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022B1 -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022B1
KR102010022B1 KR1020170083884A KR20170083884A KR102010022B1 KR 102010022 B1 KR102010022 B1 KR 102010022B1 KR 1020170083884 A KR1020170083884 A KR 1020170083884A KR 20170083884 A KR20170083884 A KR 20170083884A KR 102010022 B1 KR102010022 B1 KR 102010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earable device
mobile terminal
party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248A (ko
Inventor
이길헌
Original Assignee
이길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헌 filed Critical 이길헌
Priority to KR1020170083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0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이 발명의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걸음 수, 체온, 심박수, 운동 시간, 체중, 혈당, 혈압, 수면시간, 칼로리 섭취량을 포함하는 신체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받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 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 진료 정보 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응급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3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와 상기 제3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병원 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번호와 매칭시켜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심박수가 기준값 범위를 벗어날 때 응급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 통신이 끊어진 상태에서 응급신호가 생성될 때 DTN 방식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접근한 제3자 단말로 응급신호를 포함한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3자 단말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응급신호가 전송될 때 상기 응급신호를 제3자 단말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Emergency Rescue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Wearable Device an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응급상황 시 신속한 응급구조가 가능하고, 진료 및 복약 관리가 용이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학의 발전에 의해 파생된 물질의 풍요와 이에 따른 경제 성장은 물질적인 풍요 대신 오랫동안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삶을 추구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높아진 평균수명으로 인해 노인 인구가 늘어나게 되었고, 이 가운데 가족들과 함께 살아가지 못하고 홀로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은 새로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그 결과로 독거노인의 보호 관리에 관한 기술들 역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독거노인 보호 관리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46058호와 같이 재가 노인의 특성에 맞는 요양 보호사 배정이 가능하고, 재가 노인에 대한 요양 보호사의 방문 요양 서비스 제공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재가 노인 관리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자택을 벗어난 노인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응급 상황이 발생 될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독거노인 보호를 위한 또 다른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519907호와 같이 독거 관리대상자를 정밀하게 관리하면서도 독거 관리대상자가 자신의 의지대로 관리자를 호출하거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독거 관리대상자 케어 시스템이 있으나, 이 기술은 독거노인의 움직임을 일일이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독거노인의 활동량 체크와 소모된 칼로리에 대한 관리가 불가능하고, 생활관리사의 방문을 제외하고는 독거노인의 건강에 대한 내적 관리(혈당, 혈압, 신진 대사정도, 소화기 건강 등)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46058호 등록특허 제10-1519907호
따라서, 이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독거노인의 건강관리가 가능하고, 응급상황 시 신속한 응급구조가 가능하며, 진료 및 복약 관리가 용이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 발명의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걸음 수, 체온, 심박수, 운동 시간, 체중, 혈당, 혈압, 수면시간, 칼로리 섭취량을 포함하는 신체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받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 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 진료 정보 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신체상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3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와 상기 제3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병원 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번호와 매칭시켜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심박수가 기준값 범위를 벗어날 때 응급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 통신이 끊어진 상태에서 응급신호가 생성될 때 DTN 방식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접근한 제3자 단말로 응급신호를 포함한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3자 단말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응급신호가 전송될 때 상기 응급신호를 제3자 단말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에 문자, 진동, 음성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이나 제3자 단말 중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이 소지하는 제3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GPS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분석한 후 사용자의 추정 이동경로 내에 있는 모든 제3자 모바일 단말에 푸시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고유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3자 모바일 단말 중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식된 제3자 모바일 단말은 현재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3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GPS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사용자의 심박수에 이상이 생길 때 자동으로 119나 보호자에게 응급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신속한 응급구조를 할 수 있게 되고, 병원 진료 예정일과 복약 시간을 진동, 문자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알려주기 때문에 효율적인 진료 및 복약 관리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DTN 방식으로 제3자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응급상황 여부와 사용자의 개략적인 위치정보를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응급상황에 처하더라도 신속한 응급구조가 가능하고, 사용자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가 일정시간 전송되지 않을 때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스마트폰의 GPS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분석한 후 사용자의 추정 이동경로 내에 있는 모든 제3자에게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고유번호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때문에 응급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신속한 응급구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의 기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에서의 복약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응급 상황 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 사용자 모바일 단말(20), 제3자 단말(30) 및 관리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체상태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20)로 전송한다.
