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974B1 -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974B1
KR101866974B1 KR1020120002030A KR20120002030A KR101866974B1 KR 101866974 B1 KR101866974 B1 KR 101866974B1 KR 1020120002030 A KR1020120002030 A KR 1020120002030A KR 20120002030 A KR20120002030 A KR 20120002030A KR 101866974 B1 KR101866974 B1 KR 101866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ehavior pattern
wearer
repeater
emergency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063A (ko
Inventor
박찬규
김재홍
박천수
강상승
장민수
손주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0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974B1/ko
Priority to US13/586,213 priority patent/US9088871B2/en
Publication of KR2013008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수집정보를 생성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응급호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와, 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원격지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착용자의 행동 패턴 변화를 관찰하여 낙상 사고나 응급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기관 또는 해당 담당자에게 응급 사고에 대한 정보 및 착용자의 위치를 전송하는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속적인 간호가 필요한 사람의 손목이나 허리 등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를 제공하여 착용자의 구속감이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낙상 사고 등과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본인이 능동적으로 응급 호출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응급 호출 정보가 즉시 전송되어 위급한 응급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An Action Pattern Collec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착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수집정보를 생성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응급호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와, 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원격지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착용자의 행동 패턴 변화를 관찰하여 낙상 사고나 응급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기관 또는 해당 담당자에게 응급 사고에 대한 정보 및 착용자의 위치를 전송하는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2008-F039-01, 과제명: 인간-로봇 상호작용 매개 기술 개발]
IT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요양 기관 또는 의료 기관들에도 인터넷 인프라가 확대되고 있으며, IT 기반의 헬스 케어 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 사회가 되어 갈수록 추가 의료비 부담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치료보다는 예방 위주의 정책으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고령자의 경우 응급 상황에 빠질 확률이 높고 본인 스스로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이 떨어지므로,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심각한 상황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낙상 사고는 여러 질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단순 노환으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 예방 및 낙상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은 허리나 가슴에 착용하는 소형화된 장치를 이용하여, 낙상이 발생하는 경우 관성 센서로부터 낙상을 감지하고, 낙상 사고와 관련된 응급 상황 정보를 전송한다. 하지만 낙상이 아님에도 낙상으로 판단하여 응급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False Positive 현상, 및 실제 낙상인데도 불구하고 낙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응급 상황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False Negative 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오보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측면이 있다.
또한 무선 장치의 소형화 및 중계장치의 노드 수 증가로 인한 트래픽 부담으로 신뢰성이 담보될 수 없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낮아지면, 고령자의 낙상 사고나 응급 상황을 놓쳐 버릴 수도 있어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은 착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수집정보를 생성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응급호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와, 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원격지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착용자의 행동 패턴 변화를 관찰하여 낙상 사고나 응급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기관 또는 해당 담당자에게 응급 사고에 대한 정보 및 착용자의 위치를 전송하는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3축 방향의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는 가속도 센서; 가속도 신호의 패턴에 대응하는 행동 패턴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생성된 가속도 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패턴을 추출하는 행동 패턴 추출부; 중계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부; 현재 통신 연결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위치추정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위치 갱신부; 및 장치 식별번호, 위치추정정보 및 추출된 행동 패턴을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며, 무선 통신부는 생성된 수집정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은, 착용자가 착용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로 중계기 식별코드를 전송하고,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수집정보와 응급 상황 시 즉시 전송되는 응급호출정보를 행동 패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수집정보와 응급호출정보를 전송하는 중계기; 및 중계기로부터 수집정보와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하면 응급호출정보를 전송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담당자가 소지한 정보 단말기로 응급호출정보를 즉시 전송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고, 수집정보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장치 식별번호, 통신 연결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가지는 위치추정정보, 및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된 가속도 신호로부터 추출된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응급호출정보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장치 식별번호 및 통신 연결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가지는 위치추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 방법은,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3축 방향의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가속도 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현재 