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453B1 -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453B1
KR101608453B1 KR1020140073046A KR20140073046A KR101608453B1 KR 101608453 B1 KR101608453 B1 KR 101608453B1 KR 1020140073046 A KR1020140073046 A KR 1020140073046A KR 20140073046 A KR20140073046 A KR 20140073046A KR 101608453 B1 KR101608453 B1 KR 10160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input signal
disabled
emergenc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205A (ko
Inventor
신필순
권종만
이기철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중소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소기업은행 filed Critical 중소기업은행
Priority to KR102014007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45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센서장치부(110), 스마트 AP(120), 스마트 태그(130) 및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을 포함하는 장애인 홈 영역(A1), 그 밖의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 그리고 유관기관 영역(A3)으로 구분되어, 장애인 홈 영역(A1) 상의 활동량 태그(TAG)인 스마트 태그(130)와 무선 중계기에 해당하는 스마트 AP(120)를 이용하여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장애인의 생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장애인 스마트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장애인 홈 영역(A1)의 스마트 태그(130)는, 충전 배터리(131)에 대한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배터리 충전 시기 및 충전 상태를 출력부(133)로 구현하는 센싱부(132a); 장애인의 이동거리 및 칼로리를 포함하는 활동량을 측정하여 활동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활동량 측정 모듈(132b); 측정된 활동량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통해 스마트 AP(120)를 통해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관제서버(230)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지그비 통신부(136); 및 센싱부(132a) 및 활동량 측정 모듈(132b)을 내부에 포함하며, 비상 버튼(134)으로부터의 비상 버튼 입력 신호, 가속센서(132)로부터 비상시 흔들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지그비 통신부(136)를 제어하여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비상 버튼 입력 신호, 및 흔들림 입력 신호를 스마트 AP(12)을 통해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관제서버(2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2); 를 포함하며, 관제서버(230)는 무선통신망(210)을 통해 스마트 AP(120)로부터 스마트 태그(110)를 소지한 장애인에 대한 주기적인 활동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하며, 수집된 활동량 정보를 이용해 장애인의 생활패턴을 분석하여, 생활패턴과 불일치하는 경우 자동 이상 감지를 수행하여 장애인에 대한 자동 관리를 수행하고,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고객콜센터(240)는, 관제서버(230)로부터 자동 이상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유무선전화망(220)을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로 유선 및 무선 전화를 연결하여, 콜센터 고객 전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스마트 태그(130)가 활동량 측정 모듈(132b)에 의해 측정된 활동량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통해 스마트 AP(12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관제서버(230)가 무선통신망(210)과 연결된 스마트 AP(12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31)에 수집된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해 장애인의 생활패턴을 분석하여 생활패턴과 불일치하는지 여부의 자동 이상 감지를 개시하는 제 2 단계; 스마트 태그(130)가 비상 버튼(134)으로부터의 비상 버튼 입력 신호, 가속센서(132)로부터 비상시 흔들림 입력 신호 수신시 스마트 AP(120)로 지그비 통신부(136)를 제어하여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비상 버튼 입력 신호, 및 흔들림 입력 신호 전송을 개시하는 제 3 단계; 관제서버(230)가 상기 제 2 단계에 따른 자동 이상 감지 대기, 그리고 상기 제 3 단계에 따른 스마트 AP(120)를 통해 비상 버튼 입력 신호, 및 흔들림 입력 신호에 따른 긴급 호출을 수신을 대기하는 제 4 단계; 및 대기에 따라 감지 또는 수신된 경우, 관제서버(230)가 무선통신망(210)과 연결된 스마트 AP(120)를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센서장치부(110)에 포함된 각 센서(111 내지 114)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실내에서의 움직임, 화재 발생, 가스 발생, 도어의 여닫음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센서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를 유관기관 영역(A3)의 유관기관서버(300)로 전달하여,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의 자료로 사용되도록 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5 단계 이후, 유관기관서버(300) 중 119 서버는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을 활용해 비상시 긴급 119 출동 서비스, 관할 파출서 서버 및 출장 방문 서비스 서버는 출장 방문 서비스, 장애인 복지사 서버는 장애인 복지사로 정보 제공 서비스, 장애인 복지 센터는 상태 관리 케어 서비스 수행하고, 동시에,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고객콜센터(240)는 유무선전화망(220)을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로 유선 및 무선 전화를 연결하여 콜센터 고객 전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Smart care system for disabled person using activity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활동량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자동적으로 관리하도록 하기 위한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으며, 고령화로 인한 노세화에 의해 수족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리를 위한 재원 마련이 문제화되고 있다.
