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190A -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190A
KR20190052190A KR1020170146869A KR20170146869A KR20190052190A KR 20190052190 A KR20190052190 A KR 20190052190A KR 1020170146869 A KR1020170146869 A KR 1020170146869A KR 20170146869 A KR20170146869 A KR 20170146869A KR 20190052190 A KR20190052190 A KR 20190052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nagement
sensing device
iot
management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803B1 (ko
Inventor
김성범
Original Assignee
김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범 filed Critical 김성범
Priority to KR1020170146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8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댁내에 구비되어 탐지한 열을 화상으로 변환하고, 빛, 소리 및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 디바이스;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토대로 관리대상자를 모니터링하여 IoT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관리대상자들의 패턴을 추출하되, 관리대상자의 상태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인 경우, 기 설정된 기관 또는 관리자에게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허브 디바이스; 및 센싱 디바이스를 통해 관리대상자와의 영상통화를 제공하며, 상기 허브 디바이스로부터 모니터링 정보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과 대응하는 보호대상자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PROTECTION SYSTEM FOR VULNERABLE CLASSES USING Internet Of Thing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oT센싱 디바이스와 IoT허브 디바이스를 통해 취약계층의 관리대상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되, 기 설정된 시간마다 연계기관의 담당자와의 영상통화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대상자를 골든타임 내에 구조를 제공하여 노인성 치매에 대한 조기진단을 가능하게 하며, 독거노인의 고독사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인 및 장애인을 포함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으며, 고령화로 인한 노세화에 의해 수족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 특히 1인 가구에 대한 관리를 위한 재원 마련이 문제화되고 있다.
즉, 취약계층에 대한 턱없이 부족한 의료 시설로 인해 가정에서 돌보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가정에서 노인 또는 장애인을 돌보아야 하는 경우 가족 구성원 중 어느 한 명은 상주하여 돌보아야 하는 간병인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해당 가족 구성원은 상시 노인 또는 장애인을 감시 및 관리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기 생활을 희생하면서 돌보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요양 시설에 위탁하더라고 다수의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서는 개인당 간병인을 한 명씩 두어야하지만, 비용상의 이유로 그렇게 하고 있지 못하며, 따라서 실제로 필요에 의해서가 아닌 간병인의 스케줄에 따라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독거노인의 경우 사회복지사가 안부전화를 하거나 내방하여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사회복지사 한명이 관리하는 관리대상자가 많기 때문에 관리대상자의 치매여부를 조기에 진단한다거나 위험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취약계층에 대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과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08,453호(2015.12.24.공개),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이 개시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선행특허의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대해 살피면, 댁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장애인의 자동 이상이 감지된 경우, 무선통신망과 연결된 스마트 AP를 통해 장애인 홈 영역의 센서장치부에 포함된 각 센서의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실내에서의 움직임, 화재 발생, 가스 발생, 도어의 여닫음 정보)를 수신한 뒤 위치에 따른 감지 신호 정보를 유관기관서버로 전달하여, "알람 정보 및 상태 정보 전달 기능"의 자료로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선행특허를 포함한 종래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댁내에 설치된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해서 관리대상자를 단순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에만 응급조치를 취하는 구성 즉, 감시 또는 간병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구성인바, 관리대상자와 관리자간에 유대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관리대상자를 모니터링하여 위급상황 발생시 기관과 협력하여 즉각적인 구호를 제공함은 물론, 관리대상자와 관리자간의 영상통화를 제공하여 관리대상자의 치매여부를 인지하거나 우울증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608,453호
