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373B1 -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373B1
KR102099373B1 KR1020190095762A KR20190095762A KR102099373B1 KR 102099373 B1 KR102099373 B1 KR 102099373B1 KR 1020190095762 A KR1020190095762 A KR 1020190095762A KR 20190095762 A KR20190095762 A KR 20190095762A KR 102099373 B1 KR102099373 B1 KR 102099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smart watch
digital radio
bio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844A (ko
Inventor
박수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비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비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비트리
Publication of KR2020003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근로자나 노약자들이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손목시계 타입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하여 건강상태나 사고유무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을 제시하며,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신체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고, 외부와의 무전을 허용하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 및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신체사고를 판단하여 사고유무에 따른 대응 이벤트를 수행하며,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신체사고를 예측하여 경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HEALT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WATCH TYPE DIGITAL WALKIE-TALKI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로자나 노약자들이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손목시계 타입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하여 건강상태나 사고유무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무전기는 사용자가 손에 들어서 휴대하거나 옷의 포켓 등에 휴대하는 형태여서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무전기를 어깨에 걸거나 허리 벨트에 걸어서 사용하였으나 작업현장에서는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작업현장에서는 근로자의 안전을 저해하는 여러 요소들이 산재해 있으며, 최근 하절기의 급격한 이상 고온현상으로 인하여 근로자들이 온열질환에 의한 안전사고에 노출되고 있다.
그러나 작업현장에서는 근로자들의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고령화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독거노인의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독거노인의 고독사 또한 함께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노약자들의 고독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노약자들의 건강정보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데, 인력 및 장비의 부족으로 인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9645호에 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체온 변화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장치 및 방법'이 있다.
선행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이어폰을 통해 체온 변화를 감지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어폰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근로자나 노약자에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위급상황 발생 시 후속조치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서버에게 제공함으로써 신체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신체사고의 발생 시 즉각적으로 경고나 신고와 같은 대응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면서 사고유형에 따른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축함으로써 신체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신체사고의 발생 시 사고발생을 관련기관에 자동을 신고하면서 사고자의 위치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후속조치를 도모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신체사고의 발생 시 해당 사고유형에 대응하는 대응매뉴얼을 사고자 및 관리자에 안내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신체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고, 외부와의 무전을 허용하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 및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신체사고를 판단하여 사고유무에 따른 대응 이벤트를 수행하며,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신체사고를 예측하여 경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는, 손목에 탈착 가능하게 착용되면서 GPS센서가 내장되어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며,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무전을 위한 스피커 및 마이크가 내장되면서 물리적인 제어를 통해 무전을 제어하는 무전버튼이 구비되는 웨어러블기기; 상기 웨어러블기기에 탑재되어 상기 관리서버를 포함한 외부장치와 무선통신 및 무전을 허용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에 구비되어 신체의 체온 및 맥박을 포함한 상기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인가하는 생체신호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는, 상기 웨어러블기기에 구비되어 물리적인 제어를 통해 응급신호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응급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응급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부에 인가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체사고를 판단하면서 신체사고의 발생 시 경고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인가하는 사고판단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 인가된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구축하고,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신체사고 발생확률을 도출하여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제공하는 사고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판단부는, 상기 모니터링부로 인가된 상기 생체신호를 정상범위와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 및 관리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경고신호를 제공하는 경고부; 및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공공기관으로 사고발생을 신고하는 사고신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신고부는, 상기 공공기관으로 사고발생을 신고하면서,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의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와 함께 디지털맵에 상기 위치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판단부는,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대응매뉴얼을 도출하여 해당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 및 관리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제공하는 매뉴얼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신체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고 외부와의 무전을 허용하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 및 상기 스마트워치에서 인가되는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신체사고를 판단하거나 예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건강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가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인가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된 상기 생체신호를 정상범위의 생체신호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사용자 및 관리자의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각각 경고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공공기관으로 사고발생을 신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고발생 