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158B1 -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158B1
KR102368158B1 KR1020190103480A KR20190103480A KR102368158B1 KR 102368158 B1 KR102368158 B1 KR 102368158B1 KR 1020190103480 A KR1020190103480 A KR 1020190103480A KR 20190103480 A KR20190103480 A KR 20190103480A KR 102368158 B1 KR102368158 B1 KR 102368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information
residence
res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374A (ko
Inventor
이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10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1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하며 웨어러블 장치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중앙 데이터 저장부와, 중앙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메인 제어부와, 메인 제어부의 사용자 상태 파악에 사용되는 비교 데이터가 저장되는 비교 데이터 저장부와, 관리자가 중앙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 및 메인 제어부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중앙 관리부와, 위치 정보 수신부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거주지 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운동 감지부와, 사용자 거주지의 상태 변화 정보를 확인하는 거주환경 관리부를 포함하며, 획득한 사용자의 출입 정보와, 사용자 거주지 상태 정보를 중앙 관리부로 제공하는 거주지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의 생체 정보, 위치 정보, 거주지 정보를 기반으로 독거노인의 고독사를 방지 가능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본 발명은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거노인의 고독사를 예방할 수 있고, 종합적인 사회안전망의 구축 및 운영이 가능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의학의 발전에 따라 인간의 생명이 연장되고 있으나, 고령층이 많아지면서 부양할 가족들이 없고 경제적 여유가 없는 독거노인 또한 늘어나고 있어, 홀로 지내는 독거노인을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로는 독거노인의 가정에 화재 가스 활동 감지센서 등을 설치하여 화재상황 발생 시 독거노인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응급안전알림서비스, 독거노인의 휴대전화 수신 및 발신 이력데이터를 분석한 후, 지정된 기간 동안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 시 이를 담당 공무원에게 알려 담당 공무원이 독거노인을 찾아가 정황을 알아보게 하는 똑독 문안 서비스, 독거노인과 이웃 주민을 연결하여 지역 주민이 독거노인의 생활을 살펴보게 하는 이웃 살피미 서비스, 고독사 위험 가능성이 높은 독거노인을 찾아낸 후 독거노인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복지통장, 부녀회, 봉사단체, 종교단체, 민간단체 등을 복지 1촌을 맺게 하여, 시민의 도움을 통해 독거노인의 고독사를 예방하는 1인 가구 복지 1촌 맺기 서비스, 편의점주와 근무자가 카카오톡 플러스 강남 좋은 이웃과 친구를 맺은 후, 위기가구 발견 시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신고하게 하는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은 독거노인이 스스로 거주지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파악한 후 이를 대처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거나, 단순히 시민, 공무원과 독거노인을 연결하여 시민과 공무원이 독거노인을 도울 수 있게 하는 시스템으로, 신속한 대처가 어려워 독거노인의 고독사 예방에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2736호(2016.09.2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독거노인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독거노인이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 이를 신속히 대처하여 고독사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독거노인의 보호자가 독거노인의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하여 보호자가 편안한 마음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110)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12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100);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와 통신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와,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메인 제어부(220)와, 상기 메인 제어부(220)의 사용자 상태 파악에 사용되는 비교 데이터가 저장되는 비교 데이터 저장부(230)와, 관리자가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240)를 포함하는 중앙 관리부(200); 및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거주지 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운동 감지부(310)와, 사용자 거주지의 상태 변화 정보를 확인하는 거주환경 관리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와 통신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거주지 출입 정보와, 사용자 거주지 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중앙 관리부(200)로 제공하는 거주지 관리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110)는 사용자의 맥박 및 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사용자의 주거지 내부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주거지 관리부(121)와, 사용자의 주거지 외부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생활권 관리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거지 관리부(121)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장치(BLE)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감지부(310)는 상기 BLE와 통신하며 거주지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태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주환경 관리부(320)는 사용자 거주지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온도 관리부(321)와, 사용자 거주지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유해가스 관리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자가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메인 제어부(220)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정보 확인부(400)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확인부(400)는 상기 중앙 관리부(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스마트 장치(410)와, 보호자 확인 서버(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가속도 변화를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눌러 구조대(500)에 구조 요청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제1 구조 요청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상기 메인 제어부(220)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가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모니터링부(240)를 통해 관리자가 사용자의 상태가 이상한 것으로 판단 시 구조대(500)로 구조요청 신호를 보내는 제2 구조 요청부(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주지 관리부(300)는 상기 온도 관리부(321)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지정된 일정 수치 이상이거나, 상기 유해가스 관리부(322)에서 유해가스가 검출될 경우 구조대(500)로 구조요청 신호를 보내는 제3 구조 요청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독거노인의 실시간 생체정보를 확인 가능하므로, 독거노인의 건강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거주지 관리부를 통하여 독거노인 거주지의 화재 상황을 신속히 파악 가능하므로, 화재로 인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독거노인의 생체정보 및 위치 정보를 보호자에게 제공 가능하므로 부모님과 떨어져 있는 보호자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독거노인의 이상 상태를 기존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신속하게 판단 후 관리자 측에서 문제가 생길 시 대처 가능하므로, 독거노인의 고독사를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모니터링부를 통해 나타나는 사용자 정보와, 위험 표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사용자의 거주지 출입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제1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장치(100)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획득한 정보를 수신받아 관리하는 중앙 관리부(200)와, 사용자의 거주지 출입 정보 및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환경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중앙 관리부(200)로 정보를 제공하는 거주지 관리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장착되는 장치로,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사용자의 실시간 이동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중앙 