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194A -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 Google Patents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194A
KR20110073194A KR1020100044925A KR20100044925A KR20110073194A KR 20110073194 A KR20110073194 A KR 20110073194A KR 1020100044925 A KR1020100044925 A KR 1020100044925A KR 20100044925 A KR20100044925 A KR 20100044925A KR 20110073194 A KR20110073194 A KR 20110073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information
human body
body communication
monitor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296B1 (ko
Inventor
강태욱
강성원
황정환
강태영
김경수
김성은
김정범
박경환
박형일
임인기
최병건
현석봉
형창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50,975 priority Critical patent/US8487773B2/en
Publication of KR2011007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05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human bod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인체통신을 이용하여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이 개시된다.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은, 감시 대상자에게 부착되어 일반인과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신체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인체통신을 통하여 감시 대상자의 감시 정보를 제공하는 감시 장치 및 일반인에게 부착되고 인체통신을 통하여 감시 정보를 제공받고 감시 정보를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감시 대상자의 범죄 행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범죄 행위가 시도되는 경우 범죄 행위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일반인이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SYSTEM FOR PREVENTING CRIME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CRIME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범죄 예방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통신을 이용하여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인체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72-04, 과제명: 인체통신 컨트롤러 SoC].
사회가 고도화되고 복잡하게 변화하면서 여성이나, 노약자 아이들을 대상으로한 유괴, 폭행, 납치, 성범죄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상응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실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아이들을 대상으로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하여 부모들이 아이들을 학교까지 등하교 시키고 학교 및 가정에서 아이들에게 낮선 사람을 따라가지 않도록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나 그리 높은 효과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범죄가 자주 발생되었거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CCTV를 설치하여 감시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CCTV를 설치하여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CCTV를 설치해야 하고 일반적으로 CCTV가 고정되어 설치되는 특성상 사각지역이 생길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완전하게 범죄를 예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주로 성범죄를 예방할 목적으로 성범죄 전과자와 같은 감시 대상자에게 전자 감시장치를 부착하여 감시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감시 대상자의 위치 정보나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정도에 그치기 때문에 감시 대상자가 범행을 시도하는 경우, 범행의 대상이 되는 피해자는 감시 대상자의 신원이나 범죄 이력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대항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범행 의도가 없는 감시 대상자에게는 인권 침해의 논란이 있다.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통신을 이용하여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통신을 이용하여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은, 감시 대상자에게 부착되어 일반인과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신체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인체통신을 통하여 상기 감시 대상자의 감시 정보를 제공하는 감시 장치 및 상기 일반인에게 부착되고 인체통신을 통하여 상기 감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감시 정보를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감시 장치는 신체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신호를 상기 감시 대상자의 신체에 전송하고 전송된 상기 모니터링 신호에 상응하여 응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신체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장치는 신체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시 대상자에게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정보는 상기 감시 대상자의 위치 정보, 신체 접촉 시간, 상기 감시 대상자의 신상 정보 및 상기 감시 대상자의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장치는 인체 통신을 통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상기 감시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인체 통신부와, 상기 감시 장치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신체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신체 접촉시 상기 감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감시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생체신호 검출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경고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감시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상기 일반인의 휴대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감시 정보를 이동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감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인체 통신을 통하여 상기 감시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감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인체 통신부와, 상기 감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감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은 