본 발명의 목적은, IoT센싱 디바이스와 IoT허브 디바이스를 통해 취약계층의 관리대상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되, 기 설정된 시간마다 사회복지사, 사회보장정보원, 노인복지통합시스템의 담당자와 영상통화를 제공함으로써, 노인성 치매 및 우울증에 대한 조기진단이 가능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IoT센싱 디바이스와 IoT허브 디바이스를 통해 취약계층의 관리대상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되,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119 또는 경찰서를 포함하는 연계기관을 통해 관리대상자를 골든타임 내에 구조받도록 함으로써, 독거노인의 고독사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댁내에 구비되어 탐지한 열을 화상으로 변환하고, 빛, 소리 및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 디바이스;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토대로 관리대상자를 모니터링하여 IoT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관리대상자들의 패턴을 추출하되, 관리대상자의 상태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인 경우, 기 설정된 기관 또는 관리자에게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허브 디바이스; 및 센싱 디바이스를 통해 관리대상자와의 영상통화를 제공하며, 허브 디바이스로부터 모니터링 정보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과 대응하는 보호대상자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센싱 디바이스는, 관리대상자가 발산하는 열을 추적 및 탐지하여 열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 빛 또는 소리를 감지하여 관리대상자의 취침 또는 기상여부를 포함하는 알람 데이터를 생성하는 외부 알람센서;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움직임 감지센서; 관리대상자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HD카메라; 및 오디오, 스피커 및 WiFi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허브 디바이스 또는 관리자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대상자와의 영상통화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허브 디바이스는,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관리대상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모니터링부; 모니터링부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데이터를 식별ID별로 분류하되, 관리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대별로 패턴을 분석하여 빅데이터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및 모니터링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인가받은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또는 활동량 데이터 중에 어느 하나의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기준값을 벗어난 데이터 및 센싱 디비이스의 식별ID를 포함하는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구호활동 판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패턴은,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관리대상자의 외관, 열화상 데이터에 기반으로 하는 계절별 또는 시간대별 관리대상자의 체온변화, 알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관리대상자의 기상시간, 취침시간 및 방문자 내방시간, 및 활동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관리대상자의 활동량 각각을 유사도별로 정량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은, 센싱 디바이스가 댁내에 구비되어 탐지한 열을 화상으로 변환하고, 빛, 소리 및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a) 단계; 허브 디바이스가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토대로 관리대상자를 모니터링하는 (b) 단계; 허브 디바이스가 IoT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관리대상자들의 패턴을 추출하여 관리대상자의 상태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c) 단계; 및 (c) 단계의 판단결과, 관리대상자의 상태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인 경우, 허브 디바이스가 생성한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기 설정된 기관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a)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가 허브 디바이스의 IoT 중개를 통해 센싱 디바이스와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a) 단계는, 센싱 디바이스의 열화상 카메라는 관리대상자가 발산하는 열을 추적 및 탐지하여 열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a-1) 단계; 센싱 디바이스의 외부 알람센서가 빛 또는 소리를 감지하여 관리대상자의 취침 또는 기상여부를 포함하는 알람 데이터를 생성하는 (a-2) 단계; 센싱 디바이스의 움직임 감지센서가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a-3) 단계; 및 센싱 디바이스의 HD카메라가 관리대상자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a-4)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c) 단계는, 허브 디바이스의 빅데이터 분석부가 모니터링부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인가받는 (c-1) 단계; 허브 디바이스의 빅데이터 분석부가 인가받은 데이터를 식별ID별로 분류하는 (c-2) 단계; 허브 디바이스의 빅데이터 분석부가 관리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대별로 패턴을 분석하여 빅데이터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c-3) 단계; 허브 디바이스의 빅데이터 분석부가 생성한 빅데이터 분석정보를 토대로 관리대상자 각각에 대한 치매가능성 여부를 수치화하는 (c-4)단계; 허브 디바이스의 빅데이터 분석부가 수치화 값이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c-5) 