의 위치 정보 대신 직접 확인된 위치 정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운용 서버(30)는 단말 유니트(20)로부터 수신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로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운용 서버(30)를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로부터 단말 유니트(20)에 의하여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는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통신부(26)의 단말 무선 통신부(261)를 통하여 운용 서버(30)로 전송되고 운용 서버(30)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에 대한 정보, 즉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한 밴드 대상자 연락처로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밴드 대상자 연락처, 즉 보호자의 단말 유니트(40)로 네트워크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 즉 문자 등의 알림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는데, 이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 내지 거의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용 서버(30)는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과,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과,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과, 서버 통신 모듈(37)를 포함한다.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는 지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은 하기되는 위치 정보 확인 모듈(36)에서 사용되는 위치 정보의 지도 정보로의 전환 기능시 사용될 수 있는데,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위치 감지부(213)에서 취득되는 GPS 정보, 즉 GPS 좌표 정보는 위치 정보 확인 모듈(36)에서 지도 정보와의 매칭을 통하여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위치 정보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차량에 탑재되는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20;20-4)의 경우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위치 감지부(213)에서 GPS 정보, 즉 GPS 좌표 정보를 취할 수도 있으나, 차량에 기 탑재된 GPS 센서(미도시)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 및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 및 서버 통신 모듈(37)의 구성 및 작동 과정은 앞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운용 서버(30)는 어러트 대응 모듈(39)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앞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차량 등에 탑재 가능한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20;20-4)가 적용되는 구성을 취하므로, 이의 단말 유니트(20-4)가 탑재된 차량 내지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사람이 경찰 등의 정부 내지 공공기관의 사람인 경우 운용 서버를 통하지 않고 직접 기관 서버로 비상 상황에 대한 어러트 대응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고 운용 서버로 단지 통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반대로 말 유니트(20-4)가 탑재된 차량 내지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사람이 경찰 등이 아닌 서비스 제공자 측의 운용자인 경우 이와 같은 상황 정보는 운용 서버(30)로 먼저 전달되고 어러트 대응 모듈(39)의 대응 동작에 따른 긴급 대처 및/또는 기관 서버(50)로의 어러트 대응 동작의 실행 요청을 전송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즉, 서비스 운용사 측에서 소정의 단말 유니트의 이동 스캔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 수신된 밴드 고유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어러트 대응 모듈(39)가 소정의 어러트 대응 모드를 선택한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어러트 대응 모듈(39)은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에서 밴드 고유 정보(IB)와 사전 설정 밴드 고유 정보(IBs)가 동일하다고 판단되고,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에서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어 위치 확인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어러트 대응 동작을 실행하게 한다 .
보다 구체적으로 어러트 대응 모듈(39)은 어러트 보호자 대응 동작 모듈(391)과, 어러트 기관 대응 동작 모듈(393)를 포함한다. 어러트 보호자 대응 동작 모듈(391)은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보호자 단말 유니트(40)로 어러트 보호자 신호를 송출하고, 어러트 기관 대응 동작 모듈(393)은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기관 서버(50)로 어러트 기관 신호를 송출하여 긴급 대응 조치를 취한다. 즉, 어러트 대응 모듈(39)은 소정의 스캔 방식을 통하여 비ㅌ콘 기능을 수행하여 검출된 밴드 사용자와 함께 있는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유니트 사용자가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를 통하여 밴드 고유 정보를 취득하고, 밴드 고유 정보에 포함된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 즉 웹사이트 링크 정보를 통하여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이루는 과정에서, 긴급 보호 조치를 위한 신고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단말 유니트 사용자의 단말 유니트(20)를 통하여 전달 수신되는 긴급 보호 조치 내지 신고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서버 통신 모듈(37)이 수신하여 어러트 기관 대응 동작 모듈(393)로 전달되고, 어러트 기관 대응 동작 모듈(393)는 사전 설정된 방식으로 119 내지 112 등의 기관의 기관 서버(50)로 신고 실행을 하는 등 사전 설정된 대응 어러트 동작을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앞선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를 구비하는 경우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와,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전송 단계(S40)를 포함하고,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의 구체적 구성은 앞서 기술된 휴대폰 타입의 단말 유니트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는 차량 등 이동 수단에 탑재 가능한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20;20-4)를 통하여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적어도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가 취득되고 위치 정보가 수신된다.
