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595A -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595A
KR20230024595A KR1020210106556A KR20210106556A KR20230024595A KR 20230024595 A KR20230024595 A KR 20230024595A KR 1020210106556 A KR1020210106556 A KR 1020210106556A KR 20210106556 A KR20210106556 A KR 20210106556A KR 20230024595 A KR20230024595 A KR 20230024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mergency
living alone
guardian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동
박주연
박주원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21010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4595A/ko
Publication of KR2023002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15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bsence of activity per 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마을방송단말기에서 움직임과 조도 및 출입문 개폐 정보를 획득하고, 독거노인 케어서버에서 분석을 하여 사용자의 집안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긴급상황 시 보호자 단말로 긴급호출 정보를 전달하여 보호자가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케어 대상자의 환경정보와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전송하는 마을방송단말기,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독거노인 케어서버에 전송해주는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분석하여 케어 대상자의 집안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긴급상황 시 등록된 보호자 단말로 긴급 알림 정보를 전달하는 독거노인 케어서버를 포함하여,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A care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a village broadcasting terminal}
본 발명은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을방송단말기에서 움직임과 조도 및 출입문 개폐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면, 독거노인 케어서버에서 분석을 하여 사용자의 집안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긴급상황 시 보호자 단말로 긴급호출 정보를 전달하여 보호자가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령층의 인구증가로 고령인, 독거노인들의 응급상황을 대비하여 일상생활 행위를 인식하고, 인식한 일상생활 행위에 따라 고령인, 독거노인들의 케어(care)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케어 대상자(고령인,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일상생활 행위를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Vision 기반 인식방법, RFID 기반 인식방법, 음성 인식 방법 등이 있다.
Vision 기반 인식방법은 CCTV와 같은 카메라를 가정 내에 설치하고, 카메라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행위를 인식한다. 이러한 방법은 고령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고령자의 일상생활 행위를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Vision 기반 인식방법은 동영상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처리 복잡도가 높고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며, 높은 성능을 보이기 어렵다. 또한, 가정 내에 카메라를 설치해야 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감정적으로 감시받는 느낌을 주는 단점이 있다.
RFID 기반 인식방법은 가정 내 사물에 RFID 태그(Tag)를 부착하고, 고령자가 리더기를 착용하고 행동함으로써 일상생활 행위를 인식한다. 이러한 방법은 고령자의 일상생활 행위와 관련된 물건의 사용 정보를 직접적으로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RFID 기반 인식방법은 고령자가 커다란 리더기를 착용하고 생활해야 하므로 실제 현실에 적용하기 어렵고, 금속 등의 물체에 RFID 태그를 부착할 경우 RFID 인식 성능 자체가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음성 인식 방법은 독거노인이 말하는 음성을 인식하고, 응급 상황임을 판단하기 위한 특정 단어를 인식하면 응급 상황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응급상황 신고를 접수한다.
