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328A -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328A
KR20170050328A KR1020150151737A KR20150151737A KR20170050328A KR 20170050328 A KR20170050328 A KR 20170050328A KR 1020150151737 A KR1020150151737 A KR 1020150151737A KR 20150151737 A KR20150151737 A KR 20150151737A KR 20170050328 A KR20170050328 A KR 2017005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public safety
wearable termi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배
Original Assignee
임동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배 filed Critical 임동배
Priority to KR102015015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0328A/ko
Publication of KR2017005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이종(異種) 통신망 사이에 상호 연동하여 통신할 수 있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Public Safety and Emergency Protocol)을 적용하면서 스마트폰, WiFi-AP, 교통정보-AP, IoT/IoE-AP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인프라망 기반의 무수히 많은 접속단말장치를 통신기지국으로 활용함으로써 치매환자, 장애인, 독거노인, 영·유아를 포함하는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의 실종이나 갑작스런 발병(發病), 유괴, 납치, 미아 같은 위급상황 발생시에 해당 사회적 약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추적·확인하여 지도(Map)에 기반한 정확한 구조위치를 관련 공공기관, 구조요원, 관리요원 및 보호자에게 실시간 통보함과 동시에 해당 사회적 약자의 주변 사람들에게 보호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해당 공공기관과 상호 연동하여 보다 효율적이면서 체계적으로 신속한 구조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초기 설치비용과 운용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치매환자, 독거노인, 어린이 같은 사회적 약자에 착용되며, 별도로 부여된 독립된 고유번호와 각종 관리정보가 내장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위치정보신호를 발신하는 착용단말기와; 상기 착용단말기와 D2D(Device-to-Device)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무선통신하는 다수의 접속단말장치와; 상기 접속단말장치에 해당되는 통신망과; 상기 접속단말장치의 통신망과 연결되어 착용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착용단말기의 신호와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해당 사회적 약자의 부류, 현위치정보, 활동정보, 생체정보를 종합·추출하고,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를 공공관리그룹내의 관련 기관과 가입자그룹 내의 구조요원, 관리요원 또는 보호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합관리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disadvantaged people for Public Safety and Social Welfare service}
본 발명은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異種) 통신망 사이에 상호 연동하여 통신할 수 있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Public Safety and Emergency Protocol)을 적용하면서 스마트폰, WiFi-AP(AP: Access Point-기지국 접속점), 교통정보-AP, IoT/IoE(IoT: Internet of Things-사물인터넷/IoE: Internet of Everything-만물인터넷)-AP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인프라망 기반의 무수히 많은 접속단말장치를 통신기지국으로 활용함으로써 치매환자, 장애인, 독거노인, 영·유아를 포함하는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의 실종이나 갑작스런 발병(發病), 유괴, 납치, 미아 같은 위급상황 발생시에 해당 사회적 약자의 인근(隣近)에 있는 스마트폰으로 긴급도움요청신호를 보내어 이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 휴대자로부터 즉시 긴급상황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해당 사회적 약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추적·확인하여 지도(Map)에 기반한 정확한 위치정보를 관련 공공기관, 구조요원 및 보호자에게 실시간 통보함과 동시에 주변 사람들에게 보호·관찰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해당 공공기관과 상호 연동하여 보다 효율적이면서 체계적으로 신속한 구조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초기 설치비용과 운용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전, 식생활 개선 등으로 고령화(高齡化) 사회가 진행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인구의 고령화 추세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다음의 그림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65세 이상 인구비중이 2000년 7.2%에서 2010년에는 11%, 2015년에는 12.7%에 이르고, 2018년에는 14.3%, 2026년에는 20.8%, 2030년에는 24.3%로 급속한 고령화 시대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Figure pat00001
그림 1. 우리나라 고령화 추세 그래프