개별적인 차량 이동을 통한 단계 S10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로부터의 보호자 단말 유니트(40)를 통한 긴급 요청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긴급 요청 신호 단계(S110)와,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와, 밴드 스캔 단계(S130)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와,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전송 단계(S40)를 포함한다.
먼저, 긴급 요청 신호 단계(S110)에서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 장치(40)로부터 운용 서버(30)로 긴급 요청 신호가 입력된다. 즉 운용 서버(30)는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 장치(40)로부터 송출되는 긴급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운용 서버(30)는 입력된 긴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운용 서버(30)는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를 실행한다.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에서, 운용 서버(30)는 긴급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밴드 사용자에 대하여 사전 설정 지역의 사전 설정 지역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말 유니트(20;20-4)에 송출할 단말 스캔 요청 정보를 산출하고 단말 스캔 요청을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운용 서버(30)에서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는 경우에 따라 별도의 대응 모듈을 더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어러트 대응 모듈(39)와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가 완료된 후, 단말 유니트(20;20-4)는 운용 서버(30)로부터 송출된 긴급 요청 신호에 따라 대응 동작을 구현한다. 즉, 보호자 단말 장치(40)로부터 송신된 긴급 요청 신호를 수신한 운용 서버(30)의 어러트 대응 모듈(39)은 긴급 요청 신호의 유형을 파악하고, 사전 설정된 대응 모드로 모드를 설정하고 신속한 모드 실행을 실시한다. 즉, 밴드 스캔 단계(S130)에서 단말 유니트(20;20-4)가 수신된 단말 스캔 요청 신호에 따라 스캔 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긴급 요청 신호 단계(S110)가 실행되는 경우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 장치(40)로부터 경찰 내지 소방서 등의 정부 기관 내지 공공 기관으로 긴급 연락을 취하도록 기관 서버(50)로도 긴급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기관 긴급 요청 신호(S111)가 실행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 유니트(40)에서 기관 서버(50) 측으로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운용 서버를 거쳐 기관 서버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단말 스캔 요청 및 밴드 스캔이 이루어진 후 스캔 영역 내에 밴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S10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는, 밴드 사용자가 착용한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가 비콘 기능을 수행하고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20;20-4)가 신호 송출을 통하여 주위 스캔을 통하여 상호 신호 송수신을 통한 탐지가 이루어지는 경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통하여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가 취득되는 과정이 실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는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1)와, 단말 정보 취득 단계(S13)를 포함한다.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1)에서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20;20-4)를 통하여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 즉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통하여 취득되는 밴드 고유 정보인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가 취득된다.
즉, 단말 유니트 사용자의 단말 유니트(20)에는 단말 통신부(26)의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가 구비되는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의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1)에서 단말 제어부(22)의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 신호에 의하여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가동되고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는 주위 환경에 대하여 스캔 신호를 출사시키고 비콘으로 기능하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의 무선 통신 신호를 감지하여 단말 제어부(22)로 전달한다.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단말 통신부(26)의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를 통하여 밴드 고유 정보가 취득되고, 이는 단말 제어부(22)로 전달된다.
그런 후,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제어부(22)는 단말 감지부(21) 내지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위치 센서(미도시)로부터 전달된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 정보 취득 단계(S13)가 실행된다. 즉, 단말 정보 취득 단계(S13)에서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제어부(22)는 단말 감지부(210)의 단말 위치 감지부(213)에서 단말 유니트(20)의 위치 정보가 수신 취득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포지션 트랙킹 밴드에 탑재되는 GPS 센서 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단말 위치 감지부(213)는 GPS 센서일 수도 있고, LBS 방식의 위치 감지 구조 센서일 수도 있고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밴드 고유 정보와 단말 유니트의 위치 정보가 취득된 후, 취득된 정보는 운용 서버(30)로 전달된다. 즉, 단말 제어부(20)는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와 단말 위치 정보를 운용 서버(30)로 전송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가 실행된다.
