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224A -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224A
KR20160070224A KR1020140175687A KR20140175687A KR20160070224A KR 20160070224 A KR20160070224 A KR 20160070224A KR 1020140175687 A KR1020140175687 A KR 1020140175687A KR 20140175687 A KR20140175687 A KR 20140175687A KR 20160070224 A KR20160070224 A KR 20160070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dule
sensor
communication network
b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비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비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비칸
Priority to KR1020140175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0224A/ko
Publication of KR2016007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생체신호와 이동 영상을 광대역 통신망 또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방식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대역 통신망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 카메라가 원격지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원하는 곳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체정보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장 또는 커넥터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밴드형태의 생체센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활동에 불편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형태의 생체센서를 방화복 소매에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방화복만 착용하면 생체센서 역시 함께 착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생체센서를 항상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정보와 운동상태정보로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위험여부를 즉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확인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위험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ONLINE TRANSFER AND MONITORING SYSTEM FOR WEARABLE LIVING BODY SIGNAL AND MOVING IMAGE USING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본 발명은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생체신호와 이동 영상을 광대역 통신망 또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방식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확인할 대상 물체 또는 영역을 촬영하여 모니터 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고, 확대 및 축소 기능으로 대상 물체를 자세히 관찰하거나 주변의 넓은 영역을 관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존의 카메라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카메라와 원격지를 연결하였다. 하지만, 이는 카메라와 원격지 간의 거리가 먼 경우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화재발생의 경우, 화재발생 지역에 카메라를 보내더라도 거리상의 한계에 의해 원격지를 화재발생 지역 주변에 위치시켜야 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감시 활동의 경우 역시 감시 지역을 확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기존에는 원격지의 영상만을 획득할 뿐 해당 원격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3772호 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065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와 카메라를 제어하는 원격지 간의 거리에 상관없이 원하는 장소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사용자의 위험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상 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운동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센서부를 제어하고, 외부모니터링부와의 광대역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대역 통신망 중 통신이 원활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이동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획득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운동상태정보획득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가슴에 부착되는 부착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며, 탄성이 있는 밴드 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센서가 내장된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는 교체형이거나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상기 탄성이 있는 밴드 내에 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생체센서 루프가 내장되어 상기 배터리와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방화복 상의의 소매를 따라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방화복 루프를 통해 상기 생체센서 루프에 자기장으로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상기 탄성이 있는 밴드에 생체센서 커넥터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와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방화복 상의의 소매에 상기 생체센서 커넥터와 탈착되며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방화복 소매 커넥터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방화복 상의의 소매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고도정보를 획득하는 고도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심전도, 심박수, 사용자 표피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상태정보는 사용자가 서있는지, 앉아있는지, 누워있거나 엎드려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3차원 움직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광대역 통신을 수행하는 광대역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상기 센서부로부터 획득된 생체정보와 사용자의 운동상태 정보 및 고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확인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메모리 모듈 및 상태 확인 모듈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 및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상태 확인 모듈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생체정보 기준값을 상기 생체정보획득 센서에서 획득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획득된 생체정보가 생체정보 기준값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사용자의 상태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경보를 발생하며, 상기 운동상태정보획득 센서에서 획득된 운동상태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며, 생체정보획득 센서에서 획득된 생체정보가 기준값을 만족시키지 못하면서 운동상태정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다고 확인되면 사용자의 상태가 아주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2 경보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 모듈은 음성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 확인 모듈은 상기 제 1 경보 또는 상기 제 2 경보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괜찮은지 질의하고, 사용자가 마이크 모듈을 통해 응답하면 상기 음성 확인 모듈이 인식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위험하지 않으며 상기 센서부의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 모듈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대역 통신망은 와이브로, 3G망, 4G망 및 5G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통신망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 카메라가 원격지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원하는 곳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체정보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장 또는 커넥터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밴드형태의 생체센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활동에 불편을 주지 않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형태의 생체센서를 방화복 소매에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방화복만 착용하면 생체센서 역시 함께 착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생체센서를 항상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정보와 운동상태정보로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위험여부를 즉시 판단할 수 있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확인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위험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이동카메라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부착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의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에서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에서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에서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이동카메라부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카메라부(100)와, 센서부(400), 이동카메라부(100)에서 획득된 영상과 센서부(400)에서 센싱된 신호를 송신하는 중계장치부(1000), 중계장치부(1000)에서 송신한 영상과 센서부(400)에서 센싱된 신호를 전달받는 원격모니터링부(2000)를 포함한다.