확률을 도출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각각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발생을 신고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공공기관으로 문자를 송신하여 사고발생을 신고하면서 상기 위치정보를 디지털 맵상에 표시하여 이미지파일 형태로 주소정보와 함께 공공기관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발생 확률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된 상기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저장하면서 기 발생한 신체사고에 대한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사고유형별로 빅데이터로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된 상기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신체사고의 발생확률 및 사고유형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관리방법은,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대응매뉴얼을 도출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각각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구성하는 웨어러블기기가 손목에 착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무전을 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므로 신체사고의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웨어러블기기에 응급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응급신호를 제공하므로 신체정보와 관련 없는 위급상황 시에도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웨어러블기기에서 제공되는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축하여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신체사고의 확률을 제공하므로 신체사고를 미연에 대비하고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신체사고의 발생 시 사고자의 위치정보를 주고정보와 함께 디지털맵 상에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하므로 신고기관에 의해 신속한 대응조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신체사고의 발생 시 관리서버가 해당 사고 유형에 대응하는 대응매뉴얼을 사고자 및 관리자에 안내하므로 사고자가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위치 디지털무전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위치 디지털무전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10)은 크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 (100) 및 관리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후술되는 무선통신을 통해 관리서버(200)나 다른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 또는 공공기관에 제공하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후술되는 관리서버(200)로 제공하는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는 근로자나 노약자와 갖은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에게도 착용되어 서로 무선통신 및 무전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기기(110), 무선통신모듈(120) 및 생체신호감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기기(110)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요소로, 예컨대 손목 시계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 및 관리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기기(110)는 미도시된 GPS센서가 내장되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후술되는 관리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기기와의 무전을 위한 스피커 및 마이크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기기(110)는 터치디스플레이(111)를 통해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무전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물리적으로 제어되는 무전버튼(112)과, 설정이나 기능선택을 위한 기능버튼(11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기기(110)는 사용자의 물리적인 제어를 통해 응급신호를 발생시켜 후술되는 관리서버(200)에 제공하는 응급버튼(11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웨어러블기기(110)는 응급버튼(115)을 통해 응급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생체신호에 의한 신체사고와 관련이 없는 위급 상황에도 대응조치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20)은 또 다른 웨어러블기기(110)나 후술되는 관리서버(200)와의 무선통신 및 공공기관과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웨어블기기(110)에 탑재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통신모듈(120)은 웨어러블기기(110)에 설치되는 DMR 디지털 무전기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방식인 DMR과 WiFi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DMR과 WiFi의 두 가지 통신모듈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와 관리자의 물리적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기준범위 안에 있는 사용자와 관리자가 디지털 무전기망을 이용하여 무전통신, 문자 송수신, GPS 위치정보 공유, 체온 측정 데이터, 맥박 측정 데이터 등을 송수신 할 수 있으며,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WiFi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수집정보를 관리자에게 보낼 수 있다.
이외에도, 무선통신모듈(120)은 저에너지블루투스(BLE), 블루투스(Bluetooth),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서버(200)를 포함한 외부장치와 무선통신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감지부(130)는 웨어러블기기(110)에 구비된 상태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무선통신모듈(120)을 통해 관리서버(200)에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생체신호감지부(130)는 예컨대 사용자의 체온, 맥박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심장박동 체크센서, 체온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웨어러블기기(11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200)는 생체신호감지부(130)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와 웨어러블기기(110)에서 인가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신체사고 여부를 판단하거나 신체사고를 예측하여 경고하며, 신체사고의 발생 시 대응 이벤트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관리서버(200)는 관리자의 컴퓨터나 테블릿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01), 모니터링부(210), 사고판단부(220) 및 사고예측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01)는 전술한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를 구성하는 무선통신모듈(120)과 통신하면서 생체신호감지부(130)에서 감지되는 생체신호와 웨어러블기기(1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10)는 통신부(201)를 통해 수신되는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고판단부(220)는 모니터링부(210)로 인가된 생체신호를 통해 신체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면서 신체사고 발생시 사고에 따른 경고신호, 관리자호출, 공공기관 신고와 같은 대응 이벤트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사고판단부(220)는 사전에 입력된 정상범위의 활력징후(Vital sign)를 벗어나는 비정상적인 생체신호가 수집될 경우, 즉시 관리자의 웨어러블기기(110)에 문자 및 경보음으로 알리면서 소방서 신고 등 신속한 후속조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고판단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부(221), 경고부(222), 사고신고부(223) 및 매뉴얼 안내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교부(221)는 모니터링부(210)로 인가된 생체신호를 정상범위의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경고부(222)는 비교부(221)에서 정상범위의 데이터와 비교된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 및 관리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로 경고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경고부(222)는 경고신호를 문자나 경고음 또는 경고램프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사고신고부(223)은 비교부(221)에서 정상범위의 데이터와 비교된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소방서나 병원과 같은 공공기관으로 사고발생을 신고할 수 있다.