한편, 케어 대상자의 행동패턴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위급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종래에 제안된 또 다른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착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수집정보를 생성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응급호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 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원격지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착용자의 행동 패턴 변화를 관찰하여 낙상 사고나 응급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기관 또는 해당 담당자에게 응급 사고에 대한 정보 및 착용자의 위치를 전송하는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르면 지속적인 간호가 필요한 사람의 손목이나 허리 등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행동 패턴 수집 장치를 제공하여 착용자의 구속감이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낙상 사고 등과 같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본인이 능동적으로 응급 호출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응급 호출 정보가 즉시 전송되어 위급한 응급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상황을 판단하는 방식으로서, 주변 환경 정보(예를 들어, 조도)와 외출 여부를 판단할 수 없어, 사용자의 행동 패턴만을 이용하여 위급 상황을 인식하는 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81063(2013.07.16. 공개)(행동 패턴 수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케어 대상자의 케어를 위한 다양한 인식 방법에서 발생하는 단점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마을방송단말기에서 움직임과 조도 및 출입문 개폐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면, 독거노인 케어서버에서 분석을 하여 사용자의 집안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긴급상황 시 보호자 단말로 긴급호출 정보를 전달하여 보호자가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자 단말로 긴급호출 정보를 전달하고, 보호자 응답의 유무를 통해 보호자가 케어 대상자의 긴급 상황을 인지했는지를 확인하고, 보호자 응답이 없을 경우 긴급호출 정보를 재전송하여 보호자의 인지를 유도해주도록 한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은,
케어 대상자의 환경정보와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전송하는 마을방송단말기;
상기 마을방송단말기에서 전송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독거노인 케어서버에 전송해주는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전송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분석하여 케어 대상자의 집안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긴급상황 시 등록된 보호자 단말로 긴급 알림 정보를 전달하는 독거노인 케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환경정보는 조도 센서를 이용한 조도 정보이며, 상태 정보는 움직임 감지 정보와 출입문 개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마을방송단말기는,
케어 대상자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
상기 케어 대상자가 생활하는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출입문 개폐 감지부;
상기 조도 감지부의 조도 감지 정보와 움직임 감지부의 움직임 감지정보 및 출입문 개폐 감지부의 출입문 개폐 정보를 환경정보 및 상태정보 감지 데이터로 취합하는 감지 데이터 취합부;
상기 감지 데이터 취합부에서 취합한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감지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감지 데이터 전송 제어부; 및
상기 감지 데이터 전송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감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독거노인 케어서버는,
환경정보인 조도 정보와 상태 정보인 움직임 감지정보와 출입문 개폐 정보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케어 대상자의 집안 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독거노인 케어서버는,
출입문 개폐정보를 이용하여 집안 거주 유무를 인지하고,
집안 거주 상태에서 조도 정보와 시간 정보를 기초로 1차 긴급 상황을 인지하며, 움직임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2차 긴급 상황을 인지한 후, 1차 긴급 상황 인지정보와 2차 긴급 상황 인지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긴급 상황 유무를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독거노인 케어서버는,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마을방송 데이터 통신부;
상기 수신한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며, 수신한 감지 데이터에 포함된 환경 정보와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케어 대상자의 집안 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인지하고, 긴급 상황시 긴급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위급상황 분석부;
상기 위급상황 분석부에서 출력된 긴급 상황 정보에 따라 보호자 호출을 위한 긴급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긴급 알림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독거노인 케어 서버는,
상기 위급상황 분석부에서 출력된 긴급 상황 정보에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케어 대상자의 등록된 보호자를 검색하는 보호자 검색부;
상기 보호자 검색부에서 검색한 보호자 연락처 정보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로 상기 긴급 알림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보호자를 호출하는 긴급 알림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독거노인 케어 서버는,
상기 보호자 단말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한 후 보호자의 응답을 확인하고, 보호자 응답을 확인한 결과 보호자 응답이 없으면 상기 긴급 알림 정보 전송부에 긴급 알림 정보의 재전송을 요청하여 보호자가 긴급 알림 정보를 확인하도록 유도해주는 보호자 응답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독거노인 케어 서버는,