이동카메라부(100)는 원격모니터링부(2000)의 제어를 받아 특정 지역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케이스 내에 후술될 제어 모듈(300) 및 전원부(500)가 내부에 구비되며, 카메라 모듈(110)과 표시 모듈(200)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케이스의 외부에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가 노출된다. 이러한 이동카메라부(100)는 비피에스케이(BPSK), 큐피에스케이(QPSK) 또는 큐에이엠(QAM)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변조된 2.4 GHz 또는 5.8 GHz 대역의 무선주파수로 실시간 송신하며 이동이 허용된 범위를 벗어나거나 근접촬영이 허용된 범위 이내에 위치한 상태를 자동으로 자가 검출하여 해당 경고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서 이동카메라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10)과, 음향을 획득하는 마이크 모듈(120), 카메라 모듈(110)에서 획득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200), 카메라 모듈(110)과 마이크 모듈(120)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300) 및 제어 모듈(3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500)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10)은 특정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로 IP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때, 카메라 모듈(110)은 H.264 방식으로 비디오 압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 모듈(110)은 현장의 음향을 획득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을 획득하기 위해서 별도의 마이크 모듈(12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10)은 이동카메라부(100)의 본체에 회전 상태로 돌출되어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이동카메라부(100)의 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이동카메라부(100)의 본체에 탈착되거나 부착시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10)은 일정하게 정형되어 고정된 크기와 형상을 하거나 또는 핀(pin) 형상의 렌즈와 절곡이 자유로우면서 제어될 수 있는 상태의 내시경 형상을 할 수도 있다.
센서부(400)는 사용자의 위험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서, 센서부(40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획득 센서(410)와, 사용자의 위치와 자세 등 운동상태정보를 센싱하는 운동상태정보 획득 센서(420)를 포함한다.
생체정보획득 센서(410)는 생체센서로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한다. 여기서, 생체센서가 센싱하는 생체정보는 심전도, 심박수, 사용자 표피체온을 포함한다. 이러한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부착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와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생체정보획득 센서(410)에서 획득된 생체정보는 후술될 상태 확인 모듈(340)에 전달된다. 물론, 이를 위해서 센서부(400)는 블루투스, 비콘, NFC, 지그비, 와이파이 송신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센서부(400)와 상태 확인 모듈(340) 간의 통신은 설명의 편의상 지근거리 통신으로 정의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312)에 의한 통신은 근거리 통신으로 정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부착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의 개략도이다.
부착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체, 예를 들어, 가슴 부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심전도, 심박수 및 사용자 표피체온을 획득한다. 또한, 부착형 생체센서는 박막형 패드(411) 형상이되 내부에는 심전도와 심박수 및 사용자 표피체온을 획득하기 위한 생체센서가 내장된다. 이는 예를 들어, 박막 형 압전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부착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박막형 패드가 배선(412)에 의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 모듈(3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에서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의 개략도이다.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서 맥박(심박수)과 사용자 표피체온을 획득한다. 이를 위해서, 탄성이 있는 밴드(421) 내에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생체센서(422)를 내장시킨다. 또한, 생체센서(42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 모듈(300)과 연결된다.
여기서,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가 무선으로 제어 모듈(300)과 연결될 경우,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필요한 전원을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내장된 배터리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내장 배터리의 교체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내장된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장된 배터리에 자기장을 통해 전원을 무선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 내에 내장된 생체센서(422)의 배터리와 연결된 생체센서 루프(423)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생체센서 루프(423)와 배터리 사이에는 정류회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방화복(3000) 소매에는 생체센서 루프(423)에 자기장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방화복 루프(3100)가 구비되며, 방화복 루프(3100)는 방화복(3000) 소매를 따라 원형으로 구비된다. 또한, 방화복 루프(3100)는 유선으로 제어 모듈(300)과 연결되어 제어 모듈(3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생체센서 루프(423)에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에서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한편,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와 제어 모듈(300)이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에는 생체센서 커넥터(424)가 형성되고, 방화복(3000) 상의 소매에는 생체센서 커넥터(424)와 접속될 수 있는 방화복 소매 커넥터(32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를 손목에 착용한 후 방화복 소매 커넥터(3200)를 생체센서 커넥터(424)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방화복 소매 커넥터(3200)는 제어 모듈(300)과 방화복(3000) 내에서 유선으로 연결되어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방화복 소매 커넥터(3200)는 방화복(3000) 내에서 유선으로 연결되며, 그 끝단에는 방화복 전원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제어 모듈(300)과 접속된다. 즉, 제어 모듈(300)에는 방화복 전원 커넥터(미도시)와 접속되는 제어 모듈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되며, 제어 모듈(300)을 착용한 후 제어 모듈 커넥터(미도시)와 방화복 전원 커넥터(미도시)를 연결하면 제어 모듈(300)의 전원이 방화복 소매 커넥터(3200)까지 인가된다. 또한, 생체센서 커넥터(424)를 방화복 소매 커넥터(3200)와 연결하면 제어 모듈(300)의 전원이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까지 인가된다.