통신 연결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위치추정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단계; 장치 식별번호, 위치추정정보 및 상기 추출된 행동 패턴을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수집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 방법은, 중계기가 착용자가 착용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로 중계기 식별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중계기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수집정보와 응급 상황 시 즉시 전송되는 응급호출정보를 행동 패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모니터링 서버가 중계기로부터 수집정보와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 서버가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하면 응급호출정보를 전송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담당자가 소지한 정보 단말기로 응급호출정보를 즉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집정보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장치 식별번호, 통신 연결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가지는 위치추정정보, 및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된 가속도 신호로부터 추출된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응급호출정보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장치 식별번호 및 통신 연결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가지는 위치추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속적인 간호가 필요한 사람의 손목이나 허리 등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를 제공하여 착용자의 구속감이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낙상 사고 등과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본인이 능동적으로 응급 호출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응급 호출 정보가 즉시 전송되어 위급한 응급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령자의 행동패턴, 위치 정보, 조도/온도, 응급 상황과 같은 응급 관련 정보들이 누락되지 않고 해당 담당자나 기관에 전송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적외선 조사 방식을 상보적으로 사용하여 무선 기반 위치추정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행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수집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수집 장치를 구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섹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와 정보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분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행동 패턴 분석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분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모니터링 서버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가 착용자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연결된 (connect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 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행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행동 분석 시스템은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 네트워크(200), 및 모니터링 서버(400)를 포함하며, 추가로 모니터링 서버(4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제공받는 다양한 정보 단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간호나 보호가 필요한 고령자, 요양자, 장애자 등의 허리, 손목, 또는 목 등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착용가능한 정보 수집 장치로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며 착용자(50)의 낙상 사고, 일상적인 행동 패턴, 착용자의 위치추정정보, 응급 호출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정기적인 주기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400)로 수집한 정보를 전송한다.
네트워크(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섹터(210_1~210_n)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각 무선섹터(210_1~210_n) 내에는 중계기(230)가 설치되어 있다.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각 무선섹터(210_1~210_n) 내의 중계기(23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중계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400)와 연결된다.
각 무선섹터(210_1~210_n) 내에 설치된 중계기(230)는 각각 고유의 식별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중계기(230)의 중계기 식별정보는 착용자(50)의 위치를 판별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착용자(50)에 의해 응급 호출 버튼(155)이 눌리거나 또는 낙상 사고를 감지하면 즉시 네트워크(200)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400)로 응급호출정보나 낙상 사고와 관련한 정보를 전송한다.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가 착용자(50)로부터 수집한 모든 정보들은 모니터링 서버(400)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된다.
모니터링 서버(400)는 고령자나 요양인이 속해 있는 병원이나 요양기관과 같은 기관에 속해 있는 해당 담당자의 컴퓨터/태블릿 컴퓨터(510), 휴대전화와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520), 또는 로봇(530)에게 착용자(50)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제공한다. 요양사, 간호사, 또는 의사 등의 기관 담당자(60)는 컴퓨터/태블릿 컴퓨터(510) 및/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520)를 통해 착용자(50)들의 일상적인 행동 패턴, 현재의 위치 등을 조회해 볼 수 있다.
또한 기관에 이동형 텔레프레즌스 로봇(530)이 있는 경우, 기관의 담당자들은 이동형 텔레프레즌스 로봇(530)에서도 관련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만약 착용자(50)에게 응급 사고나 낙상 사고 등의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모니터링 서버(400)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의 네트워크(200)상의 접속 정보 또는 후술할 적외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한 착용자(50)의 위치를 추정한다.
모니터링 서버(400)는 이동형 텔레프레즌스 로봇(530)을 사고가 발생한 착용자(50)의 위치추정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로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동형 텔레프레즌스 로봇(530)은 해당 착용자(50)의 근접 위치로 이동한 후, 텔레프레즌스 기능을 수행하여 원격지 담당자의 텔레프레즌스 단말(540)과 연결한다. 원격지 담당자는 로봇(530)과 서로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교환하여 착용자(50)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거나 착용자(50)와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110), 행동 패턴 추출부(120), 정보 수집부(130), 무선 통신부(140), 및 위치 갱신부(170)를 포함하며, 응급 호출부(150), 응급 호출 버튼(155), 적외선 센서(160), 온도 센서(180), 및 조도 센서(190)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10)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3축 방향의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속도 센서(110)는 착용자(50)의 움직임을 약 6g 내지 8g 정도의 가속도 범위에서 수집하며, 수집된 가속도 신호를 행동 패턴 추출부(120)로 제공한다.