긴급 알림 정보를 문자 메시지(SMS)로 보호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독거노인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알림 서비스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을방송단말기에서 움직임과 조도 및 출입문 개폐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면, 독거노인 케어서버에서 분석을 하여 사용자의 집안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긴급상황 시 보호자 단말로 긴급호출 정보를 전달하여 보호자가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거노인의 케어에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 단말로 긴급호출 정보를 전달하고, 보호자 응답의 유무를 통해 보호자가 케어 대상자의 긴급 상황을 인지했는지를 확인하고, 보호자 응답이 없을 경우 긴급호출 정보를 재전송하여 보호자의 인지를 유도해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마을방송단말기의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독거노인 케어서버의 실시 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마을방송단말기(100), 네트워크(200),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 독거노인 케어서버(400) 및 보호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을방송단말기(100)는 케어 대상자(예를 들어, 독거노인, 장애인)의 환경정보와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마을방송단말기(100)는 케어 대상자 즉, 독거노인 댁내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마을방송 시스템에서 전송된 마을 방송을 수신하여 송출해 줌으로써, 케어 대상자가 집안에서 쉽게 마을방송을 수신할 수 있으며, 위급 상황 시 위급 버튼을 눌러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환경정보는 조도 센서를 이용한 조도 정보이며, 상태 정보는 움직임 감지 정보와 출입문 개폐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마을방송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어 대상자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101), 상기 케어 대상자가 생활하는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102),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출입문 개폐 감지부(103), 상기 조도 감지부(101)의 조도 감지 정보와 움직임 감지부(102)의 움직임 감지정보 및 출입문 개폐 감지부(103)의 출입문 개폐 정보를 환경정보 및 상태정보 감지 데이터로 취합하는 감지 데이터 취합부(104), 상기 감지 데이터 취합부(104)에서 취합한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07)에 저장하며, 상기 감지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감지 데이터 전송 제어부(105), 및 상기 감지 데이터 전송 제어부(105)에서 전달되는 감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통신 모듈(1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데이터 전송 제어부(105)는 현재 통신 장애가 발생하여 실시간 통신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면 감지 데이터 전송을 대기하고, 통신이 재개되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107)에 저장된 감지 데이터의 재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통신 장애시 감지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마을방송단말기(100)와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주는 통신망으로서, 다양한 공지의 유무선 망을 이용할 수 있다.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상기 마을방송단말기(100)에서 전송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독거노인 케어서버(400)에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등록된 모든 마을방송 단말기의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의 저장 용량을 감안하여 일정기간별로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독거노인 케어서버(400)는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서 전송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분석하여 케어 대상자의 집안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긴급상황 시 등록된 보호자 단말(500)로 긴급 알림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독거노인 케어서버(400)는 환경정보인 조도 정보와 상태 정보인 움직임 감지정보와 출입문 개폐 정보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케어 대상자의 집안 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독거노인 케어서버(400)는 출입문 개폐정보를 이용하여 집안 거주 유무를 인지하고, 집안 거주 상태에서 조도 정보와 시간 정보를 기초로 1차 긴급 상황을 인지하며, 움직임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2차 긴급 상황을 인지한 후, 1차 긴급 상황 인지정보와 2차 긴급 상황 인지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긴급 상황 유무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독거노인 케어서버(4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마을방송 데이터 통신부(401), 상기 수신한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402)에 저장하며, 수신한 감지 데이터에 포함된 환경 정보와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케어 대상자의 집안 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인지하고, 긴급 상황시 긴급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위급상황 분석부(403), 상기 위급상황 분석부(403)에서 출력된 긴급 상황 정보에 따라 보호자 호출을 위한 긴급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긴급 알림정보 생성부(404), 상기 위급상황 분석부(403)에서 출력된 긴급 상황 정보에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해당 케어 대상자의 등록된 보호자 정보를 검색하는 보호자 검색부(405), 상기 보호자 검색부(405)에서 검색한 보호자 연락처 정보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500)로 상기 긴급 알림정보 생성부(404)에서 생성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보호자를 호출하는 긴급 알림정보 전송부(406), 및 상기 보호자 단말(500)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한 후 보호자의 응답을 확인하고, 보호자 응답을 확인한 결과 보호자 응답이 없으면 상기 긴급 알림 정보 전송부(406)에 긴급 알림 정보의 재전송을 요청하여 보호자가 긴급 알림 정보를 확인하도록 유도해주는 보호자 응답 확인부(407)를 포함한다.
상기 독거노인 케어 서버(400)는 긴급 알림 정보를 문자 메시지(SMS)로 보호자 단말(500)에 전송하거나, 보호자 단말(500)에 설치된 독거노인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알림 서비스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해줄 수 있다.