이와 같은 인구의 고령화 추세에 따라 해를 거듭할수록 치매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치매환자의 주요 증상인 기억력장애, 지남력장애, 언어장애, 실인증(Agnosia), 실행증(Apraxia), 시공간기능(Visuospatial ability)장애, 수행능력(Excutive function)장애 등의 원인에 의하여 집을 잃고 방황하거나 심지어는 실종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한편, 사회를 구성하는 가족들이 점차 핵가족화 되고, 맞벌이 부부의 증가에 따라 독거노인, 장애인, 영·유아를 돌보는 것이 큰 부담이 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비용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누적되면서 가족 구성원에 의한 치매환자, 장애인, 독거노인,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의 안전관리가 점차 소홀해져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에 따라 차후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공안전과 복지서비스를 국가적 차원으로 일원화하여 효율적이면서 체계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통합관리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제반 기술상황을 살펴보면, 다기능/초소형/저전력/단일칩 전자부품(SoC:System on Chip)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은 최상위 수준이며, 각종 유·무선 통신 인프라 또한 최고 수준의 설비를 갖추고 있으나, 이들 통신인프라가 공공안전 및 사회복지서비스 용도에 포괄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각자 자신만의 통신용도에 국한되어 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적 약자가 실종 등 비상상황에 처했을 때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07990호(명칭: 착용 단말을 이용한 환자 관리시스템, 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0-2014-0107990호(명칭: 미아방지를 위한 스마트폰 및 그의 미아방지를 위한 동작방법, 그리고 미아방지를 위한 디바이스 및 그의 미아방지를 위한 동작방법, 이하 '선행기술2'라 함)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1은 '치매환자가 착용하는 단말이 실내에 위치할 경우에는 송출 시간에만 통신모듈을 온시켜 위치를 보고하고, 외출중에는 송출시간이 되면 GPS모듈과 통신모듈을 온시켜 위치를 보고하여 단말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배터리 교체의 번거로움을 줄여주고, 단말기를 장시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고, 착용단말기에는 RFID 태그가 구비되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치매환자 주위에 있던 불특정인이 NFC가 장착되어 있는 스마트폰으로 착용자 단말기에 있는 RFID태그를 비접촉 인식하여 RFID 태그에 있는 착용자의 등록된 보호자나 운영센터로 연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의 경우에 치매환자가 착용하는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는 위성을 이용한 위치확인시스템에 의하여 송수신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적용범위가 매우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2는 '기 등록된 다수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 중 기 설정된 반경거리를 이탈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기 설정된 반경거리를 이탈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이탈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된 디바이스 이탈 알림 신호에 대하여,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스마트폰의 확인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기 결정된 시간 내 상기 확인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기 설정된 타 연락처로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하는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2는 어린이(영·유아 포함)가 착용한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반경을 벗어난 경우에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발신된 신호는 블루투스모듈에 의하여 송신된 후 등록된 보호자의 스마트폰에서 수신되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어린이가 보호자로부터 관리범위에서 이탈하는 경우에 보호자의 스마트폰에서 알림신호가 발생되도록 함에 따라 미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부주의에 의하여 보호자가 알림신호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디바이스를 착용한 어린이가 관리범위를 크게 벗어나는 경우에는 디바이스로부터 발신되는 신호의 수신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그 효율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07990호, "착용 단말을 이용한 환자 관리시스템". 특허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0-2014-0107990호, "미아방지를 위한 스마트폰 및 그의 미아방지를 위한 동작방법, 그리고 미아방지를 위한 디바이스 및 그의 미아방지를 위한 동작방법".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종(異種) 통신망 사이에 상호 연동하여 통신할 수 있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Public Safety and Emergency Protocol)을 적용하면서, 위급상황 발생시 인근에 있는 스마트폰 휴대자로부터 즉각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스마트폰, WiFi-AP, 교통정보-AP, IoT/IoE-AP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인프라망 기반의 무수히 많은 접속단말장치를 통신기지국으로 활용함으로써 치매환자, 장애인, 독거노인, 영·유아를 포함하는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의 실종이나 갑작스런 발병(發病), 납치, 유괴, 미아 같은 위급상황발생 시에 해당 사회적 약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추적·확인하여 지도(Map)에 기반한 정확한 구조위치를 관련기관, 구조요원, 관리요원 및 보호자에게 실시간 통보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매환자, 장애인, 독거노인, 영·유아를 포함하는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의 