관리부(200)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수신받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한 후, 사용자에게 위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긴급 구조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거주지 관리부(300)는 사용자의 거주지 출입 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 파악을 보조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환경 변화를 기반으로 거주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위험을 파악하여 이를 중앙 관리부(200)로 송신함으로써, 중앙 관리부(200)에서 사용자의 건강상태 이외에도 환경 상태를 파악 후 관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맥박, 체온과 같은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110)와,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와 통신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와,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메인 제어부(220)와, 상기 메인 제어부(220)의 사용자 상태 파악에 사용되는 비교 데이터가 저장되는 비교 데이터 저장부(230)와, 관리자가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생체 정보, 이동 정보 및 위치 정보) 및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거주지 관리부(300)는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거주지 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운동 감지부(310)와, 사용자 거주지의 상태 변화 정보를 확인하는 거주환경 관리부(320)를 포함하며, 획득한 사용자의 거주지 출입 정보와, 사용자 거주지 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중앙 관리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110)에서 획득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상기 중앙 관리부(200)의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220)는 상기 비교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 사용자가 정상 상태일 때 나타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실시간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정상상태 유무를 판단하며, 관리자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부(240)를 통해 나타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220)에서 사용자의 상태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 시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알림이 상기 모니터링부(240)에 표시되어 관리자가 긴급 대처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사용자의 주거지 내부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주거지 관리부(121)와, 사용자의 주거지 외부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생활권 관리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거지 관리부(121)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생활권 관리부(12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LoRa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주거지 내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전력 소모가 적은 상기 BLE 태그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주거지 밖으로 나갈 경우에는 상기 GPS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확인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 관리부(200)로 송신하거나 또는 중앙 관리부(200)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가 중계기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LoRa(Low Range)를 이용한 저전력 중장거리 통신 방법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한 통신 방식일 수 있으며, 상기 중계기는 수신한 위치정보를 LTE(Long Term Evolution)를 이용하여 중앙 관리부(2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확인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LTE(Long Term Evolution)를 이용하여 중앙 관리부(2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출입은 상기 주거지 관리부(121)와 상기 운동 감지부(31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주거지 관리부(121)를 구성하는 상기 BLE(H)와 연동하는 운동 감지부(3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거지(1)의 출입문(2) 측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출입하는 것을 감지한 후 상기 중앙 관리부(200)로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운동 감지부(310)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상기 BLE(H)와 연동하는 BLE 태그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거주환경 관리부(320)는 거주지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온도 관리부(321)와, 거주지의 유해가스 누출 유무를 측정하는 유해가스 관리부(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관리부(321)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가스 관리부(322)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거주지에서 화재 발생 시 거주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도고, 거주지 내부에 구비된 가구 또는 생활용품이 타오르며 유해가스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화재 상황은 거주지에서 생활하는 독거노인이 화재가 난 것을 확인하더라도 대처가 늦어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거주지 상에 상기 중앙 관리부(200)로 거주지의 온도 및 가스 발생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온도 관리부(321)와 상기 가스 관리부(322)를 형성하여, 화재상황 발생 시 상기 중앙 관리부(200)에서 정보를 수신 후 이를 신속히 독거노인, 관리자 또는 구조대에게 전달하여 독거노인이 화재가 발생한 거주지에서 신속히 대피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4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100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1000)은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자가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메인 제어부(220)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정보 확인부(400)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호자가 없는 독거노인의 경우 상기 중앙 관리부(200)를 통하여 관리자가 독거노인을 관리하게 되지만, 보호자가 있는 독거노인의 경우 보호자 측에서 독거노인의 상태에 관한 궁금증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 확인부(400)를 통해 보호자가 독거노인의 실시간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정보 확인부(400)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와 상기 거주지 관리부(300)에서 획득하는 정보와 상기 중앙 관리부(200)에서 판단되는 사용자의 상태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위치정보, 거주환경 정보, 건강상태 유무 정보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확인부(400)는 보호자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보호자의 스마트 장치(410)와, 보호자가 접속 가능한 보호자 확인 서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100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가속도 변화를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부(130)와,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눌러 구조대(500)에 구조 요청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제1 구조 요청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독거노인일 수 있으며 독거노인의 경우 체력적인 문제로 낙상 사고가 쉽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속도 측정부(13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가속도를 낸 후 움직임이 정지될 시 이를 상기 중앙 관리부(200)에서 낙상 사고로 판단하여 구조대에 연락할 수 있게 하고, 이 외에도 사용자가 위급한 상황에 처하거나 외부 도움이 필요한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1 구조 요청부(140)를 눌러 구조대(500)에 직접 구조요청 신호를 보내거나, 상기 중앙 관리부(200)를 통해 구조대(500)에 구조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긴급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구조요청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체에 이상이 있거나 갑자기 몸에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 상기 제1 구조 요청부(140)를 통해 구조를 직접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중앙 관리부(200)는 상기 제1 구조 요청부(140)로부터 구조요청을 수신한 후,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생체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이상이 있으면 신속하게 구조를 수행한다.