또한, 전술된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방화복(3000)과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방화복(3000)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에서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400), 즉,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가 방화복(3000) 상의의 소매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방화복(3000) 상의 착용 시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도 자연스럽게 같이 착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를 별도로 착용하지 않고 방화복(3000) 상의만 착용하면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도 같이 착용되므로 출동 시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의 착용을 잊어버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유선으로 제어 모듈(3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형태 외에 이어폰형 생체정보획득 센서 또는 장갑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이어폰에
장갑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의 경우, 장갑의 손가락 부위에 링 형태로 내장시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전원은 장갑의 손목부위에 루프를 구비하고, 방화복의 손목부위에도 전원 공급을 위한 루프를 구비하거나 커넥터 결합에 의해 공급할 수 있다.
운동상태정보 획득 센서(420)는 사용자의 위치와 자세 등 운동상태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이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는 부착형 생체정보획득 센서 또는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에 내장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이로센서는 이동카메라부(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운동상태정보 획득 센서(420)에서 획득되는 운동상태정보는 사용자의 3차원 움직임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있는지, 앉아있는지 누워있거나 엎드려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3차원 움직임 정보는 후술될 상태 확인 모듈(340)에 전달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고도계를 구비하여 건물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더욱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고도계에 의해 사용자가 현재 건물내 몇층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물론, 고도계에서 획득된 고도 정보 역시 후술될 상태 확인 모듈(340)에 전달된다.
표시 모듈(200)은 제어 모듈(3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와이드 엑스지에이(WXGA) 등의 방식으로 촬영 및 포맷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모듈(200)은 엘시디(LCD), 엘이디(LED), 아몰레드(AMOLED)를 포함하는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 모듈(30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카메라부(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305)과, 통신 모듈(310), 메모리 모듈(320), 상태 확인 모듈(340) 및 제어 모듈(300) 내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330)를 포함한다.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305)은 통신 모듈(310)을 통해 중계장치부(1000)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이를 위해서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305)은 후술될 근거리 통신 모듈(312)을 통해 중계장치부(1000)와 통신을 시도하여 중계장치부(1000)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중계장치부(1000)와 통신이 가능할 경우,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305)은 이동카메라부(100)와 센서부(400)가 후술될 근거리 통신 모듈(312)을 통해 인터넷 통신망 등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하지만, 중계장치부(1000)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305)은 중계장치부(1000)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305)은 이동카메라부(100)와 센서부(400)가 후술될 광대역 통신 모듈(314)을 통해 광대역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중계장치부(1000)가 존재할 경우 이를 통해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하도록 하여 네트워크망 사용료를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된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305) 대신 근거리 통신 모듈(312)과 광대역 통신 모듈(314)에 대한 선택적 활성화 기능을 수행하는 딥 스위치(39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딥 스위치(390)는 근거리 통신 모듈(312)만을 활성화시키거나, 광대역 통신 모듈(314)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자동 모드에 의해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305)을 활성화시켜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305)이 근거리 통신 모듈(312) 또는 광대역 통신 모듈(314)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전술된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305)과 딥 스위치(390)는 어느 하나만이 구비되거나,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305)과 딥 스위치(390)가 함께 구비될 경우, 딥 스위치(390)가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305)보다 우선권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모듈(310)은 이동카메라부(100)와 센서부(400)가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312)과,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원거리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광대역 통신 모듈(314)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312)은 제어 모듈(3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 상태로 구동되며 제어 모듈(300)로부터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력하며, 예를 들어, 티디엠에이(TDMA), 씨디엠에이(CDMA) 등의 방식으로 변조된 2.4 GHz 5.8 GHz 대역의 무선주파수로 송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2)이 송신한 신호는 중계장치부(1000)에서 수신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312)은 중계장치부(1000)가 송신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설정된 소정 시간 단위로 수신신호세기를 분석 및 평균값을 연산하여 검출한다. 