실종이나 갑작스런 발병(發病), 납치, 유괴, 미아 같은 위급상황발생 시에 주변 사람들에게 보호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매환자, 장애인, 독거노인, 영·유아를 포함하는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의 실종이나 갑작스런 발병(發病), 납치, 유괴, 미아 같은 위급상황 발생시에 해당 공공기관과 상호 연동하여 보다 효율적이면서 체계적으로 신속한 구조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기 설치비용과 운용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매환자, 독거노인, 어린이 같은 사회적 약자에 착용되며, 별도로 부여된 독립된 고유번호와 각종 관리정보가 내장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위치정보신호를 발신하는 착용단말기와; 상기 착용단말기와 D2D(Device-to-Device)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무선통신하는 다수의 접속단말장치와; 상기 접속단말장치에 해당되는 통신망과; 상기 접속단말장치의 통신망과 연결되어 착용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착용단말기의 신호와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해당 사회적 약자의 부류, 현위치정보, 활동정보, 생체정보를 종합·추출하고,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를 공공관리그룹내의 관련 기관과 가입자그룹 내의 보호자 또는 관리요원 또는 구조요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합관리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용단말기는 전원부와; 원활한 전력공급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하여 광충전부 및 무선충전부를 포함하는 충전부와; 제어부, 메모리, USIM을 포함하는 중앙처리부와; LCD화면, 터치센서, 입력장치, 마이크, 스피커를 포함하는 입출력장치부와; 블루투스(Bluetooth)모듈, WiFi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IoT/IoE모듈의 무선통신 모듈과; 실내외에서 빠른 위치탐색과 위치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내장된 GPS수신 모듈과; 활동정보 수집을 위한 가속도센서나 자이로센서, 생체정보 수집을 위한 온도센서나 생체신호센서 및 기타 목적에 필요한 센서들 중 선택된 1이상의 센서가 내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착용단말기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착용단말기 주변에 있는 접속단말장치와 D2D 또는 M2M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용단말기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을 통하여 통신반경내의 스마트폰에게 해당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긴급도움요청문자와 통합관리센터에 접속·연결할 수 있는 아이콘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합관리센터는 사회적 약자의 실종이나 유괴 같은 긴급상황발생시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을 통하여 해당 사회적 약자의 착용단말기의 통신반경내에 있는 스마트폰에게 해당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긴급도움요청문자와 함께 해당 사회적 약자의 사진, 관련 정보 및 위치확인을 위한 지도기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용단말기에는 실내외에서 빠른 위치탐색과 위치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주변에 있는 접속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접속단말장치의 고유식별코드(PID: Product Identification Code), 위치정보, AP(기지국)-정보, RF수신레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가장 가까운 AP의 위치정보를 참고하고, 또한 자신의 GPS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위성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확한 위치를 획득함과 동시에 주변 AP들의 정보를 함께 저장·관리하며; 일정 시간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여 이동경로 및 최신 위치를 관리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최신 정보를 통합관리센터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A-GPS(Assisted-GPS)기능이 탑재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단말장치는 통신망으로 이동통신망(3G/4G/5G)를 사용하면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같은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착용단말기와 D2D 또는 M2M 무선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스마트폰 및 이동통신망의 관리시스템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관리에 필요한 제반 정보는 통합관리센터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단말장치는 통신망으로 인터넷망을 사용하면서 착용단말기와 D2D 또는 M2M 무선통신할 수 있는 WiFi-AP이며; 상기 WiFi-AP와 인터넷망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관리에 필요한 제반 정보는 통합관리센터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단말장치는 통신망으로 교통망(BMS/BIS)을 사용하면서 착용단말기와 NFC에 의해 무선통신할 수 있는 교통정보-AP이며; 상기 교통정보-AP 및 교통망(BMS/BIS)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관리에 필요한 제반 정보는 통합관리센터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단말장치는 통신망으로 사물인터넷망을 사용하면서 착용단말기와 D2D 또는 M2M 무선통신할 수 있는 IoT/IoE-AP이며; 상기 IoT/IoE-AP와 사물인터넷망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관리에 필요한 제반 정보는 통합관리센터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합관리센터는 웹서버, 처리서버, 통신서버, 지도서버, 관리정보DB, 과금정보DB로 