이때, 사고신고부(223)은 공공기관으로 문자를 송신하여 신고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디지털맵 상에 표시하여 이미지파일 형태로 주소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매뉴얼안내부(224)는 신체사고의 발생 시 대응매뉴얼을 사용자 및 관리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매뉴얼안내부(224)는 비교부(221)에서 정상범위의 데이터와 비교된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사고유형의 대응매뉴얼을 도출할 수 있으며, 도출된 대응매뉴얼을 각각 사용자 및 관리자의 관리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고예측부(230)는 사고예측부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고를 예측하여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로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사고예측부(230)는 모니터링부(210)로 인가된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축하면서 기 발생한 신체사고에 대한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사고유형별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사고예측부(230)는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질병기록에 의한 데이터, 날씨나 작업환경 등의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예측부(230)는 구축된 빅데이터를 딥러닝(Deeplearning)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에서 인가된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신체사고의 발생확률 및 사고유형을 도출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로 제공함으로써 사고예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서로 간의 무전을 수행하면서 생체신호감지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관리서버(200)로 인가하고, GPS센서를 통한 위치정보를 함께 관리서버(200)로 인가하며, 관리서버(200)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에서 인가되는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수신한다(S100).
관리서버(200)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에서 인가되는 생체신호를 정상범위의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신체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한다(S200).
이때, 관리서버(200)는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신체사고의 발생으로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 및 관리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로 경고신호를 인가하고(S300), 해당 신체사고에 대응하는 대응매뉴얼을 해당 사용자 및 관리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로 송신한다(S400).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소방서나 병원과 같은 공공기관으로 사고발생을 송신하여 신고한다(S500).
이때, 관리서버(200)는 공공기관으로 문자를 송신하여 사고발생을 신고하면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디지털맵 상에 표시하여 이미지파일 형태로 주소정보와 함께 제공한다.
한편, 관리서버(200)는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수신된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신체사고의 발생확률을 도출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로 각각 송신한다(S600).
이때, 관리서버(200)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된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저장하면서 기 발생한 신체사고에 대한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가 사고유형별로 구축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된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신체사고의 발생확률 및 사고유형을 도출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로 각각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10) 및 건강관리방법은,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를 구성하는 웨어러블기기(110)가 손목에 착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무전을 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200)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므로 신체사고의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는 사용자의 생체신호와 위치정보를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관리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200)는 미도시된 카운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운팅부는 모니터링부(210)로 수신되는 생체신호와 위치정보의 수신시간을 카운팅하면서 생체신호와 위치정보가 설정된 수신주기를 도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카운팅부는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가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고의 발생으로 판단하여 전술한 경고부 및 사고신고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100)는 미도시된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는 웨어러블기기(110)에 마련되어 사용자 주변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후술되는 관리서버(200)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카메라는 신체사고의 발생 시 관리서버(200)의 경고부(210)에서 인가되는 경고신호에 의해 작동할 수 있으며, 경고신호가 수신될 경우 주변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200)는 신체사고의 발생시 경고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를 영상이나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00)는 사고신고부(223)를 통해 사고발생을 공공기관으로 신고하면서 카메라에 의한 영상이나 이미지를 공공기관에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100 :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
110 : 웨어러블기기
120 : 무선통신모듈
130 : 생체신호감지부
200 : 관리서버
201 : 통신부
210 : 모니터링부
220 : 사고판단부
221 : 비교부
222 : 경고부
223 : 사고신고부
224 : 매뉴얼안내부
230 : 사고예측부

Claims (11)

  1.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신체의 위치정보 및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고, 외부와의 무전을 허용하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신체사고를 판단하여 사고유무에 따른 대응 이벤트를 수행하며,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신체사고를 예측하여 경고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 구비되어 신체 주변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되는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부에 인가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체사고를 판단하면서 신체사고의 발생 시 경고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인가하는 사고판단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 인가된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구축하고,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신체사고 발생확률을 도출하여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제공하는 사고예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판단부는,
    상기 모니터링부로 인가된 상기 생체신호를 정상범위와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 및 관리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경고신호를 제공하는 경고부; 및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공공기관으로 사고발생을 신고하는 사고신고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고신고부는,
    상기 공공기관으로 사고발생을 신고하면서,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의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와 함께 디지털맵에 상기 위치정보를 표시하여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한 영상이나 이미지를 제공하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는,