행동 패턴 추출부(120)는 가속도 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패턴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가속도 센서(110)로부터 수신한 가속도 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패턴을 추출한다.
행동 패턴 추출부(120)는 행동 분류부(121) 및 낙상 검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행동 분류부(121)는 가속도 신호로부터 통계적 특성을 반영하는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벡터로부터 가속도 신호에 대응하는 착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류한다.
행동 분류부(121)는 사전에 많은 실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행동들, 예를 들어 걷기, 손과 연관된 다양한 충격들, 낙상, 움직임이 거의 없는 상태, 그리고 그 외의 다른 일상 행동 등으로 분류하여 샘플 데이터들을 수집한 후, 기계 학습 분야의 교사 학습 방식을 이용하여 최저의 오류율로 4~5종의 행동 패턴을 분류한다.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주로 손목과 허리에 착용한다. 이 중 손목은 자유도가 높아 잦은 충격을 발생하므로 잦은 충격에도 낙상으로 오판되기 쉽기 때문에, 행동 분류부(121)는 다양한 행동들을 패턴으로 학습하여 잦은 충격 패턴들을 걸러 낼 수 있다.
낙상 검출부(122)는 행동 분류부(121)에 의해 분류된 행동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낙상 사고로 판단되는 경우를 검출한다.
위치 갱신부(170)는 착용자(50)의 위치추정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정보 수집부(130)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위치추정정보는 중계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며, 추가로 적외선 신호에 포함된 적외선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착용자(50)의 위치추정정보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와 연결된 중계기(230)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무선섹터(210_1~210_n)에 설치된 다수의 중계기 중의 어느 하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데, 일반적으로 가장 신호의 출력이 강한 중계기와 연결되게 된다. 거리가 가장 가까운 중계기에서 나오는 신호의 출력이 가장 강한 것이 일반적이므로,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와 연결된 중계기를 식별하면 착용자(50)의 위치가 추정될 수 있다.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전원이 공급되는 즉시 현재 주변에 송수신 가능한 가장 우수한 무선 신호를 제공하는 중계기(230)와 접속을 시도하고 연결이 성공되면, 해당 중계기를 착용자(50)가 벗어나지 않는 한 착용자가 그 중계기(230)에 인정한 장소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중계기(230)의 개수가 많아지면,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인접한 중계기가 아닌 멀리 떨어진 중계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가능성도 있다. 건물 내부의 복잡한 구조, 날씨 변화 등으로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가 가장 인접한 중계기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그보다 거리가 먼 다른 중계기에 접속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50)에 대하여 더욱 정확하게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위치 갱신부(170)는 후술할 적외선 센서(160)로부터 수신한 적외선 신호에 포함된 적외선 식별정보를 기초로 위치추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중계기(230)는 자기 고유의 적외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 신호를 주기적으로 강한 출력으로 주변으로 전송한다. 착용자(50)가 이러한 중계기(230)를 지나치거나 근처에 머무르는 경우,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의 적외선 센서(160)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위치 갱신부(170)는 적외선 식별정보를 기초로 착용자(50)에 대한 위치추정정보를 생성한다.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가 옷 등으로 가려지거나 덮여져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적외선 식별정보가 위치추정정보에 대한 최우선권을 가지며, 적외선 식별정보를 얻지 못한 경우에는 현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중계기(230)의 중계기 식별코드가 위치추정정보의 기본 정보가 된다.
응급 호출 버튼(155)은 비상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착용자(50)나 주변 사람이 직접 누를 수 있는 버튼이다.