수신신호세기를 분석하는 시간 단위는 초 단위로 지정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며, 분 단위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값을 사용하는 경우 주변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 모듈(300)은 근거리 통신 모듈(312)이 검출한 수신신호세기의 레벨을 입력하여 분석하고 설정된 소정의 기준 레벨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스피커부에 해당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수신신호세기의 레벨은 이동카메라부(100) 및 센서부(400)와 중계장치부(1000)가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없는 정도로 서로의 거리가 떨어진 상태의 값으로 정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광대역 통신 모듈(314)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송신정보에 담긴 수신처의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광대역 통신 모듈(314)과 연결되는 통신망은 광대역 통신망인 4G망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대역 통신 모듈(314)은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3G망, 4G망 또는 5G망과 연결되어 카메라 모듈(110)에서 획득한 영상을 중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광대역 통신 모듈(314)은 와이브로, 3G망, 4G망 및 5G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브로 접속 방식은 TDD/OFDMA(Time Division Duplex/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320)은 이동카메라부(100)를 운용하기 위한 운영 체제 등이 저장되는 시스템 메모리와 카메라 모듈(110)에서 획득한 영상과 센서부(400)에서 획득한 생체정보 및 운동상태정보 등과 같은 센싱정보를 1차 저장하는 스토리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는 리눅스, 윈도, 안드로이드 등의 운영 체제가 저장되어 전체적인 시스템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메모리(232)에 저장되는 운영 체제는 센서부(400)와, 이동카메라부(100)의 카메라 모듈(110)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의 드라이버를 로드하면서 오류 검사를 수행하며, 이때, 오류가 발생되면 후술될 상태표시 모듈(6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통신 모듈(310)과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이때, DDNS 서버도 같이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통신 모듈(310)이 유동 IP를 사용하므로 접속될 때마다 IP가 변동되어 무선 접속 시 오류가 발생되기 때문이며, 자체 내부 망을 구성하여 고정 IP로 전환해주는 것이다. 또한, 이에 따라, 항상 같은 URL로 접속할 수 있으며,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서 웹 서버가 구동되어 클라이언트의 웹 상에서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영상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IP는 통신 모듈(310)의 근거리 통신 모듈(312)과 광대역 통신 모듈(314)에 모두 적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스토리지 메모리가 시스템 메모리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별도의 스토리지 메모리 없이 하나의 메모리가 시스템 메모리와 스토리지 메모리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된 제어 모듈(300)은 전원부(500)에서 인가된 전원을 변환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제어 모듈(300)은 인가받은 12.6V의 전원을 레귤레이터로 12V, 5V 및 3.3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태 확인 모듈(340)은 생체정보획득 센서(410)와 운동상태정보 획득 센서(420)에서 획득된 생체정보와 운동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이를 위해서, 상태 확인 모듈(340)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생체정보 기준값을 생체정보획득 센서(410)에서 획득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획득된 생체정보가 생체정보 기준값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사용자의 상태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경보를 발생시킨다. 또한, 운동상태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며, 생체정보획득 센서(410)에서 획득된 생체정보가 기준값을 만족시키지 못하면서 운동상태정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다고 확인되면 사용자의 상태가 아주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2 경보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 1 경보와 제 2 경보는 표시 모듈(200)을 통해 표시되며 음향으로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태 확인 모듈(340)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의 현재 상태는 표시 모듈(200)을 통해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험여부를 음성을 통해 자동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확인하는 음성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확인 모듈은 예를 들어, 제 1 경보 또는 제 2 경보가 발생되기 전 음성 확인 모듈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괜찮은지 질의한다. 여기에, 사용자가 마이크 모듈(120)을 통해 괜찮다고 응답하면 음성 확인 모듈은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상태는 위험하지 않으며, 센서부(300)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를 표시 모듈(200)에 표시한다. 하지만, 음성 확인 모듈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든 내용은 표시 모듈(200)에 표시되며 최종 확인은 관리자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500)는 제어 모듈(3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댑터(510)와 배터리(5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어댑터(510)가 외부 전원을 12.6V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520)를 충전하는 것을 예시하며, 배터리(520)에 충전된 전원은 시스템 전원, 즉, 제어 모듈(300)에 인가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카메라부(100)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한편, 제어 모듈(300)에 신호를 인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카메라부(100)의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는 제어 모듈(300)의 전원 모듈을 제어하여 전원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스위치뿐만 아니라, 제어 모듈(300)을 통해서도 전원 모듈을 제어하여 전원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공급을 재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 모듈(300)과 연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카메라부(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 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표시 모듈(600)은 이동카메라부(100)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전원 램프(610)와 레디 램프(620)를 포함한다.
