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274B1 -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274B1
KR101751274B1 KR1020160095046A KR20160095046A KR101751274B1 KR 101751274 B1 KR101751274 B1 KR 101751274B1 KR 1020160095046 A KR1020160095046 A KR 1020160095046A KR 20160095046 A KR20160095046 A KR 20160095046A KR 101751274 B1 KR101751274 B1 KR 101751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bject
measurement signal
vit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승주
김미선
성수혜
성수행
Original Assignee
성승주
김미선
성수혜
성수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승주, 김미선, 성수혜, 성수행 filed Critical 성승주
Priority to KR102016009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대상자의 혈압, 체온, 맥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바이탈 측정신호와 대상자의 운동량을 감지한 운동량 측정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단말과,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 및 운동량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제2단말과, 제2단말로부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 운동량 측정신호 및 위치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대상자의 신체상의 이상 여부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각 제2단말별로 설정된 보호자 단말또는 기관단말별로 상기 제2단말별로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대상자의 바이탈 및 운동량과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1인 생활자의 건강관리 및 긴급상황에 대한 대처와, 정신계질환자 등의 추적이 용이하고, 재범의 우려가 있는 전과자의 감시가 용이함에 따라 범죄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PERSON MANAGEMENT SYSTEM USING WEARABLE A MOBILE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 발전에 힘입어, 인간 수명이 크게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노약자나 만성 질환자, 비만, 성인병 환자등과 같이 지속적인 건강 관리가 필요한 사람도 많이 늘어났다. 특히 최근에는 고혈당, 혈압이나, 혈당병과 같이 만성적인 질환을 가진 사람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것보다,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처방된 약을 장기적으로 복용하는 방식으로 질병 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투약 이외에 운동을 병행하면서 질병 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일반 가정에서 의사가 요구하는 대로 정확하게 약을 복용하고, 운동을 하는 것은 보통의 의지를 가지고는 결코 용이하지 않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질병을 가진 사람이 아니더라도, 체형 유지나 건강 유지, 질병 예방을 위해서 항상 운동이나 식이요법을 하면서 건강 관리를 하고자 하는 사람이 크게 증대되었다.
이와 같이,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 만성질환자 증가,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 증가 등의 이유로 의료비 부담이 증가하여 유헬스(U health)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에 65세 이상의 인구가 7.2%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고, 2019년에는 14.4%, 2026년에는 20%로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고령화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정기적인 투약과 진료가 필요한 장기 환자나 독거노인등에 대한 관리와, 치매와 같은 노인성질환이나 나이를 막론하고 조현병과 같은 정신계질환을 갖는 환자들에 의한 사건 사고가 현재보다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아동성폭행범과 같이 재범의 가능성이 높은 전과자들에 대한 관리는 전자발찌를 이용하여 실행되고 있으나, 최근에 전자발찌를 착용하고도 범행을 지르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에 출시된 기술은 대상자의 맥박과 혈압과 같은 바이탈신호만을 계측하여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병원이나 보호자등에게 응급상황을 전파하는 것에 국한되고 있어 위와 같은 정신계질환이나 장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 전과자등을 모두 포괄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지 못하였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113893호(2013.10.16 공개) 특허공개공보 제10-20123-00071656(2013.01.1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정신계질환, 노인성 질환, 독거노인, 장기환자 및 전과자와 같이 특정 대상자의 치료 및 감시가 가능한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대상자의 혈압, 체온, 맥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바이탈 측정신호와 대상자의 운동량을 감지한 운동량 측정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단말과,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 및 운동량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제2단말과, 제2단말로부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 운동량 측정신호 및 위치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대상자의 신체상의 이상 여부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각 제2단말별로 설정된 보호자 단말또는 기관단말별로 상기 제2단말별로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대상자의 바이탈 및 운동량과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1인 생활자의 건강관리 및 긴급상황에 대한 대처와, 정신계질환자 등의 추적이 용이하고, 재범의 우려가 있는 전과자의 감시가 용이함에 따라 범죄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1인 생활자, 장기질환자, 노인성 질환, 정신계 질환와 같이 주기적인 관심이 필요한 대상자들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고, 추적에 용이하여 대상자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범의 우려가 있는 전과자의 감시가 용이함에 따라 범죄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관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건강관리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S200 단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S200 단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 예 및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 예 및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부재", "..수단"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구성의 단위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단말(100)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단말(200)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서버(30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제1단말(100)과, 제1단말(100)의 위치추적 및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제2단말(200)과, 제2단말(200)로부터 제1단말(10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빅데이터를 통하여 대상자의 현재 상태 및 증상을 추론하는 서버(300)와, 서버(300)로부터 대상자의 신체 정보를 수신하는 보호자 단말(400)과, 제1단말(100)로부터 출력된 비상호출신호를 감지하는 비상검출단말(500)과, 긴급출동 및 수색신호를 접수하는 기관단말(600)을 포함한다.
제1단말(100)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대상자의 바이탈 신호를 측정하고, 제2단말(200)과의 근거리 통신의 수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단말(100)은 대상자의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되며, 제2단말(2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대상자의 수색과 긴급 상황에 따른 비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단말(200)은 제1단말(100)의 신호를 서버(300)에 송신하고, 서버(300)의 수신 신호에 따라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를 활성화시키거나, 제1단말(100)의 미착용여부를 감지하여 서버(300) 및 기관단말(600)에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단말(100)과 제2단말(200)의 상세 구성은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1단말(100)은 대상자의 바이탈 신호 및 주변 환경을 측정하는 측정부(12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130)와, 터치형으로 입력과 출력이 가능한 제1디스플레이(140)와,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비상출력부(150)와, 제2단말(200)과 통신하는 제1통신부(160)와, 측정부(120) 내지 제1통신부(160)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측정부(120)는 혈압, 체온 및 맥박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바이탈 측정모듈(121)과,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모듈(122)과, 주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측정모듈(123)과,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광 측정모듈(124)을 구비하는 측정부(120)를 포함한다.