단계; 및 (c-5) 단계의 판단결과, 수치화 값이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허브 디바이스의 빅데이터 분석부가 치매진단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모니터링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c-6)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IoT센싱 디바이스와 IoT허브 디바이스를 통해 취약계층의 관리대상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되, 기 설정된 시간마다 사회복지사, 사회보장정보원, 노인복지통합시스템의 담당자와 영상통화를 제공함으로써, 노인성 치매 및 우울증에 대한 조기진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IoT센싱 디바이스와 IoT허브 디바이스를 통해 취약계층의 관리대상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되,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119 또는 경찰서를 포함하는 연계기관을 통해 관리대상자를 골든타임 내에 구조받도록 함으로써, 독거노인의 고독사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의 제S10단계 이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은 제S10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의 제S30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S)은, 센싱 디바이스(10), 허브 디바이스(20) 및 관리자 단말기(30)로 구성되되, 먼저, 센싱 디바이스(10)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댁내에 구비되어 탐지한 열을 화상으로 변환하고, 빛, 소리 및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허브 디바이스(20)는 센싱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토대로 관리대상자를 모니터링하여 IoT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관리대상자들의 패턴을 추출하되, 관리대상자의 상태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인 경우, 기 설정된 기관 또는 관리자에게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기(30)는 센싱 디바이스(10)를 통해 관리대상자와의 영상통화를 제공하며, 허브 디바이스(20)로부터 모니터링 정보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과 대응하는 보호대상자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센싱 디바이스(10)의 세부 구성요소들은 댁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데, 먼저, 열화상 카메라(11)는 관리대상자가 발산하는 열을 추적 및 탐지하여 열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외부 알람센서(12)는 빛 또는 소리를 감지하여 관리대상자의 취침 또는 기상여부를 포함하는 알람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움직임 감지센서(13)는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HD카메라(14)는 관리대상자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되, 허브 디바이스(2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 포커스를 조절하여 관리대상자를 근접 촬영이 가능하다. 이때, 촬영 포커스 조절은 카메라의 줌인 또는 줌아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멀티미디어부(15)는 오디오, 스피커 및 WiFi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허브 디바이스(2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대상자와의 영상통화를 제공한다. 이때, 멀티미디어부(15)는 관리대상자의 제어에 따라 허브 디바이스(2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와의 영상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11) 및 HD카메라(14)는 상시 녹화기능을 통해 관리대상자를 촬영한 영상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고, 외부 알람센서(12) 및 움직임 감지센서(13)가 생성한 데이터와 멀티미디어부(15)가 제공한 영상통화 데이터 또한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11) 및 HD카메라(14)는 이동주인 관리대상자를 추적하여 지향하면서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허브 디바이스(20)의 모니터링부(21)는 센싱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관리대상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이때, 모니터링부(21)는 센싱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되, 센싱 디바이스(10) 각각과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식별ID에 따라 모니터링할 관리대상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부(22)는 모니터링부(21)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데이터를 식별ID별로 분류하되, 관리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대별로 패턴을 분석하여 빅데이터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패턴이란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관리대상자의 외관, 열화상 데이터에 기반으로 하는 계절별 또는 시간대별 관리대상자의 체온변화, 알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관리대상자의 기상시간, 취침시간 및 방문자 내방시간, 및 활동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관리대상자의 활동량 각각을 유사도별로 정량화한 값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부(22)는 생성한 빅데이터 분석정보를 토대로 관리대상자 각각에 대한 치매가능성 여부를 수치화하고, 수치화 값이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치매진단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모니터링부(21)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치매가능성 