전원 램프(610)는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이 온(on)되면 점등된다. 물론, 전원이 오프(off) 상태이면 점등되지 않는다. 이러한 전원 램프(610)는 녹색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레디 램프(620)는 이동카메라부(100)가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표시한다. 즉, 레디 램프(620)는 전원이 온(on)되고 시스템 체크가 완료되어 레디 상태가 되면 점등되며 시스템 체크를 통과하지 못하면 점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을 온(on)시키더라도 레디 램프(620)가 점등되지 않는다면 시스템 체크를 통과하지 못한 것이므로 고장 또는 시스템 오류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레디 램프(620)로 황색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알람 시스템(700)은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고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 모니터링 모듈(710)과, 알람 모듈(720)을 포함한다.
전원 모니터링 모듈(710)은 배터리(520)의 전원을 모니터링한다. 이는 배터리(520)의 전압을 측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배터리(520)의 전압이 일정 크기 이하일 경우, 전원 모니터링 모듈(710)은 이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를 위해서, 전원 모니터링 모듈(710)은 알람 모듈(720)을 포함하며, 알람 모듈(720)은 음향 모듈(720)과 알람 램프(730)를 포함한다.
음향 모듈(720)은 배터리(520)의 전압이 기준 이하인 것을 음향인 소리로 알린다. 본 실시예는 음향 모듈(720)로 버저(buzzer)를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에조 소자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알람 램프(730)는 배터리(520)의 전압이 기준 이하인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즉, 알람 램프(730)는 적색 램프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배터리(520)의 전압이 기준 이하인 것을 알릴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전술된 상태표시 모듈(600)과 함께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계장치부(1000)는 이동카메라부(100)와 비피에스케이(BPSK), 큐피에스케이(QPSK) 또는 큐에이엠(QAM)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변조된 2.5 GHz 또는 5.8 GHz 대역이 포함되는 ISM 밴드의 무선주파수로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계장치부(1000)는 이동카메라부(100)가 송신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실시간 수신하고 각각 증폭하여 합성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에이치.264(H.264), 에이치.265(H.265), 엠펙(MPEG) 등의 방식으로 압축시킬 수 있으며 에이치.264 방식으로 압축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중계장치부(1000) 대신 일반적인 액세스 포인트를 중계장치부(1000)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카메라부(100) 주변에 중계장치부(1000)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중계장치부(10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카메라부(100)가 광대역 통신망만을 사용할 경우에도 중계장치부(1000)가 생략될 수 있다. 즉, 중계장치부(1000)는 이동카메라부(100)가 지근거리 통신, 예를 들어, RF 통신을 수행할 때만 구비된다.
원격모니터링부(2000)는 중계장치부(1000)와 인터넷 통신망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경유하여 이동카메라부(100)와 접속되거나 이동카메라부(100)와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중계장치부(1000) 또는 이동카메라부(100)를 지정된 호출번호를 이용하여 호출하거나, 중계장치부(1000) 또는 이동카메라부(100)로부터 지정된 호출번호를 이용하여 피호출될 수 있다. 원격모니터링부(2000)는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호출 또는 피호출되어 중계장치부(1000) 또는 이동카메라부(100)와 접속하며 에이치.264(H.264) 방식으로 압축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지정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하는 동시에 분석하거나 자체적으로 구비된 해당 모니터를 통하여 출력하므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모니터링부(2000)는 상황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광대역 통신망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 카메라와 원격지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원하는 곳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이동 영상 실시간 전송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동카메라부가 통신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거나 허용된 근접촬영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므로 명확한 영상을 연속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이동 영상 실시간 전송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영상 실시간 전송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영상 실시간 전송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을 촬영하는 이동카메라부(100)와, 센서부(400), 이동카메라부(100) 및 센서부(400)와 지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장치부(1000), 이동카메라부(100)와 센서부(400) 또는 중계장치부(1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모니터링부(2000)를 포함한다.