즉,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에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운용 서버(30)로 전달되는데,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의 전송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다양한 송출 방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후,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에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룰 전달받은 운용 서버(30)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은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알림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부가적 알림, 즉 본 실시예에서 어러트 기능의 실행이 가능할 수도 있다. 즉, 밴드 사용자의 위치 스캔 사실 내지 현재 위치 정보를 보호자에게만 통지하는 것이 아니라, 경찰서 내지 소방서 등의 정부 공기관에 보호 조치 요청 실행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은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밴드 고유 정보 신고 안내 정보 전송 단계(S50)에서 밴드 사용자에 대한 신고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들 단계의 세부 구체적 내용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는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1)와 단말 정보 취득 단계(S13)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무선 통신 방법 이외에도 광학적인 방법을 통한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 취득이 가능하고, 이의 단독적 내지 광학적 취득 방식과의 복합적 이용을 통한 크로스체크 내지 인증 용도 활용도 가능하며 이의 구성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적어도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태깅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 유니트(20)의 단말 감지부(21)의 단말 광학 감지부(211)와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광학 태그(15) 간의 광학적인 방식으로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앞서 기술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는, 단계 S11 및 S13 이외 광학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5)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광학 밴드 고유 정보 취득 단계(S15)에서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가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때, 앞서 기술된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는 근거리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 이외,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3)와, 밴드 사용자 비교 확인 단계(S3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3)에서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광학 태그(15)와의 광학적 방식을 통하여 취득 수신된 광학 밴드 고유 정보가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되고, 이의 비교 결과를 통하여 해당 밴드 사용자가 비교 확인될 수 있다.
그런 후, 밴드 사용자 비교 확인 단계(S315)가 실행되는데, 밴드 사용자 비교 확인 단계(S315)에서는 근거리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1) 및 광학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3)를 통하여 확인되는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가 비교된다. 이러한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실제 밴드 사용자를 통한 광학 밴드 고유 정보의 취득이 이루어진 것인지 여부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도 있음은 광학 밴드 고유 정보와 근거리 밴드 고유 정보의 취득 순서의 차이일 뿐 앞선 실시예들에서 내용적 면에서 거의 동일하다.
또 한편, 바로 앞선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로 구현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단말 유니트는 복수 개가 위치 고정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단말 유니트(20;60)가 복수 개가 고정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단말 유니트(20;60)는 복수 개의 고정 타입의 특정 지역에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고, 본 실시예에서 특정 지역의 거리에 이격 배치되는 단말 유니트(20;60)는 코드 아담 단말기(60)로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드아담 단말 유니트(60)는 코드아담 단말 입력부(61)와, 코드아담 단말 제어부(62)와, 코드아담 단말 출력부(67)와, 코드아담 단말 통신부(65)를 포함하고, 코드아담 단말 저장부(63) 및 코드아담 단말 연산부(6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코드아담 단말 유니트(60)의 구성 유형은 본 발명의 단말 유니트(20;60) 중 코드아담 단말 유니트(60)의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에서 특정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드아담 단말 유니트(6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단말 유니트와 달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루되 위치 고정되어 사전 설정된 구역 내에 사전 설정된 위치 내지 이격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단말 장치이다. 본 발명의 코드아담 단말 유니트(60)는 가로등(70)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물 내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코드아담 단말 유니트(60)는 가로등(70)에 부착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는 가로등(70)에 배치되는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의 커버리지(R60)와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가 배치되는 가로등(70)의 배치 간격(D)은, 인도에 있는 밴드 사용자의 존재를 확인가능하도록 충분한 커버지를 갖도록 하는 기하 관계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코드아담 단말 장치는 앞선 다른 단말 유니트 유형과 동일 내지 거의 동일한 구성을 취하나, 단지 사전 설정된 위치에 고정 배치되어 비상 상황의 시스템 가동시 가동되는, 비상 요청에 따른 간헐적 동작 구동을 이루는 구성을 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물론,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도 사전 설정 위치의 변동으로 이전 설치 고정이 가능함은 당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드아담 단말 유니트(60)의 코드아담 단말 통신부(65)는 밴드 사용자가 착용한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의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한다.
코드아담 단말 통신부(65)는 비콘으로 기능하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와의 통신을 위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출력하여 인근 존재 여부를 스캔한다. 코드아담 단말 통신부(65)를 통하여 수신되는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운용 서버(30)와 통신 가능한다. 코드아담 단말 통신부(65)의 통신 유형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어 LTE, LTE-A, 5G, WCDMA, CDMA, UMTS, Wibro, GS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통신 유형을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통신망과 다양한 통신 방법이 포함될 수도 있음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코드아담 단말 통신부(65)를 통하여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는 코드아담 단말 제어부(62) 측으로 전달된다. 코드아담 단말 제어부(62)는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아담 단말 입력부(61)로부터 감지되는 밴드 감지 신호를 통하여, 밴드 고유 정보와, 코드아담 단말 통신부(65)가 위치하는 위치 정보가 취합된다.