만일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이상이 없으면, 중앙 관리부(200)는 사용자에게 구조요청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송신하며,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의 구조요청수신부가 상기 확인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에 대해 제1 구조 요청부(140)를 통해 구조요청을 다시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메시지에 대한 구조요청이 미리 지정된 시간 내에 확인되지 않을 경우 신속하게 구조를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제1 구조 요청부(140)의 작동 메커니즘을 통하여, 구조요청의 오발신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긴급한 상황에서 직접 구조요청을 수행하여 사고 시 사용자의 생존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비상신호발신부 및 비상신호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에 비상신호를 송신하며, 이때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비상신호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비상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가 비상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즉시 비상신호발신부를 통하여 일정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도 발신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를 쉽게 구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수신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특정 수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중앙 관리부(200)로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했음을 알리는 제4 구조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생체 정보 수치 중 일정한 범위를 정상 상태로 설정하고, 이외의 상태를 이상 상태로 설정하며, 중앙 관리부(2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이상 상태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응급상황에 처했음을 판단하여 사용자를 구조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마다 맥박, 체온과 같은 생체 정보가 다르고, 동일한 사용자도 시간, 환경 등에 따라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가 변하므로, 이를 실시간으로 반영한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1 구조 요청부(140)를 사용한 경우가 있을 때, 제1 구조 요청부(140)를 누른 상황에서의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상 상태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제1 구조 요청부(140)를 누를 당시의 생체 정보에 도달 시, 제4 구조 요청부는 중앙 관리부(200)로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했음을 알릴 수 있는 구조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제4 구조 요청부로부터 구조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구조요청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송신하며,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의 구조요청수신부가 상기 확인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에 대해 제1 구조 요청부(140)를 통해 구조요청을 다시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메시지에 대한 구조요청이 미리 지정된 시간 내에 확인되지 않을 경우 신속하게 구조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제1 구조 요청부(140)를 누른 상황에서의 사용자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이상 데이터 저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110)에서 획득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상기 중앙 관리부(200)의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220)는 상기 비교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 사용자가 정상 상태일 때 나타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이상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사용자가 이상 상태일 때 나타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실시간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정상상태 유무를 판단한다.