이동카메라부(100)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10)과, 음향을 획득하는 마이크 모듈(120), 카메라 모듈(110)과 마이크 모듈(120)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300) 및 제어 모듈(3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의 크기가 소형이므로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200)은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카메라부(100)는 카메라 모듈(110)과, 음향을 획득하는 마이크 모듈(120), 카메라 모듈(110)과 마이크 모듈(120)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300) 및 제어 모듈(3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500)가 수납되는 케이스(A, 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A, B)를 제외한 구성은 전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카메라부는 헬멧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어깨 또는 가슴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이동카메라부 110: 카메라 모듈
120: 마이크 모듈 200: 표시 모듈
300: 제어 모듈 305: 중계장치부 검색 모듈
310: 통신 모듈 312: 근거리 통신 모듈
314: 광대역 통신 모듈 320: 메모리 모듈
330: 중앙 처리 장치 340: 상태 확인 모듈
390: 딥 스위치 400: 센서부
410: 생체정보획득 센서 411: 박막형 패드
412: 배선 420: 운동상태정보획득 센서
421: 밴드 422: 생체센서
423: 생체센서 루프 424: 생체센서 커넥터
500: 전원부 510: 어댑터
520: 배터리 600: 상태 표시 모듈
610: 전원 램프 620: 레디 램프
700: 배터리 알람 시스템 720: 음향 모듈
730: 알람 램프 1000: 중계장치부
2000: 원격모니터링부 3000: 방화복
3100: 방화복 루프 3200: 방화복 소매 커넥터

Claims (14)

  1. 대상 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운동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센서부를 제어하고, 외부모니터링부와의 광대역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대역 통신망 중 통신이 원활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이동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획득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운동상태정보획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가슴에 부착되는 부착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며, 탄성이 있는 밴드 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센서가 내장된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는 교체형이거나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상기 탄성이 있는 밴드 내에 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생체센서 루프가 내장되어 상기 배터리와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방화복 상의의 소매를 따라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방화복 루프를 통해 상기 생체센서 루프에 자기장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상기 탄성이 있는 밴드에 생체센서 커넥터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와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방화복 상의의 소매에 상기 생체센서 커넥터와 탈착되며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방화복 소매 커넥터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생체정보획득 센서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방화복 상의의 소매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고도정보를 획득하는 고도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심전도, 심박수, 사용자 표피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상태정보는 사용자가 서있는지, 앉아있는지, 누워있거나 엎드려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3차원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광대역 통신을 수행하는 광대역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상기 센서부로부터 획득된 생체정보와 사용자의 운동상태 정보 및 고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확인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메모리 모듈 및 상태 확인 모듈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 및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태 확인 모듈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생체정보 기준값을 상기 생체정보획득 센서에서 획득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획득된 생체정보가 생체정보 기준값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사용자의 상태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경보를 발생하며,
    상기 운동상태정보획득 센서에서 획득된 운동상태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며, 생체정보획득 센서에서 획득된 생체정보가 기준값을 만족시키지 못하면서 운동상태정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다고 확인되면 사용자의 상태가 아주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2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음성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확인 모듈은 상기 제 1 경보 또는 상기 제 2 경보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괜찮은지 질의하고, 사용자가 마이크 모듈을 통해 응답하면 상기 음성 확인 모듈이 인식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위험하지 않으며 상기 센서부의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 모듈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대역 통신망은 와이브로, 3G망, 4G망 및 5G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KR1020140175687A 2014-12-09 2014-12-09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KR20160070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687A KR20160070224A (ko) 2014-12-09 2014-12-09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687A KR20160070224A (ko) 2014-12-09 2014-12-09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224A true KR20160070224A (ko) 2016-06-20