바이탈 측정모듈(121)은 혈압과 체온 및 맥박을 감지하는 각각의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로는 바이탈 측정모듈(121)은 체온과 맥박 및 혈압을 통하여 대상자의 수면 여부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이 포함될 수 있다.
운동량 측정모듈(122)은 대상자의 운동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운동량 측정모듈(122)은 자기센서와 진동센서를 통하여 움직임으로 발생되는 진동의 규칙성을 발견하여 걸음의 횟수(예를 들면, 만보기) 및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맥박과 체온 및 진동을 감지하여 런닝등의 유산소 운동 여부 및 운동거리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오염도 측정모듈(123)은 주변의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유독 가스성분, 먼지와 연기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면, 가스센서, 연기센서, 먼지센서)를 구비하여 각각의 성분을 검출한다.
조광 측정모듈(124)은 주변의 밝기를 감지한다. 이는 광센서(예를 들면, 포토다이오드)를 구비함으로서 실행 가능하다.
제1전원부(130)는 상시 동작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주배터리(131)와, 비상호출 시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배터리(132)를 포함한다. 주배터리(131)는 제1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각 구성(측정부(120), 제1디스플레이(140), 제1통신부(160) 및 결재부(17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로는 주배터리(131)는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주배터리(131)는 충전용 USB 또는 전원단자의 연결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비상배터리(132)는 제1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비상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비상전원은 비상출력부(150)의 구동전원으로서 정의된다. 즉, 비상배터리(132)는 주배터리(131)의 방전여부와 상관없이 제1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비상출력부(150)가 구동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비상배터리(132)는 주배터리(131)와 마찬가지로 충전식 배터리로서 충전용 USB 또는 전원포트가 별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전원부(130)는 주배터리(131)와 비상배터리(132)의 전원공급라인을 차단, 통전 및 절환을 위하여 제1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140)는 제2단말(200) 또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메세지 또는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경고신호는 제1단말(100)의 해제 또는 제1단말(100)과 제2단말(200)간에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거리 이상 떨어져있을 때 제2단말(200)에 의해 송신된다.
비상출력부(150)는 제2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비상출력신호에 따른 제1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비상호출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비상호출신호는 크게 비상검출단말(500)에서 수신되는 무선신호와, 가시광 대역의 발광신호와 적외광 대역의 발광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무선으로 송출되는 비상호출신호는 제1단말(100)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식별코드와, 수색 대상자를 표시하는 명령코드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무선방식의 비상호출신호는 비상검출단말(5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으로 송출되는 비상호출신호는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원거리 통신모듈과, RF 및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조합된 통신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가시광 대역의 비상호출신호는 주변의 행인이나 수색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가시광대역의 발광소자가 구비되어 비상이나 응급상황을 발광표시한다.
적외광 대역의 비상호출신호는 적외선 발광소자로부터 시각적으로 구분이 되지 않은 적외선 발광신호를 송신한다. 이는 후술되는 비상검출단말(500)의 적외선 카메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상출력부(150)는 상술한 비상배터리(132)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
아울러, 제1제어부(110)는 제2단말(200)의 비상호출 구동명령 또는 설정된 시간동안 제2단말(200)과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자동으로 비상호출 구동명령을 출력하도록 비상출력부(150)를 제어한다.
제1통신부(160)는 서버(300) 또는 제2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통신부(160)는 와이파이 또는 WCDMA와 같은 모바일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모듈과, 블루투스, NFC, 적외선 및 RF 통신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이 조합될 수 있다.
결재부(170)는 카드사, 통신사 및 금융사중 적어도 하나의 협역에 의해 제안된 결재모듈로서 교통 단말(버스, 지하철, 택시에 설치된 결재용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비용을 결재하거나, 일반 음식점이나 상가등에서 물건 매입후 대금을 지불하는 카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단말(200)은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지피에스(GPS)(220)와, 서버(300) 및 제1단말(100)의 메세지를 수신하는 제2디스플레이(230)와, 서버(300) 및 제1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24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250)와, 음성이 저장되는 음성저장부(260)와, 투약기록 및 운동량등이 저장되는 기록부(270)와, 지피에스(GPS)(220) 내지 기록부(27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지피에스(GPS)(220)는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서버(3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지피에스(GPS)(220)는 제2제어부(210)에 의하여 강제로 활성화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230)는 입력과 출력이 가능한 터치형 디스플레이로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메세지와 제1단말(100)과의 분리를 경고하는 메세지를 출력한다.
제2통신부(240)는 서버(300)와 보호자 단말(400) 및 기관단말(600)과의 통신 가능한 원거리 통신모듈과, 제1단말(100)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원거리 통신모듈과 근거리 통신모듈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 및 예시를 생략한다.
음성저장부(260)는 제2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저장된 음성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대상자가 질환자일 경우에 설정된 시간이 되면, '약드실 시간입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음성저장부(260)는 '약드실 시간입니다'의 음성을 출력한 이후에 '약을 드셧습니까?'와 같은 음성을 출력한다.
이때, 제2제어부(210)는 제2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선택신호(예를 들면, 예와 아니오)를 확인하여 기록부(270)에 투약 여부를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기록부(270)는 상기와 같은 음성저장부(260)에 의한 음성메세지에 따른 확인 결과를 기록하거나, 대상자가 임의대로 기록하는 기록을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기록부(270)는 모바일용 문서 입력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제어부(210)는 제2통신부(240)를 제어하여 설정된 시간주기별로 제1단말(100)을 호출하여 대상자가 제1단말(100)의 미착용시에 이를 경보하는 메세지를 제2디스플레이(230)에 출력하거나, 제1단말(100)의 제1디스플레이(140)를 통하여 경고 메세지, 음성, 발광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2제어부(210)는 제2통신부(240)를 통하여 제1단말(100)의 바이탈 측정 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 및 주변 환경측정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서버(300)에 송신한다. 바이탈 측정신호는 대상자의 혈압, 체온, 맥박중 하나 이상의 포함되고, 운동량 측정신호는 걸음걸이 숫자, 거리 및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환경 측정신호는 주변 밝기와 먼지와 가스의 유해 여부 또는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10)는 서버(300)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메세지 또는 음성저장부(260)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출력하고, 입력된 확인신호를 기록부(270)에 기록하거나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직접 투약 여부나 근황, 예를 들면, 사고 또는 사건 상황에 따른 긴급상황여부에 대한 음성메세지 및 문자메세지가 수신되면 제2디스플레이(230)와 음성저장부(260)를 제어하여 이를 출력한다. 아울러, 제2제어부(210)는 제2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입력된 확인신호의 유무에 따라 서버(300)에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제2제어부(210)는 서버(300), 기관단말(600) 또는 보호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제1단말(100)의 비상출력부(150)를 활성화 시킴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보호자 또는 기관원이 제2단말(200)로 전화를 걸었으나, 응답이 없는 경우등 대상자가 행방불명 상태로 판단되면, 보호자 또는 기관원은 서버(300)에 대상자의 수색을 요청한다.