구성되고; 상호 관련된 시스템들과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프로그램 기반으로 상호 연동되며, 보호대상 사회적 약자의 등록, 관리, 위치추적, 추적관리를 하고; 필요시 해당 사회적 약자 주변인의 스마트폰에 보호요청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착용단말기와 통신하는 접속단말장치 및 해당 통신망 사용에 대한 별도의 과금정보DB를 운용·관리하여 그 비용을 분리·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용단말기와 접속단말장치, 통신망 및 통합관리센터에 탑재되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은 정보처리를 신속·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보호대상자의 인적사항, 등록사항, 관리사항을 포함하는 관리정보와; 관리지역이탈, 실종, 유괴, 납치, 갑작스런 발병(發病) 같은 긴급상황정보와; 착용단말기의 고유식별코드(PID), 위치정보, 배터리정보 같은 착용단말기정보와; 접속단말장치의 고유식별코드(PID), 위치정보, 통신망정보, 착용단말기의 수신레벨 같은 접속단말장치정보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착용단말기가 인근에 있는 스마트폰으로 도움요청신호를 보내어 인근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즉각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또한 주변에 있는 각종 통신망과 연계된 접속단말기(스마트폰, WiFi-AP, 교통정보-AP, IoT/IoE-AP)를 기지국으로 사용하여 구조요청, 위치정보 같은 필요한 정보를 통합관리센터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긴급상황에 따라 상황발생 위치, 추적관리, 긴급구조, 또는 착용자 주변인에게 보호요청 등 각종 서비스를 일목요연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용단말기의 주변에 있는 접속단말장치를 기지국으로 이용함으로써 그 서비스반경이 전국적으로 확대 사용가능하고, 동시에 기지국 역할을 하는 접속단말장치는 자신의 위치정보 및 고유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위치추적, 추적관리 및 긴급구조 등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사회적 약자들의 공공안전 및 사회복지서비스에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유사 시스템에 비하여 초기 설치비용과 운용비용이 현저하게 낮고, 그 활용범위는 무궁무진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공공성, 확장성, 성능개선, 진화성 등의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국내외 공공안전 및 사회복지서비스의 표준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착용단말기, 접속단말장치, 통신망, 통합관리센터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이 착용단말기와 접속단말장치에 탑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에서는 치매환자, 독거노인, 어린이 같이 보호가 요구되는 사회적 약자에 착용되며, 별도로 부여된 독립된 고유번호와 각종 관리정보가 내장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위치정보신호를 발신하는 착용단말기(100)가 마련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착용단말기(100)와 D2D 또는 M2M 무선통신하는 다수의 접속단말장치(200) 및 상기 접속단말장치(200)에 해당되는 통신망(300)이 마련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속단말장치(200)의 통신망(300)과 연결되어 착용단말기(100)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착용단말기(100)의 신호와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해당 사회적 약자의 부류, 현위치정보, 활동정보, 생체정보를 종합·추출하고,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를 공공관리그룹(700)내의 관련 기관과 가입자그룹(800)내의 보호자, 관리자 또는 구조요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합관리센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용단말기(100)에는 제어부(MPU:101), 메모리(102), USIM(103)을 포함하는 중앙처리부가 내장되고, 전력 공급을 위한 전원부(104)와 상기 전원부(104)에 원활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부(105)가 내장되는데, 상기 충전부(105) 이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하여 광충전부(106) 또는 무선충전부(107)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착용단말기(100)에는 사용목적에 따라 터치센서가 부착된 LCD화면(111)과 입력장치(112), 스피커(113) 및 마이크(114)들과 같은 입출력수단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활동정보 수집을 위한 가속도센서(121)나 자이로센서(122), 생체정보 수집을 위한 온도센서(124)나 생체신호센서(125)들 및 기타 목적에 필요한 센서들 중 선택된 1이상의 센서가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착용단말기(100)에는 GPS수신모듈(130)과 블루투스(Bluetooth)모듈(140), WiFi모듈(150), NFC모듈(160), IoT/IoE모듈(170) 같은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착용단말기(100)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900)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착용단말기(100) 주변에 있는 접속단말장치(200)와 D2D 또는 M2M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용단말기(100)에는 실내외에서 빠른 위치탐색과 위치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A-GPS(Assisted-GPS)기능이 탑재될 수 있는바, 상기 A-GPS(Assisted-GPS)는 주변에 있는 접속단말장치(200)로부터 해당 접속단말장치의 고유식별코드(PID), 위치정보, AP(기지국)-정보, RF수신레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가장 가까운 AP의 위치정보를 참고하고, 또한 자신의 GPS수신부(130)로부터 수신된 위성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확한 위치를 획득함과 동시에 주변 AP들의 정보를 함께 저장 관리한다.
