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293B1 -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293B1
KR101867293B1 KR1020170054053A KR20170054053A KR101867293B1 KR 101867293 B1 KR101867293 B1 KR 101867293B1 KR 1020170054053 A KR1020170054053 A KR 1020170054053A KR 20170054053 A KR20170054053 A KR 20170054053A KR 101867293 B1 KR101867293 B1 KR 101867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device
mobile terminal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준
윤석규
송기영
김재성
천홍석
천영석
이상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위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위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위니
Priority to KR102017005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 정보를 수집하고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사용 빈도수가 높은 모바일 단말장치의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서 건강관리 및 생체신호 변화 상태를 감시 및 알림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증진을 유도하고, 위험상태를 실시간으로 타인 혹은 주변인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험일 경우 즉각적인 응급대처를 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wearable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 정보를 수집하고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웨어러블 관련 기술로 헬스케어 시스템이라는 기술이 발달되고 있다. 헬스케어 시스템은 IT와 보건의료 서비스가 결합하여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건강관리 및 의료 서비스이며, 질명의 원격관리, 일반인의 건강 유지 및 향상을 서비스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보다 정확한 생체정보를 획득해야 할 뿐 더러, 사용자를 무구속 무자각 상태에서 생체정보를 획득 가능하도록 생체정보획득장치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 또는 착용해야 한다.
이와 같은 생체정보 획득장치 즉,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생체신호를 서버 혹은 메모리에 저장 또는 무선신호로 분석/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획득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진단 또는 파악하도록 한다.
종래의 기술로는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와 타 디바이스 간 통신을 통해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에서 획득한 생체 신호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응급상황을 감지될 수 있는 방법이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현시대의 기술이 발달되고 있는 만큼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서버상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를 분석/관리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70224호(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공개일자 2016년06월20일)
본 발명은 웨어러블 센서와 모바일 단말장치 간 무선 통신을 통해 생체 신호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통한 소셜 네트워크 간의 연동으로 사용자의 건강 증진 및 생체알고리즘 분석을 통한 위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위험상태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와 인접해 있는 타인에게 생체 신호 정보를 전송하여 위급상황시 응급 대체 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단말장치, 소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모바일 단말장치, 상기 웨어러블 단말장치 및 모바일 단말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광대역송수신모듈과, 사용자의 생체리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생체신호DB와,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DB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정보를 가공하는 통계모듈과, 상기 통계모듈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험 또는 정상 상태를 분석하는 위험인지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소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장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모바일 단말장치의 전자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소셜 서버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소셜 서버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제어부의 상태알림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웨어러블 단말장치는,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모바일 단말장치 및 소셜 서버와 무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따른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데이터는 심박수, 걸음수, 체온, 심전도, 맥박, 근전도, 혈압, 호흡, 혈류 중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가 수집된다.
상기 웨어러블 단말장치와 모바일 단말장치는 Wifi, UWB, Zigbee, Bluetooth, RFID, NFC 중 어느 하나의 무선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계모듈은, 웨어러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생체신호를 날짜, 시간, 위치 순으로 정렬하여 데이터화시키며, 일별, 주별, 월별에 따른 생체신호의 평균치값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인지 판단모듈은, 웨어러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통계모듈에 저장된 평균치값의 오차범위에 따른 정상, 황색경보, 적색경보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통계모듈에 저장된 평균치값의 오차범위는 정상일 경우 0~5%, 황색경보일 경우 5~15%, 적색경보일 경우 1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이 완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단말장치와;
소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모바일 단말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단말장치 및 모바일 단말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광대역송수신모듈과, 사용자의 생체리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생체신호DB와,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DB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정보를 가공하는 통계모듈과, 상기 통계모듈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험 또는 정상 상태를 분석하는 위험인지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소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단말장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모바일 단말장치의 전자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소셜 서버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소셜 서버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제어부의 상태알림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웨어러블 단말장치는,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모바일 단말장치 및 소셜 서버와 무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따른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데이터는 심박수, 걸음수, 체온, 심전도, 맥박, 근전도, 혈압, 호흡, 혈류 중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가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웨어러블 단말장치와 모바일 단말장치는 Wifi, UWB, Zigbee, Bluetooth, RFID, NFC 중 어느 하나의 무선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계모듈은, 웨어러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생체신호를 날짜, 시간, 위치 순으로 정렬하여 데이터화시키며, 일별, 주별, 월별에 따른 생체신호의 평균치값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위험인지 판단모듈은, 웨어러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통계모듈에 저장된 평균치값의 오차범위에 따른 정상, 황색경보, 적색경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계모듈에 저장된 평균치값의 오차범위는 정상일 경우 0~5%, 황색경보일 경우 5~15%, 적색경보일 경우 1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단말장치와;