따라서, 제2제어부(210)는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제2통신부(240)를 제어하여 제1단말(100)의 비상출력부(150)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제1단말(100)은 설정된 경우, 자체적으로 비상출력부(150)를 구동시킴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단말(100)의 제1제어부(110)는 제2단말(200)과의 통신 두절 상태가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에 비상호출신호를 출력한다.
서버(300)는 제2단말(200)과 비상검출단말(500)과 기관단말(600)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통신부(320)와, 바이탈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항목별 테이블을 생성하는 바이탈 처리부(330)와, 바이탈 처리부(330)의 바이탈 측정 데이터를 의료정보와 맵핑시켜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정보맵핑부(340)와, 대상자정보와 의료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50)와, 서버통신부(320) 내지 데이터베이스(350)를 제어하는 서버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서버통신부(320)는 서버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기관단말(600), 보호자 단말(400) 및 비상검출단말(500)과 송수신한다. 아울러, 서버통신부(320)는 제2단말(200)로부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바이탈 처리부(330)는 제2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를 설정된 데이터로 변환시켜 각 항목별 테이블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한다. 이때, 생성된 테이블은 일자별로 생성되며, 누적된 데이터의 통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이탈 처리부(330)는 15일동안 매일 측정된 혈압과, 평균 혈압이 산출된 테이블을 생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바이탈 처리부(330)는 환경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를 데이터변환시켜 일자별로 테이블을 생성하고, 전체 기간별 통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바이탈 처리부(330)는 바이탈 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 및 환경측정신호를 데이터베이스(350)에 누적 저장하여 대상자의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바이탈 처리부(330)는 대상자의 바이탈 측정신호를 통하여 통계화된 데이터로서 대상자의 바이탈 패턴과, 대상자의 운동량 패턴 및 주변 환경 패턴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바이탈 패턴과 운동량 패턴과, 주변 환경 패턴은 대상자의 이상여부를 판별하는 기준값으로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이탈 처리부(330)는 제2단말(200)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동경로를 생성하고, 누적된 이동경로를 이동패턴을 생성한다.
정보맵핑부(340)는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질환별 바이탈 체크 상태와 운동량과 주변 환경정보와 바이탈 처리부(330)에서 생성된 각 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대상자의 상태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정보맵핑부(340)는 대상자가 현재 고혈압 환자일경우에 바이탈 측정정보(혈압, 맥박, 체온)를 통하여 해당 환자가 위험한 상태인지, 증상이 악화 또는 호전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맵핑부(340)는 바이탈 처리부(330)의 데이터와 의료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환자 및 주변 상태(운동중, 긴장상태, 사망, 의식불명, 호흡곤란, 화재발생, 감금)를 판정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50)는 대상자의 병명이나 주소 및 처방전이 저장되는 대상자DB(351)와, 대상자별 보호자의 연락정보가 저장되는 보호자DB(352)와, 질환별 치료 및 상태정보와 신체의 상황별 바이탈 측정정보가 빅데이터화된 정보DB(353)와, 대상자별 일간 이동 경로가 누적 저장되는 위치정보DB(353)가 포함된다.
여기서, 정보DB(353)는 각 질환에 따른 바이탈 측정 데이터와 투약 및 처방관련 빅데이터(BIG DATA)가 저장된다. 아울러, 정보DB(353)는 운동량과 바이탈 측정정보와 환경측정정보가 상호 맵핑되어 대상자의 현재 상태를 추론할 수 있는 대상자의 상태를 추론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를 포함한다.
서버제어부(310)는 서버통신부(320)를 통하여 제2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위치정보DB(353)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서버제어부(310)는 제2단말(200)의 위치정보를 강제로 활성화시킴도 가능하다.
또한, 서버제어부(310)는 바이탈 처리부(320)에서 생성된 패턴과 정보맵핑부(340)의 맵핑 결과에 따라 제2단말(200)과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을 선택적으로 호출한다. 예를 들면, 서버제어부(310)는 정보맵핑부(340)의 정보맵핑결과가 현재 대상자가 의식불명이거나, 호흡곤란, 또는 제2단말(200)과의 통신두절, 제1단말(100)의 분리, 유해 가스 또는 미세먼지가 감지되면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을 호출한다.
또는, 서버제어부(310)는 대상자가 전과자일 경우에 정보맵핑부(340)의 결과값과 이동패턴 및 바이탈 패턴을 비교하여 호흡과 운동량, 주변 밝기와, 위치정보를 통하여 대상자의 패턴과 현재 다른 위치나 바이탈 정보가 측정되면 기관단말(600)(예를 들면, 관리공무원, 현재 위치에 근접한 지구대)로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또는, 서버제어부(310)는 제2단말(200)에 음성메세지를 송신하여 대상자에게 현재 상태를 묻는 확인메세지를 출력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을 호출할 수 있다.