상기 감시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감시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로 상기 감시 정보를 전송하는 중앙 관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제 장치는 제공된 상기 감시 정보에 상응하는 목적지 주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목적지 주소로 상기 감시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3 제어부와, 상기 제3 제어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상기 감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주소로 전송하는 제3 통신부 및 상기 감시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은, 감시 대상자에 부착되는 감시 장치, 상기 감시 대상자가 아닌 일반인에게 부착되는 수신 장치 및 상기 감시 장치와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앙 관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가 상기 감시 대상자와 상기 일반인의 신체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신체 접촉이 발생한 경우 상기 감시 장치가 인체 통신을 통해 감시 정보를 상기 수신 장치 및 상기 중앙 관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한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일반인의 휴대 단말 및 상기 중앙 관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제 장치가 상기 감시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감시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로 상기 감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감시 장치가 상기 감시 대상자와 상기 일반인의 신체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시 장치가 상기 감시 대상자의 신체에 신체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장치가 상기 모니터링 신호에 상응하여 응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신체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은 신체 접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감시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정보는 상기 감시 대상자의 위치 정보, 신체 접촉 시간, 상기 감시 대상자의 신상 정보 및 상기 감시 대상자의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제 장치가 상기 감시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감시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로 상기 감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관제 장치가 상기 수신된 감시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 주소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목적지 주소로 상기 감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범죄 예방 방법에 따르면, 감시 대상자에 부착된 감시 장치와 일반인에 부착된 수신 장치가 인체통신을 통해 양방향으로 통신함으로써 신체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 일반인이 감시 대상자의 신상 명세 및 접근 의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일반인이 위험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인체 통신을 통해 일반인의 수신 장치에 전달된 감시정보를 중앙 관제 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중앙 관제 장치에서는 제공된 감시 정보를 미리 정해진 목적지인 경찰이나 감시 기관에 전송함으로써 감시 대상자의 범죄 유형을 비교 분석할 수 있고, 분석된 내용에 기초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접촉시 감시 대상자에 부착된 감시 장치 및/또는 일반인의 수신 장치를 통해서 경고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범죄 충동을 억제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장치와 수신 장치가 인체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범죄 예방 방법에 비해 범죄를 의도하지 않은 감시 대상자의 인권 침해 요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모가 적은 인체 통신을 이용하여 신체 접촉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종래의 범죄 예방 장치들보다 에너지 사용 효율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감시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수신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중앙 관제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인체통신은 인체를 통신 채널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기술을 의미하며, 체내를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과 인체의 표면 전계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을 포함하여 인체를 통신채널로 이용하는 인체 통신 방법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을 위한 범죄 예방 시스템은 크게 범행의 우려가 있는 감시 대상자(10)에게 부착되는 감시 장치(100)와, 여성, 아동, 노약자 등과 같이 상기 감시 대상자(10)의 범죄행위로 인한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 일반인(20)에게 탈착될 수 있는 수신 장치(200)와, 상기 감시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감시 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수신된 감시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 관제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시 대상자(10)에 부착된 감시 장치(100) 및 일반인(20)에 부착된 수신 장치(200)는 감시 대상자(10)와 일반인(20)이 신체적 접촉이 있는 경우 인체통신을 실행하게 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감시 장치(100)는 감시 대상자의 정보를 포함하고, 일반인과의 신체 접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신호를 감시 대상자의 신체에 전송하여 일반인과 신체가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면, 신체 접촉 사실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 및 감시 대상자의 정보(예를 들면, 이름, 나이, 전과이력 등)를 인체 통신을 통하여 수신 장치에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감시 장치(100)는 감시 대상자(10)의 맥박과 같은 신체 정보, 감시 대상자의 현재 위치 등에 대한 감시 정보를 중앙 관제 장치(300)에 송신한다.
또한, 감시 장치(100)는 감시 대상자(10)와 일반인(20)이 접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 메시지, 경고음 또는 발광소자를 통해 감시 대상자(10)에게 접촉 사실을 경고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0)는 감시 대상자(10)와 일반인(20)의 신체가 접촉되는 경우, 인체통신을 통해 감시 장치(100)로부터 감시 대상자(10)의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 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위험 상황을 일반인(20)에게 통보한다.