추출된 행동패턴이 낙상 사고인 경우와 응급 호출 버튼(155)이 눌려진 경우 중의 어느 하나의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응급 호출부(150)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의 장치 식별번호 및 위치추정정보를 포함하는 응급호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급호출정보를 즉시 모니터링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무선 통신부(140)는 중계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정기적으로 수집정보를 중계기로 전송하고, 응급호출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즉시 응급호출정보를 중계기로 전송한다.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와 중계기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데,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및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현행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및/또는 향후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중의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온도 센서(180)는 착용자(50)의 체온이나 혹은 주변의 온도를 계측하고, 조도 센서(182)는 착용자(50) 주변의 조도를 계측한다. 계측된 온도 및 조도는 정보 수집부(130)로 제공되어 수집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착용자(50)의 주변 환경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정보 수집부(130)는 수집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수집정보를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중계기(230)로 전송한다. 수집정보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의 장치 식별번호, 위치추정정보 및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추가로 온도 센서(180)에서 계측된 온도정보 및 조도 센서(182)에서 계측된 조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위치추정정보는 일차적으로 중계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되, 적외선 센서(160)에서 적외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적외선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식별정보가 획득된 경우, 착용자(50)의 위치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적외선 식별정보가 중계기 식별코드에 우선하여 참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수집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손목이나 허리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면부에는 응급 상황 시에 누를 수 있는 응급 호출 버튼(15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의 전면부에는 각종 센서,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160), 온도 센서(180), 및 조도 센서(182)가 장착되며, 내부에는 가속도 센서(110)가 장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섹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각의 무선섹터(210_1~210_n) 내의 중계기들(230_1~230_n) 중에서 어느 하나의 중계기(230_1)는 이더넷(220) 등 유선 랜에 연결되어 모니터링 서버(40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음영지역을 없애고, 중계기들(230_1~230_n)이 설치되는 장소 및 지원되는 이더넷 포트의 여유 정도에 따라 중계기(230_1~230_n)의 개수와 위치는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무선섹터(210_1~210_n)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중계기들(230_1~230_n)의 개수는 증가힌다.
무선섹터 간의 중간 지대 또는 거리가 서로 떨어져 있는 중계기 간을 착용자(50)가 이동하는 경우,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기존에 연결된 중계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종료하고 인접하고 있는 중계기로 신속하게 핸드 오버를 수행한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장소가 넓어지는 경우 데이터들이 취합되는 종단 중계기의 부하가 커져서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더넷(220)과의 통합 연결을 지원하고 복수 개의 무선섹터 단위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트래픽 부담이 적절히 균등하게 분배되어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230)는 무선 통신에 따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231)를 포함하며, 적외선 식별정보를 가지는 적외선 신호를 주기적으로 외부로 조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230)는 다수의 다른 중계기들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200) 망을 확장시키며, 중계기(230)가 설치된 위치에서 고유의 적외선 식별정보를 가진 적외선 신호를 주기적으로 조사한다.
또한 중계기(230)는 이더뎃(ethernet, 220)과의 통합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이더넷 포트(235)를 내장할 수 있다.
중계기(230)는 착용자(50)의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위치추정정보의 기초가 되는 중계기 식별코드를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로 전송하고,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232)로 적외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을 조사하고, 각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집정보 및/또는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수집정보와 응급호출정보를 모니터링 서버(400)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와 정보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400)는 정보 수신부(410), 위치 판별부(420), 즉시 호출부(430), 및 데이터베이스(450)를 포함하며, 추가로 조회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410)는 중계기(230)로부터 각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에서 전송한 수집정보 및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DB, 450)에 기록한다.
정보 수신부(410)는 정보 분류부(411)와 응급 추출부(412)를 포함한다.
정보 분류부(411)는 중계기(230)로부터 수신한 각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의 수집정보 및 응급호출정보를 각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 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450)에 기록한다.
응급 추출부(412)는 중계기로부터 응급호출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응급호출정보가 수신되면 즉시 호출부(430)로 즉시 제공한다.