이와 함께 일정시간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여 이동경로 및 최신 위치를 관리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최신 정보를 통합관리센터(5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접속단말장치(200)로는 이동통신망(3G/4G/5G)을 사용하면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같은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착용단말기(100)와 D2D 또는 M2M 무선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210) 및 이동통신망(310)의 관리시스템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900)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관리에 필요한 제반정보는 통합관리센터(500)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단말장치(200)로는 인터넷망(320)을 사용하면서 착용단말기(100)와 D2D 또는 M2M 무선통신할 수 있는 WiFi-AP(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WiFi-AP(220) 및 인터넷망(320)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관리에 필요한 제반 정보는 통합관리센터(500)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단말장치(200)로는 착용단말기(100)와 NFC에 의해 무선통신할 수 있는 교통정보-AP(2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또한 상기 교통정보-AP(230) 및 교통망(BMS/BIS:330)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관리에 필요한 제반 정보는 통합관리센터(500)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단말장치(200)로는 통신망으로 사물인터넷망(340)을 사용하면서 착용단말기(100)와는 D2D 또는 M2M 무선통신할 수 있는 IoT/IoE-AP(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IoT/IoE-AP(240)와 사물인터넷망(340)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900)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관리에 필요한 제반 정보는 통합관리센터(500)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통합관리센터(500)에는 웹서버(510), 처리서버(520), 통신서버(530), 지도서버(540)가 구비되고, 관리정보DB(570)와 위치정보DB(580) 및 과금정보DB(590)이 마련된다.
상기 통합관리센터(500) 또한 상호 관련된 시스템들과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900) 프로그램 기반으로 상호 연동되며, 보호가 요구되는 사회적 약자의 등록, 관리, 위치추적, 추적관리를 하게 된다.
또, 상기 통합관리센터(500)는 필요시 해당 사회적 약자 주변인의 스마트폰(210)에 보호요청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과금정보DB(570)를 운용·관리하면서 상기 착용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접속단말장치(200) 및 해당 통신망(300) 사용에 대한 별도의 비용을 분리·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합관리센터(500)에는 별도의 공공관리그룹(700)이 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가입자그룹(800)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합관리센터(500)와 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공공관리그룹(700)으로는 경찰서(710)와 안전센터(720), 민관 의료센터(730), 보건소의 약자관리센터(740) 및 지방자치단체의 실종방지시스템(750)을 들 수 있다.