여부는 모니터링부(21)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일단위 또는 월단위로 관리대상자의 이상행동 발생여부를 카운팅한 값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분석결과 하루에 식사를 세 번 이상 한다거나, 움직임 없이 TV시청 시간이 기 설정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를 카운팅하는 형태로 치매가능성 여부를 수치화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구호활동 판단부(23)는 모니터링부(21)로부터 실시간으로 인가받은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또는 활동량 데이터 중에 어느 하나의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기준값을 벗어난 데이터 및 센싱 디비이스(10)의 식별ID를 포함하는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구호활동 요청정보는 기 설정된 기관으로 전송하여 즉각적인 출동을 통해 관리대상자의 위급상황을 구호하기 위한 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IoT 중개부(24)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센싱 디바이스(10)와 모니터링부(21)간의 데이터를 중개하고, 기 설정된 시간마다 센싱 디바이스(10)와의 영상통화를 중개하며, 구호활동 판단부(23)로부터 인가받은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식별ID와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기관의 관리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관이란, 사회복지사, 사회보장정보원, 노인복지통합시스템, 112 종합상황실, 119 구조본부 또는 지정 의료기관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IoT 중개부(24)는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관리대상자가 지정한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자 단말기(30)는 허브 디바이스(20)의 IoT 중개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마다 센싱 디바이스(10)와의 영상통화를 제공하고, 모니터링중인 센싱 디바이스의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또는 활동량 데이터 중에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식별ID별로 수신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30)는 허브 디바이스(20)의 IoT 중개를 통해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PUSH 메시지로 수신하되, 즉각적은 구호가 불가능한 경우, 구호활동 요청정보에 포함된 식별ID의 위치와 근접한 관리자 단말기(30)로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관리자 단말기(30) 각각이 식별ID별로 지정된 관리대상자에 대한 구호활동을 수행해야 하나,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다른 관리대상자에 대한 구호활동을 수행중이거나 구호활동이 불가능한 경우, 기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30)들의 현재 GPS정보를 토대로 즉각적인 구호활동이 가능한 관리자 단말기(30)로 구호대상자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센싱 디바이스(10)가 댁내에 구비되어 탐지한 열을 화상으로 변환하고, 빛, 소리 및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를 생성한다(S10).
이어서, 허브 디바이스(20)가 센싱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토대로 관리대상자를 모니터링한다(S20).
뒤이어, 허브 디바이스(20)가 IoT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관리대상자들의 패턴을 추출하여 관리대상자의 상태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제S30단계의 판단결과, 관리대상자의 상태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인 경우, 허브 디바이스(20)가 생성한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기 설정된 기관 또는 관리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S40).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의 제S20단계 이후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10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30)가 허브 디바이스(20)의 IoT 중개를 통해 센싱 디바이스(10)와 영상통화를 수행한다(S50).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의 제S10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센싱 디바이스(10)의 열화상 카메라(11)가 관리대상자가 발산하는 열을 추적 및 탐지하여 열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11).
이어서, 센싱 디바이스(10)의 외부 알람센서(20)가 빛 또는 소리를 감지하여 관리대상자의 취침 또는 기상여부를 포함하는 알람 데이터를 생성한다(S12).
뒤이어, 센싱 디바이스(10)의 움직임 감지센서(13)가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생성한다(S13).
그리고, 센싱 디바이스(10)의 HD카메라(14)가 관리대상자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14).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의 제S30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20단계 이후, 허브 디바이스(20)의 빅데이터 분석부(22)가 모니터링부(21)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인가받는다(S31).
이어서, 허브 디바이스(20)의 빅데이터 분석부(22)가 인가받은 데이터를 식별ID별로 분류한다(S32).
뒤이어, 허브 디바이스(20)의 빅데이터 분석부(22)가 관리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대별로 패턴을 분석하여 빅데이터 분석정보를 생성한다(S33).
이어서, 허브 디바이스(20)의 빅데이터 분석부(22)가 생성한 빅데이터 분석정보를 토대로 관리대상자 각각에 대한 치매가능성 여부를 수치화한다(S34).