위치 판별부(420)는 수집정보 또는 응급호출정보에 포함된 위치추정정보를 기초로 착용자(50)의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위치를 데이터베이스(450)에 갱신한다. 데이터베이스(450)는 중계기 설치 위치, 중계기 식별코드 및 적외선 식별정보를 각 중계기(230) 별로 저장하고 있으므로, 위치 판별부(420)는 위치추정정보에 포함된 중계기 식별코드 또는 적외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착용자(50)의 현재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위치추정정보에 적외선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위치 판별부(420)는 중계기 식별코드보다 적외선 식별정보를 우선하여 착용자의 위치를 판별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450)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를 착용한 각 착용자(50)에 대하여 착용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의 장치 식별번호, 병원 또는 응급기관(600)의 연락처, 담당자(700), 및 담당자가 소지하고 있는 정보 단말기(5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응급호출정보가 수신된 경우, 즉시 호출부(430)는 응급호출정보에 포함된 장치 식별번호를 기초로 응급호출정보가 생성된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의 착용자(50)가 누구인지를 판별하고, 해당 착용자(50)의 담당자가 소지하는 정보 단말기(500)로 응급호출정보를 즉시 송신한다.
정보 단말기(500)는 전술한 것처럼, 컴퓨터나 태블릿 컴퓨터(510), 휴대전화(520), 이동형 텔레프레즌스 로봇(530)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행동 패턴 분석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흐름도로서,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 중계기(230), 모니터링 서버(400), 및 정보 단말기(500) 간의 교환되는 정보를 설명한다.
우선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전원이 공급되면 주변에 존재하는 중계기(230)와 무선 통신을 개시한다(S110).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중계기(230)로부터 중계기 식별코드 및 적외선 식별정보를 수신하고(S120), 수신한 중계기 식별코드 및 적외선 식별정보를 기초로 위치추정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한다(S130).
그와 동시에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가속도 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패턴을 추출하여 주기적으로 수집한다(S140).
그리고 나서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의 장치 식별번호, 위치추정정보 및 추출한 행동패턴을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중계기(230)로 전송한다(S150). 한편 추출한 행동패턴이 낙상 사고인 경우 및 응급 호출 버튼(155)이 눌려진 경우 중의 하나인 경우.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장치 식별번호 및 위치추정정보를 포함하는 응급호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급호출정보를 즉시 중계기(230)로 전송한다(S150)
중계기(230)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집정보 및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수집정보 및 응급호출정보를 모니터링 서버(400)로 전송한다(S160).
모니터링 서버(400)는 수신한 수집정보를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하고(S170), 수집정보에 포함된 위치추정정보를 기초로 착용자(50)의 위치를 판별한다(S180). 물론 모니터링 서버(400)는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도 응급호출정보를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하고, 응급호출정보에 포함된 위치추정정보를 기초로 착용자의 위치를 판별한다.
한편 응급호출정보가 수신된 경우, 모니터링 서버(400)는 응급호출정보에 포함된 장치 식별번호를 기초로 해당 담당자를 검색하고, 해당 담당자의 정보 단말기(500)로 응급호출정보를 전송한다(S190).
해당 담당자의 정보 단말기(500)는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응급호출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담당자가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담당자는 응급호출정보에 포함된 위치추정정보를 기초로 응급 사고가 발생한 착용자(50)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위치로 사람을 보내거나, 이동형 텔레프레즌스 로봇(530)을 추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분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중계기(230)와 통신을 개시한다(S210).
그리고 나서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110)로부터 가속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가속도 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패턴을 추출한다(S220).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통신이 연결된 중계기(230)로부터 중계기 식별코드를 수신하고(S230), 중계기(230)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S230).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위치추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갱신한다(S250). 전술한 것처럼, 위치추정정보는 중계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되,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적외선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식별정보는 착용자(50)의 위치를 추정할 때 중계기 식별코드에 우선하여 고려된다.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의 장치 식별번호, 위치추정정보 및 추출한 행동패턴을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한다(S260).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추출한 행동 패턴이 낙상 사고인지 여부와 응급 호출 버튼(155)이 눌려졌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두 가지 사건 중의 어느 하나의 사건이 발생한 경우 장치 식별번호 및 위치추정정보를 포함하는 응급호출정보를 생성한다(S270).
응급호출정보가 생성되면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응급호출정보를 즉시 중계기(230)로 전송하고(S280), 응급호출정보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네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100)는 수집정보를 주기적으로 중계기(230)로 전송한다(S29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 분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모니터링 서버(400)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모니터링 서버(400)는 수집정보가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수집정보가 수신되면, 모니터링 서버(400)는 수집정보에 포함된 위치추정정보로 착용자(50)의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착용자(50)의 위치를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서버(400)는 수집정보를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한다.