이때, 신체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걸음 수, 체온, 심박수, 운동 시간, 체중, 혈당, 혈압, 수면시간, 칼로리 섭취량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센서는 가속도 센서, 온도센서, 심박수센서, 타이머, 중량센서, 혈당센서, 혈압센서, 진동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방식으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20)로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20)과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즉, 사용자가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10)만 소지한 경우)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 될 때(즉, 심박수센서에서 검출된 심박수 값이 적정 심박수 범위를 벗어날 때) DTN(Delay(or disruption) Tolerant Network) 방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접근한 제3자 단말(30)로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자의 선택에 따라 전용 단말기를 구비하는 형태로도 실시가 가능 하나, 범용성 및 대중성을 고려하여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지는 게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은 본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구비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시스템의 각 기능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자 단말(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3자 단말(3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가족(또는 보호자)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이 소지하는 제3자 모바일 단말, 병원 또는 약국에서 진료 정보(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을 포함)를 제공하는 병의원 단말 및 119 등의 응급의료센터에 설치된 응급의료센터 단말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자 모바일 단말은 범용성 및 대중성을 고려하여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지는 게 바람직하고, 병의원 단말 및 응급의료센터 단말은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PC로 구성되는 게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서버(40)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20) 및 제3자 단말(30)에서 네트워크(50)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이나 제3자 단말(30)에서 송신요청이 전송될 때 내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나 진료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이나 제3자 단말(30)로 전송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의 기본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이 서로 근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받을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측정된 신체상태 정보가 관리서버(4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기기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20) 및 관리서버(40)에 등록시킨다(S100,S110).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사용자 모바일 단말(20)과 관리서버(40)에 등록된 이후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착용(즉, 사용자가 활동시작)하면(S120),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측정된 신체상태 정보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사용자 모바일 단말(20)로 전송되고(S130),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에 전송된 신체상태 정보는 네트워크(50)를 통해 관리서버(40)로 전송된다(S140).
이렇게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에서 관리서버(40)로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가 전송될 때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와 함께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의 위치정보(즉, GPS 정보)가 관리서버(40)로 전송된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사용자 신체정보 측정 시 심박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기준값(즉, 정상범위의 심박수)과 비교한 후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기준값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상임을 알리는 정상신호를 생성하고,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기준값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사용자가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응급신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정상신호 및 응급신호는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에서 관리서버(40)로 전송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사용자 모바일 단말(20) 및 관리서버(40)로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가 전송될 때 관리서버(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번호(예를 들면, 블루투스 아이디(UUID))와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시킨다(S141).
이때, 관리서버(40)는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를 사용자나 보호자 또는 응급센터의 관리자(예를 들면, 의사)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루, 일주일, 한 달, 1년 등과 같이 일정 기간별로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킨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이름, 생년월일, 주소, 사용자의 보호자 연락처 등의 사용자 개인정보와 사용자의 걸음 수, 체온, 심박수, 운동 시간, 체중, 혈당, 혈압, 수면시간, 칼로리 섭취량 등의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가 관리서버(40)에 전송되고 있을 때, 제3자 단말(30)을 통해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에 대한 요청이 관리서버(40)로 전송되면(S150), 관리서버(40)는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보호자 정보와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를 요청한 제3자의 정보를 비교(S151)한 후 두 정보가 일치할 경우(즉, 보호자 인증이 완료)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를 요청한 제3자 단말(30)로 해당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전송한다(S160).
이에 따라, 보호자는 제3자 단말(즉, 보호자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는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S170).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에서의 복약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정기 검진을 위해 병원을 방문(S200)하여 의사로부터 진료를 받으면, 담당의사에 의해 검사 결과, 진료일, 진료 예정일, 복약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진료 정보가 제3자 단말(30)(예를 들면, 병원에 설치된 PC)에 입력되고(S210), 제3자 단말(30)에 입력된 진료 정보는 관리서버(40)로 전송된다(S220).
이때, 관리서버(40)는 제3자 단말(30)에서 전송된 진료 정보를 해당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킨다(S221).
한편, 관리서버(40)는 제3자 단말(30)에서 전송된 진료 정보를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킴과 아울러 사용자 모바일 단말(20)로 전송한다(S230).
이렇게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에 진료 예정일과 복약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가 전송되면,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은 해당 시간에 문자, 진동,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을 사용자에게 직접 알려주거나(S240) 해당 시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문자, 진동,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진료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 전송한다(S250).
이로 인해,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을 알 수 있게 된다(S40).