소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모바일 단말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단말장치 및 모바일 단말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광대역송수신모듈과, 사용자의 생체리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생체신호DB와,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DB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정보를 가공하는 통계모듈과, 상기 통계모듈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험 또는 정상 상태를 분석하는 위험인지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소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하면,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사용 빈도수가 높은 모바일 단말장치의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서 건강관리 및 생체신호 변화 상태를 감시 및 알림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증진을 유도하고, 위험상태를 실시간으로 타인 혹은 주변인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험일 경우 즉각적인 응급대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으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세부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장치(2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단말장치(100), 소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모바일 단말장치(200), 상기 웨어러블 단말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장치(20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광대역송수신모듈(340)과, 사용자의 생체리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생체신호DB(310)와,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DB(310)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정보를 가공하는 통계모듈(320)과, 상기 통계모듈(320)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험 또는 정상 상태를 분석하는 위험인지 판단모듈(330)을 포함하는 소셜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장치(200)는, 일실시예로 스마트폰이 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바일 단말장치(200)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1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모바일 단말장치(200)의 전자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20)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계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계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계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계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 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220), 메모리부, 디스플레이부(210),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221),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21)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2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ystal Display)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20)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20)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0)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2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20)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21)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20)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20)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21)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21)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21)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21)은 일정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21)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21)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21)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스마트폰은 단문 메세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소셜 서버(3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소셜 서버(300)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제어부(220)의 상태알림모듈(223)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웨어러블 단말장치(100)는,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110), 모바일 단말장치(200) 및 소셜 서버(300)와 무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부(120),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따른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알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데이터는 심박수, 걸음수, 체온, 심전도, 맥박, 근전도, 혈압, 호흡, 혈류 중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가 수집된다.
상기 웨어러블 단말장치(100)와 모바일 단말장치(200)는 Wifi, UWB, Zigbee, Bluetooth, RFID, NFC 중 어느 하나의 무선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어러블 단말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생체신호는 소셜 서버(3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정보, 모바일 단말장치(200)의 센서 즉, 제어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가속도계, GPS위치정보 카메라와 같은 센서 정보를 통해 설정된 기준 값에 따라 단계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른 단계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계모듈(320)에는, 웨어러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받은 생체신호를 날짜, 시간, 위치 순으로 정렬하여 데이터화시키며, 일별, 주별, 월별에 따른 생체신호의 평균치값을 기록한다.
위험인지 판단모듈(330)은, 웨어러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받은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통계모듈(320)에 저장된 평균치값의 오차범위에 따른 정상, 황색경보, 적색경보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통계모듈(320)에 저장된 평균치값의 오차범위는 정상일 경우 0~5%, 황색경보일 경우 5~15%, 적색경보일 경우 1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장치(200)에서 출력되는 화면(디스플레이)를 일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웨어러블 단말장치(100)를 통해 생체신호가 획득되며, 획득된 생체신호가 모바일단말장치로 전송된 후 소셜 서버(300)를 통해 가공된 생체신호 데이터가 다시 모바일 단말장치(200)로 전송되었을 경우, 최초 소셜 서버(300)로 전송된 생체신호가 기존에 입력되어있던 생체신호의 평균값에 비해 변동여부를 파악하여 정상, 황색경보, 적색경보를 알려준다.