한편 수집정보가 아닌 응급호출정보가 수신된 경우(S340), 모니터링 서버(400)는 응급호출정보에 포함된 위치추정정보를 기초로 착용자(50)의 위치를 판별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한다(S350).
그리고 모니터링 서버(400)는 응급호출정보에 포함된 장치 식별번호를 기초로 해당 담당자를 검색 추출하고, 추출된 담당자가 소지하는 정보 단말기(500)로 응급호출정보를 즉시 전송한다(S360).
모니터링 서버는 응급호출정보를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한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400)는 정보 단말기(500)로부터 각종 정보에 대한 조회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회 요청은 착용자의 행동 패턴이나 각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요청일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400)는 조회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50)에서 검색하고(S390), 그 검색 결과를 조회 요청을 전송한 정보 단말기(500)로 전송한다(S40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가 착용자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모니터링 서버(400)는 수집정보나 응급호출정보에 포함된 위치추정정보에 적외선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한 것처럼 중계기 식별코드 보다 적외선 식별정보가 위치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취급된다.
위치추정정보에 적외선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400)는 적외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착용자(50)의 위치를 판별한다.
한편, 위치추정정보에 적외선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모니터링 서버(400)는 중계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착용자(50)의 위치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3축 방향의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는 가속도 센서;
    가속도 신호의 패턴에 대응하는 행동 패턴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생성된 가속도 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패턴을 추출하는 행동 패턴 추출부;
    중계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부;
    현재 통신 연결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위치추정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위치 갱신부; 및
    장치 식별번호, 상기 위치추정정보 및 상기 추출된 행동 패턴을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하여 분류된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착용자에 대한 응급 상황으로 오판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패턴을 학습하여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생성된 수집정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패턴 수집 장치는
    응급 상황 발생시 누를 수 있는 응급 호출 버튼; 및
    상기 추출된 행동 패턴이 낙상 사고인 경우 및 상기 응급 호출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중의 어느 하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장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추정정보를 포함하는 응급호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급호출정보를 즉시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응급 호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패턴 수집 장치는
    중계기로부터 적외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추정정보는 상기 수신한 적외선 신호에 포함된 적외선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패턴 수집 장치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
  5. 착용자가 착용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로 중계기 식별코드를 전송하고,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수집정보와 응급 상황 시 즉시 전송되는 응급호출정보를 상기 행동 패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수집정보와 응급호출정보를 전송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수집정보와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응급호출정보를 전송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담당자가 소지한 정보 단말기로 상기 응급호출정보를 즉시 전송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정보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장치 식별번호, 통신 연결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가지는 위치추정정보, 및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된 가속도 신호로부터 추출된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응급호출정보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장치 식별번호 및 통신 연결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가지는 위치추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착용자가 상기 행동 패턴 수집 장치를 착용한 신체 부위를 고려하여 분류된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응급 상황으로 오판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패턴을 학습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중계기 식별코드를 기초로 착용자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적외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 신호를 상기 행동 패턴 수집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행동 패턴 수집 장치는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적외선 식별정보가 포함된 위치추정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적외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착용자의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조회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착용자의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 결과를 상기 정보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은
    텔레프레즌스 로봇을 상기 응급호출정보를 전송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위치로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
  10.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3축 방향의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현재 통신 연결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위치추정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단계;
    장치 식별번호, 상기 위치추정정보 및 상기 추출된 행동 패턴을 포함하는 수집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신체 부위를 고려하여 분류된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착용자에 대한 응급 상황으로 오판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패턴을 학습하여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생성된 수집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추출된 행동 패턴이 낙상 사고인 경우 및 응급 호출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중의 어느 하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장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추정정보를 포함하는 응급호출정보를 즉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응급호출정보를 즉시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중계기로부터 적외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추정정보는 상기 수신한 적외선 신호에 포함된 적외선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주변의 조도를 계측하는 단계; 및
    주변의 온도를 계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정보는 상기 계측된 조도 및 온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방법.