비상검출단말(500)은 예를 들면, 적외선 카메라 또는 CCTV와 무선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일체화된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카메라는 거리나 골목 및 도로를 촬영하던중에 제1단말(100)로부터 발광되는 적외광신호가 확인되면, 기관단말(600)에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기관단말(600)은 순찰차등을 해당 위치로 급파하여 대상자를 수색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무선수신기는, 예를 들면, RF 무선단말기로서 설정된 지역별로 분산 설치되어 설정된 범위 이내에 높인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기관단말(600) 또는 서버(300)로 비상호출신호의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비상검출단말(500)은 적외선카메라와 CCTV 및 무선수신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지역별로 다 수개가 분산 설치될 수 있다.
기관단말(600)은 정부 및 공공기관(예를 들면, 검찰, 경찰서, 소방서, 병원, 응급센터, 동사무소, 군부대)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관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대상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S100 단계와, 대상자의 위치 및 현재 상태를 감시하는 S200 단계와,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에 따라 경보 및 수색하는 S300단계를 포함한다.
S100 단계는 서버(300)에서 제1단말(100)의 바이탈, 운동량 및 환경측정신호를 통하여 건강을 관리하고, 결과를 보호자 단말에만 공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서버(300)는 대상자가 독거노인 및 질환자 일 경우에는 보호자 단말(400)에만 공개하고 대상자가 전과자일 경우에는 기관단말(600)에서 지정된 단말에게만 정보를 공개한다.
위와 같은 S100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S100 단계를 상세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단말(100)에서 바이탈 측정정보를 측정하는 S111 단계와, 제1단말(100)에서 결재 요청하는 S112단계와, 제1단말(100)에서 주변 환경의 오염도, 먼지, 연기 및 가스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을 측정하는 S113단계로 이루어진 제1단말(100)의 구동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S100 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입력된 투약기록을 저장하는 S121단계와, 제1단말(100)의 바이탈 측정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하는 S122 단계와, 제1단말(100)의 결재정보를 전송하는 S123단계와, 제1단말(100)의 환경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서버(300)로 송신하는 S124 단계와, 서버(300)로부터 음성메세지를 수신 후 그후 결과를 송신하는 S125 단계를 구비하는 제2단말(200) 구동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S100 단계는 서버(300)에서 제2단말(200)로부터 바이탈, 오염도, 운동량 정보를수신하는 S131단계와, 수신된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50)의 빅데이터를 맵핑하여 현재 대상자 상태를 추론하는 S132단계와, 대상자 상태가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S133단계와, S133단계에서 대상자의 이상이 의심스러우면 확인메세지를 요청하는 S134단계와, 제2단말(200)로부터 메세지에 대한 회신 여부를 판단하는 S135단계와, 응급경보를 발령하고 기관단말(600) 또는 보호자 단말(400)에 송신하는 S136단계를 포함한다.
S111단계는 제1단말(100)에서 제1제어부(110)가 바이탈 측정모듈(121) 및 운동량 측정모듈(122)을 구동시켜 대상자의 혈압과, 맥박, 체온과, 운동량등을 감지하여 제2단말(2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S112단계는 제1단말(100)에서 제1제어부(110)가 결재부(170)를 통하여 결재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제2단말(200)에 결재부(170)에서 발생된 결재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단말(100)은 대상단말(예를 들면, 버스 단말)과의 접촉에 의해 결재요청신호가 발생되면, 제1통신부(160)를 통하여 해당 결재정보를 제2단말(200)로 송신한다.
S113 단계는 제1단말(100)에서 제1제어부(110)가 오염도 측정모듈(123)을 구동시켜 주변 먼지나 유해 가스 여부를 감지하여 제2단말(2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또는 제1단말(100)은 조광 측정모듈(124)을 구동시켜 현재 대상자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여 제1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S111 단계 내지 S113 단계는 상기와 같이 제1제어부(110)가 임의대로 측정부(120) 및 결재부(170)를 제어하여 진행될 수 있다. 또는, S111 단계와 S113단계는 제2단말(200)의 요청이 수신되었을 경우에도 진행이 가능하다.
S121 단계는 제2제어부(210)가 제2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입력되는 투약기록을 기록부(27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투약기록은 대상자가 수동으로 제2단말(200)의 제2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입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투약기록은 설정된 시간주기에 따라 서버(300)로 송신될 수 있다.
S122 단계를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 신호를 서버(3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S123 단계는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결재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S124 단계는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환경측정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환경측정신호는 대상자 주변의 미세먼지, 가스, 연기 및 조광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탈 및 환경측정신호는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진행될 수있다.
S131 단계는 서버(300)에서 제2단말(200)로부터 바이탈 측정신호, 운동량 측정신호 및 환경측정신호와, 결재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S132 단계는 서버(300)가 제2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 및 환경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정보DB(353)에 포함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재 대상자의 신체상태 및 주변 환경을 추론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S131 단계 및 S132 단계에서 수집된 대상자의 바이탈, 환경 및 운동량 측정 정보와 빅데이터를 통하여 추론된 대상자의 상태 정보는 대상자별로 설정된 보호자 또는 기관단말(600)에서만 열람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대상자의 바이탈 측정정보는 주기적으로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로 송신되도로 설정된다.
S133 단계는 서버(300)가 S132 단계에서 추론된 결과와, 이전에 누적된 대상자의 바이탈 패턴, 운동량 패턴, 이동패턴 및 환경패턴과 비교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단계이다. 서버제어부(310)는 정보DB(353)에 저장된 대상자의 질환별 증상에 따른 바이탈 항목과 현재 환자의 바이탈 측정정보를 비교하여 대상자의 상태를 추론한다. 또한, 서버제어부(310)는 대상자의 이전 바이탈 패턴과 추론된 결과를 비교하여 현재 대상자의 증상이 변화가 있거나 사건 또는 사고로 인하여 의식불명이나 상처로 인하여 바이탈 측정정보가 악화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S134 단계는 서버(300)가 S133단계에서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이 되면, 제2단말(200)에 응급상황을 묻는 음성 또는 문자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S125 단계는 서버(300)로부터 이상 여부를 묻는 문자 또는 음성메세지를 제2디스플레이(230)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단말(200)은 제2디스플레이(230)에 출력함과 동시에 제1단말(100)에 해당 음성 또는 문자메세지를 송신한다.