보호자 단말(500)은 케어 대상자인 독거노인의 보호자가 휴대한 단말기로서,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보호자 단말(500)에는 독거노인 케어를 위한 긴급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독거노인 케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보호자는 이러한 독거노인 케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독거 노인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긴급 알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어 대상자 즉, 독거노인이 생활하는 댁내의 적당한 위치에 마을방송단말기(100)를 설치한다. 가능하면 댁내에서 생활하는 독거노인의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최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소에 마을방송단말기(1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을방송단말기(100)는 마을방송 시스템에서 전송된 마을 방송을 수신하여 송출해 줌으로써 독거노인은 댁내에서 마을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독거노인은 위급 상황(화재, 건강 이상)이 발생하면 위급 버튼을 누르게 되고, 위급 버튼이 눌러지면 위상 상황 정보가 미리 설정된 곳(예를 들어, 관공서)으로 전송되어, 신속하게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양방향 통화를 통해 위급 상황을 직접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은 일반적인 마을방송 단말기(100)의 기본 기능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마을방송단말기(100)의 기본 기능에 긴급 보호자 호출 기능을 부가하여, 독거노인의 위급 상황 발생 시 보호자가 즉시 이를 인지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마을방송단말기(100)는 케어 대상자인 독거노인의 환경정보와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는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로 발송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정보는 조도 정보이며, 상태 정보는 움직임 감지 정보와 출입문 개폐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을방송단말기(100)는 조도 감지부(101)를 통해 케어 대상자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 감지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조도 감지 정보는 추후 긴급 상황 판단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움직임 감지부(102)는 상기 케어 대상자가 생활하는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움직임 감지 정보도 추후 긴급 상황 판단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출입문 개폐 감지부(103)는 출입문에 구비된 개폐 센서와 연동하여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로 출입문 개폐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감지하고자 하는 출입문에 개폐 센서를 장착하고,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출입문 개폐 감지부(103)에 출입문 개폐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서, 출입문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출입문 개폐 정보는 추후 독거노인이 댁내에 거주 중인지 아니면 외출 중인지를 판단하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감지 데이터 취합부(104)는 상기 조도 감지부(101)의 조도 감지 정보와 움직임 감지부(102)의 움직임 감지정보 및 출입문 개폐 감지부(103)의 출입문 개폐 정보를 환경정보 및 상태정보 감지 데이터로 취합하고, 취합한 감지 데이터를 감지 데이터 전송 제어부(105)에 전달한다.
상기 감지 데이터 전송 제어부(105)는 상기 감지 데이터 취합부(104)에서 취합한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07)에 저장한다. 여기서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07)에 저장함으로써,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감지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감지 데이터 전송 제어부(105)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107)에 저장한 감지 데이터를 통신 모듈(106)을 통해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감지 데이터에는 상태정보, 환경 정보, 위치 정보 및 독거노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6)은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사전에 등록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여, 감지 데이터를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전송한다.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상기 마을방송단말기(100)에서 전송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각각의 마을방송단말기(100)의 정보는 마을 방송별로 분류하거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의 저장 용량을 감안하여 일정기간별로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아울러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감지 데이터 즉,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독거노인 케어서버(400)에 전송한다.
상기 독거노인 케어서버(400)는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서 전송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분석하여 케어 대상자의 집안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긴급상황 시 등록된 보호자 단말(500)로 긴급 알림 정보를 전달한다.
예컨대, 독거노인 케어서버(400)의 마을방송 데이터 통신부(401)는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위급상황 분석부(403)에 전달한다.