사용자마다 맥박, 체온과 같은 생체 정보가 다르고, 동일한 사용자도 시간, 환경 등에 따라 정상 상태의 생체 정보가 변하므로, 이를 실시간으로 반영한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1 구조 요청부(140)를 사용한 경우가 있을 때, 제1 구조 요청부(140)를 누른 상황에서의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상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하여 이를 기반으로 응급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상기 메인 제어부(220)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정보가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모니터링부(240)를 통해 관리자가 사용자의 상태가 이상한 것으로 판단 시 구조대(500)로 구조요청 신호를 보내는 제2 구조 요청부(26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거주지 관리부(300) 또한 상기 온도 관리부(321)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지정된 일정 수치 이상이거나, 상기 유해가스 관리부(322)에서 유해가스가 검출될 경우 구조대(500)로 구조요청 신호를 보내는 제3 구조 요청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웨어러블 장치 110 : 생체 정보 획득부
120 : 위치 정보 수신부 121 : 주거지 관리부
122 : 생활권 관리부
130 : 가속도 측정부 140 : 제1 구조 요청부
200 : 중앙 관리부 210 : 데이터 저장부
220 : 메인 제어부 230 : 비교 데이터 저장부
240 : 모니터링부 250 : 정보 송신부
260 : 제2 구조 요청부
300 : 거주지 관리부 310 : 운동 감지부
320 : 거주환경 관리부 321 : 온도 관리부
322 : 유해가스 관리부 330 : 제3 구조 요청부
400 : 정보 확인부 410 : 스마트 장치
420 : 보호자 확인 서버
500 : 구조대

Claims (6)

  1.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110)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12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100);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와 통신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와,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메인 제어부(220)와, 상기 메인 제어부(220)의 사용자 상태 파악에 사용되는 비교 데이터가 저장되는 비교 데이터 저장부(230)와, 관리자가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240)를 포함하는 중앙 관리부(200); 및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거주지 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운동 감지부(310)와, 사용자 거주지의 상태 변화 정보를 확인하는 거주환경 관리부(320)를 포함하며, 획득한 사용자의 거주지 출입 정보와, 사용자 거주지 상태 변화 정보를 상기 중앙 관리부(200)로 제공하는 거주지 관리부(300);를 포함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사용자의 주거지 내부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주거지 관리부(121)와, 사용자의 주거지 외부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생활권 관리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거주환경 관리부(320)는
    사용자 거주지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온도 관리부(321)와, 사용자 거주지의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유해가스 관리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가속도 변화를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부(130)와,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눌러 구조대에 구조 요청 신호를 보내는 제1 구조 요청부(140)와, 구조요청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상기 가속도 측정부(130)에서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가속도를 낸 후 움직임이 정지될 시 이를 낙상 사고로 판단하여 구조대에 연락하며,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상기 제1 구조 요청부(140)로부터 구조요청을 수신한 후,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생체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이상이 있으면 구조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이상이 없으면, 사용자에게 구조요청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구조요청수신부가 상기 확인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에 대해 제1 구조 요청부(140)를 통해 구조요청을 다시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메시지에 대한 구조요청이 미리 지정된 시간 내에 확인되지 않을 경우 구조를 수행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비상신호발신부 및 비상신호수신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에 비상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비상신호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비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가 비상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비상신호발신부를 통하여 일정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도 발신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를 구조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수신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특정 수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중앙 관리부(200)로 구조신호를 보내는 제4 구조 요청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사용자가 제1 구조 요청부(140)를 사용한 경우가 있을 때, 제1 구조 요청부(140)를 누른 상황에서의 사용자 생체정보를 이상 상태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제1 구조 요청부(140)를 누를 당시의 생체정보에 도달 시, 상기 제4 구조 요청부는 중앙 관리부(200)로 구조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획득부(110)는 사용자의 맥박 및 체온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지 관리부(121)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장치(BLE)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감지부(310)는 상기 BLE와 통신하며 거주지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태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자가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200)는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메인 제어부(220)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정보 확인부(400)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90103480A 2019-08-23 2019-08-23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368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480A KR102368158B1 (ko) 2019-08-23 2019-08-23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480A KR102368158B1 (ko) 2019-08-23 2019-08-23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374A KR20210023374A (ko) 2021-03-04
KR102368158B1 true KR102368158B1 (ko) 2022-02-28

Family

ID=7517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480A KR102368158B1 (ko) 2019-08-23 2019-08-23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662B1 (ko) * 2022-01-20 2022-09-13 주식회사 비투엔 메타버스를 이용한 케어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426B1 (ko) * 2008-07-07 2010-09-07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1508A (ko) * 2015-02-17 2016-08-25 김형욱 독거노인 위급상황 관리시스템
KR101735540B1 (ko) 2015-03-20 2017-05-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374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74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alert message with supplemental information
US20070152837A1 (en) Monitoring activity of an individual
BR112015025547B1 (pt) Sistema e método para facilitar a assistência em situações de perigo
WO2014182720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KR10201002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US20160203703A1 (en) Pet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CN107016818A (zh) 一种老人身体健康状况智能安全监测系统
KR102368158B1 (ko)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231183B1 (ko)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83384B1 (ko)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KR102230824B1 (ko) 지능형 고독사 방지 및 침입감지 시스템
KR101335601B1 (ko) 노약자를 위한 가정용 긴급경보시스템
KR20180056982A (ko)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센서 신발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활동성 모니터링 방법
CN105141908A (zh) 基于4g网络实现智能居家养老监控的系统及方法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JP4962571B2 (ja) 遠隔監視装置
TWI656502B (zh) 隨身安全照護方法、裝置及系統
KR20140109521A (ko) 세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26935B1 (ko) 돌보미 업무 검증 방법 및 보호 관리 시스템
KR20220072332A (ko) 건설산업현장 근로자를 위한 긴급출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07150B1 (ko) 지능형 응급상황 알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68803B1 (ko) 노약자 케어를 위한 긴급 알림 호출시스템
KR20130101212A (ko) 노약자 관리 시스템
KR20110073194A (ko)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JP2024030946A (ja) 遠隔見守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