따라서, 제2단말(200)은 제1단말(100)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되거나, 제2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서버(300)에 확인신호를 송신한다.
또는 제2단말(200)은 제2디스플레이(230) 또는 제1단말(100)로부터 설정된 시간동안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그 결과신호를 서버(300)로 송신한다.
이는 대상자가 의식불명상태일 경우에 제1단말(100)과 제2단말(200)의 문자 수신 음성 및 발광신호를 확인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자동으로 응급상황의 발생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는, 대상자가 의식불명은 아니지만, 음성통화로서 자신의 의사를 밝히지 못할 경우에는 제1단말(100)의 제1디스플레이(140)와 제2단말(200)의 제2디스플레이(230)중 어느 하나를 간단히 터치할 경우에도 응급상황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단말(200)은 대상자가 '이상상황입니까?'라는 문자메세지의 송신 후' 아니오'라는 메뉴가 정확히 선택된 경우를 빼고 나머지 무응답이나 제1디스플레이(140)와 제2디스플레이(230)의 터치에 따른 신호를 모두 이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간주하여 응급상황신호를 서버(300)로 송신한다.
S135 단계는 제2단말(200)로부터 회신이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서버(300)는 상술한 S125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응급상황 신호가 수신되면, 보호자 단말 또는 기관단말(600)에 응급경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은 대상자의 바이탈 및 운동정보를 상시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통하여 대상자의 현재 신체 상태와, 증상의 호전 또는 악화 여부를 상시 측정하여 보호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거노인과 같이 혼자사는 환자들의 경우에 상시 모니터링을 통하여 응급상황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신속한 전파가 가능하다.
S200 단계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7은 대상자의 제1단말(100)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이며, 도 8은 대상자의 위치정보와 바이탈 정보 및 환경정보를 통하여 대상자의 범죄 또는 신체상의 상해로 인한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제1단말(100)의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S200 단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200 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설정된 주기별로 제1단말(100)을 호출하는 S211 단계와, 제1단말(100)에서 바이탈을 측정하는 212단계와, 제1단말(100)로부터 바이탈정보의 수신여부를 통하여 착용여부를 판단하는 S213단계와, S213 단계에서 미착용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시간 주기로서 미착용을 경보하는 S214단계와, 설정된 시간내에 착용 되는 지를 판단하는 S215단계와, 설정시간동안 착용되지 않으면 경보를 발령하는 S216 단계와, 제2다말의 경보를 수신하여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에 경보를 송신하는 S217단계를 포함한다.
S211 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설정된 주기별로 제1단말(100)을 호출하는 단계이다. 제2단말(200)은 설정된 시간주기별로 제1단말(100)을 호출하여 바이탈 측정신호, 운동량 측정신호 및 환경측정신호를 요청한다.
S212 단계는 제1단말(100)에서 제2단말(200)의 호출을 수신하여 바이탈 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 및 환경측정신호를 제2단말(2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S213 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확인하여 제1단말(100)의 착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대상자가 샤워를 위하여 제1단말(100)의 착용을 해제한다면, 제1단말(100)은 대상자의 바이탈 및 운동량의 측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1단말(100)은 바이탈 측정 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를 '0'으로서 송신한다. 따라서, 제2단말(200)은 제1단말(100)이 미착용 상태인것으로 판단한다.
S214 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제1단말(100)의 제1디스플레이(140)와, 제2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미착용을 경보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단말(200)은 미착용을 설정된 시간주기별로 미착용을 경보한다.
S215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제1단말(100)의 착용이 이루어지지 않는지를 판단한다.
S216단계는 제2단말(200)에서 S215단계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제1단말(100)로부터 바이탈 측정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단말(100)이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서버(300)에 경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S217단계는 서버(300)에서 제2단말(200)의 경보를 수신하여 기관단말(600) 또는 보호자 단말(4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에서 S200 단계의 제1실시예는 대상자가 제1단말(100)을 일부러 착용하지 않은 경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S200 단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200 단계는 전과자 또는 정신질환자를 상시 감시 및 관리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하여 S200 단계는 제1단말(100)로부터 바이탈정보를 측정하는 S241 단계와, 주변 환경을 측정하는 S242 단계와, 제2단말(200)에서 서버(300)의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지피에스(GPS)(220)를 활성화시키는 S251 단계와,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S242 단계와, 제1단말(100)의 바이탈 및 환경정보를 송신하는 S25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300)는 제2단말(200)에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요청하는 S261단계와, 제2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S262 단계와, 제2단말(200)로부터 바이탈 및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S263단계와, 수신된 바이탈 및 환경정보를 빅데이터에 맵핑하여 현재 대상자의 상태를 추론하는 S263 단계와, S263단계에서 도출된 추론과 이전 패턴을 비교하여 대상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S264 단계와, 이상이 판단되면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에 경보를 송신하는 S265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제1단말(100)은 S241단계와 S242 단계를 통하여 대상자의 바이탈 측정 및 환경측정신호를 제2단말(200)에 송신한다.
제2단말(200)의 S251 단계는 S261 단계에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요청신호에 따라서 지피에스(GPS)(220)를 강제로 활성화시키는 단계이다. 제2제어부(210)는 서버(300)의 위치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지피에스(GPS)(220)를 활성화시켜 현재 위치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한다.
S262 단계는 서버(300)가 제2단말(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2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정보DB(353)에 각 대상자별로 저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대상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는 대상자의 날짜 및 시간대별로 이동경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버제어부(310)는 바이탈 처리부(330)를 제어하여 대상자(제2단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이동경로 패턴을 누적 및 생성한다.
S263 단계는 제2단말(200)로부터 대상자의 바이탈 측정 신호와 환경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대상자별로 설정된 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테이블을 생성하여 대상자DB(351)에 저장하고, 각 대상자별로 바이탈 패턴과 환경 패턴을 누적하여 생성한다. 또한, 서버(300)는 정보맵핑부를 구동시켜 보DB(353)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통하여 현재 대상자의 상태를 추론하는 단계이다.