상기 경찰서(710)에서는 CCTV와 연계하여 실종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안전센터(720)에서는 119와 연계하여 긴급구조 활동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민관 의료센터(730)와 약자관리센터(740) 및 실종방지시스템(750)에서는 구조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치료와 관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통합관리센터(500)와 이동통신망(310)을 통하여 연결되는 가입자그룹(800)에는 구조요원단말기(810), 관리자단말기(820) 및 보호자단말기(830)가 포함될 수 있는데, 위급상황 발생시 사회적 약자의 착용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신호가 접속단말장치(200)를 통하여 통합관리센터(500)에 수신되는 경우에 통합관리센터(500)에서는 수신된 착용단말기(100)의 신호와 관리정보DB(570)와 위치정보DB(580)에 저장된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해당 사회적 약자의 부류, 즉 치매환자인지 독거노인인지 등의 부류, 지도를 기반으로 한 현위치정보, 활동정보, 생체정보등을 종합적으로 추출하고,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를 공공관리그룹(700)내의 관련 기관과 가입자그룹(800)내의 구조요원단말기(810), 관리자단말기(820) 및 보호자단말기(83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착용단말기(100)와 접속단말장치(200) 및 각각의 통신망(300) 및 통합관리센터(500)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900)은 이종(異種)통신시스템 사이의 원활하고 신속한 상호통신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통신코드(910), 통신구분코드(920), 착용단말기정보(930), 접속단말장치정보(970) 및 기타 정보(9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긴급통신코드(910)는 공공안전 및 사회복지서비스에 사용되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을 의미하는 코드(최우선 처리코드)이고, 상기 통신구분코드(920)는 단방향통신, 양방향통신, 복합통신, 기타 통신 등으로 구분하여 상황별로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코드이며, 상기 착용단말기정보(930)는 착용단말기(100)의 고유번호(PID), 위치, 활동정보, 생체정보, 기타 정보로 구성된 정보를 나타낸다.
또 상기 접속단말장치정보(970)는 접속단말장치(200)의 고유번호(PID), 통신망, 위치, 시간, 기타 정보 등으로 구성된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기타 정보(980)는 향후 확장 및 응용을 위한 코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착용단말기(100)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의 전반부인 긴급통신코드(910), 통신구분코드(920) 및 착용단말기정보(930)등으로 구성하여 주변에 있는 접속단말장치(200)들과 상호 D2D 또는 M2M 통신하고, 접속단말장치(200)가 착용단말기(100)로부터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의 전반부 정보를 수신하면,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의 후반부에 해당하는 자신의 정보인 접속단말장치정보(970) 및 기타 정보(980)를 추가하여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의 전체를 완성한 후 통합관리센터(500)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 때, 기지국 역할을 하는 접속단말장치(200)와 해당 통신망(300)에서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이 검출되면 통합관리센터(500)와 긴급통신될 수 있도록 최우선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착용단말기(100)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을 통하여 통신반경내의 스마트폰(210)에게 해당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긴급도움요청문자와 함께 통합관리센터에 접속·연결할 수 있는 아이콘을 전송할 수 있다.
또, 상기 통합관리센터(500)는 사회적 약자의 실종이나 유괴 같은 긴급상황발생시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을 통하여 해당 사회적 약자의 착용단말기(100)의 통신반경내에 있는 스마트폰(210)에게 해당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긴급도움요청문자와 함께 해당 사회적 약자의 사진, 관련 정보 및 위치확인을 위한 지도기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착용단말기(100)는 사용 용도에 따라 팔목에 착용하는 통상적인 손목시계형 이외에 목걸이형, 반지형, 팔찌형, 브로치형, 지팡이형, 벨트형, 신발내장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는 스마트형 웨어러블 디바이스(Smart Wearable Device)이다.