코드아담 단말 출력부(67)는 코드아담 단말 디스플레이(671)를 포함하는데, 코드아담 단말 디스플레이(671)는 서비스 운용자 측의 담당자가 코드아담 단말 출력부(67)의 정상 여부의 상태 점검을 위한 출력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현재 긴급 보호를 필요로 밴드 사용자의 존재를 체크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광학적 표시 장치로 기능할 수도 있다.
코드아담 단말 입력부(61)는 서비스 운용자 측의 담당자가 코드아담 단말 출력부(67)의 정상 여부의 상태 점검을 위한 입력 장치로 활용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코드아담 단말 유니트는 코드아담 단말 광학 감지부(미도시)와 코드아담 단말 위치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코드아담 단말 광학 감지부(611)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코드아담 단말 위치 감지부 이외에도 코드아담 단말 음향 감지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코드아담 단말 음향 감지부(615)는 밴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감지할 수도 있다.
코드아담 단말 유니트(60)의 위치는 사전 설정되므로 설정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가 코드아담 단말 저장부(63)에 포함될 수도 있고, 앞서 기술한 코드아맏 단말 위치 감지부를 통하여 취득될 수도 있다. 코드아담 단말 연산부(64)는 코드아담 단말 제어부(6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연산 과정을 통하여 신호 처리를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 유니트가 코드아담 단말기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한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 유니트가 코드아담 단말기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한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은
긴급 요청 신호 단계(S110)와,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와, 밴드 스캔 단계(S130)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와,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전송 단계(S40)를 포함한다.
먼저, 긴급 요청 신호 단계(S110)에서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 장치(40)로부터 운용 서버(30)로 긴급 요청 신호가 입력된다. 즉 운용 서버(30)는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 장치(40)로부터 송출되는 긴급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운용 서버(30)는 입력된 긴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운용 서버(30)는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를 실행한다.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에서, 운용 서버(30)는 긴급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밴드 사용자에 대하여 사전 설정 지역의 사전 설정 지역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에 송출할 단말 스캔 요청 정보를 산출하고 단말 스캔 요청을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운용 서버(30)에서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는 경우에 따라 별도의 코드아담 대응 모듈을 더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어러트 대응 모듈(39)와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는 단말 스캔 요청 준비 확인 단계(S121)와, 단말 스캔 요청 범위 확인 단계(S123)와, 단말 스캔 실행 요청 신호 송출 단계(S125)를 포함한다.
단말 스캔 요청 준비 확인 단계(S121)에서는, 긴급 요청 단계(S110)에서 입력되는 밴드 사용자의 실종 시간과, 상기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에 포함되는 보행 속도와 보행 지속 시간를 포함하는 보행자 정보가 확인된다. 즉,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가 보호자 단말 유니트를 통하여 코드 아담 대응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 정보들이 입력 전달되는데, 운용 서버(30)는 입력된 정보인 밴드 사용자의 실종 시간과, 보행자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보행자 정보는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사용자의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에 포함되는 보행 속도와 보행 지속 시간 등을 포함한다.