즉, 서버(300)는 대상자의 바이탈 패턴, 이동패턴 및 환경 패턴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50)화하고, 빅데이터를 통하여 대상자의 현재 상태(예를 들면, 도보, 뜀박질, 수면, 휴식, 의식불명, 부상)을 추론하여 이전 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
S264 단계는 서버제어부(310)가 추론된 결과를 통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대상자의 이전의 이동패턴과 다른 위치로 확인되거나, 맥박, 체온 및 혈압등의 바이탈 패턴과 다른 바이탈 측정신호가 확인되거나, 운동중과 정지가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범죄 패턴(정보DB에 저장된 범죄행동패턴)에 일치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로는 서버(300)는 제2단말(200) 또는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를 강제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대상자가 이동중에 의식불명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을 경우에 실행될 수 잇다.
예를 들면, 제2단말(200)은 서버(300)의 제어에 의하여 음성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 신호(예를 들면, 음성메세지, 또는 경보벨소리)를 출력한다. 또는 서버(300)는 환경측정신호를 통하여 주변의 조광가 적은 경우에는 제2단말(200)의 제2디스플레이(230) 또는 제1단말(100)의 제1디스플레이(140)를 통하여 발광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강제신호의 출력은 주변의 사람들이나 수색중인 기관원들에게 대상자의 위치나 상황을 알리기 위함이다.
S265단계는 서버제어부(310)가 정신질환자들의 이상패턴과, 범죄자들의 패턴이나, 환자들의 사고 상황에 해당되는 패턴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보호자 단말 또는 기관단말(600)에 제2단말(200)의 위치정보와 함께 경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에서 S200 단계는 전과자의 위치나 바이탈정보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범죄의 직전 상황을 감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S200 단계는 대상자가 정신질환자, 또는 부상등 신체상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정확한 위치정보와 함께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에 제공할 수 있다.
S300 단계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300 단계는 정신질환자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S300 단계는 보호자 단말(400) 또는 기관단말(600)로부터 비상호출을 요청하는 S311단계와, 보호자 단말(400)로부터 비상호출 요청이 수신되면 제2단말(200)에 비상호출 및 위치정보를 활성화시키는 S312단계와, 제2단말(200)에서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를 활성화시키는 S313단계와, 제1단말(100)에서 비상전원을 이용하여 비상호출신호를 출력하는 S314단계와, 비상검출단말(500)에서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S315단계와, 서버(300)에서 비상검출단말(500)로부터 수신된 제2단말(2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S317단계와, 보호자 단말(400)에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S318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S300 단계는 제2단말(200)의 GPS에 의한 위치정보와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의 조합에 의하여 대상자를 신속하게 수색할 수 있고, 또는 제2단말(200)의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위치정보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즉, S311단계는 보호자 단말 또는 기관단말(600)에서 서버(300)로 비상호출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대상자가 치매 환자일경우에 집을 나간뒤에 귀가하지 않았을 경우에 보호자들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서버(300)에 대상자의 비상호출을 요청한다.
S312단계는 서버(300)가 보호자 단말(400)의 비상호출이 수신되면, 대상자의 제2단말(200)에 위치정보를 강제 활성화시키고, 제1단말(100)의 비상출력부(150)를 강제로 활성화시키도록 요청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제2단말(200)은 자신의 지피에스(GPS)(220)를 활성화시키고, 제1단말(100)로부터 비상호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활성화시킨다. 또는 제2단말(200)은 지피에스(GPS)(220)를 활성화시킨 이후에 서버(300)에 위치정보를 송신하나, 제2전원부(250)의 전원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일경우에 제1단말(100)의 비상출력부(150)를 활성화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단말(200)에서 전원이 모두 방전될 경우에 제1단말(100)의 비상호출신호로서 대상자를 수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단말(200)은 제2전원부(250)에 충전된 전원레벨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라면, 제1단말(100)의 비상출력부(150)를 활성화시킨다.
또는, 제2단말(200)은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지피에스(GPS)(220)와 비상출력부(150)를 동시에 구동시킴도 가능하다.
S313단계는 제1단말(100)에서 제2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비상출력부(150)를 구동시켜 적외광, 가시광 및 무선신호중 적어도 하나로서 비상호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S314단계는 제1단말(100)에서 비상배터리(132)의 전원으로 비상출력부(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비상배터리(132)는 비상출력부(150)의 구동시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제1제어부(110)는 제2단말(200)로부터 비상출력부(150)의 활성화 명령이 수신되면, 비상배터리(132)에 저장된 전원으로 공급시킨다.
또는 제1제어부(110)는 주배터리(131)의 전원이 모두 방전된 이후에 비상배터리(132)의 전원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함도 가능하다. 다만, 비상배터리(132)는 비상출력부(150)의 구동시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한정된다.
S315 단계는 비상검출단말(500)에서 제1단말(100)의 비상출력부(150)에서 출력된 비상호출신호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비상검출단말(500)은 적외선 카메라로서 적외선 영상에서 적외광이 설정된 주기별로 발광된 제1단말(100)을 착용한 대상자의 영상이 촬영되면,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됨을 경보한다.
또는 비상검출단말(500)은 CCTV로서 촬영된 영상에서 가시광이 점멸되는 제1단말(100)을 착용한 대상자가 촬영될 경우에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됨을 경보한다.
이때, 비상검출단말(500)은 적외광 또는 가시광으로 발광되는 제1단말(100)이 확인되면, 기관단말(600)로 송신한다. 기관단말(600)은 해당 영상을 확인하여 서버(300)를 거쳐 보호자 단말로 송신하여 대상자를 확인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는, 기관단말(600)은 비상검출단말(500)의 영상을 확인한 순간 해당위치로 순찰자를 출동시켜 대상자를 수색하도록 하여 보호자 단말의 신원확인 이전이라도 신속한 대응을 진행한다.
또는, 비상검출단말(500)은 무선수신단말(예를 들면, 비콘)로서 비상출력부(150)에서 수신된 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상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비상호출신호의 수신을 경보하고 서버(3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대상자와 보호자 단말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정보이다.