한편, 상기의 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20) 외에도 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제3자 단말(30)(즉, 보호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에 보호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 사용자에게 직접 연락하여 진료 여부와 복약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응급 상황 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착용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심박수를 포함한 신체상태 정보를 측정(S300)하고, 측정된 심박수를 기준값과 비교한 후 측정된 심박수가 기준값을 벗어날 때 응급신호를 생성한다(S301).
이때, 생성된 응급신호는 심박수를 포함한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와 함께 사용자 모바일 단말(20)로 전송된다(S310).
한편,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응급신호가 전송되면, 응급신호를 포함하는 신체상태 정보를 관리서버(40)로 전송(S320)함과 동시에 응급의료센터에 설치된 제3자 단말(30)(즉, 응급의료센터 단말)이나 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제3자 단말(즉, 보호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S330).
이렇게 응급신호가 보호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면, 보호자는 보호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된 응급신호를 확인하여 119 등의 응급의료센터에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게 되고, 응급의료센터의 담당자(예를 들면, 의사 또는 소방관)는 제3자 단말(30)에 전송된 응급상황을 확인(S340)하여 응급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있는 곳(즉,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의 GPS 위치)으로 응급구조를 나갈 수 있게 된다(S350).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20) 사이의 통신이 끊어진 상태(즉, 사용자가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을 구비하고 있지 않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모바일 단말(20)과의 통신 가능 거리 이상으로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될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DTN 방식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범위 내에 접근한 제3자 단말(30)(즉, 제3자의 모바일 단말)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전송한다(S400).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DTN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한 모든 제3자 단말(30)(즉, 제3자 모바일 단말)에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DTN 방식으로의 통신이 최초로 이루어진 제3자 단말(30)(즉, 제3자 모바일 단말)에만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DTN 방식으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전송받던 제3자 단말(30)(즉, 제3자 모바일 단말)이 DTN 방식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한 거리로 이탈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DTN 방식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범위 내로 접근하는 새로운 제3자 단말(30)(즉, 제3자 모바일 단말)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제3자 단말(30)(즉, 제3자 모바일 단말)은 DTN 방식을 통해 전송받은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응급신호 포함)와 현재 제3자 단말(30)(즉, 제3자 모바일 단말)의 GPS 정보를 네트워크(50)를 통해 관리서버(40)로 전송하고(S410), 관리서버(40)는 전송된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와 현재 제3자 단말(30)(즉, 제3자 모바일 단말)의 GPS 정보를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킨다(S411).
한편, 제3자 단말(30)(즉, 제3자 모바일 단말)들을 통해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가 관리서버(40)로 전송되는 상황에서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가 지속적으로 관리서버(40)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관리서버(40)는 제3자 단말(30)(즉, 제3자 모바일 단말)들을 통해 전송된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를 통합하여 사용자의 응급상황 상태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응급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서버(40)는 응급신호를 생성하여 응급의료센터에 설치된 제3자 단말(30)(즉, 응급의료센터 단말)이나 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제3자 단말(즉, 보호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S420).
또한, 관리서버(40)는 제3자 단말(30)(즉, 제3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응급신호가 전송될 때(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생성된 응급신호가 DTN 방식을 통해 제3자 단말(30)(즉, 제3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된 경우) 응급의료센터에 설치된 제3자 단말(30)(즉, 응급의료센터 단말)이나 보호자가 소지하고 있는 제3자 단말(즉, 보호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S420).
이렇게 응급신호가 보호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면, 보호자는 보호자 모바일 단말에 전송된 응급신호를 확인하여 119 등의 응급의료센터에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게 되고, 응급의료센터의 담당자(예를 들면, 의사 또는 소방관)는 제3자 단말(30)에 전송된 응급신호를 확인(S430)하여 응급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있는 곳(즉, 최종적으로 사용자 생체상태 정보를 전송한 제3자 단말(30)의 GPS 위치)으로 응급구조를 나갈 수 있게 된다(S440).
한편,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이나 제3자 단말(3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가 관리서버(40)로 전송되지 않을 때, 관리서버(40)는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의 GPS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추정 이동경로 내에 있는 모든 제3자 모바일 단말에 푸시(push)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고유번호(예를 들면, 블루투스 아이디)를 전송한다.