100 : 착용단말기 101 : 제어부
102 : 메모리 103 : USIM
130 : GPS모듈 140 : 블루투스모듈
150 : WiFi모듈 160 : NFC모듈
170 : IoT/IoE모듈 200 : 접속단말장치
210 : 스마트폰 220 : WiFi-AP
230 : 교통정보-AP 240 : IoT/IoE-AP
300 : 통신망 310 : 이동통신망
320 : 인터넷망 330 : 교통망
340 : 사물인터넷망 500 : 통합관리센터
700 : 공공관리그룹 800 : 가입자그룹
900 :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Claims (11)

  1. 치매환자, 독거노인, 어린이 같은 사회적 약자에 착용되며, 별도로 부여된 독립된 고유번호와 각종 관리정보가 내장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위치정보신호를 발신하는 착용단말기와;
    상기 착용단말기와 D2D(Device-to-Device)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무선통신하는 다수의 접속단말장치와;
    상기 접속단말장치에 해당되는 통신망과;
    상기 접속단말장치의 통신망과 연결되어 착용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착용단말기의 신호와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해당 사회적 약자의 부류, 현위치정보, 활동정보, 생체정보를 종합·추출하고,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를 공공관리그룹내의 관련 기관과 가입자그룹 내의 구조요원, 관리요원 또는 보호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합관리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단말기는 전원부와: 원활한 전력공급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하여 광충전부 및 무선충전부를 포함하는 충전부와; 제어부, 메모리, USIM을 포함하는 중앙처리부와; LCD화면, 터치센서, 입력장치, 마이크, 스피커를 포함하는 입출력장치부와; 블루투스(Bluetooth)모듈, WiFi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IoT/IoE모듈의 무선통신 모듈 및 GPS수신 모듈과; 활동정보 수집을 위한 가속도센서나 자이로센서, 생체정보 수집을 위한 온도센서나 생체신호센서 및 기타 목적에 필요한 센서들 중 선택된 1이상의 센서가 내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착용단말기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착용단말기 주변에 있는 접속단말장치와 D2D 또는 M2M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단말기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을 통하여 통신반경내의 스마트폰에게 해당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긴급도움요청문자와 함께 통합관리센터에 접속·연결할 수 있는 아이콘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센터는 사회적 약자의 실종이나 유괴 같은 긴급상황발생시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을 통하여 해당 사회적 약자의 착용단말기의 통신반경내에 있는 스마트폰에게 해당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긴급도움요청문자와 함께 해당 사회적 약자의 사진, 관련 정보 및 위치확인을 위한 지도기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단말기에는 실내외에서 빠른 위치탐색과 위치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주변에 있는 접속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접속단말장치의 고유식별코드(PID), 위치정보-좌표데이터, AP-정보, RF수신레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가장 가까운 AP의 위치정보를 참고하고, 또한 자신의 GPS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위성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확한 위치를 획득함과 동시에 주변 AP들의 정보를 함께 저장 관리하며;
    일정시간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갱신하여 이동경로 및 최신 위치를 관리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최신 정보를 통합관리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A-GPS(Assisted-GPS)기능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말장치는 통신망으로 이동통신망(3G/4G/5G)를 사용하면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같은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착용단말기와 D2D 또는 M2M 무선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스마트폰 및 이동통신망의 관리시스템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관리에 필요한 제반정보는 통합관리센터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말장치는 통신망으로 인터넷망을 사용하면서 착용단말기와 D2D 또는 M2M 무선통신할 수 있는 WiFi-AP이며;
    상기 WiFi-AP와 인터넷망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관리에 필요한 제반 정보는 통합관리센터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말장치는 통신망으로 교통망(BMS/BIS)을 사용하면서 착용단말기와 NFC에 의해 무선통신할 수 있는 교통정보-AP이며;
    상기 교통정보-AP 및 교통망(BMS/BIS)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관리에 필요한 제반 정보는 통합관리센터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말장치는 통신망으로 사물인터넷망을 사용하면서 착용단말기와 D2D 또는 M2M 무선통신할 수 있는 IoT/IoE-AP이며;
    상기 IoT/IoE-AP와 사물인터넷망에는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기능의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태에서 관리에 필요한 제반 정보는 통합관리센터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센터는 웹서버, 처리서버, 통신서버, 지도서버, 관리정보DB, 과금정보DB로 구성되고;
    상호 관련된 시스템들과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 프로그램 기반으로 상호 연동되며, 보호대상 사회적 약자의 등록, 관리, 위치추적, 추적관리, 활동관리 및 생체정보관리를 하며;
    필요시 해당 사회적 약자 주변인의 스마트폰에 보호요청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착용단말기와 통신하는 접속단말장치 및 해당 통신망 사용에 대한 별도의 과금정보DB를 운용·관리하여 그 비용을 분리·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안전긴급통신규약(PSEP)은 정보처리를 신속·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보호대상자의 인적사항, 등록사항, 관리사항을 포함하는 관리정보와;
    관리지역이탈, 실종, 유괴, 납치, 갑작스런 발병(發病) 같은 긴급상황정보와;