즉, 장애인에 대한 턱없이 부족한 의료 시설로 인해 가정에서 돌보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가정에서 장애인을 돌보아야 하는 경우 가족 구성원 중 어느 한 명은 장애인을 돌보아야 하는 간병인으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 이때, 해당 가족 구성원은 상시 장애인을 감시 및 관리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기 생활을 희생하면서 돌보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요양 시설에 위탁하더라고 다수의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서는 개인당 간병인을 한 명씩 두어야 하지만, 비용상의 이유로 그렇게 하고 있지 못하며, 따라서 실제로 필요에 의해서가 아닌 간병인의 스케줄에 따라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장애인의 증가에 따른 관리 재원 부족을 해결하고, 장애인의 사회적 무관심에 따른 장애인 사고 발생, 장애인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부재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ADSL망 장애관리를 위한 장애인식 장치 및 방법(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a interference in ADSL)(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37023호)
2. 인터넷을 이용한 장애인용 여행서비스의 제공방법(A method of providing a tour service for the handicapped by internet) (특허출원번호 제 10-2000-006309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상 알람 서비스 제공으로 미연에 장애인 사고의 방지를 위한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활동량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자동적인 장애인 스마트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에 대한 빅데이터를 이용해 장애인의 행동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센서장치부(110), 스마트 AP(120), 스마트 태그(130) 및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을 포함하는 장애인 홈 영역(A1), 그 밖의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 그리고 유관기관 영역(A3)으로 구분되어, 장애인 홈 영역(A1) 상의 활동량 태그(TAG)인 스마트 태그(130)와 무선 중계기에 해당하는 스마트 AP(120)를 이용하여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장애인의 생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장애인 스마트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장애인 홈 영역(A1)의 스마트 태그(130)는, 충전 배터리(131)에 대한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배터리 충전 시기 및 충전 상태를 출력부(133)로 구현하는 센싱부(132a); 장애인의 이동거리 및 칼로리를 포함하는 활동량을 측정하여 활동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활동량 측정 모듈(132b); 측정된 활동량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통해 스마트 AP(120)를 통해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관제서버(230)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지그비 통신부(136); 및 센싱부(132a) 및 활동량 측정 모듈(132b)을 내부에 포함하며, 비상 버튼(134)으로부터의 비상 버튼 입력 신호, 가속센서(132)로부터 비상시 흔들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지그비 통신부(136)를 제어하여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비상 버튼 입력 신호, 및 흔들림 입력 신호를 스마트 AP(12)을 통해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관제서버(2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2); 를 포함하며, 관제서버(230)는 무선통신망(210)을 통해 스마트 AP(120)로부터 스마트 태그(110)를 소지한 장애인에 대한 주기적인 활동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하며, 수집된 활동량 정보를 이용해 장애인의 생활패턴을 분석하여, 생활패턴과 불일치하는 경우 자동 이상 감지를 수행하여 장애인에 대한 자동 관리를 수행하고,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고객콜센터(240)는, 관제서버(230)로부터 자동 이상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유무선전화망(220)을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로 유선 및 무선 전화를 연결하여, 콜센터 고객 전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관제서버(230)는, 자동 이상 감지에 따라 이상이 감지된 경우, 무선통신망(210)과 연결된 스마트 AP(120)를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센서장치부(110)에 포함된 각 센서(111 내지 114)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실내에서의 움직임, 화재 발생, 가스 발생, 도어의 여닫음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를 