그런 후, 운용 서버(30)는 단말 스캔 요청 범위 확인 단계(S123)를 실행하는데, 단말 스캔 요청 범위 확인 단계(S123)에서 운용 서버(30)는 밴드 사용자의 실종 시간과, 보행자 정보로부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의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를 설정한다. 즉, 실종 시간과 현재 시간의 차이 및 보행자의 보폭 내지 보행 지속 시간 정도 등을 고려하여, 현재 예상되는 위치 지점을 산출하고, 해당 지역 범위에 설칠된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를 가동시키기 위한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를 산출 설정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일련의 제어 동작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어러트 대응 모듈 및 서버 통신 모듈 등을 통하여 실행되는 구성을 취하나, 운용 서버는 별도의 코드 아담 대응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런 후, 단말 스캔 실행 요청 신호 송출 단계(S125)가 실행되는데,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및 밴드 사용자에 대응하는 단말 스캔 요청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서버 통신 모듈(37)로부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 측으로 전송된다.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와 서버 통신 모듈(37) 간의 통신은 유선, 무선, 유무선 등 특정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설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가 완료된 후, 코드아담 단말 유니트(60)는 운용 서버(30)로부터 송출된 긴급 요청 신호에 따라 대응 동작을 구현한다. 즉, 보호자 단말 장치(40)로부터 송신된 긴급 요청 신호를 수신한 운용 서버(30)의 어러트 대응 모듈(39)은 긴급 요청 신호의 유형을 파악하고, 사전 설정된 대응 모드로 코드 아담 모드를 설정하고 신속한 코드 아담 모드 실행을 실시한다. 즉, 밴드 스캔 단계(S130)에서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가 수신된 단말 스캔 요청 신호에 따라 코드 아담 스캔 신호를 송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밴드 스캔 단계(S130)는 경우에 따라 밴드 스캔 이니셜 단계(S131)와 밴드 스캔 익스펜더블 단계(S1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 스캔 요청 정보의 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는 복수 개의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전 설정 방식으로 일정 시간 내에 밴드 사용자가 착용한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로부터 신호 반응이 없는 경우 범위를 확대하거나 인접 다른 범위로 전송하는 등의 사전 설정 대응 전략이 세팅 저징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련의 신호 범위 확대 내지 신호 범위 전환 등은 코드 아담 단말기에 사전 저장되어 자체적인 동작 구현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시간 내에 밴드 사용자가 착용한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로부터 신호 반응이 없는 경우 운용 서버(30)로 무응답 상태에 대한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고 운용 서버(30)가 범위 확장 내지 범위 이동 등의 제어 신호를 다시 송출하는 구조를 취한다.
먼저, 밴드 스캔 이니셜 단계(S131)에서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는 수신된 단말 스캔 요청 정보의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복수 개의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순서 정보 중 최소 적용 범위에 대한 이니셜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에 따라 코드 아담 스캔 신호를 송출한다.
만약, 밴드 스캔 이니셜 단계(S131)의 실행 후, 사전 설정 시간 내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가 실행되지 여부에 따라 적용 범위의 확장 여부가 결정된다.
반면, 밴드 스캔 이니셜 단계(S131)의 실행 후, 사전 설정 시간 내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 밴드 스캔 익스펜더블 단계(S133)가 실행되어, 이니셜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다음 단계에 따라 코드 아담 스캔 신호가 송출된다. 이와 같은 순차적 확정 구조를 취하여 신속한 대응 조치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밴드 스캔 이니셜 단계(S131) 내지 밴드 스캔 익스펜더블 단계(S133)의 실행 후 밴드 사용자가 적용 범위 내 존재하는 경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가 실행된다.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고유 태깅 고유 정보가 취득되고 위치 정보가 수신된다. 즉,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의 코드 아담 스캔 신호을 송출하고 스캔 신호 송출 영역 내에 밴드 사용자가 존재하게 되는 경우,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적어도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는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로부터 송출 스캔 신호에 반응하게 되고,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적어도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고유 태깅 고유 정보가 송출되고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20)가 이를 수신 취득하고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고유 태깅 고유 정보를 수신한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에 사전 설정된 코드 번호 내지 위치 정보 등이 확인되어 밴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수신 확인된다.
그런 후,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에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운용 서버(30)로 전달된다.
전달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한 운용 서버(30)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를 실행한다.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에서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룰 전달받은 운용 서버(30)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는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와, 지도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에서는,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수신된 밴드 고유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밴드 사용자가 비교 확인된다.