이때,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고유번호를 전송받은 제3자들은 현 위치에서 자신들이 소지한 제3자 모바일 단말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식될 경우 현재 위치정보가 관리서버(40)로 전송되며, 관리서버(40)는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킴과 아울러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은 사용자의 심박수에 이상이 생길 때 자동으로 119나 보호자에게 응급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신속한 응급구조를 할 수 있게 되고, 병원 진료 예정일과 복약 시간을 진동, 문자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알려주기 때문에 효율적인 진료 및 복약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DTN 방식으로 제3자 단말(30)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응급상황 여부와 사용자의 개략적인 위치정보를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응급상황에 처하더라도 신속한 응급구조가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은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에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가 일정시간 전송되지 않을 때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20)의 GPS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분석한 후 사용자의 추정 이동경로 내에 있는 모든 제3자 모바일 단말에 푸시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고유번호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때문에 응급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신속한 응급구조가 가능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선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웨어러블 디바이스 20: 사용자 모바일 단말
30: 제3자 단말 40: 관리서버
50: 네트워크

Claims (3)

  1.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걸음 수, 체온, 심박수, 운동 시간, 체중, 혈당, 혈압, 수면시간, 칼로리 섭취량을 포함하는 신체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받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
    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을 포함하는 사용자 진료 정보 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신체상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3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신체상태 정보와 상기 제3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진료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번호와 매칭시켜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심박수가 기준값 범위를 벗어날 때 응급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 통신이 끊어진 상태에서 응급신호가 생성될 때 DTN 방식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접근한 제3자 단말로 응급신호를 포함한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3자 단말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응급신호가 전송될 때 상기 응급신호와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를 제3자 단말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진료 예정일 및 복약 시간에 문자, 진동, 음성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이나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이 소지하는 제3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자 신체상태 정보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GPS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분석한 후 사용자의 추정 이동경로 내에 있는 모든 제3자 모바일 단말에 푸시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고유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3자 모바일 단말 중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식된 제3자 모바일 단말은 현재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3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GPS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KR1020170083884A 2017-06-30 2017-06-3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KR102010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884A KR102010022B1 (ko) 2017-06-30 2017-06-3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884A KR102010022B1 (ko) 2017-06-30 2017-06-3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48A KR20190003248A (ko) 2019-01-09
KR102010022B1 true KR102010022B1 (ko) 2019-08-12

Family

ID=6501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884A KR102010022B1 (ko) 2017-06-30 2017-06-30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940B1 (ko) 2019-08-30 2021-01-29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가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888B1 (ko) 2019-12-05 2021-11-05 동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그린케어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93426B1 (ko) * 2020-12-03 2023-01-30 정태화 데이터 선택 및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537862B1 (ko) * 2021-02-17 2023-05-3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복약 시점 알림용 전자 장치
CN113724853A (zh) * 2021-10-08 2021-11-30 联想新视界(南昌)人工智能工研院有限公司 一种基于深度学习的智慧医疗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274B1 (ko) * 2016-07-26 2017-06-29 성승주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058B1 (ko) 1995-04-14 1998-09-15 문정환 우선순위조정장치
KR20120045458A (ko) *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방법
KR101519907B1 (ko) 2014-11-12 2015-05-18 문기영 독거 관리대상자 케어 시스템
KR20160090578A (ko) * 2015-01-22 2016-08-01 주식회사 기가레인 비콘을 이용한 실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274B1 (ko) * 2016-07-26 2017-06-29 성승주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940B1 (ko) 2019-08-30 2021-01-29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48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02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US11024142B2 (en) Event detector for issuing a notification responsive to occurrence of an event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1158179B2 (e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accuracy of fall detection using multi-sensor fusion
US11382511B2 (en) Method and system to reduce infrastructure costs with simplified indoor location and reliable communications
US9491277B2 (en)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global health, personal safety and emergency response
US9293023B2 (en) Techniques for emergency detection and emergency alert messaging
Dohr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for ambient assisted living
US20140327540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US201002864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mobile device as a portable personal terminal for medical information
US115034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vity between a personal area network and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vi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60285800A1 (en) Processing Method For Providing Health Support For User and Terminal
WO2015143085A1 (en) Techniques for wellness monitoring and emergency alert messaging
US2008013989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medical information
AU2019101396A4 (en) Smart Personal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thereof
KR20210016664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응급 상황에서의 구조 요청 방법
US20170124259A1 (en) Computer program produc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aid service and personalized management of health records
TW200905511A (en)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health care service system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TWI656502B (zh) 隨身安全照護方法、裝置及系統
Jähne-Raden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fall prevention on geriatric wards: A report
US11849379B1 (en) Universal mobile alert system and method
JP7020732B1 (ja) ウエアラブル端末を用いた総合体調管理システムおよび総合体調管理方法
US115571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CN114422539B (zh) 通信系统及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