    손목에 탈착 가능하게 착용되면서 GPS센서가 내장되어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며,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무전을 위한 스피커 및 마이크가 내장되면서 물리적인 제어를 통해 무전을 제어하는 무전버튼이 구비되는 웨어러블기기;
    상기 웨어러블기기에 탑재되어 상기 관리서버를 포함한 외부장치와 무선통신 및 무전을 허용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에 구비되어 신체의 체온 및 맥박을 포함한 상기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인가하는 생체신호감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는,
    상기 웨어러블기기에 구비되어 물리적인 제어를 통해 응급신호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응급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응급버튼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판단부는,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대응매뉴얼을 도출하여 해당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 및 관리자의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제공하는 매뉴얼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8. 신체에 착용된 상태로 신체의 위치정보 및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고 외부와의 무전을 허용하는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와, 상기 스마트워치에서 인가되는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신체사고를 판단하거나 예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 구비되어 신체 주변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건강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가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인가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된 상기 생체신호를 정상범위의 생체신호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사용자 및 관리자의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각각 경고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공공기관으로 사고발생을 신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생체신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고발생 확률을 도출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각각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고발생을 신고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공공기관으로 문자를 송신하여 사고발생을 신고하면서 상기 위치정보를 디지털 맵상에 표시하여 이미지파일 형태로 주소정보와 함께 공공기관으로 송신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한 영상이나 이미지를 제공하는 건강관리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발생 확률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된 상기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저장하면서 기 발생한 신체사고에 대한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사고유형별로 빅데이터로 구축하는 단계;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에서 인가된 상기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신체사고의 발생확률 및 사고유형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방법은,
    상기 생체신호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대응매뉴얼을 도출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의 상기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로 각각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KR1020190095762A 2018-09-27 2019-08-06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 KR102099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173 2018-09-27
KR20180115173 2018-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844A KR20200035844A (ko) 2020-04-06
KR102099373B1 true KR102099373B1 (ko) 2020-05-15

Family

ID=7028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762A KR102099373B1 (ko) 2018-09-27 2019-08-06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3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896B1 (ko) * 2013-10-07 2015-04-24 서민영 위급 상황 판별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101726138B1 (ko) * 2016-08-24 2017-04-12 주식회사 포스코 제철소내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소내 안전 관리 방법
KR101751274B1 (ko) * 2016-07-26 2017-06-29 성승주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896B1 (ko) * 2013-10-07 2015-04-24 서민영 위급 상황 판별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101751274B1 (ko) * 2016-07-26 2017-06-29 성승주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726138B1 (ko) * 2016-08-24 2017-04-12 주식회사 포스코 제철소내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철소내 안전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844A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925B1 (ko)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RU2712819C2 (ru) Стандарт медицинского браслета
KR102479162B1 (ko) 상태 반응형 표시 어셈블리 및 방법
KR101654609B1 (ko)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327540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US9047648B1 (en) Measurement, collection, reporting and processing of health condition data
US20160247378A1 (en) Monitoring dependent individuals
CA2989010C (en) Systems, methods and techniques for device pairing via a short-range pairing mechanism
CN104113618A (zh) 一种基于柔性屏幕的穿戴式监护设备
US20190228633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JP2016126440A (ja) サーバ、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80109371A (ko) 응급 구조구난 시스템
JP2018530083A (ja) アラームシステム
KR20140024712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용자 주변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15863B1 (ko) 전자 발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성범죄 예방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JP2019036071A (ja) ウェアラブル機器
KR101808351B1 (ko) 생체 신호 변화 측정 및 복수의 패스워드 설정을 통하여 위험 신호 전송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및 전송 방법
KR102553745B1 (ko)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266814B1 (ko) 긴급구조 시스템
KR102099373B1 (ko)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
JP7071375B2 (ja) 少なくとも1人のユーザーの体調をモニター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ユーザーの体調をモニターする方法
KR102240772B1 (ko)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67293B1 (ko)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70139260A (ko) 낙상 예방 장치,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TWI656502B (zh) 隨身安全照護方法、裝置及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