상기 위급상황 분석부(403)는 수신한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402)에 저장하고, 수신한 감지 데이터에 포함된 환경 정보와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케어 대상자의 집안 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인지하고, 긴급 상황 시 긴급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위급상황 분석부(403)는 상태정보인 출입문 개폐정보를 이용하여 집안 거주 유무를 인지한다. 여기서 케어 대상자인 독거노인이 출타를 한 경우에는 보호자 긴급 호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출입문 개폐 정보를 확인하여 케어 대상자인 독거노인이 출타를 한 것으로 판단이 되면, 위급 상황 판단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출입문 개폐정보를 이용하여 집안 거주 유무를 판단하는 방식은, 초기 움직임 감지를 통해 독거노인이 집안에 존재한 것으로 판단을 하고, 이후 출입문 개폐 정보를 이용하여 댁내 거주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타인이 출입을 위해 출입문을 개방한 경우에는 독거노인이 출타한 것으로 판단할 오류가 있는 데, 이러한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출입문 개폐정보가 발생한 후에는 일정시간 움직임 감지 정보를 확인하여 출입문 개폐가 어느 상황에서 개폐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출입문 개폐가 이루어진 후 댁내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독거노인이 댁내에 거주하는 것으로 판단을 한다.
한편, 케어 대상자인 독거노인이 집안 거주 상태라고 판단을 하면, 조도 정보와 시간 정보를 기초로 1차 긴급 상황을 인지한다. 즉, 현재 시각이 조도가 낮은 저녁시간인데도 조도가 낮은 상태라면 이는 1차적으로 긴급 상황이라고 판단을 한다. 이와는 달리 조도가 낮은 상태인 저녁시간에 조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독거노인인 조명을 점등한 것으로 판단을 한다. 이 경우 1차적으로 긴급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을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1차적인 긴급 상황 유무를 판단하고, 상태정보인 움직임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2차 긴급 상황을 인지한다. 즉,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독거노인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독거노인이 수면을 취하는 상태라서 움직임이 없는 움직임 정보가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독거노인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독거노인의 수면 정보를 일정시간 학습하고, 그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수면시간을 임의로 설정해 놓는다. 그리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시점이 상기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수면시간이라고 판단이 되면 독거노인의 건강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을 한다. 만약, 수면 시간이 아닌 상황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장시간 없으면 이는 독거노인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위급 상황이라고 인지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2차적인 긴급 상황을 인지하고, 이후 1차 긴급 상황 인지정보와 2차 긴급 상황 인지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긴급 상황 유무를 판별한다.
즉, 1차 긴급 상황으로 인지되고 2차 긴급 상황이라고 인지되면 최종 긴급 상황으로 인지를 하고, 상기 1차 긴급 상황이 아니고 2차 긴급 상황이 아닐 경우 최종적으로 긴급 상황이 아니라고 인지하고, 1차 긴급 상황이 아니고 2차 긴급 상황이라고 판단이 되면 최종적으로 긴급 상황이라고 인지한다. 여기서 2개의 긴급 상황 인지 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긴급 상황으로 인지되면 이는 안전차원에서 최종적으로 긴급 상황이라고 인지할 수 있다.
위급상황 분석부(403)는 최종적으로 긴급 상황으로 인지되면, 보호자 호출을 위한 긴급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긴급 알림 정보 생성부(404) 및 보호자 검색부(405)에 전달한다.
상기 긴급 알림 정보 생성부(404)는 상기 위급상황 분석부(403)에서 출력된 긴급 상황 정보에 따라 보호자 호출을 위한 긴급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긴급 알림 정보 전송부(406)에 전달한다.
아울러 보호자 검색부(405)는 상기 위급상황 분석부(403)에서 출력된 긴급 상황 정보에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해당 케어 대상자의 등록된 보호자 정보를 검색한다. 여기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에는 독거노인의 식별정보가 있으므로, 이러한 독거노인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접속하여 독거노인 등록 시 사전 등록해 놓은 보호자 정보를 요청한다. 이러한 보호자 정보의 요청에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독거노인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매핑해 놓은 보호자 정보(보호자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보호자 검색부(405)에 전달한다.
보호자 검색부(405)는 수신한 보호자 정보를 긴급 알림정보 전송부(406)에 전달한다.