유관기관 영역(A3)의 유관기관서버(300)로 전달하여,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의 자료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방법은, 스마트 태그(130)가 활동량 측정 모듈(132b)에 의해 측정된 활동량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통해 스마트 AP(12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관제서버(230)가 무선통신망(210)과 연결된 스마트 AP(12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31)에 수집된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해 장애인의 생활패턴을 분석하여 생활패턴과 불일치하는지 여부의 자동 이상 감지를 개시하는 제 2 단계; 스마트 태그(130)가 비상 버튼(134)으로부터의 비상 버튼 입력 신호, 가속센서(132)로부터 비상시 흔들림 입력 신호 수신시 스마트 AP(120)로 지그비 통신부(136)를 제어하여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비상 버튼 입력 신호, 및 흔들림 입력 신호 전송을 개시하는 제 3 단계; 관제서버(230)가 상기 제 2 단계에 따른 자동 이상 감지 대기, 그리고 상기 제 3 단계에 따른 스마트 AP(120)를 통해 비상 버튼 입력 신호, 및 흔들림 입력 신호에 따른 긴급 호출을 수신을 대기하는 제 4 단계; 및 대기에 따라 감지 또는 수신된 경우, 관제서버(230)가 무선통신망(210)과 연결된 스마트 AP(120)를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센서장치부(110)에 포함된 각 센서(111 내지 114)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실내에서의 움직임, 화재 발생, 가스 발생, 도어의 여닫음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센서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를 유관기관 영역(A3)의 유관기관서버(300)로 전달하여,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의 자료로 사용되도록 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5 단계 이후, 유관기관서버(300) 중 119 서버는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을 활용해 비상시 긴급 119 출동 서비스, 관할 파출서 서버 및 출장 방문 서비스 서버는 출장 방문 서비스, 장애인 복지사 서버는 장애인 복지사로 정보 제공 서비스, 장애인 복지 센터는 상태 관리 케어 서비스 수행하고, 동시에,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고객콜센터(240)는 유무선전화망(220)을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로 유선 및 무선 전화를 연결하여 콜센터 고객 전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장애인에게는 사고의 미연 방지, 비상시 긴급 도움, 빅데이터를 이용한 자동 케어, 유관기관 연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정부 및 공공기관에게는 활동량 분석을 통한 장애인의 행동 빅데이터 확보, 장애인 체계적인 관리 체계 확보, 유관 기관과 체계적인 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중 실내 기반을 중심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중 스마트 태그(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중 실외 기반을 중심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중 실내 기반을 중심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중 스마트 태그(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실내 기반의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1a)은 장애인 홈 영역(A1),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 그리고 유관기관 영역(A3)으로 구분되어, 장애인 홈 영역(A1) 상의 활동량 태그(TAG)인 스마트 태그(130)와 무선 중계기에 해당하는 스마트 AP(120)를 이용하여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스마트 융합 서비스 접목하여 장애인의 생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먼저, 장애인 홈 영역(A1)은 센서장치부(110), 스마트 AP(120), 스마트 태그(130) 및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을 포함한다.
센서장치부(110)는 움직임 감지센서(111), 화재센서(112), 가스센서(113) 및 도어센서(114)를 포함함으로써, 실내에서의 움직임, 화재 발생, 가스 발생, 도어의 여닫음을 감지하여 스마트 AP(120)로 전송한다. 한편, 센서장치부(110)에 포함된 각종 센서는 하나의 예시로 다른 센서로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 정보 내지는 식별 정보를 갖는다.
여기서 스마트 태그(130)는 충전 배터리(131)를 구비하여 장애인이 소지한 포터블 형태의 장애인 활동량을 측정하는 태그이다. 스마트 태그(130)는 측정된 활동량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통해 스마트 AP(1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마트 태그(130)와 스마트 AP(120) 간을 지그비 통신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블루투스, UWB, Binary CDMA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변형하여 적용가능하다.