  14. 중계기가 착용자가 착용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로 중계기 식별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수집정보와 응급 상황 시 즉시 전송되는 응급호출정보를 상기 행동 패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수집정보와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응급호출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응급호출정보를 전송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담당자가 소지한 정보 단말기로 상기 응급호출정보를 즉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정보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장치 식별번호, 통신 연결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가지는 위치추정정보, 및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된 가속도 신호로부터 추출된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응급호출정보는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장치 식별번호 및 통신 연결된 중계기의 중계기 식별코드를 가지는 위치추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착용자가 상기 행동 패턴 수집 장치를 착용한 신체 부위를 고려하여 분류된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응급 상황으로 오판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패턴을 학습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중계기 식별코드를 기초로 착용자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기가 적외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적외선 신호를 상기 행동 패턴 수집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행동 패턴 수집 장치가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적외선 식별정보가 포함된 위치추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적외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착용자의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착용자의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 결과를 상기 정보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텔레프레즌스 로봇을 상기 응급호출정보를 전송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의 위치로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패턴 분석 방법.
KR1020120002030A 2012-01-06 2012-01-06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866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030A KR101866974B1 (ko) 2012-01-06 2012-01-06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US13/586,213 US9088871B2 (en) 2012-01-06 2012-08-15 Behavioral pattern collecting apparatus, and behavioral pattern analyz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030A KR101866974B1 (ko) 2012-01-06 2012-01-06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063A KR20130081063A (ko) 2013-07-16
KR101866974B1 true KR101866974B1 (ko) 2018-06-14

Family

ID=4874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030A KR101866974B1 (ko) 2012-01-06 2012-01-06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88871B2 (ko)
KR (1) KR101866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298A1 (ko) * 2020-05-07 2021-1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보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27480A0 (en) * 2013-07-15 2013-12-31 Bg Negev Technologies & Applic Ltd A system for characterizing geographic locations based on sensor data from anonymous sources
KR102065415B1 (ko) 2013-09-09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76900B1 (ko) 2014-09-11 2021-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및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
CN105721275A (zh) * 2014-12-04 2016-06-2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发送即时消息的方法及装置
CN104836909B (zh) * 2015-04-27 2018-05-1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来电自动接通的方法及装置
EP3289573B1 (en) 2015-04-30 2021-10-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integrating multiple sensor data to predict a fall risk
US9807581B2 (en) 2015-11-12 2017-10-31 LaaSer Critical Communications Corp. Text message sender location and PSAP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9402159B1 (en) * 2015-11-12 2016-07-26 LaaSer Critical Communications Corp. Caller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9544750B1 (en) 2015-11-12 2017-01-10 LaaSer Critical Communications Corp. Caller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051119B2 (en) 2015-11-12 2018-08-14 Laaser Critical Communications, Corp. Caller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9693213B2 (en) 2015-11-12 2017-06-27 LaaSer Critical Communications Corp. Caller location and PSAP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5979484A (zh) * 2016-05-11 2016-09-28 杭州图南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应急广播的智能跌倒救助系统
CN106600901A (zh) * 2016-12-23 2017-04-26 平顶山学院 一种基于人体跌倒检测技术的养老智能报警系统
JP6977492B2 (ja) 2017-11-13 2021-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救援システムおよび救援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6870584B2 (ja) 2017-11-13 2021-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救援システムおよび救援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7052305B2 (ja) 2017-11-13 2022-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救援システムおよび救援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7000805B2 (ja) 2017-11-13 2022-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物救援システムおよび動物救援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19007B1 (ko) * 2018-04-10 2022-07-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험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CN109379714A (zh) * 2018-09-11 2019-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方法及装置