여기서, 수신 장치(200)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기술 또는 이동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일반인(20)의 휴대 단말(예를 들면, 핸드폰, PDA 등)에 위험 상황을 경고함으로써, 일반인(20)이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200)는 신체 접촉시 인체 통신을 통해 감시 장치(100)에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중앙 관제 장치(300)에 감시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접촉 사실 및 감시 대상자(10)의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중앙 관제 장치(300)는 감시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감시 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받은 감시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목적지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 관제 장치(300)가 감시 정보를 송신하는 목적지는 예를 들어, 경찰이나 감시기관(30)의 장치 또는 일반인의 가족이나 보호자(40)가 휴대하거나 관리하는 휴대폰 또는 컴퓨터 등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중앙 관제 장치(300)로부터 감시 정보를 수신한 경찰 또는 감시 기관(30)은 수신된 감시 정보를 분석하여 상황에 상응하는 행동을 취할 수 있고, 상기 감시 정보를 일반인의 가족 및 보호자(40)에게 통보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인의 가족 및 보호자(40)는 중앙 관제 장치(300) 및/또는 경찰 또는 감시 기관(30)으로부터 제공된 감시 정보에 상응하여 일반인(20)의 안전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중앙 관제 장치(300)는 범죄 예방 정책이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이동통신사, 경찰서 또는 감시기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감시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시 장치(100)는 제1 인체 통신부(110), 제1 제어부(120), 위치 검출부(130), 생체신호 검출부(140), 제1 무선 통신부(150) 및 제1 경고신호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체 통신부(110)는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상응하여 신체 접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감시 신호를 감시 대상자의 인체를 통해 전송하고 이에 상응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제1 제어부(120)에 검출 신호 또는 신호를 검출하였음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제1 인체 통신부(110)는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상응하여 감시 대상자의 정보를 인체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200)에 제공한다.
제1 제어부(120)는 감시 대상자의 정보(12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인체 통신부(110)로부터 제공된 검출 신호 또는 검출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신체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신체가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면 감시 대상자의 신상 정보를 독출한 후 제1 인체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 장치(200)에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제 1 제어부(120)는 신체 접촉 사실, 신체 접촉 시간, 감시 대상자의 위치, 감시 대상자의 생체 정보 및 감시 대상자의 신상 정보(예를 들면, 이름, 나이, 주소, 전과이력 등)를 제1 무선 통신부(150)을 통해 중앙 관제 장치(300)에 전송한다.
또한, 제1 제어부(110)는 신체가 접촉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수신 장치(200)로부터 신체 접촉 경고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제1 경고신호 출력부(160)를 제어하여, 경고 메시지, 경고음, 경고등을 출력함으로써 감시 대상자(10)에게 접촉 사실을 경고하고, 이를 통해 범죄가 예방되도록 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130)는 예를 들어, GPS 수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위치 검출부(130)는 GPS 수신 모듈 이외에도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생체신호 검출부(140)는 예를 들어, 감시 대상자의 맥박이나, 혈압, 체온등과 같은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고,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제1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제1 무선 통신부(15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도 있고, 장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HSPA 또는 WiBro등의 이동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무선 통신부(150)는 제1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된 전송 신호를 무선 통신 규격에 적합하도록 처리한 후 처리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목적지로 전송한다. 제1 무선 통신부(150)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예를 들어 SMS(Short Message Service)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경고신호 출력부(160)는 스피커, 경고등, 디스플레이 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수신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200)는 제2 인체 통신부(210), 제2 제어부(220), 제2 무선 통신부(230) 및 제2 경고신호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체 통신부(210)는 감시 장치(100)로부터 신체 접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감시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여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감시 장치(100)로부터 감시 대상자의 감시 정보를 제공되는 경우 제공된 감시 정보를 처리하여 제2 제어부(220)에 제공한다.
또한, 제2 인체 통신부(210)는 제2 제어부(220)의 제어에 상응하여 감시 장치(100)에 신체 접촉 경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20)는 제2 인체 통신부(210)를 통해 감시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감시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감시 정보를 전송한다.
또는, 제2 제어부(220)는 상기 감시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제2 경고신호 출력부(240)를 제어하여 경고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무선 통신부(23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구현되어 일반인이 휴대한 휴대 장치에 감시 대상자의 감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장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HSPA 또는 WiBro등의 이동 통신 기술로 구현되어, 상기 감시 정보가 원격지에 위치한 미리 정해진 목적지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무선 통신부(230)가 이동 통신 기술로 구현되는 경우 제2 무선 통신부(230)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SMS 형태가 될 수 있고, 전송되는 메시지 내에는 미리 저장된 일반인의 신상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2 경고신호 출력부(240)는 스피커, 경고등,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진동 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중앙 관제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관제 장치(300)는 제3 무선 통신부(310), 제3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한다.