한편, 스마트 태그(130)는 도 2와 같이, 제어부(132)가 충전 배터리(131)에 대한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132a)를 구비함으로써, 충전 배터리(131)에 대한 배터리 충전 시기 및 충전 상태를 측정하여 출력부(133)로 구현한다. 한편 제어부(132)는 장애인의 이동거리 및 칼로리를 포함하는 활동량 측정을 위한 활동량 측정 모듈(132b)을 구비함으로써, 활동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스마트 태그(130)는 비상 버튼(134) 및 가속센서(134)를 구비함으로써, 제어부(132)가 비상 버튼(134)으로부터의 비상 버튼 입력 신호, 가속센서(132)로부터 비상시 흔들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지그비 통신부(136)를 제어하여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스마트 AP(12)로 비상 버튼 입력 신호, 및 흔들림 입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은 무선통신망(210), 유무선전화망(220), 관제서버(230) 및 고객콜센터(2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망(210)은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으며, 일 실시 예로서, 4G LTE망일 수 있다. 무선통신망(21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비동기식 MSC(Mobile Switching Cen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4G LTE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차세대 이동통신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유무선전화망(220)은 장애인 홈 영역(A1)의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로부터 유선 및 무선 전화를 고객콜센터(240)로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콜센터(240)에서 수집된 장애인 활동량 데이터가 관제서버(230)로 제공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고객콜센터(240)로부터의 전화를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로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콜센터(240)에 의한 스마트 태그(130)를 소지한 장애인에 대한 전화 확인을 가능하도록 한다.
관제서버(230)는 무선통신망(210)을 통해 스마트 AP(120)로부터 스마트 태그(110)를 소지한 장애인에 대한 주기적인 활동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한다.
관제서버(230)는 수집된 활동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31) 상에 빅데이터화 한 뒤, 장애인의 생활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생활패턴과 불일치하는 경우에 대한 자동 이상 감지를 수행하여 장애인에 대한 자동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관제서버(230)는 자동 이상 감지에 따라 이상이 감지된 경우, 무선통신망(210)과 연결된 스마트 AP(120)를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센서장치부(110)에 포함된 각 센서(111 내지 114)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실내에서의 움직임, 화재 발생, 가스 발생, 도어(door)의 여닫음 정보)를 수신하며, 각 센서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를 유관기관 영역(A3)의 유관기관서버(300)로 전달함으로써,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의 자료로 사용되도록 한다.
한편, 고객콜센터(240)는 관제서버(230)로부터 자동 이상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유무선전화망(220)을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로 유선 및 무선 전화를 연결함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안부를 위한 콜센터 고객 전화 기능을 제공한다.
유관기관 영역(A3)은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을 수행하는 유관기관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유관기관서버(300)는 119 서버 및 관할 파출소 서버, 출장 방문 서비스 서버, 장애인 복지사 서버, 장애인 복지 센터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은 119 서버에 의한 비상시 긴급 119 출동 서비스, 출장 방문 서비스 서버 및 관할 파출소 서버에 의한 출장 방문 서비스, 장애인 복지사 서버에 의한 장애인 복지사로 정보 제공 서비스, 장애인 복지 센터에 의한 상태 관리 케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중 실외 기반을 중심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외 기반의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1b)은 실외 영역(A4)에 형성된 유선형 스마트 AP(120a), 무선형 스마트 AP(120b), 고리형 스마트 태그(130a), 착용형 스마트 태그(130b), 방범용 CCTV(150), 그 밖에 CCTV 전용 회선용 IP망(250), 통합모니터링 시스템(260), 서비스 통합 서버(27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스마트 태그(130)는 고리형 스마트 태그(130a)와 착용형 스마트 태그(130b)로 구분되어 제작될 수 있다. 고리형 스마트 태그(130a)와 착용형 스마트 태그(130b)는 각각이 고리를 이용해 장애인 소지품에 탈착하거나, 손목 등에 착용을 위한 밴드 타입으로 외형이 제작되나 도 2에서 설명한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스마트 AP(120)는 유선형 스마트 AP(120a) 및 무선형 스마트 AP(120b)로 구분될 수 있다.
유선형 스마트 AP(120a)는 고리형 스마트 태그(130a)와 착용형 스마트 태그(130b)를 이용한 장애인의 긴급 호출이 수행된 경우, 방범용 CCTV 집합체 중 긴급 호출이 수행된 위치와 가장 인접하게 설치된 방범용 CCTV(15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긴급 호출 신호에 대한 회선 결합을 통한 CCTV 전용 회선용 IP망(250)과 연결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260)로 전송한다.