CN109523218A (zh) * 2018-11-27 2019-03-26 苏州优智达机器人有限公司 移动智能机器人与人的交互方法
CN111192436A (zh) * 2020-03-26 2020-05-22 东南大学 一种老人用跌倒自动呼救器
KR102382517B1 (ko) 2020-04-17 2022-04-05 주식회사 에이텍 빅데이터 기반의 행동패턴 분석을 이용한 독거 생활 케어시스템
KR102325295B1 (ko) 2020-04-17 2021-11-12 주식회사 에이텍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KR102374021B1 (ko) * 2020-05-07 2022-03-15 광주과학기술원 환자의 낙상상황을 판별하기 위한 낙상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102463616B1 (ko) * 2020-07-08 2022-11-04 비앤피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사용자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2553359B1 (ko) * 2020-11-05 2023-07-1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웨어러블 시스템 네트워크 구조 및 지능형 웨어러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465978B1 (ko) 2020-11-30 2022-11-10 주식회사 에이텍 독거노인 케어시스템에서 음성인식 오류에 따른 신고오류 방지장치 및 방법
KR102526771B1 (ko) * 2021-06-02 2023-04-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형 가속도 센서와 영상 기반 자세 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낙상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24595A (ko) 2021-08-12 2023-02-21 (주)에이텍티앤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KR102568803B1 (ko) 2021-08-26 2023-08-22 주식회사 에이텍 노약자 케어를 위한 긴급 알림 호출시스템
KR102413893B1 (ko) * 2021-11-17 2022-06-28 (주)아이와즈 스켈레톤 벡터 기반 비대면 비접촉 낙상탐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343B1 (ko) * 2010-11-03 2011-11-04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0376A1 (en) 2002-11-26 2004-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US7181192B2 (en) * 2004-03-16 2007-02-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andheld portable automatic emergency alert system and method
US8401003B1 (en) * 2006-03-20 2013-03-19 8X8, Inc.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physical location information
US8942764B2 (en) * 2007-10-01 2015-01-27 Apple Inc. Personal media device controlled via user initiated movements utilizing movement based interfaces
KR100929621B1 (ko) * 2007-11-23 2009-12-03 (주)테크바일 개인위급상황 경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2072A (ko) * 2009-11-12 2011-05-18 한양네비콤주식회사 응급신호를 전달하는 방법, 전달장치 및 시스템
KR101085851B1 (ko) * 2009-12-01 2011-11-2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미아 방지 시스템
US8401875B2 (en) * 2010-03-12 2013-03-19 Os - New Horizons Personal Computing Solutions Ltd. Secured personal data handling and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343B1 (ko) * 2010-11-03 2011-11-04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298A1 (ko) * 2020-05-07 2021-1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보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063A (ko) 2013-07-16
US20130178185A1 (en) 2013-07-11
US9088871B2 (en) 201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974B1 (ko)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Kianoush et al. Device-free RF human body fall detection and localization in industrial workplaces
US10586437B1 (en) Safety monitoring platform
US8787332B2 (en) Biological signal sensor apparatus, wireless sensor network, and user interface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sensor apparatus
US8868616B1 (en) Event data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101124617A (zh) 用于耳聋的人的管理和辅助系统
JP4962756B2 (ja) 靴圧力センサ及びicタグを利用した児童通学監視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
JP2004164282A (ja) 個人行動検知システム
KR101608453B1 (ko)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927471A (zh) 一种防走失监护系统
CN112544122A (zh) 用于在检测到空间中的对象时提供动作的设备
Torres et al. How feasible is WiFi fingerprint-based indoor positioning for in-home monitoring?
KR102415912B1 (ko)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Shukri et al. Device-free localization for human activity monitoring
JP2002149824A (ja) 行動検知システム
Casas et al. ZigBee-based alarm system for pervasive healthcare in rural areas
KR10238251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행동패턴 분석을 이용한 독거 생활 케어시스템
KR102553745B1 (ko)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8085079A (ja) 緊急連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緊急連絡システム
KR100993494B1 (ko) 행동감지를 위한 지능형 센서 시스템
KR102565320B1 (ko) 딥러닝 기반 소리 신호 감지 및 전송을 위한 IoT 통신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소리 신호 감지 및 전송 방법
KR20210066453A (ko) 스마트 의류 스테이션을 이용한 신체활동 취약자의 데이터 수집 및 상황인지 처리 시스템
Keum et al. Device to device collaboration architecture for real-time identification of user and abnormal activities in home
Jähne-Raden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fall prevention on geriatric wards: A report
Elagovan et al. Fall Detection Systems at N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