상기 긴급 알림정보 전송부(406)는 상기 보호자 검색부(405)에서 검색한 보호자 연락처 정보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500)로 상기 긴급 알림정보 생성부(404)에서 생성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보호자를 호출한다. 여기서 긴급 알림 정보는 케어 대상자인 독거노인이 위급 상황으로 인지되니 확인을 하라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긴급 알림정보 전송부(406)는 상기와 같은 긴급 알림 정보를 문자 메시지(SMS)로 보호자 단말(500)에 전송하거나, 보호자 단말(500)에 설치된 독거노인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알림 서비스로 상기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해줄 수 있다.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독거노인 케어를 위한 긴급 알림 정보를 SMS와 같은 문자 정보로 수신하거나 설치된 독거노인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긴급 알림 서비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500)을 통해 긴급 알림 정보를 수신하면, 긴급 알림 정보에 포함된 응답 요청 확인 아이콘을 눌러 긴급 알림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해 응답을 하며, 이후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하여 독거노인의 안전을 도모한다.
한편,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한 후, 보호자 응답 확인부(407)는 보호자의 응답을 확인한다. 이어, 보호자 응답을 확인한 결과 보호자 응답이 없으면 상기 긴급 알림 정보 전송부(406)에 긴급 알림 정보의 재전송을 요청하여 보호자가 긴급 알림 정보를 확인하도록 유도해준다. 만약, 보호자 응답이 수신되면 긴급 알림 정보 재전송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을방송단말기에서 움직임과 조도 및 출입문 개폐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면, 독거노인 케어서버에서 분석을 하여 사용자의 집안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긴급상황 시 보호자 단말로 긴급호출 정보를 전달하여 보호자가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거노인의 케어에 최적화를 도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 단말로 긴급호출 정보를 전달하고, 보호자 응답의 유무를 통해 보호자가 케어 대상자의 긴급 상황을 인지했는지를 확인하고, 보호자 응답이 없을 경우 긴급호출 정보를 재전송하여 보호자의 인지를 유도해주어, 독거노인의 안전에 최적화를 도모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마을방송단말기
101: 조도 감지부
102: 움직임 감지부
103: 출입문 개폐 감지부
104: 감지 데이터 취합부
105: 감지 데이터 전송 제어부
106: 통신 모듈
107: 데이터 저장부
200: 네트워크
300: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
400: 독거노인 케어서버
401: 마을방송 데이터 통신부
402: 데이터 저장부
403: 위급상황 분석부
404: 긴급 알림정보 생성부
405: 보호자 검색부
406: 긴급 알림정보 전송부
407: 보호자 응답 확인부
500: 보호자 단말

Claims (9)

  1.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하여 독거노인을 케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케어 대상자의 환경정보와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전송하는 마을방송단말기;
    상기 마을방송단말기에서 전송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독거노인 케어서버에 전송해주는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전송된 케어 대상자 상태판별정보를 분석하여 케어 대상자의 집안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긴급상황 시 등록된 보호자 단말로 긴급 알림 정보를 전달하는 독거노인 케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환경정보는 조도 센서를 이용한 조도 정보이며, 상태 정보는 움직임 감지 정보와 출입문 개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마을방송단말기는,
    케어 대상자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
    상기 케어 대상자가 생활하는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출입문 개폐 감지부;
    상기 조도 감지부의 조도 감지 정보와 움직임 감지부의 움직임 감지정보 및 출입문 개폐 감지부의 출입문 개폐 정보를 환경정보 및 상태정보 감지 데이터로 취합하는 감지 데이터 취합부;
    상기 감지 데이터 취합부에서 취합한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감지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감지 데이터 전송 제어부; 및
    상기 감지 데이터 전송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감지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4. 청구항 1에서, 상기 독거노인 케어서버는,
    환경정보인 조도 정보와 상태 정보인 움직임 감지정보와 출입문 개폐 정보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케어 대상자의 집안 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자동으로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5. 청구항 1에서, 상기 독거노인 케어서버는,
    출입문 개폐정보를 이용하여 집안 거주 유무를 인지하고,
    집안 거주 상태에서 조도 정보와 시간 정보를 기초로 1차 긴급 상황을 인지하며, 움직임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2차 긴급 상황을 인지한 후, 1차 긴급 상황 인지정보와 2차 긴급 상황 인지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긴급 상황 유무를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6. 청구항 1에서, 상기 독거노인 케어서버는,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마을방송 데이터 통신부;