여기서 긴급 호출은 도 2와 같은 고리형 스마트 태그(130a)와 착용형 스마트 태그(130b)의 각 비상 버튼(134) 및 가속센서(134)에 대한 장애인의 입력에 따라, 고리형 스마트 태그(130a)와 착용형 스마트 태그(130b)의 제어부(132)가 비상 버튼(134)으로부터의 비상 버튼 입력 신호, 가속센서(132)로부터 비상시 흔들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가 해당할 수 있다.
무선형 스마트 AP(120b)는 유선형 스마트 AP(120a)와 동일하게 고리형 스마트 태그(130a)와 착용형 스마트 태그(130b)를 이용한 장애인의 긴급 호출이 수행된 경우 긴급 호출 신호를 CCTV 전용 회선용 IP망(250)과 연결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260)로 전송한다.
한편, 고리형 스마트 태그(130a)와 착용형 스마트 태그(130b)는 방범용 CCTV 집합체 중 긴급 호출이 수행된 위치와 가장 인접하게 설치된 방범용 CCTV(15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CCTV 전용 회선용 IP망(250)과 연결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260)로 전송을 요청한다. 여기서 고리형 스마트 태그(130a)와 착용형 스마트 태그(130b) 각각과 방범용 CCTV(150) 간에는 지그비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통합모니터링 시스템(260)은 긴급 호출을 수신한 경우, 알람 정보를 유관 기관인 CCTV 관제 센터, 경찰서 서버, 초등학교 서버, 지자체 서버 등으로 제공하며, 긴급 호출을 수행한 장애인에 대한 개인정보 관리를 활용한 유관 기관 연계정보 제공을 수행한다.
서비스 통합 서버(270)는 지자체 대민서비스 망을 통해 통합모니터링 시스템(260)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무선통신망(210) 및 관제서버(230)와의 연동을 통해 유관기관서버(300) 중 119 서버에 의한 비상시 긴급 119 출동 서비스, 관할 파출소 서버 및 출장 방문 서비스 서버에 의한 출장 방문 서비스, 장애인 복지사 서버에 의한 장애인 복지사로 정보 제공 서비스, 장애인 복지 센터에 의한 상태 관리 케어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를 중심으로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스마트 태그(130)는 활동량 측정 모듈(132b)에 의해 측정된 활동량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통해 스마트 AP(120)로 전송한다(S11).
단계(S11) 이후, 관제서버(230)는 무선통신망(210)과 연결된 스마트 AP(12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31)에 수집된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해 장애인의 생활패턴을 분석하여 생활패턴과 불일치하는지 여부의 자동 이상 감지를 개시한다(S12).
단계(S12) 이후, 스마트 태그(130)는 비상 버튼(134)으로부터의 비상 버튼 입력 신호, 가속센서(132)로부터 비상시 흔들림 입력 신호를 수신에 의한 스마트 AP(120)로 지그비 통신부(136)를 제어하여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비상 버튼 입력 신호 및 흔들림 입력 신호에 대한 전송을 개시한다(S13).
단계(S13) 이후, 관제서버(230)는 단계(S12)에 따른 자동 이상 감지 대기, 그리고 단계(S13)에 따른 스마트 AP(120)를 통해 비상 버튼 입력 신호, 및 흔들림 입력 신호에 따른 긴급 호출을 수신을 대기한다(S14).
단계(S14)에 따른 대기에 따라 관제서버(230)는 단계(S12)에 따른 이상 감지 여부 또는 단계(S13)에 따른 긴급 호출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S15), 감지 또는 수신되지 않은 경우 단계(S14)로 회귀하며, 감지 또는 수신된 경우 단계(S16) 및 단계(S17), 그리고 단계(S18)를 동시에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제서버(230)는 무선통신망(210)과 연결된 스마트 AP(120)를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센서장치부(110)에 포함된 각 센서(111 내지 114)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실내에서의 움직임, 화재 발생, 가스 발생, 도어의 여닫음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센서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를 유관기관 영역(A3)의 유관기관서버(300)로 전달하여,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의 자료로 활용되도록 한다(S16).