제3 무선 통신부(310)는 HSPA 또는 WiBro등과 같은 이동 통신 기술 및 또는 이더넷 등과 같은 유선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고, 감시 장치(100) 및/또는 수신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감시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감시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제어부(320)에 제공한다.
제3 제어부(320)는 제공된 감시 정보를 분석하여 감시 대상자의 정보를 획득한 후 이에 상응하는 목적지 주소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독출한 후 독출된 목적지 주소로 감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제3 제어부(320)는 전송된 감시 정보에 일반인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일반인의 정보에 상응하는 목적지 주소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독출한 후 독출된 목적지 주소로 감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330)는 감시자 정보 및 상기 감시자 정보에 대응되어 감시 정보가 전송될 목적지 주소 등의 정보들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30)는 미리 등록된 일반인의 신상정보 및 등록된 일반인별로 감시 정보를 전송할 목적지 주소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감시 장치(100)는 감시 대상자와 일반인의 신체 접촉을 모니터링하고(S501), 상기 두 사람간에 신체 접촉 여부를 판단한다(S503). 여기서, 신체 접촉 여부의 모니터링 및 판단은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시 장치(100)가 신체 접촉 모니터링 신호를 감시 대상자의 인체를 통해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는 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신체 접촉이 이루어진것으로 판단되면, 감시 장치(100)는 인체 통신을 통해 감시 정보를 수신 장치(200) 및 중앙 관제 장치(300)에 전송한다(S505). 여기서, 전송되는 상기 감시 정보는 신체 접촉 사실, 신체 접촉 시간, 감시 대상자의 위치, 감시 대상자의 생체 정보 및 감시 대상자의 신상 정보(예를 들면, 이름, 나이, 주소, 전과이력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0)는 감시 장치(100)로부터 감시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일반인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 및/또는 중앙 관제 장치(300)에 감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일반인이 감시 대상자의 정보를 파악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감시 장치(100)에 신체 접촉 경고신호를 전송한다(S507). 단계 S507에서 수신 장치(200)는 감시 정보 또는 감시 정보를 포함하는 위급 상황 통보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장소로 직접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감시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는 신체 접촉에 대한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S509 및 S511). 여기서, 신체 접촉에 대한 경고신호는 음성, 경고음, 메시지, 진동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감시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서만 경고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중앙 관제 장치(300)는 감시 장치(100) 및/또는 수신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감시 정보에 상응하여 제공된 감시 정보를 분석하고(S513), 분석된 감시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 주소로 감시 정보를 전송한다(S515).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감시 장치 110 : 제1 인체 통신부
120 : 제1 제어부 130 : 위치 검출부
140 : 생체신호 검출부 150 : 제1 무선 통신부
160 : 제1 경고신호 출력부 200 : 수신 장치
210 : 제2 인체 통신부 220 : 제2 제어부
230 : 제2 무선 통신부 240 : 제2 경고신호 출력부
300 : 중앙 관제 장치 310 : 제3 무선 통신부
320 : 제3 제어부 33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7)

  1. 감시 대상자에게 부착되어 일반인과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고 신체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인체통신을 통하여 상기 감시 대상자의 감시 정보를 제공하는 감시 장치; 및
    상기 일반인에게 부착되고 인체통신을 통하여 상기 감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감시 정보를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신체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신호를 상기 감시 대상자의 신체에 전송하고 전송된 상기 모니터링 신호에 상응하여 응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신체 접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신체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시 대상자에게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정보는
    상기 감시 대상자의 위치 정보, 신체 접촉 시간, 상기 감시 대상자의 신상 정보 및 상기 감시 대상자의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인체 통신을 통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상기 감시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인체 통신부;
    상기 감시 장치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신체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신체 접촉시 상기 감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제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감시 대상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생체신호 검출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경고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감시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상기 일반인의 휴대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감시 정보를 이동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감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인체 통신을 통하여 상기 감시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감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인체 통신부;
    상기 감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감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은
    상기 감시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감시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로 상기 감시 정보를 전송하는 중앙 관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장치는
    제공된 상기 감시 정보에 상응하는 목적지 주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목적지 주소로 상기 감시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3 제어부;