    상기 수신한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며, 수신한 감지 데이터에 포함된 환경 정보와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케어 대상자의 집안 거주 유무와 긴급 상황 유무를 인지하고, 긴급 상황시 긴급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위급상황 분석부; 및
    상기 위급상황 분석부에서 출력된 긴급 상황 정보에 따라 보호자 호출을 위한 긴급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긴급 알림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7. 청구항 6에서, 상기 독거노인 케어 서버는,
    상기 위급상황 분석부에서 출력된 긴급 상황 정보에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케어 대상자의 등록된 보호자를 검색하는 보호자 검색부; 및
    상기 보호자 검색부에서 검색한 보호자 연락처 정보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로 상기 긴급 알림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보호자를 호출하는 긴급 알림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8. 청구항 7에서, 상기 독거노인 케어 서버는,
    상기 보호자 단말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한 후 보호자의 응답을 확인하고, 보호자 응답을 확인한 결과 보호자 응답이 없으면 상기 긴급 알림 정보 전송부에 긴급 알림 정보의 재전송을 요청하여 보호자가 긴급 알림 정보를 확인하도록 유도해주는 보호자 응답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9. 청구항 1에서, 상기 독거노인 케어 서버는,
    긴급 알림 정보를 문자 메시지(SMS)로 보호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독거노인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알림 서비스로 긴급 알림 정보를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KR1020210106556A 2021-08-12 2021-08-12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KR20230024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556A KR20230024595A (ko) 2021-08-12 2021-08-12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556A KR20230024595A (ko) 2021-08-12 2021-08-12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595A true KR20230024595A (ko) 2023-02-21

Family

ID=8532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556A KR20230024595A (ko) 2021-08-12 2021-08-12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459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063A (ko) 2012-01-06 2013-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063A (ko) 2012-01-06 2013-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609B1 (ko)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6974B1 (ko) 행동 패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US10827951B2 (en) Fall detection using sensors in a smart monitoring safety system
CN108833586A (zh) 一种家用老人看护智能系统
KR101709715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제어 및 감시장치
KR102013235B1 (ko)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06583A (ko)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KR20180057368A (ko) 독거노인별 생활패턴을 이용한 원격 관리시스템
KR10238251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행동패턴 분석을 이용한 독거 생활 케어시스템
Nagamma IoT based smart security gadget for women’s safety
US10834363B1 (en) Multi-channel sensing system with embedded processing
KR20200059628A (ko) 스켈레톤 영상 학습 기반의 독거노인 행동 패턴 모니터링 방법
JP2002175581A (ja) 生活見守りシステム
KR102383384B1 (ko)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KR20230024595A (ko) 마을방송단말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케어시스템
KR102568803B1 (ko) 노약자 케어를 위한 긴급 알림 호출시스템
KR101473926B1 (ko) 세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8146623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KR102470807B1 (ko) 상황 감지를 위한 통합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65320B1 (ko) 딥러닝 기반 소리 신호 감지 및 전송을 위한 IoT 통신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소리 신호 감지 및 전송 방법
KR102368158B1 (ko)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10066453A (ko) 스마트 의류 스테이션을 이용한 신체활동 취약자의 데이터 수집 및 상황인지 처리 시스템
KR101170339B1 (ko) 표정 인식을 이용한 이상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원격감시장치
KR102325295B1 (ko) 케어 서비스 단말의 통신장애 처리시스템
KR100694510B1 (ko) 개인의 이상 행동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