단계(S16) 이후, 유관기관서버(300) 중 119 서버는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을 활용해 비상시 긴급 119 출동 서비스, 관할 파출서 서버 및 출장 방문 서비스 서버는 출장 방문 서비스, 장애인 복지사 서버는 장애인 복지사로 정보 제공 서비스, 장애인 복지 센터는 상태 관리 케어 서비스 수행한다(S17).
한편 단계(S16) 및 단계(S17)와 동시에, 고객콜센터(240)는 무선전화망(220)을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로 유선 및 무선 전화를 연결하여 콜센터 고객 전화 기능을 제공한다(S18).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a: 실내 기반의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1b: 실외 기반의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A1: 장애인 홈 영역
A2: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
A3: 유관기관 영역
A4: 실외 영역
110: 센서장치부
120: 스마트 AP
120a: 유선형 스마트 AP
120b: 무선형 스마트 AP
130: 스마트 태그
130a: 고리형 스마트 태그
130b: 착용형 스마트 태그
131: 충전배터리
132: 제어부
132a: 센싱부
132b: 활동량 측정 모듈
133: 출력부
134: 비상버튼
135: 가속센서
136: 지그비 통신부
140: 일반 가정 전화단말
150: 방범용 CCTV
210: 무선통신망
220: 유무선전화망
230: 관제서버
240: 고객콜센터
250: CCTV 전용 회선용 IP망
260: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270: 서비스 통합 서버
300: 유관기관서버

Claims (4)

  1. 센서장치부(110), 스마트 AP(120), 스마트 태그(130) 및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을 포함하는 장애인 홈 영역(A1), 그 밖의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 그리고 유관기관 영역(A3)으로 구분되어, 장애인 홈 영역(A1) 상의 활동량 태그(TAG)인 스마트 태그(130)와 무선 중계기에 해당하는 스마트 AP(120)를 이용하여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장애인의 생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장애인 스마트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장애인 홈 영역(A1)의 스마트 태그(130)는,
    충전 배터리(131)에 대한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배터리 충전 시기 및 충전 상태를 출력부(133)로 구현하는 센싱부(132a);
    장애인의 이동거리 및 칼로리를 포함하는 활동량을 측정하여 활동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활동량 측정 모듈(132b);
    측정된 활동량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통해 스마트 AP(120)를 통해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관제서버(230)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지그비 통신부(136); 및
    센싱부(132a) 및 활동량 측정 모듈(132b)을 내부에 포함하며, 비상 버튼(134)으로부터의 비상 버튼 입력 신호, 가속센서(132)로부터 비상시 흔들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지그비 통신부(136)를 제어하여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비상 버튼 입력 신호, 및 흔들림 입력 신호를 스마트 AP(12)을 통해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관제서버(2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2); 를 포함하며,
    관제서버(230)는 무선통신망(210)을 통해 스마트 AP(120)로부터 스마트 태그(110)를 소지한 장애인에 대한 주기적인 활동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하며, 수집된 활동량 정보를 이용해 장애인의 생활패턴을 분석하여, 생활패턴과 불일치하는 경우 자동 이상 감지를 수행하여 장애인에 대한 자동 관리를 수행하고,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고객콜센터(240)는, 관제서버(230)로부터 자동 이상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유무선전화망(220)을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로 유선 및 무선 전화를 연결하여, 콜센터 고객 전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관제서버(230)는,
    자동 이상 감지에 따라 이상이 감지된 경우, 무선통신망(210)과 연결된 스마트 AP(120)를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센서장치부(110)에 포함된 각 센서(111 내지 114)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실내에서의 움직임, 화재 발생, 가스 발생, 도어의 여닫음 정보)를 수신한 뒤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를 유관기관 영역(A3)의 유관기관서버(300)로 전달하여,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의 자료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3. 삭제
  4. 스마트 태그(130)가 활동량 측정 모듈(132b)에 의해 측정된 활동량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을 통해 스마트 AP(12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관제서버(230)가 무선통신망(210)과 연결된 스마트 AP(12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31)에 수집된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해 장애인의 생활패턴을 분석하여 생활패턴과 불일치하는지 여부의 자동 이상 감지를 개시하는 제 2 단계;
    스마트 태그(130)가 비상 버튼(134)으로부터의 비상 버튼 입력 신호, 가속센서(132)로부터 비상시 흔들림 입력 신호 수신시 스마트 AP(120)로 지그비 통신부(136)를 제어하여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비상 버튼 입력 신호, 및 흔들림 입력 신호 전송을 개시하는 제 3 단계;
    관제서버(230)가 상기 제 2 단계에 따른 자동 이상 감지 대기, 그리고 상기 제 3 단계에 따른 스마트 AP(120)를 통해 비상 버튼 입력 신호, 및 흔들림 입력 신호에 따른 긴급 호출을 수신을 대기하는 제 4 단계; 및