    착용단말기의 고유식별코드(PID), 위치정보, 배터리정보 같은 착용단말기정보와;
    접속단말장치의 고유식별코드(PID), 위치정보, 통신망정보, 착용단말기의 수신레벨 같은 접속단말장치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KR1020150151737A 2015-10-30 2015-10-30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KR20170050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737A KR20170050328A (ko) 2015-10-30 2015-10-30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737A KR20170050328A (ko) 2015-10-30 2015-10-30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28A true KR20170050328A (ko) 2017-05-11

Family

ID=5874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737A KR20170050328A (ko) 2015-10-30 2015-10-30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032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74B1 (ko) * 2018-01-11 2019-06-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령자를 위한 안심 길찾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KR20190067554A (ko) * 2017-12-07 2019-06-17 김형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KR102076610B1 (ko) * 2019-04-25 2020-02-12 스티븐 상근 오 관리대상 인권보호를 위한 조력기관의 관리기관 인증방법 및 장치
KR20200061860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아이오티플렉스 군중 관리 시스템
KR20200105040A (ko) * 2019-02-28 2020-09-0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환자를 위한 사고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90051A (ko) 2020-12-22 2022-06-29 한국과학기술원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
KR20230001337A (ko) 2021-06-28 2023-01-04 유삼용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회적 약자 관리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54A (ko) * 2017-12-07 2019-06-17 김형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서비스 시스템
KR101987574B1 (ko) * 2018-01-11 2019-06-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령자를 위한 안심 길찾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KR20200061860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아이오티플렉스 군중 관리 시스템
KR20200105040A (ko) * 2019-02-28 2020-09-0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환자를 위한 사고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2076610B1 (ko) * 2019-04-25 2020-02-12 스티븐 상근 오 관리대상 인권보호를 위한 조력기관의 관리기관 인증방법 및 장치
WO2020218728A1 (ko) * 2019-04-25 2020-10-29 상근 오스티븐 관리대상 인권보호를 위한 조력기관의 관리기관 인증방법 및 장치
JP2021524643A (ja) * 2019-04-25 2021-09-13 スティーブン・サングン・オStephen Sang Geun OH 管理対象の人権を保護するための助力機関の管理機関認証方法及び装置
KR20220090051A (ko) 2020-12-22 2022-06-29 한국과학기술원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
WO2022139073A1 (ko) * 2020-12-22 2022-06-30 한국과학기술원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한 감염병 관리 방법 및 감염병 관리 시스템
KR20230001337A (ko) 2021-06-28 2023-01-04 유삼용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회적 약자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0328A (ko)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US72121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etermining location
US20120252399A1 (en) Personal security system
KR102343580B1 (ko) 인지 장애인 및 이들의 부양자를 위한 개선된 위치 인지 및 위치 확인 시스템
AU2016200528A1 (en) Tracking system
CN104012127A (zh) 具有紧急呼叫功能的无线中继模块
KR10201002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JP2017045218A (ja) 近距離無線通信可能な発信機器を用いた迷子防止システム
KR20080109371A (ko) 응급 구조구난 시스템
JP2006293519A (ja) 安否確認方法、安否確認システム、自宅内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KR20180052179A (ko) 신발 위치 추적을 통한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KR101608453B1 (ko)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005668A (ja) 防犯及び防災システム
KR101625907B1 (ko) 어린이 안심 등하원 관리 및 알림 관제 방법
JP2007011434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Surendran et al. BLE bluetooth beacon based solution to monitor egress of Alzheimer’s disease sufferers from indoors
KR20100005967U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KR20150002063A (ko) 실버세대를 위한 모바일 개인응급응답시스템
JP2003233890A (ja) 緊急通報受信センター装置、携帯無線型緊急通報端末及び携帯無線型緊急通報端末検知装置
JP6579582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53179A (ko) 어린이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5225575A (ja) 介護システム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KR100824727B1 (ko) 엘비에스를 이용한 단지 내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1954441B1 (ko) IoT 기반 노인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5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926

Effective date: 2018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