Family

ID=5635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687A KR20160070224A (ko) 2014-12-09 2014-12-09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022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3550A (zh) * 2016-07-19 2016-10-12 姚前 一种报警方法、装置和系统
KR101867293B1 (ko) 2017-04-27 2018-06-14 주식회사 트위니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970917B1 (ko) * 2018-07-03 2019-04-22 김윤상 센서 기반 스마트 피드백 시스템
KR101999922B1 (ko) * 2018-08-03 2019-07-17 김도연 안전지킴 시스템 및 안전지킴 단말기
KR102027737B1 (ko) * 2019-07-05 2019-10-01 김도연 안전지킴 단말기
KR102027736B1 (ko) * 2019-07-05 2019-10-01 김도연 안전지킴 시스템
KR102027738B1 (ko) * 2019-07-05 2019-10-01 김도연 안전지킴 시스템
KR102140830B1 (ko) * 2019-11-13 2020-08-04 주식회사 무하기술 작업스케줄 및 스마트헬멧을 이용한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0829B1 (ko) * 2019-11-13 2020-08-04 주식회사 무하기술 스마트헬멧을 이용한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80822A (ko) * 2019-12-23 2021-07-01 임재근 웨어러블 기기 및 무선 이동체에 적용 가능한 작업 위험성 판단 모듈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772A (ko) 2005-03-28 2006-10-04 주식회사 영국전자 화점감시용 카메라장치
KR20120060653A (ko) 2010-12-02 2012-06-12 아이야미디어 주식회사 화재진압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772A (ko) 2005-03-28 2006-10-04 주식회사 영국전자 화점감시용 카메라장치
KR20120060653A (ko) 2010-12-02 2012-06-12 아이야미디어 주식회사 화재진압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3550A (zh) * 2016-07-19 2016-10-12 姚前 一种报警方法、装置和系统
KR101867293B1 (ko) 2017-04-27 2018-06-14 주식회사 트위니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970917B1 (ko) * 2018-07-03 2019-04-22 김윤상 센서 기반 스마트 피드백 시스템
KR101999922B1 (ko) * 2018-08-03 2019-07-17 김도연 안전지킴 시스템 및 안전지킴 단말기
KR102027737B1 (ko) * 2019-07-05 2019-10-01 김도연 안전지킴 단말기
KR102027736B1 (ko) * 2019-07-05 2019-10-01 김도연 안전지킴 시스템
KR102027738B1 (ko) * 2019-07-05 2019-10-01 김도연 안전지킴 시스템
KR102140830B1 (ko) * 2019-11-13 2020-08-04 주식회사 무하기술 작업스케줄 및 스마트헬멧을 이용한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0829B1 (ko) * 2019-11-13 2020-08-04 주식회사 무하기술 스마트헬멧을 이용한 위험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80822A (ko) * 2019-12-23 2021-07-01 임재근 웨어러블 기기 및 무선 이동체에 적용 가능한 작업 위험성 판단 모듈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0224A (ko)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 영상 및 웨어러블 생체신호 실시간 전송 시스템
US10206568B2 (en) Head mountable device for measuring eye movement
KR102531976B1 (ko) 전자장치,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027716B2 (ja) 装着型使用者状態情報取得装置
RU2685815C1 (ru) Способ реагирования на обнаружение пад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9215362B2 (en) Image capturing system and image capturing method
KR20160030736A (ko)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서버
KR101280837B1 (ko) 치아 모니터링 장치
US20150217143A1 (en) In-line accessory for a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US20120165616A1 (en) Portable monitoring unit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monitored person
JP2007516020A (ja) 位置識別能力を有する移動式患者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EP2730218A1 (en) Footwear able to be wirelessly charged and transmit bio 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heal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footwea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CN203535764U (zh) 一种居家老人监护装置
KR2017011435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9016339A (ja) 監視システム
CN204496498U (zh) 一种远程医疗系统
US20030163827A1 (en) High risk personnel real time monitoring support apparatus
KR101496730B1 (ko) 이동 영상 실시간 전송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57839A (ko) 사람 인식이 가능한 지능형 로봇 및 그 동작방법
US201702315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movement rehabilitation
KR101123189B1 (ko) 구조견 원격통제와 핸들러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16687A (ko) 독거인용 케어 시스템
JP2017204228A (ja) 監視システム及び引戸開閉装置
KR10158031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세 인식 장치
US20220054083A1 (en) Autonomous event assista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