    대기에 따라 감지 또는 수신된 경우, 관제서버(230)가 무선통신망(210)과 연결된 스마트 AP(120)를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센서장치부(110)에 포함된 각 센서(111 내지 114)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실내에서의 움직임, 화재 발생, 가스 발생, 도어의 여닫음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센서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를 유관기관 영역(A3)의 유관기관서버(300)로 전달하여,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의 자료로 사용되도록 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5 단계 이후, 유관기관서버(300) 중 119 서버는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을 활용해 비상시 긴급 119 출동 서비스, 관할 파출서 서버 및 출장 방문 서비스 서버는 출장 방문 서비스, 장애인 복지사 서버는 장애인 복지사로 정보 제공 서비스, 장애인 복지 센터는 상태 관리 케어 서비스 수행하고,
    동시에, 시스템 네트워크 영역(A2)의 고객콜센터(240)는 유무선전화망(220)을 통해 장애인 홈 영역(A1)의 일반 가정 전화단말(140)로 유선 및 무선 전화를 연결하여 콜센터 고객 전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방법.
KR1020140073046A 2014-06-16 2014-06-16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046A KR101608453B1 (ko) 2014-06-16 2014-06-16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046A KR101608453B1 (ko) 2014-06-16 2014-06-16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205A KR20150144205A (ko) 2015-12-24
KR101608453B1 true KR101608453B1 (ko) 2016-04-01

Family

ID=5508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046A KR101608453B1 (ko) 2014-06-16 2014-06-16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190A (ko) 2017-11-06 2019-05-16 김성범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KR102268456B1 (ko) 2020-07-17 2021-06-24 주식회사 고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돌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594B1 (ko) * 2019-06-12 2020-02-17 아바드(주)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KR102190190B1 (ko) * 2020-08-19 2020-12-14 탑이앤지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활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528165B1 (ko) * 2022-01-19 2023-05-04 (주)한동엔지니어링 인공지능을 활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통합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190A (ko) 2017-11-06 2019-05-16 김성범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KR102268456B1 (ko) 2020-07-17 2021-06-24 주식회사 고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돌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205A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974B1 (ko)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08453B1 (ko)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7616110B2 (en) Mobile wireless customizable health and condition monitor
US8868616B1 (en) Event data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EP266757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5034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vity between a personal area network and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vi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170050328A (ko) 사회적 약자의 공공안전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US20220139199A1 (en)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2333369B1 (ko) IoT 기반 모션감지센서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심지킴이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6263181A (ja) 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
JP7274784B2 (ja) ゲートウェイ基盤の状況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2004164282A (ja) 個人行動検知システム
KR101485449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간의 협조에 의한 응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31183B1 (ko)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Della Mea et al.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or the health and social care internet of things: Proof-of-concept study
Park et al. Self‐Organizing Wearable Device Platform for Assisting and Reminding Humans in Real Time
KR20120044747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비상 알림시스템
KR102062266B1 (ko)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약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3243A (ko) 주변환경 연계형 복합센서 사물인터넷시스템
KR101482658B1 (ko) 사회적 약자를 위한 스마트 위치 관리시스템
JP4021445B2 (ja) 近隣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近隣セキュリティ方法
KR20190070068A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낙상 사고 관리 시스템
KR102553745B1 (ko)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3422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를 이용한 피보호자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0468A (ko) 원격 효대행 서비스 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