뒤이어, 허브 디바이스(20)의 빅데이터 분석부(22)가 수치화 값이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
제S35단계의 판단결과, 수치화 값이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허브 디바이스(20)의 빅데이터 분석부(22)가 치매진단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모니터링부(21)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S36).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oT센싱 디바이스와 IoT허브 디바이스를 통해 취약계층의 관리대상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노인성 치매 및 우울증에 대한 조기진단이 가능하고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대상자를 골든타임 내에 구조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10: 센싱 디바이스 11: 열화상 카메라
12: 외부 알람센서 13: 움직임 감지센서
14: HD카메라 15: 멀티미디어부
20: 허브 디바이스 21: 모니터링부
22: 빅데이터 분석부 23: 구호활동 판단부
24: IoT 중개부 30: 관리자 단말기

Claims (8)

  1. 취약계층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댁내에 구비되어 탐지한 열을 화상으로 변환하고, 빛, 소리 및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 디바이스;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토대로 관리대상자를 모니터링하여 IoT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관리대상자들의 패턴을 추출하되, 관리대상자의 상태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인 경우, 기 설정된 기관 또는 관리자에게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허브 디바이스; 및
    상기 센싱 디바이스를 통해 관리대상자와의 영상통화를 제공하며, 상기 허브 디바이스로부터 모니터링 정보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과 대응하는 보호대상자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디바이스는,
    관리대상자가 발산하는 열을 추적 및 탐지하여 열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
    빛 또는 소리를 감지하여 관리대상자의 취침 또는 기상여부를 포함하는 알람 데이터를 생성하는 외부 알람센서;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움직임 감지센서;
    관리대상자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HD카메라; 및
    오디오, 스피커 및 WiFi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허브 디바이스 또는 관리자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대상자와의 영상통화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디바이스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관리대상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데이터를 식별ID별로 분류하되, 관리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대별로 패턴을 분석하여 빅데이터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인가받은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또는 활동량 데이터 중에 어느 하나의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기준값을 벗어난 데이터 및 센싱 디비이스의 식별ID를 포함하는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구호활동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관리대상자의 외관, 열화상 데이터에 기반으로 하는 계절별 또는 시간대별 관리대상자의 체온변화, 알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관리대상자의 기상시간, 취침시간 및 방문자 내방시간, 및 활동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관리대상자의 활동량 각각을 유사도별로 정량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5.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센싱 디바이스가 댁내에 구비되어 탐지한 열을 화상으로 변환하고, 빛, 소리 및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허브 디바이스가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토대로 관리대상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c) 허브 디바이스가 IoT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관리대상자들의 패턴을 추출하여 관리대상자의 상태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판단결과, 관리대상자의 상태가 이상상황 또는 위급상황인 경우, 허브 디바이스가 생성한 구호활동 요청정보를 기 설정된 기관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e)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허브 디바이스의 IoT 중개를 통해 상기센싱 디바이스와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센싱 디바이스의 열화상 카메라는 관리대상자가 발산하는 열을 추적 및 탐지하여 열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a-2) 센싱 디바이스의 외부 알람센서가 빛 또는 소리를 감지하여 관리대상자의 취침 또는 기상여부를 포함하는 알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a-3) 센싱 디바이스의 움직임 감지센서가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활동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a-4) 센싱 디바이스의 HD카메라가 관리대상자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허브 디바이스의 빅데이터 분석부가 모니터링부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화상 데이터, 알람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인가받는 단계;
    (c-2) 허브 디바이스의 빅데이터 분석부가 인가받은 데이터를 식별ID별로 분류하는 단계;
    (c-3) 허브 디바이스의 빅데이터 분석부가 관리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대별로 패턴을 분석하여 빅데이터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4) 허브 디바이스의 빅데이터 분석부가 생성한 빅데이터 분석정보를 토대로 관리대상자 각각에 대한 치매가능성 여부를 수치화하는 단계;
    (c-5) 허브 디바이스의 빅데이터 분석부가 수치화 값이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6) 상기 (c-5) 단계의 판단결과, 수치화 값이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허브 디바이스의 빅데이터 분석부가 치매진단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모니터링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방법.