S316 단계는 서버(300)는 비상검출단말(500)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대상자 및 보호자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서버(300)는 해당 비상검출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S317단계는 서버(300)가 보호자 단말(400)에 대상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보호자 단말(400)은 수신된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지역을 수색하여 대상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인 생활자의 건강이나, 장기질환자, 노인성질환자등을 원격으로 관리하여 응급상황시에 신속한 구원이 가능하고, 재범의 우려가 있는 전과자를 감시하여 사전에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제1단말 110 : 제1제어부
120 : 측정부 121 : 바이탈 측정모듈
122 : 운동량 측정모듈 123 : 오염도 측정모듈
124 : 조광 측정모듈 130 : 제1전원부
131 : 주배터리 132 : 비상배터리
140 : 제1디스플레이 150 : 비상출력부
160 : 제1통신부 170 : 결재부
200 : 제2단말 210 : 제2제어부
220 : 지피에스(GPS) 230 : 제2디스플레이
240 : 제2통신부 250 : 제2전원부
260 : 음성저장부 270 : 기록부
300 : 서버 310 : 서버제어부
320 : 서버통신부 330 : 바이탈 처리부
340 : 정보맵핑부 350 : 데이터베이스
351 : 대상자DB 352 : 보호자DB
353 : 정보DB 354 :위치정보DB
400 :보호자 단말 500 : 비상검출단말
600 : 기관단말

Claims (8)

  1.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대상자의 혈압, 체온, 맥박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바이탈 측정신호와 대상자의 운동량을 감지한 운동량 측정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단말과;
    상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 및 운동량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제2단말과;
    상기 제2단말로부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 운동량 측정신호 및 위치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대상자의 신체상의 이상 여부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각 제2단말별로 설정된 보호자 단말또는 기관단말별로 상기 제2단말별로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대상자의 바이탈 및 운동량과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대상자의 신체 정보를 수신하는 보호자 단말과;
    상기 제1단말로부터 출력된 비상호출신호를 감지하는 비상검출단말; 및
    긴급출동 및 수색신호를 접수하는 기관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말은,
    대상자의 맥박, 체온, 혈압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바이탈 측정모듈; 주변 환경의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가스 및 연기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오염도 측정모듈; 대상자의 걸음 숫자와 시간, 거리를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모듈; 및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광측정모듈;을 구비하는 측정부와;
    상기 제2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2단말의 호출을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와;
    카드사, 은행사 및 통신사로부터 발행되어 금융 단말과 태깅 후 결재정보를 생성하는 결재부; 및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하여 제2단말로부터 측정신호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측정부에서 출력된 측정신호와 상기 결재부의 결재신호를 제1통신부를 통하여 제2단말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단말은,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지피에스(GPS)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세지와 상기 제1단말과의 분리를 경고하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와;
    상기 서버 및 제1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와;
    음성이 저장되는 음성저장부와;
    투약기록 및 운동량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기록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입력되는 선택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기록부에 투약 여부를 기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통신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시간주기별로 상기 제1단말을 호출하여 대상자가 상기 제1단말의 미착용시에 이를 경보하는 메세지를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상기 제1단말의 제1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경고 메세지, 음성, 발광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며,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 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 및 주변 환경측정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서버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메세지 또는 상기 음성저장부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출력하고, 입력된 확인신호를 상기 기록부에 기록하거나 외부에 송신하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서 상기 제1단말에 바이탈 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여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를 통하여 미착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서버에 경보를 송신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통신부와;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를 설정된 데이터로 변환시켜 각 항목별 테이블을 생성하고, 환경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를 데이터로 변환시켜 일자별로 테이블을 생성하고, 전체 기간별 통계값을 산출하여 바이탈 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 및 환경측정신호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여 대상자의 패턴을 생성하는 바이탈 처리부와;
    상기 바이탈 처리부의 바이탈 측정 데이터를 의료정보와 맵핑시켜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정보맵핑부와;
    대상자정보와 의료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되, 대상자의 병명이나 주소 및 처방전이 저장되는 대상자DB와, 대상자별 보호자의 연락정보가 저장되는 보호자DB와, 질환별 치료 및 상태정보와 신체의 상황별 바이탈 측정정보가 빅데이터화된 정보DB와, 대상자별 일간 이동 경로가 누적 저장되는 위치정보DB가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단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위치정보DB에 저장하고, 상기 바이탈 처리부에서 생성된 패턴과 상기 정보맵핑부의 맵핑 결과에 따라 상기 2단말 또는 보호자 단말 또는 기관단말을 선택적으로 호출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를 통하여 이상여부가 감지되면, 제2단말에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메세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2단말은 제2디스플레이에서 이상여부를 묻는 메세지를 출력후, 이상없음을 의미하는 메뉴가 선택되면 이상없음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서 이상없음을 의미하는 메뉴외 다른 영역이 터치되거나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이 없으면 이상 발생 경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5. 제 1 항의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된 제1단말을 통하여 대상자의 혈압, 맥박, 체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탈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대상자의 바이탈 측정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대상자의 건강관리와 부상 및 이상 여부를 관리하는 서버의 a)단계와;
    상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정보와 제2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대상자의위치정보 및 바이탈 측정정보를 통하여 대상자의 현재 상태와 위치를 실시간 감지하는 서버의 b)단계; 및
    보호자단말 또는 기관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단말의 지피에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기관단말 또는 보호자단말에 송신하는 서버의 c)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a)단계는,
    입력된 투약 기록을 저장하고, 상기 제1단말의 바이탈 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투약기록을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a-1)단계와;
    상기 제2단말에서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와 운동량 측정신호 및 투약기록을 상기 서버가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에 저장된 질환별 증상에 따른 바이탈 항목과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를 비교하여 대상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a-2)단계와;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대상자가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이 되면, 상기 제2단말에 응급상황을 묻는 음성 또는 문자메세지를 송신하는 a-3)단계와;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이상 여부를 묻는 문자 또는 음성메세지를 제2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그 결과를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제2단말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세지와 함께 이상 여부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2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이 없거나, 이상없음을 선택하는 메뉴외에 상기 제2디스플레이의 다른 영역이 선택되면 이상신호를 송신하는 a-4)단계; 및