이후 모바일 단말장치(200)에서는 각 단계별 상태정보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에 사용자의 상태를 디스플레이창(214)에 표기하고 그 수치에 따른 데이터정보를 데이터표시창(215)에 출력한다. 적색경보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상 실시간 활성창(213, 212)의 사용자 정보를 변경하고 소셜 상 연결되어 있는 지인 혹은 가족과 같은 접촉빈도 수가 높은 지인에게 생체신호 및 모바일 단말장치(200)의 GPS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00 : 웨어러블 단말장치 110 : 센서부
120 : 통신부 130 : 알림부
200 : 모바일 단말장치 210 : 디스플레이부
220 : 제어부 221 : 통신모듈
222 : 메모리모듈 223 : 상태알림모듈
224 : 중앙처리장치
300 : 소셜 서버 310 : 생체신호DB
320 : 통계모듈 330 : 위험인지 판단모듈
340 : 광대역송수신모듈

Claims (5)

  1.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단말장치와;
    소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모바일 단말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단말장치 및 모바일 단말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광대역송수신모듈과, 사용자의 생체리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생체신호DB와, 상기 저장된 생체신호DB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정보를 가공하는 통계모듈과, 상기 통계모듈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험 또는 정상 상태를 분석하는 위험인지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소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웨어러블 단말장치는,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모바일 단말장치 및 소셜 서버와 무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따른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데이터는 심박수, 걸음수, 체온, 심전도, 맥박, 근전도, 혈압, 호흡, 혈류 중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가 수집되고,
    상기한 통계모듈(320)에는 웨어러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받은 생체신호를 날짜, 시간, 위치 순으로 정렬하여 데이터화시키며, 일별, 주별, 월별에 따른 생체신호의 평균치값을 기록하고,
    상기한 소셜서버에 위험인지 판단모듈(330)이 부가되어 웨어러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통계모듈에 저장된 평균치값의 오차범위에 따른 정상, 황색경보, 적색경보를 판단하고,
    모바일 단말장치(200)에서는 각 단계별 상태정보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에 사용자의 상태를 디스플레이창(214)에 표기하고 그 수치에 따른 데이터정보를 데이터표시창(215)에 출력하며,
    적색경보일 경우 소셜 네트워크 상 실시간 활성창(213, 212)의 사용자 정보를 변경하고,
    소셜 네트워크 상 연결되어 있는 접촉빈도 수가 높은 지인에게 생체신호 및 모바일 단말장치(200)의 GPS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장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모바일 단말장치의 전자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소셜 서버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소셜 서버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제어부의 상태알림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54053A 2017-04-27 2017-04-27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86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053A KR101867293B1 (ko) 2017-04-27 2017-04-27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053A KR101867293B1 (ko) 2017-04-27 2017-04-27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293B1 true KR101867293B1 (ko) 2018-06-14

Family

ID=6262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053A KR101867293B1 (ko) 2017-04-27 2017-04-27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2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544B1 (ko) 2019-04-26 2020-01-06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생체 정보 처리 장치 방법
CN113520308A (zh) * 2020-04-21 2021-10-22 动联国际股份有限公司 健康管理系统和健康管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206A (ko) * 2014-04-07 2015-10-15 유동민 블루투스 기반의 웨어러블 생체 측정기기를 이용한 응급상황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70224A (ko) 2014-12-09 2016-06-20 주식회사 아비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KR20160085403A (ko) * 2015-01-07 2016-07-18 (주)유투 시스템 아기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206A (ko) * 2014-04-07 2015-10-15 유동민 블루투스 기반의 웨어러블 생체 측정기기를 이용한 응급상황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70224A (ko) 2014-12-09 2016-06-20 주식회사 아비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KR20160085403A (ko) * 2015-01-07 2016-07-18 (주)유투 시스템 아기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544B1 (ko) 2019-04-26 2020-01-06 에이아이몬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생체 정보 처리 장치 방법
CN113520308A (zh) * 2020-04-21 2021-10-22 动联国际股份有限公司 健康管理系统和健康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4826B1 (en) Medical bracelet standard
US9111435B2 (en) Reducing medical error
US20080287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hysiological data readings, transmission and presentation
US1066731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pairing status between two devices
US20140378089A1 (en) Wireless mobile emergency system
WO2009124326A1 (en) Radio frequency transmitter and receiver system and apparatus
CN104042193A (zh) 具有生命系数感测及处理功能的表环
Panicker et al. Development of a blood pressure monitoring system for home health application
KR20180106583A (ko)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KR20120094590A (ko) 원격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67293B1 (ko)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846845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US201503516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wo-way communication for telemetry device
CN103892804A (zh) 一种用于健康监控的腕式装置
CN203988003U (zh) 具有生命系数感测及处理功能的表环
CN10933057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监护系统
Almazroa et al. Easy clinic: smart sensing application in healthcare
US201102245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vital functions of human body
KR20020024083A (ko) 무선 건강체크기 및 무선 건강체크 방법
CN104852952A (zh) 基于网络的保健监控系统
CN210541528U (zh) 智能定位腕表
KR102099373B1 (ko) 스마트워치 디지털무전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및 건강관리방법
KR200271283Y1 (ko) 무선 건강체크기
CN204671127U (zh) 一种无线传感网络定位技术的老年公寓监护装置
WO2023127169A1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