지도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3)에서 위치 정보와 사전 설정 저장된 지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운용 서버(30)의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에서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의 지도 위치가 확인되는데, 코드 아담 단말기(60)는 사전 설정 위치에 존재하므로 별도의 지도 위치 확인 과정은 복수 개의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 중 밴드 고유 정보가 취득된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의 사전 세팅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런 후,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전송 단계(S40)에서 운용 서버(30)의 서버 통신 모듈(37)은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에서 확인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의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의 보호자 단말 유니트(40)로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포지션 트랙킹 밴드 20...단말 유니트
30...운용 서버 40...보호자 단말 유니트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은: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고,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태깅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부(173)를 포함하는 액티브 RFID인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를 구비하는 포지션 트랙킹 밴드(10)와, 상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3)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하고 차량 탑재 가능한 단말 유니트(20-4)와, 상기 단말 유니트(20-4)로부터 수신된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로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운용 서버(30)를 포함하고, 상기 운용 서버(30)가 밴드 사용자의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 유니트(40)로부터 긴급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유니트(20-4)로 단말 스캔 요청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20-4)의 단말 통신부(26)는 상기 단말 스캔 요청 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주위 스캔을 실행하여 상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와 통신 실행하는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263)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20-4)는: 적어도 상기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3)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한 단말 감지부(21)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밴드 감지 신호를 통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말 제어부(22)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전송 가능하도록 상기 운용 서버(30)와 통신 가능하게 하는 단말 통신부(26)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션 트랙킹 밴드(10)는 밴드 사용자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광학 태그(15)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20-4)는 상기 광학 태그(15)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송출 가능하고, 상기 단말 유니트(20-4)는: 상기 단말 제어부(22)의 단말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 디스플레이(271)를 포함하는 단말 출력부(27)와, 상기 단말 출력부(27)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선택 입력 가능하게 하는 단말 입력부(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통신부(26)는 상기 단말 입력부(25)에 의하여 선택 입력되는 밴드 고유 네트워크 연결 정보에 따라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전송 가능하도록 상기 운용 서버(30)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단말 감지부(21)는: 상기 광학 태그(15)로 광학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광학 태그(15)로부터 반사되는 광학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광학 신호로 확인 가능한 단말 광학 감지부(211)와, 상기 단말 유니트(20-4)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 확인하여 단말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 위치 감지부(213)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통신부(26)는, 상기 운용 서버(30)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단말 유무선 통신부(261)를 포함하고,
    상기 운용 서버(30)는: 지도 정보가 저장되고, 사전 설정된 사용자에 대한 밴드 고유 정보가 사전 설정된 밴드 고유 정보로 저장되는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과, 상기 단말 유니트(20-4)로부터 송신된 밴드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IB)를 상기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사전 설정 밴드 고유 정보(IBs)와 비교 확인하는 밴드 고유 정보 확인 모듈(31)과, 상기 단말 유니트(20-4)로부터 송신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유니트(20-4)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 유니트(20-4) 및 상기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 유니트(40)와 통신 가능하게 하는 서버 통신 모듈(37)를 포함하되,
    운용 서버(30)에 밴드 사용자의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 장치(40)로부터 긴급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긴급 요청 신호 단계(S110)와,
    상기 보호자 단말 장치(40)로부터 상기 긴급 요청 신호가 송신되어 수신한 상기 운용 서버(30)는 상기 긴급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밴드 사용자에 대하여 사전 설정 지역의 사전 설정 지역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 및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적어도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가 취득 가능하고 위치 정보가 수신 가능하고 이동 수단에 탑재 가능한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20-4)에 단말 스캔 요청 정보를 산출하고 단말 스캔 요청을 송신하는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와,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 및 상기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20-4)가 수신된 단말 스캔 요청 신호에 따라 코드 아담 스캔 신호를 송출하는 밴드 스캔 단계(S130)와,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 및 상기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20-4)의 코드 아담 스캔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 및 상기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20-4)를 통하여 밴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1)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적어도 밴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로부터 사용자의 포지션 트랙킹 밴드의 밴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밴드 고유 태깅 고유 정보가 취득되고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와,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 및 상기 모바일 타입의 단말 유니트(20-4)를 통하여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가 운용 서버(30)로 전달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전달 단계(S20)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전달받은 운용 서버(30)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와,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에서 확인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밴드 유니트 정보에 대응하는 밴드 대상자 정보의 사전 설정 저장된 밴드 대상자 연락처의 보호자 단말 유니트(40)에 알림 전송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데이터를 전송하는 밴드 대상자 스캔 알림 전송 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0)는:
    운용 서버(30)의 운용 서버 통신 모듈(37)을 통하여 수신된 상기 밴드 고유 정보를 운용 서버(30)의 밴드 고유 정보 저장 모듈(33)에 저장된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밴드 사용자를 비교 확인하는 밴드 사용자 확인 단계(S31)와,
    상기 위치 정보와 사전 설정 저장된 지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운용 서버(30)의 위치 정보 확인 모듈(35)에서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의 지도 위치를 확인하는 지도 위치 정보 확인 단계(S33)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스캔 요청 단계(S120)는:
    상기 긴급 요청 단계(S110)에서 입력되는 밴드 사용자의 실종 시간과, 상기 밴드 사용자 저장 정보에 포함되는 보행 속도와 보행 지속 시간를 포함하는 보행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 스캔 요청 준비 확인 단계(S121)와,
    상기 밴드 사용자의 실종 시간과, 상기 보행자 정보로부터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의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를 설정하는 단말 스캔 요청 범위 확인 단계(S123)와,
    상기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및 상기 밴드 사용자에 대응하는 단말 스캔 요청 정보를 송출하는 단말 스캔 실행 요청 신호 송출 단계(S125)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스캔 단계(S130)는:
    상기 단말 스캔 요청 정보의 상기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는 복수 개의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 아담 단말 유니트(60)가 수신된 단말 스캔 요청 정보의 상기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의 복수 개의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순서 정보 중 최소 적용 범위에 대한 이니셜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에 따라 코드 아담 스캔 신호를 송출하는 밴드 스캔 이니셜 단계(S131)와,
    상기 밴드 스캔 이니셜 단계(S131)의 실행 후, 사전 설정 시간 내 상기 밴드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 취득 단계(S10)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니셜 단말 스캔 적용 범위 단계 다음 단계에 따라 코드 아담 스캔 신호를 송출하는 밴드 스캔 익스펜더블 단계(S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제어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90141334A 2019-11-07 2019-11-07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91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334A KR102491979B1 (ko) 2019-11-07 2019-11-07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20/015650 WO2021091355A1 (ko) 2019-11-07 2020-11-09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334A KR102491979B1 (ko) 2019-11-07 2019-11-07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171A KR20210055171A (ko) 2021-05-17
KR102491979B1 true KR102491979B1 (ko) 2023-01-26

Family

ID=7615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334A KR102491979B1 (ko) 2019-11-07 2019-11-07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310A1 (ko) * 2022-11-04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치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555B1 (ko) * 2013-10-04 2013-12-13 김형욱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35041B1 (ko) * 2014-12-16 2015-07-09 강동길 블루투스비콘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215A (ko) * 2002-11-26 2003-01-14 전경호 착용자의 위치추적 시스템
KR20150008976A (ko) * 2013-07-01 2015-01-26 권형석 위급상황 현장에 근접한 불특정 다수의 회원에게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KR101644464B1 (ko) * 2014-09-01 2016-08-01 이승진 와이파이 비콘 신호 발생기와, 와이파이 비콘 기반의 위치 추적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50263A (ko) * 2014-10-29 2016-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자 확인 장치 및 이동자 확인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555B1 (ko) * 2013-10-04 2013-12-13 김형욱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35041B1 (ko) * 2014-12-16 2015-07-09 강동길 블루투스비콘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171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6307A1 (en) Personal protec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1341555B1 (ko)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EP3172675B1 (en) Improved positional awareness and locating system for cognitively impaired individuals and their caregivers
KR101875377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101259420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미아 발생 예방 시스템 및 방법
JP2002099971A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緊急通報装置
KR20170050328A (ko)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KR101480302B1 (ko) 스마트와치 연동에 의한 취약지역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1979B1 (ko)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08143379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keeping a person under surveillance
KR101409824B1 (ko) 블루투스 통신 기반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CN104410432A (zh) 微型数字信标器及快速查寻移动目标的监控系统和方法
KR101995028B1 (ko) 개인안전을 위한 사용자 안전맵 제공방법
KR102178501B1 (ko) 시설물 기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2345534B1 (ko)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53324B1 (ko)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40139183A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방법
KR20230125494A (ko) 시니어 터치 케어 시스템 제어 방법
KR20230125495A (ko) 시니어 터치 케어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시니어 터치 케어 시스템
KR20220069575A (ko) 노령자 케어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노령자 케어 시스템
KR101832327B1 (ko) 안전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0009724B2 (en) Intelligent personal safety device
KR20180053179A (ko) 어린이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20189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1995030B1 (ko) 위치 및 도착시간에 의한 개인안전 지킴이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