KR1020170146869A 2017-11-06 2017-11-06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KR101990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69A KR101990803B1 (ko) 2017-11-06 2017-11-06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69A KR101990803B1 (ko) 2017-11-06 2017-11-06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190A true KR20190052190A (ko) 2019-05-16
KR101990803B1 KR101990803B1 (ko) 2019-06-20

Family

ID=6667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869A KR101990803B1 (ko) 2017-11-06 2017-11-06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80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78A (ko) * 2019-05-27 2020-12-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01170A (ko) * 2019-06-27 2021-01-06 유니트론 주식회사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47449A (ko) * 2019-10-22 2021-04-30 배종길 스마트 영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10076694A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오성전자 홈 edge 허브를 활용한 공동주택 환경에서 긴급 상황 대응 시스템
KR102312596B1 (ko) * 2021-06-28 2021-10-13 김민수 IoT, AI를 적용한 비대면 디지털 돌봄 건설 시공시스템
KR20210128830A (ko) *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에이텍 빅데이터 기반의 행동패턴 분석을 이용한 독거 생활 케어시스템
KR102327361B1 (ko) * 2021-06-28 2021-11-16 김민수 IoT, AI를 적용한 비대면 디지털 돌봄 케어시스템
KR102362223B1 (ko) 2021-01-18 2022-02-14 김민정 취약계층 안전 주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432B1 (ko) * 2022-07-28 2023-11-14 변원섭 온라인시험 부정행위 트랙킹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9442A (ko) * 2012-11-29 2014-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이전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8453B1 (ko) 2014-06-16 2016-04-01 중소기업은행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22386A (ko) * 2015-04-14 2016-10-24 (주)시큐시스 독거노인 고독사 방치 방지를 위한 센서정보 수집 및 이벤트 발생 시에만 모니터링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반 영상 관리 시스템
KR101773524B1 (ko) * 2016-09-01 2017-09-12 (주)밀 피감시자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응급안전 정보알리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취약계층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9442A (ko) * 2012-11-29 2014-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이전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8453B1 (ko) 2014-06-16 2016-04-01 중소기업은행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22386A (ko) * 2015-04-14 2016-10-24 (주)시큐시스 독거노인 고독사 방치 방지를 위한 센서정보 수집 및 이벤트 발생 시에만 모니터링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반 영상 관리 시스템
KR101773524B1 (ko) * 2016-09-01 2017-09-12 (주)밀 피감시자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응급안전 정보알리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취약계층 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78A (ko) * 2019-05-27 2020-12-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01170A (ko) * 2019-06-27 2021-01-06 유니트론 주식회사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47449A (ko) * 2019-10-22 2021-04-30 배종길 스마트 영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10076694A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오성전자 홈 edge 허브를 활용한 공동주택 환경에서 긴급 상황 대응 시스템
KR20210128830A (ko) *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에이텍 빅데이터 기반의 행동패턴 분석을 이용한 독거 생활 케어시스템
KR102362223B1 (ko) 2021-01-18 2022-02-14 김민정 취약계층 안전 주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12596B1 (ko) * 2021-06-28 2021-10-13 김민수 IoT, AI를 적용한 비대면 디지털 돌봄 건설 시공시스템
KR102327361B1 (ko) * 2021-06-28 2021-11-16 김민수 IoT, AI를 적용한 비대면 디지털 돌봄 케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803B1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803B1 (ko)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US11037300B2 (en) Monitoring system
US10424175B2 (en) Motion detection system based on user feedback
CN110914798B (zh) 用于监视和礼宾服务的可扩展系统和方法
US6238337B1 (en) Medical non-intrusive prevention based on network of embedded systems
Zhang et al. HONEY: a multimodality fall detection and telecare system
KR20160032004A (ko) 보안 및/또는 감시 장치 및 시스템
CN109326073A (zh) 一种基于多点定位的无线传感器网络安防监控系统
US10891492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privacy enabled surveillance in a building
US20170076576A1 (en) Activi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11647968B2 (en) Door access control system with body temperature detection function
JP5813829B1 (ja) 防犯システム
US20140266670A1 (en) Home Surveillance and Alert triggering system
KR101597218B1 (ko) 아이디 정보와 환자 정보를 이용한 수용자 호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14067383A (ja) 行動監視通報システム
EP3616095A1 (en) Computer vision base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936390B1 (ko) Cctv 기반의 트래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201310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for recalling memory
JP2012032910A (ja) 通報装置
KR102405883B1 (ko) 요양원 인공지능 자동관제 시스템
WO2010009361A1 (en) Privacy-enhanced event-driv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ologies
US11538125B1 (en) Automated event detection in controlled-environment areas using biometric identification
KR20130110978A (ko)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영상 감시 방법 및 시스템
TWI533260B (zh) 保全監視系統
FI129564B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activity of specified individu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