    상기 제3 제어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상기 감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 주소로 전송하는 제3 통신부; 및
    상기 감시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13. 감시 대상자에 부착되는 감시 장치, 상기 감시 대상자가 아닌 일반인에게 부착되는 수신 장치 및 상기 감시 장치와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앙 관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가 상기 감시 대상자와 상기 일반인의 신체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신체 접촉이 발생한 경우 상기 감시 장치가 인체 통신을 통해 감시 정보를 상기 수신 장치 및 상기 중앙 관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한 상기 감시 정보를 상기 일반인의 휴대 단말 및 상기 중앙 관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제 장치가 상기 감시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감시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로 상기 감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가 상기 감시 대상자와 상기 일반인의 신체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시 장치가 상기 감시 대상자의 신체에 신체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장치가 상기 모니터링 신호에 상응하여 응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신체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은
    신체 접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감시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정보는
    상기 감시 대상자의 위치 정보, 신체 접촉 시간, 상기 감시 대상자의 신상 정보 및 상기 감시 대상자의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장치가 상기 감시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감시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로 상기 감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관제 장치가 상기 수신된 감시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 주소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목적지 주소로 상기 감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KR1020100044925A 2009-12-22 2010-05-13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KR101378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50,975 US8487773B2 (en) 2009-12-22 2010-11-19 Crime prevention system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and crime prevention method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264 2009-12-22
KR20090129264 2009-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194A true KR20110073194A (ko) 2011-06-29
KR101378296B1 KR101378296B1 (ko) 2014-03-27

Family

ID=4440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925A KR101378296B1 (ko) 2009-12-22 2010-05-13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5717A1 (en) * 2014-12-27 2016-06-30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determining a threat assessment based on fear respon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9415C1 (ru) 2018-08-10 2019-05-28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лучшения nfc-канала посредством применения поверхностных вол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562B1 (ko) * 2007-12-17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5717A1 (en) * 2014-12-27 2016-06-30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determining a threat assessment based on fear responses
US10163320B2 (en) 2014-12-27 2018-12-25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determining a threat assessment based on fear respon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296B1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92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bust man-down alarms
US9245439B2 (en) Temporary security bypass method and apparatus
EP2871621B1 (en) Digital smart security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US8487773B2 (en) Crime prevention system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and crime prevention method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BR112015025547B1 (pt) Sistema e método para facilitar a assistência em situações de perigo
CN107851368A (zh) 安全自动化系统和操作方法
KR101489896B1 (ko) 비상호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035614B1 (ko) 동작 감지 센서 및 전등을 활용한 독거인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80109371A (ko) 응급 구조구난 시스템
JP2018530083A (ja) アラームシステム
KR101413266B1 (ko)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50093034A (ko) 호신용 반지 및 그를 이용한 위험상황 관리시스템
KR101378296B1 (ko)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KR101097049B1 (ko) 성범죄자 접근 경고 시스템
JP3929982B2 (ja) 感知器ベース、当該感知器ベース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4058501B1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KR101627188B1 (ko) 가택 설치용 지능형 가택감독장치
AU2016205895A1 (en) Determining entry into or exit from a place while a tracking device is in the place
KR100874839B1 (ko)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CN109377718A (zh) 报警手环及报警手环系统
JPWO2014006772A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25819B1 (ja) 監視システム
KR101388984B1 (ko) 인명 구조용 경보 시스템
JP2007264913A (ja) 異常監視携帯端末及び異常監視装置
KR102368158B1 (ko)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