    상기 제2단말로부터 이상여부에 대한 회신을 수신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보호자 단말에 경보를 발령하는 a-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2단말은,
    설정된 주기별로 상기 제1단말을 호출하여 바이탈 측정신호를 요청하는 b-1)단계와;
    상기 제1단말로부터 바이탈 측정신호를 수신하는 b-2)단계와;
    상기 b-2단계에서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단말의 착용여부를 판단하는 b-3)단계와;
    상기 b-3)단계에서 제1단말이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2디스플레이레 미착용을 경보하고,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상기 제1단말에 바이탈 측정신호를 요청하는 b-4)단계; 및
    상기 b-4)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단말로부터 바이탈 측정신호를 순차수신하여 미착용 상태가 지속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제1단말의 미착용을 경보하는 b-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2단말에 지피에스(GPS)를 활성화시키고,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단말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b-1-1)단계와;
    상기 제2단말로부터 바이탈 측정신호와, 주변의 조도 및 먼지 오염도와 유해가스, 연기 발생중 적어도 하나가 환경 측정신호를 수신하는 b-1-2)단계와;
    상기 제2단말에서 수신된 바이탈 측정신호 및 환경 측정신호를 빅데이터와 맵핑시켜 현재 상태를 추론하여 이전 바이탈 측정 패턴 및 이전 환경 측정패턴을 비교하고, 누적된 이동경로가 포함된 이동패턴과 현재 이동경로를 비교하는 b-1-3)단계; 및
    상기 b-1-3)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대상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보호자 단말과 기관단말중 적어도 하나에 경보를 송신하는 b-1-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95046A 2016-07-26 2016-07-26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751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046A KR101751274B1 (ko) 2016-07-26 2016-07-26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046A KR101751274B1 (ko) 2016-07-26 2016-07-26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274B1 true KR101751274B1 (ko) 2017-06-29

Family

ID=5928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046A KR101751274B1 (ko) 2016-07-26 2016-07-26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27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248A (ko) * 2017-06-30 2019-01-09 이길헌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KR101940789B1 (ko) * 2017-11-17 2019-01-22 주식회사 비알네트콤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KR20190014861A (ko) * 2017-08-04 2019-0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의 이탈을 감지하는 시스템
WO2019088393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아이디엘 활동 강도 기반의 활동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6214A (ko) * 2018-03-08 2019-09-18 주식회사 엘큐브웍스 사용자 위기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061983B1 (ko) * 2018-10-02 2020-01-02 주식회사 효일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KR20200035844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비앤비트리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
KR102173830B1 (ko) * 2020-01-17 2020-11-03 주식회사 루터스시스템 공기 정화 디바이스로부터 3차원 맵핑된 구조 신호를 이용하는 화재 구조 시스템
KR20200142380A (ko) * 2019-06-12 2020-12-22 이오플로우(주)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248A (ko) * 2017-06-30 2019-01-09 이길헌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KR102010022B1 (ko) * 2017-06-30 2019-08-12 이길헌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KR20190014861A (ko) * 2017-08-04 2019-0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의 이탈을 감지하는 시스템
KR102497022B1 (ko) 2017-08-04 2023-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의 이탈을 감지하는 시스템
WO2019088393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아이디엘 활동 강도 기반의 활동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40789B1 (ko) * 2017-11-17 2019-01-22 주식회사 비알네트콤 자기 주도형 생활환경 안전진단 장치
KR102047341B1 (ko) * 2018-03-08 2019-11-21 주식회사 비원 사용자 위기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6214A (ko) * 2018-03-08 2019-09-18 주식회사 엘큐브웍스 사용자 위기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5844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비앤비트리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
KR102099373B1 (ko) * 2018-09-27 2020-05-15 주식회사 비앤비트리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
KR102061983B1 (ko) * 2018-10-02 2020-01-02 주식회사 효일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여 운동기기를 추천하는 시스템
KR20200142380A (ko) * 2019-06-12 2020-12-22 이오플로우(주)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WO2020251251A3 (ko) * 2019-06-12 2021-05-20 이오플로우(주)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KR102359279B1 (ko) * 2019-06-12 2022-02-08 이오플로우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 후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KR102173830B1 (ko) * 2020-01-17 2020-11-03 주식회사 루터스시스템 공기 정화 디바이스로부터 3차원 맵핑된 구조 신호를 이용하는 화재 구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274B1 (ko)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US78938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ealth care workers and patients
AU2006337971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ygiene standards compliance
US7450024B2 (en) Article locating and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US7701332B2 (en) Remote device for a monitoring system
RU26382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направления выбранному сотруднику сигнала вызова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JP4575133B2 (ja) センシ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20060630A1 (en) System for monitoring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or related dementia
CN109310524A (zh) 具有主动避免声音危险的位置和声音监测传感器的听力防护器
CN102525436B (zh) 一种佩带于额头的微型智能健康监护系统及其监护方法
US20090160643A1 (en) Personal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with usage monitoring
WO2002044865A9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tracking related u.s. patent applications
BR112020008458A2 (pt) sistema e método para supervisionar uma pessoa, e, sistema e método para comunicação ativada entre um objeto e um leitor.
WO20090970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ealth care workers and patients
WO2018037074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US20130321145A1 (en) Tracpoint™ rules-based telematics patient care location system
US20210375121A1 (en) Safety monitoring system
CN115516535A (zh) 追踪带监测系统、追踪带监测方法和追踪带监测程序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US11568728B2 (en) Security alarm system for newborns
CN113940668B (zh) 一种可穿戴式运动状态检测识别系统
TW201721599A (zh) 目標安全防護系統
WO2019158954A1 (en) A wearable alarm device and a method of use thereof
KR20200048938A (ko)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94906B1 (ko) 헬프트리거를 소지한 실버 세대를 위한 개인응급 응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